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2180B1 - 로터리식 제진기 - Google Patents

로터리식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2180B1
KR100742180B1 KR1020050134769A KR20050134769A KR100742180B1 KR 100742180 B1 KR100742180 B1 KR 100742180B1 KR 1020050134769 A KR1020050134769 A KR 1020050134769A KR 20050134769 A KR20050134769 A KR 20050134769A KR 100742180 B1 KR100742180 B1 KR 100742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ke
tension
chain
dirt
sewag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4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1382A (ko
Inventor
이용철
Original Assignee
(주)일철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철기공 filed Critical (주)일철기공
Priority to KR1020050134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180B1/ko
Publication of KR20070071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1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취수장 등에 설치되어 이들 처리장에 쌓인 오물을 걷어올리는 제진기로써, 하수처리장, 취수장의 상부에 좌우측으로 설치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걸어져 회전하며 오물을 끌어올리는 주갈퀴와; 상기 케이싱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하수 처리장, 취수장 등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주갈퀴에 오물을 퍼올리는 보조 갈퀴와; 상기 체인에 필요 이상으로 장력이 걸리면 장력발생 방향으로 체인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회전축을 가변시켜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로 이루어진 기술적인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보조 갈퀴를 구비하여 오물 처리가 용이하도록 하며, 제진기의 하부측 주변에 오물이 쌓이 않도록함과 동시에 장력조절부를 이용하여 체인이 끊어지거나 부하가 걸리는 일이 없도록 하는 발명인 것이다.
하수 처리장, 제진기, 오물, 체인, 장력 조절부

Description

로터리식 제진기{rotary typed dust remov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진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진기의 일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진기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진기에 따른 동작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장력 조절부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진기 100 : 케이싱
102 : 갈퀴 104 : 처리장
110 : 스크린 120 : 체인
130 : 구동 모터 132 : 동력전달부
140 : 컨베이어 150 : 장력조절부
200 : 보조 갈퀴
본 발명은 로터리식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 처리장 혹은 취수장에 설치되어 생활쓰레기를 비롯한 각종 오물, 협잡물 등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고, 제작이 편리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한 로터리식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처리장 혹은 취수장 등에는 각종 오물 및 협잡물 특히 낙엽, 각종 부상물 혹은 우천시 물이 범람하게 될 경우 범람하는 물과 함께 떠내려오는 생활쓰레기 등을 제거하는 제진기가 설치되어 있다.
통상 이러한 제진기는 체인 구동을 이용하는 로터리식 혹은 실린더를 이용하는 형식 등 그 구조 및 형태에 있어서 다양 형태가 개발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형태로는 체인을 이용하여 갈퀴를 동작시키는 로터리식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247793호의 스크린 제진기는 구동 스프로킷의 회전에 의해서 제진기 본체 양측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링 체인에 연결된 인양 갈퀴를 갖는 레이크에 의해서 제진기 본체의 스크린에 끼인 잔재물을 제거하면서 그 진개물을 배출 콘베이어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제진기 본체의 상단부에는 롤링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가 구비된 제진기로써, 상기 스크린의 하부측에 그 스크린을 구성하는 개개의 스크린 바아 사이에 다수의 전위 스크린 바아를 입설 및 조합시켜 구성된 전위 스크린이 구비되고, 상기 레이크에는 인양 갈퀴와 대칭되는 방향으로 밀대 갈퀴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전위 스크린은 소정 각도로 탄력 지지된 상태로 하부측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진기가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제진기는 전위 스크린의 전방 혹은 후방측에 진개물 즉, 각종 오물이 쌓이게 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오물을 걸러내는 갈퀴의 회동시 이 갈퀴는 오물을 긁어낸 상태에서 전위 스크린을 밀어내며 회동하는데 이때 갈퀴에 걸린 오물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위 스크린의 하부방측으로 떨어져 쌓이게 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전위 스크린의 하방측에 쌓인 오물은 별도로 처리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하수 처리장 혹은 취수장에 쌓인 오물을 처리하고자 하는 본래의 목적이 퇴색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의 제진기는 전위 스크린을 탄력 지지하고 있는 지지체가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그 탄력이 저하되면서 복원을 어렵게 하며, 나아가 본래의 기능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하수처리장, 취수장 등에 설치되어 각종 오물을 걸러내는 갈퀴와 연동하며 오물 처리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장마철 혹은 대량의 쓰레기 유입 시 효과적으로 이를 처리할 수 있는 로터리식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수 처리장 및 취수장의 오물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며, 일련 모든 동작이 자동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로터리 식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 이상으로 체인에 장력이 가해지면, 자동으로 회전축이 이동하며 장력이 조절됨으로써 체인이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장치 고장을 최소화하며, 동시에 유지기 간편한 로터식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처리장, 취수장 등에 설치되어 이들 처리장에 쌓인 오물을 걷어올리는 제진기로써, 하수처리장, 취수장의 상부에 좌우측으로 설치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체인; 상기 체인에 걸어져 회전하며 오물을 끌어올리는 주갈퀴; 상기 케이싱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하수 처리장, 취수장 등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주갈퀴에 오물을 퍼올리는 보조 갈퀴; 상기 체인에 필요 이상으로 장력이 걸리면 장력발생 방향으로 회전축을 가변시켜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로 이루어진 기술적인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진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진기의 일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진기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진기에 따른 동작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장력 조절부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제진기(10)는 로터리식 즉, 체인 구동에 의해 갈퀴를 회동시키는 방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유압식 즉 실린더를 이용하는 제진기에도 본 발명의 특징인 부분은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진기는 케이싱(100)과, 이 케이싱에 내설되어 회전하는 체인(120)과 상기 체인에 걸어져 하수 처리장 혹은 취수장 등에 쌓여지는 각종 오물 및 쓰레기를 걷어올리는 갈퀴(102)와 상기 갈퀴와 연동 혹은 별개의 구동으로 하수 처리장 등에 침전된 쓰레기를 걷어올리는 보조 갈퀴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00)은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고정되도록 하되, 처리장 등의 상부측에 설치된 베이스(12)에 세워진 브라켓트 등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되, 일정 간격 즉, 처리장의 크기 및 처리 용량을 감안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 양측 각각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케이싱(100)의 상부측과 하부측 각각에는 제 1동력전달부(132)가 설치되어 이에 체인(120)이 감아져 회전되도록 하되, 이 동력전달부는 스프로켓으로 이루어지며, 이 스프로켓 다시 말해 원동 스프로켓의 외측에는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부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구동모터(130)와 연결되는 제2 동력전달부는 체인, 밸트, 기어 등 여러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좌우 양측 체인(120)에 걸어지는 갈퀴(102)는 다수개의 인양갈퀴편이 등간격으로 배치된 구성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된 인양 돌부들과 후술하는 보조 갈퀴(200)의 인양편들이 맞물려 회전하며 보다 효과적으로 쓰레기를 걷어 올리는 것 이다.
한편, 상기 케이싱과 인접하여 컨베이어(140)가 설치되는데, 이 컨베이어는 갈퀴로 걷어 올린 쓰레기 등을 외부 이송시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동력전달부(132)에는 밸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150)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상기 장력조절부(150)는 체인에 가해지는 장력의 세기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며 체인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밀폐된 챔버(154)의 내부에 오일 혹은 압력에 대항할 수 있는 별도의 물질을 충진하고 실린더(152)가 이 챔버의 내측에서 체인에 걸리는 장력의 세기에 따라 이동하며 장력을 조절함과 아울러 체인이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실린더(152)는 동력전달부(132)의 회전축(134)과 연결되고, 상기 챔버(154)는 케이싱(100) 혹은 베이스(12)에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에는 챔버에 채워진 오일 등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시 충진될 수 있도록 하는 유출공(152a)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유출공은 별개로 즉, 빠져나가는 측과 유입측이 별도 형성될 수도 있으며, 오일 보충의 경우 실린더가 이동하며 자체적으로 혹은 별도의 보충 수단에 의해 충진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프링이 이용됨은 당연하다.
이러한 구성의 장력 조절부(150)는 도면과 같이 회전축(134)이 실린더(152)에 연결된 상태에서 체인(120)을 회전시켜 오물을 끌어올리는 과정 중 내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오물을 끌어올리지 못하고 체인에 장력이 발생하면 그 힘이 체인을 구동하는 회전축(134)에 미치게 된다.
회전축(134)에 장력이 미침에 따라 회전축은 장력 발생 방향 즉,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생기게 되고, 따라서 회전축(134)은 스프링을 누르면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오일은 유출공(152a)을 통해 반대편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
이후 장력이 해제되면 스프링은 실린더(152)를 밀어 회전축(134)과 함께 복원시키며 이 과정에서 오일은 다시 유출공을 통해 빠져 나온다. 여기서 상기 오일은 스프링에 의한 실린더 및 회전축의 급격한 복원을 방지하여 기계적인 고장을 방지함과 아울러, 급속한 이동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상기 보조 갈퀴(200)는 원통형의 본체(220)와 이 본체의 외측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인양편(240)으로 구성되도록 하되, 도면과 같이 적어도 3열 이상이 방사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본체의 외측에는 제2 동력전달부(260) 예를 들어 종동 스프로켓(266)이 설치되고, 이 종동 스프로켓(266)과 상기 베이스(12)에 설치된 모터(262)와 직결된 원동 스프로켓(264)이 체인에 의해 감아져 회동하며 보조 갈퀴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 갈퀴의 인양편들과 상기 주갈퀴의 인양 갈퀴편은 교호로 배치되어 회동시 인양편들이 갈퀴편들 사이를 통과하며 회전하는 구성이다.
삭제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취수장 등에 설치되어 이들 처리장에 쌓여지는 각종 이물질을 걷어올려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케이싱은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처리장에 설치된다.
먼저 작업자가 장치를 가동하면 혹은 별도의 감지 수단에 의해 장치가 가동하면 모터(100)가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제2 동력 전달부가 회전하며 그 회전력을 제1 동력전달부에 전달한다.
제1 동력전달부가 회전함에 따라 이에 감겨진 체인(120)이 회전하고, 또한 체인에 걸려진 주갈퀴(102)가 회전하며 처리장에 쌓여진 쓰레기를 걷어올리게 된다.
이때를 같이하여 보조 갈퀴 또한 회전하며 케이싱의 하부측 다시 말해 케이싱 주변의 쓰레기 및 주갈퀴에서 떨어진 쓰레기를 걷어 올려 주갈퀴에 공급하는데 이때 보조 갈퀴는 주갈퀴의 이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며 도면과 같이 쓰레기를 걷어 올리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갈퀴의 걸림 혹은 기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체인에 필요 이상의 장력이 가해지며, 장력조절부가 동작하여 체인이 끊어지는 현상 및 부하를 최소화하여 장치의 고장을 방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체인(102)에 장력이 걸리게 되면, 이 장력은 제1 동력전달부의 회전축에 전달되고, 이 회전축이 가해지게 되고, 이 회전축과 연결된 실린더가 순간적으로 이동하며 장력이 자동 조절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취수장 등에 설치되어 각종 오물을 걸러내는 것으로, 주갈퀴와 연동하며 회전하며 오물 처리하는 보조 갈퀴를 구비하여 오물의 처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아울러 장마철과 같이 대량의 쓰레기 유입시 효과적으로 이를 처리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진기는 일련의 모든 동작이 자동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필요 이상으로 체인에 장력이 가해지면 자동으로 회전축이 이동하며 장력이 조절됨으로써 체인이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장치 고장을 방지함과 동시에 유지 보수가 편리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하수처리장, 취수장 등에 설치되어 이들 처리장에 쌓인 오물을 걷어올리는 제진기로써,
    하수처리장, 취수장의 상부에 좌우측으로 설치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체인;
    상기 체인에 걸어져 회전하며 오물을 끌어올리는 주갈퀴;
    상기 케이싱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하수 처리장, 취수장 등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주갈퀴에 오물을 퍼올리는 보조 갈퀴;
    상기 체인에 필요 이상으로 장력이 걸리면 장력발생 방향으로 회전축을 가변시켜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식 제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갈퀴는 원통형의 외측에 다수의 인양편이 돌출되도록 하되, 이 인양편은 상기 주갈퀴의 인양갈퀴편과 교호로 배치되어 오물 수거시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로터리식 제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갈퀴의 인양편은 원통형의 외측에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되, 적어도 3열 이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식 제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갈퀴는 하수 처리장 혹은 취수장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와 연결되어 회동하며 오물을 끌어 올리도록 하되, 주갈퀴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며 오물을 주갈퀴에 퍼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시 제진기.
  5.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부는 내부가 밀폐된 챔버를 구비하고, 이 챔버의 내측에서 장력 발생 정도에 따라 이동하며 회전축을 이동시키는 실린더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식 제진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측에는 실린더를 지지하는 스프링과 오일이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식 제진기.
KR1020050134769A 2005-12-30 2005-12-30 로터리식 제진기 KR100742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769A KR100742180B1 (ko) 2005-12-30 2005-12-30 로터리식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769A KR100742180B1 (ko) 2005-12-30 2005-12-30 로터리식 제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382A KR20070071382A (ko) 2007-07-04
KR100742180B1 true KR100742180B1 (ko) 2007-07-25

Family

ID=38506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4769A KR100742180B1 (ko) 2005-12-30 2005-12-30 로터리식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21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421B1 (ko) 2013-09-30 2013-12-05 주식회사 신정기공 이동식 전위스크린
KR101995902B1 (ko) * 2018-12-21 2019-07-04 안병욱 자동 승강식 제진기
KR102316695B1 (ko) * 2021-04-27 2021-10-25 주식회사 연성 다중 경로를 갖는 로터리 제진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4227U (ko) 1987-07-13 1989-01-25
KR200178574Y1 (ko) 1999-11-12 2000-04-15 일신기계공업주식회사 제진기용 체인장력 자동 조절장치
KR20050028585A (ko) * 2003-09-19 2005-03-23 주식회사 타 셋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4227U (ko) 1987-07-13 1989-01-25
KR200178574Y1 (ko) 1999-11-12 2000-04-15 일신기계공업주식회사 제진기용 체인장력 자동 조절장치
KR20050028585A (ko) * 2003-09-19 2005-03-23 주식회사 타 셋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421B1 (ko) 2013-09-30 2013-12-05 주식회사 신정기공 이동식 전위스크린
KR101995902B1 (ko) * 2018-12-21 2019-07-04 안병욱 자동 승강식 제진기
KR102316695B1 (ko) * 2021-04-27 2021-10-25 주식회사 연성 다중 경로를 갖는 로터리 제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382A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8587U (ja) 袋詰めゴミ処理装置
KR101075281B1 (ko) 스크래이퍼 세척부가 구비된 제진기
KR101922042B1 (ko) 저면부 협잡물 제거 효율이 우수한 로타리 제진기
KR100742180B1 (ko) 로터리식 제진기
CN214320822U (zh) 一种用于土壤修复的除尘装置
CN110055941A (zh) 一种废水处理厂进水口漂浮垃圾打捞机
KR102169392B1 (ko) 파쇄장치를 포함하는 제진기
KR100623221B1 (ko) 하천 수로의 쓰레기 수거장치
KR20020092765A (ko) 로터리식 제진기
CN207591409U (zh) 一种含煤废水过滤装置
CN112138984A (zh) 一种自动化的蔬菜去杂质装置
CN211844832U (zh) 一种水面垃圾收集机器人
CN114197624A (zh) 一种城市污水管道防堵用漂浮垃圾清除处理装置
KR101347221B1 (ko) 협잡물 배출 블레이드를 갖는 사일로
CN218507582U (zh) 一种污水处理用新型格栅机
CN113277656A (zh) 一种超声波工业废水处理系统及方法
CN108862426B (zh) 一种自清洁粗格栅皮带输送装置、清洁系统及清洁方法
CN214990324U (zh) 一种格栅除污机
CN216273153U (zh) 一种高链式机械格栅除污机
KR200359282Y1 (ko) 하천 수로의 쓰레기 수거장치
CN204778894U (zh) 一种格栅机
KR200244707Y1 (ko) 로터리식 제진기
KR200342805Y1 (ko) 하수여과용 협작물 처리기
KR200262905Y1 (ko) 침사지용 스크린 제진기의 플레이트 이동장치
KR102483867B1 (ko) 수로 저면의 퇴적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로터리 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