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297B1 - Vehicle passing height limiter - Google Patents

Vehicle passing height limi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297B1
KR102355297B1 KR1020210054440A KR20210054440A KR102355297B1 KR 102355297 B1 KR102355297 B1 KR 102355297B1 KR 1020210054440 A KR1020210054440 A KR 1020210054440A KR 20210054440 A KR20210054440 A KR 20210054440A KR 102355297 B1 KR102355297 B1 KR 102355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height
vehicle
road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4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배
Original Assignee
(주)로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드텍 filed Critical (주)로드텍
Priority to KR1020210054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2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2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with obstructing members moving in a translatory motion, e.g. vertical lift barriers,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96Overhead structures, e.g. gantries; Foundation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guiding a passage height of a road based on a virtual experience scheme,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a vehicle is entering by sensing the height of the entering vehicle through various sensors, thereby preventing a collision with a facility installed in a road, and, moreover, enabling a virtual facility formed from a hologram projector connected with the sensors to induce a virtual experience of a collision with the facility, thereby guiding appropriate passage including more attention to accidents, route conciliation and the like to secure the safety of drivers as well as build a pleasant road environment therefrom. The apparatus includes: a facility constructed on a road while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vehicles can pass along the road; and a height limit structure (100) installed on a position spaced a set distance apart to the front of the facility, and comprising a first blocking part (10) radiating light onto the road to express the facility (1) in a hologram, thereby leading a vehicle exceeding a passage-allowable height to virtually experience a collision with the facility, a second blocking part (20)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locking part and the facility and comprising a frame of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assage of the facility to cause a collision with the vehicle exceeding the passage-allowable height to prevent a direct collision with the facility, and an indication lamp (30) delivering an acoustic or visual no-entry guide to a vehicle ignoring warnings from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parts.

Description

가상체험 방식에 기반한 도로의 통행 높이 안내장치{Vehicle passing height limiter}Road passage height guide device based on virtual experience method {Vehicle passing height limiter}

본 발명은 도로 내 차량 통행이 가능하도록 시공된 건물, 교각, 주차장, 터널 등 도로 상에서 주행 차량의 높이에 따라 진입에 제약을 두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높이 제한 구조물과 관련한 기술사상을 개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센서를 통해 진입 중인 차량의 높이를 감지하여 차량의 진입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도로 내 설치된 시설물과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고, 나아가 센서와 연계되는 홀로그램 입사기로부터 형성된 가상의 시설물로 하여금 시설물과의 충돌을 가상 체험 유도함으로써 사고에 대한 경각심 유발 및 경로 회유 등 바람직한 통행 안내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함은 물론 이로부터 쾌적한 도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가상체험 방식에 기반한 도로의 통행 높이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cal idea related to a height limiting structure installed to prevent accidents by restricting entr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driving vehicle on the road, such as buildings, piers, parking lots, tunnels, etc. constructed to allow vehicle passage on the road. In more detail, it detects the height of the vehicle entering through various sensors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enters or not, thereby preventing a collision with facilities installed on the road in advance, and furthermore, the It is based on the virtual experience method that can create a pleasant road environment as well as secure the driver's safety by inducing a virtual experience of a collision with a facility by inducing a virtual experience to induce awareness of accidents and to guide desirable passages such as route rotation. It relates to a road passage height guide device.

통상적으로 터닐 진입로나 지하 주차장 등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한정된 도로의 경우 해당 도로의 주행 가능한 규정 높이가 지정되고, 규정 높이를 초과한 차량에 한해서 진입을 차단하여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도로의 진입로 상에 해당 규정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 제한 구조물이 설치된다.Generally, in the case of a road with a limited height from the ground, such as a tunnel entrance or an underground parking lot, the drivable height of the road is specified, and only vehicles exceeding the specified height are blocked from entering the road to prevent collision accidents in advance. A height limiting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prescribed height is installed on the access road.

예컨대 상기 높이 제한 구조물과 관련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2049452호 "차량통과 높이제한장치"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상호 간격을 두고 직립 설치되는 한 쌍의 지주 및 지주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부 지지대와, 한 쌍의 지주에서부터 상부 지지대의 양측에 각각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롤러와, 각 롤러에 대응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와이어와, 각 와이어의 단부에 간격을 두고 연결되는 높이 제한바와, 지주의 하부에 각각 위치하며 와이어에 연결되어 복수의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냄으로써 높이 제한바의 높이를 조절하는 핸들 조절부로 구성된다.For example, as one of the technologies related to the height limiting structure, Registration Patent Publication No. 10-2049452 "Vehicle passage height limiting device" is published, and the technology is a pair of poles installed upright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the upper part of the poles mutually A plurality of rollers respectively installed at intervals from the pair of the upper support to both sides of the upper support, a plurality of wires movably install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roller, and the ends of each wi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consists of a height limiting bar that is connected, and a handle adjusting unit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post and connected to the wir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ight limiting bar by winding or unwinding a plurality of wires.

상기 기술은 차량의 통과 높이를 제한하되 핸들 조절부로 높이 제한바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차량의 진입 허용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기술이다.The above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can flexibly cope by limiting the passage height of the vehicle, but by changing the condition for allowing the vehicle to enter according to the situation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ight limit bar with the handle adjustment unit.

다른 일례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1801호 "공이감지봉을 이용한 차량 통행 도로 높이제한 확인장치"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도로의 양측 지면에 입설 설치되는 기둥과, 기둥 상단을 가로 연결되는 횡단보와, 횡단보의 윗면에 설치되는 통과높이 안내표지판 및 태양광 충전판과, 태양광 충전판으로부터 축전된 전기를 인계받아 야간에 점등되는 보안등과, 횡단보에서 체인에 의해 현가 설치된 공이감지봉을 포함한 구성이다.As another example,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81801 "A device for checking the height limit of vehicle passage using a ball detection rod" is published. A crosswalk that becomes a crosswalk, a passage height guide sign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rosswalk and a solar charging plate, a security light that is turned on at night by taking over the electricity accumulated from the solar charging plate, and a ball suspended by a chain at the crosswalk. It consists of a sensing rod.

상기 기술은 터널을 통과할 수 있는 허용 높이를 초과한 차량이 터널로 진입할 경우 차량의 상단이 공이감지봉에 접촉되면서 이를 감지하여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무리한 진입에 의한 시설물의 충돌을 예방한 기술이다.In the above technology, when a vehicle exceeding the allowable height to pass through the tunnel enters the tunnel, the upper end of the vehicl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all detection rod and detects this to control the vehicle's entry. technology to prevent

하지만 상기 기술은 물론 그 이전의 모든 높이 제한 구조물은 구조적 내지 사용상의 특성상 차량 내지 적재물의 높이가 애매한 경우 해당 차량이 높이제한바에 직접 충돌함으로써 해당 차량의 진입 허용 여부를 판단하거나, 혹은 운전자가 차량 내지 적재물의 높이가 초과됨을 인지하였음에도 각종 부주의로 인해 높이제한바에 충돌하여 각종 안전사고가 유발되었다.However, as for the above technology as well as all height-limiting structures prior to that, when the height of the vehicle or load is ambiguous due to structural or usage characteristics, the vehicle directly collides with the height-limiting bar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allowed to enter, or the driver Although it was recognized that the height of the load was exceeded, it collided with the height limit bar due to various carelessness, causing various safety accidents.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높이 제한 구조물의 통행 제한 안내 외에도 이를 무시하거나 또는 안내를 놓친 운전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반복적인 안내를 전달하여 시설물과의 충돌을 적극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고, 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도로 환경 조성에 앞장서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eloped a technology that can actively prevent a collision with a facility by providing repeated guidance in various ways to drivers who ignore or miss the guidance in addition to the passage restriction guidance of the height limiting structure, and by providing this We want to take the lead in creating a safe and comfortable road environment.

등록특허공보 제10-2049452호 "차량통과 높이제한장치"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49452 "Vehicle passage height limiting device"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1801호 "공이감지봉을 이용한 차량 통행 도로 높이제한 확인장치"Registered Utility Model Gazette No. 20-0281801 "A device for checking the height limit of the vehicle passage using the ball detection rod"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화물의 과적 허용량을 제한하는 도로 내지 터널이나 지하 주차장 등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한정된 도로를 진입하는 차량의 충돌 사고를 위해 높이 제한 구조물이 설치되되 상기 높이 제한 구조물은 진입 차량이 높이제한바에 충돌하기 이전에 진입 허용 여부를 판단하여 진입 불가 판정된 차량에 한해서 진입 불가 안내를 전달함으로써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more actively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for the collision accident of a vehicle entering a road with a limited height from the ground, such as a road or a tunnel or an underground parking lot that limits the overloaded amount of cargo, a height limiting structure This is installed, but the height limiting structure is to determine whether to allow the entry before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height limit bar, and to propose a technology that can prevent a collision accident in advance by delivering the entry prohibition guide only to the vehicles that are determined not to be able to enter make it a task to solve.

또한, 본 발명은 높이 제한 구조물이 진입 불가 안내를 전달받았음에도 이를 무시하고 진입하는 차량에게 청각적 내지 시각적으로 진입 불가 경고를 반복적으로 전달하여 사고 예방을 유도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solution to induce accident prevention by repeatedly delivering an audible or visual entry impossibility warning to an entering vehicle ignoring this even though the height limiting structure receives an entry impossibility guide.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가상체험 방식에 기반한 도로의 통행 높이 안내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configuration of the road passage height guide device based on the virtual experience metho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높이 안내장치은 도로 상에 건축되되 도로를 따라 차량 통행이 가능하도록 통로가 구비된 시설물(1);과, 시설물의 전방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도로 상에 빛을 조사하여 상기 시설물(1)을 홀로그램으로 표현함에 따라 통행 허용 높이를 초과한 차량에 한해서 시설물과의 충돌을 가상으로 체험되게 하는 제1차단부(10)와, 제1차단부와 시설물 사이에 설치되며 시설물의 통로와 대응하는 높이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통행 허용 높이를 초과한 차량에 대해 충돌을 유발함에 따라 시설물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사전 차단하는 제2차단부(20)와, 제1,2차단부의 경고를 무시한 차량에 대해 음성 또는 시각적으로 진입 불가 안내를 전달하는 표시등(30)으로 이루어지는 높이제한구조물(1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ight guid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acility (1) built on a road and provided with a passage so that vehicles can pass along the road; As the facility 1 is expressed as a hologram, it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locking unit 10 and the first blocking unit and the facility, which allows a virtual experience of collision with the facility only for vehicles exceeding the permitted height of passage, and the facility It consists of a frame of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assage of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height limiting structure (100) made of an indicator light (30) for delivering a voice or visual entry impossibility guidance to the neglected vehicle.

또한, 상기 제2차단부(20)는 도로의 양측 갓길에서 설정 높이 수직 입설되는 한 쌍의 입설대(21)와, 입설대의 상단 사이를 가로질러 결합되어 입설대를 고정하는 가로바(22)와, 가로바로부터 하향 배치되어 진입 차량의 높이를 제한하면서 높이를 초과한 차량과의 충돌을 목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제한바(23)와, 입설대에서 진입방향으로 설치되어 진입 차량의 높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1차단부(10) 및 표시등(30)과 공유하는 감지센서(24)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0 is coupled across a pair of standing stands 21 that are vertically standing at a set height on both sides of the road, and a horizontal bar 22 that is coupled across the top of the standing stands to fix the standing stands. ), a height limiting bar (23) arranged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bar and rotatably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colliding with a vehicle exceeding the height while limiting the height of the entering vehicle, and a detection sensor 24 that detects the height of the and shares the sensed information with the first blocking unit 10 and the indicator light 30 .

또한, 상기 제1차단부(10)는 도로 양측 갓길에서 수직 입설되는 한 쌍의 바디(11)와, 바디에 내장되며 도로의 중심부로 빛을 조사하여 시설물(1)과 대응하는 가상시설물(2)을 구축하는 광조사부(12)와, 감지센서(24)가 공유한 차량 높이 정보에 기반하여 가상시설물을 통과 중인 차량에 대해 사전 녹음된 사고충돌음을 표출되게 하는 스피커(13)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blocking unit 10 includes a pair of bodies 11 install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road, and a virtual facility 2 that is built into the body and irradiates light to the center of the road to correspond to the facility 1 ) and a speaker 13 that allows the pre-recorded accidental crash sound to be expressed for a vehicle passing through a virtual facility based on vehicle height information shared by the detection sensor 24 and

또한, 상기 표시등(30)은 시설물(1)과 제2차단부(20) 사이에서 도로 갓길에 입설되는 몸체부(31)와, 몸체부 상단에 구비되며 감지센서(24)가 공유한 차량 높이 정보를 기반으로 제1,2차단부(10,20)의 경고를 무시한 차량에 대해 경광등 또는 사이렌 또는 전광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운전자에게 진입 불가 안내를 재차 전달하는 경고부(32)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ndicator light 30 is provided with a body part 31 installed on the shoulder of the road between the facility 1 and the second blocking part 20, and a vehicle provided at the top of the body part and shared by the detection sensor 24 It includes a warning unit 32 that re-delivers an entry impossibility guide to the driver in at least one way of a warning light, a siren, or an electric sign for a vehicle that ignores the warnings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units 10 and 20 based on the height information. do.

또한, 상기 몸체부(31)는 제1,2차단부(10,20)의 통제를 무시하고 진입하는 차량 정보와 현재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외부로 공유하는 정보관리부가 내장 설치되고, 상기 정보관리부는 제2차단부(20)의 경고를 무시하고 시설물(1)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최종적으로 통행금지 또는 회유를 유도하거나, 제2차단부의 파손 내지 시설물과 충돌한 차량에 대해 즉각적으로 수습할 수 있는 현장관리요원의 파견이 유도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ody part 31 is installed with a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ignores the control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units 10 and 20 and collects information about vehicles entering an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and shares them to the outside, and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Ignores the warning of the second blocking unit 20 and induces a final curfew or circulation for vehicles entering the facility 1, or immediately repairs damage to the second blocking unit or a vehicle that collides with the facility. This includes inducing the dispatch of field management personnel who are available.

또한, 상기 정보관리부는 Wifi 또는 블루투스 또는 NFC를 포함한 단말기 근접 공유 구조물을 구비하여 제1,2차단부(10,20)의 통제를 무시하고 진입하는 차량의 네비게이션 또는 운전자의 단말기로 통행 회유 안내가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is equipped with a terminal proximity sharing structure including Wifi or Bluetooth or NFC to ignore the control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units 10 and 20 and guide the navigation of the vehicle entering or the driver's terminal. includes being made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화물의 과적 허용량을 제한하는 도로 내지 터널이나 지하 주차장 등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한정된 도로를 진입하는 차량의 충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높이 제한 구조물을 설치하되 상기 높이 제한 구조물은 각 입설대에 설치된 각종 감지센서와 홀로그램으로 도로에 가상의 시설물을 구현하는 제1차단부로 하여금 진입 중인 차량의 외관 정보 선감지 및 가상의 충돌 체험을 유도함으로써 높이제한바 내지 시설물에 충돌하기 이전에 진입 허용 여부를 판단하여 진입 불가 판정된 차량에 한해서 진입 불가 안내를 전달함에 따라 해당 차량이 높이제한바에 충돌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운전자의 안전은 물론 이로부터 쾌적한 도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주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the above configuration, a height limiting structure is installed to prevent a collision accident of a vehicle entering a road having a height limited from the ground, such as a road or a tunnel or an underground parking lot that limits the overloading allowance of cargo. The structure uses various detection sensors and holograms installed on each standing platform to induce the first blocking unit to implement a virtual facility on the road to detect the exterior information of the vehicle entering and induce a virtual collision experience, so as to collide with the height limit bar or facility. By providing a notice of non-entry only to vehicles that were previously judged to be allowed to en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in which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height limit bar in advance, thereby creating a pleasant road environment as well as safety for the driver. There is a main effect.

또한, 본 발명은 감지센서가 진입 불가 안내를 전달하였음에도 이를 무시하고 진입하여 높이제한바에 충돌한 차량에 대해서 높이제한바에 부가 설치된 종 및 경고음을 동반한 경고등이 청각적 내지 시각적으로 진입 불가 경고를 재차 전달함으로써 도로상 구조물과 차량의 충돌에 의한 대형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rning light with a bell and a warning sound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height limit bar for a vehicle that enters and collides with the height limit bar by ignoring this even though the detection sensor has delivered the entry impossibility warning, audible or visual, the entry impossibility warning again There is another effect that can prevent a major accident in advance due to a collision between a structure on the road and a vehicle by delivering it.

또한, 본 발명은 허용 높이를 초과한 차량이 시설물에 도달하기 이전에 현장 요원을 파견하여 최종 진입 불가 안내를 전달하여 충돌 사고 방지를 다시한번 유도함과 더불어, 사고 발생시 현장에 미리 출동한 요원으로 하여금 즉각적인 사고 수습이 이루어져 운전자의 안전 확보 및 쾌적한 도로 환경을 신속하게 조성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ends a field agent before the vehicle exceeding the allowable height reaches the facility and delivers the final entry impossibility guide to induce collision accident prevention once again, and also allows the agent who has been dispatched to the site in advance when an accident occurs There is another effect of promptly rectifying the accident, ensuring driver safety and quickly creating a pleasant road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높이 안내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높이 안내장치의 구성 요소 간 배치 관계를 도시한 측면도.
1 is a front view of a height guide device configur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height guide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collectively described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s action and effec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is embodiment serves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은 도로 내 차량 통행이 가능하도록 시공된 건물, 교각, 주차장, 터널 등 도로 상에서 주행 차량의 높이에 따라 진입에 제약을 두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높이 제한 구조물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technical idea of a height limiting structure that is installed to prevent accidents by restricting entr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driving vehicle on the road, such as buildings, piers, parking lots, tunnels, etc. constructed to allow vehicle passage on the road. is initiated

무엇보다 본 발명은 각종 센서를 통해 진입 중인 차량의 높이를 감지하여 차량의 진입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도로 내 설치된 시설물과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고, 나아가 센서와 연계되는 홀로그램 입사기로부터 형성된 가상의 시설물로 하여금 시설물과의 충돌을 가상 체험 유도함으로써 사고에 대한 경각심 유발 및 경로 회유 등 바람직한 통행 안내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함은 물론 이로부터 쾌적한 도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가상체험 방식에 기반한 도로의 통행 높이 안내장치에 관련됨을 주지한다.Above all,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height of an entering vehicle through various sensors to determine whether a vehicle enters or not, thereby preventing a collision with a facility installed on the road in advance, and furthermore, a virtual facility formed from a hologram injector linked with a sensor Road traffic based on a virtual experience method that can create a pleasant road environment as well as secure driver safety by inducing drivers to virtual experience a collision with a facility, inducing awareness of accidents and guiding desirable routes such as route reversal Note that this relates to the height guid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높이 안내장치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height guide device configur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높이 안내장치은 도로 상에 건축되되 도로를 따라 차량 통행이 가능하도록 통로가 구비된 시설물(1);과, 상기 통로의 허용 높이를 초과한 차량을 색출함으로써 진입을 제한하여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되게 하는 높이제한구조물(1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height guid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acility (1) built on a road and provided with a passage so that vehicles can pass along the road; and by searching for a vehicle exceeding the allowable height of the passage, It consists of a height limiting structure (100) to prevent a collision accident in advance.

상기 시설물(1)은 통행로를 구비한 건물이나 터널, 교각, 지하 주차장을 비롯하여 화물의 과적 허용량을 제한하는 도로 상의 모든 구조물과 건축물 등을 의미하며, 상기 높이제한구조물(100)은 상기 시설물(1)의 진입로 상에 설치되어 차량 내지 적재물의 높이에 따라 진입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진입 불가 차량의 진입을 제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acility (1) means all structures and structures on the road that limit the overloading allowance of cargo, including buildings, tunnels, piers, and underground parking lots with passageways, and the height limiting structure 100 is the facility (1) ) installed on the access roa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enter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vehicle or load, thereby preventing the entry of vehicles that cannot enter.

본 발명이 제안하는 높이제한구조물(100)은 시설물의 전방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도로 상에 빛을 조사하여 상기 시설물(1)을 홀로그램으로 표현함에 따라 통행 허용 높이를 초과한 차량에 한해서 시설물과의 충돌을 가상으로 체험되게 하는 제1차단부(10);와, 제1차단부와 시설물 사이에 설치되며 시설물의 통로와 대응하는 높이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통행 허용 높이를 초과한 차량에 대해 소정의 충돌을 유발함에 따라 시설물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사전 차단하는 제2차단부(20);와, 제1,2차단부의 경고를 무시한 차량에 대해 음성 또는 시각적으로 진입 불가 안내를 전달하는 표시등(30);으로 구성된다.The height limiting structure 10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location spaced apart by a set distance in front of the facility, and the vehicle exceeding the allowable height of passage by irradiating light on the road to express the facility 1 as a hologram The first blocking unit 10 that allows a collision with a facility to be virtually experienced only in the case of a vehicle that exceeds the allowable height of passage through a fram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locking unit and the facility and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assage of the facility A second blocking unit 20 for pre-blocking a direct collision with a facility as it causes a predetermined collision with respect to Indicator light 30; consists of.

상기 제1차단부(10)는 시설물(1)의 전방 즉 진입로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곳에 설치되어 차량이 시설물을 통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운전자에게 가장 먼저 안내한다.The first blocking unit 10 is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facility 1, that is, the farthest from the access road, and first guides the driver about whether the vehicle can pass through the facility.

상기 제1차단부(10)는 도로 양측 갓길에서 수직 입설되는 한 쌍의 바디(11)와, 바디에 내장되며 도로의 중심부로 홀로그램을 입사하여 통행하고자 하는 시설물(1)과 대응하는 가상시설물(2)을 구축하는 광조사부(12)와, 광조사부를 통과하는 차량 중 허용 높이를 초과한 차량에 대해서 경보음을 전달하는 스피커(13)로 구성된다.The first blocking unit 10 includes a pair of bodies 11 vertically standing on both sides of the road, and a virtual facility ( 2) is composed of a light irradiating unit 12, and a speaker 13 that transmits an alarm sound to a vehicle exceeding an allowable height among vehicles passing through the light irradiating unit.

상기 바디(11)는 외형이 직육면체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광조사부(12)와 스피커(13)가 내장 설치되어 비와 눈 또는 바람 등으로부터 해당 요소들을 보호한다. 상기 바디(11)는 식별이 용이한 색상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표면이 빛을 반사하는 소재로 이루어져 야간에도 차량의 불빛을 반사시켜 식별을 용이하게 하면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등의 도움을 준다.The body 11 has an external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a light irradiator 12 and a speaker 13 are installed inside to protect the elements from rain, snow, or wind. The body 11 is made of a color that is easy to identify, and in particular, the surface of which is made of a material that reflects light reflects the light of the vehicle even at night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while helping to secure the driver's field of vision.

상기 광조사부(12)는 홀로그램 입사기로써, 빛이 입사되는 렌즈가 바디(11)의 외부로 소정 노출되고, 그 외 부위는 바디에 내장 설치되어 안전하게 보존된다. 상기 광조사부(12)는 충돌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시설물(1)을 가상으로 설계한 데이터가 파일 형태로 저장되고, 아래 후술할 제2차단부(20)의 감지센서(24)가 차량을 감지하면 연계적으로 작동하여 렌즈로부터 빛이 입사됨에 따라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반한 가상시설물(2)이 도로 상에 표현된다.The light irradiator 12 is a hologram injector, and a lens through which light is inciden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1, and other parts are installed inside the body and safely preserved. The light irradiator 12 stores the virtual design data of the facility 1 to be protected from collision in the form of a file, and when the detection sensor 24 of the second blocking unit 20 to be described below detects the vehicle The virtual facility 2 based on the stored program is displayed on the road as light is incident from the lens by working in conjunction.

상기 스피커(13)는 광조사부(12)와 같이 음향이 전달되는 부분이 바디(11)의 외부로 소정 노출되고, 그 외 음향 파일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파일을 기반으로 음향을 생성하는 몸체는 바디에 내장 설치되어 안전하게 보존된다. 상기 스피커(13)는 다양한 종류의 경보음과 다양한 종류의 충돌음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경보음은 높이 초과 차량에 대해 진입 불가를 전달하는 상황에 사용되며, 상기 충돌음은 높이 초과 차량이 가상시설물(2)과 충돌하는 상황에 사용된다.In the speaker 13, a portion to which sound is transmitted, such as the light irradiator 1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1, and the body that stores other sound files or generates sound based on the stored files is on the body. Built-in installed and safely preserved. The speaker 13 stores various types of warning sounds and various types of collision sounds, and the warning sound is used in a situation in which entry is not allowed to a vehicle exceeding a height, and the collision sound is a virtual facility ( 2) is used in conflicting situations.

상기 제2차단부(20)는 시설물(1)과 제1차단부(10) 사이에 설치되어 제1차단부(10)의 통행 제한에 불응한 차량에 대해 일부 충돌을 유도함으로써 시설물과의 실질적인 충돌을 미연에 방지되게 한다.The second blocking unit 20 is installed between the facility 1 and the first blocking unit 10 to induce a partial collision with a vehicle that does not comply with the traffic restriction of the first blocking unit 10, thereby inducing a substantial impact with the facility. Prevent collisions in advance.

상기 제2차단부(20)는 도로의 양측 갓길에서 설정 높이 수직 입설되는 한 쌍의 입설대(21)와, 입설대의 상단 사이를 가로질러 결합되어 입설대를 고정하는 가로바(22)와, 가로바로부터 하향 배치되어 진입 차량의 높이를 제한하면서 높이를 초과한 차량과의 충돌을 목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제한바(23)와, 입설대에서 진입방향으로 설치되어 진입 차량의 높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1차단부(10) 및 표시등(30)과 공유하는 감지센서(24)로 구성된다.The second blocking portion 20 includes a pair of standing stands 21 that are vertically standing at a set height on both sides of the road, and a horizontal bar 22 that is coupled across the upper end of the standing stands to fix the standing stands and , a height limiting bar 23 that is arranged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bar and is rotatably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colliding with a vehicle exceeding the height while limiting the height of the entering vehicle; It is composed of a detection sensor 24 that detects and shares the sensed information with the first blocking unit 10 and the indicator light 30 .

상기 입설대(21)는 도로상 구조물의 입구로부터 약 30 내지 40m 전방(이 수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거리에 국한하지는 않는다)에서 도로의 양측 가장자리 즉 갓길에 2개 1조로 입설되고, 지면에 앙카볼트 시공으로 견고하게 고정된다.The standing stands 21 are install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road, that is, on the shoulder, from about 30 to 40 m in front of the entrance of the structure on the road (this figure is not limited to the distance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irmly fixed to the ground by the construction of anchor bolts.

상기 가로바(22)는 입설대(21)의 상단 사이를 가로질러 수평 배치되어 입설대와 볼트로 결합하고, 가로바의 중심 영역에는 각 입설대의 상단에서 연장되는 와이어와 체결되어 쳐짐을 방지하면서 균형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가로바(22)의 중심 영역에는 해당 도로의 지면과 가로바까지의 높이가 숫자로 기재된 제한높이 표지판이 부착된 것을 포함한다. The horizontal bar 22 is horizontally disposed across the upper end of the standing stand 21 and coupled with a bolt, an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cross bar, it is fastened with a wire extending from the top of each stand to prevent sagging. while maintaining balance In addition,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horizontal bar 22, a height limit sign in which the height of the road to the ground and the horizontal bar is written in numbers is attached.

상기 높이제한바(23)는 가로바(12)에서 설정 간격마다 하향 연장되는 와이어에 의해 수평으로 배치되며, 차량의 충돌에 대응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높이제한바(23)는 와이어의 길이 조절을 통해 가로바(12)로부터 하측으로 늘어지는 거리가 가변되고, 이에 따라 해당 도로의 지면으로부터 높이제한바(23)의 수직 높이가 가변되어 차량이 통행할 수 있는 허용 높이를 수정할 수 있다.The height limit bar 23 is horizontally arranged by a wire extending downward at every set interval from the horizontal bar 12, and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response to a vehicle collision. The height limiting bar 23 has a variable distanc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bar 12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ire. The allowable height of passage can be modified.

상기 감지센서(24)는 각 입설대(1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진입 중인 차량을 감지하고, 차량 내지 차량에 적재된 화물의 높이을 측정하여 높이제한바(23)를 통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즉각적으로 판단한다. 특히 해당 감지센서(24)는 제1차단부(10)에 진입 중인 차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1차단부에 전달하여 스피커(13)에 작동 명령을 하달하는 한편, 표시등(30)과도 감지된 정보를 공유하여 제2차단부(20)의 경고를 무시하고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유도한다.The detection sensor 24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each standing stand 10 to detect a vehicle entering, measure the height of the vehicle or cargo loaded in the vehicle, whether it can pass through the height limit bar 23 to judge immediately In particular, the corresponding detection sensor 24 detects a vehicle entering the first blocking unit 10, and transmits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first blocking unit to issue an operation command to the speaker 13, while the indicator light 30 ) and the sensed information are shared to induce an alarm sound to be generated for the vehicle entering by ignoring the warning of the second blocking unit 20 .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센서(24)는 제2차단부(2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배전반으로부터 전력공급케이블이 연결되고, 센서케이블, 전원선, 센서감지를 위한 신호선 등의 각종 전선은 플렉시블한 케이블 전용선에 의해 안전하게 수용된 상태로 입설대(21)와 가로바(22)의 내부공간 또는 외관상에 나사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 전용선은 감지센서(24)를 경고음과 같은 타 장치들과의 유기적인 결합을 위하여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천공되는 것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sensor 24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cable from a switchboard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blocking unit 20, a sensor cable, a power line, Various wires such as signal wires for sensor detection are securely fixed by screwing on the inner space or exterior of the standing stand 21 and the horizontal bar 22 in a state safely accommodated by the flexible cable dedicated wire. In addition, the cable dedicated line includes at least one hole perforated in one surface for organic coupling of the detection sensor 24 with other devices such as a warning sound.

상기 표시등(30)은 시설물(1)과 제2차단부(20) 사이에 설치되어 제1차단부(10) 내지 제2차단부(20)의 통행 제한에 불응한 차량에 대해 시각적 내지 청각적으로 진행 불가 안내를 전달하여 시설물과의 실질적인 충돌을 미연에 방지되게 한다.The indicator light 30 is installed between the facility 1 and the second blocking unit 20 to visually or auditory for vehicles that do not comply with the traffic restrictions of the first blocking unit 10 to the second blocking unit 20 . It is possible to prevent a real collision with the facility in advance by delivering a notice that it cannot proceed.

상기 표시등(30)은 진입금지 안내가 도출되는 전광판으로 이루어진 몸체 및 몸체의 상단에서 회전하는 경고등으로 하여금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진입 불가 안내와, 경고음을 발생시켜 청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진입 불가 안내를 전달한다.The indicator 30 is a body made of an electric sign from which the entry prohibition guide is derived, and a warning light rotating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provides an entry impossibility guide that can be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and a warning sound that can be audible to identify entry impossible. deliver guidance.

상기 표시등(30)은 시설물(1)과 제2차단부(20) 사이에서 도로 갓길에 입설되는 몸체부(31)와, 몸체부 상단에 구비되며 감지센서(24)가 공유한 차량 높이 정보를 기반으로 제1,2차단부(10,20)의 경고를 무시한 차량에 대해 경광등 또는 사이렌 또는 전광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운전자에게 진입 불가 안내를 재차 전달하는 경고부(32)로 구성되고, 제2차단부(20)의 구성요소인 입설대(21)의 후방으로 약 5 내지 10m(이 수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거리에 국한하지는 않는다) 이내에 설치되며, 감지센서(24)와 케이블에 의해 상호 연동하여 제2차단부(20)를 통과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진입 제한 경고를 전달한다.The indicator light 30 is provided with the body part 31 installed on the shoulder of the road between the facility 1 and the second blocking part 20, and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and the vehicle height information shared by the detection sensor 24 It is composed of a warning unit 32 that re-delivers an entry impossibility guide to the driver in at least one or more of a warning light, a siren, or an electric sign for a vehicle ignoring the warning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units 10 and 20 based on the It is installed within about 5 to 10 m (this number is not limited to the distance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rear of the standing tongue 21, which is a component of the second blocking part 20, and the detection sensor 24 and An entry restriction warning is transmitted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that has passed the second blocking unit 20 by interworking with each other by means of a cable.

상기 경고부(32)는 빨간등과 파란등이 교차로 점멸되는 경광등과 전광판이 구비되어 차량 통제를 시각적으로 안내하고, 경찰용 사이렌이나 그 외의 다양한 경보음을 통해 차량 통제를 청각적으로 안내한다. 특히 상기 표시등(30)은 해당 구간을 통행하는 모든 차량에 대해 통행이 안내되는 것이 아닌, 상기 감지센서(24)가 측정한 높이 초과 차량에 한해서 이러한 통행 제한 안내가 이루어진다.The warning unit 32 is provided with a warning light and an electric sign in which a red light and a blue light flash at the intersection to visually guide vehicle control, and aurally guide vehicle control through a police siren or other various alarm sounds. In particular, the indicator 30 does not guide the passage of all vehicles passing through the section, but only the vehicle exceeding the height measured by the detection sensor 24 is such a passage restriction guide.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높이 안내장치의 구성 요소 간 배치 관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height guide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시설물(1)의 통행 허용 높이와, 제2차단부(20)의 높이제한바(23) 높이와, 제1차단부(10)가 형성시킨 가상시설물(2)의 통행 높이가 일직선으로 일치되어야 한다.As shown in Figure 2,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llowable height of passage of the facility 1, the height of the height limit bar 23 of the second blocking unit 20, and the virtual facility formed by the first blocking unit 10 The height of the passage in (2) should be aligned in a straight line.

또한, 아래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표시등(30)은 감지센서(24)를 기반으로 통행 중인 높이 초과 차량의 주행 과정을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충돌 사고를 예측하고, 이로부터 현장 요원을 충돌시켜 즉각적인 사고 수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때 감지센서(24)의 정보로 충돌 사고를 예측하고 현장요원을 해당 구간에 도착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높이제한구조물(100)의 설치간격 또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일 것이다.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below, the indicato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detects the driving process of a vehicle exceeding the height in passing based on the detection sensor 24 to predict a collision accident, and collides a field agent from this to cause an immediate accident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height limiting structure 100 that can provide a time for predicting a collision accident with the information of the detection sensor 24 and allowing field personnel to arrive in the section It will also be one of the very important factors.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높이제한구조물(100) 중 제1차단부(10)는 시설물(1)의 진입로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며, 도로상에 홀로그램을 입사시켜 시설물(1)과 동일한 형상의 가상시설물(2)를 생성하고 운전자가 가상시설물 통과를 간접적으로 체험함에 따라 시설물로의 진입 여부를 자발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2 , the first blocking part 10 of the height limiting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farthest position from the access road of the facility 1 , and a hologram is incident on the road to be the same as the facility 1 . It creates the virtual facility 2 of the shape and plays a role of guiding so that the driver can voluntarily determine whether to enter the facility as the driver indirectly experiences the passage of the virtual facility.

한편, 제1차단부(10)는 해당 구간을 통행하는 모든 차량에 대해 홀로그램을 입사시켜 가상 체험을 유도할 수도 있고, 감지센서(24)와 정보를 공유받으면서 허용 높이를 초과한 차량이나 높이가 애매한 차량에 대해서만 홀로그램이 입사되어 가상 체험을 유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감지센서(24)는 가상시설물(2)로 진입하는 차량의 차체 높이와 화물차량의 경우 화물의 적재높이를 순차적으로 신속하게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해당 도로의 허용 높이를 초과하였는지에 대한 여부를 빠르게 판단하며, 판단된 정보를 즉시 제1차단부(10)로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blocking unit 10 may induce a virtual experience by injecting a hologram for all vehicles passing through the section, and the vehicle or height exceeding the allowable height while sharing information with the detection sensor 24 A hologram may be incident only on an ambiguous vehicle to induce a virtual experience. For example, the detection sensor 24 sequentially and quickly measures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entering the virtual facility 2 and the loading height of the cargo in the case of a cargo vehicle, and based on the measured information, the vehicle moves to the allowable height of the road. It is quickly determined whether or not has been exceeded, and the determined information is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first blocking unit (10).

상기 제1차단부(10)는 감지센서(24)가 제공한 차량 정보로 높이 초과 차량을 즉시 인식하고, 해당 차량이 가상시설물(2)로 진입하는 속도와 위치에 맞춰 홀로그램을 영상화 작동시켜 상호 충돌에 의해 시설물이 점차 파손되는 장면을 제공한다. 또한, 스피커(13)도 동시 작동하여 영상에 맞춰 충돌음을 제공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시설물(1)과의 충돌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며, 더이상의 진입을 금지할 것을 안내한다.The first blocking unit 10 immediately recognizes a vehicle exceeding the height with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etection sensor 24, and operates a hologram to image the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speed and location of the vehicle entering the virtual facility 2 to mutually Provides a scene in which the facility is gradually damaged by the collision. In addition, the speaker 13 also operates at the same time to provide a collision sound according to the image to awaken the driver's awareness of the collision with the facility 1 and guide the prohibition of further entry.

그러나 높이 초과 차량이 졸음운전, 전방 주시 태만 등의 운전자 부주위나, 브레이크 고장 등 차량 결함으로 제1차단부(10)의 경고를 무시하고, 시설물(1)로 진입할 경우 제2차단부(20)가 한번 더 차량의 주행을 정지할 것을 안내한다.However, when a vehicle exceeding the height ignores the warning of the first blocking unit 10 and enters the facility 1 due to driver negligence such as drowsy driving, negligent driving, or vehicle defects such as brake failure, the second blocking unit 20 ) guides the vehicle to stop running once more.

상기 제2차단부(20)는 감지센서(24)를 통해 제1차단부(10)로 진입하는 차량의 높이를 측정하여 제1차단부와 표시등(30)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높이제한바(23)와의 직접적인 충돌을 유도함으로써 주행을 중단할 것을 더욱 강력하게 어필한다.The second blocking unit 20 measures the height of the vehicle entering the first blocking unit 10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24 and provides information to the first blocking unit and the indicator light 30, and limits the height By inducing a direct collision with the bar 23, it strongly appeals to stop driving.

이러한 충격에도 불구하고, 높이 초과 차량이 시설물(1)로 이동할 경우 표시등(30)은 경광등과 사이렌 그리고 전광판을 작동시켜 시각적, 청각적으로 통행 제한 안내를 제공하고, 동시에 차량의 초과된 높이 정보와 차량에 등록된 운전자 정보 및 제1차단부(10)와 제2차단부(20)를 경유한 정보를 도로교통관리소에 전달하여 현장 통제 및 사고 수습을 위한 현장요원을 출동시킬 수 있도록 안내한다.In spite of this impact, when an over-height vehicle moves to the facility 1, the indicator light 30 operates a warning light, a siren, and an electric sign to provide visual and auditory traffic restriction guidance, and at the same tim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s excess height The driver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vehicle and the information passed through the first blocking unit 10 and the second blocking unit 20 are transmitted to the road traffic management office to guide field personnel for on-site control and accident management. .

한편, 상기 표시등(30)은 자체적으로 Wifi 또는 블루투스 또는 NFC를 포함한 단말기 근접 공유 구조물을 구비하여 제1,2차단부(10,20)의 통제를 무시하고 진입하는 차량의 네비게이션 또는 운전자의 단말기로 통행 회유 안내를 유도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도로 환경을 구축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dicator 30 is equipped with a terminal proximity sharing structure including Wifi or Bluetooth or NFC by itself to ignore the control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units 10 and 20 and enter the vehicle navigation or the driver's terminal A more convenient road environment is established by guiding the circulation of road traffic.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도로 안내장치은 화물의 과적 허용량을 제한하는 도로 내지 터널이나 지하 주차장 등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한정된 도로를 진입하는 차량의 충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높이 제한 구조물을 설치하되 상기 높이 제한 구조물은 각 입설대에 설치된 각종 감지센서와 홀로그램으로 도로에 가상의 시설물을 구현하는 제1차단부로 하여금 진입 중인 차량의 외관 정보 선감지 및 가상의 충돌 체험을 유도함으로써 높이제한바 내지 시설물에 충돌하기 이전에 진입 허용 여부를 판단하여 진입 불가 판정된 차량에 한해서 진입 불가 안내를 전달함에 따라 해당 차량이 높이제한바에 충돌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운전자의 안전은 물론 이로부터 쾌적한 도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The road guid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stalls a height limiting structure in order to prevent a collision accident of a vehicle entering a road having a limited height from the ground, such as a road or a tunnel or an underground parking lot that limits the overloaded amount of cargo. The height limiting structure uses various detection sensors and holograms installed on each standing stand to induce the first blocking unit to implement a virtual facility on the road to detect the exterior information of the vehicle entering and to induce a virtual collision experience. By judging whether or not to allow entry prior to a collision, and only to the vehicles that are judged not to be allowed to enter, an entry prohibition guide is delivered,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in which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height limit bar in advance, creating a comfortable road environment as well as safety for the driver. can do.

또한, 감지센서가 진입 불가 안내를 전달하였음에도 이를 무시하고 진입하여 높이제한바에 충돌한 차량에 대해서 높이제한바에 부가 설치된 종 및 경고음을 동반한 경고등이 청각적 내지 시각적으로 진입 불가 경고를 재차 전달함으로써 도로상 구조물과 차량의 충돌에 의한 대형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though the detection sensor delivered an entry impossibility guide, for vehicles that entered the vehicle ignoring it and collided with the height limit bar, a bell and a warning light with a warning sound installed on the height limit bar re-deliver an audible or visual warning of impossibility to enter the road. It is possible to prevent large-scale accidents in advance due to collisions between upper structures and vehicles.

또한, 허용 높이를 초과한 차량이 시설물에 도달하기 이전에 현장 요원을 파견하여 최종 진입 불가 안내를 전달하여 충돌 사고 방지를 다시한번 유도함과 더불어, 사고 발생시 현장에 미리 출동한 요원으로 하여금 즉각적인 사고 수습이 이루어져 운전자의 안전 확보 및 쾌적한 도로 환경을 신속하게 조성할 수 있다.In addition, before the vehicle exceeding the allowable height reaches the facility, on-site personnel are dispatched to deliver the final impassable notice to induce collision accident prevention once again, and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personnel who have been dispatched to the site in advance to solve the accident immediately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ecure driver safety and quickly create a pleasant road environmen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be made clear.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시설물 10. 제1차단부
11. 바디 12. 광조사부
13. 스피커 20. 제2차단부
21. 입설대 22. 가로바
23. 높이제한바 24. 감지센서
30. 표시등 100. 높이제한구조물
1. Facility 10. 1st breaker
11. Body 12. Light irradiator
13. Speaker 20. Second blocking part
21. Stand 22. Garro Bar
23. Height limit bar 24. Detection sensor
30. Indicator light 100. Height limiting structure

Claims (3)

도로를 따라 차량 통행이 가능하도록 통로가 구비된 시설물(1);과, 시설물의 전방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도로상에 빛을 조사하여 상기 시설물(1)을 홀로그램으로 표현함에 따라 통행 허용 높이를 초과한 차량에 한해서 시설물과의 충돌을 가상으로 체험되게 하는 제1차단부(10), 제1차단부와 시설물 사이에 설치되며 시설물의 통로와 대응하는 높이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통행 허용 높이를 초과한 차량에 대해 충돌을 유발함에 따라 시설물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사전 차단하는 제2차단부(20), 제1,2차단부의 경고를 무시한 차량에 대해 음성 또는 시각적으로 진입 불가 안내를 전달하는 표시등(30)으로 이루어지는 높이제한구조물(100);로 구성되는 도로의 통행 높이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차단부(20)는 도로의 양측 갓길에서 설정 높이 수직 입설되는 한 쌍의 입설대(21);와, 입설대의 상단 사이를 가로질러 결합되어 입설대를 고정하는 가로바(22);와, 가로바로부터 하향 배치되어 진입 차량의 높이를 제한하면서 높이를 초과한 차량과의 충돌을 목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제한바(23);와, 입설대에서 진입방향으로 설치되어 진입 차량의 높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1차단부(10) 및 표시등(30)과 공유하며, 가상시설물(2)로 진입하는 차량의 차체 높이 내지 화물차의 화물 적재높이를 순차적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차량이 도로의 허용 높이를 초과하였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정보를 제1차단부(10)로 전달하는 감지센서(2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부(10)는 도로 양측 갓길에서 수직 입설되는 한 쌍의 바디(11);와, 바디에 내장되며 도로의 중심부로 빛을 조사하여 시설물(1)과 대응하는 가상시설물(2)을 구축하되, 충돌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시설물(1)을 가상으로 설계한 데이터가 파일 형태로 저장되고, 제2차단부(20)의 감지센서(24)가 차량을 감지하면 연계적으로 작동하여 렌즈로부터 빛이 입사됨에 따라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반한 가상시설물(2)이 도로상에 표현되는 광조사부(12);와, 감지센서(24)가 공유한 차량 높이 정보에 기반하여 가상시설물을 통과 중인 차량에 대해 사전 녹음된 사고충돌음을 표출되게 하는 스피커(13);로 이루어짐에 따라 감지센서(24)가 제공한 차량 정보로 높이 초과 차량을 즉시 인식하여 해당 차량이 가상시설물(2)로 진입하는 속도와 위치에 맞춰 홀로그램을 영상화 작동시켜 상호 충돌에 의해 시설물의 파손 장면이 제공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등(30)은 시설물(1)과 제2차단부(20) 사이에서 도로 갓길에 입설되는 몸체부(31);와, 몸체부 상단에 구비되며 감지센서(24)가 공유한 차량 높이 정보를 기반으로 제1,2차단부(10,20)의 경고를 무시한 차량에 대해 경광등 또는 사이렌 또는 전광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운전자에게 진입 불가 안내를 재차 전달하는 경고부(32);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31)는 제1,2차단부(10,20)의 통제를 무시하고 진입하는 차량 정보와 현재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외부로 공유하는 정보관리부가 내장 설치되고, 상기 정보관리부는 Wifi 또는 블루투스 또는 NFC를 포함한 단말기 근접 공유 구조물을 구비하여 제2차단부(20)의 경고를 무시하고 시설물(1)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최종적으로 네비게이션 또는 운전자의 단말기로 통행 회유 안내가 이루어지면서 제2차단부의 파손 내지 시설물과 충돌한 차량에 대해 즉각적으로 수습할 수 있는 현장관리요원의 파견이 더 유도되는 것을 포함하는 가상체험 방식에 기반한 도로의 통행 높이 안내장치.
A facility (1) provided with a passage so that vehicles can pass along the road; and a facility (1) installed at a set distance apart in front of the facility and irradiated with light on the road to express the facility (1) as a hologram. The first blocking unit 10 that allows a vehicle exceeding the allowable height to experience a collision with a facility virtually, and it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locking unit and the facility and consists of a frame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assage of the facility. The second blocking unit 20, which blocks a direct collision with a facility in advance, as it causes a collision for vehicles exceeding the A height limiting structure 100 made of an indicator light 30; In the road passage height guide device consisting of
The second blocking part 20 is a pair of standing stands 21 which are vertically standing at a set height on both sides of the road; and a horizontal bar 22 coupled across the top of the standing stands to fix the standing stands. ; And, a height limiting bar (23) arranged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bar and rotatably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colliding with a vehicle exceeding the height while limiting the height of the vehicle entering; The height of the vehicle is sensed, the detected information is shared with the first blocking unit 10 and the indicator light 30, and the vehicle body height of the vehicle entering the virtual facility 2 or the cargo loading height of the truck are sequentially measured. and a detection sensor 24 that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exceeds the allowable height of the road based on the measur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determined information to the first blocking unit 10;
The first blocking part 10 is a pair of bodies 11 install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road; and a virtual facility (2) that is built into the body and irradiates light to the center of the road to correspond to the facility (1) However, when the virtual design data of the facility (1) to be protected from collision is stored in the form of a file, and the detection sensor 24 of the second blocking unit 20 detects a vehicle, i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lens The light irradiator 12, in which the virtual facility 2 based on the stored program is expressed on the road as light is incident from As it consists of, the vehicl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etection sensor 24 immediately recognizes a vehicle exceeding the height, and the speed at which the vehicle enters the virtual facility 2 and Including the operation of imaging the hologram according to the location to provide a scene of damage to the facility by mutual collision,
The indicator light 30 is a body part 31 installed on the shoulder of the road between the facility 1 and the second blocking part 20; and the vehicle height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and shared by the detection sensor 24 Including a warning unit 32 for re-delivering an entry impossibility guide to the driver in at least one or more of a warning light, a siren, or an electric sign for a vehicle that ignores the warning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units 10 and 20 based on the information; However, the body part 31 is installed with a built-i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ignores the control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units 10 and 20 and collects entering vehicle information an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and shares it to the outside, and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is equipped with a terminal proximity sharing structure including Wifi or Bluetooth or NFC, ignoring the warning of the second blocking unit 20, and finally, a navigation guide or a travel guide for a vehicle entering the facility 1 is provided to the driver's terminal. A road passage height guide device based on a virtual experience method, including further inducing dispatch of on-site management personnel who can immediately fix the damage of the second blocking unit or the vehicle that collided with the facility.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54440A 2021-04-27 2021-04-27 Vehicle passing height limiter KR1023552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440A KR102355297B1 (en) 2021-04-27 2021-04-27 Vehicle passing height limi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440A KR102355297B1 (en) 2021-04-27 2021-04-27 Vehicle passing height limi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297B1 true KR102355297B1 (en) 2022-02-08

Family

ID=80252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440A KR102355297B1 (en) 2021-04-27 2021-04-27 Vehicle passing height limi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29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61887A (en) * 2022-03-29 2022-05-31 戴凌云 Liftable height limiting device for highwa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801Y1 (en) 2002-03-15 2002-07-13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Restriction apparatus for height of vehicle travelling on road
KR20120118593A (en) * 2011-04-19 2012-10-29 주용산업주식회사 Warning apparatus for restricting height of a loaded truck
KR102049452B1 (en) 2019-08-26 2020-01-08 주식회사 천보건설 Vehicle passing height limiter
KR102074044B1 (en) * 2017-12-28 2020-02-0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Height Limit Set at the entrance to the tunn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801Y1 (en) 2002-03-15 2002-07-13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Restriction apparatus for height of vehicle travelling on road
KR20120118593A (en) * 2011-04-19 2012-10-29 주용산업주식회사 Warning apparatus for restricting height of a loaded truck
KR102074044B1 (en) * 2017-12-28 2020-02-0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Height Limit Set at the entrance to the tunnel
KR102049452B1 (en) 2019-08-26 2020-01-08 주식회사 천보건설 Vehicle passing height limi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61887A (en) * 2022-03-29 2022-05-31 戴凌云 Liftable height limiting device for highw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451B1 (en) System for the converse driving prevention
US7075427B1 (en) Traffic warning system
KR102168689B1 (en) System for monitoring height of vehicle
KR101720163B1 (en) Road reflector apparatus
KR102126118B1 (en)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Zigbee communication and height measurement
KR101682061B1 (en) The road alarm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55297B1 (en) Vehicle passing height limiter
KR101855301B1 (en) Vehicle entry alarm system in traffic-walking dangerous zone and its operating method
CN110053651A (en) The security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level crossing in railroad train service area
KR101142722B1 (en) Traffic control system for handling wayside disaster
KR20200093828A (en) How to install gate in crosswalk and driveway so that children can safely cross the crosswalk of the school zone
KR20090026240A (en) Installation for signify the emergency accidient of tunnel
KR100915336B1 (en) Safeguard apparatus for safety of pedestrian
KR100923586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ffic light discrimination in school zone, metyhod for information display
CN206480158U (en) Intelligent traffic safety warning system
JP3176774B2 (en) Height limit excess detection / alarm device
KR101770986B1 (en) Wireless lightning warning systems in the event of accidents
KR100949180B1 (en) Vehicles control device in safe zone
KR102498585B1 (en) Train signal system for preventing accident of railway vehicle
KR20130004561U (en) Traffic signal equipment and system in school zone
CN116363903A (en) Anti-collision early warning system for underground passage or tunnel structure
CN110689729A (en) Fault emergency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adjacent traffic lanes
CN114120656B (en) Comprehensive solution system for urban viaduct road safety protection
KR20190082465A (en) Traffic Safety system of Tunel and Bridge
KR101204052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Disaster Information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