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538B1 - 배관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538B1
KR102357538B1 KR1020210105751A KR20210105751A KR102357538B1 KR 102357538 B1 KR102357538 B1 KR 102357538B1 KR 1020210105751 A KR1020210105751 A KR 1020210105751A KR 20210105751 A KR20210105751 A KR 20210105751A KR 102357538 B1 KR102357538 B1 KR 102357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ipe
coupling
pai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7538B9 (ko
Inventor
이복현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엔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엔피테크 filed Critical (주)에이치엔피테크
Priority to KR1020210105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538B1/ko
Publication of KR10235753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538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09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bringing two tubular members closer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관 결합장치는 상기 제1배관의 확장된 일단에 상기 제2배관의 미확장된 타단을 삽입하여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을 결합하고, 상기 배관 결합장치는 상기 제1배관의 일단 측 외면에 체결되어 상기 제1배관에 고정되는 제1체결장치와, 상기 제2배관의 타단 측 외면에 체결되어 상기 제2배관에 고정되는 제2체결장치와, 상기 제1체결장치 및 상기 제2체결장치 사이에 위치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체결장치 및 상기 제2체결장치와 연결되어 유압을 통해 상기 제2체결장치를 상기 제1체결장치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제2배관의 타단을 상기 제1배관의 일단에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용 유압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 결합장치{Pipe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배관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 결합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관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관(pipe)을 서로 연결하는 이음관은 서로 이웃하는 관의 끝단 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수히 많은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이음관은 주로 패킹 등을 압착하게 되는 압착식 이음관을 이용하였으며, 이러한 압착식 이음관은 이음 본체와 너트, 혹은 플랜지의 조임력에 의하여 파이프의 이탈을 잡아주는 스토퍼가 연결관을 잡고 패킹 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하도록 하여 연결관과 이음관을 연결한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을 비롯한 대부분의 방법은 이음관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와 장비를 사용할 수 있는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하며, 연결관을 타격하는 방식을 통해 패킹 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발휘되도록 하기 때문에 연결관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다수의 관은 땅속에 매설됨에 따라 굴착을 통한 작업공간의 확보가 여유롭지 못하므로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연결관과 이음관의 결합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10451호(2017.12.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 결합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관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배관 결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관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 결합장치는 상기 제1배관의 확장된 일단에 상기 제2배관의 미확장된 타단을 삽입하여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을 결합하고, 상기 배관 결합장치는 상기 제1배관의 일단 측 외면에 체결되어 상기 제1배관에 고정되는 제1체결장치와, 상기 제2배관의 타단 측 외면에 체결되어 상기 제2배관에 고정되는 제2체결장치와, 상기 제1체결장치 및 상기 제2체결장치 사이에 위치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체결장치 및 상기 제2체결장치와 연결되어 유압을 통해 상기 제2체결장치를 상기 제1체결장치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제2배관의 타단을 상기 제1배관의 일단에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용 유압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장치는 반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배관 외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한 쌍의 제1체결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1체결부분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제1결합홀을 형성하는 제1결합부분과, 상기 제1결합부분에서 상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연장부분과, 상기 제1체결부분과 어긋나게 위치하고 반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배관 외면의 나머지 일부분을 감싸는 한 쌍의 제2체결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2체결부분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제2결합홀을 형성하는 제2결합부분과, 상기 제2결합부분에서 상 방향으로 절곡되되 상기 제1연장부분과 대응되는 형태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연장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1연장부분 및 상기 한 쌍의 제2연장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한 쌍의 제1체결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2체결부분이 상기 제1배관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하는 제1 가압용 유압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장치는 반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배관 외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한 쌍의 제3체결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3체결부분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제3결합홀을 형성하는 제3결합부분과, 상기 제3결합부분에서 상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3연장부분과, 상기 제3체결부분과 어긋나게 위치하고 반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배관 외면의 나머지 일부분을 감싸는 한 쌍의 제4체결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4체결부분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제4결합홀을 형성하는 제4결합부분과, 상기 제4결합부분에서 상 방향으로 절곡되되 상기 제3연장부분과 대응되는 형태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4연장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3연장부분 및 상기 한 쌍의 제4연장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한 쌍의 제3체결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4체결부분이 상기 제2배관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하는 제2 가압용 유압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용 유압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제1연장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2연장부분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제1베이스와, 상기 한 쌍의 제1베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유압을 통해 작동하는 제1유압기와, 상기 제1베이스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유압기의 양단과 결합하는 제1체결부위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가압용 유압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제3연장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4연장부분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제2베이스와, 상기 한 쌍의 제2베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유압을 통해 작동하는 제2유압기와, 상기 제2베이스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유압기의 양단과 결합하는 제2체결부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결합용 유압장치는 상기 제1체결부분 및 상기 제3체결부분과 결합하는 제1 유압장치와, 상기 제2체결부분 및 상기 제4체결부분과 결합하는 제2 유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유압장치는 상기 제1배관의 일단에 인접한 상기 제1체결부분과 상기 제2배관의 타단에 인접한 상기 제3체결부분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제3베이스와, 상기 한 쌍의 제3베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유압을 통해 작동하는 제3유압기와, 상기 제3베이스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3유압기의 양단과 결합하는 제3체결부위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유압장치는 상기 제1배관의 일단에 인접한 상기 제2체결부분과 상기 제2배관의 타단에 인접한 상기 제4체결부분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제4베이스와, 상기 한 쌍의 제4베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유압을 통해 작동하는 제4유압기와, 상기 제4베이스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4유압기의 양단과 결합하는 제4체결부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분 내지 상기 제4체결부분에는 반 링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체결부분 내지 상기 제4체결부분에 덧대어지도록 결합하여 상기 제1배관 및 상기 제2배관의 구경에 맞게 상기 제1체결부분 내지 상기 제4체결부분이 상기 제1배관 및 상기 제2배관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는 체결 링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 링은 상기 제1체결부분 내지 상기 제4체결부분에 형성된 제1체결홀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제2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체결홀과 상기 제2체결홀에는 상기 제1체결홀과 상기 제2체결홀을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체결부분 내지 상기 한 쌍의 상기 제4체결부분 사이에는 상기 한 쌍의 제1체결부분 내지 상기 한 쌍의 상기 제4체결부분을 각각 연결하여 구조적 강성을 높이는 서포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홀과 상기 제2결합홀에는 상기 제1결합부분과 상기 제2결합부분을 일체화하는 제1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3결합홀과 상기 제4결합홀에는 상기 제3결합부분과 상기 제4결합부분을 일체화하는 제2결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홀 내지 제4결합홀에는 상기 제1체결부분 내지 상기 제4체결부분을 일체화하는 제3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제3결합부재에는 상기 제3결합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제3결합부재에 수직으로 기립하여 구비되는 지지봉과, 일단이 상기 지지봉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배관의 일단에 고정되는 갈고리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봉과 함께 상기 제3결합부재를 지지하는 와이어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배관 결합장치에 의하면, 배관 결합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배관 결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 결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관 결합장치에 구비된 체결 링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관 결합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 결합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 결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관 결합장치에 구비된 체결 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 결합장치(10)는 일단이 확장되고 타단이 미확장된 제1배관(20) 및 제2배관(30)을 결합하는 장치로써 제1배관(20)의 확장된 일단에 제2배관(30)의 미확장된 타단을 삽입하여 제1배관(20)과 제2배관(30)을 결합할 수 있다.
종래의 타격방식을 통한 제1배관(20) 및 제2배관(30)의 결합이 아닌 굴착기 등과 같은 현장에서 사용하는 장비의 활용하여 유압을 통해 제1배관(20) 및 제2배관(30)을 결합함으로써 타격방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배관의 손상, 소음 등을 방지할 수 있고, 결합의 정확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배관 결합장치(1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배관 결합장치(10)는 제1배관(20)의 일단 측 외면에 체결되어 제1배관(20)에 고정되는 제1체결장치(100)와, 제2배관(30)의 타단 측 외면에 체결되어 제2배관(30)에 고정되는 제2체결장치(200)와, 제1체결장치(100) 및 제2체결장치(200) 사이에 위치하고 양단이 각각 제1체결장치(100) 및 제2체결장치(200)와 연결되어 유압을 통해 제2체결장치(200)를 제1체결장치(100) 방향으로 잡아당겨 제2배관(30)의 타단을 제1배관(20)의 일단에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용 유압장치(300)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용 유압장치(300)는 제2체결장치(200)가 제1체결장치(100)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제2배관(30)의 타단이 제1배관(20)의 확장된 일단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고, 제2배관(30)의 타단과 제1배관(20)의 일단 사이에는 기밀부재(미부호)가 구비되어 제1배관(20) 및 제2배관(30)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체결장치(100)는 반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배관(20) 외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한 쌍의 제1체결부분(110)과, 한 쌍의 제1체결부분(110)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제1결합홀(121)을 형성하는 제1결합부분(120)과, 제1결합부분(120)에서 상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연장부분(130)과, 제1체결부분(110)과 어긋나게 위치하고 반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배관(20) 외면의 나머지 일부분을 감싸는 한 쌍의 제2체결부분(140)과, 한 쌍의 제2체결부분(140)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제2결합홀(151)을 형성하는 제2결합부분(150)과, 제2결합부분(150)에서 상 방향으로 절곡되되 제1연장부분(130)과 대응되는 형태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연장부분(160)과, 한 쌍의 제1연장부분(130) 및 한 쌍의 제2연장부분(160)과 결합하여 한 쌍의 제1체결부분(110)과 한 쌍의 제2체결부분(140)이 제1배관(20)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하는 제1 가압용 유압장치(17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결합홀(121)과 제2결합홀(151)에는 제1결합부분(120)과 제2결합부분(150)을 일체화하는 제1결합부재(180)가 구비되고, 제1결합부분(120)과 제2결합부분(150)이 제1결합부재(180)를 통해 일체화됨에 따라 제1체결부분(110)과 제2체결부분(140), 제1연장부분(130)과 제2연장부분(160)도 일체화될 수 있으며, 제1체결부분(110)과 제2체결부분(140), 제1연장부분(130)과 제2연장부분(160)은 마치 가위처럼 제1결합부재(180)를 축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체결부분(110)과 제2체결부분(140)이 제1결합부재(180)를 축으로 가동되어 상호 간의 간격이 벌어질 시 제1연장부분(130)과 제2연장부분(160)은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고, 반대로 제1연장부분(130)과 제2연장부분(160)의 간격이 벌어질 시 제1체결부분(110)과 제2체결부분(140)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동방식을 통해 제1체결장치(100)가 제1배관(20)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가압용 유압장치(170)는 한 쌍의 제1연장부분(130)과 한 쌍의 제2연장부분(160)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제1베이스(171)와, 한 쌍의 제1베이스(171) 사이에 위치하여 유압을 통해 작동하는 제1유압기(172)와, 제1베이스(171)에 각각 구비되어 제1유압기(172)의 양단과 결합하는 제1체결부위(173)를 구비하고, 제1 가압용 유압장치(170)가 한 쌍의 제1연장부분(130)과 한 쌍의 제2연장부분(160)에 미는 힘을 가해 한 쌍의 제1연장부분(130)과 한 쌍의 제2연장부분(160)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한 쌍의 제1체결부분(110)과 한 쌍의 제2체결부분(140)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여 한 쌍의 제1체결부분(110)과 한 쌍의 제2체결부분(140)이 제1배관(20)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1체결부분(110) 사이와 한 쌍의 제2체결부분(140) 사이에는 한 쌍의 제1체결부분(110)과 한 쌍의 제2체결부분(140)을 각각 연결하여 구조적 강성을 높이는 서포터(60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체결부분(110)과 제2체결부분(140)에는 반 링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1체결부분(110)과 제2체결부분(140)에 덧대어지도록 결합하여 제1배관(20)의 구경에 맞게 제1체결부분(110)과 제2체결부분(140)이 제1배관(20)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는 체결 링(400)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배관(20)의 구경이 작을 시에는 폭이 넓은 체결 링(400)을 제1체결부분(110)과 제2체결부분(140)에 덧대고, 제1배관(20)의 구경이 클 시에는 폭이 좁은 체결 링(400)을 제1체결부분(110)과 제2체결부분(140)에 덧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배관(20)의 구경에 맞게 체결 링(400)을 제1체결부분(110)과 제2체결부분(140)에 덧대어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구경의 배관에 배관 결합장치(1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체결 링(400)만을 교차하는 작업만으로 구경에 맞게 제1배관(20)의 외면을 감쌀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체결 링(400)은 제1체결부분(110)과 제2체결부분(140)에 형성된 제1체결홀(40)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제2체결홀(410)을 구비하고, 제1체결홀(40)과 제2체결홀(410)에는 제1체결홀(40)과 제2체결홀(410)을 관통하는 체결부재(500)가 구비되어 체결 링(400)을 제1체결부분(110)과 제2체결부분(140)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제2체결장치(200)는 반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2배관(30) 외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한 쌍의 제3체결부분(210)과, 한 쌍의 제3체결부분(210)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제3결합홀(221)을 형성하는 제3결합부분(220)과, 제3결합부분(220)에서 상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3연장부분(230)과, 제3체결부분(210)과 어긋나게 위치하고 반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2배관(30) 외면의 나머지 일부분을 감싸는 한 쌍의 제4체결부분(240)과, 한 쌍의 제4체결부분(240)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제4결합홀(251)을 형성하는 제4결합부분(250)과, 제4결합부분(250)에서 상 방향으로 절곡되되 제3연장부분(230)과 대응되는 형태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4연장부분(260)과, 한 쌍의 제3연장부분(230) 및 한 쌍의 제4연장부분(260)과 결합하여 한 쌍의 제3체결부분(210)과 한 쌍의 제4체결부분(240)이 제2배관(30)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하는 제2 가압용 유압장치(270)를 구비할 수 있다.
제3결합홀(221)과 제4결합홀(251)에는 제3결합부분(220)과 제4결합부분(250)을 일체화하는 제2결합부재(280)가 구비되고, 제3결합부분(220)과 제4결합부분(250)이 제2결합부재(280)를 통해 일체화됨에 따라 제3체결부분(210)과 제4체결부분(240), 제3연장부분(230)과 제4연장부분(260)도 일체화될 수 있으며, 제3체결부분(210)과 제4체결부분(240), 제3연장부분(230)과 제4연장부분(260)은 마치 가위처럼 제2결합부재(280)를 축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체결부분(210)과 제4체결부분(240)이 제2결합부재(280)를 축으로 가동되어 상호 간의 간격이 벌어질 시 제3연장부분(230)과 제4연장부분(260)은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고, 반대로 제3연장부분(230)과 제4연장부분(260)의 간격이 벌어질 시 제3체결부분(210)과 제4체결부분(240)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동방식을 통해 제2체결장치(200)가 제2배관(30)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가압용 유압장치(270)는 한 쌍의 제3연장부분(230)과 한 쌍의 제4연장부분(260)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제2베이스(271)와, 한 쌍의 제2베이스(271) 사이에 위치하여 유압을 통해 작동하는 제2유압기(272)와, 제2베이스(271)에 각각 구비되어 제2유압기(272)의 양단과 결합하는 제2체결부위(273)를 구비하고, 제2 가압용 유압장치(270)가 한 쌍의 제3연장부분(230)과 한 쌍의 제4연장부분(260)에 미는 힘을 가해 한 쌍의 제3연장부분(230)과 한 쌍의 제4연장부분(260)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한 쌍의 제3체결부분(210)과 한 쌍의 제4체결부분(240)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여 한 쌍의 제3체결부분(210)과 한 쌍의 제4체결부분(240)이 제2배관(30)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3체결부분(210) 사이와 한 쌍의 제4체결부분(240) 사이에는 한 쌍의 제3체결부분(210)과 한 쌍의 제4체결부분(240)을 각각 연결하여 구조적 강성을 높이는 서포터(60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3체결부분(210)과 제4체결부분(240)에는 반 링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3체결부분(210)과 제4체결부분(240)에 덧대어지도록 결합하여 제2배관(30)의 구경에 맞게 제3체결부분(210)과 제4체결부분(240)이 제2배관(30)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는 체결 링(400)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배관(30)의 구경이 작을 시에는 폭이 넓은 체결 링(400)을 제3체결부분(210)과 제4체결부분(240)에 덧대고, 제2배관(30)의 구경이 클 시에는 폭이 좁은 체결 링(400)을 제3체결부분(210)과 제4체결부분(240)에 덧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배관(30)의 구경에 맞게 체결 링(400)을 제3체결부분(210)과 제4체결부분(240)에 덧대어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구경의 배관에 배관 결합장치(1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체결 링(400)만을 교차하는 작업만으로 구경에 맞게 제2배관(30)의 외면을 감쌀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체결 링(400)은 제3체결부분(210)과 제4체결부분(240)에 형성된 제1체결홀(40)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제2체결홀(410)을 구비하고, 제1체결홀(40)과 제2체결홀(410)에는 제1체결홀(40)과 제2체결홀(410)을 관통하는 체결부재(500)가 구비되어 체결 링(400)을 제3체결부분(210)과 제4체결부분(240)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결합용 유압장치(300)는 제1체결부분(110) 및 제3체결부분(210)과 결합하는 제1 유압장치(310)와, 제2체결부분(140) 및 제4체결부분(240)과 결합하는 제2 유압장치(320)를 구비하고, 제1 유압장치(310)는 제1배관(20)의 일단에 인접한 제1체결부분(110)과 제2배관(30)의 타단에 인접한 제3체결부분(210)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제3베이스(311)와, 한 쌍의 제3베이스(311) 사이에 위치하여 유압을 통해 작동하는 제3유압기(312)와, 제3베이스(311)에 각각 구비되어 제3유압기(312)의 양단과 결합하는 제3체결부위(313)를 구비하고, 제2 유압장치(320)는 제1배관(20)의 일단에 인접한 제2체결부분(140)과 제2배관(30)의 타단에 인접한 제4체결부분(240)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제4베이스(321)와, 한 쌍의 제4베이스(321) 사이에 위치하여 유압을 통해 작동하는 제4유압기(322)와, 제4베이스(321)에 각각 구비되어 제4유압기(322)의 양단과 결합하는 제4체결부위(32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유압장치(310)와 제2 유압장치(320)에 의해 제2체결장치(200)가 제1체결장치(100) 방향으로 잡아당겨짐으로써 제2배관(30)의 타단이 제1배관(20)의 일단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 결합장치(1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관 결합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 결합장치(10)의 제1결합홀(121) 내지 제4결합홀(251)에는 제1체결부분(110) 내지 제4체결부분(240)을 일체화하는 제3결합부재(700)가 구비되고, 제3결합부재(700)에는 제3결합부재(700)와 결합하여 제3결합부재(700)에 수직으로 기립하여 구비되는 지지봉(800)과, 일단이 지지봉(8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배관(30)의 일단에 고정되는 갈고리(900)를 구비하여 지지봉(800)과 함께 제3결합부재(700)를 지지하는 와이어(100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체결장치(100)와 제2체결장치(200)는 제3결합부재(700)를 통해 일체화될 수 있으며, 제3결합부재(700)를 지지봉(800), 갈고리(900) 및 와이어(1000)를 통해 제2배관(30)의 일단에 고정하여 제2배관(30)이 결합부재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제1체결장치(100)와 제2체결장치(200)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여 더욱 효과적으로 제1배관(20)과 제2배관(30)을 결합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 결합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배관 결합장치 20: 제1배관
30: 제2배관 40: 제1체결홀
100: 제1체결장치 110: 제1체결부분
120: 제1결합부분 121: 제1결합홀
130: 제1연장부분 140: 제2체결부분
150: 제2결합부분 151: 제2결합홀
160: 제2연장부분 170: 제1 가압용 유압장치
171: 제1베이스 172: 제1유압기
173: 제1체결부위 180: 제1결합부재
200: 제2체결장치 210: 제3체결부분
220: 제3결합부분 221: 제3결합홀
230: 제3연장부분 240: 제4체결부분
250: 제4결합부분 251: 제4결합홀
260: 제4연장부분 270: 제2 가압용 유압장치
271: 제2베이스 272: 제2유압기
273: 제2체결부위 280: 제2결합부재
300: 결합용 유압장치 310: 제1 유압장치
311: 제3베이스 312: 제3유압기
313: 제3체결부위 320: 제2 유압장치
321: 제4베이스 322: 제4유압기
323: 제4체결부위 400: 체결 링
410: 제2체결홀 500: 체결부재
600: 서포터 700: 제3결합부재
800: 지지봉 900: 갈고리
1000: 와이어

Claims (9)

  1. 일단이 확장되고 타단이 미확장된 제1배관 및 제2배관을 결합하는 배관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 결합장치는 상기 제1배관의 확장된 일단에 상기 제2배관의 미확장된 타단을 삽입하여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을 결합하고,
    상기 배관 결합장치는 상기 제1배관의 일단 측 외면에 체결되어 상기 제1배관에 고정되는 제1체결장치와, 상기 제2배관의 타단 측 외면에 체결되어 상기 제2배관에 고정되는 제2체결장치와, 상기 제1체결장치 및 상기 제2체결장치 사이에 위치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체결장치 및 상기 제2체결장치와 연결되어 유압을 통해 상기 제2체결장치를 상기 제1체결장치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제2배관의 타단을 상기 제1배관의 일단에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용 유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체결장치는 반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배관 외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한 쌍의 제1체결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1체결부분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제1결합홀을 형성하는 제1결합부분과, 상기 제1결합부분에서 상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연장부분과, 상기 제1체결부분과 어긋나게 위치하고 반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배관 외면의 나머지 일부분을 감싸는 한 쌍의 제2체결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2체결부분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제2결합홀을 형성하는 제2결합부분과, 상기 제2결합부분에서 상 방향으로 절곡되되 상기 제1연장부분과 대응되는 형태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연장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1연장부분 및 상기 한 쌍의 제2연장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한 쌍의 제1체결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2체결부분이 상기 제1배관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하는 제1 가압용 유압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결합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장치는 반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배관 외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한 쌍의 제3체결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3체결부분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제3결합홀을 형성하는 제3결합부분과,
    상기 제3결합부분에서 상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3연장부분과,
    상기 제3체결부분과 어긋나게 위치하고 반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배관 외면의 나머지 일부분을 감싸는 한 쌍의 제4체결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4체결부분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제4결합홀을 형성하는 제4결합부분과,
    상기 제4결합부분에서 상 방향으로 절곡되되 상기 제3연장부분과 대응되는 형태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4연장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3연장부분 및 상기 한 쌍의 제4연장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한 쌍의 제3체결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4체결부분이 상기 제2배관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하는 제2 가압용 유압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결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용 유압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제1연장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2연장부분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제1베이스와, 상기 한 쌍의 제1베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유압을 통해 작동하는 제1유압기와, 상기 제1베이스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유압기의 양단과 결합하는 제1체결부위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가압용 유압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제3연장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4연장부분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제2베이스와, 상기 한 쌍의 제2베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유압을 통해 작동하는 제2유압기와, 상기 제2베이스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유압기의 양단과 결합하는 제2체결부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결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용 유압장치는 상기 제1체결부분 및 상기 제3체결부분과 결합하는 제1 유압장치와, 상기 제2체결부분 및 상기 제4체결부분과 결합하는 제2 유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유압장치는 상기 제1배관의 일단에 인접한 상기 제1체결부분과 상기 제2배관의 타단에 인접한 상기 제3체결부분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제3베이스와, 상기 한 쌍의 제3베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유압을 통해 작동하는 제3유압기와, 상기 제3베이스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3유압기의 양단과 결합하는 제3체결부위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유압장치는 상기 제1배관의 일단에 인접한 상기 제2체결부분과 상기 제2배관의 타단에 인접한 상기 제4체결부분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제4베이스와, 상기 한 쌍의 제4베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유압을 통해 작동하는 제4유압기와, 상기 제4베이스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4유압기의 양단과 결합하는 제4체결부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결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분 내지 상기 제4체결부분에는 반 링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체결부분 내지 상기 제4체결부분에 덧대어지도록 결합하여 상기 제1배관 및 상기 제2배관의 구경에 맞게 상기 제1체결부분 내지 상기 제4체결부분이 상기 제1배관 및 상기 제2배관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는 체결 링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 링은 상기 제1체결부분 내지 상기 제4체결부분에 형성된 제1체결홀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제2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체결홀과 상기 제2체결홀에는 상기 제1체결홀과 상기 제2체결홀을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결합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체결부분 내지 상기 한 쌍의 상기 제4체결부분 사이에는 상기 한 쌍의 제1체결부분 내지 상기 한 쌍의 상기 제4체결부분을 각각 연결하여 구조적 강성을 높이는 서포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결합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홀과 상기 제2결합홀에는 상기 제1결합부분과 상기 제2결합부분을 일체화하는 제1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3결합홀과 상기 제4결합홀에는 상기 제3결합부분과 상기 제4결합부분을 일체화하는 제2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결합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홀 내지 제4결합홀에는 상기 제1체결부분 내지 상기 제4체결부분을 일체화하는 제3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제3결합부재에는 상기 제3결합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제3결합부재에 수직으로 기립하여 구비되는 지지봉과, 일단이 상기 지지봉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배관의 일단에 고정되는 갈고리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봉과 함께 상기 제3결합부재를 지지하는 와이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결합장치.
KR1020210105751A 2021-08-11 2021-08-11 배관 결합장치 KR102357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751A KR102357538B1 (ko) 2021-08-11 2021-08-11 배관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751A KR102357538B1 (ko) 2021-08-11 2021-08-11 배관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538B1 true KR102357538B1 (ko) 2022-02-08
KR102357538B9 KR102357538B9 (ko) 2022-04-11

Family

ID=80252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751A KR102357538B1 (ko) 2021-08-11 2021-08-11 배관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72268A1 (en) * 2019-12-05 2021-06-10 National Oilwell Varco Uk Limited Clamp Assembly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1566A (ja) * 1992-02-20 1993-09-07 Kubota Corp 管接合装置
JPH0742876A (ja) * 1993-08-03 1995-02-10 Kubota Corp 管接合装置
JPH0742873A (ja) * 1993-07-30 1995-02-10 Nippon Steel Corp 老朽管の再生方法
JP2001317659A (ja) * 2000-05-10 2001-11-16 Nagoya City 管脱着装置
EP2098767B1 (en) * 2008-03-08 2010-09-29 Excavadoras de Totana SL Device for assembling pipes
KR101810451B1 (ko) 2017-04-27 2017-12-20 (주)에이치엔피테크 삽입형 플랜지 배관 및 그의 수밀 유도형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1566A (ja) * 1992-02-20 1993-09-07 Kubota Corp 管接合装置
JPH0742873A (ja) * 1993-07-30 1995-02-10 Nippon Steel Corp 老朽管の再生方法
JPH0742876A (ja) * 1993-08-03 1995-02-10 Kubota Corp 管接合装置
JP2001317659A (ja) * 2000-05-10 2001-11-16 Nagoya City 管脱着装置
EP2098767B1 (en) * 2008-03-08 2010-09-29 Excavadoras de Totana SL Device for assembling pipes
KR101810451B1 (ko) 2017-04-27 2017-12-20 (주)에이치엔피테크 삽입형 플랜지 배관 및 그의 수밀 유도형 결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72268A1 (en) * 2019-12-05 2021-06-10 National Oilwell Varco Uk Limited Clamp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538B9 (ko) 202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7538B1 (ko) 배관 결합장치
CN101778764B (zh) 用于连接相对于彼此形成铰接的第一和第二元件的联结设备
US5984582A (en) Method of extracting a hollow unit laid in the ground
AU2004201299A1 (en) Laterally adjustable clamp
US5201814A (en) Breakaway coupling device
US20220299134A1 (en) Fitting device for making connection tube that can fine position adjustment of the tube
JP5756170B2 (ja) アルミニウムのフェルールを鋼線の高強度の輪に配置する方法及びその構成
KR102015114B1 (ko) 시공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수도관 연결장치
US3751076A (en) Collet hose bracket
KR20170044870A (ko) 지하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다방향 구동잭
KR101792477B1 (ko) 다양한 직경 및 길이의 관로보수가 가능한 보수기
JP2011163544A (ja) 交差金具
JP6159780B2 (ja) バイブロハンマの把持装置及び鋼管杭の施工方法
KR102134788B1 (ko) 풀림방지행거와 시공방법
GB2371826A (en) Collet connector for piles
JP6385757B2 (ja) 配線・配管材支持具
JP4403255B2 (ja) 板金修理支援具、板金修理方法
KR101070288B1 (ko)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
US11543060B2 (en) Pipe-fitting device for connecting pip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US9889546B1 (en) Pipe coupling impact tool
HK1059109A1 (en) Flanged connection for double-jacket high-pressurepipes and using method thereof
JP2018004065A (ja) 吸込ホースのフランジ継ぎ手部分の支持具及びそれを用いた配管方法
JP6207114B1 (ja) アンダーピニング工法における鋼管杭の施工方法
KR101919609B1 (ko) 비계 작업발판의 체결장치
JP2991634B2 (ja) 簡易トンネル支保鋼組立用把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