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222B1 - 자동차 부품용 머시닝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부품용 머시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222B1
KR102358222B1 KR1020200117805A KR20200117805A KR102358222B1 KR 102358222 B1 KR102358222 B1 KR 102358222B1 KR 1020200117805 A KR1020200117805 A KR 1020200117805A KR 20200117805 A KR20200117805 A KR 20200117805A KR 102358222 B1 KR102358222 B1 KR 102358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unit
component
mov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환
Original Assignee
홍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환 filed Critical 홍영환
Priority to KR1020200117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8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tubes or other hollow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27Combined feeding and 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용 머시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부품용 머시닝 장치는 다수 개의 부품(W)을 차례대로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키는 부품 호퍼(11); 부품 호퍼(11)로부터 각각의 부품(W)을 분리시켜 이동시키는 투입 모듈(12); 투입 모듈(12)에 의하여 이동된 부품(W)을 가공 위치로 유도하는 유도 모듈(13); 및 유도 모듈(13)에 의하여 유도된 부품(W)을 고정하여 왕복 운동에 의하여 가공 위치에 고정하거나 또는 가공 위치로부터 분리시키는 부품 고정 모듈(16); 부품 고정 모듈(16)에 의하여 고정된 부품(W)을 가공하는 프레스 펀칭 모듈(15); 및 프레스 펀칭 모듈(15)에서 가공된 부품(W)을 이동시키는 배출 유도 모듈(17)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부품용 머시닝 장치{A Machining Apparatus for A Vehicle Component}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용 머시닝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자동차의 베어링에 결합되는 부품을 정밀하게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자동차 부품용 머시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다수의 부품의 조립에 의하여 만들어지고, 자동차의 대량 생산 과정에서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동일 부품은 자동화가 된 공정 과정을 통하여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자동차 부품은 머시닝 공정, 단조 공정 또는 이와 유사한 공정에 의하여 균일한 특성을 가지도록 대량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 전달 장치를 위한 허브 베어링을 형성하는 케이지는 볼이 결합되는 다수 개의 창(window)을 포함하고, 다수 개의 창은 프레스 펀칭 공정 또는 브로칭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부품 가공을 위한 브로칭 머신과 관련하여 특허공개번호 10-2015-0111827은 오토 로딩 수단을 가지는 브로칭 머신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10-1779067은 툴이동형 브로칭 머신에 대하여 개시한다. 그러나 개시된 브로칭 머신에 의하여 내구성 및 정밀도를 가진 자동차용 부품의 대량 가공이 어렵다. 그러므로 균일한 특성을 가지면서 이와 동시에 자동차용 부품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내구성 및 정밀도를 가진 머시닝 장치가 개발될 필요가 있지만 선행기술 또는 공지 기술은 이와 같은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특허문헌 1: 특허공개번호 10-2015-0001347(한국브로치주식회사, 2015.10.06. 공개) 오토로딩 수단을 가지는 브로칭 머신 특허문헌 2: 특허등록번호 10-1779067(한국브로치주식회사, 2017.09.18. 공고) 툴이동형 브로칭머신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 들어 다수 개의 창이 형성된 자동차용 베어링과 같은 자동차용 부품이 내구성 및 정밀도를 가지면서 연속적으로 가공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부품용 머시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자동차 부품용 머시닝 장치는 다수 개의 부품을 차례대로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키는 부품 호퍼; 부품 호퍼로부터 각각의 부품(W)을 분리시켜 이동시키는 투입 모듈; 투입 모듈에 의하여 이동된 부품을 가공 위치로 유도하는 유도 모듈; 및 유도 모듈에 의하여 유도된 부품을 고정하여 왕복 운동에 의하여 가공 위치에 고정하거나 또는 가공 위치로부터 분리시키는 부품 고정 모듈; 부품 고정 모듈에 의하여 고정된 부품(W)을 가공하는 프레스 펀칭 모듈; 및 프레스 펀칭 모듈에서 가공된 부품을 이동시키는 배출 유도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투입 모듈은 부품은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분리 유닛 및 분리 유닛에서 분리된 부품을 경사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정렬시키는 경사 정렬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도 모듈은 앞쪽 끝 부분에 부품이 수용되는 수용 포켓이 형성되어 선형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한 투입 모듈의 끝 부분에 형성된 부품 유도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프레스 펀칭 모듈은 상하 이동이 가능한 프레스 유닛; 부품(W)의 위치를 설정하면서 펀칭 과정에서 부품(W)을 받치는 받침 유닛; 및 부품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프레스 유닛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펀칭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품 고정 모듈은 유도 모듈로부터 유도된 부품을 고정하여 부품 고정 모듈로 이동시키는 이동 핸드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품 고정 모듈은 프레스 펀칭 가공 과정에서 부품을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품은 실린더 형상을 가지면서 둘레 면을 따라 다수 개의 창이 형성된 자동차용 베어링 부품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부품용 머시닝 장치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허브 베어링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창이 형성된 케이지가 내구성 및 정밀성을 가지면서 연속적으로 가공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 장치는 적절한 설계 변형에 의하여 내구성 및 정밀도가 요구되는 다양한 자동차용 부품의 가공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부품용 머시닝 장치의 실시 예에 대한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 장치에 적용되는 부품 공급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 장치에 적용되는 창 가공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 장치에 적용되는 부품 고정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부품용 머시닝 장치의 실시 예에 대한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자동차 부품용 머시닝 장치는 다수 개의 부품(W)을 차례대로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키는 부품 호퍼(11); 부품 호퍼(11)로부터 각각의 부품(W)을 분리시켜 이동시키는 투입 모듈(12); 투입 모듈(12)에 의하여 이동된 부품(W)을 가공 위치로 유도하는 유도 모듈(13); 유도 모듈(13)에 의하여 유도된 부품(W)을 고정하여 왕복 운동에 의하여 가공 위치에 고정하거나 또는 가공 위치로부터 분리시키는 부품 고정 모듈(16); 부품 고정 모듈(16)에 의하여 고정된 부품(W)을 가공하는 프레스 펀칭 모듈(15); 및 프레스 펀칭 모듈(15)에서 가공된 부품(W)을 이동시키는 배출 유도 모듈(17)을 포함한다.
부품(W)은 실린더 형상을 가지면서 둘레 면을 따라 다수 개의 창이 형성된 자동차용 베어링 부품이 된다.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부품은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 또는 드럼 형상이 되는 몸체(B) 및 원형 띠 형상의 몸체(B)에 형성된 다수 개의 분리 창(SW_1 내지 SW_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분리 창(SW_1 내지 SW_N)에 볼이 결합되어 자동차용 허브 베어링을 형성할 수 있다. 다수 개의 분리 창(SW_1 내지 SW_N)은 예를 들어 6 내지 10개가 될 수 있고, 머시닝 장치에 의하여 프레스 펀칭 가공 또는 브로칭(broaching) 가공에 의하여 몸체(B)에 다수 개의 분리 창(SW_1 내지 SW_N)이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 이와 같이 분리 창(SW_1 내지 SW_N)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된다.
분리 창(SW_1 내지 SW_N)이 형성되지 않은 다수 개의 부품(W)이 부품 호퍼(11)에 준비될 수 있고, 부품 호퍼(11)는 내부에 이동 경로가 형성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부품 호퍼(11)로부터 가공이 되어야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W)이 투입 모듈(12)로 공급될 수 있다. 투입 모듈(12)은 각각의 부품(W)을 분리시키는 기능과 분리된 부품(W)을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부품(W)이 정해진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투입 모듈(12)은 한쪽 끝이 부품 호퍼(11)와 연결되면서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리 경로(121); 분리 경로(121)의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각각의 부품(W)을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유닛(122); 및 승강 유닛(122)으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 유도로(1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 경로(121)는 예를 들어 속이 빈 사각형 단면을 가지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기의 이동 경로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부품(W)의 분리를 위하여 승강 유닛(122)이 분리 경로(121)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승강 유닛(122)의 아래쪽 끝 부분에 부품(W)의 수용을 위한 수용 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부품 호퍼(11)에 이동 가압 유닛(111)이 설치될 수 있고, 승강 유닛(122)의 수용 부위로 하나의 부품(W)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 가압 유닛(111)은 작동 실린더 및 작동 실린더에 의하여 왕복 운동을 하는 밀개(pusher)를 포함할 수 있고, 밀개에 의하여 부품(W)이 수용 부위로 이동될 수 있다. 승강 유닛(122)이 위쪽으로 이동되고, 수용 부위에 수용된 부품(W)이 경사 유도로(123)이 이동될 수 있다. 경사 유도로(123)은 아래쪽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연장될 수 있고, 바닥 면과 양쪽 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사 유도로(123)는 부품(W)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고, 부품(W)이 구르는 방식으로 경사 유도로(123)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경사 유도로(123)를 이동되면서 부품(W)은 둘레 면이 바닥 면에 접촉되는 상태가 되면서 정렬이 될 수 있다. 경사 유도로(123)의 끝 부분에 유도 모듈(13)이 형성될 수 있고, 부품(W)은 유도 모듈(13)에 형성된 대기 유닛(131)에 위치할 수 있다. 유도 모듈(13)은 부품(W)이 대기 상태로 유지되는 대기 유닛(131); 판 형상의 되면서 프레임(F1, F2, F3)에 의하여 지지되는 베이스(B)에 설치되는 가이드 유닛(132); 및 가이드 유닛(132)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운동을 하는 부품 유도 유닛(133)을 포함할 수 있다. 대기 유닛(131)에 부품(W)이 위치하면, 부품 유도 유닛(133)이 가이드 유닛(132)을 따라 이동하면서 대기 유닛(131)에 위치하는 부품을 이동시킬 수 있다. 부품 유도 유닛(133)은 구동 수단에 의하여 선형 왕복 운동을 할 수 있고, 부품 유도 유닛(133)의 앞쪽에 부품을 잡거나, 놓을 수 있는 클램프 또는 핸드가 설치될 수 있다. 부품 유도 유닛(133)에 의하여 부품(W)이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면, 부품 고정 모듈(16)이 작동될 수 있다.
부품 고정 모듈(16)은 선형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는 이동 유도 블록(161)을 포함할 수 있고, 이동 유도 블록(161)의 앞쪽 끝 부분에 부품(W)의 고정을 위한 고정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유도 블록(161)이 프레스 펀칭 모듈(15)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고정 수단에 부품(W)이 고정되어 이동될 수 있다. 부품(W)이 프레스 펀칭 모듈(15)의 가공 위치로 이동되면, 프레스 펀칭 모듈(15)이 작동될 수 있다. 프레스 펀칭 모듈(15)의 작동에 의하여 부품(W)에 분리 창(SW_1 내지 SW_N)이 차례대로 가공될 수 있고. 부품 고정 수단(16)은 각각의 분리 창(SW_1 내지 SW_N)의 가공을 위하여 부품(W)을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스 펀칭 모듈(15)에 의하여 부품(W)에 정해진 수의 분리 창(SW_1 내지 SW_N)이 형성되면, 부품 고정 모듈(16)이 뒤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부품(W)은 부품 고정 모듈(16)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공이 될 수 있고, 부품(W)의 가공이 완료되면 부품 고정 모듈(16)은 뒤쪽으로 이동되어 부품(W)을 배출 유도 모듈(17)로 전달하고, 다시 새로운 부품(W)의 고정을 위하여 뒤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배출 유도 모듈(17)이 가공이 완료된 부품(W)을 저장 호퍼 모듈(18)로 이송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배출 유도 모듈(17)은 아래쪽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연장되는 배출 유도 경로(171) 및 배출 유도 경로(171)로부터 연장되는 검사 경로(17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품 고정 모듈(16)에 의하여 배출 유도 경로(171)로 전달된 부품(W)은 경사로를 따라 이동되어 검사 경로(172)로 이동될 수 있다. 검사 경로(172)에 부품(W)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하 또는 좌우 이동이 가능한 이동 제한 수단이 설치될 수 있고, 검사 경로(172)에 부품(W)의 가공 상태가 검사될 수 있다. 그리고 검사가 완료된 부품(W)이 저장 호퍼 모듈(18)로 이동될 수 있다. 만약 검사 과정에서 부품(W)이 불량으로 판정되면 별도로 분리되어 배출될 수 있다. 저장 호퍼 모듈(18)은 다수 개의 부품(W)이 정렬되어 저장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사각 판 형상이 될 수 있다. 저장 호퍼 모듈(18)에 저장된 부품(W)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마무리 공정이 진행될 수 있고, 마무리 공정에 의하여 완성된 부품(W)은 자동차 조립 공정에 투입될 수 있다. 분리 창(SW_1 내지 SW_N)이 형성된 부품(W)은 다양한 방법으로 배출되어 저장될 수 있고, 분리 창(SW_1 내지 SW_N)이 형성된 부품(W)에 대하여 다양한 형태의 마무리 공정이 진행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 장치에 적용되는 부품 공급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도 모듈(13)은 앞쪽 끝 부분에 부품(W)이 수용되는 수용 포켓(134)이 형성되어 선형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한 투입 모듈(12)의 끝 부분에 형성된 부품 유도 유닛(133)을 포함한다. 투입 모듈의 경사 유도로(123)를 따라 이동된 부품(W)은 유도 모듈의 대기 유닛(131)에 위치될 수 있다. 대기 유닛(131)은 경사 유도로(123)를 따라 정렬되어 이동되는 부품(W)의 정렬 방향이 유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대기 유닛(131)에 위치하는 부품(W)은 부품 유도 유닛(133)의 앞쪽에 형성된 수용 포켓(134)이 이동될 수 있고, 부품(W)의 정렬 상태가 유지되면서 수용 포켓(134)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수용 포켓(134)에 부품(W)이 수용되면 부품 유도 유닛(133)은 가이드 유닛(13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유닛(132)은 평면 형상의 베이스(B)의 위쪽 면에 선형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부품 유도 유닛(133)은 가이드 유닛(132)을 따라 왕복 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부품 유도 유닛(133)에 의하여 부품(W)이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면 위에서 설명된 부품 고정 모듈에 의하여 부품(W)이 프레스 펀칭 모듈로 이동될 수 있다. 부품 유도 유닛(133)의 이동 방향과 부품 고정 모듈의 이동 방향을 서로 수직이 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부품(W)은 정렬된 상태로 부품 고정 모듈에 의하여 프레스 펀칭 모듈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 장치에 적용되는 창 가공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프레스 펀칭 모듈(15)은 상하 이동이 가능한 프레스 유닛(32); 부품(W)의 위치를 설정하면서 펀칭 과정에서 부품(W)을 받치는 받침 유닛(35); 및 부품(W)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프레스 유닛(32)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펀칭 유닛(37)을 포함한다. 부품 고정 모듈의 이동 유도 블록(161)에 의하여 부품(W)이 프레스 펀칭 모듈(15)로 이동될 수 있다. 프레스 펀칭 모듈(15)은 다수 개의 유도 축(33a, 33b)에 의하여 유도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이 되는 이동 가압 유닛(31); 이동 가압 유닛(31)에 위쪽 부분이 결합되어 이동 가압 유닛(31)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프레스 유닛(32); 부품(W)의 펀칭 과정에서 부품(W)의 아래쪽에서 부품(W)을 받치는 받침 유닛(35); 및 부품(W)의 내부로 삽입되어 부품(W)을 가공하는 펀칭 유닛(37)을 포함할 수 있다. 펀칭 유닛(37)에 의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부품(W)에 다수 개의 분리 창이 형성될 수 있다. 부품(W)은 이동 유도 블록(161)의 앞쪽 끝 부분에 고정된 상태에서 받침 유닛(35)의 위쪽으로 이동될 수 있고, 받침 유닛(35)의 위쪽에 위치하면서 부품(W)의 내부에 펀칭 유닛(37)이 위치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부품(W)의 내부에 펀칭 유닛(37)이 위치할 수 있고, 펀칭 유닛(37)은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 되면서 아래쪽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분리 창이 형성되도록 하는 펀치(37a)를 가질 수 있다. 펀칭 유닛(37)의 펀칭 축(371)의 앞쪽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펀칭 축(371)은 상하로 이동되는 유동 블록(36)의 내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펀칭 축(371)이 결합될 수 있다. 유동 블록(36)의 앞쪽에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블록 캡(361)이 형성될 수 있고, 유동 블록(36)의 유도 블록(39)에 의하여 이동 가압 유닛(31) 또는 프레스 유닛(32)에 결합될 수 있다. 유동 블록(36)의 아래쪽은 받침 진동 블록(353)에 의하여 받쳐질 수 있고, 받침 진동 블록(353)은 균형 유도 모듈(38)에 의하여 정해진 거리만큼 상하로 진동될 수 있다. 펀치 유닛(37)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펀치(37a)에 의하여 부품(W)에 다수 개의 분리 창이 형성될 수 있고, 분리 창의 형성의 위한 부품(W)의 회전 각도가 기준 회전각(RA1 내지 RAN)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이동 가압 유닛(31)이 유도 축(33a, 33b)을 따라 상하로 진동하면 이에 따라 프레스 유닛(32)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프레스 유닛(32)의 상하 이동을 유도하는 다수 개의 균형 축(34a, 34b)가 설치될 수 있고, 프레스 유닛(32)의 이동에 따라 유도 블록(39)이 상하로 진동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도 블록(39)에 결합된 유동 블록(36)이 상하로 진동되면서 부품(W)의 내부에 위치하는 펀칭 유닛(37)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펀치(37a)에 의하여 분리 창이 형성될 수 있다. 가공 과정에서 부품(W)은 받침 유닛(35)에 의하여 받쳐질 수 있고, 받침 유닛(35)에 탄성 수단이 설치되어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받침 유닛(35)은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 유도 블록(351) 및 부품(W)에 접촉되는 접촉 유닛(352)을 포함할 수 있고, 접촉 유닛(352)은 부품(W)의 아래쪽을 받치면서 분리 창의 형성 과정에서 부품(W)을 관통하는 펀치(37a)의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부품(W)의 가공 과정에서 받침 유닛(35) 또는 접촉 유닛(352)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가공이 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은 받침 블록(35) 또는 부품(W)을 받치는 수단의 상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하여 균형 유도 모듈(38)이 설치될 수 있다. 균형 유도 모듈(38)은 압력 작동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균형 유도 모듈(38)에 한쪽 부분이 서로 결합되면서 가위 형상으로 연장되는 압력 균형 유닛(381a, 381b)가 연결될 수 있고, 압력 균형 유닛(381a, 381b)의 각각의 끝 부분이 균형 유도 유닛(382)의 서로 다른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균형 유도 유닛(382)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받침 수단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고, 균형 유도 모듈(38)은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압력 균형 유닛(381a, 381b)을 전후로 이동시키면서 정해진 위치로 복원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부품(W)이 부품 고정 모듈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공 공정이 진행될 수 있고, 부품 고정 모듈은 부품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면서 정해진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적절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 장치에 적용되는 부품 고정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부품 고정 모듈(16)은 유도 모듈(13)로부터 유도된 부품(W)을 고정하여 부품 고정 모듈(16)로 이동시키는 부품 핸드 유닛(166)을 포함한다. 이동 유도 블록(161)을을 따라 부품(W)이 이동되어 프레스 펀칭 모듈에 위치될 수 있다. 이동 유도 블록(161)에 선형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이동 부재(161a)의 한쪽 끝이 결합되고, 다수 개의 이동 부재(161a)는 이동 작동 유닛(163)의 작동에 의하여 앞뒤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부재(161a)에 제1 이동 브래킷(165a)이 결합될 수 있고, 제1 이동 브래킷(165)은 제1 커플러(163a)에 의하여 이동 작동 유닛(163)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이동 브래킷(165a)에 부품 이동 유닛(164)의 한쪽 끝이 결합되고, 부품 이동 유닛(164)은 선형 축 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부품 이동 유닛(164)에 제2 커플러(163b)에 의하여 이동 작동 유닛(163)에 결합되는 제2 이동 브래킷(165b)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부품 이동 유닛(163)에 부품 핸드 유닛(166)이 결합될 수 있다. 이동 작동 유닛(163)의 작동에 의하여 이동 유도 블록(161)이 이동되면서 부품 이동 유닛(164)이 이동될 수 있다. 부품 이동 유닛(164)이 앞쪽을 이동되면서 수용 포켓(134)에 위치하는 부품(W)이 부품 핸드 유닛(166)에 고정되어 프레스 펀칭 모듈로 이동될 수 있다. 부품 핸드 유닛(166)은 예를 들어 회전 조절 유닛(167)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부품(W)이 회전되면서 다수 개의 분리 창이 가공될 수 있다. 부품 고정 모듈(16)은 평면 구조를 가지는 균형 베이스(42)에 설치될 수 있고, 균형 베이스(42)의 상하 위치가 조절 수단(41)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고, 균형 베이스(42)는 탄성 축(43)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부품 고정 모듈(16)은 다양한 방법으로 부품(W)을 고정하여 프레스 펀칭 모듈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부품 호퍼 12: 투입 모듈
13: 유도 모듈 15: 프레스 펀칭 모듈
16: 부품 고정 모듈 17: 배출 유도 모듈
32: 프레스 유닛 35: 받침 유닛
37: 펀칭 유닛 37a: 펀치
121: 분리 유닛 123: 경사 정렬 유닛
133: 부품 유도 유닛 134: 수용 포켓

Claims (7)

  1. 다수 개의 부품(W)을 차례대로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키는 부품 호퍼(11);
    부품 호퍼(11)로부터 각각의 부품(W)을 분리시켜 이동시키는 투입 모듈(12);
    투입 모듈(12)에 의하여 이동된 부품(W)을 가공 위치로 유도하는 유도 모듈(13);
    유도 모듈(13)에 의하여 유도된 부품(W)을 고정하여 왕복 운동에 의하여 가공 위치에 고정하거나 또는 가공 위치로부터 분리시키는 부품 고정 모듈(16);
    부품 고정 모듈(16)에 의하여 고정된 부품(W)을 가공하는 프레스 펀칭 모듈(15); 및
    프레스 펀칭 모듈(15)에서 가공된 부품(W)을 이동시키는 배출 유도 모듈(17)을 포함하고,
    부품(W)은 실린더 형상을 가지면서 둘레 면을 따라 다수 개의 분리 창(SW_1 내지 SW_N)이 형성되고, 각각의 분리 창(SW_1 내지 SW_N)에 볼이 결합되어 자동차용 허브 베어링을 형성하는 자동차용 베어링 부품이 되고,
    부품 고정 모듈(16)은 프레스 펀칭 가공 과정에서 부품을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을 포함하고, 프레스 펀칭 모듈(15)의 작동에 의하여 부품(W)에 다수 개의 분리 창(SW_1 내지 SW_N)이 차례대로 가공되고,
    프레스 펀칭 모듈(15)은 다수 개의 유도 축(33a, 33b)에 의하여 유도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이 되는 이동 가압 유닛(31); 이동 가압 유닛(31)에 위쪽 부분이 결합되어 이동 가압 유닛(31)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프레스 유닛(32); 부품(W)의 펀칭 과정에서 부품(W)의 아래쪽에서 부품(W)을 받치는 받침 유닛(35); 및 부품(W)의 내부로 삽입되어 부품(W)을 가공하는 펀칭 유닛(37)을 포함하고, 펀칭 유닛(37)은 실린더 형상이 되면서 아래쪽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분리 창을 형성시키는 펀치(37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용 머시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투입 모듈(12)은 부품(W)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분리 유닛(121) 및 분리 유닛(121)에서 분리된 부품(W)을 경사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정렬시키는 경사 정렬 유닛(123)을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용 머시닝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도 모듈(13)은 앞쪽 끝 부분에 부품(W)이 수용되는 수용 포켓(134)이 형성되어 선형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한 투입 모듈(12)의 끝 부분에 형성된 부품 유도 유닛(133)을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용 머시닝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부품 고정 모듈(16)은 유도 모듈(13)로부터 유도된 부품(W)을 고정하여 부품 고정 모듈(16)로 이동시키는 이동 핸드 유닛(166)을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용 머시닝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200117805A 2020-09-14 2020-09-14 자동차 부품용 머시닝 장치 KR102358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805A KR102358222B1 (ko) 2020-09-14 2020-09-14 자동차 부품용 머시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805A KR102358222B1 (ko) 2020-09-14 2020-09-14 자동차 부품용 머시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222B1 true KR102358222B1 (ko) 2022-02-07

Family

ID=8025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805A KR102358222B1 (ko) 2020-09-14 2020-09-14 자동차 부품용 머시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2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8627A (ko) * 2009-08-18 2011-02-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단조소재 이송공급 장치
KR20150001347A (ko) 2013-06-27 2015-01-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벽 관통부의 파이어 씰링구조
KR101779067B1 (ko) 2016-11-30 2017-09-18 한국브로치주식회사 툴이동형 브로칭머신
KR102010725B1 (ko) * 2019-04-05 2019-08-13 문현식 금속 파이프 자동 천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8627A (ko) * 2009-08-18 2011-02-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단조소재 이송공급 장치
KR20150001347A (ko) 2013-06-27 2015-01-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벽 관통부의 파이어 씰링구조
KR101779067B1 (ko) 2016-11-30 2017-09-18 한국브로치주식회사 툴이동형 브로칭머신
KR102010725B1 (ko) * 2019-04-05 2019-08-13 문현식 금속 파이프 자동 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25396A1 (en) Honing machine with a machine frame and at least two unit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achine frame
CN105509674A (zh) 轴类零件检测设备
CN112324808B (zh) 一种汽车轮毂轴承外圈组件自动装配机及其装配方法
KR102358222B1 (ko) 자동차 부품용 머시닝 장치
CN110682097A (zh) 自动压合组装机构
JP3831128B2 (ja) 圧入装置
CN109058306B (zh) 用于平面推力轴承的自动装配机
JP2005271121A (ja) ワーククランプ装置
CN115070209B (zh) 移料机构及焊接装置
KR102195543B1 (ko) 소형 자동차 부품의 성형을 위한 프레스 금형 및 그에 의한 소형 자동차 부품의 제조 방법
CN115383441A (zh) 一种变速箱拨叉轴总成压装设备及压装方法
KR102568385B1 (ko) 부품 가공용 이축 브로칭 머신
CN112025234A (zh) 一种用于轴承单元组装的转盘输送装置和方法
CN109058307B (zh) 用于平面推力轴承的装配机
KR102465702B1 (ko) 자동차 부품용 브로칭 머신
KR20180072197A (ko) 차량 변속기용 부품의 스플라인 성형 장치
CN106493465A (zh) 摄像头焊接自动化机
KR100430051B1 (ko) 테이퍼 로울러 베어링용 리테이너 제조장치에 적용되는위치결정장치
CN218152055U (zh) 一种滚针轴承装针机构
CN100533113C (zh) 一种冲击试件自动化加工装置及加工方法
US6154941A (en) Crankshaft thrust face burnisher and method
CN209774077U (zh) 行星架内孔加工定位装置
JP4548581B2 (ja) 超仕上盤
CN212094207U (zh) 一种轴承保持器铆钉的快速分钉回收循环机构
KR102098060B1 (ko) 스플라인 성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