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698Y1 - 하천의 정화장치구조 - Google Patents

하천의 정화장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698Y1
KR200346698Y1 KR20-2003-0039589U KR20030039589U KR200346698Y1 KR 200346698 Y1 KR200346698 Y1 KR 200346698Y1 KR 20030039589 U KR20030039589 U KR 20030039589U KR 200346698 Y1 KR200346698 Y1 KR 2003466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net
insertion portion
suppor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5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근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씨제이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씨제이건설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씨제이건설
Priority to KR20-2003-00395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6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6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6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Details of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35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ixed to permanent structure, e.g. harbour wall or river b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면을 부유하는 각종 쓰레기 또는 이물질 등을 걸러냄으로서, 오염물질들의 하천 출입을 억제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망과, 이 망의 둘레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단가로틀, 하단가로틀 및 세로틀로 구성되어 평평한 망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틀과, 망과 틀이 수면 상에 배치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로 구성된 걸름망; 걸름망을 하천의 횡단방향으로 배치시키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유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지지대; 상기 걸름망의 단부가 위치되는 하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걸름망에 의해 걸러진 부유물이 흘러들어가 포집되는 수거함이 포함되면서 이루어지는 하천의 정화장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상기 망의 일면이 수위변화에도 수면 상에 위치되면서 부유물질을 걸를 수 있도록, 상기 걸름망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세로틀은, 회전홈부와 삽입부가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삽입부가 이웃하는 다른 회전홈부에 회동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방식으로 일렬연결되되 상기 삽입부와 회동부의 연결부에 타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서 일방향으로만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된 지지링커의 연결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거함은, 하천수 및 상기 걸름망에 의해 걸러진 부유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부유물은 차단시키고 하천수만을 배출시키는 망이 구비된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걸름망에서 수면의 높이와 일치되는 위치에 배치고정되어 부유물을 상기 수거함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그 일단이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어지되, 상기 걸름망이 말릴 때 간섭을 주지 않는 소정곡률로 만곡되도록 형성된 부유물이동로와;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상단가로틀과 연동되도록 체결된 폴리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폴리로 전달하는 벨트가 포함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의 회전력이 상기 폴리로 전달되고, 폴리는 상단가로틀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망 및 세로틀이 일방향으로 권취되도록 하는 권취기구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하천의 정화장치구조{Disposal facilities Structure in the stream}
본 고안은 수면을 부유하는 각종 쓰레기 또는 이물질 등을 걸러냄으로서, 오염물질들의 하천 출입을 억제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이물질 또는 각종 쓰레기는 수면 상에 부유하면서 물의 유향에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모습은 미관 상 좋지 않을 뿐더러 더 나아가서는 하천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어 자연환경에도 그리 유익하지는 않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직시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기술들이 발명 또는 고안되고 있으며, 특히, 수면을 표류하는 이물질을 망을 통해 걸러내는 방식은 이미 선출원된 바 있다.(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15797, 등록번호 20-0259248) 특히, 부력체를 통해 걸름망이 수위변화에 따라 수동적으로 승강되면서 수면을 표류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걸러내는 기술은 이미 널리 알려진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이 적용된 구조물들은 일단 설치되면, 철거를 하기 전까지는 걸름망이 수면상에 지속적으로 배치되어진다. 특히, 장마철이나 홍수시에는 상기 걸름망이 소화할 수 없는 큰 자중의 물질들이 흘러오면서 설치된 구조물을 파손하게 되고, 이는 구조물의 보수 또는 새로운 구조물의 설치를 위해 계속적인 비용발생을 초래하여 경제적으로도 매우 불리하다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장마철 또는 홍수 시 임시로 걸름망을 거두어 들이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작업은 시간을 할애하여 수작업으로 이루어져야하므로 이 또한 번거롭다 하겠다.
또한, 상기 걸름망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은 망의 일면에 접착되는데, 이렇게 접착된 이물질을 망으로부터 분리해 낸다는 것은 그리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이물질의 걸러짐과 동시에 이들이 곧바로 특정 수거지로 이동되도록 유인할 수 있는데, 이는 선출원된 상기 고안(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15797)을 통해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선출원의 경우 그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제시되지 않고 있으며,특히, 조밀하게 엮여져서 그 표면이 거칠거칠한 망의 일면을 타고 걸러진 이물질이 유력에 의해 해당 수거지로 이송되는 것 또한 수훨치 않아, 제시된 문제가 완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천의 횡단방향으로 설치된 걸름망을 회수함으로서, 수면 상에 부유하는 이물질들 중 걸름망이 지지할 수 있는 한계를 벗어난 이물질과의 접촉을 피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걸름망을 드리울 수 있도록 된 하천의 정화장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걸름망에 걸러진 이물질이 망의 표면을 따라 수거지로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되어 이물질의 걸름효과를 더욱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된 정화장치구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가 적용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권취기구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링커를 도시한 사시도 및 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지링커들의 연결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거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가 적용된 일실시예의 설치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 구조물 100 ; 걸름망
110 ; 틀 120 ; 망
130 ; 부력체 140 ; 지지링커
141 ; 회전홈부 142 ; 걸림부
143 ; 완충부 144 ; 삽입부
145, 146 ; 회전축부 150 ; 부유물이동로
200, 200' ; 지지대 210 ; 가이드라인
300 ; 권취기구 310 ; 구동모터
311 ; 안착대 312 ; 회전축
320 ; 제어부 321 ; 통신선
330 ; 폴리 340 ; 벨트
350 ; 함 400 ; 수거함
410 ; 케이스 411 ; 유입구
412 ; 배출구 412a ; 망
413 ; 공간부 420 ; 수집부
421 ; 유입구 422 ; 배출구
422a ; 망 423 ; 수용부
424 ; 가로대 430 ; 덮개
431 ; 손잡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망과, 이 망의 둘레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단가로틀, 하단가로틀 및 세로틀로 구성되어 평평한 망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틀과, 망과 틀이 수면 상에 배치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로 구성된 걸름망; 걸름망을 하천의 횡단방향으로 배치시키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유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지지대; 상기 걸름망의 단부가 위치되는 하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걸름망에 의해 걸러진 부유물이 흘러들어가 포집되는 수거함이 포함되면서 이루어지는 하천의 정화장치구조에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상기 망의 일면이 수위변화에도 수면 상에 위치되면서 부유물질을 걸를 수 있도록, 상기 걸름망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세로틀은, 회전홈부와 삽입부가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삽입부가 이웃하는 다른 회전홈부에 회동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방식으로 일렬연결되되 상기 삽입부와 회동부의 연결부에 타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서 일방향으로만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된 지지링커의 연결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거함은, 하천수 및 상기 걸름망에 의해 걸러진 부유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부유물은 차단시키고 하천수만을 배출시키는 망이 구비된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걸름망에서 수면의 높이와 일치되는 위치에 배치고정되어 부유물을 상기 수거함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그 일단이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어지되, 상기 걸름망이 말릴 때 간섭을 주지 않는 소정곡률로 만곡되도록 형성된 부유물이동로와;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상단가로틀과 연동되도록 체결된 폴리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폴리로 전달하는 벨트가 포함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의 회전력이 상기 폴리로 전달되고, 폴리는 상단가로틀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망 및 세로틀이 일방향으로 권취되도록 하는 권취기구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벨트는, 그 일단이 상기 폴리의 상방에 단단히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회전축과 연결되되, 폴리를 아래에서 감싸듯 지지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으로 벨트가 감겨지면 이와 연결된 폴리가 회전하면서 상방으로 이동되어지도록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가 적용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10)은 망(120)과 틀(110)로 이루어진 걸름망(100)과, 이 걸름망(100)을 지지하는 지지대(200, 200')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걸름망(100)에는 수위변화에 따라 걸름망(100)의 위치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130)가 더 포함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지지대(200, 200')는 걸름망(100)을 유동가능하게 고정하게 된다.
또한, 걸름망(100)을 감을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권취기구(300)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걸름망(100)에 걸러진 부유물을 포집하여 그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수거함(400)이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걸름망(100)에는 부유물이 수거함(400)으로 쉽게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부유물이동로(1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걸름망(100)은 망(120)과, 틀(110)로 이루어지며, 이 틀(110)은망(120)의 둘레부를 고정시켜 망(120)이 평판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당가로틀(111), 하단가로틀(112) 및 세로틀(113)로 구성된다. 또한, 부력체(130)가 더 설치되는데, 이 부력체(130) 하단가로틀(112)에 고정된다.
종래 구조를 살펴보면 부력체(130)가 대부분 상단가로틀(111)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렇게 될 경우 수면(R)이 부력체가 위치한 걸름망(100)의 상단에 맞춰지므로, 망이 아무런 기능도 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부력체(130)를 걸름망(100)의 하단부인 하단가로틀(120)에 고정시킴으로서, 실제로 상기 부력체(130)는 걸름망(100) 자체의 하중에 의해 전체가 수면아래로 잠기게 되고, 이에 반해 상기 망(120)은 항시 수면(R) 높이에 맞춰지면서 상기 망(120)이 직접 수면(R) 상에 표류하는 이물질을 걸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는 부유물이동로(150)가 더 포함되는데, 부유물이동로(150)는 조밀하게 엮인 망(120)의 표면에 부유물이 접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는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더 구비되는 것이니만큼 수면(R)의 높이와 상기 부유물이동로(150)의 위치를 상호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천의 수위변화에도 걸름망(100)이 승강하면서 부유물이동로(150)와 수면(R)의 위치가 일치되도록, 상기 부력체(130)가 받는 부력을 조절한다.
이러한 부유물이동로(150) 중 하천과 대면하는 일면은 부유물과의 마찰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매끄럽게 처리되며, 주로 고분자합성수지재가 활용될 것이다. 또한, 전체형상이 만곡되어야 하는데, 이는 본 고안에 다른 걸름망(100)이 권취되는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상응하여 부유물이동로(150) 또한 일정 곡률로 만곡되어 걸름망(100)이 말리는데 간섭을 주지 않도록 되어야 한다.
상기 세로틀(113)은 상단가로틀(111)과 하단가로틀(112)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망(120)의 세로부분을 지지하는 틀로, 망(120)의 길이가 짧으면 망(120)의 양단에, 망(120)의 길이가 길면 양단은 물론 그 중간중간에도 하나이상의 세로틀(113)이 망(120)과 직접적으로 고정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세로틀(113)은 망(120)이 말릴 수 있도록 가요성을 지녀야 한다. 따라서, 상기 세로틀(113)은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링커(140)가 일렬로 연결된 연결물로 되며, 이는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링커를 도시한 사시도 및 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지링커들의 연결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지지링커(140)를 상세히 설명한다.
지지링커(140)는 세로틀(113)을 구성하되, 망(120)이 상기 권취기구(300)의 구동으로 인해 말릴 수 있도록 가요성을 지녀야 한다. 따라서, 상기 세로틀(113)은 상기 지지링커(140)의 연결물로 된다.
지지링커(140)는 양단에 각각 회동홈부(141)와, 삽입부(144)가 일체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동홈부(141)로 이웃하는 다른 지지링커(140')의 삽입부(144')가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삽입부(144)는 이웃하는 다른 지지링커(140")의 회동홈부(141")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상기 회동홈부(141) 및 삽입부(144)는 다른 회동홈부(141") 및 삽입부(144')와 상호 회동되게 연결된다. 따라서,회동홈부(141) 및 삽입부(144)에는 회전축부(145, 146)가 각각 형성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회전축부(145, 146)는 회동구멍과, 이를 관통하는 회동바아로 이루어질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다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홈부(141)와 삽입부(144)의 각 연결부에는 한쪽에 걸림부(142)가 형성된다.
상기된 구조에 따라 지지링커(140)가 연결되면,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본 고안의 경우, 하천의 유력에 대한 걸름망(100)의 지지력이 요구된다. 또한, 본 고안의 특징인 걸름망(100)의 권취를 위해서는 세로틀(130)의 가요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하지만 이러한 가요성은 하천의 유력에 의해 쉽게 구부러지게 되고, 특히 걸름망(100) 자체가 수위에 따라 유동가능하게 상기 지지대(200, 200')에 고정되므로 작은 유력에도 쉽게 휘게 된다. 이렇게 될 경우, 수면(R)을 표류하는 각종 이물질은 휘어진 걸름망(100) 아래로 빠져나가게 되면서 상기 구조물(10)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세로틀(130)은 유력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면서도 상기 권취기구(300)를 통해 말릴 수 있도록 일방에 대한 가요성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세로틀(130)을 구성하는 지지링커(140)들 또한 상호간의 연결관계가 일방으로만 회동되도록 되어야 하고, 이때, 상기 걸림대(142)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도 5의 (a) 도면에서와 같이 하천의 유향(화살표)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걸림대(142)가 형성되어 각 지지링커(140)들은 (b)에서와 같이 일방으로만 회동되도록 연결된다.
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지지링커(140)의 연결로 이루어진 연결물은, 회동홈부(141)에 삽입된 삽입부(144')의 저면 일단이 우측에 형성된 걸림부(142)에 걸리면서 유향의 대향으로는 굽어지지 않고, 그 반대방향으로만 굽어지게 된다.
이외에도, 상기 회동홈부(141) 및 삽입부(144)들간의 직접적으로 맞닿는 구간에는 상호간의 충돌로 발생될 수 있는 파손을 최소화 시키기 위해 완충부(14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200, 200')는 상기 걸름망(10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걸름망(100)을 수위에 따라 유동가능하도록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걸름망(100)과 마주하는 지지대(200, 200')의 일면에는 걸름망(100)의 위아래로 승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21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상하단가로틀(111, 112)의 양단이 각각 이 가이드라인(210) 안으로 삽입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권취기구의 확대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름망(100)은 말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선택적으로 수면(R)에 드리우거나 권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권취기구(300)가 상기 상단가로틀(111)의 일단에 연결된다.
즉, 상기 상단가로틀(111)의 직하방에 드리워진 망(120)과, 세로틀(113) 및 하단가로틀(112)을 상단가로틀(111)의 회전으로 말아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권취기구(300)는,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구동모터(310)와, 이 구동모터(310)를 조작/제어/관리할 수 있는 제어부(320)와, 구동모터(310)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회전축(312)과, 상기 상단가로틀(111)의 일단에 연결되는 폴리(330) 및, 상기 회전축(312)의 회전력을 폴리(330)로 전달하는 벨트(34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활용되는 구동모터(310)는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공지된 장치로, 이외에도 기름을 원료로 작동되는 기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20)는 작업자가 외부에서 구동모터(31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원격지에서도 제어가능할 수 있도록 유무선방식의 통신방식이 모두 활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구동모터(310)를 지지고정시키는 안착대(311)와, 상기 제어부(320)과 구동모터(310) 간의 통신을 매개하는 통신선(321)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310), 제어부(320)를 감싸 보호하는 함(3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12)과 폴리(330)를 연결하는 벨트(340)는 일정한 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걸름망(100)이 수위변화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어도 상기 폴리(330)와 회전축(312) 간의 연결이 느슨해져서 회전력의 전달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외에도, 상기 벨트(340)는, 상기 권취기구(300)만으로 걸름망(100)을 들어올리면서 이를 귄취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벨트(340)의 일단은 함(350) 또는 지지대(200)에 단단히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회전축(312)에 고정되며, 그 중간부에는 상기 폴리(330)를 감싸듯 연결되어서, 벨트(340)가 구동모터(310)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회전축(312)에 감기면, 폴리(330)는 회전하면서 상방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물론, 폴리(330)가 회전하면서 상기 상단가로틀(111)을 회전시켜 걸름망(100)을 말게된다.
이러한 벨트(340)의 연결관계로 인해 상기 걸름망(100)을 권취하면서 걸름망(100) 자체를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부(320)의 조작으로 구동모터(310)가 작동되면, 구동모터(310)에 연동되는 회전축(312)이 회전하면서 벨트(340)를 매개로 연결된 폴리(33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고, 이 회전력을 받은 폴리(330)는 이와 연결된 상단가로틀(111)을 회전시키면서 직하방에 드리워진 망(120) 및 세로틀(113)을 감아올리면서 말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름망(100)을 완전히 권취시켜, 본 고안이 해소하고자 하는 목적을 이룰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수거함(4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가장자리, 즉, 걸름망(100)의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부유물이동로(150)를 따라 이송된 부유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된다. 이를 첨부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거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가 적용된 일실시예의 설치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수거함(400)은, 내부에 공간부(413)가 형성된 통형으로 하천수가 유입되는 쪽 일면은 넓게 개구된 유입구(411)가 형성되고, 그 반대쪽 일면에는 배출구(412)가 형성되어진 케이스(410)이다. 이때, 상기 배출구(412)는 하천수만을 배출하고 걸러진 이물질은 가둘 수 있도록 망(412a)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부유물이동로(150)를 타고 들어온 부유물은 상기 유입구(411)를 통해 케이스(410)의 공간부(413)로 유입되는데, 하천수는 망(412a)이 설치된 배출구(412)를 통해 빠져나가고, 부유물은 공간부(413) 내에 잔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유입구(411)에 별도의 장치를 장착하지 않아도 부유물은 유력에 의해 역류되지 않아 걸름망(100)에 의해 걸러진 부유물 처리가 용이해진다.
이외에도, 그 처리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케이스(410)의 공간부(413) 내에 삽입되는 수집부(4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집부(420)는 상기 케이스(410)와 마찬가지로 유입구(421)와, 망(422a)이 설치된 배출구(422)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410)로의 내입 및 외출이 용이하도록 상단에 손잡이 기능의 가로대(42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410)는 하천유역에 단단히 고정되어 공간부(413)에 수집된 부유물의 제거가 다소 불편함이 있는데, 착탈가능한 상기 수집부(420)를 별도로 구비시켜, 일정량 이상의 부유물이 수거되면 수집부(420)를 케이스(410)로부터 뽑아내어 내부에 있는 부유물을 제거한 후 다시 케이스(410)에 삽입시키면 되므로 그 이용이 더욱 간편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410) 또는 수집부(420)의 상면을 덮는 덮개(43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덮개(430)에는 손잡이(431)가 장착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걸름망의 세로틀을 구성하는 지지링커가 일방으로만 회동되고, 그 역방향으로는 하천의 유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단단히 고정되어서 종래 가지던 걸름망의 필터기능을 무리없이 수행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걸름망을 회수할 수 있도록 권취기구가 더 구비되어, 걸름망 자체를 말아 올릴 수 있게 된다.
또한, 걸름망에 부유물의 이동을 원활히 하는 부유물이동로가 더 구비되어 걸름망에 걸러진 부유물의 처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망과, 이 망의 둘레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단가로틀, 하단가로틀 및 세로틀로 구성되어 평평한 망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틀과, 망과 틀이 수면 상에 배치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로 구성된 걸름망; 걸름망을 하천의 횡단방향으로 배치시키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유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지지대; 상기 걸름망의 단부가 위치되는 하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걸름망에 의해 걸러진 부유물이 흘러들어가 포집되는 수거함이 포함되면서 이루어지는 하천의 정화장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상기 망의 일면이 수위변화에도 수면 상에 위치되면서 부유물질을 걸를 수 있도록, 상기 걸름망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세로틀은, 회전홈부와 삽입부가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삽입부가 이웃하는 다른 회전홈부에 회동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방식으로 일렬연결되되 상기 삽입부와 회동부의 연결부에 타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서 일방향으로만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된 지지링커의 연결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거함은, 하천수 및 상기 걸름망에 의해 걸러진 부유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부유물은 차단시키고 하천수만을 배출시키는 망이 구비된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걸름망에서 수면의 높이와 일치되는 위치에 배치고정되어 부유물을 상기 수거함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그 일단이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어지되, 상기 걸름망이 말릴 때 간섭을 주지 않는 소정곡률로 만곡되도록 형성된 부유물이동로와;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상단가로틀과 연동되도록 체결된 폴리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폴리로 전달하는 벨트가 포함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의 회전력이 상기 폴리로 전달되고, 폴리는 상단가로틀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망 및 세로틀이 일방향으로 권취되도록 하는 권취기구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정화장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그 일단이 상기 폴리의 상방에 단단히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되, 폴리를 아래에서 감싸듯 지지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으로 벨트가 감겨지면 이와 연결된 폴리가 회전하면서 상방으로 이동되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정화장치구조.
KR20-2003-0039589U 2003-12-19 2003-12-19 하천의 정화장치구조 KR2003466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589U KR200346698Y1 (ko) 2003-12-19 2003-12-19 하천의 정화장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589U KR200346698Y1 (ko) 2003-12-19 2003-12-19 하천의 정화장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698Y1 true KR200346698Y1 (ko) 2004-04-08

Family

ID=4942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589U KR200346698Y1 (ko) 2003-12-19 2003-12-19 하천의 정화장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698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216B1 (ko) * 2006-05-08 2006-07-05 (주)경동기술공사 하천의 친환경적인 부유물 제거장치
KR100710526B1 (ko) 2005-01-05 2007-04-24 주식회사 이비알시스템즈 해안 사장의 침식제어용 그물 방파제
KR100881709B1 (ko) 2008-11-14 2009-02-06 (주)보원엔지니어링 하천 교량에 설치되는 부유물 수거장치
KR101375234B1 (ko) * 2013-08-26 2014-03-17 (주) 청수엔지니어링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수의 정화장치
KR101445769B1 (ko) 2012-06-18 2014-10-02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수중 소음 저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56649A (ko) *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포어시스 조류를 이용한 해상 부유 쓰레기 차집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54887A (ko) *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두합크린텍 하천 부유물 수거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526B1 (ko) 2005-01-05 2007-04-24 주식회사 이비알시스템즈 해안 사장의 침식제어용 그물 방파제
KR100596216B1 (ko) * 2006-05-08 2006-07-05 (주)경동기술공사 하천의 친환경적인 부유물 제거장치
KR100881709B1 (ko) 2008-11-14 2009-02-06 (주)보원엔지니어링 하천 교량에 설치되는 부유물 수거장치
KR101445769B1 (ko) 2012-06-18 2014-10-02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수중 소음 저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375234B1 (ko) * 2013-08-26 2014-03-17 (주) 청수엔지니어링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수의 정화장치
KR20200056649A (ko) *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포어시스 조류를 이용한 해상 부유 쓰레기 차집장치 및 그 방법
KR102246001B1 (ko) * 2018-11-15 2021-04-29 주식회사 포어시스 조류를 이용한 해상 부유 쓰레기 차집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54887A (ko) *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두합크린텍 하천 부유물 수거 시스템
KR102539506B1 (ko) * 2021-05-14 2023-06-02 주식회사 두합크린텍 하천 부유물 수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7276B2 (ja) 第3フィルタ
KR101400257B1 (ko) 물로부터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RU241781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и/или удаления осадка
US7402242B2 (en) Swimming pool debris removing skimmer
CN105392541B (zh) 连续链式格栅
KR101759931B1 (ko) 경량 여재식 다단 습지여상
KR200346698Y1 (ko) 하천의 정화장치구조
KR20150095472A (ko) 여재를 포함한 회전식 카트리지 빗물받이
CN115155127A (zh) 一种雨水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1827506B1 (ko) 취수장의 부유물 제거장치
KR101808659B1 (ko) 궤도망을 이용한 제진기
DE102014000180B4 (de) Trommelfilter mit Bandvorabscheider
KR200346697Y1 (ko) 하천의 오염방지 구조물
KR200329796Y1 (ko) 제진기
CN209081524U (zh) 一种新型滗水装置
KR200367385Y1 (ko) 스크린 드럼을 구비한 협잡물 제거장치
CN117684648B (zh) 一种城市道路路面排水分流防堵结构
KR101605196B1 (ko)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
KR101583069B1 (ko) 하부 협잡물 수거 기능이 향상된 제진기
KR20150136737A (ko) 점 오염원과 비점오염원에서 하천으로 유입되는 각종 오염물질들과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켜 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하천수 정화시스템
CN108211513A (zh) 一种用于环保保护的污水沉淀装置
CN220331692U (zh) 一种再生塑料清洗除杂装置
KR200371552Y1 (ko) 가동 스크린 제진기
CN207667265U (zh) 一种滚筒过滤装置
JP4237917B2 (ja) 除塵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