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435B1 -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 - Google Patents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435B1
KR102354435B1 KR1020200125722A KR20200125722A KR102354435B1 KR 102354435 B1 KR102354435 B1 KR 102354435B1 KR 1020200125722 A KR1020200125722 A KR 1020200125722A KR 20200125722 A KR20200125722 A KR 20200125722A KR 102354435 B1 KR102354435 B1 KR 102354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hole
protruding
sun gear
carri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7281A (ko
Inventor
서금남
Original Assignee
서금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금남 filed Critical 서금남
Priority to KR1020200125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435B1/ko
Publication of KR20210157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7/00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Asynchronous induction generators
    • H02K17/0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08Insulating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5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radially supporting the rotor around a fixed spindle; radially supporting the rotor direct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내측에 단차를 가지고 함몰된 함몰부를 갖는 원통형의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된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1 반경을 갖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에서 일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선기어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복수의 캐리어, 상기 복수의 캐리어와 치합되며, 상기 캐리어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링기어, 상기 복수의 캐리어와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캐리어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이 관통하기 위한 홀이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 상부 케이스의 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구동축과 체결되어 회전하는 블레이드 연결부를 포함하는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에 관련된다.

Description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AC MOTOR FOR BLOWING FAN}
본 명세서는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에 관련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대형 블레이드를 저전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장치가 구비된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에 관련된다.
종래 축사용 대형 송풍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기는 BLDC 전동기가 이용되었으나, BLDC 전동기는 전력 소모량이 크고, 부품 가격이 비싼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20-0464446 [권리자 : 고상열]
본 명세서는 교류 전동기를 이용하여 축사용 대형 송풍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기를 제시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축사의 천장에 설치되는 전동기에 있어서, 전동기의 조립이 용이한 볼트 및 나선홀 결합 구조를 제시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전동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공기저항을 회전자가 최소한으로 받을 수 있는 회전자의 구조를 제시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는, 내측에 단차를 가지고 함몰된 함몰부를 갖는 원통형의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된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1 반경을 갖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에서 일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선기어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복수의 캐리어, 상기 복수의 캐리어와 치합되며, 상기 캐리어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링기어, 상기 복수의 캐리어와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캐리어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이 관통하기 위한 홀이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 상부 케이스의 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구동축과 체결되어 회전하는 블레이드 연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는 제1 베어링, 상기 회전자의 돌출된 축을 둘러싸고 상기 회전자의 일면에 접촉되는 제2 베어링, 상기 구동축을 둘러싸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3 베어링 및 상기 블레이드 연결부와 상기 구동축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블레이드 연결부의 중앙홀에서 상기 구동축을 향해 삽입되는 축볼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축볼트와 상기 블레이드 연결부 사이에는 스프링와셔와 평와셔가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측면을 향해 돌출되고, 전동기의 축 방향으로 볼트홀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1 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하부 케이스는 측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1 체결부와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볼트홀과 대응되는 제1나선홀을 갖는 복수의 제2 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는 제1 체결부를 통해 삽입된 볼트가 상기 제1 나선홀을 따라 삽입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베어링을 둘러쌈으로써 상기 제2 베어링을 고정시키는 가이드링 및 상기 가이드링 상에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선기어가 돌출되기 위한 홀을 가지며, 복수개의 제2 나선홀이 구성된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링기어는 상기 가이드판과 고정되기 위한 복수의 제3 나선홀이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링과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가이드링 측에서 상기 가이드판을 향해 삽입되는 볼트가 상기 제2 나선홀에 고정됨으로써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판과 상기 링기어는 상기 가이드판 측에서 상기 링기어를 향해 삽입되는 볼트가 상기 제3 나선홀에 고정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축은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3 개의 캐리어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캐리어는, 각각 내측 홀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 유닛 및 상기 고정 유닛과 캐리어 결합부에 삽입 고정되는 구동축 고정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자는, 상기 선기어가 중심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바디 및 상기 원통형의 바디를 둘러싸는 회전자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자 커버 높이는 상기 바디의 높이보다 크고, 상기 회전자 커버 중 상기 선기어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 및 상기 제1 베어링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은 내측을 향해 휘어진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BLDC 전동기가 아닌 교류 전동기를 이용하여 축사용 대형 송풍팬을 저전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제품 대비 80% 이상 전류량을 줄일 수 있어 높은 전력효율을 가질 수 있고, 하나의 컨트롤러로 제어할 수 있는 전동기의 수가 종래보다 3배 이상 늘어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대 토크는 대략 110N.m 으로 대형 송풍팬에 대한 종래 제품 대비해서 3배 이상의 성능을 발휘하며, 높은 토크로 인해 역풍시 역기전력 발생이 방지될 수 있고, 그 결과 전동기 소손률이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류 전동기로 송풍팬을 구성하기 때문에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작동 방법이 간단하고, 내부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 및 수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일 실험 결과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 전류량 대비 풍량이 35% 이상 향상된 송풍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속장치에 이용되는 기어들을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해 구성함으로써 소음 및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대토크로 운전시 실온 30도 환경에서 코일온도는 65도로 유지되어 안전성도 높이 평가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축사의 천장에 설치되는 전동기에 있어서, 전동기의 조립이 용이한 볼트 및 나선홀 결합 구조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공기저항을 회전자가 최소한으로 받을 수 있는 회전자의 구조를 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1000)의 사시도이다.
도 2a, 2b 및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수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와 감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1000)의 저면도이고, 도 6은 측 단면도이다.
도 7은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1000)의 상부 케이스(1200) 및 블레이드 연결부(1300)가 생략된 사시도이고, 도 8은 상부 및 하부 케이스가 점선으로 표시된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 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명세서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파트가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10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1000)는 하부 케이스(1100),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1200) 및 블레이드와 연결되기 위한 블레이드 연결부(1300)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120)는 구동축이 관통하기 위한 홀이 중앙에 구비되며, 이 상부 케이스의 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구동축과 블레이드 연결부(13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100)와 상부 케이스(1200)는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200)는 측면을 향해 돌출되고, 전동기의 축 방향으로 볼트홀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1 체결부(1210)를 가진다. 또한 하부 케이스(110)는 측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1 체결부(1210)와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볼트홀과 대응되는 제1나선홀을 갖는 복수의 제2 체결부(1110)를 가질 수 있다. 제1 체결부(1210)와 제2 체결부(1110)는 제1 체결부(1210)를 통해 삽입된 볼트(1211)가 제1 나선홀을 따라 삽입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즉 제2 체결부(1110)의 내부에는 축방향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홀의 내측면에는 나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나선홀은 이와 같이 내측에 나선이 형성된 홀을 의미한다. 그 결과 볼트(1211)가 이 나선을 따라 삽입되면서 제1체결부와 제2 체결부가 체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양한 부분의 결합에 있어서 볼트-넛트 결합이 아닌 볼트-나선홀 결합을 이용함으로써 부품 수를 줄이고, 단가를 절약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도 2a, 2b 및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수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1100)는 내측에 단차를 가지고 함몰된 함몰부(1101)를 가지고 있다. 함몰부(1101)는 하부 케이스(1100)의 외측으로는 돌출된 형태를 나타낸다. 함몰부(1101)는 원통형의 함몰된 부분으로서, 함몰부(1101)에 제1 베어링(510)이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1000)는 내부에 고정자(미도시), 회전자(200), 감속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자는 하부 케이스(11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하부 케이스(110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자(1100)는 하부 케이스(1100)의 안쪽 둘레에 형성되고, 고정자 안쪽에 회전자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전동기(1000)는 12극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자(200)는 고정자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1 반경을 갖는 원통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회전자(200)의 높이(축 방향)는 반경 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회전자의 중앙에는 상부 케이스(1200) 및 하부 케이스(1100)를 향해 돌출된 회전자축(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200) 방향 회전자축(210)의 단부에는 감속기능을 위한 선기어(3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자의 회전자축의 단부에 선기어가 바로 형성됨으로써 동력 발생장치와 감속기가 일체로 구성되는 이점이 있다.구체적으로 회전자 단부에 형성된 선기어가 감속장치의 일 부분으로서 기능함으로써 전동기와 감속기를 별도로 구성하여 동작하는 타 장치 대비 전동기 전체 규모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조립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예컨대 회전자(200)는 선기어(310)가 중심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바디(201) 및 원통형의 바디(201)를 둘러싸는 회전자 커버(202)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회전자(200)에 있어서, 회전자 커버(202)의 높이는 바디(201)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 커버(202)가 바디(201)의 둘레를 둘러싸면서 상하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회전자 커버(202) 중 상기 선기어의 돌출 방향(상부 케이스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 및 상기 제1 베어링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하부 케이스 방향)은 내측을 향해 휘어진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된 부분이 곡면 형상을 가짐으로써 고정자 내측에서 회전자의 회전시 발생하는 공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감속장치(300)는 선기어(310), 복수의 캐리어(320), 구동축(330), 및 링기어(34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속장치(300)는 회전자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속도를 낮추면서 토크를 상승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선기어(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자의 중앙에서 돌출된 회전자 축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캐리어(320)는 바람직하게는 3개이며,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명료화를 위해서 캐리어(320)가 3 개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복수의 캐리어(320)는 선기어(310)와 치합되어 선기어(310)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한다. 복수의 캐리어(320)는 서로 동일한 사이각을 두고 선기어를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선기어(310)와 캐리어(320)가 치합되어 결합되는 것에 더해서, 구동축(330)을 통해서 선기어와 캐리어의 결합이 유지될 수도 있다.
구동축(330)은 복수의 캐리어와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캐리어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축(330)은 선기어와 캐리어 간의 기어비에 따라서 선기어의 회전 수 대비 일정한 속도로 감속되어 회전하는 축이다. 이를 위해서, 구동축(330)은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홀을 갖는 3 개의 캐리어 결합부(332)를 가지고, 축 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구동축 연결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 연결부(331)는 상술한 블레이드 연결부(1300)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캐리어(320)는, 각각 내측 홀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 유닛(321) 및 고정 유닛(321)과 캐리어 결합부(332)의 홀에 삽입 고정되는 구동축 고정나사(32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닛(321)은 베어링일 수도 있다. 또한 구동축 고정나사(322)의 높이는 캐리어(320)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링기어(340)는 복수의 캐리어(320)와 치합되며, 캐리어의 회전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링기어(340)는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링 기어(340)의 일 측면에는 원반 형태의 가이드 판(410)이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판(410)과 링기어(340)는 볼트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판- 링기어 간의 볼트 결합을 위해서 링 기어(340)의 홀은 상술한 나선홀(내측에 나선이 형성)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판(410)의 중심에는 가이드 링(420)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링(420)과 가이드판(410)은 볼트로 결합될 수 있으며, 가이드링과의 결합을 위해 가이드판에 형성된 홀은 나선홀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판(410)은 가이드링 상에 배치되고(부분적으로는 가이드링 일부가 내부에 삽입됨), 내측에는 선기어(310)가 돌출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둘레에는 복수개의 나선홀(가이드링-가이드판 결합을 위함)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링과 가이드판, 가이드판과 링기어는 볼트와 나선홀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가이드판(410)은 링 기어(340)에 결합됨으로써 캐리어(320)들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1000)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베어링(510)은 하부 케이스(1100)의 함몰부(1110)에 삽입되어 하부 케이스(1100)와 회전자(200)간의 위치 고정 및 회전자(200)의 회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제2 베어링(520)은 회전자 축(210)을 둘러싸고 회전자(200)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베어링(52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링(42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링(420)은 제2 베어링(520)을 둘러쌈으로써 제2 베어링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베어링(520)은 감속장치와 회전자간의 위치 고정 및 선기어의 회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제3 베어링(530)은 구동축(330)을 둘러싸고 상부 케이스(120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베어링(530)은 상부 케이스(1200)의 외측으로 함몰된 함볼부에 위치하며, 구동축과 상부 케이스간의 위치 고정 및 구동축의 회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1000)는 블레이드 연결부(1300)와 상기 구동축(330)을 고정시키기 위해, 블레이드 연결부(1300)의 중앙홀에서 상기 구동축을 향해 삽입되는 축볼트(1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축볼트(1310)와 블레이드 연결부(1300) 사이에는 스프링와셔(1311)와 평와셔(1312)가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순차적으로 축볼트에 끼워진 스프링와셔(1311)와 평와셔(1312)는 구동축의 회전에 따른 블레이드 연결부(1300)의 회전시, 블레이드 연결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와 감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200)의 회전자 커버(202)는 양단이 안쪽으로 휘어진 곡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회전자(200)의 일 면에서 돌출된 회전자 축(210)의 일단에 형성된 선기어(310)는 링기어(340)의 중앙 홀을 통과해서 구동축(330)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선기어의 회전력은 캐리어(320)로 전달되어 캐리어들(320)의 축은 링기어(340)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캐리어들의 축의 회전은 구동축(330)의 회전을 야기시키며, 구동축의 회전은 블레이드 연결부(1300)를 동일한 비율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선기어(310), 캐리어(320) 및 링기어(34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제조단가가 낮아지고, 무게가 줄어들어 설치가 용이하고, 동작시 소음이 획기적으로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플라스틱은  폴리아마이드,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터, 폴리페닐렌에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도 5는 본 명세서의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1000)의 저면도이고, 도 6은 측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1000)의 상부 케이스(1200) 및 블레이드 연결부(1300)가 생략된 사시도이고, 도 8은 상부 및 하부 케이스가 점선으로 표시된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따른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1000)는 기존 제품 대비 낮은 전력으로 높은 토크를 발생시켜 대형 블레이드를 적절한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6)

  1. 내측에 단차를 가지고 함몰된 함몰부를 갖는 원통형의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된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1 반경을 갖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에서 일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선기어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복수의 캐리어;
    상기 복수의 캐리어와 치합되며, 상기 캐리어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링기어;
    상기 복수의 캐리어와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캐리어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이 관통하기 위한 홀이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
    상부 케이스의 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구동축과 체결되어 회전하는 블레이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의 돌출된 축을 둘러싸고 상기 회전자의 일면에 접촉되는 제2 베어링;
    상기 제2 베어링을 둘러쌈으로써 상기 제2 베어링을 고정시키는 가이드링; 및
    상기 가이드링 상에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선기어가 돌출되기 위한 홀을 가지며, 복수개의 제2 나선홀이 구성된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링기어는 상기 가이드판과 고정되기 위한 복수의 제3 나선홀이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링과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가이드링 측에서 상기 가이드판을 향해 삽입되는 볼트가 상기 제2 나선홀에 고정됨으로써 결합되는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는 제1 베어링;
    상기 구동축을 둘러싸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3 베어링; 및
    상기 블레이드 연결부와 상기 구동축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블레이드 연결부의 중앙홀에서 상기 구동축을 향해 삽입되는 축볼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축볼트와 상기 블레이드 연결부 사이에는 스프링와셔와 평와셔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측면을 향해 돌출되고, 전동기의 축 방향으로 볼트홀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1 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하부 케이스는 측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1 체결부와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볼트홀과 대응되는 제1나선홀을 갖는 복수의 제2 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는 제1 체결부를 통해 삽입된 볼트가 상기 제1 나선홀을 따라 삽입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과 상기 링기어는 상기 가이드판 측에서 상기 링기어를 향해 삽입되는 볼트가 상기 제3 나선홀에 고정됨으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3 개의 캐리어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캐리어는,
    각각 내측 홀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 유닛; 및
    상기 고정 유닛과 캐리어 결합부에 삽입 고정되는 구동축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상기 선기어가 중심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바디; 및
    상기 원통형의 바디를 둘러싸는 회전자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자 커버 높이는 상기 바디의 높이보다 크고,
    상기 회전자 커버 중 상기 선기어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 및 상기 제1 베어링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은 내측을 향해 휘어진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
KR1020200125722A 2020-06-19 2020-09-28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 KR102354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722A KR102354435B1 (ko) 2020-06-19 2020-09-28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990A KR102162879B1 (ko) 2020-06-19 2020-06-19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
KR1020200125722A KR102354435B1 (ko) 2020-06-19 2020-09-28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990A Division KR102162879B1 (ko) 2020-06-19 2020-06-19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281A KR20210157281A (ko) 2021-12-28
KR102354435B1 true KR102354435B1 (ko) 2022-01-20

Family

ID=7288322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990A KR102162879B1 (ko) 2020-06-19 2020-06-19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
KR1020200125721A KR102397190B1 (ko) 2020-06-19 2020-09-28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
KR1020200125722A KR102354435B1 (ko) 2020-06-19 2020-09-28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990A KR102162879B1 (ko) 2020-06-19 2020-06-19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
KR1020200125721A KR102397190B1 (ko) 2020-06-19 2020-09-28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1628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9914A (ja) 2012-04-09 2013-10-24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機
JP2018035935A (ja) 2016-05-10 2018-03-08 ジョンソン エレクトリッ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駆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動力工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68B1 (ko) * 2007-11-29 2009-09-16 전자부품연구원 감속기 일체형 비엘디씨 모터
KR20090076289A (ko) * 2008-01-08 2009-07-13 한라공조주식회사 냉각팬 구동 모터
KR101853495B1 (ko) * 2010-12-27 2018-04-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9914A (ja) 2012-04-09 2013-10-24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機
JP2018035935A (ja) 2016-05-10 2018-03-08 ジョンソン エレクトリッ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駆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動力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879B1 (ko) 2020-10-07
KR20210157280A (ko) 2021-12-28
KR20210157281A (ko) 2021-12-28
KR102397190B1 (ko) 202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386525B2 (en) Dryer
CN102904382A (zh) 用于操作马达的轴安装齿轮传动的风扇和组装马达的方法
KR101539321B1 (ko) 지붕 배기팬 설치형 발전기
KR101548348B1 (ko) 동축 반전식 코어리스 발전기
KR0160495B1 (ko) 전기모터 설치 어셈블리
CN206992808U (zh) 一种激光雷达的旋转结构
KR102354435B1 (ko) 송풍팬 용 교류 전동기
CN214125056U (zh) 一种具有防过载保护的电机减速机
CN211089417U (zh) 电机
CN208738978U (zh) 一种无刷电机
CN210129811U (zh) 双轴电机和送风装置
CN210769371U (zh) 一种出风装置及风扇
CN209217921U (zh) 自散热无刷直流电机
CN208174379U (zh) 冷却塔风扇用直流无刷电机
CN220646266U (zh) 一种机头及风扇
CN111030410A (zh) 一种新型永磁同步电机
JP7093474B1 (ja) ロータリー駆動発電装置
CN219760726U (zh) 电机以及风干设备
KR200345431Y1 (ko) 발전 및 충전 장치가 구비된 환풍기
CN220067002U (zh) 电机以及风干设备
CN215733773U (zh) 外转子电机
CN219938045U (zh) 空心电机安装紧固结构
CN216044557U (zh) 一种改进的循环风扇
CN219678259U (zh) 一种园林工具用外转子减速电机
CN221042618U (zh) 双轴永磁直驱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