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707B1 - 와이어링 하네스 - Google Patents

와이어링 하네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707B1
KR102352707B1 KR1020210111013A KR20210111013A KR102352707B1 KR 102352707 B1 KR102352707 B1 KR 102352707B1 KR 1020210111013 A KR1020210111013 A KR 1020210111013A KR 20210111013 A KR20210111013 A KR 20210111013A KR 102352707 B1 KR102352707 B1 KR 102352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egion
connector
cover sheet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승호
Original Assignee
차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승호 filed Critical 차승호
Priority to KR1020210111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수밀 성능 개선을 위한 와이어링 하네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와이어에 체결된 커넥터; 커넥터 및 복수의 와이어를 감싸도록 체결되는 커버시트; 및 커버시트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충전되는 실링재;를 포함하고, 커버시트는, 방수성이 있는 탄성 재질의 평면 시트 형태로 형성되어, 전후로 시트전단영역, 시트중단영역 및 시트후단영역을 구비하고, 시트전단영역은, 저면에 제1접착층을 구비하고, 시트중단영역은, 커버시트의 측단에 인접한 저면 일부 구역에 제3접착층을 구비하고, 시트후단영역은, 저면에 제2접착층을 구비하는 와이어링 하네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와이어링 하네스는 커넥터와 와이어 간의 결합부위에 커버시트가 부가되고 그 내부공간에 실링재가 주입되어 결합부위의 수밀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링 하네스{WIRING HARNESS}
본 발명은 와이어링 하네스에 관한 것이다.
전원공급이나 제어를 위한 배선들을 하나로 조합해 유닛화한 전장부품의 일종으로 와이어링 하네스가 알려져 있다. 와이어링 하네스는 차량 내 배선을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고, 그 외에도 각종 자동화설비나 기계장치 등에서 조립 편의 등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일부의 와이어링 하네스는 적절한 수밀 성능이 요구된다. 예컨대 차량과 같이 설치공간 내부로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경우, 이에 설치되는 와이어링 하네스에는 적절한 수밀 성능이 갖춰져야 한다. 근래 들어서는 경량화 등을 위해 구리 외에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와이어의 사용이 병행되면서 이종 금속 간의 부식이 문제되고 있고, 이에 따라 보다 면밀한 수밀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21-0083513호(2021.07.07.) 등록특허 제10-1783867호(2017.09.26.) 등록특허 제10-1131530호(2012.03.22.)
본 발명은 수밀 성능 개선을 위한 와이어링 하네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와이어에 체결된 커넥터; 상기 커넥터 및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감싸도록 체결되는 커버시트; 및 상기 커버시트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충전되는 실링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시트는, 방수성이 있는 탄성 재질의 평면 시트 형태로 형성되어, 전후로 시트전단영역, 시트중단영역 및 시트후단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전단영역은, 저면에 제1접착층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중단영역은, 상기 커버시트의 측단에 인접한 저면 일부 구역에 제3접착층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후단영역은, 저면에 제2접착층을 구비하는 와이어링 하네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는 커넥터와 와이어 간의 결합부위에 커버시트가 부가되고 그 내부공간에 실링재가 주입되어 결합부위의 수밀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분, 이물질 등에 의한 부식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에 있어서 커넥터 부분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에 있어서 커버시트 부분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1-A1'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2-A2'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3-A3'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 및 2에 도시된 와이어링 하네스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제1상태도이다.
도 7은 도 6에 이은 설치방법을 도시한 제2상태도이다.
도 8은 도 7에 이은 설치방법을 도시한 제3상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커버시트의 제1변형예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커버시트의 제2변형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서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에 있어서 커넥터 부분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도 1의 좌표축을 기준으로 x축방향을 전후방향, y축방향을 좌우방향, z축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또한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은 전방, 우측은 후방으로 지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와이어링 하네스는 커넥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10)는 소정 형상의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인접한 다른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110)는 전방의 다른 커넥터와 결합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커넥터(110)에는 다른 커넥터와 결합을 위한 결합지지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지지부(111)는 다른 커넥터의 대응되는 결합구조에 결합되어 커넥터 간을 결합시키거나, 상기 결합구조로부터 적절히 분리 가능하도록 이뤄질 수 있다. 일 예로 결합지지부(111)는 후크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지지부(111)는 인접한 다른 커넥터와의 적절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이면 무방하고, 그 결합구조나 방식 등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커넥터(110)의 후단 영역에는 커넥터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홈(112)은 커넥터(110)의 외주면을 따라 둘레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홈(112)은 전후로 소정 폭을 가질 수 있다. 커넥터홈(112)의 전후 폭은 후술할 시트전단영역(121)의 전후 폭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홈(112)은 소정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커넥터홈(112)의 깊이는 후술할 시트전단영역(121)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커넥터홈(112)의 후단에는 단턱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113)는 커넥터홈(112)의 후단에서 소정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커넥터(110)의 외주면을 따라 둘레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10) 후단에는 복수의 와이어(114)가 결합될 수 있다. 각 와이어(114)를 전후로 연장될 수 있고, 복수의 와이어(114)는 좌우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커넥터(110) 후단에 결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와이어(114)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뤄질 수 있다. 즉, 와이어(114)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뤄진 금속선을 절연 수지로 피복한 것으로 이뤄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와이어링 하네스가 반드시 이러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의 와이어(114)에 제한되어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에 있어서 커버시트 부분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와이어링 하네스는 커버시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시트(120)는 커넥터(110)와 와이어(114)가 결합되는 커넥터(110)의 후단 영역에 설치되어 와이어(114) 결합 부위로의 수분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커버시트(120)는 커넥터(110)와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어 와이어 하네스의 조립 과정에서 커넥터(110)에 적절히 부가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는 커넥터(110)로의 설치 전 커버시트(120)가 전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커버시트(120)는 소정 두께를 가진 평면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시트(120)의 평면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을 이룰 수 있다.
커버시트(120)는 소정의 전후 폭(W1) 및 좌우 폭(W2)을 가질 수 있다. 커버시트(120)의 전후 폭(W1)은 커넥터홈(112) 및 와이어(114)의 전단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커버시트(120)의 좌우 폭(W2)은 커넥터홈(112)의 둘레방향에 따른 길이 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시트(120)의 좌우 폭(W2)은 커넥터홈(112)의 둘레방향에 따른 길이 대비 1.2~1.5배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시트(120)의 좌우 폭(W2)이 지나치게 클 경우 설치 시 취급이 불편하고, 지나치게 작을 경우 후술할 내부공간(140)의 밀폐가 적절히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커버시트(120)는 방수성이 있는 탄성재질의 시트로 이뤄질 수 있다. 일 예로 커버시트(120)는 일부 또는 전부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로 이뤄질 수 있다.
커버시트(120)는 평면을 기준으로 시트전단영역(121), 시트중단영역(122) 및 시트후단영역(12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시트전단영역(121)은 커버시트(120)의 전단으로부터 소정의 전후 폭(W3)을 갖고, 커버시트(120)의 일측단(좌측단)에서 반대측단(우측단)에 이르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시트전단영역(121)은 커버시트(120)의 전단으로부터 소정의 전후 폭(W3)에 해당되는 커버시트(120)의 일부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와 유사하게, 시트중단영역(122)은 시트전단영역(121)의 후단으로부터 소정의 전후 폭을 갖고, 커버시트(120)의 일측단(좌측단)에서 반대측단(우측단)에 이르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시트후단영역(123)은 시트중단영역(122)의 후단으로부터 소정의 전후 폭(W4)을 갖고, 커버시트(120)의 일측단(좌측단)에서 반대측단(우측단)에 이르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시트(120)는 전후방향으로 시트전단영역(121), 시트중단영역(122) 및 시트후단영역(123)이 순차적 배치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시트중단영역(122)에는 주입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주입홀(124)은 대체로 시트중단영역(122)의 전후 및 좌우방향 중앙에 형성될 수 있고, 시트중단영역(122)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주입홀(124)에는 후술할 주입슬리브(130)가 체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1-A1'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시트전단영역(121)은 전후로 제1폭(W3)을 가질 수 있다. 제1폭(W3)은 대체로 커넥터홈(112)의 전후 폭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트전단영역(121)은 제1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제1두께(T1)는 대체로 커넥터홈(112)의 깊이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두께(T1)는 커버시트(120)의 다른 영역인 시트중단영역(122)이나 시트후단영역(123)의 두께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시트중단영역(122) 및 시트후단영역(123)의 두께는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시트전단영역(121)의 상면은 시트중단영역(122) 내지 시트후단영역(123)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시트전단영역(121)의 저면은 제1두께(T1)에 의해 시트중단영역(122) 내지 시트후단영역(123)의 저면 대비 소정 정도 돌출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즉, 시트전단영역(121)은 저면이 제1두께(T1)로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시트전단영역(121)의 저면에는 제1접착층(125)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접착층(125)은 시트전단영역(121)의 저면에 접착제가 미리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접착층(125)에는 제1점착시트가 부착될 수 있다. 제1점착시트는 커버시트(120)의 취급과정에서 제1접착층(125)에 부착된 상태로 있을 수 있고, 커버시트(120)의 설치(부착) 전 제1접착층(125)으로부터 적절히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시트후단영역(123)은 전후로 제2폭(W4)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폭(W4)은 전술한 제1폭(W3) 대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폭(W4)은 제1폭(W3)의 1.5~2배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전단영역(121)은 커넥터홈(112)으로의 결합을 통해 비교적 쉽게 밀폐될 수 있으나, 시트후단영역(123)은 복수의 와이어(114)에 결합되어 밀폐가 용이하지 않음을 고려한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시트후단영역(123)과 와이어(114) 간에 반드시 완전한 밀폐가 이뤄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접착 등을 통해 소정의 폐쇄된 공간의 형성되면, 이후 실링재를 통해 밀폐가 이뤄질 수 있다.
시트후단영역(123)은 제2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시트후단영역(123)의 제2두께(T2)는 시트전단영역(121)의 제1두께(T1)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시트(120)는 대체로 제2두께(T2)를 가지되, 시트전단영역(121)에 대응되는 부위에서 제2두께(T2)보다 큰 제1두께(T1)를 가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후단영역(123)의 저면에는 제2접착층(126)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제1접착층(125)과 유사하게, 제2접착층(126)은 시트후단영역(123)의 저면에 접착제가 미리 도포된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접착층(126)에는 제2점착시트가 부착될 수 있고, 제2점착시트는 커버시트(120)의 설치(부착) 전 제2접착층(126)으로부터 적절히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시트중단영역(122)은 시트전단영역(121)과 시트후단영역(123)의 사이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시트중단영역(122)은 시트전단영역(121) 및 시트후단영역(123)과 대비해 전후로 가장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시트중단영역(122)의 두께는 대체로 시트후단영역(123)의 제2두께(T2)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 시트중단영역(122)의 저면에는 일부 구역(122a)에만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시트전단영역(121) 및 시트후단영역(123)에서 저면에 전체적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것과 대비된다.
도 4는 도 2의 A2-A2'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시트중단영역(122)은 저면 일부 구역에 제3접착층(127)을 가질 수 있다. 제3접착층(127)은 시트중단영역(122)의 측단으로부터 소정의 좌우 폭(W5)을 가질 수 있고, 시트전단영역(121)에 접하는 전단으로부터 시트후단영역(123)에 접하는 후단까지 전후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제3접착층(127)은 커넥터(110)에 설치된 커버시트(120)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좌우 폭(W5)을 가질 수 있다(도 2 참조). 바람직하게 제3접착층(127)은 커버시트(120)의 전체 좌우 폭(W2) 대비 20~30%의 좌우 폭(W5)을 가질 수 있다. 제3접착층(127)의 좌우 폭(W2)이 지나치게 작을 경우 후술할 실링재(150)의 주입에 따른 압력을 적절히 지탱하지 못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A3-A3'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시트중단영역(122)의 중앙에는 주입홀(12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입홀(124)에는 실링재(150)의 주입을 안내하기 위한 주입슬리브(130)가 설치될 수 있다.
주입슬리브(130)는 상단에 플랜지(131)가 구비된 원통형 슬리브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단의 플랜지(131)는 시트중단영역(122)의 상면에 지지되어 주입슬리브(130)를 시트중단영역(122)에 장착 유지시킬 수 있다. 주입슬리브(130)의 중앙에서는 상하로 연장된 주입로(132)가 형성될 수 있고, 주입로(132)는 주입슬리브(130)를 상하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주입슬리브(130)는 커버시트(120)와 분리된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주입슬리브(130)는 주입홀(124)에 미리 체결되어 커버시트(120)와 함께 제공되거나, 커버시트(120)와 분리된 별개의 부품으로 제공되어 커버시트(120)의 설치과정에서 커버시트(120)에 적절히 체결될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 주입슬리브(130)는 커버시트(12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적절히 생략될 수도 있다. 커버시트(1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커버시트(120)의 저면에는 주입홀(124)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된 슬리브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슬리브가 주입슬리브(130)로 기능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와이어링 하네스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1 및 2에 도시된 와이어링 하네스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제1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커넥터(110)에 와이어(114)가 연결되고, 커버시트(120)가 커넥터(110) 및 와이어(114)의 연결 부위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평면 형태의 커버시트(120)는 시트전단영역(121)의 저면이 커넥터홈(112)에 안착되도록 배치되고, 커넥터홈(112)을 따라 둘레방향으로 감겨져 커넥터(110) 및 와이어(114) 간의 결합 부위를 감싸게 된다.
상기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감겨진 커버시트(120)는 대략 원통형을 이루며 소정의 내부공간(140)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공간(140)에는 커넥터(110) 및 와이어(114)의 연결부위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커버시트(120)는 커넥터홈(112)의 둘레방향에 따른 길이 대비 소정 정도 큰 좌우 폭(W2)을 가지므로, 커넥터홈(112)을 둘레방향으로 완전히 감싸고 남아 소정의 중첩영역(128)을 형성할 수 있다(도 7 참조).
커넥터홈(112) 및 시트전단영역(121)의 제1두께(T1)는 상기와 같은 커버시트(120)의 초기 결합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홈(112) 및 시트전단영역(121)의 제1두께(T1)는 내부공간(140)의 전단부를 적절히 밀폐시키는 기능을 겸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이은 설치방법을 도시한 제2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과정에 이어서 커버시트(120)에 각 부위에 마련된 접착층들이 접합된다. 커버시트(120)의 전단부에서는 제1접착층(125)이 커넥터홈(112)의 바닥면에 접착될 수 있고, 커버시트(120)의 후단부에는 제2접착층(126)이 복수의 와이어(114) 외면에 접착될 수 있다. 커버시트(120)의 후단부에서 와이어(114)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123a)에서는 대향하는 제2접착층(126) 간이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제3접착층(127)은 시트중단영역(122)의 외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커버시트(120)는 외부로부터 밀폐된 내부공간(140)을 형성할 수 있고, 내부공간(140)에는 커넥터(110) 및 와이어(114) 간의 접속부위가 수용될 수 있다.
주입슬리브(130)가 주입홀(124)과 분리되어 제공되는 경우 상기에 이어 주입홀(124)에 주입슬리브(1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이은 설치방법을 도시한 제3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후 주입슬리브(130)를 통해 내부공간(140)으로 실링재(150)가 서서히 주입될 수 있다. 실링재(150)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실링재를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주입된 실링재(150)는 내부공간(140)을 밀폐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114)와 커넥터(110) 간의 연결부위가 보다 완전하게 수밀 처리될 수 있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커버시트의 제1변형예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커버시트(220)는 시트후단영역(223)에 주름구조(223a)가 형성될 수 있다. 주름구조(223a)는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산(223b) 및 복수의 골(223c)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산(223b) 및 골(223c)은 좌우방향을 따라 교대로 반복 배치되어 주름구조(223a)를 형성할 수 있다.
시트후단영역(223)은 주름구조(223a)가 부가된 형태로 저면에 제2접착층(22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커버시트(220)는 좌우로 인접한 와이어(214) 간을 좀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시트(22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좌우로 인접한 와이어(214) 사이에서 상하의 제2접착층(226)이 상호 접착되어 접착면(226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면(226a)은 커버시트(220)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보다 적절히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인접한 와이어(214) 사이로 실링재가 누출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커버시트의 제2변형예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커버시트(320)는 시트후단영역(323) 및 시트중단영역(322)에 주름구조(323a, 322a)가 형성될 수 있다. 주름구조(323a, 322a)는 전술한 변형예와 유사하게 복수의 산(322b) 및 골(322b)이 연속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커버시트(320)는 시트후단영역(323)에서 전술한 변형예와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커버시트(320)가 형성하는 내부공간(340)을 적절히 밀폐시키고, 인접한 와이어 사이로 실링재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중단영역(322)에 형성된 주름구조(322a, 323a)는 제3접착층(127)의 결합력을 보조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도 2 및 4 참조). 즉, 내부공간(340)에 실링재(350)가 주입되면 제3접착층(127)은 실링재(350)에 의해 좌우방향에 따른 외력을 받게 되는데, 전후방향의 주름구조(322a)가 이러한 외력을 지지해 제3접착층(127)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는 커넥터(110)와 와이어(114) 간의 결합부위에 커버시트(120)가 부가되고 그 내부공간(140)에 실링재(150)가 주입되어 결합부위의 수밀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분, 이물질 등에 의한 부식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장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0: 커넥터 111: 결합지지부
112: 커넥터홈 113: 단턱부
114: 와이어 120: 커버시트
121: 시트전단영역 122: 시트중단영역
123: 시트후단영역 124: 주입홀
125: 제1접착층 126: 제2접착층
127: 제3접착층 128: 중첩영역
130: 주입슬리브 131: 플랜지
132: 주입로 140: 내부공간
150: 실링재

Claims (6)

  1. 복수의 와이어에 체결된 커넥터;
    방수성이 있는 탄성 재질의 평면 시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 및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감싸도록 체결되는 커버시트; 및
    상기 커버시트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충전되는 실링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시트는,
    상기 커버시트의 전단 영역에 형성되어 저면에 제1접착층을 구비하고, 전후방향의 제1폭 및 두께방향의 제1두께를 가지는 시트전단영역;
    상기 커버시트의 후단 영역에 형성되어 저면에 제2접착층을 구비하고, 전후방향의 제2폭 및 두께방향의 제2두께를 가지되, 상기 제2폭은 상기 제1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두께는 상기 제1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시트후단영역; 및
    상기 시트전단영역과 상기 시트후단영역의 사이에서 상기 커버시트의 중단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시트의 측단에 인접한 저면 일부 구역에 제3접착층을 구비하고,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1폭 및 상기 제2폭보다 큰 폭을 가지고, 두께방향으로 상기 제2두께와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는 시트중단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후단 영역에서 상기 시트전단영역에 대응되는 전후 폭을 가지고 둘레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커넥터홈; 및
    상기 커넥터홈 후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시트전단영역을 지지하는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중단영역 및 상기 시트후단영역은, 각각 주름구조를 구비하되,
    상기 주름구조는, 각각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된 산 및 골이 좌우방향을 따라 교대로 반복해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시트후단영역에서 상기 주름구조는, 좌우로 인접한 상기 와이어 사이에서 접착면을 형성하고,
    상기 시트중단영역에서 상기 주름구조는, 상기 실링재에 의한 좌우방향의 외력을 지지해 상기 제3접착층의 결합력을 보조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시트는, 상기 커넥터홈의 둘레방향에 따른 길이보다 소정 정도 큰 좌우 폭을 가지고 중첩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커넥터 및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감싸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중단영역은, 상기 실링재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주입될 수 있도록 주입슬리브가 삽입 설치되는 주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주입슬리브는, 내부에 주입로가 구비되고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시트중단영역의 상면에 안착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6. 삭제
KR1020210111013A 2021-08-23 2021-08-23 와이어링 하네스 KR102352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013A KR102352707B1 (ko) 2021-08-23 2021-08-23 와이어링 하네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013A KR102352707B1 (ko) 2021-08-23 2021-08-23 와이어링 하네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707B1 true KR102352707B1 (ko) 2022-01-17

Family

ID=80051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013A KR102352707B1 (ko) 2021-08-23 2021-08-23 와이어링 하네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70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0429A (ja) * 1999-12-02 2001-06-12 Fujikura Ltd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圧接ジョイント端子の防水方法
KR101131530B1 (ko) 2009-12-16 2012-04-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커넥터
JP2013134965A (ja) * 2011-12-27 2013-07-0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防水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防水コネクタ
JP2016219217A (ja) * 2015-05-19 2016-12-22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KR101783867B1 (ko) 2015-10-07 2017-10-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JP2021034188A (ja) * 2019-08-21 2021-03-0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ーハーネス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KR20210083513A (ko)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0429A (ja) * 1999-12-02 2001-06-12 Fujikura Ltd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圧接ジョイント端子の防水方法
KR101131530B1 (ko) 2009-12-16 2012-04-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커넥터
JP2013134965A (ja) * 2011-12-27 2013-07-0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防水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防水コネクタ
JP2016219217A (ja) * 2015-05-19 2016-12-22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KR101783867B1 (ko) 2015-10-07 2017-10-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JP2021034188A (ja) * 2019-08-21 2021-03-0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ーハーネス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KR20210083513A (ko)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 및 그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8367B2 (en) Electronic controller
US7762415B2 (en) Waterproof box for a wiring harness connector
US5967829A (en) Waterproof connector
EP3072746B1 (en) Exterior component for a vehicle
KR20140072467A (ko)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JP2006093510A (ja) 携帯型電子装置
US7597579B2 (en) Connector apparatus
US20130061424A1 (en) Waterproof grommet for a cab roof of construction machinery
CN104426104B (zh) 电缆线束和止水结构
KR102352707B1 (ko) 와이어링 하네스
JP6328684B2 (ja) 電動機の防水構造
JP3450970B2 (ja) ワイヤハーネス接続部の防水具
CN110137895A (zh) 索环、电子构件和形成索环的方法
JP5134211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当該端子ボックスの取り付け方法及び当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太陽電池システム
CN111193847B (zh) 机动车辆摄像头壳体及其制造方法
JP6946362B2 (ja)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1024280A (ja) シール部材及びシール部材の製造方法
US10312673B2 (en) Shield conduction path
JP4743725B1 (ja) ライニング体及びそれを用いたライニング構造物
JP6343169B2 (ja)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6498742B1 (ja) 保護部品及び保護方法
JP2010074927A (ja) ハーネス保護材およびその取付方法
JP7055763B2 (ja) 保護部品及び保護方法
JP4232739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止水方法および構造
JP2014204649A (ja) グロメットの止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