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715B1 -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715B1
KR102351715B1 KR1020210111940A KR20210111940A KR102351715B1 KR 102351715 B1 KR102351715 B1 KR 102351715B1 KR 1020210111940 A KR1020210111940 A KR 1020210111940A KR 20210111940 A KR20210111940 A KR 20210111940A KR 102351715 B1 KR102351715 B1 KR 102351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ginitis
cystitis
composition
preventing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화
Original Assignee
이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화 filed Critical 이주화
Priority to KR1020210111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7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9Sophora, e.g. necklacepod or maman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8Meliaceae (Chinaberry or Mahogany family), e.g. Azadirachta (ne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8Coptis (gold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목, 황련 및 복분자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소목과 황련은 1:1 내지 3:1의 중량비를 가지고, 상기 황련과 복분자는 2:1의 중량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방광염 원인균인 E. coli (Escherichia coli),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P. aeruginosa), 황색포도알균 (S. aureus) 및 클렙시엘라 (Klebsiella pneumoniae, K. pneumoniae) 균주 모두에 대하여 항염증 활성을 가지며, 질염 원인균인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칸디다 글라브라타 (Candida glabrata),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애 (S. cerevisiae) 및 가드네렐라 바기날리스 (Gardnerella vaginalis, G. vaginalis) 균주 모두에 대하여 항염증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YSTITIS AND VAGINITIS COMPRISING PLANT COMPLEX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질은 천연적으로 다양한 세균, 효모 및 미생물에 의해서 군락화된다. 예를 들어, 정상적인 여성의 질에는 일반적으로 질 물질의 밀리리터당 약 10의 4승이상의 유산균(Lactobacillus spp.)이 포함되어 있다. 정상적인 조건 하에서 질 세균총은 병원성 미생물의 침범에 대항하는 보호를 도와주는 약한 산성 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정상적인 조건 하에서 질 세균총 즉, 질 평형은 궁극적으로 질 감염을 유도하는 다양한 외부 인자에 의해서 쉽게 전복될 수 있다. 질 감염은 임상적 증후군이며 주로 세균성 질증, 칸디다성 질염 및 트리코모나스 질염 등이 보고되어 있는데, 이 중 가장 흔한 질염은 세균성 질염이다.
상기 세균성 질염은 주로 질 내에서 유산균의 감소를 수반하는 혐기성 유기체 수의 증가에 의해서 야기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이 외에도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 항생제 복용이나 피임약 복용, 과다한 질 세정제 사용 등에 의해서도 발병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질 내에서 유산균의 수가 감소하는 것은 영양소에 대한 경쟁을 감소시키고, 존재하는 락트산의 양을 감소시켜 pH를 상승시키게 되며, 질 내에서 그의 성장이 통상적으로 억제되는 기회 감염성 병원체(opportunistic pathogen)의 증식이 일어나게 돼서 발병된다.
상기와 같은 병원체의 증식이 일어나게 되어 발병하는 세균성 질염과 연관된 주요 병원체는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상기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의 감염에 의한 세균성 질염의 증상은 일반적으로 냉에서 특유의 불쾌한 냄새가 나고, 속옷을 적실 정도로 냉이 많아지며, 질의 분비물 즉, 묽은 균질의 분비물이 많아지고, 질 내 pH의 약 pH 5.0 이상으로의 상승하며, 가려움증이 발생하고, 그람-간병성 간균으로 코팅된 질 상피세포인 가드네렐라 단서세포(Gardnerella crue cells)의 존재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질염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질염 치료 방법이 많이 연구되어왔다. 근래에는 질의 세균 감염에 대한 치료 방법으로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과 같은 질염 치료제를 경구 투여하거나 크림 형태로 투여하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 상기 메트로니다졸과 같은 광범위 스펙트럼의 항생제의 사용은 항생제 내성이라는 문제점을 내포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항생제의 사용은 유익한 유산균을 포함한 질 내의 광범위한 정상 세균총을 사멸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세균성 질염은 임상에서 항생제를 경구 투여하거나 직접 질 내에 연고 또는 질정을 투여하는 방법으로 치료를 하고 있는데(Blackwell et al. 1983), 이미다졸 및 니트로이미다졸 유도체가 이러한 증상을 치료하는데 종종 사용되며, 사용되고 있는 다른 유형의 약제로는 니트로푸르푸릴 유도체 및 다양한 항생제가 있다. 이 활성 항생제 성분들은 경구 또는 국소 투여용으로 제제화될 수 있는데, 메트로니다졸은 흔히 경구 경로로 투여되나, 혼합 감염은 국소 투여용 조성물, 특히 2종 이상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페서리(pessary) 형태가 그 목적에 적당하다.
그러나, 항생제를 이용한 치료의 경우, 항생제는 질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은 물론 질 내의 정상 세균총 특히 유산간균의 생육에도 영향을 미쳐 그 숫자를 감소시키므로, 정상적인 질 내의 세균총을 파괴하게 되어 만성적으로 반복되는 질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항생제의 장기간 사용은 질을 통한 항생제의 흡수로 인하여 전신적 독성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보고되어 왔다.
한편, 급성 방광염은 요로계의 해부학적, 기능적 이상 없이 세균이 침입하여 발생한 감염으로 인해 염증이 방광 내에 국한되어 나타나고 다른 장기에는 염증이 없는 질환이다. 급성 방광염의 일차적인 경로는 요도로부터의 상행 감염이며 여성에서 흔하다. 여성은 해부학적으로 요도가 짧고 장내세균이 회음부와 질 입구에 쉽게 증식하여 성생활이나 임신 시 세균이 용이하게 방광으로 상행성 감염(하부 기관에서 상부 기관으로의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급성 방광염은 세균 자체의 독성, 개개인의 세균에 대한 저항력, 요로계의 해부학적 및 기능적 상태에 따라 발생한다. 원인균은 80% 이상이 대장균이며, 그 외 포도상구균, 장구균, 협막간균, 변형균 등도 급성 방광염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부작용이 문제되지 아니하는 천연물질 유래의 질염 및 방광염의 예방 또는 치료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66279호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소목, 황련 및 복분자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소목, 황련 및 복분자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소목과 황련은 1:1 내지 3:1의 중량비를 가지고, 상기 황련과 복분자는 2:1의 중량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소목, 황련 및 복분자는 6: 2: 1의 중량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육계나무, 너도밤나무, 은매화, 고련피 및 고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방광염 원인균인 E. coli (Escherichia coli),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P. aeruginosa), 황색포도알균 (S. aureus) 및 클렙시엘라 (Klebsiella pneumoniae, K. pneumoniae) 균주 모두에 대하여 항염증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질염 원인균인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칸디다 글라브라타 (Candida glabrata),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애 (S. cerevisiae) 및 가드네렐라 바기날리스 (Gardnerella vaginalis, G. vaginalis) 균주 모두에 대하여 항염증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마스크팩,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스크린 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수 있다.
본 발명의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서, 소목, 황련 및 복분자의 복합 추출물은 구체적으로는 건조 중량으로, 조성물 총 중량의 0.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0.00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에 대한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이점이 있으며, 조성물의 제형이 안정화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 따른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방광염 및 질염의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우수하며 독성이 없어 안전하고, 장기간 사용해도 인체에 무방한 천연을 이용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 따른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방광염 원인균인 E. coli (Escherichia coli),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P. aeruginosa), 황색포도알균 (S. aureus) 및 클렙시엘라 (Klebsiella pneumoniae, K. pneumoniae) 균주 모두에 대하여 항염증 활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 따른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질염 원인균인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칸디다 글라브라타 (Candida glabrata),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애 (S. cerevisiae) 및 가드네렐라 바기날리스 (Gardnerella vaginalis, G. vaginalis) 균주 모두에 대하여 항염증 활성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추출물의 제조 공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목과 황련 추출물을 비율별로 다르게 혼합하여 방광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황련과 복분자 추출물을 비율별로 다르게 혼합하여 질염 원인균 중 칸디다성 질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목과 황련 및 복분자 추출물을 비율별로 다르게 혼합하여 질염 원인균 4종에 대한 항균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소목, 황련 및 복분자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소목과 황련은 1:1 내지 3:1의 중량비를 가지고, 상기 황련과 복분자는 2:1의 중량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목, 황련 및 복분자는 6: 2: 1의 중량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육계나무, 너도밤나무, 은매화, 고련피 및 고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방광염 원인균인 E. coli (Escherichia coli),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P. aeruginosa), 황색포도알균 (S. aureus) 및 클렙시엘라 (Klebsiella pneumoniae, K. pneumoniae) 균주 모두에 대하여 항염증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질염 원인균인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칸디다 글라브라타 (Candida glabrata),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애 (S. cerevisiae) 및 가드네렐라 바기날리스 (Gardnerella vaginalis, G. vaginalis) 균주 모두에 대하여 항염증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식물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소목 30g을 분쇄한 후 300 mL의 50%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혼합하고, 25분간 초음파 처리를 하였다. 다음으로, 3시간 동안 가열 교반하고 1시간 동안 진공 상태에서 감압 여과하고, 2시간 동안 회전 증발 농축 후 28시간 동결 건조하여 건조 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건조 분말을 용매 DMSO(Dimethyl Sulfoxide)와 혼합하여 100 mg/ml의 소목 추출물을 얻었다 (도 1).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황련 및 복분자 추출물을 얻었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육계나무, 너도밤나무, 은매화, 고련비 및 고삼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소목, 황련 및 복분자 추출물을 각 중량비로 혼합하여 소목, 황련 및 복분자의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 질염 원인균 및 방광염 원인균 항균 테스트
4종의 질염 원인균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칸디다 글라브라타 (Candida glabrata),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애 (S. cerevisiae) 및 가드네렐라 바기날리스 (Gardnerella vaginalis, G. vaginalis))과 4종의 방광염 원인균 (E. coli (Escherichia coli),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P. aeruginosa), 황색포도알균 (S. aureus) 및 클렙시엘라 (Klebsiella pneumoniae, K. pneumoniae))에 대한 항균 테스트는 아래와 같은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다.
우선, 상기 질염 및 방광염 원인균을 37.5 ℃, 180 rpm으로 18시간 사전 배양하고, 37.5 ℃, 180 rpm으로 8시간 본 배양 후 고체배지에 위균 도말하였다. 다음으로, 항생제, 100% DMSO, 소목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 등을 이용하여 페이퍼 디스크를 준비하였다, 상기 페이퍼 디스크는 100 mg/ml의 각 식물 추출물 20 μL를 상기 페이퍼 디스크 위에 뿌린 뒤 건조함으로써 제작되었다.
다음으로, 상기 고체 배지 위에 상기 페이퍼 디스크를 올리고, 37.5 ℃의 온도에서 18시간 배양하여 상기 질염 및 방광염 원인균의 억제 면적을 측정하여 각 시료의 감수성을 확인하였다.
3. 방광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테스트 결과
상기 4종의 방광염 원인균 (E. coli (Escherichia coli),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P. aeruginosa), 황색포도알균 (S. aureus) 및 클렙시엘라 (Klebsiella pneumoniae, K. pneumoniae))에 대한 항균 테스트 결과 가장 효과가 있었던 것은 소목과 황련 추출물이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소목과 황련 추출물을 비율별로 다르게 혼합하여 항균 테스트를 추가로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소목과 황련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일정 비율로 혼합한 시료의 억제 면적이 더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 [표 1]에서는 상기 소목과 황련 추출물 단독 사용 및 각 혼합 비율에 따라 혼합한 경우 4종의 방광염 원인균에 대한 억제 면적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21097803004-pat00001
상기 [표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소목 추출물과 황련 추출물이 1:1 내지 3:1의 중량비를 가질 때, 상기 4종의 방광염 원인균 (E. coli (Escherichia coli),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P. aeruginosa), 황색포도알균 (S. aureus) 및 클렙시엘라 (Klebsiella pneumoniae, K. pneumoniae)) 모두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2).
4. 질염 원인균 중 칸디다성 질염균에 대한 항균 테스트 결과
상기 4종의 질염 원인균 중 칸디다성 질염균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칸디다 글라브라타 (Candida glabrata) 및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애 (S. cerevisiae))에 대한 항균 테스트 결과 가장 효과가 있었던 것은 황련과 복분자 추출물이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황련과 복분자 추출물을 비율별로 다르게 혼합하여 항균 테스트를 추가로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황련과 복분자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일정 비율로 혼합한 시료의 억제 면적이 더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 [표 2]에서는 상기 황련과 복분자 추출물 단독 사용 및 각 혼합 비율에 따라 혼합한 경우 4종의 질염 원인균 중 칸디다성 질염균에 대한 억제 면적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21097803004-pat00002
상기 [표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황련 추출물과 복분자 추출물이 2:1의 중량비를 가질 때, 상기 4종의 질염 원인균 중 칸디다성 질염균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칸디다 글라브라타 (Candida glabrata) 및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애 (S. cerevisiae))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3).
5. 질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테스트 결과
상기 4종의 질염 원인균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칸디다 글라브라타 (Candida glabrata),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애 (S. cerevisiae) 및 가드네렐라 바기날리스 (Gardnerella vaginalis, G. vaginalis)) 모두에 대한 항균 테스트 결과 가장 효과가 있었던 것은 소목과 황련 및 복분자 추출물이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소목과 황련 및 복분자 추출물을 비율별로 다르게 혼합하여 항균 테스트를 추가로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소목과 황련 및 복분자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일정 비율로 혼합한 시료의 억제 면적이 더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 [표 3]에서는 상기 소목과 황련 및 복분자 추출물 단독 사용 및 각 혼합 비율에 따라 혼합한 경우 4종의 질염 원인균에 대한 억제 면적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21097803004-pat00003
상기 [표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소목 추출물과 황련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이 6: 2: 1의 중량비를 가질 때, 상기 4종의 질염 원인균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칸디다 글라브라타 (Candida glabrata),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애 (S. cerevisiae) 및 가드네렐라 바기날리스 (Gardnerella vaginalis, G. vaginalis)) 모두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소목, 황련 및 복분자 복합 추출물은 육계나무, 너도밤나무, 은매화, 고련피 및 고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이 육계나무, 너도밤나무, 은매화, 고련비 및 고삼 추출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 효능이 보다 우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목, 황련 및 복분자 복합 추출물이 육계나무, 너도밤나무 및 은매화 추출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방광염 예방 및 개선 효능이 특히 더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육계나무, 너도밤나무 및 은매화 추출물 전체 함량이 상기 소목, 황련 및 복분자 복합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일 때, 방광염 예방 및 개선 효능이 우수하나, 반드시 이러한 중량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소목, 황련 및 복분자 복합 추출물이 고련비 및 고삼 추출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질염 예방 및 개선 효능이 특히 더 우수할 수 있다.
상기 고련비 및 고삼 추출물 전체 함량이 상기 소목, 황련 및 복분자 복합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일 때, 질염 예방 및 개선 효능이 우수하나, 반드시 이러한 중량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육계나무, 너도밤나무, 은매화, 고련비 및 고삼 추출물 전체 함량이 상기 소목, 황련 및 복분자 복합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로 모두 포함될 경우, 질염과 방광염 예방 및 개선 효능이 우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

  1. 소목, 황련 및 복분자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소목, 황련 및 복분자는 6: 2: 1의 중량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성물은 질염 원인균인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칸디다 글라브라타 (Candida glabrata),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애 (S. cerevisiae) 및 가드네렐라 바기날리스 (Gardnerella vaginalis, G. vaginalis) 균주 모두에 대하여 항염증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육계나무, 너도밤나무, 은매화, 고련피 및 고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방광염 원인균인 E. coli (Escherichia coli),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P. aeruginosa), 황색포도알균 (S. aureus) 및 클렙시엘라 (Klebsiella pneumoniae, K. pneumoniae) 균주 모두에 대하여 항염증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5. 삭제
KR1020210111940A 2021-08-24 2021-08-24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351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940A KR102351715B1 (ko) 2021-08-24 2021-08-24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940A KR102351715B1 (ko) 2021-08-24 2021-08-24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715B1 true KR102351715B1 (ko) 2022-01-14

Family

ID=79342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940A KR102351715B1 (ko) 2021-08-24 2021-08-24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7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830A (ko) * 1999-11-08 2001-06-05 이옥구 항균 및 항산화 기능을 지닌 천연 조성물
KR20020013675A (ko) * 2000-08-14 2002-02-21 김윤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102166279B1 (ko) 2020-01-29 2020-10-16 주식회사 피에프네이처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830A (ko) * 1999-11-08 2001-06-05 이옥구 항균 및 항산화 기능을 지닌 천연 조성물
KR20020013675A (ko) * 2000-08-14 2002-02-21 김윤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102166279B1 (ko) 2020-01-29 2020-10-16 주식회사 피에프네이처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69389C2 (ru) Вагинальная композиция
RU2408372C2 (ru) Применение октенидина дигидрохлорида в полутвердых препаратах
JP4678896B2 (ja) 微生物感染を予防または制御するための共生Bacillus芽胞の局所的使用
KR101345709B1 (ko)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항균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US7618658B2 (en) Anti-microbial agent and anti-microbial composition
KR101864409B1 (ko) 한방 추출물 및 미생물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살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KR100962052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유산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5340836A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ment of vaginal yeast infections
KR20160015718A (ko) 쇠비름 추출물 및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여성 청결제
KR101637167B1 (ko) 섬기린초 추출물과 식품첨가물을 포함하는 항균 원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48808B1 (ko) 천연 항균제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2351715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광염 및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20005260A (ko) 해당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1479B1 (ko) 천연식물추출물 및 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질염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09604B1 (ko) 인동덩굴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15668B1 (ko)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4197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 조성물
JPH07278001A (ja) 皮膚外用組成物及び浴用剤
KR102228690B1 (ko) 우수한 항균효과 및 가려움완화에 도움을 주는 저자극 외음부 세정제 조성물
KR102488864B1 (ko)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KR20200031404A (ko) 식물성 키토산을 이용한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KR102587124B1 (ko) 보습성 및 롤링성이 향상된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젤
KR102465358B1 (ko) 마그놀올, 호노키올,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GR1009621B (el) Συνθεσεις για τοπικη χρηση, που περιεχουν συνδυασμους βορικου οξεος, ελαιου τεϊοδεντρου, πανθενολης και μπισαμπολολης, χρησιμες για την αντιμετωπιση μυκητιασικων λοιμωξεων
KR102292487B1 (ko)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