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872B1 -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872B1
KR102351872B1 KR1020190148213A KR20190148213A KR102351872B1 KR 102351872 B1 KR102351872 B1 KR 102351872B1 KR 1020190148213 A KR1020190148213 A KR 1020190148213A KR 20190148213 A KR20190148213 A KR 20190148213A KR 102351872 B1 KR102351872 B1 KR 102351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de
composition
weight
air purification
purifica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0784A (ko
Inventor
고경찬
Original Assignee
고경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경찬 filed Critical 고경찬
Priority to KR1020190148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87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0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784A/ko
Priority to KR1020220004192A priority patent/KR20220012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6Ammon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8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에 염화아연(Zinc chloride) 0.3~24중량%, 염화망간(manganese chloride) 0.1~9중량%,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0.1~9중량%, 염화구리(copper chloride) 0.01~3중량%이 함유되어 공기 중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악취를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COMPOSITION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공기 중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악취를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환경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이하 'VOCs'라 함) 및 각종 세균 및 곰팡이에 공기가 오염된 상태이다.
상기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은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이 있으며, 이들은 독성이 아주 심할 뿐만 아니라 아주 극소량이더라도 돌연변이와 암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벤젠은 발암성 물질이며 백혈병 및 임파종을 유발하는 물질로, 톨루엔과 자일렌은 습관적으로 흡입될 경우, 신장과 간에 손상을 줄 뿐만 아니라 뇌기능 장애를 유발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MOBachmann and JE Myers, Soc Sci Med 40, 245, 1995) 요즘 이들 물질에 대한 친환경적 규제는 미국, 일본의 경우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PRTR)"란 제도를 실시하여 자국 내의 환경 오염물질의 배출, 이동, 등록을 법규화 함으로써, 유럽연합에서는 2004년부터 적용된 신화학물질관리제도(REACH system)을 통해 관리되고 있으며, 우리 나라도 관련 법규를 통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관리하고 있으나, 유해물질 방출 농도 평가나 저감 연구에 대한 대처 방안이 아직까지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세균 및 곰팡이 등의 의한 공기 오염은 실생활에 많이 사용되는 의류, 인테리어 제품 등에서 악취를 발생시켜 많은 불쾌감을 발생시킨다.
또한, 최근 지속적으로 언론에 보도된 새집증후군은 벽지, 가구, 바닥재 등과 같은 건축자재로부터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유해물질이 방산되어 실내공기질을 떨어뜨려 어른 뿐만 아니라 신체적으로 저항성이 약한 어린이에게 심각한 해를 주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공기질의 향상이 국민적인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주변생활 환경뿐만 아니라 생필품에 대해서도 쾌적하고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적인 제품을 요구하고 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세균을 통한 악취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으나, 광촉매 반응 및 흡착에 의한 후처리 방법이 제안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소재로는 광촉매소재로서 이산화티타늄, 흡착소재로서는 활성탄, 숯 등이 있다. 이산화티타늄은 현재까지 연구된 광촉매 중에서 제조하기 쉽고 안정하며, 가장 많이 사용된 광촉매이며, 활성탄은 높은 유기물 흡착량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공기를 정화하는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1-0073072호에 이산화티타늄 광촉매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상기 광촉매의 표면을 개질하여 가시광선 하에서 빛의 흡수 및 광활성도가 증가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촉매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1-0072844호에는 카본 섬유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이산화티타늄 광촉매는 유기물 흡착율이 낮으며, 상기 활성탄은 공기정화에 너무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실제로 큰 효과를 보기 어렵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공기 중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고 빠르게 악취 및 악취 발생원인인 제거할 수 있는 조성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안정성이 높으며 높은 공기정화 기능으로 악취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고, 각종 세균의 서식을 억제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벽지, 섬유 제품에 공기정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에 염화아연(Zinc chloride) 0.3~24중량%, 염화망간(manganese chloride) 0.1~9중량%,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0.1~9중량%, 염화구리(copper chloride) 0.01~3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염화아연의 함량을 Z, 염화망간의 함량을 M, 염화칼슘의 함량을 C, 염화구리의 함량을 U라고 할 때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식(1) Z ≥ M+C+U
식(2) M 또는 C≥ U
또한, 상기 조성물은 pH 4.0~8.0이고, 0 내지 80℃에서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은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물에 철염이 0.01~3중량%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가교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에 염화아연(Zinc chloride) 0.3~24중량%, 염화망간(manganese chloride) 0.1~9중량%,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0.1~9중량%, 염화구리(copper chloride) 0.01~3중량%을 첨가시키는 원료 혼합단계; 혼합된 조성물에 촉매, pH조절제, 금속이온 봉쇄제를 더 첨가하는 촉매 혼합단계; 촉매가 혼합된 조성물을 40~80℃에서 90~150분간 반응시키는 반응단계; 반응이 완료된 조성물을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염화아연의 함량을 Z, 염화망간의 함량을 M, 염화칼슘의 함량을 C, 염화구리의 함량을 U라고 할 때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식(1) Z ≥ M+C+U
식(2) M or C≥ U
또한, 상기 조성물은 pH 4.0~8.0이고, 0 내지 80℃에서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은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료 혼합단계에서 물에 철염이 0.01~3중량%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은 무기물로 형성된 조성물로 조성물의 안정성이 높아 침전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공기정화 기능 및 소취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은 악취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고, 각종 세균의 서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벽지, 섬유 제품에 사용시 제품에 공기정화성 및 소취성을 부여할 수 있는 조성물로 벽지, 섬유 제품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물에 염화아연(Zinc chloride), 염화망간(manganese chloride),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염화구리(copper chloride)를 포함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로 도 1에서와 같이 원료 혼합단계, 촉매 혼합단계, 반응단계, 냉각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은 물에 염화아연 0.3~24중량%, 염화망간 0.1~9중량%, 염화칼슘 0.1~9중량%, 염화구리 0.01~3중량%가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원료 혼합단계에서 물에 함량이 조절된 염화아연(Zinc chloride), 염화망간(manganese chloride),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염화구리(copper chloride)을 첨가한다.
상기 염화망간은 2가의 염화망가니즈(Ⅱ), 3가의 염화망가니즈(Ⅲ), 4가의 염화망가니즈(Ⅳ)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2가의 염화망가니즈(Ⅱ)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염화구리는 1가의 염화구리(Ⅰ), 2가의 염화구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2가의 염화구리(Ⅱ)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염화아연, 염화망간, 염화칼슘, 염화구리는 물의 용해성을 높이기 위해 수화물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염화아연, 염화망간, 염화칼슘, 염화구리는 각각 소취성과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분해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 특정 소취 물질 및 특정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일예로 염화아연은 포름알데히드,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의 제거에 효과적이고, 염화망간은 포름알데히드, 트리메틸아민의 제거에 효과적이며, 염화칼슘은 초산의 제거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은 물에 함유되는 화합물의 조성에 따라 액안정성, 공기정화 성능 및 소취기능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상기 염화아연의 함량을 Z, 염화망간의 함량을 M, 염화칼슘의 함량을 C, 염화구리의 함량을 U라고 할 때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식(1) Z ≥ M+C+U
식(2) M 또는 C≥ U
상기 염화아연(Z)은 다양한 소취 물질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에 뛰어난 화합물이며, 물에 함유되어 다른 화합물의 용해도를 높이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식 (1)과 같이 염화아연의 함량이 조성물에 함유되는 화합물의 50%이상인 경우, 즉, 염화아연의 함량이 염화망간, 염화칼슘, 염화구리의 함량을 모두 더한 함량보다 같거나 그 이상일 경우 액안정성이 향상되고, 소취성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 효과가 향상된다.
상기 염화구리(U)는 2중량%이상으로 함유된 경우에는 조성물의 색상이 붉은 색상을 띄는 것으로 염화구리의 함량을 2중량%미만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염화망간(M), 염화칼슘(C)은 염화아연과 같이 소취 물질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에 효율적이며, 포름알데히드, 트리메틸아민, 초산 등과 같이 특정 물질의 제거에도 효율적으로 염화구리 보다 많은 함량이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은 물에 염화아연 0.3~24중량%, 염화망간 0.1~9중량%, 염화칼슘 0.1~9중량%, 염화구리 0.01~3중량%가 함유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에 염화아연 2~15중량%, 염화망간 1~6중량%, 염화칼슘 1~6중량%, 염화구리 0.5~2중량% 함유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염화아연 8~12중량%, 염화망간 3~5중량%, 염화칼슘 3~5중량%, 염화구리 1.0중량%이하로 함유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의 소취성 및 공기정화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물에 철염이 더 함유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철염은 물에 0.01~3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인 염화 물질들은 Multi metal sol의 활성성분인 Mcl2(M은 Mn, Zn, Cu 등 전이금속)로 산화작용르 통해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및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분해하고, 유해균에 직접 작용하여 세포막을 분해시키고 유해균의 전자 전달계를 방해하여 제균하는 메카니즘을 갖는다.
즉, 상기 Mcl2는 유해균의 세포막을 녹여서 세포내의 효소와 작용하여 영양물질의 대사기능 즉, 영양 물질 유입 및 배출을 차단하고, 유해균의 호흡기능을 막아 세포내 APT(adenosine triphosphate, 아데노신 3인산)생성을 억제시켜 생육정지 및 재생능력을 파괴하여 유해균을 사멸시킨다.
또한, Mcl2는 강한 반응성 물질로써 염기성 악취성분 및 중성취기 성분과 산화·환원·중화등의 화학반응을 통해 악취성분 및 중성취기 성분을 분해 또는 무취성 화합물로 변화시킴으로서 유해 가스 성분을 근원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암모니아 분해 메카니즘]
2NH3+H2+Mcl2 → 2NH4cl(염화암모늄)+M
Mcl2는 전기 양성도가 매우 큰 금속으로 공기중의 물 분자로부터 수소(H)를 발생시키는 환원반응을 일으키며, 암모니아(2NH3)기체와 반응하여 무취성분인 암모늄염인 Ammonium Chloride(NH4cl)를 형성하여 악취를 제거한다.
[포름알데히드 분해 메카니즘]
HCHO(포름알데히드)+Mcl2 → HCO3(Bicarbonate)+M+H2
Mcl2는 공기중의 물 분자로부터 수소(H)를 발생시키는 환원반응을 일으키며, 이때 중성취기인 포름알데히드 기체와 반응하여 무해성분인 Bicarbonate(중탄산염)로 전환되어 HCHO(포름알데히드)를 분해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원료 혼합단계에서 반응단계에서의 반응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완충작용제로 글리신(Glycine)을 더 첨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글리신을 첨가할 경우에는 물 100중량부에 0.5~2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섬유 제품용으로 제조할 경우에는 상기 원료 혼합단계에서 가교제를 첨가하여 섬유 제품과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교제는 실란계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Glycidoxy propyl trimethoxy silan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가교제는 물 100중량부에 10~20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촉매 혼합단계는 원료 물질이 혼합된 조성물에 촉매, pH조절제, 금속이온 봉쇄제를 더 첨가하는 단계이다.
상기 촉매 혼합단계에서 촉매로 이미다졸(imidazole), pH조절제로 포름산(Formic Acid), 금속이온 봉쇄제로 EDTA-2Na dihydrate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촉매, pH조절제, 금속이온 봉쇄제는 각각 물 100중량부에 0.3~2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반응단계는 원료 물질과 촉매 등이 혼합된 조성물을 40~80℃에서 90~150분간 반응시키는 단계로 반응 중에 계속적으로 교반하여 조성물이 안정적으로 반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냉각단계는 반응이 완료된 조성물을 상온에 방치하거나, 저온 하에서 냉각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냉각단계 후 수산화나트륨을 투하하고 생성되는 침전물 양을 통해 검수하는 검수단계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은 pH가 4.0~8.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의 pH가 4.0미만이거나 8.0을 초과할 경우 침전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은 물에 희석하여 화장실, 세면대 등에 분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벽지 또는 외부에 부착되는 시트지, 광고지에 코팅, 침지 등의 방법으로 공기정화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애완동물의 배변 패드, 배변 모래 등 소취성 및 공기정화기능이 필요한 모든 제품에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은 침지, 코팅, 분사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품에 공기정화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 일예로 종이로 제조되는 시트지, 섬유 제품에 사용할 경우에는 물에 1~5중량%로 희석시키고 픽업률 50~100% 조건으로 침지 시킨 후 고온에서 열처리하여 제품에 적용시킬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조성물을 바인더와 혼합 후에 종이로 제조되는 시트지, 섬유 제품 코팅하여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측정방법
모든 평가는 평가 조성물을 물에 첨가하여 3ows%의 희석액으로 제조하고 폴리에스테르 섬유 100%로 제조된 평량 150gsm의 부직포를 상기 희석액에 침지한 후, 180℃에서 100초간 열 건조한 시트지를 시료로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대조군이 필요한 경우 아무런 아무런 처리가 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100%의 평량 150gsm의 부직포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온도 20 ℃, 습도 65 % R.H.의 시험환경에서 평가하였다.
1. 소취성 평가
* SEK mark마크 섬유 제품 인증 기준에서 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함.
2.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평가
(1) 포름알데히드 제거 평가
* 가스검지관법을 통해 측정한 것으로 1000 mL의 용기에 포름알데히드(HCHO) 20 ㎍/mL를 주입하고 측정함
- 시험환경 : 온도 20 ℃, 습도 65 % R.H.
- 제거율(%)=[(Blank가스농도-Sample가스농도)/Blank가스농도]X100
(2) 기타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평가
* GC(gas chromatography) 법을 통해 측정한 것으로 500ml 삼각 플라스크에 10㎝ X 5 ㎝의 시료를 넣고 초기 농도를 조정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넣고 밀봉한 뒤, 2시간 후의 Syringe에서 샘플링 후, GC측정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함
3. 항균성 평가
* 항균성 평가는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ATCC 6538), 폐렴균 Klebsiella pneumoniae(ATCC 4352)을 6시간, 12시간, 18시간 배양후 정균감소율을 측정하여 평가함
▣ 각 성분별 특성 평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염화아연, 염화망간, 염화칼슘, 염화구리를 각각 표 1의 함량에 따라 물에 함유시킨 후 부직포를 침지하여 평가 시료를 제조하였다.
각 시료를 이용하여 포름알데히드(HCHO), 암모니아(NH3), 초산(CH3COOH), 트리메틸아민(C3H9N)의 제거율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포름알데히드(HCHO)는 상기 2. 포름알데히드 제거 평가로 측정하였으며, 암모니아(NH3), 초산(CH3COOH), 트리메틸아민(C3H9N)은 상기 1. 소취성 평가로 측정하였다.
함량(중량%) 0.5 1 2 4 6 8 10 12 20 30
염화아연 포름알데히드
제거율(%)
12 32 48 59 72 81 81 82 82 85
암모니아
제거율(%)
8 12 28 57 73 76 84 86 85 87
초산
제거율(%)
3 9 22 27 32 35 42 44 47 49
트리메틸아민
제거율(%)
11 21 38 55 62 77 83 82 89 90
염화망간 포름알데히드
제거율(%)
35 48 62 79 85 84 85 86 90 89
암모니아
제거율(%)
32 48 75 71 83 85 84 84 86 90
초산
제거율(%)
5 12 21 23 23 23 24 25 27 31
트리메틸아민
제거율(%)
45 58 67 79 83 83 85 88 91 92
염화칼슘 포름알데히드
제거율(%)
2 9 17 23 24 27 29 29 30 32
암모니아
제거율(%)
9 11 28 38 38 42 41 41 43 44
초산
제거율(%)
50 61 73 82 81 83 83 82 88 87
트리메틸아민
제거율(%)
8 11 23 33 29 35 37 36 41 43
염화구리 포름알데히드
제거율(%)
8 21 32 48 55 57 57 58 60 62
암모니아
제거율(%)
55 72 81 85 88 90 91 92 95 95
초산
제거율(%)
39 54 66 68 71 72 74 73 77 75
트리메틸아민
제거율(%)
49 65 71 71 72 74 74 75 79 82
표 1에서와 같이 염화아연이 염화망간, 염화칼슘, 염화구리 보다 제거율이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염화아연은 포름알데히드,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의 제거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으며, 6중량%이상 함유시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4~10 또는 12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염화망간은 포름알데히드, 트리메틸아민의 제거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으며, 4중량%이상 함유시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2~6 또는 8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염화칼슘은 초산의 제거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으며, 4중량%이상 함유시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2~6 또는 8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염화구리은 암모니아, 초산, 트리메틸아민의 제거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으며, 2중량%이상 함유시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1~4 또는 6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염화구리는 2중량%이상 함유시 조성물의 색상이 연한 붉은 색을 띄게 되므로 함유량이 조절되어야할 것이다.
▣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제조
실시예 1 내지 8
원료 혼합단계에서 물에 염화아연, 염화망간, 염화칼슘, 염화구리를 실시예에 따라 표 2에서와 같이 첨가하고 가교제로 Glycidoxy propyl trimethoxy silane을 물 100중량부에 12중량부를 첨가하였다.
상기 염화망간은 2가의 염화망가니즈(Ⅱ)을 사용하였으며, 염화구리는 2가의 염화구리(Ⅱ)를 사용하였다
촉매 혼합단계에서 원료 물질이 혼합된 조성물에 촉매로 이미다졸, pH조절제로 포름산, 금속이온 봉쇄제로 EDTA-2Na dihydrate를 더 첨가하였으며, 각각 물 100중량부에 0.8중량부를 첨가하였다.
반응단계는 60℃에서 120분간 교반하면서 반응시켰으며, 반응이 완료되고 상온에서 방치하는 냉각단계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의 pH는 표 2와 같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염화아연(중량%) 3 4 8 8 8 12 24 27
염화망간(중량%) 1 4 3 6 3 5 10 12
염화칼슘(중량%) 1 4 3 3 6 5 10 12
염화구리(중량%) 0.3 2 1 1 1 1 3 5
조성물 pH 7.1 7.3 7.1 7.3 7.3 7.4 7.5 7.7
▣ 조성물 안정성 평가실험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8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설정된 온도의 항온기에서 7일간 보관 후 육안 관찰하여 침전물의 상태 및 조성물의 색상를 확인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X: 침전물 없음, ○: 침전물 발생)
온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1 X X X X X X X
30 X X X X X X X X
40 X X X X X X X X
50 X X X X X X X
60 X X X X X X X
70 X X X X X
80 X X X
90 X X
조성물
색상
투명 매우 연한 붉은 색 투명 투명 투명 투명 연한
붉은색
연한
붉은색
표 3에서와 같이 실시예 1, 3, 6의 경우 0 내지 80℃의 온도 범위에서는 침전물이 발생되지 않았으나, 실시예 2, 4, 5, 7의 경우 70℃ 또는 80℃에서 침전물이 발생되었으며, 실시예 8의 경우 0℃ 미만이거나, 50℃이상에서 침전물이 발생되었다.
실시예 7과 같이 조성물에 함유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높아지면 침전물이 발생될 수 있으나, 실시예 4,5와 같이 조성물에 함유되는 화합물의 전체 함량 중 염화망간, 염화칼슘의 함량이 높을 경우 침전물이 낮은 온도에서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 염화아연의 함량이 조성물에 함유되는 화합물의 50%이상인 경우, 즉, 염화아연의 함량이 염화망간, 염화칼슘, 염화구리의 함량을 모두 더한 함량보다 같거나 그 이상일 경우 액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7, 8에서와 같이 염화구리의 함량이 2중량%이상으로 함유된 경우에는 조성물의 색상이 붉은 색상을 띄는 것으로 염화구리는 제조되는 제품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염화구리의 함량을 2중량%미만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소취 평가실험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중 액안정성이 우수한 실시예 1, 2, 3, 6, 7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에 대한 소취성을 평가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초기(ppm) 2시간후(ppm) 감소율(%)
황화수소 gas 실시예1 4.0 ≤0.7 83
실시예2 4.0 ≤0.6 85
실시예3 4.0 ≤0.06 99
실시예6 4.0 ≤0.05 99
실시예7 4.0 ≤0.05 99
대조군 4.0 3.8 5
피리딘 gas 실시예1 12 ≤2.0 84
실시예2 12 ≤1.3 89
실시예3 12 ≤0.7 94
실시예6 12 ≤0.2 98
실시예7 12 ≤0.1 99
대조군 12 6.8 43
암모니아 gas 실시예1 100 15.9 84
실시예2 100 15.7 84
실시예3 100 3.8 96
실시예6 100 0.8 99
실시예7 100 1.7 98
대조군 100 79 21
초산 gas 실시예1 30 7.6 75
실시예2 30 4.0 87
실시예3 30 2.5 92
실시예6 30 1.9 94
실시예7 30 1.7 94
대조군 30 20 33
트리메틸아민 gas 실시예1 28 4.2 85
실시예2 28 2.1 92
실시예3 28 1.1 96
실시예6 28 0.2 99
실시예7 28 0.2 99
대조군 28 24 15
이소길초산 gas 실시예1 2시간 후 95% 감소
실시예2 2시간 후 94% 감소
실시예3 2시간 후 99% 감소
실시예6 2시간 후 99% 감소
실시예7 2시간 후 99% 감소
인돌 gas 실시예1 2시간 후 90% 감소
실시예2 2시간 후 90% 감소
실시예3 2시간 후 95% 감소
실시예6 2시간 후 99% 감소
실시예7 2시간 후 99% 감소
Nonenal gas 실시예1 2시간 후 86% 감소
실시예2 2시간 후 88% 감소
실시예3 2시간 후 94% 감소
실시예6 2시간 후 95% 감소
실시예7 2시간 후 95% 감소
표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은 소취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는 것으로 실시예 1,2의 경우 초산 gas, 트리메틸아민 gas 이외의 소취 물질에 대해서는 소취기능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경제성을 위해 염화아연의 함량이 조성물에 함유되는 화합물의 50%이상 함유되며, 염화아연 2~4중량%, 염화망간 1~2중량%, 염화칼슘 1~2중량%, 염화구리 0.5~1중량%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 3, 6, 7은 소취기능에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염화아연 6~15중량%, 염화망간 2~6중량%, 염화칼슘 2~6중량%, 염화구리 1~2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은 물에 염화아연 2~15중량%, 염화망간 1~6중량%, 염화칼슘 1~6중량%, 염화구리 0.5~2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시예 3,6과 같이 염화아연 8~12중량%, 염화망간 3~5중량%, 염화칼슘 3~5중량%, 염화구리 1.0중량%이하로 함유되는 것이다.
▣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해평가 실험
1. 포름알데히드 제거율 측정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중 액안정성이 우수한 실시예 1, 2, 3, 6, 7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에 대한 포름알데히드 제거율 측정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시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6 실시예7
30분 86% 87% 95% 이상 95% 이상 95% 이상
60분 91% 92% 95% 이상 95% 이상 95% 이상
90분 95% 이상 95% 이상 95% 이상 95% 이상 95% 이상
120분 95% 이상 95% 이상 95% 이상 95% 이상 95% 이상
표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은 포름알데히드 제거율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는 것으로 실시예 1,2의 경우 90분이후부터 포름알데히드 제거율에서 95%이상으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경제성을 위해 염화아연의 함량이 조성물에 함유되는 화합물의 50%이상 함유되며, 염화아연 2~4중량%, 염화망간 1~2중량%, 염화칼슘 1~2중량%, 염화구리 0.5~1중량%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 3, 6, 7은 포름알데히드 제거율에서 30분이후 부터 95%이상으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에 함유되는 화합물은 염화아연 약 6~15중량%, 염화망간 2~6중량%, 염화칼슘 2~6중량%, 염화구리 1~2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시예 3,6과 같이 염화아연 8~12중량%, 염화망간 3~5중량%, 염화칼슘 3~5중량%, 염화구리 1.0중량%이하로 함유되는 것이다.
2. 기타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율 측정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중 액안정성이 우수한 실시예 1, 2, 3, 6, 7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에 대한 포름알데히드 이외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한 제거율 측정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
물질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6(%) 실시예7(%)
2-Butene 79.2 78.2 84.3 86.7 87.1
Acetonitrile 77.2 80.2 85.2 87.5 87.9
2-Methyl-2-propanol 98.2 100 100 100 100
Butanal 100 100 100 100 100
2-Butanone 85.2 84.9 91.1 93.2 92.2
Ethyl Acetate 92.3 96.2 100 100 100
Trichloromethane 98.3 99.2 100 100 100
Tetrahydro-Furan 68.2 70.2 75.5 79.2 80.3
2-Cyclopropyl-propane 100 100 100 100 100
Benzene 99.2 100 100 100 100
1,3,5-Trioxane 9.2 10.6 12.5 14.2 14.1
Methyl-Urea 100 100 100 100 100
N,N-Dimethyl-Formamide 64.5 68.5 71.2 75.8 75.2
2,4-Dimethyl-Hexane 97.5 100 100 100 100
N,N-Dimethyl-Acetamide 100 100 100 100 100
o-Xylene 100 100 100 100 100
Propylene Carbonate 97.2 100 100 100 100
2-Ethyl-1-hexanol 42.5 44.6 48.5 52.2 53.2
표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은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율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는 것으로 실시예 1,2의 경우 일부 휘발성 유기화합물에서 제거율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율이 유사한 것으로 경제성을 위해 염화아연의 함량이 조성물에 함유되는 화합물의 50%이상 함유되며, 염화아연 2~4중량%, 염화망간 1~2중량%, 염화칼슘 1~2중량%, 염화구리 0.5~1중량%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 3, 6, 7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율에서 큰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성물에 염화아연 약 6~15중량%, 염화망간 2~6중량%, 염화칼슘 2~6중량%, 염화구리 1~2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시예 3,6과 같이 염화아연 8~12중량%, 염화망간 3~5중량%, 염화칼슘 3~5중량%, 염화구리 1.0중량%이하로 함유되는 것이다.
◎ 항균 평가실험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중 액안정성이 우수한 실시예 1, 2, 3, 6, 7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에 대한 항균성을 평가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균주 배양시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6 실시예7
황색포도상구균 6시간 후 78.6% 82.5% 75.5% 88.7% 93.2%
12시간 후 88.2% 89.2% 95.6% 99.9% 99.9%
18시간 후 99.9% 99.9% 99.9% 99.9% 99.9%
폐렴균 6시간 후 69.2% 64.5% 88.2% 91.6% 92.7%
12시간 후 82.6% 83.2% 99.9% 99.9% 99.9%
18시간 후 99.9% 99.9% 99.9% 99.9% 99.9%
표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은 항균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는 것으로 실시예 1,2의 경우 항균성이 유사한 것으로 경제성을 위해 염화아연의 함량이 조성물에 함유되는 화합물의 50%이상 함유되며, 염화아연 2~4중량%, 염화망간 1~2중량%, 염화칼슘 1~2중량%, 염화구리 0.5~1중량%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 3, 6, 7은 항균성에서 큰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성물에 염화아연 약 6~15중량%, 염화망간 2~6중량%, 염화칼슘 2~6중량%, 염화구리 1~2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시예 3,6과 같이 염화아연 8~12중량%, 염화망간 3~5중량%, 염화칼슘 3~5중량%, 염화구리 1.0중량%이하로 함유되는 것이다.

Claims (9)

  1. 물에 염화아연(Zinc chloride) 0.3~24중량%, 염화망간(manganese chloride) 0.1~9중량%,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0.1~9중량%, 염화구리(copper chloride) 0.01~3중량%가 함유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로,
    상기 염화아연의 함량을 Z, 염화망간의 함량을 M, 염화칼슘의 함량을 C, 염화구리의 함량을 U라고 할 때 하기의 식을 만족하고, 상기 조성물은 pH 4.0~8.0이고, 0 내지 80℃에서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은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식(1) Z ≥ M+C+U
    식(2) M 또는 C≥ U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에 철염이 0.01~3중량%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가교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6. 물에 염화아연(Zinc chloride) 0.3~24중량%, 염화망간(manganese chloride) 0.1~9중량%,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0.1~9중량%, 염화구리(copper chloride) 0.01~3중량%을 첨가시키는 원료 혼합단계;
    혼합된 조성물에 촉매, pH조절제, 금속이온 봉쇄제를 더 첨가하는 촉매 혼합단계;
    촉매가 혼합된 조성물을 40~80℃에서 90~150분간 반응시키는 반응단계;
    반응이 완료된 조성물을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아연의 함량을 Z, 염화망간의 함량을 M, 염화칼슘의 함량을 C, 염화구리의 함량을 U라고 할 때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제조방법.
    식(1) Z ≥ M+C+U
    식(2) M or C≥ U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pH 4.0~8.0이고, 0 내지 80℃에서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은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혼합단계에서 물에 철염이 0.01~3중량%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90148213A 2019-11-19 2019-11-19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KR102351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213A KR102351872B1 (ko) 2019-11-19 2019-11-19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KR1020220004192A KR20220012374A (ko) 2019-11-19 2022-01-11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213A KR102351872B1 (ko) 2019-11-19 2019-11-19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192A Division KR20220012374A (ko) 2019-11-19 2022-01-11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784A KR20210060784A (ko) 2021-05-27
KR102351872B1 true KR102351872B1 (ko) 2022-01-18

Family

ID=761355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213A KR102351872B1 (ko) 2019-11-19 2019-11-19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KR1020220004192A KR20220012374A (ko) 2019-11-19 2022-01-11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192A KR20220012374A (ko) 2019-11-19 2022-01-11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518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0681A (ja) 2000-09-11 2002-03-19 Showa Denko Kk 芳香および/または消臭用ゲル状組成物
JP2005192613A (ja) * 2003-12-26 2005-07-21 Total Wellness Kenkyusho:Kk 消臭剤
KR100587667B1 (ko) 2000-01-21 200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유해가스 정화제
KR101402637B1 (ko) 2006-03-22 2014-06-03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소취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667B1 (ko) 2000-01-21 200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유해가스 정화제
JP2002080681A (ja) 2000-09-11 2002-03-19 Showa Denko Kk 芳香および/または消臭用ゲル状組成物
JP2005192613A (ja) * 2003-12-26 2005-07-21 Total Wellness Kenkyusho:Kk 消臭剤
KR101402637B1 (ko) 2006-03-22 2014-06-03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소취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374A (ko) 2022-02-03
KR20210060784A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4943B1 (ko) 항균 탈취성 상온 촉매 코팅제 및 그의 제조방법
JP5507787B2 (ja) 金属組成物を含有する水性組成物、および、該水性組成物からなる消臭剤、抗菌剤および防カビ剤
KR102397381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KR101892290B1 (ko) 부직포 및 활성탄을 이용한 항균필터의 제조 방법
KR100663790B1 (ko) 건축 자재용의 항균 방오 도료 및 이에 따라 도장된 건축자재
KR102351872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KR102646393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시트지
KR102407249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시트지
KR100767336B1 (ko) 키틴/키토산계 기능성 유무기 복합물질 및 그 제조방법, 및그러한 복합물질의 용도
KR102561272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US20060024196A1 (en) Antimicrobial and deodorizing product
KR20240060069A (ko) 금속염 수용액 조성물
KR102534064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벽지
JPH09157549A (ja) 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
KR20240060070A (ko) 금속염 수용액 조성물
CN106689201B (zh) 纳米银抗菌剂及其制备方法
KR100638562B1 (ko) 탈취, 항균 및 방곰팡이성을 갖는 광 및 무광촉매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벽지
KR101036931B1 (ko) 고분자 소재 유래 냄새 제거용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진 탈취제
JP5082034B2 (ja) 複合機能光触媒分散液及び多孔質複合機能光触媒
EP1904594A1 (en) Suspensions of titanium dioxide and method for obtaining them
KR20050010820A (ko) 복합 세라믹스 재료의 제조방법
CN101330825A (zh) 含有金属组合物的水性组合物、以及含有该水性组合物的除臭剂、抗菌剂及防霉剂
KR102438024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33232A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블라인드
KR101347724B1 (ko) 벽 마감재용 다기능성 필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