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822B1 - 패브릭 전시물용 액자 - Google Patents

패브릭 전시물용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822B1
KR102358822B1 KR1020210109169A KR20210109169A KR102358822B1 KR 102358822 B1 KR102358822 B1 KR 102358822B1 KR 1020210109169 A KR1020210109169 A KR 1020210109169A KR 20210109169 A KR20210109169 A KR 20210109169A KR 102358822 B1 KR102358822 B1 KR 102358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abric
finishing
inner circumferential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소윤
Original Assignee
박소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소윤 filed Critical 박소윤
Priority to KR1020210109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8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2Picture frames employ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브릭 전시물용 액자에 관한 것으로, 관통된 중앙부에 전면커버가 구비되는 한편 전면커버의 후면에는 패브릭 형태의 전시물이 구비되는 틀 프레임; 틀 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매립되게 구비되는 자성체; 패브릭 전시물 후면에서 틀 프레임의 내주면 측으로 이동되어 밀착되면서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부착 고정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패브릭 전시물용 액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패브릭 전시물용 액자{Frame for fabric exhibition}
본 발명은 그림, 사진, 디자인 등의 전시물을 벽에 구비할 수 있도록 한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카프와 같이 가장자리를 따라 바깥 방향으로 당겨주지 않으면 면 형상을 평탄하게 유지할 수 없는 패브릭 소재의 전시물을 설치하기 위한 패브릭 전시물용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에 그려진 그림이나 현상된 사진을 구겨지지 않도록 편평한 상태로 오래 전시하기 위하여 액자에 구비하여 보관하는데, 근래에는 종이가 아닌 다양한 모양과 형상이 표현된 스카프 등과 같은 패브릭 소재의 전시물을 구비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패브릭 소재의 전시물은 종이와 달리 편평한 상태가 자연적으로 유지되지 않아 구비가 곤란한 점이 있는바, 이런 곤란함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2662호에서 '자석을 이용한 스카프용 액자'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액자 프레임의 후면부에 줄자석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전시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줄자석을 마련하여 액자를 구성하는데, 고정용 줄자석의 휘어지는 성질 때문에 전시물이 비틀려 안정적으로 구비되지 못할 뿐 아니라 줄자석끼리 서로 엉키어 분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길게 연장된 줄자석을 설치하는 과정이 번거롭다는 문제 또한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266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카프와 같이 유연한 패브릭 소재의 전시물을 주름없이 편평한 상태로 간편하게 펼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패브릭 전시물용 액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패브릭 전시물용 액자는, 관통된 중앙부에 전면커버가 구비되는 한편 전면커버의 후면에는 패브릭 형태의 전시물이 구비되는 틀 프레임; 틀 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매립되게 구비되는 자성체; 패브릭 전시물 후면에서 틀 프레임의 내주면 측으로 이동되어 밀착되면서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부착 고정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패브릭 전시물용 액자를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고정편은 틀 프레임의 양 코너 사이에서 틀 프레임의 내주면에 부착 고정되는 직선형 고정편과, 틀 프레임의 각 코너에서 틀 프레임의 내주면에 부착 고정되는 절곡형 고정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편은 전시물의 후면에 밀착되어 접하는 바닥접합면과, 바닥접합면에서 절곡되어 틀 프레임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접하는 측부접합면을 포함하고, 각 고정편의 측부접합면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영역에는 마감판이 압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다른 예로는, 고정편 중 일측의 고정편에는 측부접합면에서 바닥접합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부접합면이 더 구비되어, 상부접합면과 바닥접합면 사이로 마감판의 일측이 삽입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틀 프레임의 각 내주면에는 각각의 마감부직포가 돌출되게 구비되어 서로 포개어진 상태로 패브릭 전시물을 보호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자성체 및 마감부직포가 구비된 틀 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이를 마감하는 마감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자성체는 그 일측면이 틀 프레임의 내주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매립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브릭 전시물용 액자에 따르면, 액자의 전면커버 위에 놓인 스카프와 같이 유연한 패브릭 소재의 전시물을 다수의 고정편을 이용하여 주름없이 간편하게 편평한 상태로 펼쳐 설치하게 됨으로써 힘이 약한 여성이나 노약자도 패브릭 전시물을 액자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결합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틀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고정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에 패브릭 전시물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전시물의 설치 전 상태이고, 도 5b는 고정편에 의해 전시물을 편평하게 펴는 상태이며, 도 5c는 고정편이 설치된 상태이고, 도 5d는 마감부직포를 서로 포개어 고정하는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패브릭 전시물용 액자 및 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브릭 전시물용 액자(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된 중앙부에 전면커버(300)가 구비되는 한편 전면커버(300)의 후면에는 패브릭 형태의 전시물(310)이 구비되는 틀 프레임(110)과, 틀 프레임(110)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매립되게 구비되는 자성체(200)와, 패브릭 전시물(310) 후면에서 틀 프레임(110)의 내주면 측으로 이동되어 밀착되면서 자성체(200)의 자력에 의해 부착 고정되는 고정편(600)(600a)(600b)을 포함한다.
먼저, 틀 프레임(110)은 그 중앙부가 관통된 사각 링의 형태로 구비된 것을 일례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틀 프레임(110)은 상하좌우의 각 프레임이 상호 연결된 사각 형태로 구비되고, 각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부(111)가 형성된다. 이로써, 틀 프레임(110)을 이루는 각 프레임은 도 3에서와 같이 "ㄴ"자 형태로 단차진 단면 구조로 형성된다.
게다가, 도 2를 기준으로 단턱부(111) 위의 틀 프레임(110)의 내주면에는 자성체(200)가 일정 간격마다 매립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자성체(200)는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통형으로 형성된 영구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고, 틀 프레임(110)의 내주면에 매립시에는 자성체(200)의 일측 표면이 틀 프레임(110)의 내주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매립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자성체(200)의 자력이 후술될 고정편(600)(600a)(600b)에 작용될 때 방해되는 저해 요소를 최소화하여 자력이 원활히 작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틀 프레임(110)의 각 내주면에는 각각의 마감부직포(400)가 구비되되, 마감부직포(400)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일측부(일측변)가 틀 프레임(110)의 내주면을 덮은 상태로 고정되게 구비되고, 반대편의 타측부(꼭지점 부분)는 틀 프레임(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마감부직포(400)의 일측부가 틀 프레임(110)의 각 내주면을 덮어 마감한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자성체(200)는 틀 프레임(110)의 내주면에 매립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자성체(200)에 후술될 고정편(600)(600a)(600b)이 부착 고정될 시 고정편(600)(600a)(600b)의 움직임에 따라 자성체(200)가 틀 프레임(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원천 차단하여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마감부직포(400)의 일측부는 틀 프레임(110)의 내주면에 접착제로 접착 고정될 수도 있고, 또는 양면테이프로 접착 고정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이플러(stapler)로 결합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예시하였다.
또한, 각 마감부직포(400)의 타측부는 틀 프레임(110)의 내측으로 구비되면, 4개의 마감부직포(400)가 차례로 포개어진 상태로 패브릭 전시물(310)을 덮어 보호하게 되는 바, 이때 마감부직포(400)에는 포개어진 마감부직포(4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벨크로나 양면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암수 한쌍으로 이루어진 벨크로(410)(411)를 그 일례로 예시하였다.
특히, 암수 한쌍의 벨크로(410)(411)는 각 마감부직포(400)의 전후 양면에 각각 구비되어 포개어지는 마감부직포(400)가 벨크로(410)(411)에 의해 차례로 부착 고정될 수 있고, 또는 4개의 마감부직포(400) 중 세번째와 네번째로 덮혀지는 마감부직포(400)의 마주하는 전,후면에 암 벨크로(411)와 수 벨크로(410)가 각각 구비되어 세번째와 네번째의 마감부직포(400)를 벨크로(410)(411)로서 부착 고정하여 포개진 전 마감부직포(400)를 고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자의 경우를 일례로 예시하였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마감부직포(400)가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일례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자성체(200)와 마감부직포(400)가 구비된 틀 프레임(110)의 전 내주면에는 이를 마감하는 마감재(500)가 구비되고, 마감재(500)는 그 일면의 접착면이 보호필름이 보호된 테이프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마감재(500)를 마감부직포(400) 위에 테이핑하여 구비함으로써 마감부직포(400)의 고정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감부직포(400)와 더불어서 자성체(200)의 매립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틀 프레임(110)에는 전면커버(300)와, 패브릭 전시물(310), 다수의 고정편(600)(600a)(600b), 마감판(320)이 차례로 결합되어 구비된다.
전면커버(300)는 투명한 유리판이나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진 사각판으로 틀 프레임(110)의 단턱부(111) 후면에 밀착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전면커버(300)는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후술될 고정편(600)(600a)(600b)과 마감판(320)의 가압력 및 마감부직포(400)에 의해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커버(300)의 후면에는 스카프와 같은 패브릭 전시물(310)이 밀착되게 구비됨으로써, 패브릭 전시물(310)은 투명한 전면커버(300)에 의해 안전하게 보호된 상태로 감상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패브릭 전시물(310)의 후면에는 후술될 고정편(600)(600a)(600b)에 의해 마감판(320)이 압입되어 구비됨으로써 패브릭 전시물(310)을 전면커버(300)에 밀착시킨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더하여 마감판(320)의 후면에는 전술한 마감부직포(400)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로 덮혀져 고정됨으로써 마감판(320)의 결합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마감부직포(400)가 마감판(320)의 후면에서 서로 포개어진 상태로 덮혀짐으로써 틀 프레임(110) 내에 구비되는 모든 구성들은 외부 노출 및 이탈이 차단된 상태로 구비된다.
한편, 고정편(600)(600a)(600b)은 자성체(200)의 자력에 의해 자성체(200)에 부착 고정되는 금속재로서, 틀 프레임(110)에 마감판(320)을 구비하기 전에 패브릭 전시물(310)의 후면에서 패브릭 전시물(310)을 편평하게 폄과 동시에 편평하게 펼쳐진 패브릭 전시물(310)의 평활도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편(600)(600a)(600b)은 도 4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 프레임(110)의 양 코너 사이의 직선구간에서 틀 프레임(110)의 내주면에 부착 고정되는 직선형 고정편(600)과, 틀 프레임(110)의 각 코너에서 틀 프레임(110)의 내주면에 부착 고정되는 절곡형 고정편(600a)을 포함한다.
직선형 고정편(600)은 도 2 및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 프레임(110)의 내주면 중 직선구간에 대응한 일자형 즉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절곡형 고정편(600a)은 도 2 및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 프레임(110)의 내주면 중 코너구간에 대응한 "ㄴ"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직선형 및 절곡형 고정편(600)(600a)은 모두 "ㄴ"자 단면으로 형성되는 바, 구체적으로는 패브릭 전시물(310)의 후면에 밀착되어 접하는 바닥접합면(610)과, 바닥접합면(610)에서 수직하게 상향 절곡되어 틀 프레임(1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접하는 측부접합면(620)을 포함한다.
이때, 측부접합면(620)은 틀 프레임(110)의 내주면에 매립된 자성체(200)에 의해 부착 고정됨으로써 틀 프레임(110)의 내주면에 견고히 밀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직선형 고정편(600)과 절곡형 고정편(600a)이 틀 프레임(110)의 전 내주면에 구비됨에 따라 각 고정편(600)(600a)의 측부접합면(620)이 이루는 내부 공간(내부 영역)에 마감판(320)이 압입되어 구비된다.
이로써, 마감판(320)이 각 고정편(600)(600a)의 바닥접합면(610)에 밀착되어 구비됨에 따라 각 고정편(600)(600a)이 패브릭 전시물(310)을 가압하여 지지하게 됨으로써 패브릭 전시물(310)을 편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고정편 중 틀 프레임(110)의 일측편에 위치되는 고정편(600b)은 도 2 및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단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고정편 중 일측의 고정편(600b)은 측부접합면(620)의 상단부에서 바닥접합면(610)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된 상부접합면(6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편(600b)의 상부접합면(630)은 바닥접합면(610)과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부접합면(630)과 바닥접합면(610) 사이로 마감판(320)의 일측편이 삽입되어 구비되도록 한 것으로, 상부접합면(630)이 마감판(320)의 외측면에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마감판(320)의 임의적 이탈을 원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부접합면(630)을 갖는 고정편(600b)은 마감판(320)의 조립성을 고려하여, 틀 프레임(110)의 일측편에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접합면(630)을 바닥접합면(610)보다 더 길게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부접합면(630)과 마감판(320) 간의 접촉면적이 더 넓어져 마감판(320)의 지지효과를 극대화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에 패브릭 전시물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a에서와 같이, 틀 프레임(110)의 단턱부(111)에 구비된 전면커버(300)가 바닥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틀 프레임(110)에 구비된 다수의 마감부직포(400)를 각각의 외측 방향으로 펼쳐 놓는다.
이 상태에서 전면커버(300) 위(후면)에 패브릭 전시물(310)을 올려 펼친 상태로 구비하고, 펼쳐진 패브릭 전시물(310)은 도 5b에서와 같이 틀 프레임(110)보다 큰 면적을 가지므로, 전면커버(300) 위에 포개진 상태의 패브릭 전시물(310)은 그 테두리가 틀 프레임(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때, 스카프와 같은 유연한 패브릭 재질의 특성상 전면커버(300) 위에 올려진 전시물(310)은 주름진 상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도 5b에서와 같이 각각의 고정편(600)(600a)(600b)을 차례로 패브릭 전시물(310)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패브릭 전시물(310)의 중심에서 틀 프레임(110)의 각 내주면 측으로 각각 밀어 이동시킨다.
그러면, 패브릭 전시물(310) 위에서 이동되는 각 고정편(600)(600a)(600b)은 이의 바닥접합면(610)이 패브릭 전시물(310)에 안착된 상태로 이동되므로 주름진 패브릭 전시물(310)이 고정편(600)(600a)(600b)의 이동 방향으로 편평하게 펼쳐지고, 고정편(600)(600a)(600b)의 이동은 고정편(600)(600a)(600b)의 측부접합면(620)이 틀 프레임(110)의 내주면에 접할 때까지 이루어지게 되며, 고정편(600)(600a)(600b)의 측부접합면(620)이 틀 프레임(110)의 내주면에 접하게 되면 틀 프레임(110)에 매립된 자성체(200)의 자력에 의해 부착 고정된다.
따라서, 전면커버(300) 위에서 편평하게 펼쳐진 패브릭 전시물(310)은 다수의 고정편(600)(600a)(600b)에 의해 편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구비된다.
이후, 편평하게 펼쳐진 패브릭 전시물(310) 위에 마감판(320)을 구비하는데, 이 마감판(320)은 틀 프레임(110)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된 고정편(600)(600a)의 측부접합면(620) 사이의 내부로 압입되어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고정편(600)(600a) 중 틀 프레임(110)의 일측 내주면에는 상부접합면(630)을 갖는 "ㄷ"자 형상의 고정편(600b)이 구비될 수 있는 바, 이 경우는 마감판(320)의 일측편을 "ㄷ"자 형상의 고정편(600b)에 삽입하여 끼우면서 나머지 3면의 내주면에 구비된 "ㄴ"자 형상의 고정편(600)(600a) 사이에 마감판(320)을 압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특히, "ㄷ"자 형상이 고정편(600b)이 구비된 경우는 마감판(320)을 틀 프레임(110)에 더욱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마감판(320)의 임의적인 이탈을 원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마감판(320)을 고정한 후에는 도 5d에서와 같이 틀 프레임(110)의 외측 방향으로 펼쳐져 있는 각각의 마감부직포(400)를 틀 프레임(110)의 내측으로 회전시켜 서로 포갠 상태로 구비하고, 포개진 마감부직포(400)를 벨크로(410)(411)로서 부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포개진 다수의 마감부직포(400)는 벨크로(410)(411)에 의해 견고히 포개진 상태로 고정되어 마감판(320)을 지지하게 되므로 패브릭 전시물(310)은 전면커버(300)에 편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밀착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액자(100)에 패브릭 전시물(310)을 설치할 시에는 전면커버(300) 위에 구비된 패브릭 전시물(310) 상에서 다수의 고정편(600)(600a)(600b)을 밀어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 패브릭 전시물(310)을 편평하게 편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여성이나 노약자 그 누구도 패브릭 전시물(310)을 본 발명의 액자(100)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액자 110 : 틀 프레임
111 : 단턱부 200 : 자성체
300 : 전면커버 310 : 패브릭 전시물
320 : 마감판 400 : 마감부직포
410,411 : 벨크로 500 : 마감재
600,600a,600b : 고정편 610 : 바닥접합면
620 : 측부접합면 630 : 상부접합면

Claims (7)

  1. 관통된 중앙부에 전면커버가 구비되는 한편 전면커버의 후면에는 패브릭 형태의 전시물이 구비되는 틀 프레임;
    틀 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매립되게 구비되는 자성체;
    패브릭 전시물 후면에서 틀 프레임의 내주면 측으로 이동되어 밀착되면서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부착 고정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패브릭 전시물용 액자로서,
    고정편은 틀 프레임의 양 코너 사이에서 틀 프레임의 내주면에 부착 고정되는 직선형 고정편과, 틀 프레임의 각 코너에서 틀 프레임의 내주면에 부착 고정되는 절곡형 고정편을 포함하는 한편,
    고정편은 전시물의 후면에 밀착되어 접하는 바닥접합면과, 바닥접합면에서 절곡되어 틀 프레임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접하는 측부접합면을 포함하고,
    각 고정편의 측부접합면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영역에는 마감판이 압입되어 구비되고,
    서로 포개어진 상태로 패브릭 전시물을 보호하도록 틀 프레임의 각 내주면에는 각각의 마감부직포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자성체 및 마감부직포가 구비된 틀 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이를 마감하는 마감재가 더 구비되되,
    마감재를 마감부직포 위에 구비함으로써 마감부직포와 더불어서 자성체의 매립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패브릭 전시물용 액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편 중 일측의 고정편에는 측부접합면에서 바닥접합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부접합면이 더 구비되어, 상부접합면과 바닥접합면 사이로 마감판의 일측이 삽입되어 구비되는 패브릭 전시물용 액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자성체는 그 일측면이 틀 프레임의 내주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매립되어 구비되는 패브릭 전시물용 액자.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109169A 2021-08-19 2021-08-19 패브릭 전시물용 액자 KR102358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169A KR102358822B1 (ko) 2021-08-19 2021-08-19 패브릭 전시물용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169A KR102358822B1 (ko) 2021-08-19 2021-08-19 패브릭 전시물용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822B1 true KR102358822B1 (ko) 2022-02-08

Family

ID=80251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169A KR102358822B1 (ko) 2021-08-19 2021-08-19 패브릭 전시물용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8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718Y1 (ko) * 2007-07-10 2008-06-30 박화만 섬유장식물용 액자.
KR20180002674U (ko) * 2017-03-04 2018-09-12 서지성 자석을 이용한 액자 배면판 고정 방법
KR200492662Y1 (ko) 2019-05-27 2020-11-18 홍원경 자석을 이용한 스카프용 액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718Y1 (ko) * 2007-07-10 2008-06-30 박화만 섬유장식물용 액자.
KR20180002674U (ko) * 2017-03-04 2018-09-12 서지성 자석을 이용한 액자 배면판 고정 방법
KR200492662Y1 (ko) 2019-05-27 2020-11-18 홍원경 자석을 이용한 스카프용 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47850A1 (en) Self-closing entryway partition
US10909274B2 (en) Screen protection filter
US20170205025A1 (en) Screen-holding structure to prevent sagging screen phenomenon
US20190138737A1 (en) Magnetic privacy screen with shutter
KR102358822B1 (ko) 패브릭 전시물용 액자
GB2505055A (en) Transparent shell for luggage
US10959548B2 (en) Fitted mattress covering
US20220081963A1 (en) Self-closing entryway for door-frame
AU2014100899A4 (en) Positioning device for an automobile sunshade
JP2011247486A (ja) 換気口カバー構造体
JP3199807U (ja) ハンドバッグ
KR20170002851U (ko) 스크린 패널 조립체
JP6648378B2 (ja) パネル体
KR200492662Y1 (ko) 자석을 이용한 스카프용 액자
JP6808705B2 (ja) スクリーン保護フィルタ
KR200468465Y1 (ko) 퍼즐 조립체
US20190071924A1 (en) Self-Adhesive Blackout Shade
KR200493345Y1 (ko) 시트 보호형 액자
CN210930785U (zh) 一种磁吸式自动闭合门帘
JP2546606Y2 (ja) 換気扇カバー
CN210520650U (zh) 一种证件框结构
KR200460423Y1 (ko) 게시물 부착용 다기능 보드
KR200497069Y1 (ko) 스크린 패널 조립체
JP6247158B2 (ja) フィルター構造体
KR20160086456A (ko) 핸드폰용 햇빛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