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292B1 - 연속 취반시스템용 뚜껑 및 취반솥 직각방향전환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취반시스템용 뚜껑 및 취반솥 직각방향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292B1
KR102359292B1 KR1020180132341A KR20180132341A KR102359292B1 KR 102359292 B1 KR102359292 B1 KR 102359292B1 KR 1020180132341 A KR1020180132341 A KR 1020180132341A KR 20180132341 A KR20180132341 A KR 20180132341A KR 102359292 B1 KR102359292 B1 KR 102359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angle direction
right angle
direction chang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9279A (ko
Inventor
김충주
Original Assignee
김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주 filed Critical 김충주
Priority to KR1020180132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292B1/ko
Publication of KR20200049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e.g. interconnected by piv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54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측이송컨베이어와, 우측컨베이어의 사이에 직각방향전환부가 설치되어 좌측이송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뚜껑을 직각방향전환부로 직각으로 방향전환시켜서, 직각방향전환부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이송컨베이어에 공급하도록하여 좌측이송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뚜껑을 직각방향전환부에 의해 후방이송컨베이어에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뚜껑을 용이하게 공급하도록 한 연속 취반시스템용 뚜껑 및 취반솥 직각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속 취반시스템용 뚜껑 및 취반솥 직각방향전환장치{Lid and direction switching device for continuous cooking system}
본 발명은 연속 취반시스템용 뚜껑 및 취반솥 직각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좌측이송컨베이어와, 우측컨베이어의 사이에 직각방향전환부가 설치되어 좌측이송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뚜껑을 직각방향전환부로 직각으로 방향전환시켜 직각방향전환부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이송컨베이어에 공급하도록하여 좌측이송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뚜껑을 직각방향전환부에 의해 후방이송컨베이어에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뚜껑을 용이하게 공급하도록 한 연속 취반시스템용 뚜껑 및 취반솥 직각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취반시스템은 세척장치와, 취반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세척장치로 세척쌀을 상기 취반장치에서 밥으로 완성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쌀을 세척하여 취반용기에 수용하여 상기 취반장치에서 밥을 완성하는데, 세척쌀과 조미액과, 물이 수용된 취반용기의 상부에 뚜껑을 덮어서 취반장치로 보내어져 상기 취반장치의 내부에서 취반용기가 수용되어 취반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세척쌀이 증숙된 밥으로 완성되게 한다.
그러나, 기존의 취반시스템의 취반장치에 세척쌀이 수용된 취반용기를 수용하여 증숙된 밥을 하는데, 취반용기의 상부에 뚜껑을 덮어서 취반용기의 내부에 수용해야하는데, 이러한 뚜껑이 상기 취반장치에 인접하여 세척되어 설치되고, 다량의 뚜껑이 적층보관된 뚜껑보관대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가져와서 상기 취반용기의 상부에 덮어야하는 많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대량의 취반용기의 상부에 뚜껑을 1인의 작업자가 일일이 덮는데 한계가 있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다수의 작업자를 투입하여 취반용기들에 뚜껑을 덮는 비효율적이고 비생산적인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좌측이송컨베이어와, 우측컨베이어의 사이에 직각방향전환부가 설치되어 좌측이송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뚜껑을 직각방향전환부로 직각으로 방향전환시켜서, 직각방향전환부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이송컨베이어에 공급하도록하여 좌측이송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뚜껑을 직각방향전환부에 의해 후방이송컨베이어에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뚜껑을 용이하게 공급하도록 한 새로운 연속 취반시스템용 뚜껑 및 취반솥 직각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좌,우측이송컨베이어(10a,10b)와; 상기 좌측 이송컨베이어(10a)와, 상기 우측 이송컨베이어(10b)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 이송컨베이어(10a)에서 공급되는 뚜껑(a)을 직각으로 방향 전환시키는 직각방향전환부(20)와;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의 하부에 설치된 실린더(s)와;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의 후방에 직각으로 설치된 후방이송컨베이어(10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직각방향전환부(20)는 승강프레임(21)의 내부에 복수개로 설치된 구동롤러(22)와, 상기 승강프레임(21)의 하부에 연결설치된 로드(r)를 구비한 상기 실린더(s)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후방이송컨베이어(10c)는 그 후방에 설치된 후방회동축(b1)과, 상기 후방회동축(b1)의 양측에 설치된 구동기어(b2)와, 상기 후방이송컨베이어(10c)의 후방에서 연장되어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회동축(b3)과, 상기 전방회동축(b3)의 양측에 설치된 구동기어(b2)와, 상기 구동기어(b2)와 상기 구동기어(b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b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방회동축(b3)은 상기 후방회동축(b1)보다 낮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직각방향전환부(20)의 전방에는 다수개 이탈방지롤러(c)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직각방향전환부(20)의 좌측에 설치된 상기 좌측이송컨베이어(10a)의 우측과,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의 우측에 설치된 상기 우측이송컨베이어(10b)의 좌측에 보조구동롤러(c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좌,우측이송컨베이어(10a,10b)의 전,후방과, 상기 후방이송컨베이어(10c)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g)이 설치되고, 양 상기 가이드레일(g)에는 다수개의 안내롤러(c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좌측이송컨베이어와, 우측컨베이어의 사이에 직각방향전환부가 설치되어 좌측이송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뚜껑을 직각방향전환부로 직각으로 방향전환시켜서, 직각방향전환부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이송컨베이어에 공급하도록하여 좌측이송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뚜껑을 직각방향전환부에 의해 후방이송컨베이어에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뚜껑을 용이하게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각방향전환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이송컨베이어의 전,후방회동축과 직각방향전환부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각방향전환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이송컨베이어의 전,후방회동축과 직각방향전환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취반시스템용 뚜껑 및 취반솥 직각방향전환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취반시스템용 뚜껑직각방향전환장치는 좌측이송컨베이어(10a)와, 우측이송컨베이어(10b)와, 후방이송컨베이어(10c)와, 직각방향전환부(20) 실린더(s)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이송컨베이어(10a)는 뚜껑(a)을 취반연속제조장치(미도시)에 구비된 세척부(미도시)에서 세척되어지는 이송용기(미도시)와 뚜껑(a)을 공급받는데 이 이송용기(미도시)와 상기 뚜껑(a)을 상기 좌측이송컨베이어(10a)의 우측말단에 설치된 센서(x)로 감지하여 구분하여 상기 뚜껑(a)만을 상기 센서(x)가 감지선별하여 후술되는 직각방향전환부(20)로 상기 좌측이송컨베이어(10a)의 우측후방에 설치된 후방이송컨베이어(10c)로 상기 뚜껑(a)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우측이송컨베이어(10b)는 상기 좌측이송컨베이어(10a)의 우측에 설치된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의 우측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우측이송컨베이어(10b)는 상기 좌측이송컨베이어(10a)에서 공급되는 이송용기(미도시)와 상기 뚜껑(a)중 상기 뚜껑(a)은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로 인해 상기 후방이송컨베이어(10c)로 공급되어지고, 이송용기(미도시)는 상기 우측이송컨베이어(10b)로 이송되어 취반연속제조장치(미도시)의 세척쌀공급부(미도시)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는 상기 좌측 이송컨베이어(10a)와, 상기 우측 이송컨베이어(10b)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 이송컨베이어(10a)에서 공급되는 뚜껑(a)을 직각으로 방향 전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는 승강프레임(21)의 내부에 복수개로 설치된 구동롤러(22)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롤러(22)의 전,후방은 상기 승강프레임(21)의 내측에 설치되어 힌지(h)에 의해 상기 승강프레임(21)의 내측면에 고정설치되어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양 상기 구동롤러(22)는 상기 뚜껑(a)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프레임(21)의 하부에 연결설치된 로드(r)를 구비한 상기 실린더(s)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s)에 의해 상기 승강프레임(21)은 상부로 승강하여 상기 좌측이송컨베이어(10a)에서 이동되어지는 이송용기(미도시)와 상기 뚜껑(a)을 상기 센서(x)로 감지하여 상기 뚜껑(a)만을 상부에 상기 뚜껑(a)을 위치하고 상기 구동롤러(22)들을 갖는 상기 승강프레임(21)이 상기 전방구동축(b3)의 구동기어(b2)의 내측에서 상기 실린더(s)에 의해 상승되어서 상기 후방이송컨베이어(10c)의 상부면에 공급하는데, 이때 상기 후방이송컨베이어(10c)의 구동기어(b2)와 연결부재(b4)인 체인을 구비한 후방회동축(b1)은 상기 전방회동축(b4)보다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의 후방에서 높게 설치되어서, 상기 뚜껑(a)이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의 전방에서 낮게 설치된 상기 후방회동축(b1)으로 구동되는 상기 연결부재(b4)인 체인에 공급되어 상기 전방회동축(b3)으로 안내되도록된다.
즉, 상기 뚜껑(a)은 상기 후방이송컨베이어(10c)의 상기 전방회동축(b3)에서 상기 후방회동축(b1)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s)는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실린더(s)는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인 상기 승강프레임(21)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실린더(s)에 구비된 로드(r)와 상기 승강프레임(31)의 하부와 연결설치되어 상기 로드(r)의 승강으로 상기 로드(r)와 연결된 상기 승강프레임(31)이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s)는 공압, 유압, 전동실린더로 구성된다.
상기 후방이송컨베이어(10c)는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의 후방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후방이송컨베이어(10c)는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에서 상기 뚜껑(a)을 공급받아서 취반연속제조장치(미도시)의 뚜껑공급부(미도시)가 상기 뚜껑(a)을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방이송컨베이어(10c)는 그 후방에 설치된 후방회동축(b1)으로 구성된다.
상기 후방회동축(b1)의 양측에 설치된 구동기어(b2)로 구성된다.
상기 후방이송컨베이어(10c)의 후방에서 연장되어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회동축(b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회동축(b3)의 양측에 설치된 구동기어(b2)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기어(b2)와 상기 구동기어(b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b4)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기어(b2)는 스프로킷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b4)는 체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방회동축(b3)은 상기 후방회동축(b1)보다 낮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전방회동축(b3)은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의 전방에서 상기 후방회동축(b1)보다 낮게 설치되어서, 상기 좌측이송컨베이어(10a)에서 공급되는 상기 뚜껑(a)이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의 상기 구동롤러(22)들의 상부에 위치될시, 상기 구동롤러(22)의 같은 위치에 위치한 상기 전방회동축(b1)의 상기 연결부재(b4)가 구동하여 상기 뚜껑을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에서 상기 후방이송컨베이어(10c)의 상기 후방회동축(b1)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의 전방에는 다수개 이탈방지롤러(c)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의 전방에는 다수개 이탈방지롤러(c)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은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에 상기 뚜껑(a)이 공급되어 위치될시 상기 뚜껑(a)이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의 전방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의 좌측에 설치된 상기 좌측이송컨베이어(10a)의 우측과,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의 우측에 설치된 상기 우측이송컨베이어(10b)의 좌측에 보조구동롤러(c1)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보조구동롤러(c1)들은 상기 뚜껑(a)이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로 이송을 용이하게 안내하거나, 상기 보조구동롤러(c1)들이 이송용기(미도시)가 상기 좌측이송컨베이어(10a)와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와, 상기 우측이송컨베이어(10c)로 이송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좌,우측이송컨베이어(10a,10b)의 전,후방과, 상기 후방이송컨베이어(10c)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g)이 설치되고, 양 상기 가이드레일(g)에는 다수개의 안내롤러(c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좌,우측이송컨베이어(10a,10b)의 전,후방과, 상기 후방이송컨베이어(10c)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g)이 설치되고, 양 상기 가이드레일(g)에는 다수개의 안내롤러(c2)가 설치되는 것은 , 상기 좌,우측이송컨베이어(10a,10b)의 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뚜껑(a)이 상기 가이드레일(g) 및 상기 안내롤러(c2)들에 의해 상기 좌,우측이송컨베이어(10a,10)의 양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뚜껑(a)이 상기 좌,우측이송컨베이어(10a,10b)의 상부에서 보다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송을 안내하기 위함이다.
상술하는 본 발명은 상기 좌측이송컨베이어(10a)와, 상기 우측컨베이어(10b)의 상부에 직각방향전환부(20)가 설치되어 상기 좌측이송컨베이어(10a)에서 공급되는 상기 뚜껑(a)을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로 직각으로 방향전환시켜서,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의 후방에 설치된 상기 후방이송컨베이어(10c)에 공급하도록하여 상기 좌측이송컨베이어(10a)에서 공급되는 상기 뚜껑(a)을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에 의해 상기 후방이송컨베이어(10c)에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뚜껑(a)을 용이하게 공급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a: 좌측이송컨베이어 10b : 우측이송컨베이어
10c: 후방이송컨베이어 20 : 직각방향전환부
21: 승강프레임 22 : 구동롤러
a: 뚜껑 b1: 후방회동축
b2: 구동기어 b3: 전방회동축
b4: 연결부재 c: 이탈방지롤러
c1: 보조구동롤러 c2: 안내롤러
g: 가이드레일 s:실린더
r: 로드

Claims (7)

  1. 좌,우측 이송컨베이어(10a,10b)와;
    상기 좌측 이송컨베이어(10a)와, 상기 우측 이송컨베이어(10b)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 이송컨베이어(10a)에서 공급되는 뚜껑(a)을 직각으로 방향 전환시키는 직각방향전환부(20)와;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의 하부에 설치된 실린더(s)와;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의 후방에 직각으로 설치된 후방이송컨베이어(10c)로 구성되고,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는 승강프레임(21)의 내부에 복수개로 설치된 구동롤러(22)와, 상기 승강프레임(21)의 하부에 연결설치된 로드(r)를 구비한 상기 실린더(s)로 구성되는 연속 취반시스템용 뚜껑 및 취반솥 직각방향전환장치에 있어서,
    전방회동축(b3)은 후방회동축(b1)보다 낮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취반시스템용 뚜껑 및 취반솥 직각방향전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각방향전환부(20)는 전방에 다수개 이탈방지롤러(c)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취반시스템용 뚜껑 및 취반솥 직각방향전환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이송컨베이어(10a,10b)는 전,후방과, 상기 후방이송컨베이어(10c)의 양측에 가이드레일(g)이 설치되고, 양 상기 가이드레일(g)에는 다수개의 안내롤러(c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취반시스템용 뚜껑 및 취반솥 직각방향전환장치.
KR1020180132341A 2018-10-31 2018-10-31 연속 취반시스템용 뚜껑 및 취반솥 직각방향전환장치 KR102359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341A KR102359292B1 (ko) 2018-10-31 2018-10-31 연속 취반시스템용 뚜껑 및 취반솥 직각방향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341A KR102359292B1 (ko) 2018-10-31 2018-10-31 연속 취반시스템용 뚜껑 및 취반솥 직각방향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279A KR20200049279A (ko) 2020-05-08
KR102359292B1 true KR102359292B1 (ko) 2022-02-04

Family

ID=70678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341A KR102359292B1 (ko) 2018-10-31 2018-10-31 연속 취반시스템용 뚜껑 및 취반솥 직각방향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2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084B1 (ko) * 2017-09-19 2018-05-31 한수동 누룽지 제조용 전처리 설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5548B2 (ja) * 1996-05-27 2005-08-17 株式会社アイホー 連続自動炊飯装置
KR101265741B1 (ko) * 2006-09-05 2013-05-20 주식회사 케이씨텍 기판이송장치
KR20080022377A (ko) * 2006-09-06 2008-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084B1 (ko) * 2017-09-19 2018-05-31 한수동 누룽지 제조용 전처리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279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14706A (zh) 一种铁质冲压板自动抓取机器人
KR102282797B1 (ko) 연속 취반시스템용 조미액혼합장치
CN212424556U (zh) 一种输送转向装置
KR102359292B1 (ko) 연속 취반시스템용 뚜껑 및 취반솥 직각방향전환장치
CN210655135U (zh) 一种米饭分装机
CN210390280U (zh) 一种用于编织袋快速输送机
KR101762814B1 (ko) 조미김 가공장치
KR20130061585A (ko) 멸치를 멸치발에 담는 장치
CN205931484U (zh) 一种桶装食用油全自动装箱生产线
CN106081262A (zh) 桶装食用油全自动装箱生产线
CN211108411U (zh) 双工位激光切割吨包开袋站
CN103171901A (zh) 集装箱鹅颈槽正反相叠出料系统
CN109865731A (zh) 一种自动倒料的清洗设备
CN215044078U (zh) 一种智慧物流用装箱机器人
CN106184849A (zh) 用于桶装食用油全自动装箱生产线的自动封箱装置
CN211003586U (zh) 一种自动摞箱装置
CN208022291U (zh) 先进先出式中转机器人
KR20120004793U (ko) 어상자 이송장치
KR20160101512A (ko) 공급장치
CN218877816U (zh) 全自动包装码垛输送装置
CN206447141U (zh) 一种可升降运输传送带
CN219507021U (zh) 一种便于固定物料的叉臂式循环提升机
CN207016010U (zh) 一种提升取料机构
KR102359296B1 (ko) 연속 취반시스템용 취반솥뚜껑공급장치
CN205346784U (zh) 血液透析浓缩液包装桶盖自动理盖旋盖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