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907B1 -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 - Google Patents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907B1
KR102354907B1 KR1020210066577A KR20210066577A KR102354907B1 KR 102354907 B1 KR102354907 B1 KR 102354907B1 KR 1020210066577 A KR1020210066577 A KR 1020210066577A KR 20210066577 A KR20210066577 A KR 20210066577A KR 102354907 B1 KR102354907 B1 KR 102354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ke
screen
vibration damping
damping unit
rak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박세진
김범중
조현철
김범석
이경한
김지수
Original Assignee
(유)신일
한국환경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신일, 한국환경공단 filed Critical (유)신일
Priority to KR1020210066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7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반경이 더욱 확대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수로의 바닥면과 스크린 하부 사이에 위치한 물풀, 물이끼, 넝쿨, 큰빚이끼벌레 등 다양한 종류의 협잡물은 물론 스크린에 남아있는 잔여협잡물 또한 보다 용이하게 인양하여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A vibration damper capable of removing residual foreign matter}
본 발명은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반경이 더욱 확대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수로의 바닥면과 스크린 하부 사이에 위치한 물풀, 물이끼, 넝쿨, 큰빚이끼벌레 등 다양한 종류의 협잡물은 물론 스크린에 남아있는 잔여협잡물 또한 보다 용이하게 인양하여 제거할 수 있는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취수장, 우수처리 시설과 같이 물을 관리하는 곳에는 부유하여 떠다니는 각종 협잡물(Debris)이 수로를 통해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로를 가로막는 제진기(Bar Screen, Trash remover)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제진기는 설치구조에 따라 크게, 로터리 제진기와 유압식 제진기로 대별되며, 최근에는 보조스크린을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용이하게 젖힐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상 용이성을 극대화 및 협잡물의 제거율을 더욱 증대시킨 로터리 제진기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64591호로 제안 및 붐대의 단부에 구비된 레이크(rake)에 하중 발생시에 이송바디의 전측 쏠림 작용을 받을시에도 이송레일에 대해 이송바디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유압식 자동 제진기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65812호로 제안된 바 있다.
이 중 로터리 제진기의 경우 레이크가 회전하면서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끌어올리면서 제거하게 되나 바닥과 스크린 사이에 위치한 물풀, 물이끼, 넝쿨, 큰빚이끼벌레 등 다양한 종류의 협잡물을 레이크를 이용하여 제거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64591호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6581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반경이 더욱 확대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수로의 바닥면과 스크린 하부 사이에 위치한 물풀, 물이끼, 넝쿨, 큰빚이끼벌레 등 다양한 종류의 협잡물은 물론 스크린에 남아있는 잔여협잡물 또한 보다 용이하게 인양하여 제거할 수 있는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로에 설치되어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따라 순환 이동하며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는 복수의 레이크를 포함하는 제진부와; 복수의 상기 레이크의 하부에 상부가 축결합되는 보조 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레이크가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서 방향전환시 수로의 바닥면과 스크린의 하부 사이에 위치한 잔여협잡물을 상기 보조 레이크가 걸어 상기 스크린의 전면을 따라 인양시키는 잔여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따라 순환이동하며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는 복수의 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진부와; 복수의 상기 레이크의 하부에 상부가 축결합되는 보조 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레이크가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서 방향전환시 상기 스크린에 남아있는 잔여협잡물을 상기 보조 레이크가 걸어 상기 스크린의 전면을 따라 인양시키는 잔여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진부의 후측에 위치하도록 수로에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레이크는 상기 제진부의 전측에서 하강하여 상기 제진부의 후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스크린의 전면을 따라 상승하도록 순환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진부의 전측에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레이크는 상기 제진부의 후측에서 하강하여 상기 제진부의 전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스크린의 전면을 따라 상승하도록 순환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 레이크는 상기 제진부의 복수의 레이크 중 하나 이상의 레이크의 하부에 상부가 축결합되는 회동 브라켓과; 상기 회동 브라켓의 하부에 구비되는 레이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동 브라켓은 상기 제진부의 레이크 중 하나 이상의 레이크의 하부에 상부가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되는 복수의 회동암과; 복수의 상기 회동암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복수의 상기 회동암은 상기 레이크부가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진부의 레이크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복수의 상기 회동암의 상부에 상기 레이크의 하부에 축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축이 내측에 수용되는 비틀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브라켓의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레이크의 중간부에 상기 레이크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상부를 상기 레이크의 전측방향으로 점차 가압하여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상기 레이크부를 밀착시키는 전후이동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복수의 상기 회동암의 상부에 상기 레이크의 하부에 축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축이 내측에 수용되는 비틀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브라켓의 측면에 상기 탄성부재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레이크의 하부 전측에 상기 레이크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상부를 상기 레이크의 하부방향으로 점차 가압하여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상기 레이크부를 밀착시키는 상하이동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복수의 회동암에는 수직방향의 보강리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제진부의 레이크의 하부에 상부가 축결합되는 보조 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잔여이물질 제거부로 인해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반경이 더욱 확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수로의 바닥면과 스크린 하부 사이에 위치한 물풀, 물이끼, 넝쿨, 큰빚이끼벌레 등 다양한 종류의 협잡물은 물론 스크린에 남아있는 잔여협잡물을 상기 스크린의 상부방향으로 용이하게 인양하여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일예의 잔여이물질 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일예의 잔여이물질 제거부의 보조 레이크가 잔여협잡물을 인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탄성부재가 구비된 다른예의 잔여이물질 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다른예의 잔여이물질 제거부의 보조 레이크가 잔여협잡물을 인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탄성부재가 구비된 또 다른예의 잔여이물질 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또 다른예의 잔여이물질 제거부의 보조 레이크가 잔여협잡물을 인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스크린(10), 제진부(11) 및 잔여이물질 제거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스크린(10)은 수로(3)에 설치되어 물풀, 물이끼, 넝쿨, 큰빚이끼벌레 등 다양한 종류의 협잡물을 걸러낸다.
다음으로, 상기 제진부(11)는 상기 스크린(10)의 상하방향으로 반복순환이동하면서 상기 스크린(10)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는 복수의 레이크(1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일예의 잔여이물질 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잔여이물질 제거부(20)는 일예로,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조 레이크(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 레이크(21)의 상부는 복수의 상기 레이크(111)의 하부에 축결합된다.
복수의 상기 레이크(111)가 상기 스크린(10)의 하부에서 방향전환시 상기 보조 레이크(21)는 수로(3)의 바닥면과 상기 스크린(10)의 하부 사이에 위치한 잔여협잡물을 걸어 상기 스크린(10)의 전면을 따라 상기 스크린(10)의 상부방향으로 인양시키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일예의 잔여이물질 제거부의 보조 레이크가 잔여협잡물을 인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일예로, 상기 스크린(10)은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진부(11)의 후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로(3)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잔여이물질 제거부(20)와 함께 복수의 상기 레이크(111)는 상기 제진부(11)의 전측에서 상기 제진부(11)의 하측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제진부(11)의 후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스크린(10)의 전면을 따라 상승하도록 순환이동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잔여이물질 제거부(20)가 복수의 상기 레이크(111)를 따라 순환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잔여이물질 제거부(20)의 보조 레이크(21)의 하부에 수로(3)의 바닥면과 스크린(10) 하부 사이에 위치한 물풀, 물이끼, 넝쿨, 큰빚이끼벌레 등 다양한 종류의 협잡물(5) 및 상기 스크린(10)에 남아있는 잔여협잡물(5a)이 걸릴 수 있다.
상기 잔여이물질 제거부(20)의 보조 레이크(21)의 하부에 걸린 협잡물(5) 및 잔여협잡물(5a)은 상기 스크린(10)의 상부방향으로 용이하게 인양되어 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 레이크(21)는 일예로,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회동 브라켓(210)과 레이크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 브라켓(210)의 상부는 상기 제진부(11)의 복수의 레이크(111) 중 하나 이상의 레이크(111)의 하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동 브라켓(210)은 일예로, 크게, 복수의 회동암(211)과 수평연결부(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회동암(211)은 상기 레이크(11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회동암(211)의 상부는 상기 제진부(11)의 레이크(111) 중 하나 이상의 레이크(111)의 하부에 상기 레이크(11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회동암(21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상기 회동암(21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리브(213)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회동암(211)의 전측 중간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213)는 상기 레이크(11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연결부(212)는 상기 레이크(11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수평연장된 상태로 상기 회동암(211)의 하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수평연결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이크부(220)는 상기 회동 브라켓(210)의 수평연결부(212)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이크부(220)는 일예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경사판(221), 경사이동판(222) 및 핀부재(2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판(221)은 상기 수평연결부(212)를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수평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판(221)은 상기 회동암(211)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상기 회동암(211)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경사이동판(222)은 상기 경사판(221)을 따라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기 경사판(221)의 하부에 상기 경사판(221)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체결부재(7)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경사이동판(222)의 중간부에는 상기 경사이동판(222)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222a)이 상기 경사이동판(222)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7)는 일예로, 볼트(7a)와 너트(7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7a)는 상기 경사판(221)과 상기 경사이동판(222)의 가이드슬릿(222a)을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경사이동판(222)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배치될 수 있다.
상기 너트(7b)는 상기 볼트(7a)의 하부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경사이동판(222)의 하부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핀부재(223)는 상기 경사이동판(222)을 따라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기 경사이동판(222)의 하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핀부재(223)는 상기 경사이동판(222)을 따라 전후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스크린(10)에 일정깊이로 삽입되는 상기 핀부재(223)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의 삽입깊이 또한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핀부재(223)의 후측에 상기 스크린(10)에 남아있는 잔여협잡물(5a)이 걸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핀부재(223)의 후측에 상기 스크린(10)에 남아있는 잔여협잡물(5a)이 보다 높은 효율로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레이크부(220)의 경사이동판(222)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이 상기 스크린(10)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상기 회동암(211)의 상부의 축(211b)에는 복수의 상기 회동암(211)의 상부를 기준으로 복수의 상기 회동암(211)의 하부를 상기 복수의 상기 회동암(211)의 후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킨 상태로 탄성지지하는 비틀림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도 7 및 도 8은 탄성부재가 구비된 다른예의 잔여이물질 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다른예의 잔여이물질 제거부의 보조 레이크가 잔여협잡물을 인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탄성부재(30)가 구비될 수 있는 다른예의 상기 잔여이물질 제거부(20)는 일예의 상기 잔여이물질 제거부(20)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회동암(211)의 상부에 상기 레이크(111)의 하부 전측에 축결합되는 연결브라켓(211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0)를 이룰 수 있는 비틀림스프링의 내측에 상기 연결브라켓(211a)의 축(211b)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브라켓(211a)이 하부에는 상기 탄성부재(30)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하부와 접하여 상기 탄성부재(30)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하부를 탄성지지하는 지지축(211c)이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0)를 이룰 수 있는 비틀림스프링의 상부를 상기 레이크(111)의 전측방향으로 점차 가압하여 상기 레이크부(220)의 후측을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10)의 전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전후이동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부(40)는 일예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판(410), 전후이동부재(420) 및 가압판(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410)은 상기 레이크(11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레이크(111)의 중간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부재(420)는 상기 고정판(410)의 중간부에 수평으로 나사결합되는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부재(420)를 이룰 수 있는 볼트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부재(420)는 상기 레이크(111)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압판(430)은 상기 고정판(4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상하연장되어 상기 전후이동부재(420)의 전측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압판(430)은 상기 전후이동부재(420)를 따라 전후이동될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후이동부재(420)가 상기 레이크(111)의 전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 가압판(430)은 상기 탄성부재(30)를 이룰 수 있는 비틀림스프링의 상부를 상기 레이크(111)의 전측방향으로 점차 가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탄성부재(30)를 이룰 수 있는 비틀림스프링의 하부가 상기 레이크(111)의 상부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지지축(211c)을 상기 레이크(111)의 상부방향으로 점차 들어올릴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상기 레이크부(220)의 후측이 상기 레이크(111)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점차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스크린(10)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탄성부재가 구비된 또 다른예의 잔여이물질 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또 다른예의 잔여이물질 제거부의 보조 레이크가 잔여협잡물을 인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탄성부재(30)가 구비될 수 있는 또 다른예의 상기 잔여이물질 제거부(20)는 일예 및 다른예의 상기 잔여이물질 제거부(20)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브라켓(211c)은 상기 레이크(111)의 후측 하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브라켓(211a)의 전측 하부 일측면 또는 전측 하부 타측면에는 상기 탄성부재(30)를 이룰 수 있는 비틀림스프링의 하부와 접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30)를 이룰 수 있는 비틀림스프링의 하부를 탄성지지하는 지지축(211c)이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탄성부재(30)를 이룰 수 있는 비틀림스프링의 상부를 상기 레이크(111)의 하부방향으로 점차 가압하여 상기 레이크부(220)의 후측을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10)의 전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상하이동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50)는 일예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판(510), 상하이동부재(520) 및 가압판(5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510)은 상기 레이크(111)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레이크(111)의 하부 전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520)는 상기 고정판(510)의 중간부에 수직으로 나사결합되는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520)를 이룰 수 있는 볼트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상하이동부재(520)는 상기 레이크(111)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압판(530)은 상기 고정판(5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어 상기 상하이동부재(520)의 하부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압판(530)은 상기 상하이동부재(520)를 따라 상하이동될 수 있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부재(520)가 상기 레이크(111)의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 가압판(530)은 상기 탄성부재(30)를 이룰 수 있는 비틀림스프링의 상부를 상기 레이크(111)의 하부방향으로 점차 가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탄성부재(30)를 이룰 수 있는 비틀림스프링의 하부가 상기 레이크(111)의 하부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지지축(211c)을 상기 레이크(111)의 상부방향으로 점차 들어올릴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상기 레이크부(220)의 후측이 상기 레이크(111)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점차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스크린(10)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는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제진부(11)는 상기 스크린(10)과 복수의 상기 레이크(1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10)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진부(11)의 전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진부(11)의 하부 전측에는 상기 제진부(11)의 하부와 수로(7)의 바닥면 사이로 부피가 큰 협잡물(5)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부스크린(9)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스크린(9)의 하부는 수로(3)의 바닥면에 축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탄성부재(30)가 구비될 수 있는 또 다른예의 상기 잔여이물질제거부(20)와 함께 복수의 상기 레이크(111)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진부(11)의 후측에서 상기 제진부(11)의 하측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제진부(11)의 전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스크린(10)의 전면을 따라 상승하도록 순환이동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0)가 구비될 수 있는 또 다른예의 상기 잔여이물질제거부(20)가 복수의 상기 레이크(111)를 따라 순환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탄성부재(30)가 구비될 수 있는 또 다른예의 상기 잔여이물질제거부(20)의 보조 레이크(21)의 레이크부(220)에 상기 스크린(10)에 남아있는 잔여협잡물(5a)이 걸릴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0)가 구비될 수 있는 또 다른예의 상기 잔여이물질제거부(20)의 보조 레이크(21)의 레이크부(220)에걸린 잔여협잡물(5a)은 상기 스크린(10)의 상부방향으로 용이하게 인양되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진부(11)의 레이크(111)의 하부에 상부가 축결합되는 상기 보조 레이크(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잔여이물질 제거부(20)로 인해 협잡물(5)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반경(도 5의 R)이 더욱 확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수로(3)의 바닥면과 상기 스크린(10) 하부 사이에 위치한 물풀, 물이끼, 넝쿨, 큰빚이끼벌레 등 다양한 종류의 협잡물(5)은 물론 상기 스크린(10)에 남아있는 잔여협잡물(5a)을 상기 스크린(10)의 상부방향으로 용이하게 인양하여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스크린, 11; 제진부,
20; 잔여이물질 제거부.

Claims (10)

  1. 수로에 설치되어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따라 순환 이동하며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는 복수의 레이크를 포함하는 제진부와;
    상기 제진부의 복수의 레이크 중 하나 이상의 레이크의 하부에 상부가 축결합되는 회동 브라켓과, 상기 회동 브라켓의 하부에 구비되는 레이크부로 이루어지는 보조 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레이크가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서 방향전환시 수로의 바닥면과 스크린의 하부 사이에 위치한 잔여협잡물을 상기 보조 레이크가 걸어 상기 스크린의 전면을 따라 인양시키는 잔여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 브라켓은 상기 제진부의 레이크 중 하나 이상의 레이크의 하부에 상부가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되는 복수의 회동암과;
    복수의 상기 회동암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복수의 상기 회동암은 상기 레이크부가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진부의 레이크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복수의 상기 회동암의 상부에 상기 레이크의 하부에 축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축이 내측에 수용되는 비틀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브라켓의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형성되며,
    상기 레이크의 중간부에 상기 레이크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상부를 상기 레이크의 전측방향으로 점차 가압하여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상기 레이크부를 밀착시키는 전후이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
  2. 수로에 설치되어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따라 순환 이동하며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는 복수의 레이크를 포함하는 제진부와;
    상기 제진부의 복수의 레이크 중 하나 이상의 레이크의 하부에 상부가 축결합되는 회동 브라켓과, 상기 회동 브라켓의 하부에 구비되는 레이크부로 이루어지는 보조 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레이크가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서 방향전환시 수로의 바닥면과 스크린의 하부 사이에 위치한 잔여협잡물을 상기 보조 레이크가 걸어 상기 스크린의 전면을 따라 인양시키는 잔여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 브라켓은 상기 제진부의 레이크 중 하나 이상의 레이크의 하부에 상부가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되는 복수의 회동암과;
    복수의 상기 회동암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복수의 상기 회동암은 상기 레이크부가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진부의 레이크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복수의 상기 회동암의 상부에 상기 레이크의 하부에 축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축이 내측에 수용되는 비틀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브라켓의 측면에 상기 탄성부재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형성되며,
    상기 레이크의 하부 전측에 상기 레이크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상부를 상기 레이크의 하부방향으로 점차 가압하여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상기 레이크부를 밀착시키는 상하이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
  3.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따라 순환이동하며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는 복수의 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진부와;
    상기 제진부의 복수의 레이크 중 하나 이상의 레이크의 하부에 상부가 축결합되는 회동 브라켓과, 상기 회동 브라켓의 하부에 구비되는 레이크부로 이루어지는 보조 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레이크가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서 방향전환시 상기 스크린에 남아있는 잔여협잡물을 상기 보조 레이크가 걸어 상기 스크린의 전면을 따라 인양시키는 잔여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 브라켓은 상기 제진부의 레이크 중 하나 이상의 레이크의 하부에 상부가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되는 복수의 회동암과;
    복수의 상기 회동암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복수의 상기 회동암은 상기 레이크부가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진부의 레이크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복수의 상기 회동암의 상부에 상기 레이크의 하부에 축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축이 내측에 수용되는 비틀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브라켓의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형성되며,
    상기 레이크의 중간부에 상기 레이크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상부를 상기 레이크의 전측방향으로 점차 가압하여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상기 레이크부를 밀착시키는 전후이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
  4.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따라 순환이동하며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는 복수의 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진부와;
    상기 제진부의 복수의 레이크 중 하나 이상의 레이크의 하부에 상부가 축결합되는 회동 브라켓과, 상기 회동 브라켓의 하부에 구비되는 레이크부로 이루어지는 보조 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레이크가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서 방향전환시 상기 스크린에 남아있는 잔여협잡물을 상기 보조 레이크가 걸어 상기 스크린의 전면을 따라 인양시키는 잔여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 브라켓은 상기 제진부의 레이크 중 하나 이상의 레이크의 하부에 상부가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되는 복수의 회동암과;
    복수의 상기 회동암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복수의 상기 회동암은 상기 레이크부가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진부의 레이크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복수의 상기 회동암의 상부에 상기 레이크의 하부에 축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축이 내측에 수용되는 비틀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브라켓의 측면에 상기 탄성부재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형성되며,
    상기 레이크의 하부 전측에 상기 레이크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상부를 상기 레이크의 하부방향으로 점차 가압하여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상기 레이크부를 밀착시키는 상하이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진부의 후측에 위치하도록 수로에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레이크는 상기 제진부의 전측에서 하강하여 상기 제진부의 후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스크린의 전면을 따라 상승하도록 순환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진부의 전측에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레이크는 상기 제진부의 후측에서 하강하여 상기 제진부의 전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스크린의 전면을 따라 상승하도록 순환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동암에는 수직방향의 보강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66577A 2021-05-25 2021-05-25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 KR102354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577A KR102354907B1 (ko) 2021-05-25 2021-05-25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577A KR102354907B1 (ko) 2021-05-25 2021-05-25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907B1 true KR102354907B1 (ko) 2022-02-09

Family

ID=8026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577A KR102354907B1 (ko) 2021-05-25 2021-05-25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9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8524A (ja) * 2005-06-14 2006-12-28 Maezawa Ind Inc 除塵機
KR101065812B1 (ko) 2011-05-11 2011-09-20 주식회사 아이엔텍 유압식 자동 제진기
KR101892859B1 (ko) * 2017-06-21 2018-08-28 동근한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더블 레이크가 장착된 로터리 제진기 인양방법
KR101964591B1 (ko) 2018-05-31 2019-04-04 주식회사 아이엔텍 로터리 제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8524A (ja) * 2005-06-14 2006-12-28 Maezawa Ind Inc 除塵機
KR101065812B1 (ko) 2011-05-11 2011-09-20 주식회사 아이엔텍 유압식 자동 제진기
KR101892859B1 (ko) * 2017-06-21 2018-08-28 동근한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더블 레이크가 장착된 로터리 제진기 인양방법
KR101964591B1 (ko) 2018-05-31 2019-04-04 주식회사 아이엔텍 로터리 제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923B1 (ko) 제진장치
KR101964591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2354907B1 (ko)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
KR101406712B1 (ko) 이중 스크린 제진기
KR100896740B1 (ko) 유압식 더블암 제진기
KR20130016489A (ko) 가이드바퀴가 설치된 수 처리장치
KR101065812B1 (ko) 유압식 자동 제진기
KR102291857B1 (ko) 제진성이 향상된 이동형 레벨 제진기
KR101760094B1 (ko) 수평형 제진기
KR100924176B1 (ko) 유압식 씨저형 제진기
KR102182705B1 (ko) 제진기
KR102124836B1 (ko) 기계식 제진기
KR20190129514A (ko) 협잡물 처리용 제진기
KR101995902B1 (ko) 자동 승강식 제진기
KR101746463B1 (ko) 스크린 배면청소유니트가 구비된 제진기
KR102312542B1 (ko) 스크린 인양이 가능한 제진기
KR100270179B1 (ko) 오물수거판의 갈퀴가 가변되는 제진기
KR102621559B1 (ko) 스텝식 제진기
KR101548688B1 (ko) 로터리 제진기
CN216170417U (zh) 一种污水处理净化槽的固液分离结构
KR102575362B1 (ko) 잔류 협잡물 절단 기능을 갖는 제진기
KR200262905Y1 (ko) 침사지용 스크린 제진기의 플레이트 이동장치
KR102432839B1 (ko) 후방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KR101748654B1 (ko) 수로의 협잡물 제거용 제진장치
KR100317813B1 (ko) 제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