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114B1 - 시공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수도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시공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수도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114B1
KR102015114B1 KR1020170154231A KR20170154231A KR102015114B1 KR 102015114 B1 KR102015114 B1 KR 102015114B1 KR 1020170154231 A KR1020170154231 A KR 1020170154231A KR 20170154231 A KR20170154231 A KR 20170154231A KR 102015114 B1 KR102015114 B1 KR 102015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flange
ring
extension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870A (ko
Inventor
김창규
Original Assignee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4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1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수도관의 양 끝단을 연결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외력에도 연결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시공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수도관 연결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양측에 대칭되도록 플랜지를 일체로 형성한 연결관과, 상기 플랜지에 볼트와 너트로 조립되는 압륜과, 상기 연결관에 형성된 제1 테이퍼홀에 접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며 수도관과 수밀되는 패킹 및 압륜에 형성된 제2 테이퍼홀에 접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수도관을 고정하는 로크링과, 상기 패킹과 로크링 사이에 삽입한 와셔로 이루어진 수도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륜은 플랜지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커지는 제2 테이퍼홀과, 상기 플랜지의 반대 방향에서 내경이 상기 수도관의 외경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로크링은 외경에 상기 제2 테이퍼홀에 상응하는 제2 경사면과, 상기 연장부에 삽입되는 연장 삽입부와, 수도관과 접하는 내경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출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공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수도관 연결장치 {The water pipe connection device with excellent workability and vibration proof}
본 발명은 수도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서로 다른 수도관의 양 끝단을 연결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외력에도 연결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연결장치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로크링의 틀어짐을 방지하고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시공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수도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관의 경우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금속의 경우 부식의 우려와 온도에 따른 수축과 팽창에 기인한 문제점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우수한 내구성과 강도를 가지고 있어 고압 및 대구경의 수도관에서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수도관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수도관이 설정된 경로로 공급하기 위해서 연결장치에 의하여 수도관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면서 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결장치는 기본적으로 수밀성 즉 누수를 방지하고 외력이나 온도차이에 따른 팽창과 수축에도 수밀성과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연결장치에 의한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여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종래 수도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종래 수도관 연결장치의 로크링이 틀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전술한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하는 목적으로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026243-0000호(2011년03월24일)의 '수도관 연결장치'에서는 양측에 대칭되도록 플랜지(111)를 일체로 형성한 연결관(11)과, 상기 플랜지(111)에 볼트(121)와 너트(122)로 조립되는 압륜(12)과, 상기 연결관(11)에 형성된 제1 테이퍼홀(112)에 접하는 제1 경사면(131)이 형성되며 수도관(2)과 수밀되는 패킹(13) 및 압륜(12)에 형성된 제2 테이퍼홀(123)에 접하는 제2 경사면(141)이 형성되고 일측에 절개부(142)가 형성되어 수도관(2)을 고정하는 로크링(14)과, 상기 패킹(13)과 로크링(14) 사이에 삽입한 와셔(15)로 이루어진 수도관 연결장치(1)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수도관(2)을 고정하는 로크링(14)이 제2 테이퍼홀(123)에 상응하는 경사면을 가지고 안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실제 로크링(14)과 제2 테이퍼홀(123)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조립과정에서 정확하게 안착되지 않고 틀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연결관(11)과 수도관(2)과 로크링(14)이 동일한 축 선상에 일치되어 있어야 하나 로크링(14)이 어긋나 결합하게 되는 형상으로 이 경우 누수가 발생하거나 수도관(2)을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더욱이 작업자가 이러한 로크링(14)의 틀어짐을 육안으로 쉽게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에 자세하게 살펴보지 않으면 그대로 지나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각 구성부의 명칭은 본원의 구성과 명칭이 일치할 수 있도록 정정하여 기술하였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166988-0000호 (1999년10월29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839968-0000호 (2008년06월13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003293-0000호 (2010년12월15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026243-0000호 (2011년03월24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도관을 연결하는 연결장치에서의 로크링이 압륜의 제2 테이퍼홀에 삽입될 때 어긋나지 않고 동일 축선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시공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수도관 연결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로크링이 일정하고 안정적인 조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도관 연결장치를 제공함을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이와 함께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를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과제에 포함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에 대칭되도록 플랜지를 일체로 형성한 연결관과, 상기 플랜지에 볼트와 너트로 조립되는 압륜과, 상기 연결관에 형성된 제1 테이퍼홀에 접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며 수도관과 수밀되는 패킹 및 압륜에 형성된 제2 테이퍼홀에 접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수도관을 고정하는 로크링과, 상기 패킹과 로크링 사이에 삽입한 와셔로 이루어진 수도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륜은 플랜지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커지는 제2 테이퍼홀과, 상기 플랜지의 반대 방향에서 내경이 상기 수도관의 외경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로크링은 외경에 상기 제2 테이퍼홀에 상응하는 제2 경사면과, 상기 연장부에 삽입되는 연장 삽입부와, 수도관과 접하는 내경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출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로크링의 연장 삽입부는 상기 연장부 보다 길게 형성되어 끝단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크링의 연장 삽입부의 외경면을 따라 로크링이 압륜에 삽입된 정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로크링의 플랜지 방향의 끝단의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었다가 축소되는 걸림단턱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로크링의 패킹과 밀착하는 면에는 환형으로 돌출되는 패킹 가압부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로크링이 압륜과 경사면뿐만 아니라 내경이 일정하게 연장되는 부분까지 연장되어 결합하도록 하여 로크링이 압륜이나 연결관과 동일한 축 선상으로 결합하도록 하여 로크링이 틀어져 결합하여 발생하는 누수 및 불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로크링이 정확한 각도로 삽입되었는지 여부 또는 조임의 정도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로크링이 안정적으로 수도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로크링에 돌출된 연장 삽입부의 길이만큼 수도관과의 접지면이 더 넓어지므로 기존의 로크링에 비해 수도관과의 결합력이 더욱 견고해지며, 따라서 지진과 같은 큰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수도관의 이탈을 억제하여 내진성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륜과 로크링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륜과 로크링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륜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종래 수도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종래 수도관 연결장치의 로크링이 틀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륜과 로크링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시공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수도관 연결장치(1)는 양측에 대칭되도록 플랜지(111)를 일체로 형성한 연결관(11)과, 상기 플랜지(111)에 볼트(121)와 너트(122)로 조립되는 압륜(12)과, 상기 연결관(11)에 형성된 제1 테이퍼홀(112)에 접하는 제1 경사면(131)이 형성되며 수도관(2)과 수밀되는 패킹(13)과, 압륜(12)에 형성된 제2 테이퍼홀(123)에 접하는 제2 경사면(141)이 형성되고 일측에 절개부(147)가 형성되어 수도관(2)을 고정하는 로크링(14)과, 상기 패킹(13)과 로크링(14) 사이에 삽입한 와셔(15)를 포함한다.
상기 압륜(12)은 플랜지(111)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커지는 제2 테이퍼홀(123)과, 상기 플랜지(111)의 반대 방향에서 내경이 상기 수도관(2)의 외경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연장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로크링(14)의 수도관(2)과 접하는 내경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출리브(143)을 형성하고, 수도관과의 결합력을 더욱 높이되, 로크링(14)의 외경에는 상기 제2 테이퍼홀(123)에 상응하는 제2 경사면(141)과, 상기 연장부(124)에 삽입되는 연장 삽입부(142)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로크링(14)이 틀어져 안착함으로 인하여 패킹(13)에 균일한 압력이 전달되지 않아 수밀성이 떨어지게 되거나 로크링(14)에 의한 수도관(2)을 고정하는 힘이 불균형하여 줄어드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그 방안으로 본원은 로크링(14)에 제2 경사면(141)만 형성되어 있던 것에서 연장 삽입부(142)를 구비하도록 하여 로크링(14)과 압륜(12)이 결합할 때 약간이라도 틀어져 결합하는 경우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로크링(14)에 연장 삽입부(142)를 돌출 구성하면 연장된 삽입부(142)의 길이만큼 수도관(2)의 외면을 파지하는 내측 면적이 기존의 로크링보다 더 넓어지므로 더 높은 파지력으로 수도관과의 결합력이 더욱 견고해지며, 따라서 지진과 같은 큰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수도관의 이탈을 억제하여 내진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상기 로크링(14)의 연장 삽입부(142)는 상기 연장부(124) 보다 길게 형성되어 로크링(14)이 압륜(12)에 결합되었을 때, 연장 삽입부(142)의 끝단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한다.
이로써 연장 삽입부(142)의 끝단이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서 로크링(14)이 정상적으로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상기 로크링(14)의 연장 삽입부(142)는 상기 연장부(124) 보다 길게 형성되어 끝단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할 경우 삽입 상태의 파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 상기 로크링(14)의 연장 삽입부(142)의 끝단에는 외경면을 따라 로크링(13)이 압륜(12)에 삽입된 정도를 표시하는 일정한 길이의 표시부(144)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하면 표시부(144)의 위치에 따라 로크링(14)이 수도관(2)을 어느 정도 가압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어 견고한 고정에 도움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륜과 로크링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압륜(12)의 연장부(124)는 제2 테이퍼홀(123)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착 커지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로크링(14)의 연장 삽입부(142) 역시 제2 경사면(141)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연장 삽입부(142)가 또 다른 테이퍼진 형상의 결합을 가지도록 하면 이 경사에 의하여 로크링(14)을 더 가압하여 조임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즉 단순히 동일한 내경과 외경에 의하여 유격을 형성한 공간에 연장 삽입부(142)가 삽입되는 것보다 경사면을 통과하면서 가압되도록 하여 강한 조임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A)는 압륜과 연결관의 플랜지를 조이기 전의 상태를, (B)는 너트를 조여 압륜과 연결관의 플랜지를 단단히 죈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링의 다른 실시예로 로크링(14)의 플랜지(111) 방향의 끝단의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었다가 축소되는 걸림단턱부(145)를 추가로 형성하고 있다.
즉, 로크링(14)의 하측 테두리 방향에는 외향 돌출되는 걸림단턱부(145)를 더 구비한 것으로, 이러한 실시 예는 (B)에 나타나듯이 최대로 압륜과 플랜지를 조였을 때 상기 걸림단턱부(145)가 압륜과 플랜지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그 이상으로 로크링(14)이 압륜(12)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불필요하게 과도한 조임에 의해 수도관(2) 또는 로크링(14)의 내구성에 지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며, 나아가 수도관에 항상 일정한 파지력으로 이음장치가 결합구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로크링(14)의 패킹(13)과 밀착하는 면에는 환형으로 일정 높이로 하향 돌출되는 패킹 가압부(146)를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패킹 가압부의 직경은 플렌지(11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면 패킹 가압부(146)의 돌출된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만 패킹(13)을 압착하게 되므로 작업자에 따라 압륜을 과도하게 조일 경우 패킹이 무리하게 압착되면서 손상되는 것을 차단하고, 작업자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파지력으로 수도관을 클램핑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 : 연결장치
11 : 연결관
111 : 플랜지 112 : 제1 테이퍼홀
12 : 압륜
121 : 볼트 122 : 너트
123 : 제2 테이퍼홀 124 : 연장부
13 : 패킹
131 : 제1 경사면
14 : 로크링
141 : 제2 경사면 142 : 연장 삽입부
143 : 돌출리브 144 : 표시부
145 : 걸림단턱부 146 : 패킹 가압부
147 : 절개부
15 : 와셔
2 : 수도관

Claims (6)

  1. 양측에 대칭되도록 플랜지(111)를 일체로 형성한 연결관(11)과, 상기 플랜지(111)에 볼트(121)와 너트(122)로 조립되는 압륜(12)과, 상기 연결관(11)에 형성된 제1 테이퍼홀(112)에 접하는 제1 경사면(131)이 형성되어 수도관(2)과 수밀되는 패킹(13)과, 압륜(12)에 형성된 제2 테이퍼홀(123)에 접하는 제2 경사면(141)이 형성되고 일측에 절개부(147)가 형성되어 수도관(2)을 고정하는 로크링(14)과, 상기 패킹(13)과 로크링(14) 사이에 삽입되는 와셔(15)로 이루어진 수도관 연결장치(1)에 있어서;
    상기 압륜(12)은 플렌지(111)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커지는 제2 테이퍼홀(123)과, 상기 플렌지(111)의 반대 방향에서 내경이 상기 수도관(2)의 외경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연장부(124)가 형성되며,
    상기 로크링(14)은 외경에 상기 제2 테이퍼홀(123)에 상응하는 제2 경사면(141)과, 상기 연장부(124)에 삽입되는 연장 삽입부(142)와, 수도관(2)과 접하는 내경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출리브(143)가 형성되고,
    상기 로크링(14)의 연장 삽입부(142)는 상기 연장부(124) 보다 길게 형성되어 결합 시 연장 삽입부(142)의 끝단이 외부에 노출되게 구성하여 로크링(13)이 압륜(12)에 삽입된 정도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로크링(14)의 하측 테두리 방향에는 외향 돌출되는 걸림단턱부(145)를 더 구비하여 최대로 압륜과 플랜지를 조였을 때 상기 걸림단턱부(145)가 압륜과 플랜지 사이에 위치하게 하고,
    상기 걸림단턱부(145)의 하측에는 패킹(13)을 가압하기 위해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하향 돌출되는 패킹 가압부(146)를 더 형성하되, 패킹 가압부의 직경은 플렌지(11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파지력으로 수도관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수도관 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륜(12)의 연장부(124)는 제2 테이퍼홀(123)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로크링(14)의 연장 삽입부(142) 역시 제2 경사면(141)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수도관 연결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70154231A 2017-11-17 2017-11-17 시공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수도관 연결장치 KR102015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231A KR102015114B1 (ko) 2017-11-17 2017-11-17 시공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수도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231A KR102015114B1 (ko) 2017-11-17 2017-11-17 시공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수도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870A KR20190056870A (ko) 2019-05-27
KR102015114B1 true KR102015114B1 (ko) 2019-08-27

Family

ID=6667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231A KR102015114B1 (ko) 2017-11-17 2017-11-17 시공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수도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1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497B1 (ko) * 2020-03-23 2020-12-02 주식회사 고리 꺽임강도 및 내진 기능이 강화된 관
KR20230112787A (ko) 2022-01-20 2023-07-28 주식회사 진안 이음관용 압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283B1 (ko) * 2022-12-17 2023-11-08 주식회사 한양하이텍 강관의 수밀성 유지로 인해 상수도관로의 사용기간이 연장되는 다중 차단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5254A (ja) 1998-08-10 2000-02-22 Cosmo Koki Co Ltd 管継手
KR100844172B1 (ko) * 2007-12-27 2008-07-04 신진욱 스토퍼를 이용한 수도관의 이음방법
KR100845953B1 (ko) * 2008-03-18 2008-07-11 주식회사 두리 배관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4068Y2 (ja) * 1993-10-12 1996-07-03 大阪瓦斯株式会社 管継手
KR200166988Y1 (ko) 1997-12-24 2000-01-15 최정웅 배수관연결용접속장치
KR100839968B1 (ko) 2008-02-01 2008-06-19 주식회사 고리 수도관 연결장치
KR101026243B1 (ko) 2009-06-03 2011-03-31 김창규 수도관 연결장치
KR101003293B1 (ko) 2010-09-10 2010-12-21 김창규 내구성이 강화된 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5254A (ja) 1998-08-10 2000-02-22 Cosmo Koki Co Ltd 管継手
KR100844172B1 (ko) * 2007-12-27 2008-07-04 신진욱 스토퍼를 이용한 수도관의 이음방법
KR100845953B1 (ko) * 2008-03-18 2008-07-11 주식회사 두리 배관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497B1 (ko) * 2020-03-23 2020-12-02 주식회사 고리 꺽임강도 및 내진 기능이 강화된 관
KR20230112787A (ko) 2022-01-20 2023-07-28 주식회사 진안 이음관용 압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870A (ko) 201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114B1 (ko) 시공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수도관 연결장치
US7490866B2 (en) Anchoring device for pipe coupling
US20120175874A1 (en) Stepped down grip ring for use in pipe couplings and pipe coupling incorporating same
KR100908009B1 (ko) 관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JP4852368B2 (ja) 管継手
US6113156A (en) Pipe connector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1267263B1 (ko)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
KR20130074394A (ko) 파이프 연결구
KR20160086657A (ko) 관연결장치
US20080191478A1 (en) Coupling
WO2020033662A1 (en) Pipe coupling
KR102276622B1 (ko) 너트형 이탈방지압륜을 이용한 관의 결합 구조
KR101469151B1 (ko) 원푸싱 배관결합체
JP3276287B2 (ja) 管接続構造
KR100408930B1 (ko) 가요관 연결용 조인트
KR101785632B1 (ko) 연결단부의 파손과 관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한 보호소켓 일체형 상하수도관 세트
KR102110822B1 (ko) 압륜을 이용한 링 조인트 배관 결합장치
JP3939100B2 (ja) 耐震継手ならびに耐震管路
KR101308401B1 (ko) 파이프와 고강도 연결구를 일체로 하는 하수관 연결 조립체
JP2014121107A (ja) ネジ無し電線管用継手
CN218494440U (zh) 抱箍装置
KR20080006508U (ko) 배관 연결구
KR200363189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120097738A (ko) 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