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663B1 - 평행하며 높이 조절 가능한 이송 디바이스들을 가진 이송기 - Google Patents

평행하며 높이 조절 가능한 이송 디바이스들을 가진 이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663B1
KR102359663B1 KR1020177034348A KR20177034348A KR102359663B1 KR 102359663 B1 KR102359663 B1 KR 102359663B1 KR 1020177034348 A KR1020177034348 A KR 1020177034348A KR 20177034348 A KR20177034348 A KR 20177034348A KR 102359663 B1 KR102359663 B1 KR 102359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transport
devices
height
adjus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9085A (ko
Inventor
베른하르트 호이프트
Original Assignee
호이프트 시스템테크니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이프트 시스템테크니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호이프트 시스템테크니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19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61Accumulating articles
    • B65G47/268Accumulating articles by means of belt or chain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69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stopping or lifting all articles from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44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31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by varying the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1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 B65G2812/016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 B65G2812/017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using tilted or side by side conveyor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병, 멀티팩 및 포장된 상품과 같은 물품들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장치로서, 제1운반 속도를 갖는 제1이송 디바이스(12), 상기 제1이송 디바이스(12)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운반 속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이송 디바이스(14), 및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디바이스(26)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송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이송 디바이스는 실질적으로 인접한 이송 표면을 함께 형성하고 동일한 운반 방향을 갖고, 상기 리프팅 디바이스(26)에 의해 상기 이송 디바이스들(12, 14) 중의 적어도 하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그 결과 상기 이송 디바이스들(12, 14) 중의 적어도 하나의 이송 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이 다른 이송 디바이스(14, 12)의 이송 표면 위로 및/또는 아래로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멀티팩 및 포장된 상품과 같은 물품들을 이송하기 위한 대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평행하며 높이 조절 가능한 이송 디바이스들을 가진 이송기
본 출원은 용기, 병, 멀티팩 및 포장된 상품과 같은 기립형 물품들(standing objects)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이송 디바이스(transporting device)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는 조절 가능한, 이송 장치(transporting apparatus)에서 이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행하게 배치된 수 개의 레인으로 이루어진 이송 장치는, 예를 들어, 병과 같은 기립형 용기의 평행 스트림을 모으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러한 장치는 DE-A1-43 32 341에 공지되어 있다. 병들은 먼저 제1이송 속도로 수 개의 트랙 상에서 전방으로 운반된다. 그 다음, 구부러진 레일을 통해서, 이 병들은 평행하게 주행되는 컨베이어 벨트들 상으로 시프트된다. 평행하게 주행되는 이들 컨베이어 벨트들은 더욱 빠른 속도로 작동되며, 그 결과 느린 멀티 트랙 병 스트림이 그보다 빠른 단일 트랙 병 스트림으로 형성된다. 평행하게 배치된 컨베이어 벨트들의 구동축은 일반적으로 기어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그 결과 평행한 컨베이어 벨트들의 속도는 항상 서로에 대해 소정의 비율을 갖게 된다.
또한, DE-A1-198 16 960에 따르면, 이송될 물품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해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브레이크 요소들을 갖는 링크 체인 컨베이어들을 장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이송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또한 적절한 유압 또는 공압 시스템을 통해 이송 방향에 평행하게 위로 상승될 수 있다. 이 브레이크 요소들의 길이는 개별 물품들의 길이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따라서 개별 물품들이 브레이크 요소들을 가진 컨베이어의 이송 표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가 있으며, 그 결과 물품은 더 이상 연속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지 않게 된다.
DE-A1-43 30 235에는 연속 이송기의 양측에, 컨베이어 레인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브레이크 바(bar)들이 컨베이어 레인의 베어링 평면 위로 상승될 수 있는 리프팅 유닛들이 제공되는 이송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 바들은 경사진 평면을 형성하며, 이것에 의해서 이송되는 포장 상품이 컨베이어 레인에서 들어 올려질 수 있다. 또한, 이 바들의 길이는 개별 물품들의 길이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수 개의 리프팅 유닛들이 앞뒤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압력(dynamic pressure) 없이 여러 개의 포장된 제품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송되는 물품들 사이의 갭을 메우기, 소위 캐치 업 섹션(catch-up section)들이 종래의 이송 디바이스에서 사용된다. 이 캐치 업 섹션들은 이송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고속으로 주행되는 컨베이어 벨트들이다. 이 물품들은 필요에 따라 이러한 평행 캐치 업 섹션들로 시프트된다. 그 후 캐치 업 섹션의 단부에서, 이 물품들은 다시 원래의 이송 디바이스로 밀어 넣어진다. 평행한 배치 때문에, 이러한 캐치 업 섹션들은 더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측방향 시프트는 이송되는 물품들의 넘어짐(tipping over)을 야기하기 쉬우므로, 잠재적 위험 지점을 추가로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 장치의 다능성(versatility)을 증가시키는 것이고, 특히, 목표된 방식으로 개별 물품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기의 흐름을 더욱 양호하게 모니터 및 제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특징에 의해 처음 명명된 유형의 장치에서 달성된다. 이 장치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규정된 운반 속도로 각각 작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이송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제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이송 디바이스는 실질적으로 인접한(closed) 이송 표면을 형성하며 동일한 운반 방향을 갖는다. 이들 적어도 2개의 이송 디바이스의 운반 속도들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로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이것을 이용하여 서로에 대한 이송 디바이스들의 이송 평면들의 위치가 조절 가능하며,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이송 디바이스의 이송 표면 중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이송 디바이스의 이송 표면 위로 또는 아래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의미 내의 물품들은 유리 병, 플라스틱 병, 용기, 캔, 멀티팩 또는 다른 포장된 상품과 같은 용기들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이송 디바이스들이라는 용어는 위에서 명시된 물품들의 이송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유형의 이송기들(transporters)을 포함한다. 병 또는 캔은 바람직하게는 방향전환 롤러(deflection roller)들을 통해 모터 구동되며 직선 및 곡선으로 설계될 수 있는 순환 링크 체인 컨베이어 또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이송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링크 체인 컨베이어 또는 컨베이어 벨트에서의 사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인접한 이송 표면(closed transporting surface)"이라는 표현은 개별 이송 디바이스들의 이송 표면들 사이에 이송 물품들이 넘어질 수 있는 큰 갭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위에서 규정된 물품들의 이송 중에는, 이러한 "인접한 이송 표면"을 갖는 이송기가 일반적으로 항상 사용되며, 이에 따라 물품들을 하나의 이송 디바이스로부터 이웃하는 이송 디바이스로 옮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링크 체인은 프레임 구조체의 슬라이드 표면상에서 당겨진다. 형성되는 마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특수 윤활제가 용도에 따라서 사용된다. 그러나 윤활제의 사용은 필요로 하는 유지 보수의 양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사용되는 링크 체인의 개별 링크는, 링크 체인이 이송 장치의 프레임 구조체의 레인 위에서 롤링될 수 있는 롤러들을 가질 수 있다. 링크 체인이 옆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레인들 사이에 격벽이 제공된다. 링크 체인의 링크는 측면 롤러를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을 이용하여 측면 격벽에 대해 굴러갈 수 있다. 이러한 롤러 사용을 통해, 이송 디바이스들의 마찰 손실이 더 감소될 수 있다.
이송 장치는 원칙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임의의 원하는 개수의 이송 디바이스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송 디바이스들은 바람직하게는 직선으로 주행된다. 그러나 곡선으로 주행되는 이송 디바이스들에서 본 발명을 사용할 수도 있다.
원칙적으로, 모든 이송 디바이스들에는 이송 표면의 수직 위치를 조절하는 리프팅 디바이스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송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높이 조절 가능한 이송 디바이스 및 높이 조절 불가능한 이송 디바이스로 구성된다. 고정된 또는 높이 조절 불가능한 이송 디바이스들은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인 작동 시에 물품이 소정의 운반 속도 및 임의로 설정 가능한 운반 속도로 이송되는 제1이송 평면을 규정한다. 고정된 이송 디바이스들의 운반 속도는 고정된 이송 디바이스들 모두에 있어서 동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정된 이송 디바이스들은 개별적으로 설정 가능한 속도로 각각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사항이 높이 조절 가능한 이송 디바이스들의 속도에도 적용된다. 또한, 이들은 개별적으로 설정 가능한 속도로 작동되거나 또는 각 경우에 있어서 동일한 속도로 작동될 수 있다. 개별 이송 디바이스들에 대한 각각의 운반 속도의 선택은 항상 이송 작업에 의존한다.
컨베이어 벨트 또는 링크 체인 컨베이어와 같은 순환 이송 디바이스의 경우, 개별 컨베이어 벨트들에는 서보 모터나 그 밖의 전기 모터와 같은 기존의 구동 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이송 디바이스들이 함께 결합될 수도 있으며, 그 결과 하나의 모터가 동시에 여러 이송 디바이스들을 구동시킬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들을 개별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각 벨트에 자체 구동 장치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전기 허브 모터들(Electric hub motors)이 특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들은 개별 컨베이어 벨트들의 방향전환 롤러에 통합될 수 있으므로 추가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특히,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순환 컨베이어 벨트들을 구비한 이송 디바이스들의 경우, 필요한 구동력이 다수의 허브 모터 상으로 분산되며, 결과적으로 허브 모터들 각각에 대한 전력 요구량이 더 낮아진다. 따라서 50V 미만의 전압, 예컨대, 48V에서 작동하는 허브 모터들로도,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허브 모터들은 그 낮은 전압으로 인하여 오퍼레이터의 운전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이점을 추가로 갖는다. 고압 모터가 사용될 경우, 병 파열로 인한, 유지 보수 직원에 대한 안전상의 위험을 항상 나타내는 액체 누설이 종종 이송 장치에서 발생한다.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디바이스는, 이송 디바이스들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바람직한 제어 요소들 또는 제어 부재들을 가질 수 있다. 기계식, 전동식, 자기식(magnetic), 공압식 또는 유압식 제어 요소들이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리프팅 디바이스는 임의의 원하는 개수의 제어 요소들을 가질 수 있으며, 이 제어 요소들은 이송 디바이스의 길이에 걸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제어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으로 작동 가능하며, 그 결과 이송 디바이스의 높이가 부분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이송 디바이스의 이송 표면들 간에 이송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도 설정이 가능하다.
리프팅 디바이스는 이송 디바이스 상에서 직접 작동하거나 또는 이송 디바이스가 놓여 있는 프레임 또는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전방 측에 부착된 방향전환 롤러 상에서 주행되며 프레임 구조체 위의 전체 이송 섹션 상에서 당겨지는 종래의 순환 링크 체인 또는 컨베이어 벨트의 경우, 이 리프팅 디바이스는 프레임 구조체의 수직 위치를 조절하도록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 이송 디바이스들 간의 천이(transition) 중에 물품이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 천이부분에는 실질적으로 단차가 없어야 한다. 이러한 단차 없는 천이부분은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한 제어 요소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디바이스는 상이한 두께로 이루어진 적어도 두 개의 부분을 갖는 추가의 요소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높이 조절 가능한 이송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순환 컨베이어 벨트 또는 링크 체인 컨베이어이다. 이 추가의 요소는 이송 장치의 하부 구조체와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 주행부 사이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부 주행부가 추가의 벨트를 통해 안내된다. 이 추가의 요소의 보다 얇은 부분이 컨베이어 벨트 아래에 배치될 경우,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 표면은 이송되는 물품과 결합하지 않는 더 낮은 위치에 위치된다. 다른 한편으로, 더 큰 두께를 갖는 부분이 컨베이어 벨트 바로 아래에 배치되도록 이 추가의 요소가 위치될 경우에는, 컨베이어 벨트는 이 부분에 의해 고정 배치된 이송 디바이스들의 이송 평면 위로 들어 올려져 물품이 탑재될 수 있도록 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이 추가의 요소는 방향전환 롤러 위의 전방 측에서 안내되고 증가된 두께의 영역을 제공하는 텅(tongue)을 가진 순환 벨트(endless belt)이다. 상부 주행부의 영역, 즉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 표면 영역에서는, 추가의 순환 벨트가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 주행부와 직접 접촉하여 작동한다. 방향전환 롤러에는 액추에이터가 제공되며, 이 액추에이터를 통해 추가의 순환 벨트가 위치를 잡을 수 있다.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를 상승시키기 위해, 텅의 더 두꺼운 영역이 상부 주행부 밑에 위치되며 이에 따라 그것이 텅 위에서 안내되도록 추가의 순환 벨트가 위치된다. 이 영역에서는,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가 텅에 의해서 위쪽으로 가압되며, 그 결과 상부 주행부의 이송 표면이 고정 이송 디바이스들의 이송 평면 위로 상승된다. 상승 영역의 길이는 추가의 순환 벨트의 회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특히 구성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고, 견고한 기계요소들로 인해 상대적으로 유지 보수가 적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이 텅은 매우 정확하게 위치될 수가 있으며, 그 결과, 천이 영역, 즉 이송 디바이스들의 이송 평면들이 교차하는 영역이, 직접적으로 그리고 매우 정확하게 규정될 수 있다.
텅을 가진 순환 벨트가 보다 신속하게 주행하는 이송 디바이스들 아래에 제공되는지 또는 보다 천천히 주행하는 이송 디바이스들 아래에 제공되는지 여부에 따라, 이 실시예는 단순한 캐치 업 섹션(catch-up section)들을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축적 섹션(accumulation section)들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각 이송 디바이스에는 텅을 구비한 순환 벨트가 장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이송 작업에 따라 하나의 동일한 장치가 캐치 업 섹션으로서 또는 축적 섹션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리프팅 디바이스에 대한 또 다른 가능성은, 예를 들어, 이송 디바이스 아래에 배치되는 제어 요소를 갖는 스크루(screw)이다.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서, 제어 요소가 스크루의 경사 및 직경에 대응하는 높이로 이동된다.
리프팅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이송 디바이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는 예를 들어 편심 로드(eccentric rod)를 포함한다. 이 편심 로드의 회전에 의해, 이송 디바이스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다. 높이가 변경되면, 천이 영역의 위치, 즉 이송 디바이스들의 이송 평면들이 교차하는 영역도 여기서 다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개별 실시예들의 상이한 요소들을 서로 조합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가 텅을 구비한 추가의 순환 벨트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체 높이 조절 가능한 이송 디바이스가 높이 조절 불가능한 이송 디바이스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또한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말하자면, 높이 조절 가능한 이송 디바이스 및 높이 조절 불가능한 이송 디바이스의 베이스 라인(base line)이 서로에 대해 시프트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송 장치는 각각의 이송 요건에 최적으로 적응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물품들이 다수의 열로 이송되는 넓은 컨베이어 섹션의 작동에 특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개별 이송 디바이스들의 폭은 유리하게는 각 경우에 있어 대략 동일한 크기이다. 그러나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이송 디바이스들이 서로 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는 일반적으로 교번 순서로 이루어진 높이 조절 가능한 이송 디바이스 및 높이 조절 불가능한 이송 디바이스를 구비하며, 각 경우에 있어 현재 최상부에 정밀하게 배치되어 있는 이송 디바이스들에만 물품들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물품들은 일반적으로 매 두 번째의 이송 디바이스에만 위치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품들이 항상 이송 장치에 견고하게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이송 디바이스들의 폭은 최대한으로 잡아도 이송되는 물품들의 베이스의 폭 또는 단면의 50%여야 한다. 이송되는 물품들에 비해 이송 디바이스들의 폭이 작을수록, 물품들의 안정성이 커진다.
따라서 더 바람직하게는 이송 디바이스들의 폭은 이송되는 물품들의 베이스의 폭의 30% 미만이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20% 미만이어야 한다. 오늘날 사용되는 전형적인 음료 병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며, 대략 5cm 내지 12cm의 베이스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들의 폭은 6cm 미만, 바람직하게는 5c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3.5c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대략 1.5cm 내지 2cm이어야 한다. 원칙적으로, 컨베이어 벨트들의 폭이 좁을 경우에는 물품들이 항시 직립하여 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들에 의해 동시에 이송되기 때문에, 물품들이 더욱 양호하고 안정적으로 직립하게 된다는 것은 사실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는 이송 방향으로 주행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웨브(web) 또는 바아(bar)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웨브는 바람직하게는 자신의 제어 요소를 통해 작동 가능하다. 제어 요소는 원하는 바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기계식, 자기식, 공압식 또는 유압식 제어 요소가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원칙적으로, 사용되는 웨브의 개수는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으며, 이송 디바이스 및 이송될 물품의 치수들에 의존한다. 각 이송 디바이스 사이에 하나의 웨브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브들은 그룹 단위로 함께 작동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웨브들은 그룹 단위로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웨브들은 원칙적으로 물품들의 베이스의 가장 큰 직경의 적어도 두 배가 되는 한 원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웨브들은 예를 들어, 0.3m 내지 5m, 바람직하게는 0.5m 내지 2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송 디바이스들로부터 웨브들로의 천이 중에 단차가 없게 하기 위해, 웨브들은 바람직하게는 물품들이 슬라이딩되는 경사진 평면을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웨브들은 그 전방 측상에 하향 경사진 가이드 판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결과적으로 웨브들이 이송 평면에 평행하게 이동할 때 물품들의 무단 슬라이딩(step-free sliding)이 또한 가능해진다.
웨브들은 바람직하게는 무단 방식으로 수직 이동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웨브 제어의 두 극점(extreme point), 즉 "완전히 연장된 웨브" 및 "완전히 하강된 웨브"를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중간 설정도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웨브들은 물품들과 컨베이어 벨트들 간의 마찰 강도와 물품들에 작용하는 대응하는 구동력이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이송 평면 위로 물품들을 약간 들어 올릴 수 있다. 따라서 물품들이 목표된 방식으로 감속 및 가속될 수 있으며, 용기가 넘어질 위험이 크게 감소된다. 웨브들에는, 결과적으로 웨브들의 마찰 계수가 정해져 각각의 운송 요건에 적합하게 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특수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유리한 리프팅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웨브들 또는 이송 디바이스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는 편심 로드를 포함한다. 편심 로드들의 회전에 의해, 웨브들 또는 이송 디바이스들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다.
리프팅 디바이스에 대한 다른 가능성은 예를 들어 웨브 또는 이송 디바이스 아래에 배치된 제어 요소를 갖는 스크루이다. 이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제어 요소는 스크루의 경사 및 직경에 대응하는 높이로 이동된다.
웨브들의 상부 측 표면은 또한 프로파일링을 가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그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측방향을 향하는 마찰력이 이송될 물품들에 가해질 수 있다. 프로파일링은 바람직하게는 증가된 마찰을 갖는 코팅의 대각선 스트립들로 구성되며, 이 스트립들은 이송 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배치된다. 스트립들 대신에, 웨브들은 표면에 대각선 슬롯들을 가질 수도 있다. 프로파일링의 방향은 그 방향으로 물품들이 방향을 바꾼다는 것을 나타낸다. 프로파일은 또한 웨브들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이한 방향 바꿈 거동이 웨브들의 길이를 통해 달성된다. 서로 다른 프로파일을 갖는 두 개의 높이 조절 가능한 웨브들을 나란히 배치할 수도 있다. 각각의 필요한 방향 바꿈에 따라, 하나의 웨브만이 연장될 것인지 또는 두 개의 웨브가 연장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송 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어 요소들을 가질 수 있으며, 이 제어 요소들을 이용하여 웨브들 및/또는 이송 디바이스들이 운반 방향을 가로 질러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 장치, 특히 개별 웨브들 및/또는 이송 디바이스들 간의 거리가, 이송될 물품들의 크기에 가변적으로 적응될 수 있다.
웨브들은 이송되는 용기들을 이송 장치로부터 완전히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웨브들은 특히 다중 레인 축적 섹션들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물품들의 축적동안에, 즉 상당한 압력이 작용하는 동안에, 올려놓아진 물품들 아래에서 주행하는 컨베이어 벨트들의 마찰로 인해, 벨트 및 구동 장치 모두에 작용하는 높은 인장 하중이 축적 섹션들의 배출부에서 생긴다. 또한, 이러한 마찰 손실의 방지로 인해 상당한 에너지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들을 이송하고 용기들의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제1운반 속도를 갖는 제1이송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또한 제1이송 디바이스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운반 속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이송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이송 디바이스들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이송 디바이스의 이송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이송 디바이스의 이송 표면 위로 또는 아래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물품들은 각 경우에 있어 더 높이 배치된 이송 디바이스에서만 이송되며, 그 결과 효과적인 이송 속도가 이송 디바이스들의 높이의 변화에 의해 규정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용기 흐름 제어 분야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 시스템에서는, 이송될 물품들이 여러 개의 평행 레인들에 축적될 수 있는 축적 섹션들이 종종 필요하다. 컨베이어 벨트들과 그 위에 올려놓아진 물품들 간에 높은 마찰 손실이 발생하여 컨베이어 벨트들 및 구동 모터들의 인장 하중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에 의하면, 올려놓아진 물품들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제1컨베이어 디바이스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으며, 그 대신에, 감속된 속도로 제2이송 디바이스 상에서 더 운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고 실제 이송 요구에 따라 작동될 수 있는 가변 가속 섹션들이 구현될 수도 있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물품들은 제1이송 디바이스에 의해 전방으로 구동된 후에, 보다 신속하게 주행하는 제2이송 디바이스로 옮겨질 수 있다. 제2이송 디바이스의 이송 평면은 바람직하게는 제1이송 디바이스의 이송 평면에 대해 약간 기울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물품들이 하나의 이송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이송 디바이스로 단차 없이 운반될 수 있다. 가속 섹션의 단부에서, 물품들은 다시 제1이송 디바이스에 놓이게 된다. 물품들이 여기에서는 가로질러 시프트될 필요가 없으므로, 물품들이 넘어질 위험성은 줄어든다.
본 발명의 다른 사용 분야는 그룹 단위로 이송되는 물품들의, 동압력 없는 분리이다. 현재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각 경우에 있어 최전방 열의 용기들이 시간 오프셋(offset in time)으로 방출되는 가속 영역으로 다중 트랙 용기 스트림이 안내된다. 이어서, 용기들의 열이 긴 레일을 따라 안내되며, 이에 대해 이상적으로는 용기들이 서로 앞뒤로 배치되어 단일 트랙 용기 스트림을 형성한다. 여기서 용기들은 안내되지 않으며, 레일 상으로 서로 나란하게 이어지는 2개의 컨테이너들은 아무런 도움이 없다면 서로 앞뒤로 배치될 수 없는 경우가 되풀이하여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방법은 목표로 된 이송 디바이스들의 하강 및 배출 이송 디바이스 상으로의 순차적 방출에 의하여 개별 용기들을 제어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모니터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를 통해, 물품들이 각 경우에 있어 개별적으로 방출되며, 두 개의 용기가 동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들은 비교적 짧은 레일에 대하여 단일 트랙 스트림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사용 분야는 단일 트랙 용기 스트림에서의 용기 흐름 제어이다. 개별 물품들에 대한 선택적 가속 또는 감속에 의하여, 개별 물품들 간의 거리가 목표된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목표된 방식으로 물품 그룹들을 형성하거나 또는 개별 물품들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도 있다. 특히 후자는 충전 시스템들(filling devices)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검사, 라벨링 또는 충전 디바이스들(filling devices)과 조합하여 매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용기들은 일반적으로 인피드 웜들(infeed worms)을 통해 이러한 장치로 옮겨지는 동안 미리 정의된 간격으로 놓여진다. 그러나 이러한 수동적인 인피드 장치들(passive infeed apparatuses)은 용기 흐름 붕괴에 대응하지 못하며 다양한 시스템에서 유연하게 사용될 수도 없다. 한편, 본 발명을 통해, 물품들은 목표된 방식에서 각각 필요로 하는 간격으로 놓여 질 수가 있으며 또는 새로운 이송 작업에 적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행하게 배치된 이송 디바이스들의 이송 속도로 개별 물품들을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이한 이송 디바이스들이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경우에는, 모든 이송 디바이스들이 물품들 이송에 기여하게 된다. 물품들은 상이한 이송 디바이스들과 교번적으로 얹혀 진다(engage with). 결과적인 실제 운반 속도는 개별 이송 디바이스들의 절대 속도들에 의존할 뿐만 아니라, 물품들이 상이한 이송 디바이스들과 얼마나 강하게 얹혀 지는지에도 의존한다. 상이한 이송 디바이스들의 높이에 대한 정확한 조절을 통하여, 임의의 원하는 유효 중간 속도가 또한 설정될 수 있다. 매우 느린 천이를 설정하면 결과가 되는 중간 속도를 서서히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이송 장치에서 다른 이송 장치로의 물품 천이 동안의, 급격한 가속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정확한 중간 속도 설정은 다중 트랙 용기 스트림의 분리 동안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가 있다. 분리 영역의 출력부에서의 병 처리량은 배출 이송 디바이스만의 속도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다중 트랙 피딩 영역에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가 구비될 경우에는, 공급되는 병의 양이 분리 영역의 출력부에서의 병 처리량에 정확히 대응되도록 하는, 평행 이송 디바이스들의 높이 차의 변화에 의해서 유효 운반 속도가 설정될 수 있다. 중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개별 병들의 실제 운반 속도 또는 그 결과 이루어지는 병 그룹들의 그룹 속도가 예를 들어 카메라를 사용하여 판정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 데이터에 따라, 이송 디바이스들의 수직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들 및 제어 방법들은 또한 이송 장치 내에서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는 훨씬 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동일한 이송 장치에서의 상이한 리프팅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통해, 일반 컨베이어 섹션, 캐치 업 섹션 및 축적 섹션이 실현될 수도 있다. 현재의 운반 작업에 따라, 이송 장치의 운반 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이송 장치 상의 일부에서 캐치 업 섹션을 그리고 동시에 이송 장치의 다른 부분에서는 축적 섹션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교번적으로 배치된 고정 및 높이 조절 가능한 이송 디바이스들을 가진 이송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하강된 이송 디바이스를 가진 도 1의 이송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상승된 이송 디바이스를 가진 도 1의 이송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이송 디바이스들이 롤러를 구비하는 도 1의 이송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이송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길이에 걸쳐 분포된 제어 부재를 가진 이송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텅이 있는 추가의 벨트를 가진 이송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높이 조절 가능한 이송 디바이스들 및 높이 조절 가능한 웨브들을 가진 이송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이송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높이 조절 가능한 이송 디바이스들 및 웨브들 그리고 조절 가능한 수평 간격을 가진 이송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웨브 프로파일들이다.
도 12는 웨브들의 다양한 표면 프로파일들이다.
도 1은 복수의 물품(16)들이 이송되는 평행하게 배치된 수 개의 이송 디바이스들(12, 14)을 구비한 이송 장치(10)를 도시한 것이다. 본 예에서, 이송 디바이스들(12, 14)은 순환 컨베이어 벨트들이며, 물품(16)들은 음료병들이다. 컨베이어 벨트들(12, 14)은 교번적으로 이루어진 고정 배치된 컨베이어 벨트(12)들 및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4)들로서 설계된다. 그러나 컨베이어 벨트들 대신에, 링크 체인 컨베이어(link chain conveyor)들 또는 다른 적합한 이송 디바이스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송 장치(10)는, 도 2 및 도 3에서, 운반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도 2는 프레임 구조체(18)에 배치되는 2개의 고정 배치된 이송 디바이스(12)들 및 높이 조절 가능한 이송 디바이스(14)를 구비한 이송 장치(10)의 단면을 나타낸다. 각 컨베이어 벨트(12, 14)는 컨베이어 벨트들(12, 14)이 프레임 구조체(18)의 베어링 표면(bearing surface)(22)들 상에 놓이는 측면 숄더(lateral shoulder)(20)들을 갖는다.
도 2 및 도 3의 중간 컨베이어 벨트(14)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프레임 구조체(18)는,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4)가 놓이는 베어링 표면(22)들이 높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제어 부재(26)를 갖는다. 도 2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제어 부재(26)가 수축되어 있으며, 그 결과 컨베이어 벨트(14)의 이송 표면은 높이 조절 불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2)들에 의해 규정되는 이송 평면(transporting plane) 아래로 하강된다. 따라서 이송될 병(16)의 병 베이스(bottle base)가 오직 2개의 고정 배치된 컨베이어 벨트(12)들 상에만 놓이게 되므로, 이 컨베이어 벨트들의 이송 속도로 이동된다.
병이 컨베이어 벨트들(12, 14) 상에 확실하게 놓이게 하기 위해, 컨베이어의 벨트들(12, 14)의 폭은 이송될 병(16) 직경의 약 40%이다.
도 3에서는, 반면에, 제어 부재(26)가 연장되어 있으며, 그 결과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4)는 고정 배치된 컨베이어 벨트(12)들에 의해 미리 규정된 이송 평면 위로 상승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병(16)이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 상에만 놓여 있으므로, 이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 속도로 이동된다.
이송 장치(10)는 바람직하게는 수 개의 제어 부재(26)들을 포함하며, 그 결과 컨베이어 벨트(14)들의 높이는 이송 장치(10)의 길이에 걸쳐 변화될 수 있으며, 이송되는 병(16)들은 고정된 컨베이어 벨트들 또는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2, 14) 상의 부분들 내에서 이동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실시예들에서, 컨베이어 벨트들(12, 14)은 프레임 구조체(18)의 연속 베어링 표면(22)들 위에 있는 숄더(20)들에 의해서 당겨진다. 이 기술은 컨베이어 벨트들(12, 14) 및 구동 유닛들에 대해 높은 재료 부하가 발생하고 이에 의해 상당한 에너지 손실들이 발생하지만, 대부분의 이송 장치들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평행하게 배치된 개별 컨베이어 벨트들(12, 14) 각각이 롤러(30)들을 구비하며, 이 롤러들을 통해서 컨베이어 벨트들(12, 14)이 이송 디바이스(10)의 프레임 구조체(18) 내의 레인들(32, 34) 상에서 롤링된다. 컨베이어 벨트들(12, 14)이 롤링되는 레인들(32, 34)은 교번적으로 이루어진 높이 조절 가능한 레인 및 고정된 레인으로 설계된다. 도 4에 나타낸 높이 조절 가능한 레인(34)은 제어 부재(26)를 통해 수직으로 이동된다.
개별 컨베이어 벨트들(12, 14)이 옆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격벽(36)들이 레인들(32, 34) 사이에 제공된다. 그들 부분을 위한 격벽(36)들은 추가적인 마찰 손실들의 원인에 해당하므로, 컨베이어 벨트들(12, 14)의 측면에도 또한 롤러(38)들이 제공되며, 이것을 이용하여 컨베이어 벨트들(12, 14)이 격벽(36)들에 대해 롤링될 수 있다. 측면에 제공된 이 롤러(38)들은 도 4의 이송 장치(10)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 5에서 특히 잘 확인할 수가 있다. 여기에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컨베이어 벨트(12, 14)의 일 요소 또는 짧은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교번 순서로 이루어진 높이 조절 불가능한 및 높이 조절 가능한 평행 이송 레인(12, 14)들을 갖는 이송기의 측면도가 도 6에 나타나 있다. 본 측면도에서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단지 하나의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4) 및 하나의 높이 조절 불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2)만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임의의 원하는 개수의 컨베이어 벨트들(12, 14)이 임의의 원하는, 바람직하게는 교번 순서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되는 컨베이어 벨트들(12, 14)의 실제 배치 및 개수는 각각의 예정된 용도에 따라 결정된다. 명료성을 위해, 도 6에는 컨베이어 벨트들(12, 14)이 주행되고 제어 부재(26)들이 결합되는 프레임 구조체만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프레임 구조체(18)는 도 2, 도 3 또는 도 4의 프레임 구조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높이 조절 불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2)는 2개의 방향전환 롤러(40, 42) 위에서 연장되는 종래의 순환 컨베이어 벨트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이송 방향(도 6에서 화살표로 표시됨)의 전방 방향전환 롤러(40)는 구동 롤러이며, 이 구동 롤러를 통해 모터가 컨베이어 벨트(12)를 구동한다. 높이 조절 불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2)들이 제1이송 평면을 규정하며, 제1이송 평면상에서 병(16)들이 이 컨베이어 벨트들의 순환 속도로 이동된다.
높이 조절 불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2)들의 방향전환 롤러들(40, 42) 사이에는 더 작은 직경을 가진 2개의 다른 방향전환 롤러들(44, 46)이 있으며, 이를 통해 높이 조절 가능한 벨트(14)들이 안내된다.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4)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연장 가능한 제어 요소(26)들을 가지며, 이 제어 요소(26)들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컨베이어 벨트(14)들이 높이 조절 불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2)들의 이송 평면 위로 상승될 수가 있다.
도 6에 나타낸 장치는 캐치 업 섹션(catch-up section)들로서 특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캐치 업 섹션들은 용기들의 이송 중에 갭들을 메우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현재까지는, 일반적으로 용기들이 대개 짧은 시간 동안 평행하게 주행되는 고속 이송기들로 밀어 넣어진다. 이송 속도의 증가로 인해, 앞서 있는 병 스트림에 대한 갭들을 메울 수 있다. 그러나 용기들에 대한 시프팅 어크로스(shifting across) 및 후속의 가속은 상대적으로 중단되기 쉬우며 또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추가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용기들이 넘어질 위험이 종래의 캐치 업 섹션들에 비해 감소되는 캐치 업 섹션들을 구현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앞서 있는 용기들에 대해 형성된 임의의 갭들을 메우기 위해, 짧은 시간 동안 증가된 속도로 용기를 운반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를 위해, 도 6에 나타낸 장치에서는, 높이 조절 불가능한 이송 레인(12)들의 이송 평면 위로, 관련 부분들에 있는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4)들의 이송 표면들을 상승시키기 위해 제어 요소(26)들이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상승으로 인해, 이 컨베이어 벨트들은 각각의 부분에서 병들이 얹히도록 하여 더욱 빠른 속도로 그것들을 이송한다.
이러한 상승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4)들과 높이 조절 불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2)들 간에 예각(acute angle)으로 배치되는 부분이 생기도록 하고, 그 결과 경사진 평면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4)들 상으로 병(16)들이 밀어 넣어진다. 천이 영역에서는 병(16)들이 높이 조절 불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2)들의 이송 평면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상승되고,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4)들에 서서히 얹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캐치 업 섹션의 길이가 각각의 작동 상태에 적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부재(26)들은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처음 3개의 제어 부재(26)들만이 연장된다. 이러한 영역에 위치하는 병(16)들은 더욱 신속하게 이동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4)들의 이송 표면상에 놓이므로, 이 영역에서 더욱 높은 속도로 이송된다. 반면에, 이송 장치의 제2부분, 즉, 연장되지 않은 제어 부재(26)들의 영역에서는, 이러한 병(16)들은 높이 조절 불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2)들의 이송 평면들 상에 놓이므로, 그들의 더 느린 이송 속도에서 더 이송된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캐치 업 섹션이 필요에 따라 스위치 온 될 수 있다. 한편, 이송 갭들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 부재(26)들 모두를 하강시킴으로써 모든 컨베이어 경로를 따라 일정한 이송 속도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4)들은 높이 조절 불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2)들보다 짧은 이송 경로를 갖는다. 그러나 컨베이어 벨트들(12, 14) 모두는 동일한 길이이며 이송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오프셋 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별히 긴 컨베이어 섹션들을 제공하기 위해, 수 개의 이송 장치(10)들이 서로 앞뒤로 배치될 수도 있다. 개별 이송 장치(10)들 사이의 천이부분들에서는, 이송 디바이스들(12, 14)의 대응 단부들이 팬(fan)과 같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연속적인 이송 평면의 윤곽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 7에서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명확성을 위해,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단지 하나의 컨베이어 벨트만이 나타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높이 조절 불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2)는 2개의 외측 방향전환 롤러들(40, 42) 위에 연장되어 있는 종래의 순환 컨베이어 벨트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며, 여기서 높이 조절 불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2)들은 병(16)들이 이 컨베이어 벨트(12)들의 순환 속도로 운반될 수 있는 제1이송 평면을 규정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4)들이 4개의 외측 방향전환 롤러(48a, 48b, 48c, 48d)를 통해서 안내된다. 상부 방향전환 롤러들(48a, 48d)의 크레스트(crest)는 높이 조절 불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2)들의 이송 평면 아래에 위치하며, 그 결과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4)들은 이 이송 평면 아래에 먼저 배치된다.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4)들을 상승시키기 위해, 이 실시예에서는, 서로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한 개별 제어 부재들이 제공되지 않는다. 이 대신에, 방향전환 롤러들(54, 56) 위에서 연장되며 또한 텅(tongue)(52) 또는 증가된 두께의 영역을 갖는 추가의 순환 벨트(50)가 제공된다. 이 추가의 벨트(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4) 바로 아래로 안내된다.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4)를 상승시키기 위해, 추가의 벨트(50)의 텅(52)은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4)의 상부 주행부의 이송 표면 아래로 이동된다. 텅(52)은 높이 조절 불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2)들의 이송 평면 위로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4)의 이송 표면을 위쪽으로 가압한다. 캐치 업 섹션의 길이는 추가의 순환 벨트(50)의 회전에 의해서 간단한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실시예는 도 2 및 도 3의 실시예를 변형 또는 보충한 것이다. 여기서는, 폭이 좁은 높이 조절 가능한 웨브(web)(60)들이 컨베이어 벨트들(12, 14) 사이에 배치된다. 웨브(60)들은 그들 자신의 제어 요소(62)를 통해 작동 가능하며, 이송될 병(16)들을 이송기로부터 완전히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도 8의 병(16)은 2개의 이웃하는 웨브(60)들에만 놓여 있으므로 현재 이송되지 않는다.
웨브(60)들을 가진 이송 장치(10)의 측면도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웨브들은 2개의 제어 요소들(62a, 62b)을 통해 해당 위치에 배치된다. 가능한 한 부드럽게 웨브(60)들 상에 병(16)들을 밀어 넣을 수 있게 하기 위해, 웨브(60)들은 경사진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되며, 이 경사진 평면상으로 개별 병(16)들이 조금씩 밀어 넣어진다. 그 다음, 병(16)들을 내려놓기 위해, 웨브(60)들은 적어도 다운스트림에 위치한 단부에서 하강되며, 그 결과 병(16)들이 이송 장치(10) 상에 놓여 더 이송될 수 있다.
병(16)들은 웨브(60)들 상에 놓여있는 한 컨베이어 벨트들(12, 14)과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병(16)들과 컨베이어 벨트들(12, 14) 사이에서 마찰이 형성되지 않으며, 그 결과 이 실시예에서는, 특히 축적 섹션(accumulation section)들의 구현에 있어서, 상당한 에너지 절약이 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 실시예가 도 10에 나타나 있으며, 여기서는 이송 장치(10)가 2개의 블록(10a, 10b)을 포함한다. 각 블록(10a, 10b)은 3개의 높이 조절 가능한 웨브(60)들뿐만 아니라, 2개의 높이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2)들 및 2개의 높이 조절 불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4)들로 구성된다. 블록들(10a, 10b)은 운반 방향을 가로지르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그 결과 이 블록들(10a, 10b)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송 장치(10)는 이송될 용기들의 크기에 최적으로 적응될 수가 있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원하는 제어 요소들이 수평 포지셔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용기 스트림들을 형성하는 동안, 용기(16)들은 종종 이송 장치(10) 상의 이송 방향을 가로지르는 구성요소로 시프트되기도 한다. 그러나 웨브들을 가진 실시예에서, 이것은 용기(16)들이 가능하게는 약간 상승된 웨브들 위에서 가로 방향으로 밀어 넣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직사각형 프로파일을 가진 웨브들은 계단 모서리로서 작용할 것이어서, 용기(16)들이 넘어지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웨브들은 편의상 둥글거나 깎은 면이 있는(faceted) 프로파일을 갖는다. 웨브들의 상부면들에 대해 가능한 프로파일 형상들이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는 웨브들의 상부면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웨브들 각각은 상이한 마찰 프로파일(friction profile)을 갖고 있다. 마찰 프로파일은 예를 들어, 마찰 코팅의 스트립(strip)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프로파일은 또한 대각선으로 배치되는 슬롯들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물품들이 계속 운반되더라도, 웨브들의 표면과 물품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는 정도까지만 웨브들이 연장될 경우에는, 이러한 마찰 프로파일로 인해 물품들의 방향 바꿈(deflection)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찰 프로파일의 방향은 이송될 물품들이 어느 방향으로 방향을 바꾸는지를 나타낸다. 방향 바꿈의 방향은 도 12에서 각각의 화살표로 나타나 있다.
10: 이송 장치 38: 측면 롤러들
12: 고정 배치된 이송 디바이스 40: 전방 방향전환 롤러
14: 높이 조절 가능한 이송 디바이스 42: 후방 방향전환 롤러
16: 물품 44: 추가 방향전환 롤러
18: 프레임 구조체 46: 추가 방향전환 롤러
20: 측면 숄더들 48: 방향전환 롤러들
22: 베어링 표면들 50: 추가의 순환 벨트
26: 제어 요소들 52: 텅
30: 롤러들 54: 방향전환 롤러
32: 고정 배치된 레인들 56: 방향전환 롤러
34: 높이 조절 가능한 레인들 60: 높이 조절 가능한 웨브
36: 격벽들 62: 제어 요소

Claims (11)

  1. 용기, 병, 멀티팩 및 포장된 상품과 같은 직립형(standing) 물품들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장치로서,
    제1운반 속도를 갖는 제1이송 디바이스(12), 및
    상기 제1이송 디바이스(12)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운반 속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이송 디바이스(1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송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이송 디바이스는 실질적으로 인접한 이송 표면을 함께 형성하고 동일한 운반 방향을 가지며,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제1이송 및 제2이송 디바이스들(12, 14) 중의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그 결과 상기 제1이송 및 제2이송 디바이스들(12, 14) 중의 적어도 하나의 이송 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1이송 및 제2이송 디바이스들(14, 12) 중의 다른 하나의 이송 표면 위로 및/또는 아래로 상승 및/또는 하강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디바이스(lifting device)(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디바이스(26)는 텅(tongue)(52)을 가지는 순환 벨트(50)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이송 디바이스(12)의 속도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이송 디바이스(14)의 속도는 조절이 가능한 이송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이송 디바이스(12)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이송 디바이스(1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운반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제1이송 및 제2이송 디바이스들(12, 14)의 상기 이송 표면 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도가 생기는 이송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 및 제2이송 디바이스들(12, 14)의 폭은 각 경우에 있어 동일한 크기이며 이송될 물품(16)들의 베이스(base)의 폭의 50% 미만인 이송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 및 제2이송 디바이스들(12, 14)은 각각 허브 모터들을 통해 개별적으로 구동되며, 상기 허브 모터들은 50V 미만의 전압으로 작동되는 이송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 및 제2이송 디바이스들(12, 14)은 전방 단부 및/또는 후방 단부에서 상기 리프팅 디바이스(26)들을 통해 높이 조절 가능하며, 상기 리프팅 디바이스(26)들은 기계식, 전동식, 공압식 또는 유압식 제어 요소들을 갖는 이송 장치.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10)는 높이 조절 가능한 웨브(web)(60)들을 가지며, 상기 웨브(60)들은 리프팅 디바이스(62)들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위치를 잡을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웨브들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이송 장치(10)의 이송 평면(transporting plane) 위로 및 아래로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이송 장치.
  9. 용기, 멀티팩 및 포장된 상품과 같은 물품들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방법으로서,
    제1운반 속도를 갖는 제1이송 디바이스(12),
    상기 제1이송 디바이스(12)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운반 속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이송 디바이스(1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송 및 제2이송 디바이스들(12, 14) 중의 적어도 하나의 높이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디바이스(lifting device)(26)를 통해 조절이 가능하며, 그 결과 상기 제1이송 및 제2이송 디바이스들(12, 14) 중의 적어도 하나의 이송 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1이송 및 제2이송 디바이스들(14, 12) 중의 다른 하나의 이송 표면 위로 및 아래로 상승 및 하강될 수 있고,
    상기 리프팅 디바이스(26)는 텅(tongue)(52)을 가지는 순환 벨트(50)를 포함하는 이송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높이 조절 가능한 웨브(60)들 및
    리프팅 디바이스(62)들의 제공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디바이스(62)들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 가능한 상기 웨브(60)들이 수직방향으로 위치를 잡을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웨브(60)들의 적어도 일 부분이 이송 장치(10)의 이송 평면 위로 및 아래로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이송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이송 장치(10)상에서 이송되는 물품(16)을 동압력(dynamic pressure) 없이 분리하기 위해, 상기 이송 장치(10)의 축적 섹션(accumulation section) 상에서, 높이 조절 가능한 웨브(60)들에 의해 상기 이송 장치(10)의 이송 평면으로부터 다수열(multi-row) 그룹의 물품(16)들이 먼저 들어 올려지고,
    다운스트림에 있는 상기 웨브(60)들의 단부들의 목표된 하강을 통해, 상기 그룹의 각 경우에 있어 최전방의 물품(16)이 개별적으로 분리 영역 내로 방출되고, 이어서 이송 방향에 대해 둔각으로 배치된 짧은 레일의 수단에 의해 용기 스트림이 단일 트랙 용기 스트림으로 형성되는 이송 방법.
KR1020177034348A 2015-04-30 2016-05-02 평행하며 높이 조절 가능한 이송 디바이스들을 가진 이송기 KR102359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005617.4A DE102015005617A1 (de) 2015-04-30 2015-04-30 Transporteur mit parallelen und höhenverstellbaren Transporteinrichtungen
DE102015005617.4 2015-04-30
PCT/EP2016/059790 WO2016174270A1 (de) 2015-04-30 2016-05-02 Transporteur mit parallelen und höhenverstellbaren transporteinrichtun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085A KR20180019085A (ko) 2018-02-23
KR102359663B1 true KR102359663B1 (ko) 2022-02-07

Family

ID=55948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348A KR102359663B1 (ko) 2015-04-30 2016-05-02 평행하며 높이 조절 가능한 이송 디바이스들을 가진 이송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259663B2 (ko)
EP (3) EP3447009A1 (ko)
JP (1) JP6843763B2 (ko)
KR (1) KR102359663B1 (ko)
CN (1) CN107567420B (ko)
BR (1) BR112017022763B1 (ko)
CA (1) CA2982689C (ko)
DE (1) DE102015005617A1 (ko)
DK (1) DK3288868T3 (ko)
ES (1) ES2767298T3 (ko)
MX (1) MX2017013781A (ko)
RU (1) RU2714699C2 (ko)
WO (1) WO20161742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12408A1 (de) * 2016-04-28 2017-10-31 Wrh Walter Reist Holding Ag Fördereinrichtung mit einem Förderorgan.
FR3064989A1 (fr) * 2017-04-11 2018-10-12 Gebo Packaging Solutions France Dispositif de convoyeur et procede de convoyage de produits
DE102018210435A1 (de) 2018-06-26 2020-01-02 Dürr Systems Ag Fördersystem, Behandlungsanlage und Förderverfahren
EP3597316A1 (de) 2018-07-20 2020-01-22 Bertram Elektrotechnik GmbH Reinigungsmodul für ein automatisches transportsystem, verfahren zu dessen betrieb und automatisches transportsystem mit diesem reinigungsmodul
CN109353754A (zh) * 2018-10-30 2019-02-19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输送线体
CN110329577A (zh) * 2019-08-02 2019-10-15 天津源天晟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消毒餐具四件套自动组合装置
EP3799894A1 (en) * 2019-10-03 2021-04-07 Gibotech A/S System for transporting washed medical equipment and packing the washed medical equipment in containers in a sterile processing department
US20230242292A1 (en) * 2020-07-28 2023-08-03 Packaging Automation Limite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ackaging apparatus
EP3945037A1 (en) * 2020-07-28 2022-02-02 Packaging Automation Limite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ackaging apparatus
DE102021121123A1 (de) 2021-08-13 2023-02-16 Krones Aktiengesellschaft Transporteinrichtung und Transportverfahren für Behälterbehandlungsanlage
CN114161862B (zh) * 2021-11-30 2022-08-26 北京盛通印刷股份有限公司 一种勒口机接入胶订线的输入衔接装置
CN114408499A (zh) * 2022-01-14 2022-04-29 泉州湖南大学工业设计与机器智能创新研究院 一种软袋等距离输送装置及其输送方法
DE102022121195A1 (de) 2022-08-22 2024-02-22 Krones Aktiengesellschaft Mehrspurige Inspektion von Behältniss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7969A1 (en) * 1987-04-06 1988-10-20 Fenlon, Richard Conveyor belt assembly
DE19522264A1 (de) * 1995-03-21 1996-09-26 Datev Datenverarbeitungsorgani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Stückgut insbesondere in einer Verpackungs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33707A (en) 1929-07-11 1930-08-21 Ralph Charles Webster Improvements in conveyor chains
US2096772A (en) * 1936-12-08 1937-10-26 Fmc Corp Feed control mechanism
US2184905A (en) * 1938-04-27 1939-12-26 Harry W Brintnall Company Conveyer speed changing device
US2731130A (en) 1950-06-13 1956-01-17 Weyerhaeuser Timber Co Feed mechanism for lumber conveyor
US3217859A (en) * 1964-01-02 1965-11-16 Package Machinery Co Feeding of groups of articles
US3403772A (en) * 1967-01-05 1968-10-01 Fmc Corp Container feed mechanism
US3650376A (en) 1970-08-17 1972-03-21 Conveyor Systems Accumulating conveyor
US3880276A (en) 1973-07-09 1975-04-29 Iii George Howard Willett Conveyor chain
US3930573A (en) 1974-03-29 1976-01-06 Wyard Industries, Inc. Accumulating conveyor and control means
NL176654C (nl) 1974-09-27 1989-03-16 Stork Amsterdam Inrichting voor het tot een enkele rij transformeren van een aantal ongeordend aangevoerde houders.
FR2340262A1 (fr) * 1976-02-03 1977-09-02 Seutet Ste Lyonnaise Ets H Dispositif pour la mise en nappe d'elements allonges se presentant sous la forme de paquet
DE7903738U1 (de) * 1979-02-10 1979-06-07 Mazuba Gmbh, 6945 Hirschberg Klemmfreie Flaschenzusammenführung
JPS60169148A (ja) * 1984-02-13 1985-09-02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基板の搬送方法及びその装置
DE3612021A1 (de) * 1986-04-10 1987-10-15 Will E C H Gmbh & Co Vorrichtung zum arbeitstaktgerechten transport von blattlagen zu einer weiterverarbeitungsmaschine, beispielsweise zu einer verpackungsmaschine
US4730718A (en) * 1986-10-23 1988-03-15 Ermanco Incorporated Bi-directional transfer mechanism
US5421446A (en) * 1993-03-12 1995-06-06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Article diverter apparatus for use in conveyor systems
DE4311519A1 (de) * 1993-04-07 1994-10-13 Hans Joachim Eberhard Vorrichtung zum Fördern geschichteter Waren
DE4330235A1 (de) 1993-09-02 1995-03-09 Mannesmann Ag Vorrichtung zum vorübergehenden Anhalten von Fördergut
DE4332341A1 (de) 1993-09-23 1995-03-30 Koenig Transportanlagen Gmbh Vorrichtung zum Zusammenführen und Beschleunigen eines Stroms aufrecht stehender Flaschen o. dgl.
US5810158A (en) * 1995-12-21 1998-09-22 Mannesmann Dematic Rapistan Corp. Belt accumulation conveyor
US6012568A (en) * 1996-03-15 2000-01-11 Kane; Joseph R. Adjustable conveyor
DE19636024C2 (de) 1996-09-05 2000-04-06 Magdeburger Foerderanlagen Und Transportbahn
DE19816960C2 (de) 1998-04-17 2002-10-02 Wolf Montage Automationsanlage Fördergut-Bremseinrichtung
US6164432A (en) * 1998-11-17 2000-12-26 Roberts Polypro, Inc. Apparatus for feeding articles
US6523672B2 (en) 2001-07-25 2003-02-25 The Laitram Corporation Zero-back-pressure conveyor with inverted roller belt loop
US7497096B2 (en) * 2003-06-30 2009-03-03 Central Glass Company,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ying curved glass sheets
US6845860B1 (en) * 2004-02-20 2005-01-25 Arr Tech, Inc. Conveyor transfer apparatus
DE202005013125U1 (de) 2005-08-19 2005-11-03 Krones Ag Vorrichtung zum Umformen eines Behälterstroms
US7588239B2 (en) * 2005-12-14 2009-09-15 Pitney Bowes Inc. Transport and alignment system
DE102009003818A1 (de) 2009-04-23 2010-10-28 Krones Ag Transport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Zuführen von Flüssigkeitsbehältern zu einer Verpackungsmaschine
US7909159B1 (en) * 2009-08-10 2011-03-22 Honda Motor Co., Ltd. Adjustable multi-lane conveyor
US7942398B1 (en) * 2009-12-07 2011-05-17 Pitney Bowes Inc. Buffering apparatus for collations
CN202124314U (zh) * 2011-04-29 2012-01-25 广州达意隆包装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饮料瓶输送装置
DE102011116145A1 (de) * 2011-10-14 2013-04-18 Weber Maschinenbau Gmbh Breidenbac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srichten von Produkten
JP6181944B2 (ja) * 2013-03-01 2017-08-16 株式会社オシキリ パン包装装置及びパン搬送システム
AT514353B1 (de) * 2013-05-17 2016-03-15 Haas Food Equipment Gmbh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im Wesentlichen biegeschlaffen Formkörper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7969A1 (en) * 1987-04-06 1988-10-20 Fenlon, Richard Conveyor belt assembly
DE19522264A1 (de) * 1995-03-21 1996-09-26 Datev Datenverarbeitungsorgani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Stückgut insbesondere in einer Verpackungs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22763B1 (pt) 2022-06-14
ES2767298T3 (es) 2020-06-17
EP3288868B1 (de) 2019-11-13
WO2016174270A1 (de) 2016-11-03
DK3288868T3 (da) 2020-02-17
US20180155134A1 (en) 2018-06-07
MX2017013781A (es) 2018-03-27
JP6843763B2 (ja) 2021-03-17
BR112017022763A2 (pt) 2018-07-17
EP3447010A1 (de) 2019-02-27
JP2018518429A (ja) 2018-07-12
CA2982689A1 (en) 2016-11-03
RU2017134639A (ru) 2019-04-04
DE102015005617A1 (de) 2016-11-03
CN107567420A (zh) 2018-01-09
RU2017134639A3 (ko) 2019-09-10
KR20180019085A (ko) 2018-02-23
CA2982689C (en) 2020-10-27
EP3447009A1 (de) 2019-02-27
US10259663B2 (en) 2019-04-16
EP3288868A1 (de) 2018-03-07
CN107567420B (zh) 2020-03-13
RU2714699C2 (ru)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663B1 (ko) 평행하며 높이 조절 가능한 이송 디바이스들을 가진 이송기
KR102366123B1 (ko) 저-에너지 롤러-벨트 어큐뮬레이터
MX2011001616A (es) Ensamble transportador.
KR102448638B1 (ko) 구역 제어를 갖춘 적층 롤러 벨트 컨베이어
US200702214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Buffering Products
CA2364216A1 (en) Dynamic accumulator conveyer system
US8167119B2 (en) Low-pressure accumulation system
US10407255B2 (en) Transporter having a tiltable web
US4142624A (en) Bread accumulator
JP2009234763A (ja) アキュームコンベヤの搬送方法および装置
ITRE20080105A1 (it) '' dispositivo per l ' accumulo ed il rilascio di oggett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