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812B1 - 유압식 자동 제진기 - Google Patents

유압식 자동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812B1
KR101065812B1 KR1020110044167A KR20110044167A KR101065812B1 KR 101065812 B1 KR101065812 B1 KR 101065812B1 KR 1020110044167 A KR1020110044167 A KR 1020110044167A KR 20110044167 A KR20110044167 A KR 20110044167A KR 101065812 B1 KR101065812 B1 KR 101065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rake
transfer
guide groove
l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성기
채현배
신승욱
윤동국
최두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엔텍
Priority to KR1020110044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식 자동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지지대에 고정 설치되고 양측에 이송안내홈을 갖는 이송레일, 이 이송레일의 축 방향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이송안내홈에 삽입되고 협잡물제거용 레이크를 갖는 붐대를 연결하는 이송바디를 연결하는 이송샤프트, 및 이 이송안내홈 내측면에 직접적으로 접한 상태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이송샤프트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이송바디의 일측 하중 집중에 대한 이송샤프트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붐대의 단부에 구비된 레이크(rake)에 하중 발생시에 이송바디의 전측 쏠림 작용을 받을시에도 이송레일에 대해 이송바디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협잡물을 긁어 올리는 과정에서 레이크의 양측 방향으로 오물의 흘러내림을 최소화하며, 레이크의 스크린에 대한 마찰을 방지함과 아울러 풀리에 권취된 와이어의 이탈을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압식 자동 제진기{OIL PRESSURE TYPE SUSPENSION SCRAPER}
본 발명은 유압식 자동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붐대의 단부에 구비된 레이크(rake)에 하중 발생시에 이송바디의 전측 쏠림 작용을 받을시에도 이송레일에 대해 이송바디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협잡물을 긁어 올리는 과정에서 레이크의 양측 방향으로 오물의 흘러내림을 최소화하며, 레이크의 스크린에 대한 마찰을 방지함과 아울러 풀리에 권취된 와이어의 이탈을 차단할 수 있는 유압식 자동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에는 장마와 같은 우천시 범람하는 빗물과 함께 각종 생활 쓰레기 등이 유입되는 바, 이를 걷어내고 제거하기 위해서 하수처리장에는 수로가 하천으로 유입되는 입구에 자동 제진기를 설치하여 오물 및 협잡물 등을 수거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 제진기는 스크린부에 의해 걸러진 오물 등을 체인부의 양단부에 고정되되, 구동모터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 이송되면서 레이크에 의해 수거된다.
레이크에 의해 수거된 오물 등은 스크래퍼(scrapper)에 걸려져 배출된다.
기존의 자동 제진기는 붐대를 연결한 이송바디가 이송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게 되는데, 붐대의 단부에 구비된 레이크(rake)에 하중 발생시 이송바디의 전측 쏠림 작용을 받음으로써 이송레일에 대해 이송바디의 흔들림이 심하거나 이송바디의 이탈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자동 제진기는 레이크로써 하천의 오물을 긁어 올리게 되는데, 긁어 올리는 과정에서 레이크의 양측 방향으로 오물의 흘러내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의 자동 제진기는 레이크를 스크린에 접한 채 오물을 긁어 올리게 되는데, 레이크의 스크린에 대한 마찰로 내구성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제진기는 레이크를 회전롤러에 권취된 와이어의 승하강으로 오물을 긁어 올리거나 하강하게 되는데, 회전롤러로부터 와이어의 이탈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붐대의 단부에 구비된 레이크(rake)에 하중 발생시에 이송바디의 전측 쏠림 작용을 받을시에도 이송레일에 대해 이송바디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하고자 하는 유압식 자동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협잡물을 긁어 올리는 과정에서 레이크의 양측 방향으로 오물의 흘러내림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유압식 자동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크의 스크린에 대한 마찰을 방지하고자 하는 유압식 자동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풀리에 권취된 와이어의 이탈을 완전히 차단하고자 하는 유압식 자동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자동 제진기는: 지지대에 고정 설치되고 양측에 이송안내홈을 갖는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의 축 방향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안내홈에 삽입되고 협잡물제거용 레이크를 갖는 붐대를 연결하는 이송바디를 연결하는 이송샤프트, 및 상기 이송안내홈 내측면에 직접적으로 접한 상태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샤프트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바디의 일측 하중 집중에 대한 상기 이송샤프트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이송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안내홈은 상기 이송레일의 축 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이송돌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롤러는 상기 이송돌부를 수용하여 이송 안내되도록 이송홈부를 함몰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이크는 상기 붐대에 연결되고 판 형상인 조목형레이크 및 하천의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에 맞물리는 세목형레이크로 나뉘어지고, 상기 조목형레이크는 긁어 올려지는 협잡물의 양측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이탈방지턱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턱은 상기 조목형레이크의 축 방향에 대해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기울어지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이크는 승하강시 하천의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상기 스크린과 접하여 구름 접촉하는 구름롤러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붐대에 연결된 빔승강대는 와이어에 권취된 풀리의 이동에 의해 승하강되며, 상기 풀리는 권취된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캡을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와이어를 상기 풀리에 접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가압돌부를 내측면에 돌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자동 제진기는 종래 기술과 달리 붐대의 단부에 구비된 레이크(rake)에 하중 발생시에 이송바디의 전측 쏠림 작용을 받을시에도 이송레일에 대해 이송바디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협잡물을 긁어 올리는 과정에서 레이크의 양측 방향으로 오물의 흘러내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크의 스크린에 대한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풀리에 권취된 와이어의 이탈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자동 제진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자동 제진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자동 제진기의 직선 왕복 이동을 위한 레일의 구조를 보인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자동 제진기의 레이크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자동 제진기의 풀리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자동 제진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자동 제진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자동 제진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자동 제진기의 직선 왕복 이동을 위한 레일의 구조를 보인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자동 제진기의 레이크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자동 제진기의 풀리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자동 제진기(10)는 유압을 이용하여 하천으로 떠내려오는 협잡물을 스크린(50)에 걸러지게 한 상태로 긁어 올려 제거하는 설비로서, 이송레일(110), 이송샤프트(120) 및 이송롤러(130)를 포함한다.
이송레일(110)은 지지대(12)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지지대(12)는 하천의 가장자리와 같은 바닥에 고정 설치된다. 물론, 이송레일(110)은 다양한 방식으로 지지대(12)에 고정 설치된다.
편의상, 이송레일(110)은 지지대(12)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이송레일(110)은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이송레일(110)은 양측에 이송안내홈(112)을 함몰 형성한다. 이송안내홈(112)은 이송바디(20)를 이송레일(110)의 축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이송바디(20)는 이송레일(110) 상측에 지지된 채 이송레일(110)의 축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이송바디(20)는 다단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붐대(30)를 연결한다. 그래서, 이송바디(20)는 붐대(30)와 함께 이송레일(110)에 대해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붐대(30)는 단부에 협잡물제거용 레이크(rake,40)를 구비한다.
특히, 이송샤프트(120)는 이송안내홈(112)에 삽입되어 이송레일(110)의 축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는, 이송레일(110)의 축 방향을 따라 조금씩 이동하며 비교적 넓은 스크린(50)에 걸린 협잡물을 레이크(40)로써 걸러내기 위함이다.
물론, 이송안내홈(112)은 이송레일(110)의 어느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래서, 이송샤프트(120)는 이송바디(20)의 하부 양측에 연결된 채 대응되는 이송안내홈(112)에 삽입되어 이송안내홈(112)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하게 된다.
이때, 레이크(40)가 하강하여 스크린(50)에 걸린 협잡물을 긁어 올릴 때, 이송바디(20)는 레이크(40)를 향하는 전측(前側)으로 기울어지려는 힘을 받게 된다.
여기서, 이송샤프트(120)가 이송안내홈(112) 내측에 꽉 끼이지 않기 때문에, 이송바디(20)는 전후측으로 흔들리게 되며, 심할 경우 이송레일(110)로부터 이탈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이송롤러(130)가 구비된다.
즉, 도 3에서처럼, 이송롤러(130)는 이송안내홈(112) 내측면에 직접적으로 접한 상태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이송샤프트(120)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이송바디(20)의 일측 하중 집중에 대한 이송샤프트(12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이송롤러(130)는 이송샤프트(120)의 단부를 축 삽입하고, 이송안내홈(112)의 내측면에 꽉 끼이게 삽입된다. 이는, 이송롤러(130)로 인해 이송샤프트(12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이송샤프트(120)의 흔들림 방지를 통해 이송바디(2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이송롤러(130)는 원형링 또는 다각형링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샤프트(120)가 이송레일(110)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할 경우, 이송롤러(130)는 이송안내홈(112)의 내측면에 구름접촉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송샤프트(120)와 이송롤러(130) 사이에는 베어링(132)이 구비된다. 즉, 베어링(132)으로 인해, 이송샤프트(120)는 이송바디(20)에 고정된 채 직선 왕복 이동하게 되고, 이송롤러(130)는 이송안내홈(112)의 내측면에 접하여 구름접촉하면서 이송샤프트(120)에 의해 이송레일(110)의 축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하게 된다.
한편, 이송레일(110)은 이송안내홈(112)의 내측면과 구름접촉하면서 이송안내홈(112)의 외측으로 이탈되거나 흔들릴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이송바디(20)는 심하게 흔들리게 됨에 따라, 이송바디(20)에 연결된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파손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이송안내홈(112)은 이송레일(110)의 축 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이송돌부(134)를 구비하고, 이송롤러(130)는 이송돌부(134)를 수용하여 이송 안내되도록 이송홈부(136)를 함몰 형성한다.
즉, 이송홈부(136)가 이송돌부(134)를 수용함에 따라, 이송롤러(130)는 이송안내홈(112)의 내측면에 구름 접촉한 채 이송돌부(134)를 따라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이송롤러(130)는 이송안내홈(112)의 외측으로 이탈 방지된다. 이때, 이송홈부(136)는 이송롤러(130)의 둘레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된다.
물론, 이송돌부(134)가 이송롤러(130)의 둘레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송홈부(136)가 이송안내홈(112)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이송돌부(13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이송홈부(136)는 이송돌부(134)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레이크(40)가 스크린(50)을 긁으며 협잡물을 들어올릴 때, 협잡물은 레이크(40)의 양측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그러면, 협잡물 제거시간이 지연된다.
따라서, 레이크(40)는 형상 변경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도 4 및 도 5에서처럼, 레이크(40)는 붐대(30)에 연결되고 판 형상인 조목형레이크(42), 및 하천의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50)에 맞물리는 세목형레이크(44)로 나뉘어진다.
아울러, 조목형레이크(42)는 긁어 올려지는 협잡물의 양측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이탈방지턱(140)을 구비한다.
즉, 조목형레이크(42)는 하나의 판 형상이고, 세목형레이크(44)는 스크린(50)에 끼워진 채 협잡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조목형레이크(42)에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편(片)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조목형레이크(42)는 협잡물을 들어올릴 때 하천의 물을 배출하기 위해 배출홀(43)을 통공한다. 그래서, 조목형레이크(42)가 하천의 물 속에서 들려올려질 때, 하천의 물은 조목형레이크(42)의 양측으로 퍼지거나 배출홀(43)을 통해 조목형레이크(42)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조목형레이크(42)는 협잡물을 제거할 때 물의 수거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목형레이크(42)는 하천에서 상승할 때 협잡물이 물과 함께 외측으로 이탈된다.
그래서, 조목형레이크(42)는 상측에 복수 개의 이탈방지턱(140)을 돌출 형성한다.
이탈방지턱(140)은 조목형레이크(42) 상측면에 걸려 물과 함께 외측으로 이탈되려는 협잡물을 걸리게 함으로써 조목형레이크(42)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탈방지턱(140)은 조목형레이크(42)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조목형레이크(42)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세목형레이크(4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특히, 이탈방지턱(140)은 조목형레이크(42)의 축 방향에 대해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기울어지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히, 이탈방지턱(140)은 조목형레이크(42)의 축 방향에 대해 중앙 방향으로 예각(α)을 이루며 기울어지도록 조목형레이크(42)에 형성된다. 이는, 조목형레이크(42)에 걸린 협잡물을 물의 외측 배출시 스크린(50) 방향으로 모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스크린(50) 방향으로 모이는 협잡물은 세목형레이크(44)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이때, 이탈방지턱(140)의 기울어지는 각도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레이크(40)는 승하강시 하천의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50)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스크린(50)과 접하여 구름 접촉하는 구름롤러(15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세목형레이크(44)가 스크린(50)에 끼워져 상승하며 협잡물을 걸러낼 때, 구름롤러(150)는 조목형레이크(42)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크린(50)의 표면을 따라 구름 회전하게 된다.
그래서, 레이크(40)는 스크린(50)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어, 레이크(40)와 연결된 붐대(30)의 상승을 위한 동력이나 힘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이때, 구름롤러(150)의 형상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구름롤러(15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조목형레이크(42)에 설치되고, 세목형레이크(44)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붐대(30)에 연결된 빔승강대(60)는 와이어(80)에 권취된 풀리(70)의 이동에 의해 승하강되며, 풀리(70)는 권취된 와이어(8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캡(90)을 구비한다.
다시 말해서, 도 2, 도 6 및 도 7에서처럼, 이송바디(20)에 조립된 빔승강대(60)는 유압실린더(62)에 의해 상승과 하강을 거듭하면서 그 길이가 조절되는 것으로, 빔승강대(60)는 이송바디(20)에 고정되어 하천에 설치된 스크린(5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풀리(70)는 와이어(80)에 의하여 빔승강대(60)를 들어올리는 경우에 적은 힘으로 들어 올리거나 힘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풀리(70)와 일체로 고정된 하우징(72)은 연결보스(74)에 고정되어 유압실린더(62)의 끝단에 고정된다.
아울러, 하우징(72)과 일체로 형성된 연결보스(74)는 내부에 스러스트베어링(76)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유압실린더(62)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즉, 하우징(72)은 스러스트베어링(76)에 의해 회전되면서 유압실린더(62)에 지지된다.
이때, 와이어(80)는 풀리(70)에 권취된 상태에서 움직이게 되고, 빔승강대(60)를 상승과 하강시킬 때 발생되는 장력은 연결보스(74)가 순간적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80)의 장력을 분산시킴과 함께 와이어(80)의 권취와 이동의 밸런스를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와이어(80)는 풀리(70)에 권취되고, 풀리(70)는 캡(90)에 씌워져 있다. 그래서, 와이어(80)는 캡(90)에 의해 풀리(70)로부터 이탈 방지된다.
이 경우, 캡(90)과 풀리(70)의 유격이 와이어(80)의 직경보다 크게 될 경우 등에 의해, 와이어(80)는 풀리(70)와 캡(90) 사이의 틈새로 빠져 이탈될 수 있다.
그래서, 캡(90)은 와이어(80)를 풀리(70)에 접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가압돌부(160)를 내측면에 돌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가압돌부(160)가 풀리(70)에 감긴 와이어(80)를 직접 가압함으로써 와이어(80)의 흔들림 이 근본적으로 방지된다.
물론, 캡(90)과 가압돌부(16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가압돌부(160)는 캡(90)에 분리 가능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유압실린더(62)는 공압실린더나 전자실린더 등으로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유압식 자동 제진기 12: 지지대
20: 이송바디 30: 분대
40: 레이크 42: 조목형레이크
44: 세목형레이크 50: 스크린
60: 빔승강대 62: 유압실린더
70: 풀리 80: 와이어
90: 캡 110: 이송레일
112: 이송안내홈 120: 이송샤프트
130: 이송롤러 132: 베어링
134: 이송돌부 136: 이송홈부
140: 이탈방지턱 150: 구름롤러
160: 가압돌부

Claims (6)

  1. 지지대에 고정 설치되고, 양측에 이송안내홈을 갖는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의 축 방향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안내홈에 삽입되고, 협잡물제거용 레이크를 갖는 붐대를 연결하는 이송바디를 연결하는 이송샤프트; 및
    상기 이송안내홈 내측면에 직접적으로 접한 상태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샤프트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바디의 일측 하중 집중에 대한 상기 이송샤프트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이송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안내홈은 상기 이송레일의 축 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이송돌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롤러는 상기 이송돌부를 수용하여 이송 안내되도록 이송홈부를 함몰 형성하고,
    상기 레이크는 상기 붐대에 연결되고 판 형상인 조목형레이크, 및 하천의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에 맞물리는 세목형레이크로 나뉘어지며,
    상기 조목형레이크는 긁어 올려지는 협잡물의 양측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이탈방지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자동 제진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턱은 상기 조목형레이크의 축 방향에 대해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자동 제진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는 승하강시 하천의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상기 스크린과 접하여 구름 접촉하는 구름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자동 제진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에 연결된 빔승강대는 와이어에 권취된 풀리의 이동에 의해 승하강되며;
    상기 풀리는 권취된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캡을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와이어를 상기 풀리에 접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가압돌부를 내측면에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자동 제진기.
KR1020110044167A 2011-05-11 2011-05-11 유압식 자동 제진기 KR101065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167A KR101065812B1 (ko) 2011-05-11 2011-05-11 유압식 자동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167A KR101065812B1 (ko) 2011-05-11 2011-05-11 유압식 자동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812B1 true KR101065812B1 (ko) 2011-09-20

Family

ID=4495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167A KR101065812B1 (ko) 2011-05-11 2011-05-11 유압식 자동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8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514A (ko) 2018-05-11 2019-11-20 김원배 협잡물 처리용 제진기
KR102291857B1 (ko) 2021-02-02 2021-08-23 한국환경공단 제진성이 향상된 이동형 레벨 제진기
KR102312542B1 (ko) 2021-02-17 2021-10-15 (유)신일 스크린 인양이 가능한 제진기
KR102354907B1 (ko) 2021-05-25 2022-02-09 (유)신일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7646A (ja) * 1994-01-13 1995-08-08 Marsima Aqua Syst Corp 多段式除塵機
KR20000049766A (ko) * 2000-04-28 2000-08-05 이승철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의 갈퀴
KR20010008006A (ko) * 2000-11-02 2001-02-05 이만기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JP2011047121A (ja) * 2009-08-25 2011-03-1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除塵器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7646A (ja) * 1994-01-13 1995-08-08 Marsima Aqua Syst Corp 多段式除塵機
KR20000049766A (ko) * 2000-04-28 2000-08-05 이승철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의 갈퀴
KR20010008006A (ko) * 2000-11-02 2001-02-05 이만기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JP2011047121A (ja) * 2009-08-25 2011-03-1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除塵器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514A (ko) 2018-05-11 2019-11-20 김원배 협잡물 처리용 제진기
KR102291857B1 (ko) 2021-02-02 2021-08-23 한국환경공단 제진성이 향상된 이동형 레벨 제진기
KR102312542B1 (ko) 2021-02-17 2021-10-15 (유)신일 스크린 인양이 가능한 제진기
KR102354907B1 (ko) 2021-05-25 2022-02-09 (유)신일 잔여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812B1 (ko) 유압식 자동 제진기
KR101157914B1 (ko) 제진기
KR101914114B1 (ko) 협잡물 처리장치
KR101177923B1 (ko) 제진장치
CN1298409C (zh) 异物捕获过滤器
KR101559449B1 (ko) 가드레일 없이 무한궤도 운전이 가능한 파워 링크 제진기
KR100896740B1 (ko) 유압식 더블암 제진기
KR101259093B1 (ko) 제진기
KR101738353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082310B1 (ko) 부피가 큰 통나무와 같은 협잡물을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특수 제진기의 구성방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특수 제진기
CN214656877U (zh) 一种新型升船机船厢清漂装置
KR20190129514A (ko) 협잡물 처리용 제진기
CN211778052U (zh) 一种可防止偏转的漂浮潜水泵
KR100717722B1 (ko) 부유 협잡물 제거형 부유스크린 장치
KR200329796Y1 (ko) 제진기
CN210251388U (zh) 一种隧道炉烧结水除尘过滤系统
KR102182705B1 (ko) 제진기
CN210097080U (zh) 一种避免过滤网堵塞的机床用机油回收装置
KR101746463B1 (ko) 스크린 배면청소유니트가 구비된 제진기
JP6181895B1 (ja) 水力駆動除塵装置
KR200332448Y1 (ko) 제진기의 레이크 가이드 봉 세척 장치
KR101103996B1 (ko) 이동식 이물질 수거장치
CN219377480U (zh) 用于铁粉运输过程中的除杂装置
CN204645003U (zh) 自动清理拦污栅
CN215559091U (zh) 一种粗格栅用漂浮物和悬浮物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