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659B1 - 궤도망을 이용한 제진기 - Google Patents

궤도망을 이용한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659B1
KR101808659B1 KR1020170079424A KR20170079424A KR101808659B1 KR 101808659 B1 KR101808659 B1 KR 101808659B1 KR 1020170079424 A KR1020170079424 A KR 1020170079424A KR 20170079424 A KR20170079424 A KR 20170079424A KR 101808659 B1 KR101808659 B1 KR 101808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orbital
support frame
conveyor bel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진
Original Assignee
백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진 filed Critical 백종진
Priority to KR1020170079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6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9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iltering bands, e.g. movable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수장 또는 배수장 등과 같은 수처리 시설의 개수로에 설치되어 수로를 통하여 수처리 시설로 유입되는 이끼류를 포함한 부유물을 제거하는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수로에서 수처리 시설 방향으로 유동되는 부유물이 걸리는 메쉬망 형태의 궤도망, 상기 궤도망의 상단 하부에 위치되어 궤도망에 의하여 육상으로 이송된 부유물을 궤도망에서 떼어내는 브러쉬 롤러, 상기 궤도망의 상단 및 브러쉬 롤러에서 떨어진 부유물을 궤도망 하부의 측부로 인출시키는 벨트 컨베이어, 이물질 량에 따라서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운전하여 전력비를 절감할 수 있는 수동/타이머/자동전환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궤도망을 이용한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궤도망을 이용한 제진기{Dust removing apparatus using caterpillar type of net}
본 발명은 양수장 또는 배수장 등과 같은 수처리 시설의 개수로에 설치되어 수로를 통하여 수처리 시설로 유입되는 이끼류를 포함한 부유물을 제거하는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수로에서 수처리 시설 방향으로 유동되는 부유물이 걸리는 메쉬망 형태의 궤도망, 상기 궤도망의 상단 하부에 위치되어 궤도망에 의하여 육상으로 이송된 부유물을 궤도망에서 떼어내는 브러쉬 롤러, 상기 궤도망의 상단 및 브러쉬 롤러에서 떨어진 부유물을 궤도망 하부의 측부로 인출시키는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궤도망을 이용한 제진기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제진기라 함은 수면보다 낮은 저지대의 배수펌프장, 상수도취수장, 관계용수로, 하수처리장 및 댐 등의 개수로에 설치되어 수류와 함께 부유하는 부유물을 스크린으로 걸른 다음 그 부유물을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제진기는 수류와 함께 떠내려오는 부유물 또는 부유물 바닥면과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크린으로부터 걸러진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레이크를 로드(rod)에 고정하여 유압의 힘으로 상기 로드를 인양하는 방법이 있으나, 수거의 양이 한정되고 레이크를 상하 왕복운동을 시키기 위한 별도 장치의 필요 및 장치의 진동 등의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던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로터리 방식이 개발되어 왔다.
상기 로타리 방식의 제진기들은 평철로 이루어진 스크린에 이물질 등이 걸리면 회전하는 수처리용 체인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한 레이크(Rake)가 이물질 등을 긁어 올리는 형태로 개발이 진행되었다. 또한 상기 평철 간격에 따라 걸러지는 이물질의 크기가 다르며, 평철이기에 세로 방향의 길이가 있는 이물질 등은 통과하는 어려움이 있어 완벽한 처리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종래 로타리 방식의 제진기로는 처리가 어려운 이끼류 및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이물질까지 제거가 가능한 제진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5134호는 제진기용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수류와 함께 떠내려오는 부유물을 걸러내는 제진기에 바닥면과 일정각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진기용 스크린에 있어서, 좌우 프레임과 좌우 프레임과 나란하게 규칙적인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격판과 좌우 프레임과 상기 격판을 배면에서 접합시키는 가로 보강판 및 상기 좌우 프레임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제진기에서 스크린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스크린 봉 또는 스크린 판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가지는 스크린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크기가 작은 부유물의 제거가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5134호(2005.12.2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2449호(2003.10.2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8574호(2000.02.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7659호(2012.07.16.)
본 발명은 제진기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제진기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스크린 봉 또는 스크린 판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가지는 스크린만으로 구성되어, 상기 스크린에 부유물이 대량으로 걸린 경우에는 레이크에 부하가 걸리고 스크린 사이에 이물질 등이 끼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또한 상기와 같은 스크린은 물의 원활한 유동성을 확보시키기 위하여 상기 복수 개의 스크린 봉 또는 스크린 판의 이격 간격이 커야하기 때문에, 크기가 작은 수초 또는 이끼류는 스크린에 의하여 걸러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상기 구성의 스크린 전방에 로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빗살 형태의 스크랩퍼가 더 설치되어 부유물을 스크린에서 자동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스크린에 걸린 부유물이 상기 스크랩퍼의 주기적인 회전에 의해서만 제거 가능하기 때문에, 스크린에서의 연속적인 부유물 제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수로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지지프레임에 지지된 상태로 제1구동모터에 의하여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복수 개의 와이어가 꼬아진 이루어진 메쉬망 형태로 구성되며, 길이방향의 하부 일부분은 수중에 담가지고 상부 일부분은 수중 밖에 위치되도록 경사진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궤도 형태의 궤도망; 상기 궤도망 상단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궤도망의 폭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외주에 구비된 다수의 브러쉬가 궤도망 상단의 하부면을 쓸어내며, 상기 궤도망의 회전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제1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브러쉬 롤러; 상기 브러쉬 롤러의 하부에 위치되고, 제2구동모터에 의하여 상기 궤도망의 폭방향으로 컨베이어 벨트를 회전시키는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궤도망을 이용한 제진기를 제시한다.
또한 이물질이 많이 들어오는 시기에는 24시간 연속 작동하고, 이물질이 적게 들어오는 시기에는 전력비 절감을 위해 타이머를 설정하여 일정시간 작동하고 일정시간은 작동을 멈추게 하여 전력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수동/타이머/자동운전전환스위치로 간단하게 설정이 가능한 제진기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궤도망을 이용한 제진기는 수로에서 유동되는 물에서 이끼류를 포함한 부유물을 복수의 와이어가 서로 꼬아진 메쉬망 형태로 만들어지고 일정의 궤도를 형성하며 계속적으로 회전하는 궤도망을 이용하여 걸러낼 수 있기 때문에, 부유물을 연속적으로 걸러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상기 궤도망의 메쉬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크기가 작은 수초 또는 이끼류도 물에서 걸러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종래 스크린은 수로 폭과 길이가 깊어 평철과 레이크 간격을 10mm 이하로 하기가 어려운 실정이지만, 본 발명의 궤도망 제진기는 직경 2~3mm로 제작될 수 있음);
아울러 메쉬망 형태의 궤도망의 상단에 떨어져 컨베이어로 낙하되어야 할 부유물이 궤도망에서 미흡하게 떨어지더라도, 상기 브러쉬 롤러를 이용하여 궤도망에 붙어있는 부유물을 용이하고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수동/타이머/자동운전이 가능하게 하여 이물질이 적게 들어오는 시기에는 타이머로 운전하여 전력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궤도망을 이용한 제진기를 나타내는 우측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궤도망을 이용한 제진기를 나타내는 좌측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궤도망을 이용한 제진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궤도망을 이용한 제진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궤도망을 이용한 제진기의 궤도망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궤도망을 이용한 제진기의 A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상세도.
본 발명은 양수장 또는 배수장 등과 같은 수처리 시설의 개수로(100)에 설치되어 수로(100)를 통하여 수처리 시설로 유입되는 이끼류를 포함한 부유물을 제거하는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수로(100)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된 상태로 제1구동모터(20)에 의하여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복수 개의 와이어(31)가 꼬아진 이루어진 메쉬망 형태로 구성되며, 길이방향의 하부 일부분은 수중에 담가지고 상부 일부분은 수중 밖에 위치되도록 경사진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되는 궤도 형태의 궤도망(30); 상기 궤도망(30) 상단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궤도망(30)의 폭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외주에 구비된 다수의 브러쉬가 궤도망(30) 상단의 하부면을 쓸어내며, 상기 궤도망(30)의 회전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제1구동모터(20)에 의하여 회전하는 브러쉬 롤러(40); 상기 브러쉬 롤러(40)의 하부에 위치되고, 제2구동모터(60)에 의하여 상기 궤도망(30)의 폭방향으로 컨베이어 벨트(51)를 회전시키는 컨베이어(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궤도망을 이용한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제진기는 양수장 또는 배수장 등과 같은 수처리 시설의 개수로(100, 이하, '수로(100)'라 칭함.)에 설치되어 수로(100)를 통하여 수처리 시설로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부유물인 고형의 오염물, 쓰레기, 수초 또는 이끼 등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수로(100)는 물을 유동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하에는 물의 유동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이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수로(100)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제진기는 거시적으로 지지프레임(10), 궤도망(30), 브러쉬 롤러(40) 및 컨베이어(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10)은 궤도망(30)을 수로(100)의 내부에 지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복수 개의 프레임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수로(100)의 폭(이하, 수로(100)에서 유동되는 물의 유동방향은 '수로(100)의 길이방향'이라 칭하고, 물의 유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은 '수로(100)의 폭방향'이라 칭함.)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수로(100)에서 유동되는 물이 지지프레임(10)의 외측과 수로(100)의 내측벽 사이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프레임(10)의 길이는 수로(100)의 높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길이를 가지는 지지프레임(10)은 수로(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의 경사를 가지며 지지프레임(10)의 하부는 수로(100)의 바닥쪽에 위치되고 지지프레임(10)의 상부는 수로(100)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지상에 위치되는 구성을 한다.
이하, 상기 구성의 지지프레임(10)은 도 1과 같이 사각형의 외주 형태를 가지고, 하부는 수로(100)의 바닥쪽에 위치되며, 양쪽 측부는 수로(100)의 양쪽 내측벽쪽에 위치되며, 상부는 수로(100)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지상에 위치된 상태를 가지는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이때, 상기 사각형의 외주 형태를 가지는 지지프레임(10)의 양쪽 측부 각각에는 지지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수밀 패킹 또는 수밀 브라켓 등과 같은 기밀부재(12)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상기 기밀부재(12)는 지지프레임(10)의 양쪽 측부 각각과 수로(100) 내측벽 간의 수밀성을 확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궤도망(30)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된 상태로 제1구동모터(20)에 의하여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복수 개의 와이어(31)가 꼬아진 이루어진 메쉬망 형태로 구성되며, 길이방향의 하부 일부분은 수중에 담가지고 상부 일부분은 수중 밖에 위치되도록 경사진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구성의 궤도망(30)은 도 2와 같이 복수 개의 와이어(31)가 꼬아진 이루어진 메쉬망 형태로 구성되어, 다수의 통공을 통하여 물은 수로(100)의 상류에서 하류쪽으로 유동시키되, 물에 포함된 부유물은 궤도망(30)에 걸리도록 하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궤도망(30)은 메쉬망 형태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궤도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궤도망(30)에 걸린 부유물을 지상으로 연속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궤도망(30)의 통공 크기, 즉, 궤도망(30)의 메쉬는 본 발명에 의한 제진기가 설치되는 수처리 시설의 종류, 물에 포함된 일반적인 부유물의 종류, 물의 유동량 등과 같은 조건에 따라 당업자의 판단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궤도망(30)은 길이방향으로 궤도 형태를 이루며 길이방향에 대한 구직 단면이 폐쇄된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부에 궤도망(30)의 하부가 걸리고,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궤도망(30)의 상부가 걸리는 형태를 하며 지지프레임(10)에서 계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궤도망(30)은 물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하부 일부분은 수중에 담가지고 상부 일부분은 수중 밖에 위치되는 구성을 하며, 물의 유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수중에 담가진 상기 궤도망(30) 하부 일부분의 상부면에는 물에 포함된 부유물이 걸리고, 상기 부유물은 궤도망(30)의 상향 회전에 의하여 지지프레임(10)의 상부인 수중 밖으로 이송되며, 궤도망(30)의 상단에 위치된 상단 회전변곡점(하기의 상부 회전로터(11a)와 대응됨.)에서 상기 부유물은 낙하되면서 궤도망(30)에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상단 회전변곡점에서 부유물을 떨어뜨린 궤도망(30)은 하향 회전하며 지지프레임(10)의 하부인 수중으로 다시 유입된 후 궤도망(30)의 하단에 위치된 하단 회전변곡점(하기의 하부 회전로터(11b)와 대응됨.)에서 회전방향이 전환되어 다시 상향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구성의 궤도망(30)은 상기 지지프레임(10) 또는 지지프레임(10)과 연결된 별도의 메인프레임(80, 지지프레임(10)을 수로(100) 또는 지상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에 체결된 제1구동모터(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도 3과 같이 상기 궤도망(30)은 상기 제1구동모터(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궤도망(30)의 상부면이 지지프레임(10)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궤도망(30)의 상부면(궤도망(30)이 한 쌍의 회전로터(11)에 의하여 회전될 때 부유물이 걸리는 면)에는 크기가 비교적 커서 궤도망(30)의 상부면에서 쉽게 걸리지 않을 수 있는 부유물을 걸어 궤도망(30)의 상부쪽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걸림판(33)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판(33)은 수로(100)의 폭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궤도망(30)의 상부면에서 일정의 높이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궤도망(30)의 상부면으로 유동되었지만 궤도망(30)에 걸리지 못하는 부유물을 들어올려 궤도만의 상부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걸림판(33)은 궤도망(30)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궤도망(30)에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회전로터(11)에 감겨진 상태로 회전하는 상기 궤도망(30)은 상기 상부 회전로터(11a)와 하부 회전로터(11b)에 의하여 형성된 가상의 경사진 수평면(지지프레임(10)이 경사진 상태를 가지기 때문에 수평면이 경사진 상태를 가짐.)을 중심으로 궤도망 상단부(30a)와 궤도망 하단부(30b)로 구분될 수 있는데(이때, 상기 궤도망 상단부(30a)는 상향 이동되고 궤도망 하단부(30b)는 하향 이동되는 상태임.), 상기 궤도망 상단부(30a)와 궤도망 하단부(30b)의 사이에는 궤도망(30)을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지지부재(13)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재(13)는 봉 형태 또는 판 형태로 구성되어, 부유물이 걸린 상태로 상향 이동되는 궤도망 상단부(30a)가 하방으로의 처지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궤도망(30)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 이상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궤도망(30)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면, 상기 지지프레임(10)과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는 폭방향 양쪽 측부에 스프로켓이 구비되는 회전로터(11)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궤도망(30)은 폭방향 양쪽 측부에 상기 스프로켓과 치합되는 체인(32)이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로터(11)는 지지프레임(1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폭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지지프레임(10)의 하부와 상부 각각에 구비되는 한 쌍의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회전로터(11)는 지지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회전로터(11b)와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회전로터(11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회전로터(11b)의 폭방향 양쪽 측부에는 한 쌍의 스프로켓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회전로터(11a) 역시 폭방향 양쪽 측부에 한 쌍의 스프로켓이 구비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상부 회전로터(11a) 또는 하부 회전로터(11b)는 상기 제1구동모터(20)와 체인(32) 또는 벨트로서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지상에 위치되는 상기 상부 회전로터(11a)가 제1구동모터(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0)에는 상기 상부 회전로터(11a)와 하부 회전로터(11b) 사이의 간격을 조절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회전로터(11a)와 하부 회전로터(11b)에 감겨진 궤도망(30)의 장력을 조절시킬 수 있는 텐션조절부재(14)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텐션조절부재(14)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각각의 텐션조절부재(14)는 지지프레임(10) 상부의 양쪽 측부에 하나씩 장착되고, 상기 상부 회전로터(11a)의 폭방향 양쪽 측부는 상기 한 쌍의 텐션조절부재(14)에 각각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텐션조절부재(14)는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체결되는 메인블럭(14a); 상기 메인블럭(14a)에 지지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내부에 내입되어 장공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고, 상기 상부 회전로터(11a)를 체결시키는 슬라이딩 블럭(14b); 일측은 상기 메인블럭(14a)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딩 블럭(14b)에 체결되어 메인블럭(14a)의 장공 내에서의 슬라이딩 블럭(14b)의 위치를 조절시키는 조절볼트(14c);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관리자는 상기 조절볼트(14c)를 메인블럭(14a)에서 회전시켜 메인블럭(14a)의 장공에 대한 슬라이딩 블럭(14b)의 위치를 조절시켜, 슬라이딩 블럭(14b)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 상부 회전로터(11a)의 위치를 하부 회전로터(11b)에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조절함으로써 궤도망(3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 회전로터(11b)는 수중에 해당하는 수로(100)의 바닥쪽에 위치되되, 수로(100)의 바닥면에서는 이격된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하부 회전로터(11b)의 폭방향 양쪽 측부에 구비된 스프로켓이 회전할 때 수로(100)의 바닥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부 회전로터(11b)의 전방(물의 상류쪽)에는 수로(100)의 바닥, 수로(100)의 바닥쪽 측벽, 상기 기밀부재(12) 또는 지지프레임(1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에 고정된 상태를 가지는 차단판(15)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차단판(15)은 상기 하부 회전로터(11b), 바람직하게는 하부 회전로터(11b)에 걸린 궤도망(30)의 하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부 회전로터(11b) 및 궤도망(30)의 하부와 이격된 상태를 가지되, 하부 회전로터(11b, 궤도망(30)의 하부)와 수로(100) 바닥면 사이로 통과될 수 있는 부유물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차단판(15)은 수로(100)의 폭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수로(100)의 바닥면에서 일정의 높이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회전로터(11b)의 전방쪽에 위치될 수 있으면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프레임(10)과 함께 경사진 상태를 가지는 궤도망(30)의 경사도와 같은 경사로 기울어진 상태를 가질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구성의 회전로터(11)에 구비된 스프로켓에 의하여 회전되는 궤도망(30)은 궤도망(30)의 폭방향 양쪽 측부 각각에 상기 스프로켓과 치합되는 체인(32)이 구비되는 구성을 한다.
즉, 상기 체인(32)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궤도망(30)의 양쪽 측부에 체결된 상태를 가져, 제1구동모터(2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로터(11)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궤도망(30)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궤도망(30)의 폭방향 측부와 체인(32)은 상기 궤도망(30)의 측부 전체적인 부분과 체인(32) 측부의 전체적인 부분이 상호 연결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체인(32)에는 한 쌍의 체인(32) 간을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 개의 지지봉(34)이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복수 개의 지지봉(34)은 궤도 형태를 가지는 체인(32)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써 각각이 이격된 상태를 가지고, 한 쌍의 체인(32) 사이에 위치되는 궤도망(30)과 연결되는 구성을 하여, 회전로터(11)에 의하여 회전하는 체인(32)의 구동력을 상기 궤도망(3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봉(34)은 궤도망(30)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와이어(31)의 사이사이를 엇갈리며 궤도망(30)의 폭방향으로 끼워짐으로써 궤도망(3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회전로터(11)에서 회전방향 전환되는 궤도망(30)에 대한 지지봉(34)의 마찰 및 간섭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브러쉬 롤러(40)는 상기 궤도망(30) 상단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궤도망(30)의 폭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외주에 구비된 다수의 브러쉬가 궤도망(30) 상단의 하부면을 쓸어내며, 상기 궤도망(30)의 회전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제1구동모터(20)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성으로서, 궤도망(30)에 의하여 수중 밖으로 이송된 부유물 중, 궤도망(30)에서 떨어지지 않는 부유물을 제거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브러쉬 롤러(40)는 궤도망(30)의 회전중심축, 즉, 상기 상부 회전로터(11a)의 회전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가지며, 양쪽 측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0) 또는 메인프레임(80)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브러쉬 롤러(40)는 도 4와 같이 궤도망(30) 상단의 하부에 해당하는 지지프레임(10)의 일정부분 또는 메인프레임(80)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구성을 하여, 궤도망(30)의 상단까지 이송된 부유물 중, 상기 상부 회전로터(11a)에서 회전방향 전환된 이후에도 궤도망(30)에서 떨어지지 않은 부유물을 궤도망(30)에서 쓸어내려 떼어내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브러쉬 롤러(40)의 외주에는 다수의 브러쉬가 구비되는 구성을 하여, 메쉬망 형태의 궤도망(30)의 통공 사이사이에 끼어 있는 부유물을 쓸어내리며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브러쉬 롤러(40)는 별도로 마련된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상기 궤도망(30)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20)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구동모터(20)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상부 회전로터(11a)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컨베이어(50)는 상기 브러쉬 롤러(40)의 하부에 위치되고, 제2구동모터(60)에 의하여 상기 궤도망(30)의 폭방향으로 컨베이어 벨트(51)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궤도망(30)의 상단 및 상기 브러쉬 롤러(40)에 의하여 궤도망(30)의 상단 하부에서 떨어진 부유물을 수로(100)의 측부에 해당하는 지상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컨베이어(50)는 상기 궤도망(30)의 상단 및 브러쉬 롤러(40)에서 떨어진 부유물을 상기 궤도망(30)의 부유물 이송방향과 직교(또는 일정각도)되는 방향으로 이송시켜, 수로(100)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50)는 제2구동모터(60)를 포함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제2구동모터(60)는 컨베이어 벨트(51)를 궤도망(30)의 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50)는 컨베이어 벨트(51)가 상기 브러쉬 롤러(40)의 하부에 해당하는 궤도망(30)의 상단 하부에 위치될 수 있는 상태이면,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베이어(5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폭방향 양쪽 측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로터(52); 상기 한 쌍의 회전로터(52)에 감겨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51); 상기 한 쌍의 회전로터(52)에 감긴 컨베이어 벨트(51) 중 한 쌍의 회전로터(52) 상부에 위치되는 컨베이어 벨트의 상단부(50a)의 하부에 위치되고, 컨베이어 벨트(51)의 길이방향 양쪽 측단쪽이 중앙쪽보다 더 상향되도록 경사진 상태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단부(50a)의 양쪽 측단 각각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롤러(53);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회전로터(52)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51)를 궤도망(30)의 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지지프레임(10)을 기준하면, 지지프레임(10)의 폭방향 양쪽 측부에 회전로터(52) 하나씩이 위치되는 구성을 한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회전로터(52)는 컨베이어(5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컨베이어 프레임(54)에 체결되는 구성을 하여, 한 쌍의 회전로터(52)의 정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회전로터(52) 중 어느 하나의 회전로터(52)는 상기 제2구동모터(60)가 연결되는 구성을 하여, 한 쌍의 회전로터(52)에 감긴 컨베이어 벨트(5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궤도망(30)의 상단에서 떨어지는 부유물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51)의 폭방향 중앙쪽으로 일렬하며 컨베이어 벨트(51)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54)에는 상기 한 쌍의 회전로터(52) 간의 간격을 조절시킴으로써 상기 한 쌍의 회전로터(52)에 감겨진 컨베이어 벨트(51)의 장력을 조절시킬 수 있는 텐션조절부재(55)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텐션조절부재(55)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각각의 텐션조절부재(55)는 컨베이어 프레임(54) 상부의 양쪽 측부에 하나씩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로터(52) 중 어느 하나의 회전로터(52)의 폭방향 양쪽 측부는 상기 한 쌍의 텐션조절부재(55)에 각각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텐션조절부재(55)는 상기 켄베이어 프레임에 체결되는 메인블럭(55a); 상기 메인블럭(55a)에 컨베이어 벨트(5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내부에 내입되어 장공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회전로터(52)를 체결시키는 슬라이딩 블럭(55b); 일측은 상기 메인블럭(55a)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딩 블럭(55b)에 체결되어 메인블럭(55a)의 장공 내에서의 슬라이딩 블럭(55b)의 위치를 조절시키는 조절볼트(55c);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관리자는 상기 조절볼트(55c)를 상기 메인블럭(55a)에서 회전시켜 메인블럭(55a)의 장공에 대한 슬라이딩 블럭(55b)의 위치를 조절시켜, 슬라이딩 블럭(55b)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 어느 하나의 회전로터(52)의 위치를 다른 하나의 회전로터(52)에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조절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51)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복수 개의 지지롤러(53)는 상기 한 쌍의 회전로터(52)에 감긴 컨베이어 벨트(51) 중 한 쌍의 회전로터(52) 상부에 위치되는 컨베이어 벨트의 상단부(50a)의 하부에 위치되고, 컨베이어 벨트(51)의 길이방향 양쪽 측단쪽이 중앙쪽보다 더 상향되도록 경사진 상태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단부(50a)의 양쪽 측단 각각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지지롤러(53)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한 쌍의 회전로터(52)에 의하여 양분되는 회전로터(52)의 상부쪽에 해당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상단부(50a)와 회전로터(52)의 하부쪽에 해당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하단부(50b)의 사이에 구비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회전로터(52)를 지지시키는 컨베이어 프레임(54)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지지롤러(53)는 컨베이어 벨트(51)의 폭방향 양쪽 측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구성을 하되, 컨베이어 벨트(51)의 폭방향 측단쪽이 중앙쪽보다 더 상향된 상태를 가지도록 경사진 상태로 구성되어, 컨베이어 벨트(51)의 폭방향 양쪽 측부를 중앙쪽보다 더 높게 들어올리는 구성을 한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복수 개의 지지롤러(53) 각각은 컨베이어 벨트(51)의 폭방향 측단쪽이 폭방향 중앙쪽보다 더 높은 위상을 가지도록 경사진 상태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단부(50a)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을 한다.
즉, 상기 구성을 하는 복수 개의 지지롤러(53)는 컨베이어 벨트(51)의 폭방향 양쪽 측부의 일부분을 중앙쪽보다 더 높게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컨베이어 벨트(51)의 상부로 떨어지는 부유물이 컨베이어 벨트(51)의 폭방향 양쪽 측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궤도망(30)의 상단에서 떨어지는 부유물이 컨베이어 벨트(51)의 폭방향 양쪽 측부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부유물 차단판(15)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일실시예로서, 도 4와 같이 상기 부유물 차단판(15)은 컨베이어 벨트(51)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궤도망(30)의 상단보다 더 높은 수직 위상을 가지는 제1부유물 차단판(70a)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부유물 차단판(70a)은 컨베이어 벨트(51)의 폭방향 양쪽 측부 중 상기 궤도망(30)의 상단과 더 먼 쪽에 해당하는 컨베이어 벨트(51)의 폭방향 일측부의 컨베이어 프레임(54)에 장착되는 구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6과 같이 상기 부유물 차단판(15)은 컨베이어 벨트(51)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궤도망 하단부(30b)와 컨베이어 벨트(51)의 폭방향 타측부의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을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제2부유물 차단판(70b)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부유물 차단판(70b)은 상기 브러쉬 롤러(40)의 하측부에 해당하는 지지프레임(10)의 일정부분 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51)의 폭방향 타측부의 컨베이어 프레임(54)에 장착되는 구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지지프레임 11 : 회전로터
11a : 상부 회전로터 11b : 하부 회전로터
12 : 기밀부재 13 : 지지부재
14 : 텐션조절부재 14a : 메인블럭
14b : 슬라이딩 블럭 14c : 조절볼트
15 : 차단판 20 : 제1구동모터
30 : 궤도망 30a : 궤도망 상단부
30b : 궤도망 하단부 31 : 와이어
32 : 체인 33 : 걸림판
34 : 지지봉 40 : 브러쉬 롤러
50 : 컨베이어 50a : 컨베이어 벨트의 상단부
50b : 컨베이어 벨트의 하단부 51 : 컨베이어 벨트
52 : 회전로터 53 : 지지롤러
54 : 컨베이어 프레임 55 : 텐션조절부재
55a : 메인블럭 55b : 슬라이딩 블럭
55c: 조절볼트 60 : 제2구동모터
70a : 제1부유물 차단판 70b : 제2부유물 차단판
80 : 메인프레임 100 : 수로

Claims (4)

  1. 수로(100)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된 상태로 제1구동모터(20)에 의하여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복수 개의 와이어(31)가 꼬아진 이루어진 메쉬망 형태로 구성되며, 길이방향의 하부 일부분은 수중에 담가지고 상부 일부분은 수중 밖에 위치되도록 경사진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되는 궤도 형태의 궤도망(30);
    상기 궤도망(30) 상단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궤도망(30)의 폭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외주에 구비된 다수의 브러쉬가 궤도망(30) 상단의 하부면을 쓸어내며, 상기 궤도망(30)의 회전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제1구동모터(20)에 의하여 회전하는 브러쉬 롤러(40);
    상기 브러쉬 롤러(40)의 하부에 위치되고, 제2구동모터(60)에 의하여 상기 궤도망(30)의 폭방향으로 컨베이어 벨트(51)를 회전시키는 컨베이어(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는 폭방향 양쪽 측부에 스프로켓이 구비되는 회전로터(11)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궤도망(30)은 폭방향 양쪽 측부에 상기 스프로켓과 치합되는 체인(32)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5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폭방향 양쪽 측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로터(52);
    상기 한 쌍의 회전로터(52)에 감겨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51);
    상기 한 쌍의 회전로터(52)에 감긴 컨베이어 벨트(51) 중 한 쌍의 회전로터(52) 상부에 위치되는 컨베이어 벨트의 상단부(50a)의 하부에 위치되고, 컨베이어 벨트(51)의 길이방향 양쪽 측단쪽이 중앙쪽보다 더 상향되도록 경사진 상태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단부(50a)의 양쪽 측단 각각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롤러(5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궤도망(30)의 상부면에는 부유물을 걸어 궤도망(30)의 상부쪽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걸림판(33)이 더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0)에는 지지프레임(10) 상부의 양쪽 측부에 하나씩 장착되는 한 쌍의 텐션조절부재(14)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텐션조절부재(14)는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체결되는 메인블럭(14a); 상기 메인블럭(14a)에 지지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내부에 내입되어 장공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고, 상기 회전로터(11) 중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회전로터(11a)를 체결시키는 슬라이딩 블럭(14b); 일측은 상기 메인블럭(14a)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딩 블럭(14b)에 체결되어 메인블럭(14a)의 장공 내에서의 슬라이딩 블럭(14b)의 위치를 조절시키는 조절볼트(14c);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로터(11) 중 지지프레임(10)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 회전로터(11b)의 전방(물의 상류쪽)에는 수로(100)의 바닥, 수로(100)의 바닥쪽 측벽 또는 지지프레임(1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에 고정된 상태를 가지는 차단판(15)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50)는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컨베이어 프레임(5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컨베이어 프레임(54) 중, 컨베이어 벨트(51)의 폭방향 양쪽 측부 중 상기 궤도망(30)의 상단과 더 먼 쪽에 해당하는 컨베이어 벨트(51)의 폭방향 일측부의 컨베이어 프레임(54)에는, 상기 궤도망(30)의 상단보다 더 높은 수직 위상을 가지는 제1부유물 차단판(70a)이 장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러쉬 롤러(40)의 하측부에 해당하는 지지프레임(10) 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51)의 폭방향 타측부의 컨베이어 프레임(54)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51)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궤도망 하단부(30b)와 컨베이어 벨트(51)의 폭방향 타측부의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을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제2부유물 차단판(70b)이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망을 이용한 제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79424A 2017-06-23 2017-06-23 궤도망을 이용한 제진기 KR101808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424A KR101808659B1 (ko) 2017-06-23 2017-06-23 궤도망을 이용한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424A KR101808659B1 (ko) 2017-06-23 2017-06-23 궤도망을 이용한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659B1 true KR101808659B1 (ko) 2017-12-13

Family

ID=6094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424A KR101808659B1 (ko) 2017-06-23 2017-06-23 궤도망을 이용한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6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20410A (zh) * 2020-05-28 2020-09-04 新昌县玉澜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污水垃圾用打捞设备
CN112794386A (zh) * 2021-01-26 2021-05-14 苏州中鹿环保设备有限公司 循环自清洁网状拦污栅
CN114558382A (zh) * 2022-04-06 2022-05-31 上海清宁环境规划设计有限公司 一种排污渠道漂浮物、悬浮物及胶状污泥在线清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6221A (ja) * 2000-09-01 2002-03-05 Maezawa Ind Inc 塵芥除去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除塵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6221A (ja) * 2000-09-01 2002-03-05 Maezawa Ind Inc 塵芥除去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除塵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20410A (zh) * 2020-05-28 2020-09-04 新昌县玉澜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污水垃圾用打捞设备
CN112794386A (zh) * 2021-01-26 2021-05-14 苏州中鹿环保设备有限公司 循环自清洁网状拦污栅
CN114558382A (zh) * 2022-04-06 2022-05-31 上海清宁环境规划设计有限公司 一种排污渠道漂浮物、悬浮物及胶状污泥在线清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659B1 (ko) 궤도망을 이용한 제진기
US201303412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ltering and Capturing Waterway Wastes
KR20200053077A (ko) 하천의 부유물 수거장치
CN111676928A (zh) 一种水域水藻清理装置
KR102038437B1 (ko)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
CN212612370U (zh) 一种水域水藻清理装置
KR101738353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133073B1 (ko) 제진기
GB2045634A (en) Screening apparatus
KR101222075B1 (ko) 수중 부유물 제거장치
KR20110092024A (ko) 게이트 펌프용 로터리 제진기
CN210049218U (zh) 一种水坝用水面漂浮物处理装置
CN111661973A (zh) 一种湖上固定式污水处理厂自流式污水处理工艺
KR200446515Y1 (ko) 방사형 초기우수처리장치
KR20020092765A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1254694B1 (ko) 제진기
KR102516599B1 (ko) 인양이 용이한 이동식 제진기
KR200346698Y1 (ko) 하천의 정화장치구조
JPH0469242B2 (ko)
CN209652743U (zh) 一种水利工程用渡槽
KR101997195B1 (ko) 이물질 거름팬부를 구비한 하수구 맨홀 장치
US2778500A (en) Oil skimming device
KR20150021267A (ko) 로터리 제진기
KR200343484Y1 (ko) 수처리장치의 협잡물 분리 제거장치
KR101605196B1 (ko)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