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024B1 -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024B1
KR102438024B1 KR1020200024314A KR20200024314A KR102438024B1 KR 102438024 B1 KR102438024 B1 KR 102438024B1 KR 1020200024314 A KR1020200024314 A KR 1020200024314A KR 20200024314 A KR20200024314 A KR 20200024314A KR 102438024 B1 KR102438024 B1 KR 102438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dust
weight
air purification
purification functio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3233A (ko
Inventor
고경찬
박은호
Original Assignee
고경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경찬 filed Critical 고경찬
Priority to KR1020200024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0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33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톱밥에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염화구리(copper chloride), 철염(iron salt)이 함유된 정화 조성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 및 그의 제조방법{SAWDUST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축사깔개용 톱밥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공기 중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악취를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축사깔개용 톱밥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톱밥은 벌목지, 제재소, 목재가공공장에서 다량 생산되는 목재가공부산물로 축사용 깔개, 퇴비용, 가축사료용, 연료용, 건축재재용, 버섯재배용 등 다양한 산업적 용도로 가공된다.
축사용 깔개로는 톱밥, 왕겨, 수피, 볏짚 등이 활용되어 왔다. 이를 통해서 수분과 탄질비(炭質比)를 조절하고, 산소를 알맞게 공급하여 호기성(好氣性) 발효 처리를 하면 유기물이 분해되어 악취와 병원균이 없어지고 부피와 무게가 줄어 취급하기 좋은 유기질비료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톱밥을 축사용 깔개로 사용할 경우에는 분뇨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심한 악취 및 유해가스가 발생되어 축사내 바이러스성 또는 세균성 전염병의 문제, 생육 저하 문제, 폐사 문제, 환경 악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0990호에서는 소독제의 방출 속도를 지연시키는 등의 조절을 통하여, 축사용 깔개로 사용하는 소독제 함유 톱밥의 소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소독제 함유 축사깔개용 톱밥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나, 톱밥의 소독제는 일시적인 효과로 장시간 효과를 가지지 못하고 심한 악취를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82274호에서는 유용 미생물의 혼합물을 담체화하여 제조한 깔짚재 및 상기 깔짚재에 함유된 호기성 미생물의 증식을 위해 통기를 위한 덕트 골을 포함하여, 상기 덕트 골을 통해 깔집재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깔짚재에 함유된 유용 미생물의 증식이 활성하여 축산 분뇨가 발효되면서 자연 분해되어 별도의 축분 처리 시설이 불필요하며, 축산 분뇨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발효돈사의 바닥 구조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발명은 축사의 바닥공사가 필요한 발명으로 기존의 축사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무해하고 유해가스를 분해하여 공기정화기능을 가지면서, 악취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고, 각종 세균의 서식을 억제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톱밥에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염화구리(copper chloride), 철염(iron salt)이 함유된 정화 조성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화 조성물은 물에 염화칼슘 1~9중량%, 염화구리 0.1~9중량%, 철염 0.1~3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화 조성물은 pH 6.0~8.0이고, 0 내지 80℃에서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은 액안정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에 염화칼슘 1~9중량%, 염화구리 0.1~9중량%, 철염 0.1~3중량%가 함유되는 정화 조성물 제조공정; 상기 정화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여 희석액을 제조하는 희석공정; 상기 희석액과 톱밥을 혼합하는 혼합공정; 상기 톱밥을 건조하는 건조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희석공정은 정화 조성물을 물을 중량비 5:95~40:60으로 희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혼합공정은 희석액과 톱밥을 30:70~60:40으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건조공정은 톱밥의 수분량이 7~13중량%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은 인간 또는 동물에 무해한 무기물로 형성된 조성물이 함유되어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유해가스의 분해 및 악취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고, 각종 세균의 서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톱밥에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염화구리(copper chloride), 철염(iron salt)이 함유된 정화 조성물이 포함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톱밥은 벌목이나 제재소 등에서 절단 및 가공시 발생하는 톱밥은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이물질이 제거된 톱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은 도 1에서와 같이 정화 조성물 제조공정, 희석공정, 혼합공정, 건조공정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상기 정화 조성물 제조공정은 물에 염화칼슘 1~9중량%, 염화구리 0.1~9중량%, 철염 0.1~3중량%가 함유된 정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도 2에서와 같이 원료 혼합단계, 촉매 혼합단계, 반응단계, 냉각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정화 조성물은 물에 염화칼슘 1~9중량%, 염화구리 0.1~9중량%, 철염 0.1~3중량%가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원료 혼합단계에서 물에 함량이 조절된 염화칼슘, 염화구리, 철염을 첨가한다.
상기 정화 조성물에 함유되는 상기 염화칼슘, 염화구리, 철염은 각각 소취성과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분해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 특정 소취 물질 및 특정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능력이 우수하다.
상기 염화구리는 1가의 염화구리(Ⅰ), 2가의 염화구리(Ⅱ)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2가의 염화구리(Ⅱ)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염화칼슘, 염화구리, 철염는 물의 용해성을 높이기 위해 수화물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정화 조성물의 상기 염화칼슘, 염화구리, 철염은 상기 함량 범위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공기정화 성능 및 소취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함량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0℃ 이하의 저온 또는 40~80℃의 고온에서 조성물에 침전물이 발생되어 공기정화성능 및 소취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정화 조성물에 함유되는 염화 물질들은 Multi metal sol의 활성성분인 Mcl2(M은 Mn, Zn, Cu 등 전이금속)로 산화작용르 통해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및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분해하고, 유해균에 직접 작용하여 세포막을 분해시키고 유해균의 전자 전달계를 방해하여 제균하는 메카니즘을 갖는다.
즉, 상기 Mcl2는 유해균의 세포막을 녹여서 세포내의 효소와 작용하여 영양물질의 대사기능 즉, 영양 물질 유입 및 배출을 차단하고, 유해균의 호흡기능을 막아 세포내 APT(adenosine triphosphate, 아데노신 3인산)생성을 억제시켜 생육정지 및 재생능력을 파괴하여 유해균을 사멸시킨다.
또한, Mcl2는 강한 반응성 물질로써 염기성 악취성분 및 중성취기 성분과 산화·환원·중화등의 화학반응을 통해 악취성분 및 중성취기 성분을 분해 또는 무취성 화합물로 변화시킴으로서 유해 가스 성분을 근원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암모니아 분해 메카니즘]
2NH3+H2+Mcl2 → 2NH4cl(염화암모늄)+M
Mcl2는 전기 양성도가 매우 큰 금속으로 공기중의 물 분자로부터 수소(H)를 발생시키는 환원반응을 일으키며, 암모니아(2NH3)기체와 반응하여 무취성분인 암모늄염인 Ammonium Chloride(NH4cl)를 형성하여 악취를 제거한다.
[포름알데히드 분해 메카니즘]
HCHO(포름알데히드)+Mcl2 → HCO3(Bicarbonate)+M+H2
Mcl2는 공기중의 물 분자로부터 수소(H)를 발생시키는 환원반응을 일으키며, 이때 중성취기인 포름알데히드 기체와 반응하여 무해성분인 Bicarbonate(중탄산염)로 전환되어 HCHO(포름알데히드)를 분해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원료 혼합단계에서 반응단계에서의 반응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완충작용제로 글리신(Glycine)을 더 첨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글리신을 첨가할 경우에는 물 100중량부에 0.5~2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촉매 혼합단계는 원료 물질이 혼합된 조성물에 촉매, pH조절제, 금속이온 봉쇄제를 더 첨가하는 단계이다.
상기 촉매 혼합단계에서 촉매로 이미다졸(imidazole), pH조절제로 포름산(Formic Acid), 금속이온 봉쇄제로 EDTA-2Na dihydrate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촉매, pH조절제, 금속이온 봉쇄제는 각각 물 100중량부에 0.3~2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반응단계는 원료 물질과 촉매 등이 혼합된 조성물을 40~80℃에서 90~150분간 반응시키는 단계로 반응 중에 계속적으로 교반하여 조성물이 안정적으로 반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냉각단계는 반응이 완료된 조성물을 상온에 방치하거나, 저온 하에서 냉각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냉각단계 후 수산화나트륨을 투하하고 생성되는 침전물 양을 통해 검수하는 검수단계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정화 조성물은 pH가 4.0~8.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정화 조성물의 pH가 4.0미만이거나 8.0을 초과할 경우 침전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정화 조성물에 침전이 발생될 경우 상기 혼합단계에서 균질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공기 정화성능, 소취성, 항균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정화 조성물 제조 및 보관 시에 침전이 발생되지 않도록 정화 조성물을 제조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희석공정은 상기 정화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여 희석액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상기 정화 조성물과 물을 중량비 5:95~40:60으로 희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혼합공정은 희석액과 톱밥을 30:70~60:40으로 혼합하는 공정으로 희석액이 톱밥에 균일하게 흡수되도록 톱밥에 희석액을 분사하거나, 희석액에 톱밥을 침지시킬 수 있다.
상기 희석공정 및 혼합공정은 톱밥에 정화 조성물의 염화칼슘, 염화구리, 철염의 함량을 조절하는 공정으로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히 조절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건조공정은 상기 톱밥을 건조하여 정화 조성물을 톱밥에 흡착시키는 공정으로 자연 건조를 통해 톱밥을 건조할 수 있으나, 빠른 공정을 위해 60~150℃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건조공정은 톱밥의 수분량이 7~13중량%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톱밥의 수분량이 7중량%미만이면 톱밥이 쉽게 부서질수있으며, 수분량이 13중량%를 초과하면 톱밥이 눅눅하여 보관상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은 정화 조성물의 공기정화기능, 소취기능, 항균기능으로 축사용 깔개로 사용될 수 있으며, 관상용 화분의 깔개, 애완 동물의 배변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측정방법
모든 평가는 제조된 톱밥을 시료로 제조하여 평가하였으며, 대조군이 필요한 경우 아무런 처리가 되지 않은 톱밥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온도 20 ℃, 습도 65 % R.H.의 시험환경에서 평가하였다.
1. 소취성 평가
* SEK mark마크 섬유 제품 인증 기준에서 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함
2.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평가
(1) 포름알데히드 제거 평가
* 가스검지관법을 통해 측정한 것으로 1000 mL의 용기에 포름알데히드(HCHO) 20 ㎍/mL를 주입하고 측정함
- 시험환경 : 온도 20 ℃, 습도 65 % R.H.
- 제거율(%)=[(Blank가스농도-Sample가스농도)/Blank가스농도]X100
(2) 기타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평가
* GC(gas chromatography) 법을 통해 측정한 것으로 500ml 삼각 플라스크에 10㎝ X 5 ㎝의 시료를 넣고 초기 농도를 조정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넣고 밀봉한 뒤, 2시간 후의 Syringe에서 샘플링 후, GC측정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함
3. 항균성 평가
* 항균성 평가는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ATCC 6538), 폐렴균 Klebsiella pneumoniae(ATCC 4352)을 6시간, 12시간, 18시간 배양후 정균감소율을 측정하여 평가함
◎ 정화 조성물 제조예 1 내지 3
원료 혼합단계에서 물에 염화칼슘 이수화물, 2가의 염화구리 이수화물, 철염을 따라 표 1에서와 같이 첨가하였다.
촉매 혼합단계에서 원료 물질이 혼합된 조성물에 촉매로 이미다졸, pH조절제로 포름산, 금속이온 봉쇄제로 EDTA-2Na dihydrate를 더 첨가하였으며, 각각 물 100중량부에 0.8중량부를 첨가하였다.
반응단계는 60℃에서 120분간 교반하면서 반응시켰으며, 반응이 완료되고 상온에서 방치하는 냉각단계로 본 발명의 정화 조성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정화 조성물의 pH는 표 1과 같다.
구분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염화칼슘(중량%) 7 10 15
2가의 염화구리(중량%) 1 3 9
철염(중량%) 0.1 1 4
조성물 pH 7.0 7.3 7.5
▣ 정화 조성물 안정성 평가실험
상기에서 제조된 정화 조성물를 설정된 온도의 항온기에서 7일간 보관 후 육안 관찰하여 침전물의 상태를 확인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X: 침전물 없음, ○: 침전물 발생)
온도(℃)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1 X X
30 X X X
40 X X X
50 X X
60 X X
70 X X
80 X X
90 X
표 2에서와 같이 제조예 1, 2의 경우 0 내지 80℃의 온도 범위에서는 침전물이 발생되지 않았으나, 제조예 3는 0℃ 미만이거나, 50℃이상에서 침전물이 발생되는 것으로 염화칼슘 이수화물, 염화제이동 이수화물, 철염은 각각 염화칼슘 이수화물 1~9중량%, 염화제이동 이수화물 0.1~9중량%, 철염 0.1~3중량%의 범위로 함유될 경우 조성물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 실시예
상기에서 제조된 정화 조성물(제조예 1)과 물과 중량비 30:70으로 혼합하는 희석공정으로 희석액을 제조하였고, 희석액과 톱밥을 중량비 50:50으로 혼합하는 혼합공정을 실시하였다.
상기 혼합공정은 톱밥에 희석액을 균일하게 분사하여 정화 조성물을 톱밥에 흡착시켰다.
혼합공정 후 톱밥을 80℃에서 톱밥의 수분량이 약 10중량% 되도록 건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을 제조하였다.
▣ 소취 평가실험
상기에서 제조된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의 소취성을 평가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 아무런 처리가 되지 않은 톱밥을 사용하였다.
구분 초기(ppm) 2시간후(ppm) 감소율(%)
황화수소 gas 실시예 4.0 ≤0.08 98
대조군 4.0 3.2 20
피리딘 gas 실시예 12 ≤0.8 93
대조군 12 7.5 38
암모니아 gas 실시예 100 3.2 97
대조군 100 71 29
초산 gas 실시예 30 1.3 96
대조군 30 21 30
트리메틸아민 gas 실시예 30 0.4 99
대조군 30 18 40
이소길초산 gas 실시예 2시간 후 98% 감소
인돌 gas 실시예 2시간 후 99% 감소
Nonenal gas 실시예 2시간 후 99% 감소
표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은 황화수소 gas, 트리메틸아민 gas는 99% 감소율을 나타내며, 피리딘 gas, 암모니아 gas, 초산 gas, 이소길초산 gas, 인돌 gas, Nonenal gas는 모두 93%이상의 감소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소취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해평가 실험
1. 포름알데히드 제거율 측정
상기에서 제조된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 및 소취 평가실험의 대조군을 통해 포름알데히드 제거율 측정하여 표 에 나타내었다.
시간 대조군 실시예
30분 3% 82%
60분 4% 93%
90분 7% 95% 이상
120분 10% 95% 이상
표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은 대조군에 비해 매우 높은 수치로 90분 후에 포름알데히드 제거율 95%이상으로 포름알데히드 제거효율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2. 기타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율 측정
상기에서 제조된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 및 소취 평가실험의 대조군을 통해 포름알데히드 이외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한 제거율 측정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물질 대조군
(ppb)
실시예
(ppb)
2-Butene 10.3 0.7
Acetonitrile 14.3 2.2
2-Methyl-2-propanol 3.1 0.2
Butanal 0.4 0
2-Butanone 3.6 0.7
Ethyl Acetate 2.5 0.4
Trichloromethane 2.4 0.3
Tetrahydro-Furan 2.8 0.3
2-Cyclopropyl-propane 1.4 0.2
Benzene 1.5 0
1,3,5-Trioxane 13.6 8.2
Methyl-Urea 172.4 0
N,N-Dimethyl-Formamide 8.9 1.9
2,4-Dimethyl-Hexane 3.5 0.2
N,N-Dimethyl-Acetamide 42.5 0.8
o-Xylene 3.7 0.3
Propylene Carbonate 6.3 0.6
2-Ethyl-1-hexanol 6.7 2.7
표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은 대조군에 비해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가 낮은 것으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효과적으로 분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항균 평가실험
상기에서 제조된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에 대한 항균성을 평가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
균주 배양시간 실시예
황색포도상구균 6시간 후 81.6%
12시간 후 97.3%
18시간 후 99.9%
폐렴균 6시간 후 84.4%
12시간 후 96.4%
18시간 후 99.9%
표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은 항균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는 것으로 12시간 후 항균성이 95% 이상이며, 18시간 후에는 99.9%로 항균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톱밥에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염화구리(copper chloride), 철염(iron salt)이 함유된 정화 조성물이 포함되되,
    상기 정화 조성물은 물에 염화칼슘 1~9중량%, 염화구리 0.1~9중량%, 철염 0.1~3중량%가 함유되어 pH 4.0~8.0이고, 0 내지 80℃에서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은 액안정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
  2. 삭제
  3. 삭제
  4. 물에 염화칼슘 1~9중량%, 염화구리 0.1~9중량%, 철염 0.1~3중량%가 함유되는 정화 조성물 제조공정;
    상기 정화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여 희석액을 제조하는 희석공정;
    상기 희석액과 톱밥을 혼합하는 혼합공정;
    상기 톱밥을 건조하는 건조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정화 조성물은 물에 염화칼슘 1~9중량%, 염화구리 0.1~9중량%, 철염 0.1~3중량%가 함유되어 pH 4.0~8.0이고, 0 내지 80℃에서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은 액안정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공정은 정화 조성물과 물을 중량비 5:95~40:60으로 희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공정은 희석액과 톱밥을 30:70~60:40으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정은 톱밥의 수분량이 7~13중량%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 제조방법.
KR1020200024314A 2020-02-27 2020-02-27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38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314A KR102438024B1 (ko) 2020-02-27 2020-02-27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314A KR102438024B1 (ko) 2020-02-27 2020-02-27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233A KR20200033233A (ko) 2020-03-27
KR102438024B1 true KR102438024B1 (ko) 2022-08-31

Family

ID=69959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314A KR102438024B1 (ko) 2020-02-27 2020-02-27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0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5537A (ja) 2000-09-21 2002-03-26 Wizugaia Kk 液状消臭剤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5192613A (ja) * 2003-12-26 2005-07-21 Total Wellness Kenkyusho:Kk 消臭剤
KR102102727B1 (ko) 2019-10-24 2020-05-29 주식회사 풍산비료 가축분뇨를 이용한 완효성 퇴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완효성 퇴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7028A (ja) * 1994-08-25 1996-03-05 Shohei Hoshino 脱臭剤
KR102292236B1 (ko) * 2018-08-07 2021-08-24 (주)대명산업 축산 분뇨 냄새 제거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5537A (ja) 2000-09-21 2002-03-26 Wizugaia Kk 液状消臭剤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5192613A (ja) * 2003-12-26 2005-07-21 Total Wellness Kenkyusho:Kk 消臭剤
KR102102727B1 (ko) 2019-10-24 2020-05-29 주식회사 풍산비료 가축분뇨를 이용한 완효성 퇴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완효성 퇴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233A (ko) 2020-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08199A1 (en) Prevention of ammonia generation in animal areas
CA3233656A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s and methods with novel polymeric binding system
JPH03112426A (ja) 動物廃物からのアンモニア臭の抑制
EP2882281B1 (en) Method of reducing atmospheric ammonia in livestock and poultry confinement facilities
US20080050273A1 (en) Biodegradable Litter Amendment Material from Agricultural Residues
CN1225553A (zh) 一种抗微生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397381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KR102438024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톱밥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20058159A1 (en) Treatment of Animal Litter With Ferric Sulfate Granules
CN104189938A (zh) 一种缓释型二氧化氯空气净化剂
US20020106344A1 (en) Deliquescent salt addition to alum used to treat animal waste products
KR102646393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시트지
KR102219850B1 (ko)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암모니아 흡착 및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9990064890A (ko) 유기질 비료 제조방법
KR102351872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KR20140113104A (ko) 친환경 탈취 및 살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61272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성물
KR102534064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벽지
KR102407249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시트지
KR102576821B1 (ko) 리그닌, 휴믹산 또는 이들의 철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메탄가스 발생 저감용 조성물
KR100532213B1 (ko) 유기질 비료 제조방법
RU280219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дстила для животноводческих помещений на основе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ого диатомита
KR20030018517A (ko) 농산물 신선도 보관용 복합흡착제의 제조방법과 그의응용방법
US11252934B1 (en) Compositions for use in animal housing
Johnson et al. The use of sodium bisulfate as a best management practice for reducing ammonia emissions from poultry man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