KR102359823B1 - 배터리 스탠드 - Google Patents

배터리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823B1
KR102359823B1 KR1020170183347A KR20170183347A KR102359823B1 KR 102359823 B1 KR102359823 B1 KR 102359823B1 KR 1020170183347 A KR1020170183347 A KR 1020170183347A KR 20170183347 A KR20170183347 A KR 20170183347A KR 102359823 B1 KR102359823 B1 KR 102359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battery
support
fork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1060A (ko
Inventor
강성규
Original Assignee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3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823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13Details concerning the chassis
    • B66F9/0754Battery remova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터리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지게차에 설치된 배터리를 외부로 반출시키기 위한 반출장치에 설치되는 배터리 스탠드는 상기 반출장치에 지지되고 상기 배터리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반출장치와 접촉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반출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이탈 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스탠드{A BATTERY STAND}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터리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게차에 설치된 배터리를 외부로 반출시켜 이를 충전 후 다시 지게차에 설치할 수 있도록 반출장치 상에 설치되어 배터리를 지지하는 배터리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의 하부에 배터리가 설치된다. 이러한 배터리는 지게차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산업 현장에서 운행 중인 이러한 지게차는 완성된 물품 또는 원소재의 하물을 운반 또는 적재한다.
따라서, 지게차의 배터리를 지게차 외부로 반출되어 충전되고, 충전된 배터리가 지게차에 장착되어 산업 현장에서의 다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종래의 지게차의 경우, 배터리를 호이스트와 같은 장비로 끓어 올려 이를 지게차로부터 반출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장비의 설치위치로 지게차가 이동해야 하고 이러한 장비의 설치 및 설치 공간상의 많은 스페이스가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지게차의 하부에 배터리가 설치된 경우에도, 이러한 배터리를 지면이 오염된 영역으로 이동시켜 지면에 거치하는 경우 반출된 배터리가 이러한 오염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출장치 상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게차에 설치된 배터리를 지지할 수 있는 배터리 스탠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게차에 설치된 배터리를 외부로 반출시키기 위한 반출장치에 설치되는 배터리 스탠드는 상기 반출장치에 지지되고 상기 배터리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반출장치와 접촉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반출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이탈 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배터리 스탠드는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제3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배터리 스탠드는 상기 제3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이 상기 배터리의 일면과 이웃하는 측면을 지지하도록 절곡 형성된 배터리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배터리 스탠드는 일측이 상기 제3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타측이 상기 배터리를 지지 가능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술한 배터리 스탠드는 상기 제3 지지부재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지지부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지면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제1 메인 다리부, 그리고 상기 제3 지지부재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지지부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지면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제2 메인 다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배터리 스탠드는 상기 제1 메인 다리부 또는 상기 제2 메인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3 지지부재가 상기 반출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탈 방지부는 상기 제3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메인 다리부 또는 상기 제2 메인 다리부와 체결되는 장공형의 제2 이탈 방지 체결공, 그리고 일측이 상기 제1 메인 다리부 또는 상기 제2 메인 다리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반출장치를 향해 절곡된 제2 이탈 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배터리 스탠드는 상기 연결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지면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며 상기 제1 이탈 방지부가 설치된 보조 다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탈 방지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 다리부와 체결되는 장공형의 제1 이탈 방지 체결공, 그리고 일측이 보조 다리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반출장치를 향해 절곡된 제1 이탈 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배터리 스탠드는 상기 반출장치와 상기 제1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반출장치와 상기 제1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한 제1 길이 조절부재와, 상기 반출장치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반출장치와 상기 제2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한 제2 길이 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지게차에 설치된 배터리를 외부로 반출시키기 위해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1 포크 그리고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제1 포크와 이격 배치된 제2 포크를 포함하는 반출장치에 설치되는 배터리 스탠드는 상기 제1 포크 상에 지지되고 상기 배터리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포크 상에 지지되고 상기 배터리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제3 지지부재, 그리고 일측이 상기 제3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타측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포크 또는 상기 제2 포크의 외측면과 나란한 상기 배터리의 측면을 지지 가능한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배터리 스탠드는 상기 제3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이 상기 배터리의 일면과 이웃하는 측면을 지지하도록 절곡 형성된 배터리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배터리 스탠드는 상기 배터리 지지부재의 일측, 상기 제1 지지부재, 그리고 제2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와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패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배터리 스탠드는 상기 바디와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와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한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배터리 스탠드는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포크 또는 상기 제2 포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측을 지지하여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반출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이탈 방지부와, 상기 제3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포크 또는 상기 제2 포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외측을 지지하여 상기 제3 지지부재가 상기 반출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이탈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게차에 설치된 배터리를 반출시 이를 지지하는 배터리 스탠드는 반출장치의 폭 또는 길이에 가변적으로 적용되어 반출장치 위치 상에 유연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출장치 상에 배치된 배터리 스탠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배터리 스탠드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배터리 스탠드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배터리 스탠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탠드(101)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스탠드(101)는 반출장치(20) 상에 설치된다. 또한, 반출장치(20)는 지게차(10)에 설치된 배터리(30)를 외부로 반출시킨다. 구체적으로, 배터리(30)는 지게차(10)의 측면 하부에 설치되어, 지게차(10) 측면을 개방 후 반출장치(20)가 지게차(10)의 하부로 접근하여 배터리(30)를 지게차(10) 외부로 반출시킨다.
또한, 반출장치(20)는 충전이 완료된 배터리(30)를 지게차(10) 측면 하부로 이송하여 배터리(30)가 지게차(10)에 설치되도록 한다. 즉, 반출장치(20)는 지게차(10)로부터 배터리(30)를 탈거 및 장착되도록 이를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스탠드(101)는 반출장치(20) 상에 설치되어, 배터리(30)가 반출장치(20)에 바로 접촉하지 않고 배터리 스탠드(101)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탠드(101)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와 연결부재(400) 그리고 제1 이탈 방지부(700)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재(200)는 반출장치(20)에 지지된다. 그리고 제1 지지부재(200)는 배터리(30)의 일면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재(200)는 반출장치(20)와 배터리(30) 사이에 배치되어 배터리(30)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300)는 제1 지지부재(200)와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지지부재(300)는 제1 지지부재(200)가 지지하는 동일한 면인 배터리(30)의 일면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부재(300)는 배터리(30)의 하부면의 일방향을 따라 제1 지지부재(200)와 서로 이격 배치되어 배터리(30)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400)는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400)는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의 각각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연결부재(400)의 일단부는 제1 지지부재(200)와 고정 결합되고, 연결부재(400)의 타단부는 제2 지지부재(30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400)는 배터리(30)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200)의 일면과 배터리(30)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300)의 일면보다 상대적으로 낮거나 같은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400)는 일면이 배터리(30)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200)의 일면과 배터리(30)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300)의 일면보다 상대적으로 높지 않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400)는 배터리(30)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200)의 일면과 배터리(30)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300)의 일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경우, 연결부재(400)의 일면과 배터리(30) 사이에 발생되는 간섭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이탈 방지부(700)는 연결부재(400)에 지지되어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가 반출장치(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탈 방지부(700)는 연결부재(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반출장치(2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가 반출장치(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이탈 방지부(700)가 반출장치(20)와 접촉시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 그리고 연결부재(400)는 반출장치(2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반출장치(20) 상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 스탠드(101)는 제1 이탈 방지부(700)에 의해 반출장치(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탈 방지부(700)는 반출장치(20)의 크기에 따라 연결부재(400)를 따라 이동하며 반출장치(20)와 접촉할 수 있어, 반출장치(20)의 크기에 가변적으로 대응하여 배터리 스탠드(101)가 반출장치(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출장치(20)는 바디(23)와 제1 포크(21)와 제2 포크(2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3)는 반출장치(20)의 구동을 위한 동력발생 부재가 설치되거나, 제1 포크(21)와 제2 포크(22)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바디(23)에는 제1 포크(21)와 제2 포크(2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 부재(24)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포크(21)는 일단이 바디(23)에 지지된다. 또한, 제1 포크(21)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포크(21)의 타단은 바디(23)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포크(21)의 타단의 하부에는 지면으로부터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포크(22)는 일단이 바디(23)에 지지된다. 또한, 제2 포크(22)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포크(22)는 바디(23)에 제1 포크(21)와 제1 포크(21)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포크(22)의 타단은 제1 포크(21)와 이격된 바디(23)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포크(22)의 타단의 하부에는 지면으로부터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23)의 하부에도 지면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반출장치(20)는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조절될 수 있고, 제1 포크(21)와 제2 포크(22)의 상부에 거치된 물품(배터리)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지지부재(200)는 제1 포크(21) 상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200)는 배터리(30)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300)는 제2 포크(22) 상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재(300)는 배터리(30)의 하부면을 제1 지지부재(200)와 이격 배치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400)는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가 서로 마주하는 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400)는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 타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00)의 타측과 제2 지지부재(300)의 타측은 제1 지지부재(200)의 일측과 제2 지지부재(300)의 일측 보다 반출장치(20)의 바디(23)와 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탈 방지부(700)는 연결부재(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제1 포크(21) 또는 제2 포크(2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탈 방지부(700)는 연결부재(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변적으로 이동하며, 제2 포크(22)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1 포크(21)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배터리 스탠드(101)가 제1 포크(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제1 이탈 방지부(700)는 연결부재(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변적으로 이동하며, 제1 포크(21)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2 포크(22)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배터리 스탠드(101)가 제2 포크(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탈 방지부(700)는 복수로 형성되어, 연결부재(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변적으로 이동하며, 제1 포크(21)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2 포크(22)의 내측면과 접촉하고 제2 포크(22)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1 포크(21)의 내측면과 각각 접촉하여 배터리(30)를 지지하는 배터리 스탠드(101)가 제1 포크(21) 및 제2 포크(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탈 방지부(700)는 연결부재(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변적으로 이동하며 제1 포크(21) 또는 제2 포크(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어, 제1 포크(21), 제2 포크(22)의 폭의 변경에 따라서도 배터리 스탠드(101)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배터리 스탠드(101)는 제1 이탈 방지부(700)에 의해 작업 현장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반출장치(20)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탠드(101)는 제3 지지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지지부재(500)는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지지부재(500)는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지지부재(500)는 제1 지지부재(200)의 일측과 제2 지지부재(300)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의 일방향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400)와 제3 지지부재(500)는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지지부재(500)는 배터리(30)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200)의 일면과 배터리(30)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300)의 일면 상에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지지부재(500)는 연결부재(400)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지지부재(500)는 연결부재(400) 보다 반출장치(20)의 바디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지지부재(500)는 제1 지지부재(200) 및 제2 지지부재(300)와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지지부재(500)는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의 이격된 폭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는 각각 배터리(30)를 지지하는 일면과 이의 일면으로부터 양단이 바닥면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는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횡방향의 단면이 약"ㄷ"이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된 형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재(200)는 배터리(30)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 일면(201)과 연결부재(400)와 연결되는 제1 지지부재 내측면(202)과 제1 지지부재 일면(201)을 중심으로 제1 지지부재 내측면(202)과 이격배치된 제1 지지부재 외측면(20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재(300)는 배터리(30)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 일면(301)과 연결부재(400)와 연결되는 제2 지지부재 내측면(302)과 제2 지지부재 일면(301)을 중심으로 제2 지지부재 내측면(302)과 이격배치된 제2 지지부재 외측면(3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 내측면(202)과 제2 지지부재 내측면(302)은 서로 마주하도록 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포크(21) 상에 제1 지지부재 내측면(202)의 일단과 제1 지지부재 외측면(201)의 일단이 접촉되어 지지되고, 제2 포크(22) 상에 제2 지지부재 내측면(302)의 일단과 제2 지지부재 외측면(303)의 일단이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3 지지부재(500)는 제1 지지부재 일면(201)과 제2 지지부재 일면(3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400)는 제1 지지부재 내측면(202)과 제2 지지부재 내측면(302)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탠드(101)는 배터리 지지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지지부재(600)는 제3 지지부재(5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지지부재(600)는 일측이 배터리(30)의 일면과 이웃하는 측면을 지지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지지부재(600)의 일측은 배터리(30)의 하부면과 이웃하는 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지지부재(600)의 타측은 제3 지지부재(500)에 지지될 수 있다. 즉, 배터리 지지부재(600)의 타측은 제3 지지부재(5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3 지지부재(500)로부터 돌출 배치되고, 배터리 지지부재(600)의 일측은 제1 지지부재 일면(201) 또는 제2 지지부재 일면(301)을 향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배터리 지지부재(600)의 타측은 제1 지지부재(200) 또는 제2 지지부재(3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배터리 지지부재(600)의 일측은 제1 지지부재 일면(201) 또는 제2 지지부재 일면(301)을 향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지지부재(600)의 일측 단부는 제1 지지부재(200) 또는 제2 지지부재(30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지지부재(600)의 타측 단부는 제3 지지부재(50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지지부재(600)는 제3 지지부재(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배터리 지지부재(600)는 약"ㄱ"형의 단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지지부재(600)의 일측이 지지하는 배터리(30)의 일면과 이웃하는 측면은 육면체의 배터리(30)의 면 중 반출장치(20)의 바디(23)와 마주하는 일면일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지지부재(600)의 일측은 배터리(30)의 일면과 이웃하는 측면을 지지할 수 있어, 반출장치(20) 상에 위치하는 배터리 스탠드(101)로부터 배터리(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탠드(10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550)는 제3 지지부재(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550)는 일측이 제3 지지부재(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타측이 배터리(30)를 지지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500)는 가이드 체결공(551)과 가이드 체결부재(554) 그리고 가이드부재(55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체결공(551)은 제3 지지부재(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3 지지부재(5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지지부재(5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횡방향의 단면이 약"ㄷ"자형을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방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지지부재(500)는 제1 지지부재 일면(201) 및 제2 지지부재 일면(301)과 마주하는 제3 지지부재 일면(501)과, 상기 제3 지지부재 일면(501)으로부터 지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가이드부(550)를 지지하는 제3 지지부재 내측면(503), 그리고 제3 지지부재 일면(501)을 중심으로 제3 지지부재 내측면(503)과 이격 되어 상기 제3 지지부재 일면(501)으로부터 지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배치된 제3 지지부재 외측면(5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체결공(551)은 제3 지지부재(500)의 제3 지지부재 내측면(503)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체결공(551)은 배터리 지지부재(600) 보다 제3 지지부재(500)의 단부와 상대적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553)는 일측이 가이드 체결공(551)과 결합 가능한 원형의 가이드공(552)이 형성되어 제3 지지부재(500)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553)의 타측은 배터리 지지부재(600)가 지지하는 배터리(30)의 일면과 이웃하는 측면과, 배터리(30)의 일면과 이웃하는 배터리(30)의 면을 지지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재(553)는 제3 지지부재(500)로부터 제1 지지부재(200) 또는 제2 지지부재(3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재(553)의 타측은 배터리(30)의 외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재(553)의 타측은 배터리(30)가 배터리 스탠드(10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체결부재(554)는 가이드 체결공(551)과 가이드공(552)을 관통하여, 제3 지지부재(500)에 형성된 장공형의 가이드 체결공(551)의 장축방향으로 가이드부재(553)를 이동시켜 제1 지지부재(200) 및 제2 지지부재(3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배터리(30)의 길이변화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가이드부재(553)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가이드 체결부재(554)는 가이드부재(553)의 위치이동에 따라, 이의 위치를 결정하여 제3 지지부재(500)에 가이드부재(553)를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550)에 따라, 제1 지지부재(200) 및 제2 지지부재(3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배터리(30)의 길이변화에도 배터리 스탠드(101)가 효과적으로 이를 지지할 수 있다.
또는, 가이드부(550)는 복수의 가이드 체결공(551)이 제3 지지부재(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3 지지부재 내측면(503)에 형성되어 가이드부재(553)를 제3 지지부재(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재(553)에 형성된 가이드공(552)과 복수의 가이드 체결공(551) 사이를 관통하며 체결하는 가이드 체결부재(554)에 따라, 가이드 체결부재(554)가 복수의 가이드 체결공(551) 중 어디를 관통하는지에 따라 가이드부(550)가 제3 지지부재(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지지부재(5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 사이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지지부재(500)의 양단은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로부터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 사이의 폭방향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지지부재(500)의 일단은 제1 지지부재(200) 상에서 제1 지지부재(2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지지부재(500)의 타단은 제2 지지부재(300) 상에서 제2 지지부재(3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탠드(101)는 메인 다리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다리부(800)는 제3 지지부재(500)로부터 지면을 향해 연장되어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가 바닥에 거치시 이들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다리부(800)는 제1 지지부재(200)과 제2 지지부재(3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여, 반출장치(20)의 제1 포크(21)와 제2 포크(22)가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의 하부로 삽입되도록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다리부(800)는 제1 메인 다리부(860)와 제2 메인 다리부(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다리부(860)는 제3 지지부재(50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메인 다리부(860)는 제3 지지부재(5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면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메인 다리부(860)는 제1 지지부재(200)가 지면과 이격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즉, 제1 메인 다리부(860)는 제1 지지부재 내측면(202) 보다 제1 지지부재 외측면(203)과 상대적으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메인 다리부(860)는 제1 메인 다리부재(861)와 제1 연결부재(8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메인 다리부재(861)는 제3 지지부재(5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횡단면이 약"ㄷ"형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형을 갖도록 절곡 형성 수 있다. 그리고 제1 메인 다리부재(861)의 일단부는 제3 지지부재(500)의 내측면과 마주하고, 제1 메인 다리부재(861)의 타단부는 제3 지지부재(500)의 외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862)는 제1 메인 다리부재(861)의 절곡된 양측을 서로 연결하여 제3 지지부재(500)의 제3 지지부재 일면(501)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메인 다리부재(861)의 절곡되어 형성된 양단 사이의 평면은 지면과 접촉하여 제1 지지부재(2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 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2 메인 다리부(850)는 제3 지지부재(50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메인 다리부(850)는 제3 지지부재(5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면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메인 다리부(850)는 제2 지지부재(300)가 지면과 이격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즉, 제2 메인 다리부(850)는 제2 지지부재 내측면(302) 보다 제2 지지부재 외측면(303)과 상대적으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메인 다리부(850)는 제1 메인 다리부(860)가 포함하는 제1 메인 다리부재(861)와 제1 연결부재(862)와 동일하게 형성된 제2 메인 다리부재(851)와 제2 연결부재(8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메인 다리부재(861)와 제2 메인 다리부재(851)는 설치위치만 상이할 뿐, 제2 메인 다리부재(851)의 형상은 제1 메인 다리부재(861)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탠드(101)는 제2 이탈 방지부(9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탈 방지부(910)는 제1 메인 다리부(860) 또는 제2 메인 다리부(8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제3 지지부재(500)가 반출장치(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이탈 방지부(910)는 제3 지지부재(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제1 포크(21) 또는 제2 포크(2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외측을 지지하여 제3 지지부재(500)가 반출장치(20)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탈 방지부(910)는 제3 지지부재(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어, 제1 포크(21) 또는 제2 포크(22)의 폭 변화에 따라 가변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탈 방지부(910)는 배터리 스탠드(101)가 제1 포크(21) 또는 제2 포크(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종래의 현장에서 사용하는 반출장치(20)에도 효과적으로 장착되어 배터리(30)의 반출입을 지지할 수 있다.
또는, 제2 이탈 방지부(910)는 제1 메인 다리부(860) 및 제2 메인 다리부(850)에 각각 복수개가 배치되어, 제1 포크(21)의 외측과 제2 포크(22)의 외측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이탈 방지부(910)는 제2 이탈 방지 체결공(912)과 제2 이탈 방지부재(9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탈 방지 체결공(912)은 제3 지지부재(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형으로 제3 지지부재(50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탈 방지 체결공(912)은 메인 다리부(8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이탈 방지 체결공(912)은 제1 메인 다리부(860)의 제1 연결부재(861)에 형성된 제1 연결공(913) 또는 제2 메인 다리부(850)의 제2 연결부재(852)에 형성된 제2 연결공(913)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공(913)과 제2 연결공(913)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장공형으로 형성된 제2 이탈 방지 체결공(912)의 장축방향을 따라 제1 메인 다리부(860) 또는 제2 메인 다리부(850)도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일예로, 제2 이탈 방지 체결공(912)은 제3 지지부재(500)의 제3 지지부재 일면(501)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탈 방지부재(911)는 일측이 제1 메인 다리부(860) 또는 제2 메인 다리부(850)에 연결되고, 타측이 반출장치(20)를 향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이탈 방지부재(911)는 일측이 제1 메인 다리부재(861) 또는 제2 메인 다리부재(851)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탈 방지부재(911)는 타측이 제1 포크(21) 또는 제2 포크(22)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절곡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2 이탈 방지부재(911)는 제1 지지부재(200) 또는 제2 지지부재(300)의 길이방향을 따른 단면이 약"L"자 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포크(21) 또는 제2 포크(22)의 외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2 이탈 방지부재(911)의 타측이 제1 포크(21) 또는 제2 포크(22)의 외측면과 접촉되며 이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현장에 쓰이는 다양한 포크 폭을 갖는 어느 반출장치(20)에도 배터리 스탠드(101)가 효과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 제2 이탈 방지부(910)가 제1 메인 다리부(860)와 제2 메인 다리부(850)에 각각 복수개가 배치된 경우, 제2 이탈 방지 체결공(912)은 제3 지지부재(500)의 제3 지지부재 일면(501)의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탈 방지부재(911)는 제3 지지부재(50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중심으로 제1 메인 다리부재(861)와 제2 메인 다리부재(851)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1 포크(21)의 외측면과 제2 포크(22)의 외측면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이탈 방지부(910)는 제2 이탈 방지 체결부재(9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탈 방지 체결부재(914)는 제2 이탈 방지 체결공(912)의 장축방향을 따라 제1 메인 다리부재(861) 또는 제2 메인 다리부재(851)에 설치된 제2 이탈 방지부재(911)가 이동시 이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이탈 방지 체결부재(914)는 제2 이탈 방지 체결공(912)과 제1 연결공(913) 또는 제2 연결공(913)을 관통하여 제2 이탈 방지부재(911) 및 제1 메인 다리부재(961) 또는 제2 메인 다리부재(951)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탠드(101)는 보조 다리부(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다리부(750)는 연결부재(40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다리부(750)는 연결부재(4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지면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다리부(750)는 연결부재(400)가 지면과 이격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보조 다리부(750)는 제1 이탈 방지부(700)를 지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400)는 연결부재(4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횡방향의 단면이 약"ㄷ"자형을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방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400)는 양단이 제1 지지부재 내측면(202) 및 제2 지지부재 내측면(302)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 일면(401)은 연결부재(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폭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 내측면(402)은 연결부재 일면(401)으로부터 지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 외측면(403)은 연결부재 일면(401)을 중심으로 연결부재 내측면(402)과 이격 배치되어 연결부재 일면(401)으로부터 지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 외측면(403)과 연결부재 내측면(402)의 배터리(30)의 하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돌출 길이는 제1 지지부재 일면(201)과 제2 지지부재 일면(301)으로부터 배터리(30) 하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 내측면(402)은 연결부재 외측면(403) 보다 제3 지지부재(500)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조 다리부(750)는 보조 다리부재(751)와 보조 연결부재(7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다리부재(751)는 연결부재(4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횡단면이 약"ㄷ"형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 수 있다.
그리고 보조 다리부재(751)의 일단부는 연결부재 외측면(403)과 마주하고, 보조 다리부재(751)의 타단부는 연결부재 내측면(402)과 마주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연결부재(752)는 보조 다리부재(751)의 절곡된 양측을 서로 연결하여 연결부재(400)의 연결부재 일면(401)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보조 다리부재(751)의 절곡되어 형성된 양단 사이의 평면은 지면과 접촉하여 연결부재(400) 및 이와 연결된 제1 지지부재(200) 그리고 제2 지지부재(3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 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다리부(750)는 연결부재(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보조 다리부(700) 및 메인 다리부(800)에 의해 배터리 스탠드(101)는 이에 설치된 배터리(30)가 지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반출장치(20)의 제1 포크(21) 및 제2 포크(22)가 지면과 보조 다리부(750) 및 메인 다리부(80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배터리 스탠드(101)가 반출장치(20) 상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이탈 방지부(700)는 제1 이탈 방지 체결공(710)과 제1 이탈 방지부재(7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탈 방지 체결공(710)은 연결부재(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형으로 연결부재(40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탈 방지 체결공(710)은 보조 다리부(750)와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탈 방지 체결공(710)은 연결부재(400)의 연결부재 일면(401) 상에 장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탈 방지부재(730)는 일측이 보조 다리부(750)와 연결되고, 타측이 반출장치(20)를 향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탈 방지부재(730)는 일측이 보조 다리부재(751)에 결합되고, 제1 이탈 방지부재(730)의 타측은 제1 포크(21) 또는 제2 포크(22)의 내측면을 따라 접촉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탈 방지 체결공(710)과 보조 연결부재(752)에 형성된 보조 연결공(720)이 결합되어, 제1 이탈 방지부재(730)에 설치된 제1 이탈 방지부재(730)가 제1 이탈 방지 체결공(710)의 장축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이탈 방지부재(730)는 연결부재(400)의 연결부재 외측면(403) 모다 연결부재 내측면(402)과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탈 방지부(700)는 제1 이탈 방지 체결부재(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탈 방지 체결부재(740)는 제1 이탈 방지 체결공(710)의 장축방향을 따라 보조 다리부재(751)에 설치된 제1 이탈 방지부재(730)가 이동시 이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탈 방지 체결부재(740)는 제1 이탈 방지 체결공(710)과 보조 연결공을 관통하여 제1 이탈 방지부재(730) 및 보조 다리부재(751)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이탈 방지부(700)는 제1 포크(21)의 내측과 접촉되고, 제2 포크(22)의 내측과 접촉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400)에 설치된 복수개의 보조 다리부(750)에 복수개의 제1 이탈 방지부(700)가 각각 설치되어 제1 포크(21) 및 제2 포크(22)의 내측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탈 방지부(700)가 연결부재(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반출장비의 제1 포크(21) 또는 제2 포크(22)의 폭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배터리 스탠드(101)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탠드(101)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조절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길이 조절부(650)는 반출장치(20)의 바디(23)와 제1 지지부재(200) 및 제2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길이 조절부(650)는 바디(23)와 제1 지지부재(200) 및 제2 지지부재(300) 사이의 제1 지지부재(200)의 길이와 나란한 방향으로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길이 조절부(650)는 제1 길이 조절부재(654)와 제2 길이 조절부재(6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길이 조절부재(654)는 반출장치(20)와 제1 지지부재(200) 사이에 배치되어 반출장치(20)와 제1 지지부재(2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길이 조절부재(654)는 제1 지지부재(200)의 제1 지지부재 일면(201)의 하부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며, 이로부터 인출입 되며 바디(23)와 제1 지지부재(2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길이 조절부재(654)는 일단부가 제1 지지부재(200)의 제1 지지부재 일면(201)의 하부에 삽입 설치되고, 제1 길이 조절부재(654)의 타단부가 바디(23)와 접촉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길이 조절부재(654)의 일단부가 제1 지지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입될 수 있다.
또한, 길이 조절부(650)는 제1 길이 조절부재(654) 상에 형성된 제1 길이 조절 통공(656)과, 상기 제1 지지부재(200)의 일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1 길이 조절 통공(656)과 체결되는 제1 길이 조절 결합부재(6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길이 조절 통공(656)은 제1 길이 조절부재(654)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복수개로 형성된 제1 길이 조절 통공(656)에 따라 제1 길이 조절 결합부재(655)가 관통되며 체결되어 제1 지지부재(200)로부터 인출된 제1 길이 조절부재(654)의 길이를 조절하여, 바디(23)와 제1 지지부재(20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제2 길이 조절부재(651)는 반출장치(20)와 제2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되어 반출장치(20)와 제2 지지부재(3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길이 조절부재(651)는 제2 지지부재(300)의 제2 지지부재 일면(301)의 하부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며, 이로부터 인출입 되며 바디(23)와 제2 지지부재(3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제2 길이 조절부재(651)는 일단부가 제2 지지부재(300)의 제2 지지부재 일면(301)의 하부에 삽입 설치되고, 제2 길이 조절부재(651)의 타단부가 바디(23)와 접촉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길이 조절부재(651)의 일단부가 제2 지지부재(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입될 수 있다.
또한, 길이 조절부(650)는 제2 길이 조절부재(651) 상에 형성된 제2 길이 조절 통공(652)과, 상기 제2 지지부재(300)의 일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2 길이 조절 통공(652)과 체결되는 제2 길이 조절 결합부재(6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길이 조절 통공(652)은 제2 길이 조절부재(6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복수개로 형성된 제2 길이 조절 통공(652)에 따라 제2 길이 조절 결합부재(653)가 관통되며 체결되어 제2 지지부재(300)로부터 인출된 제2 길이 조절부재(651)의 길이를 조절하여, 바디(23)와 제2 지지부재(30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길이 조절부(650)는 제1 지지부재(200) 및 제2 지지부재(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디(23)와 배터리 스탠드(10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현장에 기구비된 반출장치(20)의 제1 포크(21)와 제2 포크(22)의 다양한 길이에 따라 배터리 스탠드(101)의 설치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탠드(101)는 패드부재(9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재(990)는 배터리 지지부재(60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드부재(990)는 배터리(30)와 접촉되는 배터리 지지부재(6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터리(30)와 배터리 지지부재(600) 사이에 마찰력을 증가 시키고, 배터리(30)와 배터리 지지부재(600) 사이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는, 패드부재(990)는 제1 지지부재(20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드부재(990)는 제1 지지부재(200)의 제1 지지부재 일면(201)의 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패드부재(990)는 배터리(30)의 하부와 제1 지지부재 일면(201) 사이의 충격을 완화시켜 불규칙한 지면을 따라 배터리(30)가 이송되는 경우 이에 따른 진동 및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는, 패드부재(990)는 제2 지지부재(30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드부재(990)는 제2 지지부재(300)의 제2 지지부재 일면(301)의 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300)에 패드부재(990)가 설치된 효과는 상술한 제1 지지부재(200)에 패드부재(990)가 설치된 효과와 동일하다.
또는, 패드부재(990)는 배터리 지지부재(600)의 일측과 제1 지지부재 일면(201)의 타측 그리고 제2 지지부재 일면(301)의 타측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출장치(20)는 손잡이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25)는 작업자에 의해 반출장치(20)를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25)의 상하 방향으로 조작시 높이조절 부재(24)가 동작되어 제1 포크(21)와 제2 포크(22)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체결부재들은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 일면(401)이 연결부재(400)의 다른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있어, 이에 위치하는 연결 체결부재(740)가 배터리(30)의 하부와 간섭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10)에 설치된 배터리(30)의 반출과정을 설명한다.
작업자는 보조 다리부(750)와 메인 다리부(80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와 제3 지지부재(500) 그리고 연결부재(400)가 이격된 배터리 스탠드(101)의 하부면으로 반출장치(20)를 이송시킨다. 작업자는 반출장치(20)의 손잡이부(25)를 조작하여 제1 포크(21)와 제2 포크(22)가 보조 다리부(750)와 메인 다리부(800)에 의해 지면과 제1 지지부재(200)및 제2 지지부재(300)와 이격된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손잡이부(25)를 조작하여 제1 포크(21)와 제2 포크(22)가 높이조절 부재(24)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작업자는 배터리 스탠드(101)를 반출장치(20)에 효과적으로 장착 시키기 위해, 제1 이탈 방지부(700)의 제1 이탈 방지부재(7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제1 포크(21) 및 제2 포크(22)의 내측과 접촉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연결부재(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이탈 방지부재(7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제1 포크(21) 및 제2 포크(22)의 내측과 접촉되어 배터리 스탠드(101)가 반출장치(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스탠드(101)의 메인 다리부(800) 및 보조 다리부(750)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이기 때문에 반출장치(20) 상의 배터리 스탠드(101)의 위치를 일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작업자는 길이 조절부(650)의 제1 길이 조절부재(654)와 제2 길이 조절부재(651)와 반출장치(20)의 바디(2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반출장치(20)의 제1 포크(21)와 제2 포크(22)의 길이에 따라 배터리 스탠드(101)의 위치를 길이 조절부(650)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제2 이탈 방지부(910)를 제3 지지부재(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제2 이탈 방지부재(911)가 반출장치(20)의 제1 포크(21)와 제2 포크(22)의 외측을 접촉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알고 있는 배터리(30) 정보에 따라 가이드부(550)를 제3 지지부재(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배터리(30)가 배터리 스탠드(101) 상에 수납되는 경우, 배터리(30)의 적어도 한 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작업자는, 배터리(30)가 배터리 스탠드(101) 상에 수납된 이후, 가이드부(550)를 조절하여 배터리(30)의 적어도 한 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지게차(10)에 설치된 배터리(30)와 인접해 지는 방향으로 배터리 스탠드(101)가 설치된 반출장치(20)를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지게차(10)의 측면 하부의 배터리(30)가 노출되도록 도시되지 않은 도어를 개방 후 반출장치(20)를 삽입하여 배터리(30)가 배터리 스탠드(101)에 수납된 후, 반출장치(20)를 지게차(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배터리(30)가 수납된 배터리 스탠드(101)를 배터리(30)의 충전이 가능한 영역 또는 장치에 배터리 스탠드(101)를 거치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스탠드(101)의 보조 다리부(750)와 메인 다리부(800)에 의해 배터리(30)는 지면과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배터리 스탠드(101)가 제1 포크(21)와 제2 포크(22)로부터 탈거 되도록 높이조절 부재(24)를 조작할 수 있다.
배터리(30)가 충전이 완료된 후 또는 다른 완충된 배터리(30)가 수납된 배터리 스탠드(101)를 작업자는 반출장치(20)로 지게차(10)까지 이송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탠드(101)는 종래의 반출장치(20)의 크기 또는 길이에 효과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스탠드(101)는 배터리(30)가 지면과 접촉되어 오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스탠드(101) 상에 배터리(30)가 수납되기 때문에, 반출장치(20)를 이용하여 배터리(30)를 지게차(10)에 용이하게 인출입 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반출장치 21: 제1 포크
22: 제2 포크 23: 바디
30: 배터리 101: 배터리 스탠드
200: 제1 지지부재 300: 제2 지지부재
400: 연결부재 500: 제3 지지부재
550: 가이드부 600: 배터리 지지부재
650: 길이 조절부 651: 제2 길이 조절부재
654: 제1 길이 조절부재 700: 제1 이탈 방지부
710: 제1 이탈 방지 체결공 730: 제1 이탈 방지부재
750: 보조 다리부 850: 제2 메인 다리부
860: 제1 메인 다리부 910: 제2 이탈 방지부
911: 제2 이탈 방지부재 912: 제2 이탈 방지 체결공

Claims (15)

  1. 지게차에 설치된 배터리를 외부로 반출시키기 위한 반출장치에 설치되는 배터리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반출장치에 지지되고, 상기 배터리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측면과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측면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반출장치와 접촉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반출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이탈 방지부; 및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상기 연결부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상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부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지지부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배치된 제3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배터리 스탠드.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제3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이 상기 배터리의 일면과 이웃하는 측면을 지지하도록 절곡 형성된 배터리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스탠드.
  4. 제1항에서,
    일측이 상기 제3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타측이 상기 배터리를 지지 가능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스탠드.
  5. 제1항에서,
    상기 제3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3 지지부재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지지부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지면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제1 메인 다리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재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지지부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지면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제2 메인 다리부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스탠드.
  6. 제5항에서,
    상기 제1 메인 다리부 또는 상기 제2 메인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3 지지부재가 상기 반출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스탠드.
  7. 제6항에서,
    상기 제2 이탈 방지부는,
    상기 제3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메인 다리부 또는 상기 제2 메인 다리부와 체결되는 장공형의 제2 이탈 방지 체결공; 및
    일측이 상기 제1 메인 다리부 또는 상기 제2 메인 다리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반출장치를 향해 절곡된 제2 이탈 방지부재
    를 포함하는 배터리 스탠드.
  8. 제1항에서,
    상기 연결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지면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며, 상기 제1 이탈 방지부가 설치된 보조 다리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스탠드.
  9. 제8항에서,
    상기 제1 이탈 방지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 다리부와 체결되는 장공형의 제1 이탈 방지 체결공; 및
    일측이 보조 다리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반출장치를 향해 절곡된 제1 이탈 방지부재
    를 포함하는 배터리 스탠드.
  10. 제1항,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반출장치와 상기 제1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반출장치와 상기 제1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한 제1 길이 조절부재; 및
    상기 반출장치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반출장치와 상기 제2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한 제2 길이 조절부재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스탠드.
  11. 지게차에 설치된 배터리를 외부로 반출시키기 위해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1 포크 그리고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제1 포크와 이격 배치된 제2 포크를 포함하는 반출장치에 설치되는 배터리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크 상에 지지되고, 상기 배터리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2 포크 상에 지지되고, 상기 배터리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제3 지지부재; 및
    일측이 상기 제3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타측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포크 또는 상기 제2 포크의 외측면과 나란한 상기 배터리의 측면을 지지 가능한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스탠드.
  12. 제11항에서,
    상기 제3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이 상기 배터리의 일면과 이웃하는 측면을 지지하도록 절곡 형성된 배터리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스탠드.
  13. 제12항에서,
    상기 배터리 지지부재의 일측, 상기 제1 지지부재, 그리고 제2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와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패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스탠드.
  14. 제11항에서,
    상기 바디와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와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한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스탠드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포크 또는 상기 제2 포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측을 지지하여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반출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이탈 방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포크 또는 상기 제2 포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외측을 지지하여 상기 제3 지지부재가 상기 반출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이탈 방지부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스탠드.
KR1020170183347A 2017-12-29 2017-12-29 배터리 스탠드 KR102359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347A KR102359823B1 (ko) 2017-12-29 2017-12-29 배터리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347A KR102359823B1 (ko) 2017-12-29 2017-12-29 배터리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060A KR20190081060A (ko) 2019-07-09
KR102359823B1 true KR102359823B1 (ko) 2022-02-08

Family

ID=67261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347A KR102359823B1 (ko) 2017-12-29 2017-12-29 배터리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8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100Y1 (ko) 1997-12-31 2000-09-01 정몽규 자동차의 배터리 클램핑장치
US20040136815A1 (en) * 2002-10-04 2004-07-15 Gerhard Sellhorn Battery changing device for an industrial truck
WO2012170286A1 (en) * 2011-06-07 2012-12-13 Crown Equipment Corporation Battery transfer apparatus
KR101760923B1 (ko) 2016-06-03 2017-08-04 (주)테크니컬코리아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100Y1 (ko) 1997-12-31 2000-09-01 정몽규 자동차의 배터리 클램핑장치
US20040136815A1 (en) * 2002-10-04 2004-07-15 Gerhard Sellhorn Battery changing device for an industrial truck
WO2012170286A1 (en) * 2011-06-07 2012-12-13 Crown Equipment Corporation Battery transfer apparatus
KR101760923B1 (ko) 2016-06-03 2017-08-04 (주)테크니컬코리아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060A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17681A1 (ja) 搬送装置
KR102278514B1 (ko) 자재 취급 차량의 캐리지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US20150063963A1 (en) Transport Device
KR20130029765A (ko) 천장을 주행하는 반송차의 사이드 버퍼 및 반송차 시스템
KR102359823B1 (ko) 배터리 스탠드
KR200482115Y1 (ko) 박스 고정식 화물 운반용 적층대차
JP2024040507A (ja) 連結機構を備えた搬送装置
JP6730018B2 (ja) 運搬用台車
WO2016151836A1 (ja) 別置式制御盤の搬送用治具
CN105460483A (zh) 一种物流转运辅助装置
JP6252857B2 (ja) 連結機構及び台車牽引システム
KR101807768B1 (ko) 슬링 어셈블리
KR102132852B1 (ko)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
KR20220168432A (ko)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
CN210734351U (zh) 一种地板总成搬运装置
KR200473493Y1 (ko) 전도방지용 핸드파레트 트럭
KR20120069075A (ko)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
KR101712832B1 (ko) 보관성 및 운반성을 향상시킨 조립형 모빌랙용 대차
JP5288089B2 (ja) クレーンのマスト支持システム
WO2015045803A1 (ja) 搬送システム
KR200485424Y1 (ko) 산업용 로봇 운반 시스템
KR20150027989A (ko) 크레인용 보조공구
KR101549224B1 (ko) 아지무스 쓰러스터 블록용 캐리어
KR102547954B1 (ko) 브레이크 패드 자동 공급기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
CN219007896U (zh) 集成电路专用设备搬运防倾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