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796Y1 - 제진기 - Google Patents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796Y1
KR200329796Y1 KR20-2003-0021738U KR20030021738U KR200329796Y1 KR 200329796 Y1 KR200329796 Y1 KR 200329796Y1 KR 20030021738 U KR20030021738 U KR 20030021738U KR 200329796 Y1 KR200329796 Y1 KR 200329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screen
sprockets
main body
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하
백건성
Original Assignee
광명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명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명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1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7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7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8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translato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4Conveyors; Paddle wheels; Endless 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크린과 갈퀴의 기능을 겸하도록 함과 아울러, 와이퍼의 구조를 단순구조로 원활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것으로, 그 구조는 수로상에 유체의 흐름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본체와, 그 본체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 1,2스프로킷과, 그 제 1,2스프로킷에 치차 결합되어 제 1,2스프로킷을 중심으로 궤도 회전되는 제 1,2체인부와, 그 제 1,2체인부의 내측 수평으로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다수개의 이송바와 그 이송바의 상측으로 안착되어 고정되며 상호 적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웨지바가 조목 또는 세목 크기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스크린과, 그 스크린의 상측단에 근접된 곳에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해 일방향 탄성력을 갖는 와이퍼로 대별된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다수개의 웨지바가 회전가능하게 단순구조로 구성되어 스크린과 갈퀴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퍼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과부하를 예방하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제진기{SCREENER}
본 고안은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지바를 이용하여 레이크 및 스크린의 기능을 겸용하도록 구성하여 수로상에서 협잡물등의 이물질을 스크린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빗물펌프장, 오수 및 폐수처리장, 각종 정화시설등의 장소에는 물에 섞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그 장치들중 대표적인 것이 물에 함유된 이물질인 협잡물을 수집하여 외부로 인양하여 운반 처리하는 협잡물 인양 제진기를 들 수 있다.
그 제진기는 통상적으로 침사지에 스크린을 설치하여 협잡물을 수집하고, 이 스크린에 수집된 협잡물을 갈퀴(raker)로 긁어내어 외부로 폐기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종래 제진기의 일 예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0155485호 "복합식 제진기"에 개시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상에서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1)과, 이 스크린(1)과 나란하게 승강하여 협잡물을 제거하는 갈퀴(2)와, 그 갈퀴(2)에 탑재된 협잡물을 콘베이어(11)로 떨어내는 와이퍼(8)와, 그 갈퀴(2)를 개폐 및 승강 작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일정 경사각으로 회동되도록 유압실린더(5)에 선단을 축지하고 갈퀴(2)가 스크린(1)과 나란하게 승강되도록 안내하는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와, 와이어 로프(6b)에 의해 그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를타고 갈퀴(2)와 갈퀴 브라켓(3)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회전 구동하는 드럼구동수단과, 그 드럼구동수단의 회전 구동에 따라 정/역 회전되는 와이어 로프 드럼(6c)과, 그 와이어 로프 드럼(6c)의 정/역 회전에 따라 감기고 풀리면서 그 갈퀴(2) 및 갈퀴 브라켓(3)을 승강시키는 와이어 로프(6b)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 제진기에서 수로상에서 필터링된 협잡물을 외부로 인양하는 작업은 전동기(6a)를 역회전 작동시킴에 따라 와이어 로프 드럼(6c)이 회전하여 와이어 로프(6b)를 풀어주고, 이에 따라 갈퀴(2)가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를 타고 스크린(1)의 하측을 향해 내려가게 되며, 이후에 유압실린더(5)의 로드(5a) 작동에 의해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가 스크린(1)측으로 밀착됨에 따라 갈퀴(2)가 스크린(1)에 밀착된다.
이어서 전동기(6a)가 정회전됨에 따라 와이어 로프 드럼(6c)이 회전하여 와이어 로프(6b)를 감게 되고, 이에따라 갈퀴(2)가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를 타고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스크린(1)의 협잡물을 끌어 올리게 된다.
이후에, 갈퀴(2)가 스크린(1)의 상단을 지나치면 기계적 작동에 의해 와이퍼(8)가 갈퀴(2)에 탑재된 협잡물을 콘베이어측으로 떨어내게 된다.
상기한 종래 제진기는 갈퀴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수집된 협잡물을 제거하는 수거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갈퀴의 작동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와이퍼에 별도의 유압실린더등을 채용한 기계적인 작동으로 갈퀴에 적재된 협잡물을 떨어내는 과정에서 구조가 복잡하고 갈퀴와 와이퍼의 작동구조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 과부하가 발생함과 아울러, 협잡물의 수거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별도의 구조를 요구하지 않고도 단순구조로 스크린 및 수거작업이 용이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제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제진기의 일 예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와이퍼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스크린의 일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와이퍼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본체 210,220 : 제 1,2스프로킷
230A,230B : 제 1,2체인부
235A,235B : 가이드
300 : 스크린 310 : 웨지바
320 : 이송바 500 : 와이퍼
510 : 와이퍼본체 520 : 와이퍼 승강구
522 : 돌기 530 : 탄성스프링
550 : 적하컨베이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로상에서 유체의 흐름방향에 적정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부측에 설치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 1,2 스프로킷과, 상기 본체의 양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 1,2스프로킷의 회전시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 1,2체인부와, 상기 제 1,2체인부의 내측으로 상호 적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 1,2체인부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웨지바로 이루어진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상측단에 지지수단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근접 설치되고 상기 웨지바들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와이퍼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 상기 와이퍼는 와이퍼 본체의 내부에 일부 수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단부에 상기 스크린을 스크래이핑하기 위한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와이퍼 승강구와, 상기 와이퍼 본체와 와이퍼 승강구 사이에 개재 설치되는 탄성 스프링을 구비하여 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 1,2체인부의 수평방향으로 다수개의 이송바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바의 상측에 상기 웨지바가 안착되어고정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제진기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 그 구성은 수로상에 유체의 흐름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지면이나 별도의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110)와, 그 본체(110)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 1,2스프로킷(210,220)과, 제 1,2스프로킷(210,220)에 치차 결합되어 제 1,2스프로킷(210,220)을 중심으로 궤도 회전되며 다수개의 체인으로 이루어진 제 1,2체인부(230A,230B)와, 그 제 1,2체인부(230A,230B)의 내측 수평으로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다수개의 이송바(320)와 그 이송바(320)의 상측으로 안착되어 고정되며 상호 적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웨지바(310)가 조목 또는 세목 크기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스크린(300)과, 그 스크린(300)의 상측단에 근접된 곳에 탄성 지지되게 설치되는 와이퍼(500)로 대별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제 1,2체인부(230A,230B)는 다수개의 체인들이 무한 궤도식으로 링크 결합되어 구동수단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며, 그 체인들의 궤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235A,235B)가 마련되어 있다.
그 구동수단은 전원의 공급에 따라 회전 구동되며 제 1,2스프로킷(210,220)측에 구동축 및 종동축을 통해 각각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M)를 채용한 것이다.
그리고, 이송바(320)는 그 양단부가 제 1,2체인부(230A,230B)의 양 내측면에각기 고정되어 제 1,2체인부(230A,230B)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구조를 가지며, 그 상측면에 웨지바(310)의 하부면이 안착되도록 쇄기형 돌출부(322)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 이송바(320)와 웨지바(310)는 스폿용접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와이퍼(500)는 지면 또는 별도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와이퍼 본체(510)와, 그 와이퍼 본체(510)의 내부에 일부위가 수용 설치되는 와이퍼 승강구(520)와, 그 와이퍼 본체(510)와 와이퍼 승강구(520) 사이에 개재되어 와이퍼 승강구(520)측에 일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530)으로 구성된다.
그 와이퍼 승강구(520)는 상단부에 상기한 스크린의 웨지바(310)들에 대응되도록 상호간에 적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돌기(5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 탄성스프링(530)은 와이퍼(500)가 스크린(300) 사이의 틈새에 끼인 협잡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와이퍼(500)의 하측에는 협잡물이 스크린(300)으로부터 적하된 후에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적하컨베이어(550)가 설치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600"은 본 고안의 제진기가 설치되는 유로의 바닥에 적정 경사각으로 고정 설치되어 본 고안의 제진기가 필터링되지 않는 하부의 유체를 필터링하는 망사형의 보조 스크린(300)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진기는, 모터(M)에 전원을 인가시켜 모터(M)의 구동력이 구동축을 통해 제 1스프로킷(210)에 전달되면, 제 1,2체인부(230A,230B)가 회전되면서 제 2스프로킷(220)과 종동축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스크린(300)이 본체(110)의 상,하단에 마련된 제 1,2스프로킷(210,220)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되는 과정을 갖는다.
이때, 다수개의 웨지바(31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스크린(300)은 제 1,2체인부(230A,230B)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 운동된다.
이에 따라, 그 스크린(300)은 제 1,2스프로킷(210,220)을 기준으로 시계바늘의 진행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중에 수로내에서 수면 위로 제 1스프로킷(210)을 지나 하강하는 위치에서 스크린(300)의 표면에 걸러진 협잡물이 자유 낙하됨과 아울러, 그 웨지바(310) 사이의 틈새에 끼여있는 협잡물은 와이퍼(500)에 의해 제거되어 하측의 적하컨베이어(550)측으로 적하된다.
한편, 제 1,2체인부(230A,230B)는 가이드(235A,235B)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이송바(32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스크린(300)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와이퍼(500)는 스크린(300) 사이의 틈새에 끼인 협잡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와이퍼 승강구(520)의 돌기(522)와 스크린(300)의 웨지바(310)들 틈새의 간격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와이퍼 승강구(520)가 하측으로 후진되어 스크린(300)의 웨지바(310)와의 접촉에 따른 과부하를 예방할 수 있다.
이때, 와이퍼 승강구(520)는 와이퍼 본체(510)의 내부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탄성스프링(530)을 수축시키게 되고, 이후에 틈새의 간격이 일치하는 부위에서 다시 수축된 탄성스프링(530)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과정을 갖는다.
상기한 본 고안은 다수개의 웨지바(310)로 구성된 스크린(300)이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갈퀴(raker)의 기능을 겸함과 아울러, 와이퍼(500)에 탄성 지지력을 부여하여 과부하 발생 요인을 제거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스크린과 갈퀴의 기능을 겸하도록 함과 아울러, 와이퍼의 구조를 단순구조로 원활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것으로,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다수개의 웨지바가 회전가능하게 단순구조로 구성되어 스크린과 갈퀴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퍼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과부하를 예방하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수로상에서 유체의 흐름방향에 적정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하단부에 설치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 1,2스프로킷(210,220)과,
    상기 본체(110)의 양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 1,2스프로킷(210,220)의 회전시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 1,2체인부(230A,230B)와,
    상기 제 1,2체인부(230A,230B)의 내측으로 상호 적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 1,2체인부(230A,230B)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웨지바(310)로 이루어진 스크린(300)과,
    상기 스크린(300)의 상측단에 근접된 곳에 탄성 지지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300)을 스크래이핑하기 위한 와이퍼(50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500)는 와이퍼 본체(510)의 내부에 일부 수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단부에 상기 스크린(300)을 스크래이핑하기 위한 다수개의 돌기(522)가 형성된 와이퍼 승강구(520)와,
    상기 와이퍼 본체(510)와 와이퍼 승강구(520) 사이에 개재 설치되는 탄성 스프링(53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300)은 상기 제 1,2체인부(230A,230B)의 수평방향으로 다수개의 이송바(320)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바(320)의 상측에 상기 웨지바(310)가 안착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KR20-2003-0021738U 2003-07-07 2003-07-07 제진기 KR2003297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738U KR200329796Y1 (ko) 2003-07-07 2003-07-07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738U KR200329796Y1 (ko) 2003-07-07 2003-07-07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796Y1 true KR200329796Y1 (ko) 2003-10-17

Family

ID=4933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738U KR200329796Y1 (ko) 2003-07-07 2003-07-07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79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038B1 (ko) 2003-06-11 2010-06-08 김승희 원형침사형 종합수처리장치
KR100988240B1 (ko) * 2010-06-11 2010-10-18 주식회사삼영이앤티 협잡물 제거용 미세목 스크린
KR101652709B1 (ko) * 2016-03-02 2016-08-31 주식회사 한하산업 탄성 레이크를 장착한 로타리 제진기
KR101920735B1 (ko) * 2018-03-15 2018-11-21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조목 스크린용 레이크 클리너
KR101972705B1 (ko) 2018-09-18 2019-04-25 최기억 스크린 회전형 제진기
KR102212863B1 (ko) 2020-07-01 2021-02-05 홍석범 협잡물처리용 세목 스크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038B1 (ko) 2003-06-11 2010-06-08 김승희 원형침사형 종합수처리장치
KR100988240B1 (ko) * 2010-06-11 2010-10-18 주식회사삼영이앤티 협잡물 제거용 미세목 스크린
KR101652709B1 (ko) * 2016-03-02 2016-08-31 주식회사 한하산업 탄성 레이크를 장착한 로타리 제진기
KR101920735B1 (ko) * 2018-03-15 2018-11-21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조목 스크린용 레이크 클리너
KR101972705B1 (ko) 2018-09-18 2019-04-25 최기억 스크린 회전형 제진기
KR102212863B1 (ko) 2020-07-01 2021-02-05 홍석범 협잡물처리용 세목 스크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114B1 (ko) 협잡물 처리장치
KR200329796Y1 (ko) 제진기
KR102216780B1 (ko) 회전식 스크레이퍼 및 버켓을 구비한 무빙스크린 장치
KR200411808Y1 (ko) 제진기의 진개물 유입 방지장치
KR100623221B1 (ko) 하천 수로의 쓰레기 수거장치
AU674930B2 (en) Strainer for removing particles from effluent
KR101117776B1 (ko) 협잡물 제거장치
KR101931526B1 (ko) 각종 협잡물 및 부유물을 제거하도록 제공되는 로타리 제진기 및 이의 운전방법
KR20020092765A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1760094B1 (ko) 수평형 제진기
KR200346698Y1 (ko) 하천의 정화장치구조
KR102516599B1 (ko) 인양이 용이한 이동식 제진기
JP3510594B2 (ja) 除塵装置
KR200406021Y1 (ko) 개폐식 전위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KR100616725B1 (ko) 수동 회전 장치가 설치된 제진기
KR20170039494A (ko) 개선된 전위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JP4217637B2 (ja) スクリーン装置
KR20030091893A (ko) 로타리 제진기
KR200316335Y1 (ko) 이물질 유입 방지기능을 갖는 로터리식 제진기
KR20150021267A (ko) 로터리 제진기
KR20070071382A (ko) 로터리식 제진기
JP2006068703A (ja) 除塵装置、及び、沈砂及び篩渣の除去方法
KR101570401B1 (ko) 협잡물 제거 장치
KR102560238B1 (ko) 스크린의 수류 방해 해소 및 협잡물 누출방지를 통한 펌프 고장 문제를 해결한 제진기
KR102670886B1 (ko) 이중 스크린을 구비한 로타리 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