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480B1 -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480B1
KR102351480B1 KR1020200006443A KR20200006443A KR102351480B1 KR 102351480 B1 KR102351480 B1 KR 102351480B1 KR 1020200006443 A KR1020200006443 A KR 1020200006443A KR 20200006443 A KR20200006443 A KR 20200006443A KR 102351480 B1 KR102351480 B1 KR 102351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connection part
flui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2937A (ko
Inventor
이낙규
Original Assignee
이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낙규 filed Critical 이낙규
Priority to KR1020200006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4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92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 등으로 인한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건물로 전달되어 건물을 따라 설치되는 배관에 휨이나 굽힘 또는 비틀림 하중이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적절히 흡수하여 배관의 이음부위가 파손되지 않고 원상태를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현한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배관의 일단이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되며, 제2 배관의 일단이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각각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부를 지지하는 두 개의 상부 지지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각각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두 개의 하부 지지부; 및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의 중심을 따라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각 상측과 내부 공간의 상부면 사이에 상기 상부 지지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각 하측과 내부 공간의 하부면 사이에 상기 하부 지지부가 각각 설치되는 사각 케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PIPING CONNECTOR WITH SEISMIC FUNCTION}
본 발명은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등으로 인한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건물로 전달되어 건물을 따라 설치되는 배관에 휨이나 굽힘 또는 비틀림 하중이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적절히 흡수하여 배관의 이음부위가 파손되지 않고 원상태를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현한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그루브 조인트는, 그루브 가공기(Grooving machine)를 이용하여 배관의 이음단부에 그루브(Groove)를 가공한 후, 그루브 조인트를 이용하여 정렬된 두 개의 배관을 길이방향으로 이음하는 것이다.
상기 그루브 조인트는, 두 개의 배관 사이를 기밀하여 누설을 방지하는 링 가스켓(Ring gasket)과, 상기 링 가스켓을 내부에 구비하며 배관의 이음단부에 형성된 그루브에 양단이 체결되어 두 개의 배관을 서로 접속시켜 길이방향으로 이음하는 조인트 커플링(Joint coupling)을 포함한다.
한편, 건축물에는 배관 구조체가 형성되어 오수 등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지진 발생시 건축물이 흔들림이 발생될 경우에 배관 조립체를 구성하는 배관들이 개별적으로 흔들림이 발생된다.
특히, 세대 외부공간과 세대 내부공간 사이에 형성된 벽체에 배관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관 구조체는, 세대 외부 공간에 형성되는 외부배관과, 세대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내부배관, 그리고 벽체에 형성된 설치공을 관통하여 외부배관과 내부배관 사이를 이음하는 매립배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매립배관과 외부배관은 소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관계로, 그루브 가공기(Grooving machine)를 통해 이음단부를 소성 가공하여 그루브 조인트의 조인트 커플링이 견착되는 그루브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매립배관과 외부배관은 그루브 조인트를 통해 분리 이음구조를 형성하여 상호 이음된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63912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5882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지진 등으로 인한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건물로 전달되어 건물을 따라 설치되는 배관에 휨이나 굽힘 또는 비틀림 하중이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적절히 흡수하여 배관의 이음부위가 파손되지 않고 원상태를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현한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부 지지부를 이용하여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가 상하 방향의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가 상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사각 케이스부로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배관 지지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배관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는, 제1 배관의 일단이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되며, 제2 배관의 일단이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각각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부를 지지하는 두 개의 상부 지지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각각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두 개의 하부 지지부; 및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의 중심을 따라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각 상측과 내부 공간의 상부면 사이에 상기 상부 지지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각 하측과 내부 공간의 하부면 사이에 상기 하부 지지부가 각각 설치되는 사각 케이스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부는,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부 형태에 대응하는 아치형의 하부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부에 안착되는 체결구; 및 상기 체결구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사각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상부면과 상기 체결구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사각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상부 평판; 상기 체결구의 상측에 안착되는 하부 평판;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간격 지지부;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축되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시켜 주는 유체 공급 고리; 및 상기 간격 지지부가 안착되는 상기 상부 평판의 하측면 및 상기 하부 평판의 상측면에 대칭 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간격 지지부의 상측 또는 하측이 설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 고리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신장되어 상기 간격 지지부를 압축시켜 상기 간격 지지부의 탄성력을 증가시켜 주는 탄성 조절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 공급 고리는,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사각 고리;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사각 고리와 교차 연결 설치되는 제2 사각 고리;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상부로부터 상기 상부 평판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유체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제1 지지관;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하부로부터 상기 하부 평판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유체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제2 지지관;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상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상기 제1 지지관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1 유체 파우치; 및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하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상기 제2 지지관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2 유체 파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는, 상기 상부 평판의 하측면 또는 상기 하부 평판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으로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밀려나와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간격 지지부를 수축시켜 주는 안착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는, 상기 사각 케이스부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사각 케이스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사각 케이스부를 지지하는 배관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 지지대는,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기둥; 및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기둥의 상부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삽입 안착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사각 케이스부를 지지하는 기둥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둥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사각 케이스부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육각 기둥 형태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육각 프레임; 및 상기 육각 프레임의 6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동 렉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기둥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 바디; 상기 육각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바디의 상부에 상기 육각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홈;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홈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육각 프레임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동 렉기어와 밀착되어 상기 육각 기둥을 제동시키는 제동부; 및 상기 지지홈의 하측에 안착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신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육각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육각 프레임이 하강하여 압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상기 제동부로 공급하는 탄성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홈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동홈에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 받침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달받아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상기 육각 프레임 방향으로 전진시켜 주는 전진 실린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전면에 상기 제동 렉기어에 대응하는 형상의 밀착 렉기어를 형성하며, 상기 안착 플레이트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제동 렉기어와 밀착되어 상기 육각 프레임이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제동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체; 및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향하는 상기 제동 플레이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는 슬라이딩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받침대는,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육각 프레임을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지지홈의 하측에 안착되는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판의 상측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탱크; 및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상기 전진 실린더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전진 실린더로 전달하는 유체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지진 등으로 인한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건물로 전달되어 건물을 따라 설치되는 배관에 휨이나 굽힘 또는 비틀림 하중이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적절히 흡수하여 배관의 이음부위가 파손되지 않고 원상태를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체결함으로써, 배관과 배관 간의 연결부가 파손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지지부를 이용하여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가 상하 방향의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가 상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가 과도하게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각 케이스부로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배관 지지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본 발명을 지지하여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연결부(100)와 제2 연결부(200)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상부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유체 공급 고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탄성 조절 실린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탄성 조절 실린더에 의한 간격 지지부의 수축 방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배관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도 11의 제동부의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의 제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10)는, 제1 연결부(100), 제2 연결부(200), 두 개의 상부 지지부(300), 두 개의 하부 지지부(400) 및 사각 케이스부(500)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100)는, 제1 배관의 일단이 결합되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100)는, 서로 다른 내경을 갖는 다수의 제 1연결 몸체(110)와, 상기 다수의 제 1연결 몸체(110)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제 1탄성 연결 몸체(1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00)는, 제1 연결부(100)와 결합되며, 제2 배관의 일단이 결합되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연결부(200)는, 상기 서로 다른 내경을 갖는 다수의 제 2연결 몸체(210)와, 상기 다수의 제 2연결 몸 체(210)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제 2탄성 연결 몸체(2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100) 또는 제2 연결부(200)의 서로 다른 내경은, 단차지도록 상기 다수의 제 1,2연결 몸체(110, 2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 1탄성 연결 몸체(120)와, 상기 다수의 제 2탄성 연결 몸체(220)는 주름관이다.
상기 주름관은, 다수의 층(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는 생략함)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층의 사이에는, 진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관(P1)의 일단에는, 다단으로 돌출되는 제 1연결단(P11)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배관(P2)의 일단에는, 다단으로 돌출되는 제 2연결단(P2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연결단(P11)과 상기 제 2연결단(P21)은,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 및 돌출 가능 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연결단(P11)은, 제 1자석(미도시)을 구비하여 상기 다수의 제 1연결 몸체(110)와 자력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 2연결단(12)은, 제 2자석을 구비하여 상기 다수의 제 2연결 몸체(210)와 연결된다.
상부 지지부(300a, 300b)는, 제1 연결부(100) 및 제2 연결부(200) 각각의 상측에 설치되어 제1 연결부(100) 및 제2 연결부(200)의 상부를 지지한다.
하부 지지부(400a, 400b)는, 제1 연결부(100) 및 제2 연결부(200) 각각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1 연결부(100) 및 제2 연결부(200)의 하부를 지지한다.
사각 케이스부(500)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의 중심을 따라 제1 연결부(100) 및 제2 연결부(200)가 배치되며, 제1 연결부(100) 및 제2 연결부(200)의 각 상측과 내부 공간의 상부면 사이에 상부 지지부(300)가 각각 설치되고, 제1 연결부(100) 및 제2 연결부(200)의 각 하측과 내부 공간의 하부면 사이에 하부 지지부(400)가 각각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10)는, 지진 등으로 인한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건물로 전달되어 건물을 따라 설치되는 배관에 휨이나 굽힘 또는 비틀림 하중이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적절히 흡수하여 배관의 이음부위가 파손되지 않고 원상태를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체결함으로써, 배관과 배관 간의 연결부가 파손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상부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지지부(300)는, 체결구(600) 및 탄성 지지대(700)를 포함한다.
도 4에서는, 300b를 기준으로 이하 후술할 것이나, 300a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체결구(600)는, 제1 연결부(100) 또는 제2 연결부(200)의 상부 형태에 대응하는 아치형의 하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1 연결부(100) 또는 제2 연결부(200)의 상부에 안착된다.
탄성 지지대(700)는, 체결구(6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사각 케이스부(500)의 내부 공간의 상부면과 체결구(600)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부 지지부(300)는, 제1 연결부(100) 또는 제2 연결부(200)가 상하 방향의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제1 연결부(100) 또는 제2 연결부(200)가 상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1 연결부(100) 또는 제2 연결부(200)가 과도하게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지지부(400)는, 상부 지지부(300)와 대칭구조로서 상부 지지부(300)의 각각의 구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탄성 지지대(700)는, 상부 평판(710), 하부 평판(720), 간격 지지부(730), 유체 공급 고리(740) 및 탄성 조절 실린더(750)를 포함한다.
상부 평판(710)은, 간격 지지부(730)에 의하여 하부 평판(7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사각 케이스부(500)의 내부 공간의 상부면의 하측에 안착되어 사각 케이스부(500)의 내부 공간의 상부면을 간격 지지부(730)에 의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하부 평판(720)은, 간격 지지부(730)에 의하여 상부 평판(710)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체결구(600)의 상측에 안착된다.
간격 지지부(730)는, 용수철 등과 같은 탄성체로 형성되며,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의 간격을 지지한다.
유체 공급 고리(740)는,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축되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L)를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공급시켜 준다.
탄성 조절 실린더(750)는, 간격 지지부(730)가 안착되는 상부 평판(710)의 하측면 및 하부 평판(720)의 상측면에 대칭 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간격 지지부(730)의 상측 또는 하측이 설치되며, 유체 공급 고리(740)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신장되어 간격 지지부(730)를 압축시켜 간격 지지부(730)의 탄성력을 증가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대(700)는, 단순히 탄성력을 이용하여 물체를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진동이나 충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 탄성력을 형성하는 간격 지지부(730)를 이에 따라 압축시켜 간격 지지부(730)에 의한 탄성력을 증가시켜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의 간격이 더이상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진동이나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유체 공급 고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유체 공급 고리(740)는, 제1 사각 고리(741), 제2 사각 고리(742), 제1 지지관(743), 제2 지지관(744), 제1 유체 파우치(745) 및 제2 유체 파우치(746)를 포함한다.
제1 사각 고리(741)는,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사각 고리(74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연결되며, 상측에 제1 지지관(743)이 설치되고, 고리의 내측 공간에 제1 유체 파우치(745)가 설치된다.
제2 사각 고리(742)는,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사각 고리(741)와 교차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제2 지지관(744)이 설치되고, 고리의 내측 공간에 제2 유체 파우치(746)가 설치된다.
제1 지지관(743)은, 제1 사각 고리(741)의 상부로부터 상부 평판(710)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제1 유체 파우치(745)로부터 공급되는 유체(L)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며, 상부 평판(710)에 설치되는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유체(L)를 전달한다.
제2 지지관(744)은, 제2 사각 고리(742)의 하부로부터 하부 평판(720)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제2 유체 파우치(746)로부터 공급되는 유체(L)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며, 하부 평판(720)에 설치되는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유체(L)를 전달한다.
제1 유체 파우치(745)는,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제1 사각 고리(741)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제2 사각 고리(742)의 상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제1 지지관(743)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공급한다.
제2 유체 파우치(746)는,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제2 사각 고리(742)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제1 사각 고리(741)의 하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제2 지지관(744)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공급한다.
도 7은 도 5의 탄성 조절 실린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탄성 조절 실린더(750)는, 하우징(751) 및 안착 플런저(752)를 포함한다.
하우징(751)은, 상부 평판(710)의 하측면 또는 하부 평판(720)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유체(L)가 수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안착 플런저(752)가 연결 설치된다.
안착 플런저(752)는, 하우징(751)에 안착되며, 하우징(751)으로 유체(L)가 공급됨에 따라 유체(L)의 압력에 의해 하우징(751)으로부터 밀려나와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간격 지지부(730)를 수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조절 실린더(750)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간격 지지부(730)를 압축시키 아니하여 간격 지지부(730)의 길이가 t1이 되도록 하나,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이 압축됨에 따라 유체 공급 고리(74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L)에 의하여 간격 지지부(730)를 압축시켜 간격 지지부(730)의 길이가 t2(t1 > t2)으로 줄어들도록 하여 이에 대응하여 간격 지지부(730)에 의한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20)는, 제1 연결부(100), 제2 연결부(200), 두 개의 상부 지지부(300), 두 개의 하부 지지부(400), 사각 케이스부(500) 및 배관 지지대(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연결부(100), 제2 연결부(200), 두 개의 상부 지지부(300), 두 개의 하부 지지부(400) 및 사각 케이스부(500)는, 도 1 또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배관 지지대(800)는, 사각 케이스부(500)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사각 케이스부(500)의 하측에 설치되어 사각 케이스부(500)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20)는, 사각 케이스부(500)로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배관 지지대(8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본 발명을 지지하여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배관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배관 지지대(800)는, 베이스 플레이트(810), 지지 기둥(820) 및 기둥 지지부(83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810)는, 바닥면에 콘크리트 타설 또는 앵커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며, 상부로부터 지지 기둥(820)이 연장 형성된다.
지지 기둥(820)은, 베이스 플레이트(810)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기둥 지지부(830)이 삽입되기 위한 지지홈(822)이 형성된다.
기둥 지지부(830)는,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지지 기둥(820)의 상부에서 형성된 지지홈(822)을 통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삽입 안착되며, 탄성 받침대(824)에 의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사각 케이스부(50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기둥 지지부(830)는, 지지 플레이트(831), 육각 프레임(832) 및 제동 렉기어(83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83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사각 케이스부(500)의 하측을 지지하며, 하부면으로부터 육각 프레임(832)이 연장 형성된다.
육각 프레임(832)은, 육각 기둥 형태로 지지 플레이트(831)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6개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제동 렉기어(833)이 형성된다.
제동 렉기어(833)는, 육각 프레임(832)의 6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동 플레이트(8233)가 밀착됨에 따라 육각 프레임(832)의 하강을 저지한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 기둥(820)은, 기둥 바디(821), 지지홈(822), 제동부(823) 및 탄성 받침대(824)를 포함한다.
기둥 바디(821)는, 베이스 플레이트(810)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육각 프레임(832)이 삽입되기 위한 지지홈(822)이 형성된다.
지지홈(822)은, 육각 프레임(8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기둥 바디(821)의 상부에 육각 프레임(8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홈의 하측에 탄성 받침대(824)가 안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일측면에 제동부(823)가 형성된다.
제동부(823)는, 제동 렉기어(833)와 대향하는 지지홈(822)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육각 프레임(832)이 하강함에 따라 제동 렉기어(833)와 밀착되어 육각 기둥을 제동시킨다.
즉, 제동부(823)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프레임(832)의 3면에 제동 렉기어(833)가 설치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3개(823a, 823b, 823c)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탄성 받침대(824)는, 지지홈(822)의 하측에 안착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신의 상측에 안착되는 육각 프레임(832)을 지지하며, 육각 프레임(832)이 하강하여 압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제동부(823)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 받침대(824)는, 상판(8241), 하판(8242), 지지 스프링(8243), 유체 탱크(8244) 및 유체 공급관(82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8241)은, 지지 스프링(8243)에 의하여 지지되어 하판(8242)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육각 프레임(832)을 지지하며, 육각 프레임(832)이 하강함에 따라 하판(8242)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유체 탱크(8244)를 압축시켜 준다.
하판(8242)은, 상판(8241)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지지홈(822)의 하측에 안착되며, 상판(8241)과의 사이에 지지 스프링(8243)과 유체 탱크(8244)가 설치된다.
지지 스프링(8243)은, 상판(8241)과 하판(8242)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하판(8242)의 상측에서 상판(8241)을 지지한다.
유체 탱크(8244)는, 상판(8241)과 하판(8242) 사이에 설치되며, 상판(8241)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유체 공급관(8245)를 통해 공급한다.
유체 공급관(8245)은, 유체 탱크(8244)로부터 전진 실린더(8232)로 연장 형성되며, 유체 탱크(8244)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진 실린더(8232)로 전달한다.
도 14는 도 11의 제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동부(823)는, 안착 플레이트(8231), 전진 실린더(8232), 제동 플레이트(8233), 슬라이딩홈(8234), 탄성체(8235) 및 슬라이딩바아(8236)를 포함한다.
안착 플레이트(8231)는, 제동 렉기어(833)와 대향하는 지지홈(822)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동홈(8221)에 안착되며, 후면에 설치되는 전진 실린더(8232)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전진함에 따라 전면에 연결 설치되는 제동 플레이트(8233)를 제동 렉기어(833)와 밀착시켜 준다.
전진 실린더(8232)는, 안착 플레이트(8231)의 후면에 설치되며, 탄성 받침대(824)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유체공급관(8237)를 통해 전달받아 안착 플레이트(8231)를 육각 프레임(832) 방향으로 전진시켜 준다.
제동 플레이트(8233)는, 안착 플레이트(8231)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며, 제동 렉기어(833)와 대향하는 전면에 제동 렉기어(833)에 대응하는 형상의 밀착 렉기어(G)를 형성하며, 안착 플레이트(8231)가 전진함에 따라 제동 렉기어(833)와 밀착되어 육각 프레임(832)이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제동시킨다.
슬라이딩홈(8234)은, 안착 플레이트(8231)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슬라이딩바아(8236)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하측에 탄성체(8235)가 설치된다.
탄성체(8235)는, 슬라이딩홈(8234)의 하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딩홈(8234)애 안착되는 슬라이딩바아(8236)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슬라이딩바아(8236)는, 슬라이딩홈(8234)에 대향하는 제동 플레이트(8233)의 후면에 설치되며, 슬라이딩홈(8234)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탄성체(8235)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
100: 제1 연결부
200: 제2 연결부
300: 상부 지지부
400: 하부 지지부
500: 사각 케이스부
600: 체결구
700: 탄성 지지대
800: 배관 지지대

Claims (11)

  1. 제1 배관의 일단이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되며, 제2 배관의 일단이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각각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부를 지지하는 두 개의 상부 지지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각각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두 개의 하부 지지부; 및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의 중심을 따라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각 상측과 내부 공간의 상부면 사이에 상기 상부 지지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각 하측과 내부 공간의 하부면 사이에 상기 하부 지지부가 각각 설치되는 사각 케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부는,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부 형태에 대응하는 아치형의 하부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부에 안착되는 체결구; 및
    상기 체결구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사각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상부면과 상기 체결구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사각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상부 평판;
    상기 체결구의 상측에 안착되는 하부 평판;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간격 지지부;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축되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시켜 주는 유체 공급 고리; 및
    상기 간격 지지부가 안착되는 상기 상부 평판의 하측면 및 상기 하부 평판의 상측면에 대칭 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간격 지지부의 상측 또는 하측이 설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 고리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신장되어 상기 간격 지지부를 압축시켜 상기 간격 지지부의 탄성력을 증가시켜 주는 탄성 조절 실린더;를 포함하는,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고리는,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사각 고리;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사각 고리와 교차 연결 설치되는 제2 사각 고리;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상부로부터 상기 상부 평판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유체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제1 지지관;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하부로부터 상기 하부 평판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유체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제2 지지관;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상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상기 제1 지지관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1 유체 파우치; 및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하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상기 제2 지지관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2 유체 파우치;를 포함하는,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는,
    상기 상부 평판의 하측면 또는 상기 하부 평판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으로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밀려나와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간격 지지부를 수축시켜 주는 안착 플런저;를 포함하는,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케이스부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사각 케이스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사각 케이스부를 지지하는 배관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지지대는,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기둥; 및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기둥의 상부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삽입 안착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사각 케이스부를 지지하는 기둥 지지부;를 포함하는,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사각 케이스부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육각 기둥 형태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육각 프레임; 및
    상기 육각 프레임의 6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동 렉기어;를 포함하는,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둥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 바디;
    상기 육각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바디의 상부에 상기 육각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홈;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홈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육각 프레임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동 렉기어와 밀착되어 상기 육각 기둥을 제동시키는 제동부; 및
    상기 지지홈의 하측에 안착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신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육각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육각 프레임이 하강하여 압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상기 제동부로 공급하는 탄성 받침대;를 포함하는,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홈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동홈에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 받침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달받아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상기 육각 프레임 방향으로 전진시켜 주는 전진 실린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전면에 상기 제동 렉기어에 대응하는 형상의 밀착 렉기어를 형성하며, 상기 안착 플레이트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제동 렉기어와 밀착되어 상기 육각 프레임이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제동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체; 및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향하는 상기 제동 플레이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는 슬라이딩바아;를 포함하는,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받침대는,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육각 프레임을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지지홈의 하측에 안착되는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판의 상측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탱크; 및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상기 전진 실린더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전진 실린더로 전달하는 유체 공급관;을 포함하는,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
KR1020200006443A 2020-01-17 2020-01-17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 KR102351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443A KR102351480B1 (ko) 2020-01-17 2020-01-17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443A KR102351480B1 (ko) 2020-01-17 2020-01-17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937A KR20210092937A (ko) 2021-07-27
KR102351480B1 true KR102351480B1 (ko) 2022-01-13

Family

ID=77125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443A KR102351480B1 (ko) 2020-01-17 2020-01-17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4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5177B (zh) * 2022-07-07 2023-09-12 浙江迦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气缸抖袋用便拆卸抖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8551A (ja) * 2004-10-20 2006-05-11 Ben:Kk 配管用接続装置
KR200446941Y1 (ko) * 2009-07-06 2009-12-09 조용식 마루판 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받침대
KR101925866B1 (ko) * 2018-04-20 2018-12-06 (주)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내진성을 갖는 소방용 배관 어댑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823Y1 (ko) 1998-11-03 2002-04-22 오승일 배관파이프의연결구조
KR20180128613A (ko) * 2017-05-24 2018-12-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지지 장치
KR102063912B1 (ko) 2018-05-10 2020-01-08 김광태 그루브 조인트 연결용 cpvc 배관의 단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관통형 내진 배관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8551A (ja) * 2004-10-20 2006-05-11 Ben:Kk 配管用接続装置
KR200446941Y1 (ko) * 2009-07-06 2009-12-09 조용식 마루판 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받침대
KR101925866B1 (ko) * 2018-04-20 2018-12-06 (주)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내진성을 갖는 소방용 배관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937A (ko)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1480B1 (ko) 내진 기능을 구비한 배관 연결 장치
CN108548012B (zh) 一种单杆万向抗震支吊架
CN104040213A (zh) 隔震机构
KR101898209B1 (ko) 관 연결 고정장치
KR20160024890A (ko)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고정장치
CN106051314A (zh) 一种抗震支吊架
US6698733B1 (en) Hydraulic antivibration support
KR20160000689U (ko) 내진용 파이프 클램프장치
KR102330114B1 (ko) 통신 케이블 트레이 연결 구조
TW201736751A (zh) 阻尼器及具備該阻尼器之防傾倒裝置
CN204025934U (zh) 管道安装座及钻机
KR101948599B1 (ko) 소방용 배관의 내진 헹거장치
CN215445330U (zh) 管廊减震支架
CN214402261U (zh) 一种带负刚度自平衡式三维隔震系统
JPH0581580U (ja) 配管用防振器
KR200487550Y1 (ko) 내진용 유 클램프
EP3196503A1 (en) Shock absorber
US6357702B1 (en) Pipe guide apparatus and system for preventing non-axial pipe movement
US20190376627A1 (en) Responsive gib support structure
KR20230054935A (ko) 내진 및 면진용 체인 가대
CN217559272U (zh) 便于拆装的真空预压排水管
JPH11132365A (ja) 免震配管
CN212080021U (zh) 钢结构隔振支座
CN215522441U (zh) 一种管网装置
KR102369868B1 (ko) 다중 내진형 배관 거치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