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526B1 - 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526B1
KR102359526B1 KR1020170083700A KR20170083700A KR102359526B1 KR 102359526 B1 KR102359526 B1 KR 102359526B1 KR 1020170083700 A KR1020170083700 A KR 1020170083700A KR 20170083700 A KR20170083700 A KR 20170083700A KR 102359526 B1 KR102359526 B1 KR 102359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perfum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160A (ko
Inventor
함대영
박지수
박경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083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5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03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5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특정 향료(들)에 의한 주향(Main Fragrance)과의 유사성 및 이 주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클리어우드(Clearwood tm), 다르타놀(Dartanol), 헬리오트로핀(Heliotropine) 및 폴리산톨(Polysantol)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과,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70 MIP), 헬베톨라이드(Helvetolide) 및 무세논 델타(Muscenone Delt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for Enhancing the Long-lasting Effects of Fragrance,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특정 향료(들)에 의한 주향(Main Fragrance)과의 유사성 및 이 주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클리어우드(Clearwood tm), 다르타놀(Dartanol), 헬리오트로핀(Heliotropine) 및 폴리산톨(Polysantol)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과,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70 MIP), 헬베톨라이드(Helvetolide) 및 무세논 델타(Muscenone Delt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샴푸, 바디클렌저 및 비누 등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은 향취에 대해 은은하면서도 그 향이 오래 지속되기를 원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의 샴푸, 바디클렌저 및 비누는 향취가 오래가지 않는 꽃향 또는 과일향 계열의 향료들을 많이 사용하여 향취 지속성면에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따라서, 특정 주향, 예컨대, 상쾌한 향취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오래 지속되게 하는 기술이 절실히 필요하다.
주향을 오래 가게 하는 방법은 간단히 휘발도(b.p)가 높은 향들로만 조합하여 사용하면 되지만 그런 향들은 향취가 너무 무거우므로 제품의 향이 상쾌하고 시원한 느낌을 전혀 줄 수가 없어 기호성 면에서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향료 보류제(fixative)를 사용하여 휘발되는 향을 잡아주어 지속성을 늘려주는 방법이 있으나, 이것 역시 향의 상쾌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또 향료의 부향율을 늘려주는 방법도 있지만, 이것은 제품의 원가를 상승시키고 대부분 물에 씻어내는 제품일 경우 향료가 씻겨져 없어지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방법은 아니다.
한편, 물에 대한 향료의 용해도(LogP) 및 휘발도에 기초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특정 향료(들)의 주향의 지속력을 증가시키는 물질을 선별하는 방법에 의한 특정 향료(들)의 주향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향료 조합물이 개시되어 있기는 하나(한국 등록특허 10-1230933 참조),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향취 성분들과는 다른 조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종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특정 향료(들)에 의한 향(주향)과의 유사성 및 향(주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기존 향취 계열의 지속력이 강하다고 알려진 80가지 향취 성분 중에서 선택된 클리어우드(Clearwood tm), 다르타놀(Dartanol), 헬리오트로핀(Heliotropine) 및 폴리산톨(Polysantol)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과,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70 MIP), 헬베톨라이드(Helvetolide) 및 무세논 델타(Muscenone Delt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할 경우 화장료 조성물(예컨대, 샴푸)에 함유된 특정 향료(들)의 주향에 큰 변화없이, 특정 향료(들)의 주향의 지속 효과(잔향 효과)를 향상시켜 종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특정 향료(들)의 주향에 대한 기호성을 만족시키면서 주향의 지속력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향(주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클리어우드(Clearwood tm), 다르타놀(Dartanol), 헬리오트로핀(Heliotropine) 및 폴리산톨(Polysantol)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과,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70 MIP), 헬베톨라이드(Helvetolide) 및 무세논 델타(Muscenone Delt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향지속성 베이스(Long-lasting Fragrance base)를 특정 향료(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시킬 경우,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특정 향료(들)의 주향을 유사하게 유지하면서, 특정 향료(들)의 주향의 지속 효과(잔향 효과)를 향상시켜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특정 향료(들)에 대한 기호성을 총족시키면서 상기 주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존 향취 계열의 지속력이 강하다고 알려진 80종의 향취 성분들을 한 종씩 함유하는 샴푸(화장료 조성물)를 대상으로 전문 조향사의 후각 관능검사를 토대로 13종의 서로 다른 향취 성분들(아크로팔(Acropal), 클리어우드(Clearwood), 사이크로갈바네이트(Cyclogalbanate), 다르타놀(Dartanol), 프루타테(Fruitate),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70 MIP), 헬리오트로핀(Heliotropine), 헬베톨라이드(Helvetolide), 쿠마락톤(Koumalactone), 무세논 델타(Muscenone Delta), 폴리산톨(Polysantol), 운데카락톤 가마(Undecalactone Gamma) 및 베르딜 프로피오네이트(Verdyl Propionate))을 선별하였다(시험예 1 및 2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별한 13종의 서로 다른 향취 성분들에 대해 전문 조향사 및 일반인의 후각 관능검사를 통해 샴푸에 함유된 특정 향료(들)의 주향을 유지하면서, 주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7종의 서로 다른 향취 성분들(클리어우드(Clearwood tm), 다르타놀(Dartanol),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70 MIP), 헬리오트로핀(Heliotropine), 헬베톨라이드(Helvetolide), 무세논 델타(Muscenone Delta) 및 폴리산톨(Polysantol))을 선별하였다(시험예 3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별한 7종의 서로 다른 향취 성분들을 조합 향료로서 특정 배합비로 혼합하였을 때 샴푸에 함유된 향료(들)의 주향과 유사하고, 이 주향의 지속 효과를 향상시키는 최적의 배합비를 전문 조향사 및 일반인의 후각 관능검사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후각 관능평가에 기초하여 7종의 향취 성분 후보들을 검증한 결과, 샴푸에 함유된 특정 향료(들)의 주향의 지속성은 3~10중량% 범위에서는 우수하였고, 1중량% 이하에서는 낮게 나타났으며, 샴푸에 함유된 특정 향료(들)의 주향의 유사성은 1~5중량% 범위에서는 우수하였고, 7중량% 이상에서는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시험예 4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별한 7종의 서로 다른 향취 성분들을 조합 향료로서 이용할 경우 샴푸에 포함된 향료(들)의 향취 계열과 무관하게 향료(들)의 주향의 유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전문 조향사 및 일반인의 후각 관능검사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꽃 향기(Floral Fragrance)를 발휘하는 향료, 오리엔탈 향기(Oriental Fragrance)를 발휘하는 향료 또는 시프레 향기(Chypre Fragrance)를 발휘하는 향료를 함유하는 샴푸에서 각각의 향료에 대한 주향의 유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시험예 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클리어우드(Clearwood tm), 다르타놀(Dartanol), 헬리오트로핀(Heliotropine) 및 폴리산톨(Polysantol)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과,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70 MIP), 헬베톨라이드(Helvetolide) 및 무세논 델타(Muscenone Delt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향은 시트러스 향기(Citrus Fragrance)(예컨대, 오렌지, 레몬, 자몽 등의 감귤류 향취), 꽃 향기(Floral Fragrance)(예컨대, 장미, 자스민, 은방울꽃 등의 향취), 과일 향기(Fruity Fragrance)(예컨대, 사과, 배, 복숭아 등의 향취), 오리엔탈 향기(Oriental Fragrance)(예컨대, 스파이시, 발삼, 레진 및 애니멀릭을 기본성분으로 조합한 향취), 시프레 향기(Chypre Fragrance)(예컨대, 시트러스 탑노트, 오크모스, 레진 및 패촐리를 기본성분으로 조합한 향취) 및 아로마틱 향기(Aromatic Fragrance)(예컨대, 라벤더, 로즈마리, 유칼립투스 등의 허브 향취)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향취 계열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에서 발휘되는 향기(향취), 또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에서 발휘되는 향기(향취)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의 총 중량은 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99.9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유효성분의 총 중량이 0.1중량% 미만으로 특정 향료(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특정 향료(들)의 주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10중량%, 바람직하게는 5중량%의 클리어우드(Clearwood tm)를 포함하고, 5~40중량%, 바람직하게는 20~30중량%의 다르타놀(Dartanol)을 포함하며, 10~30중량%, 바람직하게는 20~30중량%의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70 MIP)를 포함하고, 5~10중량%, 바람직하게는 5중량%의 헬리오트로핀(Heliotropine)을 포함하며, 5~30중량%, 바람직하게는 15~20중량%의 헬베톨라이드(Helvetolide)를 포함하고, 10~30중량%,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의 무세논 델타(Muscenone Delta)를 포함하며, 5~10중량%, 바람직하게는 5중량%의 폴리산톨(Polysanto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디퓨저, 캔들, 룸스프레이 등을 포함하는 방향제, 탈취제, 유류, 젤, 구슬, 플러그인 등에 포함되어 방향용 물품으로 제품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향지속성 베이스(Long-lasting Fragrance base)로 이용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시트러스 향기(Citrus Fragrance)(예컨대, 오렌지, 레몬, 자몽 등의 감귤류 향취), 꽃 향기(Floral Fragrance)(예컨대, 장미, 자스민, 은방울꽃 등의 향취), 과일 향기(Fruity Fragrance)(예컨대, 사과, 배, 복숭아 등의 향취), 오리엔탈 향기(Oriental Fragrance)(예컨대, 스파이시, 발삼, 레진 및 애니멀릭을 기본성분으로 조합한 향취), 시프레 향기(Chypre Fragrance)(예컨대, 시트러스 탑노트, 오크모스, 레진 및 패촐리를 기본성분으로 조합한 향취) 및 아로마틱 향기(Aromatic Fragrance)(예컨대, 라벤더, 로즈마리, 유칼립투스 등의 허브 향취)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주향을 발휘하는 1종 이상의 향료를 함유하는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향취 계열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중량% 미만인 경우는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특정 향료(들)의 주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특정 향료(들)의 주향(향취)이 바뀔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10중량%, 바람직하게는 3~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화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나, 향수,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에센스, 샴푸, 린스, 팩,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물파스,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린스, 헤어샴푸, 헤어로션, 포마드 등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각종 제형에 따라 또는 최종 목적에 적합하게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각종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대표적인 샴푸 조성물을 예로 들어 대표적인 기제 성분과 첨가물들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샴푸 제형을 갖는 경우에는 세정 성분인 합성계면활성제와 방부제, 점증제 및 점도 조적제, pH 조절제, 향료, 염료, 모발컨디셔닝제 및 물로 이루어진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합성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양쪽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떤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합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70중량%,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및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로서, 구체적인 예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암모늄, 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베타인 및 알킬 아미도프로필 베타인으로서, 구체적인 예로는 코코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디메틸 알파-카복시에틸 베타인, 세틸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코카미도 프로필 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카놀 아미드 및 아민 옥사이드로서, 구체적인 예로는 라우릴 디에틸 아민옥사이드, 야자유 알킬디메틸 아민옥사이드, 라우린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임의성분으로는 기본적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임의 성분으로서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임의 성분에는 방부제, 점증제, 점도 조절제, pH 조절제, 향료, 염료, 모발 컨디셔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모발 상태,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시험예 1]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향료의 주향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향취 성분들의 스크리닝
상업적으로 구매 또는 입수 가능한 80종의 향취 성분들을 대상으로 전문 조향사가 하기 4가지 향취 평가 기준으로 후각 관능평가(설문 조사)하여 우수한 향취 성분들을 선별하였다.
< 향취 평가 기준 >
(i) 니트(Neat): 향취 지속 향료(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향취 상태(피부/모발에 적용하기 전, 용기에 담긴 샴푸의 향취 상태);
(ii) 부루밍(Blooming): 향취 지속 향료(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모발 적용 시 발현되는 향취 상태(예컨대, 샴푸로 감을 때 모발의 향취 지속 상태);
(iii) 스와치(Swatch): 향취 지속 향료(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한 피부/모발이 여분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상태(예컨대, 샴푸로 감고 난 직후의 젖은 모발 상태에서의 향취 상태); 및
(iv) 라스팅(Lasting): 향취 지속 향료(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한 피부/두발이 일정 시간 경과 후 지속되는 상태(예컨대, 샴푸로 감은 후 12시간 이후의 모발의 향취 지속 상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향기(향취)(예컨대,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주향)의 지속성을 연장시키는 향취 성분들을 전문 조향사가 후각 관능평가(설문조사 평가 기준: 니트(Neat), 부루밍(Blooming), 스와치(Swatch), 라스팅(Lasting)으로 평가하되, 각각 10점 척도로 합산하여 40점 만점으로 계산; 10점 척도의 평가점수 기준은 '[1점]매우 낮음-[4점]그저 그렇다-[10점]매우 높다'로 함)를 통해 선별하였다.
상기 샴푸(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각각의 향취 성분의 함량은 샴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이고, 부향율은 0.5%로 하여 선별하였다.
그 결과, 아래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각 관능평가에 기초하여 80종의 향취 성분 후보들로부터 13종의 향취 성분들(즉, 아크로팔(Acropal), 클리어우드(Clearwood), 사이크로갈바네이트(Cyclogalbanate), 다르타놀(Dartanol), 프루타테(Fruitate),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70 MIP), 헬리오트로핀(Heliotropine), 헬베톨라이드(Helvetolide), 쿠마락톤(Koumalactone), 무세논 델타(Muscenone Delta), 폴리산톨(Polysantol), 운데카락톤 가마(Undecalactone Gamma) 및 베르딜 프로피오네이트(Verdyl Propionate))을 선별하였다.
하기 표 1은 80종의 향취 성분들을 대상으로 평가자(전문 조향사)가 상기 4가지 향취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후각 관능평가한 결과를 10점 척도로 나타낸 것으로, 10명의 전문 조향사(평가자)가 평가한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다.
시료 번호 시료명 니트
(neat)
부루밍
(blooming)
스와치
(swatch)
라스팅
(lasting)
대조군 Lilial 6.0 6.0 5.0 4.0
#1 Acropal 7.4 7.5 5.6 4.6
#2 Aldehyde C11 Undecylenic 7.4 6.9 4.5 3.1
#3 Aldehyde C11 Undecylic 6.6 6.7 5.8 3.6
#4 Aldehyde C-6 8.6 7.6 4.9 2.7
#5 Allyl Amyl Glycolate 8.3 8.3 6.0 3.1
#6 Aldehyde MNA 7.4 6.1 5.0 3.7
#7 Anethol 8.1 7.3 5.7 3.3
#8 Anisaldehyde 7.2 6.4 5.4 3.5
#9 Anysyl Acetate 5.7 5.6 5.0 3.0
#10 Applinate 8.4 7.1 4.8 2.8
#11 Bacdanol 6.4 6.3 5.3 3.8
#12 Benzyldimethylcarbinol Acetate 6.4 6.1 5.9 2.9
#13 Benzyldimethylcarbinol Butyrate 7.4 6.9 6.1 3.7
#14 Ethyl Butyrate 8.8 8.0 5.6 2.8
#15 Calone 6.2 6.2 5.6 4.2
#16 Cashmeran 7.8 8.3 7.6 3.3
#17 Centifolether 7.8 7.3 5.1 3.0
#18 Cetalox 5.8 5.5 5.1 4.9
#19 Cinnamic Alcohol 7.5 6.0 5.3 3.1
#20 Cinnamyl Propionate 7.0 5.8 5.4 3.5
#21 Cis Jasmon 6.3 5.9 5.1 3.3
#22 Citronellol 7.7 7.4 5.4 4.0
#23 Clearwood 6.9 7.4 6.3 5.5
#24 Clonal 9.6 9.4 8.7 7.5
#25 Coranol 6.4 5.7 4.6 2.8
#26 Corps Racine 6.4 5.4 5.6 4.2
#27 Coumarin 7.1 6.0 5.4 3.9
#28 Cyclogalbanate 7.7 7.6 7.5 5.0
#29 Cyclomethylene Citronellol 5.4 5.9 6.8 5.3
#30 Cyclosal 6.8 6.8 6.0 4.0
#31 Damascone Alpha 7.5 7.2 6.3 3.8
#32 Dartanol 6.2 5.3 4.8 4.8
#33 Decalactone Gamma 7.3 7.5 5.8 2.8
#34 Decyl Acetate 7.3 6.8 6.3 2.5
#35 Delphone 7.7 7.7 6.8 3.3
#36 Damascone Delta 7.6 7.2 6.9 4.3
#37 Dihydroestragole 8.6 7.8 6.1 2.9
#38 Dihydro Linalol 7.0 5.8 5.4 2.4
#39 Dihydromyrcenol 6.8 5.8 4.3 2.6
#40 Doremox 8.0 7.4 6.9 3.4
#41 Dynascone 7.8 7.0 6.9 3.4
#42 Ethyl Linalol 7.1 6.4 5.2 3.2
#43 Ethyl Methylphenylglycidate 7.1 6.1 4.9 3.4
#44 Ethyl Maltol 7.5 7.2 6.4 2.2
#45 Ethyl Vanillin 8.1 7.6 6.3 2.8
#46 Eugenol 7.9 7.6 5.8 4.0
#47 Floralozone 7.3 6.9 6.7 4.6
#48 Fruitate 7.7 6.2 6.6 5.5
#49 Galaxolide 70 MIP 6.4 6.6 6.7 6.3
#50 Geraniol 7.7 6.4 5.7 2.8
#51 Hedion 5.6 5.1 5.4 2.9
#52 Heliopropanal 7.0 7.0 5.9 3.6
#53 Heliotropine 6.8 5.5 7.2 5.2
#54 Helvetolide 7.1 7.4 6.2 5.9
#55 Hexylcinnamic Aldehyde 6.6 7.0 7.0 3.9
#56 Indol 8.0 7.9 6.4 3.6
#57 Isocyclocitral 7.9 6.0 5.9 3.4
#58 Isoeugenol 8.3 7.6 6.6 4.0
#59 Koumalactone 7.3 6.9 6.1 5.2
#60 Lilial 6.0 6.0 5.0 4.0
#61 Linalol 7.2 5.7 4.5 2.7
#62 Methyl Anthranilate 7.3 7.0 5.5 4.2
#63 methyllonone Alpha Iso 7.8 7.2 6.6 3.8
#64 Mousse Cristal 5.3 5.1 5.1 4.0
#65 Muscenone Delta 7.3 7.3 6.4 5.5
#66 Nonalactone Gamma 7.2 7.1 5.3 2.9
#67 Norlimbanol 7.1 6.6 4.9 3.8
#68 Phenylethyl Alcohol 7.0 6.6 4.9 2.7
#69 Phenoxy 5.2 4.8 4.0 2.9
#70 Pyrazobutyle 7.3 6.4 4.5 3.0
#71 Hexenyl Acetate 8.4 7.4 4.8 3.0
#72 Cis-3 Hexenol 7.6 5.7 6.5 4.5
#73 Polysantol 6.3 6.5 5.6 5.9
#74 Raspberry Ketone 5.6 5.4 4.5 3.3
#75 Undecalactone Gamma 7.9 8.0 7.5 6.1
#76 Verdyl Propionate 7.5 6.9 5.9 4.8
#77 Zestover 8.1 6.9 4.3 3.1
#78 Patchouli oil 8.7 8.2 6.1 4.8
#79 Cedarwood oil Virginia 7.8 5.8 4.6 2.4
#80 Lavandin Grosso ARR 7.9 7.2 4.7 2.9
하기 표 2는 80종의 향취 성분들을 대상으로 평가자(전문 조향사)가 상기 4가지 향취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후각 관능평가하여 선별된 13종의 향취 성분들을 나타낸 것이다.
시료 번호 시료명 향취
#A Acropal Aldehyde green
#B Clearwood Woody(patchouli)
#C Cyclogalbanate Green woody herbal
#D Dartanol Ambery leathery musky
#E Fruitate Aromatic herbal
#F Galaxolide 70 MIP Musk
#G Heliotropine Sweet, animalic
#H Helvetolide Musk
#I Koumalactone Coconut
#J Muscenone Delta Powdery
#K Polysantol Woody(sandalwood)
#L Undecalactone Gamma Fruity aldehyde
#M Verdyl Propionate Fruity(pineapple) herbal
[ 시험예 2]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향료의 향의 지속성 및 향의 유사성을 향상시키는 향취 성분들의 스크리닝
종래 화장료 조성물에 상기 실험예 1의 표 2의 13종 향취 성분들을 포함할 경우, 향취 성분들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향료(들)의 본래 향(주향)의 유지(유사성)와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최적의 향취 성분들을 선별하였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꽃 향기 또는 과일 향기와 같은 향취 계열의 향료(들)를 함유하는 샴푸(화장료 조성물)에 한 종의 향취 성분을 첨가한 다음, 8시간이 경과된 시점에서 첨가된 향취 성분이 샴푸에 함유된 향료(들)의 본래 향(주향)을 유지하고, 본래 향(주향)의 지속성을 연장시키는 최적의 향취 성분들을 전문 조향사 및 일반인이 후각 관능평가(설문조사 시 평가 기준: 주향의 지속력 강도 및 주향의 유사성으로 평가하되, 각각 10점 척도로 계산; 10점 척도의 평가점수 기준은 '[1점]매우 낮음-[4점]그저 그렇다-[10점]매우 높다'로 함)를 통해 선별하였다.
상기 샴푸(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각각의 향취 성분의 함량은 샴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이고, 부향율은 1.0%로 하여 선별하였다.
그 결과, 아래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각 관능평가에 기초하여 13종의 향취 성분 후보들을 검증한 결과,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70 MIP), 헬베톨라이드(Helvetolide) 또는 무세논 델타(Muscenone Delt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은 샴푸(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향료(들)의 주향의 지속력 및 주향의 유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였다.
하기 표 3은 13종의 향취 성분들을 평가자(전문 조향사 및 일반인; S1~S10으로 총 10명)가 후각 관능평가하여 얻은 샴푸에 함유된 향료(들)의 주향의 지속력 강도 결과를 10점 척도로 나타낸 것이다(블랭크: 향취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샴푸).
평가자 블랭크 #A #B #C #D #E #F #G #H #I #J #K #L #M
S1 4 4 5 4 4 5 6 5 6 5 5 6 4 4
S2 4 4 5 5 5 5 7 6 6 5 5 7 5 5
S3 4 6 6 5 5 5 7 5 7 6 6 7 6 5
S4 4 4 5 4 5 6 7 5 7 5 7 6 4 4
S5 4 5 5 5 4 5 7 6 6 5 6 5 5 5
S6 4 4 5 5 4 5 6 5 6 6 6 5 5 4
S7 4 4 4 4 4 5 7 6 6 6 7 5 6 5
S8 4 5 6 5 5 6 6 5 7 6 7 6 5 5
S9 4 3 4 3 4 5 7 5 6 6 6 6 5 4
S10 4 4 5 4 4 5 6 5 6 5 6 5 4 4
평균 4.0 4.3 5 4.4 4.4 5.2 6.6 5.3 6.3 5.5 6.1 5.8 4.9 4.5
하기 표 4는 13종의 향취 성분들을 평가자(전문 조향사 및 일반인)가 후각 관능평가하여 얻은 샴푸에 함유된 향료(들)의 주향의 유사성 결과를 10점 척도로 나타낸 것이다.
평가자 #A #B #C #D #E #F #G #H #I #J #K #L #M
S1 2 5 2 6 1 6 4 5 3 6 5 1 1
S2 2 4 2 5 1 5 3 4 2 6 4 1 2
S3 2 5 1 6 1 6 4 6 1 5 4 1 1
S4 1 3 1 4 1 5 3 5 1 5 3 2 1
S5 3 5 1 5 2 6 4 6 3 5 3 1 2
S6 2 5 2 5 1 6 4 5 2 6 5 1 2
S7 2 5 2 6 1 6 4 5 1 6 3 1 1
S8 3 6 4 6 2 6 3 5 3 6 4 1 2
S9 2 4 2 4 1 5 4 4 1 5 4 1 2
S10 2 4 1 4 1 6 4 5 2 5 4 1 2
평균 2.1 4.6 1.8 5.1 1.2 5.7 3.7 5 1.9 5.5 3.9 1.1 1.6
[ 시험예 3] 최적 향료 조합물 ( 조향(調香)의 평가
시험예 2의 결과에 기초하여 13종의 후보들로부터 7종의 향취 성분들을 선별하여 서로 다른 혼합 중량비로 향료 조합물을 제조한 다음, 꽃 향기 또는 과일 향기와 같은 향취 계열의 향료(들)를 함유하는 샴푸(화장료 조성물)에 포함시킨 후 8시간이 경과된 시점에서 상기 조합물에 의한 샴푸에 함유된 향료(들)에 대한 주향의 유사성 및 지속성을 전문 조향사 및 일반인이 후각 관능평가(설문조사 시 평가 기준: 주향의 지속력 강도 및 주향의 유사성으로 평가하되, 각각 10점 척도로 계산; 10점 척도의 평가점수 기준은 '[1점]매우 낮음-[4점]그저 그렇다-[10점]매우 높다'로 함)를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 샴푸(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각각의 향취 성분의 함량은 샴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40중량%이고, 부향율은 1.0%로 하여 후각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래 표 5~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각 관능평가에 기초하여 7종의 향취 성분 후보들을 검증한 결과, 샴푸(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향료(들)의 주향의 지속성은 #가의 조합물이 가장 우수하였고, 그 다음으로 #라, #마, #나 등의 조합물 순으로 우수하였으며, 샴푸(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향료(들)의 주향의 유사성은 #라의 조합물이 가장 우수하였고, 그 다음으로 #마, #나, #다 등의 조합물 순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샴푸(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향료(들)의 주향의 지속성 및 주향의 유사성면에서 #라의 조합물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 표 5는 7종의 향취 성분들을 포함하는 향취 조합물의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수치: 중량%).
시료명 조합향료 번호
#가 #나 #다 #라 #마 #바 #사
Clearwood 10 5 5 5 5 10 10
Dartanol 20 20 5 30 10 40 40
Galaxolide 70 MIP 20 30 30 30 10 10 20
Heliotropine 5 5 5 5 10 10 5
Helvetolide 20 5 20 15 30 10 10
Muscenone Delta 20 30 30 10 30 10 10
Polysantol 5 5 5 5 5 10 5
총 함량(중량%)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하기 표 6은 7종의 향취 성분들을 포함하는 향취 조합물을 평가자(전문 조향사 및 일반인)가 후각 관능평가하여 얻은 샴푸에 함유된 향료(들)의 주향의 지속력 강도 결과를 10점 척도로 나타낸 것이다.
평가자 #F #가 #나 #다 #라 #마 #바 #사
S1 6 9 8 7 8 8 8 7
S2 7 10 8 8 9 8 7 8
S3 7 9 9 7 8 8 8 8
S4 7 9 8 8 9 7 8 7
S5 7 10 7 8 8 8 7 7
S6 6 9 7 7 8 7 6 7
S7 7 10 8 8 7 8 8 7
S8 6 8 7 6 7 8 6 8
S9 7 9 8 8 9 7 7 7
S10 6 9 7 7 8 9 6 6
평균 6.6 9.2 7.7 7.4 8.1 7.8 7.1 7.2
하기 표 7은 7종의 향취 성분들로 구성된 향취 조합물을 평가자(전문 조향사 및 일반인)가 후각 관능평가하여 얻은 샴푸에 함유된 향료(들)의 주향의 유사성 결과를 10점 척도로 나타낸 것이다.
평가자 #F #가 #나 #다 #라 #마 #바 #사
S1 6 4 8 7 9 8 5 4
S2 5 5 8 8 8 8 5 5
S3 6 5 7 7 8 9 6 5
S4 5 4 7 7 9 6 4 4
S5 6 5 6 6 9 7 5 6
S6 6 5 7 7 7 8 5 5
S7 6 4 7 6 9 8 5 4
S8 6 6 6 7 8 7 7 6
S9 5 5 7 5 8 6 5 5
S10 6 6 7 7 8 7 6 5
평균 5.7 4.9 7 6.7 8.3 7.4 5.3 4.9
[ 시험예 4] 화장료 조성물에서의 향료 조합물의 최적 조합 함량 평가
꽃 향기 또는 과일 향기와 같은 향취 계열의 향료(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한 종 이상의 향취 성분(향료 조합물)을 첨가한 다음, 8시간이 경과된 시점에서 첨가된 향취 성분들이 샴푸(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향료의 본래 향(주향)을 유지하고, 본래 향(주향)의 지속성은 연장시키는데 필요한 향취 성분들의 최적 조합 함량을 전문 조향사 및 일반인이 후각 관능평가(설문조사 시 평가 기준: 주향의 지속력 강도 및 주향의 유사성으로 평가하되, 각각 10점 척도로 계산; 10점 척도의 평가점수 기준은 '[1점]매우 낮음-[4점]그저 그렇다-[10점]매우 높다'로 함)를 통해 확인하였다.
여기서, 조합물의 혼합비는 시험예 3에 기초하여 #라의 조합물의 혼합비를 이용하였다.
또한, 상기 샴푸(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각각의 향취 성분의 함량은 샴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10중량%이고, 부향율은 1.0%로 하여 후각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래 표 8 및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각 관능평가에 기초하여 7종의 향취 성분 후보들을 검증한 결과, 샴푸(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향료(들)의 주향의 지속성은 3~10중량% 범위에서는 우수하였고, 1중량% 이하에서는 낮게 나타났으며, 샴푸(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향료(들)의 주향의 유사성은 1~5중량% 범위에서는 우수하였고, 7중량% 이상에서는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기 표 8은 7종의 향취 성분들을 평가자(전문 조향사 및 일반인)가 후각 관능평가하여 얻은 샴푸에 함유된 향료(들)의 주향의 지속력 강도 결과를 10점 척도로 나타낸 것이다(블랭크: 향취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샴푸).
평가자 '#라'의 조합물이 첨가된 샴푸
블랭크 1중량% 3중량% 5중량% 7중량% 10중량%
S1 4 4 6 8 9 10
S2 4 5 6 9 9 9
S3 4 5 6 8 9 9
S4 4 4 7 9 9 10
S5 4 4 5 8 8 10
S6 4 4 7 8 9 9
S7 4 5 6 7 9 10
S8 4 4 5 7 8 10
S9 4 4 7 9 9 9
S10 4 4 5 8 8 9
평균 4 4.3 6 8.1 8.7 9.5
하기 표 9은 7종의 향취 성분들을 평가자(전문 조향사 및 일반인)가 후각 관능평가하여 얻은 샴푸에 함유된 향료(들)의 주향의 유사성 결과를 10점 척도로 나타낸 것이다.
평가자 '#라'의 조합물이 첨가된 샴푸
1중량% 3중량% 5중량% 7중량% 10중량%
S1 10 9 9 4 2
S2 10 8 8 5 2
S3 9 9 8 5 2
S4 9 9 9 4 1
S5 10 10 9 5 3
S6 9 8 7 5 3
S7 9 9 9 4 3
S8 10 9 8 6 4
S9 10 9 8 5 2
S10 9 8 8 6 3
평균 9.5 8.8 8.3 4.9 2.5
[ 시험예 5]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향료의 향취 계열에 대한 향료 조성물의 적합성 검증
시험예 3~4에서 7종의 향취 성분들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향료(들)의 주향의 지속성은 검증되었고,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향료(들)의 주향의 지속성 및 주향의 유사성면에서 #라의 조합물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므로, #라의 조합물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향취 계열의 향료(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더라도 상기 7종의 향취 성분들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향료(들)의 주향의 유사성이 향상되는지 확인하였다.
즉,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향취 계열(예컨대, 시트러스 향기(Citrus Fragrance)로서, 오렌지, 레몬, 자몽 등의 감귤류 향취; 꽃 향기(Floral Fragrance)로서, 장미, 자스민, 은방울꽃 등의 향취; 과일 향기(Fruity Fragrance)로서, 사과, 배, 복숭아 등의 향취; 오리엔탈 향기(Oriental Fragrance)로서, 스파이시, 발삼, 레진 및 애니멀릭을 기본성분으로 조합한 향취; 시프레 향기(Chypre Fragrance)로서, 시트러스 탑노트, 오크모스, 레진 및 패촐리를 기본성분으로 조합한 향취; 또는, 아로마틱 향기(Aromatic Fragrance)로서, 라벤더, 로즈마리, 유칼립투스 등의 허브 향취)의 향료(들)를 함유하는 샴푸(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향취 계열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또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에 #라의 조합물을 포함시킨 다음, 8시간이 경과된 시점에서 전문 조향사 및 일반인이 후각 관능평가(설문조사 시 평가 기준: 주향의 유사성으로 평가하되, 각각 10점 척도로 계산; 10점 척도의 평가점수 기준은 '[1점]매우 낮음-[4점]그저 그렇다-[10점]매우 높다'로 함)를 통해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향료(들)의 주향의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샴푸(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각각의 향취 성분의 함량은 샴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이고, 부향율은 1.0%로 하여 후각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래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각 관능평가에 기초하여 7종의 향취 성분들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을 검증한 결과, 꽃 향기(Floral Fragrance)를 발휘하는 향료, 오리엔탈 향기(Oriental Fragrance)를 발휘하는 향료 또는 시프레 향기(Chypre Fragrance)를 발휘하는 향료를 함유하는 샴푸에서 각각의 향료에 대한 주향의 유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기 표 10은 샴푸에 함유되는 향료의 향취 계열에 대한 7종의 향취 성분들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의 적합성 여부를 평가자(전문 조향사 및 일반인)가 후각 관능평가하여 얻은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향료(들)의 주향의 유사성 결과를 10점 척도로 나타낸 것이다.
평가자 '#라'의 조합물이 첨가된 샴푸
시트러스 향기
(Citrus Fragrance)
꽃 향기
(Floral
Fragrance)
과일 향기
(Fruity Fragrance)
오리엔탈 향기
(Oriental Fragrance)
시프레 향기
(Chypre Fragrance)
아로마틱 향기
(Aromatic Fragrance)
S1 4 8 6 10 9 3
S2 3 7 5 8 8 3
S3 3 7 6 9 8 2
S4 2 8 7 9 9 3
S5 3 7 6 8 8 3
S6 2 8 7 9 8 2
S7 3 6 5 8 9 3
S8 3 8 6 7 8 4
S9 3 7 6 8 9 3
S10 4 8 5 9 8 3
평균 3 7.4 5.9 8.5 8.4 2.9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클리어우드(Clearwood tm), 다르타놀(Dartanol) 및 헬리오트로핀(Heliotrop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1 향취성분과, 폴리산톨(Polysantol),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70 MIP), 헬베톨라이드(Helvetolide) 및 무세논 델타(Muscenone Delta)로 이루어진 제2 향취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향의 향취 유지력 및 지속력 향상용 향료 조성물로서,
    상기 제1 향취성분과 제2 향취성분의 중량비는 1~3 : 3~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향의 향취 유지력 및 지속력 향상용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향은 시트러스 향기(Citrus Fragrance), 꽃 향기(Floral Fragrance), 과일 향기(Fruity Fragrance), 오리엔탈 향기(Oriental Fragrance), 시프레 향기(Chypre Fragrance) 및 아로마틱 향기(Aromatic Fragranc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향의 향취 유지력 및 지속력 향상용 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의 총 중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99.9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향의 향취 유지력 및 지속력 향상용 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향취성분과 제2 향취성분의 중량비는 1~2 :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향의 향취 유지력 및 지속력 향상용 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5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시트러스 향기(Citrus Fragrance), 꽃 향기(Floral Fragrance), 과일 향기(Fruity Fragrance), 오리엔탈 향기(Oriental Fragrance), 시프레 향기(Chypre Fragrance) 및 아로마틱 향기(Aromatic Fragranc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주향을 발휘하는 1종 이상의 향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방부제, 점증제, 점도 조절제, pH 조절제, 향료, 염료 및 모발 컨디셔닝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향수,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에센스, 샴푸, 린스, 팩,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물파스,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린스, 헤어샴푸, 헤어로션 및 포마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5항의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화장품.
KR1020170083700A 2017-06-30 2017-06-30 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9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700A KR102359526B1 (ko) 2017-06-30 2017-06-30 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700A KR102359526B1 (ko) 2017-06-30 2017-06-30 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60A KR20190003160A (ko) 2019-01-09
KR102359526B1 true KR102359526B1 (ko) 2022-02-09

Family

ID=6501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700A KR102359526B1 (ko) 2017-06-30 2017-06-30 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5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4642A (ja) * 2006-01-25 2009-07-02 フイルメニツヒ ソシエテ アノニム フェロモンタイプの匂いを有する付香成分
US8268895B2 (en) 2008-11-07 2012-09-18 Firmenich Sa Perfuming ingredients of the floral and/or anis type
WO2017009175A1 (en) 2015-07-14 2017-01-19 Firmenich Sa Compound having a muguet od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4642A (ja) * 2006-01-25 2009-07-02 フイルメニツヒ ソシエテ アノニム フェロモンタイプの匂いを有する付香成分
US8268895B2 (en) 2008-11-07 2012-09-18 Firmenich Sa Perfuming ingredients of the floral and/or anis type
WO2017009175A1 (en) 2015-07-14 2017-01-19 Firmenich Sa Compound having a muguet od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60A (ko)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88391A (ja) 香料の香り立ち及び持続性の強化方法及び強化剤
US11384312B2 (en) Fragranc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11108100B (zh) 帝王龙涎用于增强铃兰调的用途
JP2011012016A (ja) 化粧料賦香用キット
EP2905011B1 (en) Fragrance composition
KR102359526B1 (ko) 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7137781A (ja) 化粧料及びその使用方法
JPH05279690A (ja) 頭髪化粧料用及び頭髪洗浄料用香料組成物
JP2005179601A (ja) 高再認率香料組成物
JP5095110B2 (ja) 嗜好性向上剤及び嗜好性を向上させる方法
DE602005003858T2 (de) Verwendung von 2-Methylbenzoesäuremethylester in Parfümzusammensetzungen
KR102006953B1 (ko) 향료 조성물
JP2004059560A (ja) シャンプー組成物
JP6851774B2 (ja) 塩基性悪臭用消臭剤
JP5341289B2 (ja) マスキング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3073831B2 (ja) 頭髪化粧料用及び頭髪洗浄料用香料組成物
WO2015117893A1 (en) Flavor and fragrance formulation (vii)
EP2949740B1 (en) Novel organoleptic compound
JP6836554B2 (ja) 香粧品用白茶様香料組成物
KR20180018061A (ko) 제주도 감귤 재배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88012B1 (ko) 화장료 원료취 차폐용 조성물
JPH07238295A (ja) 第三級アルコール含有香料組成物
JP2004250418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US20070042933A1 (en) Fragrances, cosmetics and other body products based on Phi
JPH0692831A (ja) 足臭マスキング用香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