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831B1 - 장신구의 고정구 - Google Patents

장신구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831B1
KR102357831B1 KR1020217033968A KR20217033968A KR102357831B1 KR 102357831 B1 KR102357831 B1 KR 102357831B1 KR 1020217033968 A KR1020217033968 A KR 1020217033968A KR 20217033968 A KR20217033968 A KR 20217033968A KR 102357831 B1 KR102357831 B1 KR 102357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pair
alligator clip
jaw members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3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304A (ko
Inventor
히사지로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호세키 노 엔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호세키 노 엔젤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호세키 노 엔젤
Publication of KR20220002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185Attachment of fasteners to straps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76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with the two ends of the strap or chain abutting each other or sliding in the main plane or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se two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장신구의 고정구(F)는, 볼록부(1) 및 오목부(5)를 구비한다. 오목부(5)는, 한쌍의 턱부재(6과 7)를 개구/폐구 가능하게 축지지한 스프링 닫힘식의 악어입 클립(5)이다. 볼록부(1)는, 한쌍의 개구상태의 턱부재 사이(6과 7 사이)에 감입해서 걸리게 되는 걸림부재(1)이다. 악어입 클립(5)을 구성하는 한쌍의 턱부재 사이(6과 7 사이)의 내부에 하나의 흡착부재(14)를 설치하고, 또 걸림부재(1)의 전방에 다른 흡착부재(2)을 설치한다. 흡착부재(14)는, 한쌍의 턱 부재 중 어느 한쪽(여기에서는 턱부재(7))에 설치되어 있고, 또 악어입 클립(5)의 내부에 설치한 흡착부재 (14)의 전방에는 걸림부재(1)의 흡착부재(2)가 삽입될 수 있는 홀더(13)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볼록부가 되는 걸림부재가 어떤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도 오목부가 되는 악어입 클립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빠지는 일이 없으며, 조작성이 좋고, 또 결합시에는 걸림부재를 악구 클립에 확실하게 끼워 삽입할 수 있는 장신구의 고정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장신구의 고정구
본 발명은, 목걸이, 팔찌, 발찌, 열쇠 고리, 가방, 액세서리, 벨트 등의 장신구에 사용되는 장신구의 고정구(FASTENER)이다.
종래부터, 목걸이 등의 장신구에 있어서 걸림(係止)을 위한 각종의 고정구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오목부가 되는 악어입(鰐口) 클립의 한쌍의 턱부재 중 어느 한쪽의 턱부재의 내부에 자석이 설치되고, 볼록부의 걸림부재의 선단부에 자석을 설치한다. 그래서, 볼록부의 걸림부재의 선단부를, 개구된 오목부의 악어입 클립의 선단 부근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자력의 영향을 받아서 볼록부의 걸림부재가 오목부의 악어입 클립 안으로 유도되고, 오목부과 볼록부가 걸려 고정되는 고정구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또한, 액세서리에 적용되는 클래스프(clasp)로서, 액세서리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특히 한 손으로도 쉽게 접속이 가능하며, 그리고 또한 소형화가 가능한 클래스프도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
그리고 또한, 플러그에는 돌출편 밑(뿌리)에 단차가 형성되고, 본체에는 삽입홀에 삽입된 돌출편 밑의 단차에 걸려서, 돌출편의 상기 삽입홀에서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방지 기구가 설치되고, 그리고 플러그에는 돌출편의 선단에 자석이 설치되고, 본체에는 삽입홀의 안쪽에 돌출편의 자석을 끌어들이는 자석이 설치된 장신구의 물림쇠도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3 참조)
일본 특허공보 제404459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19215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3-81524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장신구의 고정구에는 아직도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첫 번째 문제점으로서, 상기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신구의 고정구의 경우, 그 결합(係合) 상태가 의도하지 않게 해제될 우려가 있다. 이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경우, 오목부의 악어입 클립 (20)과 볼록부의 걸림부재(21)를 장축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서로 역방향으로 당겨도 볼록부의 걸림부재(21)의 목부(22)가, 오목부의 악어입 클립(20)의 고정부(23)에 닿아서 걸리게 되므로 빠지는 일은 없다. 그러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인 걸림부재(21)가 오목부의 악어입 클립(20)의 장축의 중심선에 대해서 평행하지 않은 방향, 예를 들면 비스듬하게(6시 방향 등) 잡아 당겨진 경우, 볼록부의 걸림부재(21)가 오목부의 악어입 클립(20)을 구성하는 턱부재의 삽입구를 넓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악어입 클립(20)의 선단부의 삽입구가 개구되어 빠져 버릴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인용문헌 1에서는, 악어입 클립의 장축의 중심선에 대해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당겨도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 악어입 클립의 스프링재의 힘을 강하게 해서 항상 폐구(閉口)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 결과, 고정구가 대형화하거나, 오목부와 볼록부의 결합이탈(해제)시에는 악어입 클립의 후방을 아주 강한 힘으로 안쪽으로 누르지 않으면 결합이탈이 되지 않아서 매우 조작성이 나쁘다는 문제점도 있다.
두 번째 문제로서, 장신구의 고정구를 구성하는 오목부와 볼록부를 원활하게 결합할 수 없거나 또는 결합이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목걸이 등의 장신구의 고정구는 매우 작고, 또 고정구의 결합이탈 조작은 목 뒤에서 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람의 육안에 의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종래의 특허문헌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고정구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악어입 클립(30)의 개구 부근에 많은 가장자리부(緣部)(30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오목부가 되는 악어입 클립(30)이 걸림부재(31)의 흡착부재(31a)의 직경의 길이만큼 개구되어도, 충분하지 못한 개구라면 걸림부재(31)와 가장자리부(30a) 중 어느 것이 접촉되어버리고, 그 결과 원활하게 악어입 클립(30) 및 걸림부재(31)를 결합할 수 없다.
그리고 또한, 결합이탈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도 9 참조). 악어입 클립(30)이 불완전한 개구상태, 즉 오목부가 되는 악어입 클립(30)이 걸림부재(31)의 흡착부재(31a)의 직경의 길이만큼 개구해도, 악어입 클립(30)의 흡착부재(30b)는, 악어입 클립(30)의 아래의 고정부의 안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걸림부재(31)의 흡착부재(31a)는, 악어입 클립(30)의 가장자리부(30a) 또는 고정부에 닿아서 빠지지 않는다(또, 완전 개구시는, 악어입 클립(30)의 흡착부재(30b)는, 악어입 클립(30)의 장축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걸림부재(31)의 흡착부재(31a)는 고정부에 닿는 일은 없이 원활하게 이탈할 수 있다). 목 뒤 등에서의 결합이탈 조작은, 완전 개구인지 불완전 개구인지 판단할 수 없다. 그 결과, 원활하게 악어입 클립(30) 및 걸림부재(31)를 결합이탈할 수 없다.
그리고 또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3의 결합이탈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5, 도 6 또는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오목부가 되는 악어입 클립 (20)이, 걸림부재(21)의 자기부재의 직경의 길이만큼 개구되어도, 걸림부재(21)가 10시 방향으로 당겨졌을 때는, 걸림부재의 목부(22)와 고정부(23)가 접촉해버린다. 그 결과, 원활하게 악어입 클립(20) 및 걸림부재(21)를 결합이탈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볼록부가 되는 걸림부재가 어떤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도 오목부가 되는 악어입 클립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빠지는 일이 없으며, 조작성이 좋고, 또 결합시에는 걸림부재를 악어입 클립에 확실히 끼워 넣을(嵌揷) 수 있으며, 또 결합이탈시에는 악어입 클립이 걸림부재의 흡착부재의 직경만큼 개구하면, 어떤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도 고정부에 접촉하는 일이 없이 순조롭게 결합이탈될 수 있는 장신구의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신구의 한쪽의 사슬형상(鎖狀)의 단부에 설치한 오목부와, 다른 쪽의 사슬형상의 단부에 설치한 볼록부를 치합시켜서 걸리게(係止) 하는 방식의 장신구의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에는, 이들을 올바른 걸림 위치로 유도할 수 있는 부위에, 서로 흡착하는 자석의 각 한쪽을, 혹은 자석과 이에 흡착되는 금속재를, 각각 흡착부재로서 설치하고, 상기 오목부는 한쌍의 턱부재를 개구/폐구 가능하게 축지지한 스프링 닫힘식의 악어입 클립이며, 또 상기 볼록부가 한쌍의 개구상태의 턱부재 사이에 감입(嵌入)해서 걸리게 되는 걸림부재이며, 상기 악어입 클립을 구성하는 한쌍의 턱부재 사이의 내부에 한쪽의 흡착부재를 설치하고, 또 상기 걸림부재의 전방에 다른 쪽의 흡착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악어입 클립의 내부에 설치한 흡착부재가, 상기 한쌍의 턱부재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또 당해 악어입 클립의 내부에 설치한 흡착부재의 전방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흡착부재를 삽입할 수 있는 홀더를 구비하고, 또 상기 홀더는, 어느 한쪽의 턱부재의 내측에 있으며, 또 상기 홀더의 내주면은, 턱부재와 평행하게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있고, 또 걸림부재는, 삽입 이탈시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가이드면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장신구의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악어입 클립의 삽입구를 가로방향으로 한 경우, 그 개구면이 가로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홀더에는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홀더의 내부공간을, 대략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장신구의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원기둥 형상의 상기 걸림부재를 감입 가능한 원통 홀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장신구의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원통 홀더의 내주면과, 상기 한쌍의 턱부재 중 한쪽의 턱부재에 형성된 반원형의 삽입구의 노치면과의 연속면이며, 또 상기 홀더의 내주면은 삽입구와 동일한 면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장신구의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원통 홀더의 개구면의 하측 대략 절반이 상기 한쌍의 턱부재 중 한쪽 턱부재에 형성된 반원형의 삽입구에 연속하고, 상기 원통 홀더의 개구면의 상측 대략 절반이 상기 한쌍의 턱부재의 다른 쪽 턱부재와 결합 및 결합이탈 가능하며, 당해 다른 쪽의 턱부재의 단부에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고정구는, 오목부로서 한쌍의 턱부재를 개구/폐구 가능하게 축지지한 스프링 닫힘식의 악어입 클립, 볼록부로서 한쌍의 개구상태의 턱부재 사이에 감입해서 걸리게 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한다. 악어입 클립을 구성하는 한쌍의 턱부재 사이의 내부에 하나의 흡착부재를 설치하고, 또한 걸림부재의 전방에 다른 흡착부재를 설치한다. 흡착부재는, 한쌍의 턱부재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있고, 또 악어입 클립의 내부에 설치한 흡착부재의 전방에는, 걸림부재의 흡착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홀더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고정구에서는, 볼록부가 되는 걸림부재가 어떤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도 오목부가 되는 악어입 클립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빠지는 경우가 없고, 조작성이 좋으며, 또한 결합시에는 걸림부재를 악어입 클립에 확실하게 끼워 넣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장신구의 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장신구의 고정구를 구성하는 악어입 클립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장신구의 고정구를 구성하는 악어입 클립 및 걸림부재의 이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악어입 클립 및 걸림부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인용문헌1에 따른 고정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고정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인용문헌 2에 따른 고정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인용문헌 1에 따른 고정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인용문헌 2에 따른 고정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장신구의 고정구(F)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1) 및 오목부(5)를 구비한다. 오목부(5)는, 한쌍의 턱부재(6과 7)를 개구/폐구 가능하게 축지지한 스프링 닫힘식의 악어입 클립(5)이다. 볼록부(1)는, 한 쌍의 개구상태의 턱부재 사이(6과 7의 사이)에 감입해서 걸리게 되는 걸림부재(1)이다.
악어입 클립(5)을 구성하는 한쌍의 턱부재 사이(6과 7의 사이)의 내부에 하나의 흡착부재(14)를 설치하며, 걸림부재(1)의 전방에 다른 흡착부재(2)를 설치한다. 흡착부재(14)는, 한쌍의 턱부재 중 어느 한쪽(여기에서는 턱부재7)에 설치되어 있고, 또, 악어입 클립(5)의 내부에 설치한 흡착부재(14)의 전방에는, 걸림부재(1)의 흡착부재(2)가 삽입되는 홀더(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올바른 걸림 위치로 유도할 수 있는 부위란, 오목부(5)와 볼록부(1)가 확실하게 걸릴 수 있는 위치에 쌍방의 흡착부재를 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흡착부재(2) 및 (14)는 예를 들면 S극 N극으로 구성되는 한쌍의 자석재이다.
이때, 홀더(13)의 구성에 관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홀더(13)는, 원기둥 형상의 걸림부재(1)를 끼워넣을 수 있는 원통 홀더(13)이며,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악어입 클립(5)의 삽입구(10)를 가로방향으로 했을 경우, 그 개구면이 가로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원통 홀더(13)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한쪽 개구면은 흡착부재(14)에 맞닿고(혹은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쪽 개구면의 하측 대략 절반이 한쌍의 턱부재 중 한쪽 턱부재(7)에 형성된 반원형의 삽입구(10)에 연속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외측에서 감입되는 걸림부재(1)를 수평방향(또는 대략 수평방향, 또는 하측의 턱부재(7)의 장축방향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원통 홀더(13)의 내부공간(16)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면(G)이 형성된다. 또한, 원통 홀더(13)의 당해 개구면의 상측 대략 절반이 한쌍의 턱부재 중 다른쪽 턱부재(6)와 결합 및 결합이탈해서, 다른쪽 턱부재(6)의 단부에는 고정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가이드면(G)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홀더(13)의 내주면과, 한쌍의 턱부재 중 한쪽 턱부재(7)에 형성된 반원형의 삽입구(10)의 노치면(7a)으로 구성되는 연속면이다. 또한, 이 연속면은, 원통 홀더(13)의 내주면과 턱부재(7)의 노치면(7a)과의 연접면 또는 일체 형성면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악어입 클립(5)이 걸림부재(1)의 흡착부재(2)의 직경의 길이만큼 개구되었을 때에, 흡착부재(2)가 어떤 장애물에 접촉하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원통 홀더(13)의 내부 공간(16)에 끼워진다. 이 결과, 매우 원활하게 볼록부의 걸림부재(1)와 오목부의 악어입 클립(5)을 결합할 수 있다.
이어서, 장신구의 고정구(F)의 삽입에 관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볼록부(1) 및 오목부(5)의 이탈 상태에서는, 오목부인 악어입 클립(5)의 후부측을 가압함으로써 삽입구(10)를 개구시켜서 볼록부가 되는 걸림부재(1)를 악어입 클립(5)의 삽입구(10) 부근에 위치한다. 그 후는, 자석의 힘을 이용해서 걸림부재(1)가 악어입 클립(5)에 끼워 삽입된다.
이어서, 장신구의 고정구(F)의 결합 상태에 관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악어입 클립(5)이 폐구 상태에 있을 때 스프링 수단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악어입 클립(5)의 후부(後部)를 내방으로 누름으로써 악어입 클립(5)이 개구상태가 된다. 걸림부재(1)의 전방에는 흡착부재(2)를 구비하고 있고, 흡착부재(2)의 후부에는 흡착부재(2)보다 지름이 좁은 목부(3)가 형성된다. 본 도면에 나타내는 볼록부(1) 및 오목부(5)의 결합 상태에서는, 오목부의 악어입 클립(5)과 볼록부의 걸림부재(1)가 쌍방의 자력(磁力)의 영향을 받아 삽입되어 결합된다. 걸림부재(1)의 흡착부재(2)는, 홀더(13)의 내부공간(16)에 수납되어서 손가락으로 집고 있던 악어입 클립(5)의 후부의 누름을 개방함으로써, 턱부재(6)의 단부의 고정부(12)는, 걸림부재(1)의 목부(3)를 파고들어가 결합한 상태가 된다.
또한, 홀더(13)의 내부공간(16)의 크기는, 흡착부재(2)보다 약간 크게 해서 틈새는 있는 편이 좋다. 또한, 고정부(12)는, 걸림부재(1)를 걸리게 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되고, 악어입 클립(5)과의 사이의 틈새는 있어도 없어도 좋다. 도면에서는 고정부(12)는, 한쪽의 턱부재(6)의 일단부 부근에만 설치하고, 내부공간(16)의 직경과 흡착부재(2)의 직경을 거의 동일하게 해서 내부공간(16)의 직경과 흡착부재(2)의 틈새를 될 수 있는 한 작게 하고 있지만, 고정부(12)를 턱부재(6)와 턱부재(7)의 양쪽 선단부 부근에 설치해서, 내부공간(16)의 직경을 흡착부재(2)의 직경보다 크게 해서 내부공간(16)의 직경과 흡착부재(2)의 틈새를 크게 벌려도 좋다.
걸림상태에 있어서는, 볼록부(1)의 흡착부재(2)의 일부 또는 전부는, 홀더(13) 중의 내부공간(16)에 수납된다. 흡착부재(2)와 홀더(13)의 내측에는, 약간의 틈새가 있는 것이 좋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신구의 한쪽의 사슬형상의 단부에 설치한 오목부(5)와, 다른쪽 사슬형상의 단부에 설치한 볼록부(1)를 치합시켜서 걸리게 하는 방식의 장신구의 고정구(F)에 있어서, 오목부(5)와 볼록부(1)에는, 이들을 올바른 걸림 위치로 유도할 수 있는 부위에, 서로 흡착하는 자석의 각 한쪽을, 혹은 자석과 이에 흡착되는 금속재를, 각각 흡착부재(2,14)로서 설치하고, 오목부(5)는, 한쌍의 턱부재(6,7)를 개구/폐구 가능하게 축지지한 스프링 닫힘식의 악어입 클립(5)이며, 또 볼록부(1)가 한쌍의 개구 상태의 턱부재(6,7) 사이에 감입해서 걸리게 되는 걸림부재(1)이며, 악어입 클립(5)을 구성하는 한쌍의 턱부재(6,7) 사이의 내부에 하나의 흡착부재(14)를 설치하고, 또 걸림부재(1)의 전방에 다른 흡착부재(2)를 설치하고, 악어입 클립(5)의 내부에 설치한 흡착부재(14)가, 한쌍의 턱부재(6,7) 중 어느 한쪽(본 실시형태에서는 턱부재(7))에 설치되고, 흡착부재(14)의 전방에는 걸림부재(1)의 흡착부재(2)가 삽입되는 홀더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장신구의 고정구(F)에서는, 흡착부재 (2)에 대해서 모든 방향의 결합이탈하는 힘이 작용해도 악어입 클립(5)의 홀더(13)는 확경(擴徑)되지 않는다. 이 구성에 의해, 볼록부(1)의 흡착부재(2)가, 걸림 상태의 악어입 클립(5)의 턱부재(6)의 선단부의 고정부(12) 또는 삽입구(10)를 넓혀서 볼록부(1) 및 오목부(5)의 결합 상태가 의도하지 않고 해제될 수 없다. 즉, 볼록부가 되는 걸림부재(1)가 어떤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도 오목부가 되는 악어입 클립(5)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빠지는 일이 없다.
또한, 장신구의 고정구(F)의 턱부재 중 한쪽 턱부재(7)에는, 걸림부재(1)를 원통 홀더(13)의 내부 공간(16)에 확실하게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면(G)이 형성된다. 이 구성에 따라, 목의 후측과 같은 사람의 육안에 의존하는 것이 어려운 장면에 있어서도, 가이드면(G)이 볼록부인 걸림부재(1)를 확실하게 오목부인 악어입 클립(5)의 내부에 유지된 원통 홀더(13)의 내부 공간(16)으로 가이드하고, 그 결과 매우 원활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결합이탈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걸림부재(1)의 흡착부재(2)의 직경의 길이만큼 개구하면, 어떠한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도 고정부(13)에 접촉할 일 없이 원활하게 결합이탈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악어입 클립(5)은, 폐구 상태로 이행하도록 힘을 부여하는 스프링재(15)를 설치하고 있지만, 강력한 스프링재(15)를 구비하지 않아도 걸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악어입 클립(5)의 후부를 닫히는 방향으로 가벼운 힘으로 동작을 행함으로써 삽입구(10)는 개구되고, 매우 조작성이 좋으며, 또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악어입 클립(5) 내에 구비되는 스프링재의 힘을 약하게 한 상태에서, 볼록부의 걸림부재(1)를 어떤 방향으로 당겨도 의도하지 않고서는 빠지지 않게 되고, 그리고 또한 악어입 클립(5)의 후방을 가벼운 힘으로 닫는 동작을 해도 쉽게 결합이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악어입 클립(5)이란, 걸림부재(1)의 맞물림 부분을 협착(사이에 끼워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턱부재(6과 7)를 구비하고 있고, 한쌍의 턱부재(6과 7)는 지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고, 이들 턱부재(6과 7) 사이에 설치한 스프링 수단에 의해 턱부재(6과 7)의 선단부(걸림부재(1)에 대한 협착부)들이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이행하도록 힘이 부여(付勢)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취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걸림부재(1)의 전방에 설치되는 흡착부재(2)는, 걸림부재(1)의 최선단 부분이 아니어도 되고, 흡착부재 (14)의 자력의 영향을 받는 선단부근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즉, 걸림부재(1)는, 홀더(13)의 내부공간(16)에 일부 또는 전부를 삽입할 수 있는 형상으로서, 확실하게 걸릴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또한, 홀더(13)의 형상도 마찬가지로 원통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걸림부재(1)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1; 볼록부(걸림부재)
2; 자석(흡착부재)
3; 목부
4; 사슬형상(鎖狀)의 선단
5; 오목부(악어입 클립)
6, 7; 턱부재
7a; 노치면
8; 사슬형상과 접하는 접속부
9; 축
10; 삽입구(개구부)
11; 사슬형상의 선단
12; 고정부
13; 홀더(원통 홀더)
14; 흡착부재(자석)
15; 스프링재
16; 홀더의 내부공간(볼록부의 자석 또는 흡착부재를 수납하는 공간)
17; 홀더의 일부 또는 가이드부 또는 기반(基盤)
F; 장신구의 고정구
G; 가이드면

Claims (5)

  1. 장신구의 한쪽의 사슬형상(鎖狀)의 단부에 설치한 오목부와, 다른 쪽의 사슬형상의 단부에 설치한 볼록부를 치합시켜서 걸리게(係止) 하는 방식의 장신구의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에는, 이들을 올바른 걸림 위치로 유도할 수 있는 부위에, 서로 흡착하는 자석의 각 한쪽을, 혹은 자석과 이에 흡착되는 금속재를, 각각 흡착부재로서 설치하고,
    상기 오목부는, 한쌍의 턱부재를 개구(開口)/폐구(閉口) 가능하게 축 지지한 스프링 닫힘식의 악어입(鰐口) 클립이며, 또 상기 볼록부가 한쌍의 개구상태의 턱부재 사이에 감입(嵌入)해서 걸리게 되는 걸림부재이며,
    상기 악어입 클립을 구성하는 한쌍의 턱부재 사이의 내부에 한쪽의 흡착부재를 설치하며, 또 상기 걸림부재의 전방(前方)에 다른 쪽의 흡착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악어입 클립의 내부에 설치한 흡착부재가, 상기 한쌍의 턱부재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며, 또 당해 악어입 클립의 내부에 설치한 흡착부재의 전방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흡착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홀더를 구비하고, 또 상기 홀더는, 어느 한쪽의 턱부재의 내측에 있으며, 또 상기 홀더의 내주면은, 턱부재와 평행하게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있고, 또 걸림부재는, 삽입 이탈시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가이드면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악어입 클립의 삽입구를 가로방향으로 한 경우, 그 개구면이 가로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또 상기 홀더에는,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홀더의 내부 공간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원기둥 형상의 상기 걸림부재를 감입 가능한 원통 홀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원통 홀더의 내주면과, 상기 한쌍의 턱부재 중 한쪽의 턱부재에 형성된 반원형의 삽입구의 노치면(切欠面)의 연속면이며, 또 상기 홀더의 내주면은 삽입구와 동일한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 홀더의 개구면의 하측 절반이 상기 한쌍의 턱부재 중 한쪽의 턱부재에 형성된 반원형의 삽입구에 연속하고,
    상기 원통 홀더의 개구면의 상측 절반이 상기 한쌍의 턱부재 중 다른 쪽의 턱부재와 결합 및 결합이탈 가능하며,
    상기 다른 쪽의 턱부재의 단부에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고정구.
KR1020217033968A 2019-12-11 2019-12-11 장신구의 고정구 KR1023578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48393 WO2021117152A1 (ja) 2019-12-11 2019-12-11 装身具の止め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04A KR20220002304A (ko) 2022-01-06
KR102357831B1 true KR102357831B1 (ko) 2022-02-08

Family

ID=75961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3968A KR102357831B1 (ko) 2019-12-11 2019-12-11 장신구의 고정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57294B2 (ko)
JP (1) JP6876314B1 (ko)
KR (1) KR102357831B1 (ko)
CN (1) CN113727624A (ko)
WO (1) WO202111715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2157A (ja) 2011-03-01 2012-10-11 Masahiro Hoshino 挿入式クラスプ
JP2013081524A (ja) 2011-10-06 2013-05-09 Takahashi Shizuo 留め金及び装身具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5226A (en) * 1945-02-01 1949-07-05 Robert P Ellis Magnetic fastener
US3376616A (en) * 1966-06-06 1968-04-09 Kaczorowski John In-line buckle
US6508080B1 (en) * 2000-05-10 2003-01-21 Seberupico Corporation Clasp for jewelry and accessory
US7073232B1 (en) * 2002-07-22 2006-07-11 Fuhrman Esther C Magnetic jewelry clasp with safety catch
JP4044598B2 (ja) 2004-07-14 2008-02-06 有限会社宝石のエンジェル 装飾品鎖状端部の留め具
JP5430219B2 (ja) 2009-05-12 2014-02-26 雅弘 星野 アクセサリ用クラスプ
JP5592031B2 (ja) * 2012-04-20 2014-09-17 株式会社セベル・ピコ 連結具
US8904821B1 (en) * 2014-05-07 2014-12-09 Jason DiPietro Jewelry clas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2157A (ja) 2011-03-01 2012-10-11 Masahiro Hoshino 挿入式クラスプ
JP2013081524A (ja) 2011-10-06 2013-05-09 Takahashi Shizuo 留め金及び装身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27624A (zh) 2021-11-30
KR20220002304A (ko) 2022-01-06
US20220142309A1 (en) 2022-05-12
US11357294B2 (en) 2022-06-14
JP6876314B1 (ja) 2021-05-26
WO2021117152A1 (ja) 2021-06-17
JPWO2021117152A1 (ja)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2959B1 (en) Chain-like end part fastener of ornament
US6112373A (en) Clasp assembly
US11006699B1 (en) Magnetic buckle
KR20030023873A (ko) 드로 래치
JP5816417B2 (ja) アクセサリ用クラスプ
TWI687003B (zh) 連接器
TW201440680A (zh) 連結具
KR102357831B1 (ko) 장신구의 고정구
WO2016103363A1 (ja) 携帯型電子機器におけるコネクター類の接続装置
JP2005291381A (ja) 連結具
JP5210541B2 (ja) 装飾品留め具
JP3134958U (ja) 装身具用連結金具
KR102197754B1 (ko) 2단 잠금 구조를 갖는 팔찌용 체결구
CN116056603A (zh) 用于首饰的紧固装置
JP6376823B2 (ja) 装身具用連結具及び連結部材
JP2020011010A (ja) 装飾品の止め具
JP2007209529A5 (ko)
JP2010178864A (ja) 装身具の留め具
JP3117744U (ja) 装身用留め金具
CN212382208U (zh) 一种具有两档推拉式锁链扣的手链
JP5497854B2 (ja) 装身具用連結具
JP2009095637A (ja) 装身具用連結金具
EP1516556B1 (fr) Dosseret avec une ceinture abdominale et un dispositif de fixation rapide
CN209711776U (zh) 腕戴设备
JP2007075416A (ja) 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