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209B1 - 관 연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관 연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209B1
KR101898209B1 KR1020180044515A KR20180044515A KR101898209B1 KR 101898209 B1 KR101898209 B1 KR 101898209B1 KR 1020180044515 A KR1020180044515 A KR 1020180044515A KR 20180044515 A KR20180044515 A KR 20180044515A KR 101898209 B1 KR101898209 B1 KR 101898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upling
pipe
unit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태영
Original Assignee
한국안전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안전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안전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4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means of two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Abstract

건물에 상하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관을 감싸서 클램핑 하는 클램핑유닛과, 관에 수평이 벽면에 고정 결합되는 벽 고정브라켓 및, 일단은 클램핑유닛에 연결되고 벽 고정브라켓에 연결되며 관과 벽 사이의 간격에 따라서 기울기 변경이 가능한 연결대유닛을 포함하고, 클램핑유닛은 관을 감싸서 접촉 지지하는 내측면에 마찰부가 형성되는 가압부와, 가압부의 양단에 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를 가지는 한 쌍의 관 클램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내진 버팀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흔들림 방지 내진 버팀대{A SEISMIC SUPPORTER FOR PREVENTING FORM RUNOUT}
본 발명은 건물 내에 배관되는 관을 건물 벽에 대해 안정되게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흔들림 방지 내진 버팀대에 관한 것이다.
가령, 빌딩이나 아파트 또는 각종 공공건물 등의 내부에는 각자의 역할을 하는 다양한 파이프가 배관된다. 이를테면 환기용 배관이나 가스용 배관 또는 급배수용이나 오수 배관, 소방용 스프링클러 소화액 공급파이프 등의 파이프가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히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파이프는 건물의 천정에서 이격되도록 수평상태로 설치되거나, 측벽에서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파이프는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대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건물의 천정이나, 측벽 또는 바닥면에 대해 파이프를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특히, 최근에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지진 등의 발생시 파이프가 흔들리거나 자세 변경될 경우, 파이프의 손상으로 인하여 2차 사고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은 물론, 소화액 공급파이프의 손상시에는 화재발생시 정상적인 진화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9191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핸 창안된 것으로서, 건물에 배관 설치되는 관을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흔들림 방지 내진 버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흔들림 방지 내진 버팀대는, 건물에 상하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관을 감싸서 클램핑 하는 클램핑유닛; 상기 관에 수평이 벽면에 고정 결합되는 벽 고정브라켓; 및 일단은 상기 클램핑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벽 고정브라켓에 연결되며, 상기 관과 상기 벽 사이의 간격에 따라서 기울기 변경이 가능한 연결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관을 감싸서 접촉 지지하는 내측면에 마찰부가 형성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양단에 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를 가지는 한 쌍의 관 클램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종방향의 관을 건물 벽에 대해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한 쌍의 관 클램핑부재의 서로 접하는 결합부를 결합하는 체결볼트와 체결너트; 및 상기 한 쌍의 관 클램핑부재의 어느 하나의 결합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1결합판부와, 상기 제1결합판부의 상기 가압부에 접하는 부분에서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상기 연결대유닛에 연결되는 제2결합판부를 가지는 연결대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종방향의 관을 건물 벽에 대한 간격에 상관없이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관 클램핑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관을 접촉 지지하도록 상기 관 클램핑부재에 결합되는 고무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무패드의 내측면에는 마찰부가 돌출형성된 것이 좋다.
이로써, 클램핑부재와 관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켜서 관을 견고하게 클램핑하여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대유닛은,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연결대 몸체와, 상기 연결대 몸체의 일단에서 압착되어 가공된 제1압착결합부와, 상기 연결대 몸체의 타단에서 압착되어 가공된 제2압착결합부를 가지는 연결대; 상기 제1압착결합부와 상기 연결대 연결브라켓을 결합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벽 고정브라켓과 상기 제2압착결합부를 결합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연결대유닛의 자세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클램핑유닛과 벽 고정브라켓을 연결함으로써, 관과 벽 사이의 간격에 상관없이 관을 안정적으로 연결고정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흔들림 방지 내진 버팀대에 따르면, 종방향으로 배치된 관을 수직 벽면에 대해 안정적으로 연결 고정하여 관의 흔들림이나 떨림 등을 방지하여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연결대유닛의 자세 즉, 기울기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클램핑유닛과 벽 고정브라켓 사이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관과 벽 사이의 간격에 상관없이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클램핑유닛에 연결대 연결브라켓을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연결대유닛을 연결함으로써, 연결대유닛과 클램핑유닛 간의 연결 상태와 자세가 변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클램핑유닛에 고무패드를 설치하되, 마찰돌기를 구비하여 관과의 마찰력을 높여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무패드와 관 클램핑부재와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고무패드의 이탈이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방지 내진 버팀대를 나타내 보인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흔들림 방지 내진 버팀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흔들림 방지 내진 버팀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흔들림 방지 내진 버팀대에 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흔들림 방지 내진 버팀대에 관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흔들림 방지 내진 버팀대에 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상태에서 관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관 클램핑부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방지 내진 버팀대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클램핑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연결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관 클램핑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고무패드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고무패드의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방지 내진 버팀대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방지 내진 버팀대(100)는, 관 클램핑유닛(110)과, 벽 고정브라켓(120)과, 관 클램핑유닛(110)과 벽 고정브라켓(120)을 연결하는 연결대유닛(130)을 구비한다.
상기 관 클램핑유닛(110)은 한 상의 관 클램핑부재(111)와, 관 클램핑부재(111)의 양단을 각각 체결하기 위한 체결볼트(113)와 체결너트(114), 관 클램핑부재(111)에 결합되는 연결대 연결브라켓(115)을 구비한다.
관 클램핑부재(111)는 관의 외측을 감싸서 지지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가압부(111a)와, 가압부(111a)의 양단에서 판형으로 절곡 연장되는 결합부(111b)를 가진다. 결합부(111b)에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관 클램핑부재(111)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10)의 외측을 감싸도록 관(1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결합부(111b)를 체결볼트(113) 및 체결너트(114)로 체결하여 조립함으로써, 관(10)을 견고하게 클램핑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대 연결브라켓(115)은 한 쌍의 관 클램핑부재(111) 중에서 어느 하나의 결합부(111b)에 결합되는 제1결합판부(115a)와, 제1결합판부(115b)의 가압부(111a)에 접하는 부분에서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결합판부(115b)를 가진다. 제1 및 제2결합판부(115a,115b) 각각에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제1결합판부(115a,115b)는 관 클램핑부재(11)의 결합부(111b)에 겹쳐진 상태로 체결볼트(112)와 체결너트(113)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제2결합판부(115b)에도 체결공이 형성되어 연결대유닛(130)과 결합된다.
또한, 연결대 연결브라켓(115)은 제1 및 제2결합판부(115a,115b)의 경계를 이루는 절곡부에서 상기 가압부(111a)의 외측과 결합력을 강화하도록 용접 처리된 용접결합부(115c)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연결대 연결브라켓(115)을 클램핑유닛(110)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연결대 연결브라켓(115)에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편심된 힘이 전달되더라도 클램핑유닛(110)에 대해 연결대 연결브라켓(115)의 자세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벽 고정브라켓(120)은 건물의 벽면(20)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연결대유닛(13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특히 벽 고정브라켓(120)이 설치되는 벽면(20)은 관(10)이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장소에 위치한 것으로서, 관(10)과 벽면(20)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즉, 벽면(20)에 대해 관(20)이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이와 같이 배치된 관(10)을 지지하기 위해서 벽 고정브라켓(120)이 벽면(20)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벽 고정브라켓(120)은 벽면(20)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벽면 결합부(121)와, 벽면 결합부(121)에서 수직으로 절곡 연장된 연결대 결합부(123)를 가진다. 벽면 결합부(121)와 연결대 결합부(123) 각각에는 체결공이 형성되다. 벽면 결합부(121)는 앵커 볼트(30;도 7 참조) 등에 의해 벽면(20)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다.
상기 연결대유닛(130)은 클램핑유닛(110)과 벽 고정브라켓(120)은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10)과 벽면(20)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배치각도를 다양하게 하여 클램핑유닛(110)과 벽 고정브라켓(120)을 안정된 자세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대유닛(130)은 연결대(131)와, 제1체결부(133) 및 제2체결부(135)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대(131)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연결대 몸체(131a)와, 연결대 몸체(131a)의 일단에서 압착되어 가공된 제1압착결합부(131b)와, 연결대 몸체(131a)의 타단에서 압착되어 가공된 제2압착결합부(131c)를 가진다. 제1 및 제2압착결합부(131b,131c)는 연결대 몸체(131a)를 중심으로 양쪽에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판 형상으로 압착되어 형성된다. 제1압착결합부(131b)는 연결대 연결브라켓(115)의 제2결합판부(115b)와 겹쳐진 상태로 제1체결부(133)에 의해 결합된다. 제1체결부(133)는 체결볼트 및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압착결합부(131c)는 벽 고정브라켓(120)의 연결대 결합부(123)와 겹쳐진 상태로 제2체결부(135)에 의해 결합된다. 제2체결부(135)도 체결볼트 및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결합판부(115b,115c)는 관 형상의 연결대 몸체(115a)의 양단을 압착 가공하여 판 형상으로 가공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제1 및 제2결합판부(115b,115c)는 판형으로 압착 가공한 후, 모서리 부분을 라운드형상으로 절삭 내지 면취 가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결합판부(115b,115c)의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연결대(131)를 벽 고정브라켓(120)과 연결대 연결브라켓(115)에 연결할 때, 각도 조절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모서리 부분을 라운드지게 형성함으로써, 각도 조절시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지 않아도 되므로 벽 고정브라켓(120)과 연결대 연결브라켓(115)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품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게 되어 보관, 이송, 설치 등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설치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방지 내진 버팀대(10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유닛(110)을 이용하여 종방향(수직)으로 설치된 관(10)을 클램핑하도록 결합하고, 벽 고정브라켓(120)은 벽면(20)에 고정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연결대 유닛(130)을 이용하여 벽 고정브라켓(120)과 클램핑유닛(110)을 연결함으로써 관(10)을 벽(20)에 대해 안정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관(10)과 벽(20) 사이의 간격은 건물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연결대유닛(130)의 자세 즉,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한 후, 체결하면 되므로 관(10)과 벽(20)의 거리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관 클램핑부재(111)에 연결대 지지브라켓(115)이 일체로 결합된 구조의 클램핑유닛(110)을 이용하여 연결대유닛(130)과 연결하고, 연결대유닛(130)이 연결대(131)는 양단부를 압착하여 판형의 제1 및 제2체결부(131b,13c)를 가공하여 결합함으로써, 연결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연결 조립된 자세가 변경되지 않도록 유지시킬 수 있어 조립 상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유닛(110')의 다른 예로서, 관 클램핑부재(111)의 내측면에 마찰부(111c)가 구비된다. 상기 마찰부(111c)는 관 클램핑부재(111)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마찰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찰리브는 가압부(111a)의 내측면에 띠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복수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관(10)의 종방향에 대응되게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마찰리브는 관(10)을 가압하여 클램핑 할 때 마찰력을 높여 주어서, 클램핑유닛(110)과 관(10)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방지 내진 버팀대(100')에 따르면, 클램핑유닛(110')이 클램핑부재(111)에 결합되는 고무패드(117)를 더 구비하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 고무패드(117)는 관 클램핑부재(111)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감싸도록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 지지부(117a)와, 외측지지부(117b) 및 연결부(117c)를 가진다. 그리고 내측 지지부(117a)의 내측면 즉, 관(10)에 접하는 면에는 마찰부 즉, 마찰돌기(117d)가 띠 형태로 복수 돌출 형성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측 지지부(117a)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117e)가 형성된다. 이 결합돌기(117e)는 관 클램핑부재(111)의 가압부(111a)에 형성된 결합홀(h)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돌기(117e)가 결합홀(h)에 끼워지도록 결합되며, 고무패드(117)가 관 클램핑부재(111)에 대해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로 관(10)을 밀착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흔들림이나 진동 등의 발생시에도 고무패드(117)가 관 클램핑부재(111)로부터 미끄러져서 분리되지 않도록 유지시킬 수 있고, 큰 마찰력으로 관(10)을 안정되게 클램핑 하여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대(131')의 다른 예로서, 제1 및 제2체결부(131b)에는 보강용 압착판(132)이 더 구비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보강용 압착판(132)은 제2체결부(131b)를 관 형태에서 그 내부에 보강대(13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관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함께 압착 결합함으로써 제1 및 제2체결부(131a,131b)의 내부에 보강용 압착판(132)이 압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용 압착판(132)을 더 구비함으로써, 제1 및 제2체결부(131b,131c)의 두께를 늘릴 수 있고, 강도를 높여서 외력에 의해 변형되거나 절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유닛(110")은 클램핑부재들(111")의 내측면에 마찰부(119)를 구비하되, 상기 마찰부(119)는 소위 메쉬(mash)구조를 가지는 양각 메쉬패턴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클림핑부재들(111")의 관(10)에 접하는 내측면에 메쉬구조로 양각 메쉬패턴을 형성하게 되면, 관(10)에 대해서 상하 방향은 물론, 회전방향으로 마찰력을 증대시켜서 관(10)을 효과적으로 클램핑하여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고무패드(227)의 다른 예로서, 원통형의 패드 몸체(227a)와, 패드 몸체(227a)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 형성되는 결합부(227b)를 가진다. 결합부(227b)는 패드 몸체(227a)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클램핑부재(111)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이 압입되어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패드 몸체(227a) 내측면에는 마찰부 즉, 마찰돌기(227c)가 띠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된다.
상기 구성의 고무패드(227)는 클램핑부재(111)와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관(10)에 밀착되도록 하여 미끄럼을 방지하고 마찰력을 높여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클램핑부재에 마찰돌기가 형성되거나, 또는 고무패드에 마찰돌기가 형성된 것을 각각 설명하였으나, 클램핑부재에 마찰돌기게 형성된 상태에서 그 클램핑부재에 고무패드가 더 결합된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 경우 클램핑부재와 고무패드와의 결합마찰력을 높여서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관 20..벽
30..앵커볼트 100,100'..흔들림 방지 내진 버팀대
110,110'..클램핑유닛 111,111'..관 클램핑부재
112..체결볼트 113..체결너트
115..연결대 연결브라켓 117,,고무패드
120..벽 고정브라켓 130..연결대 유닛
131,131'..연결대 132..보강용 압착판
133..제1체결부 135..제2체결부

Claims (4)

  1. 건물에 상하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관을 감싸서 클램핑 하는 클램핑유닛;
    상기 관에 수평이 벽면에 고정 결합되는 벽 고정브라켓; 및
    일단은 상기 클램핑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벽 고정브라켓에 연결되며, 상기 관과 상기 벽면 사이의 간격에 따라서 기울기 변경이 가능한 연결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관을 감싸서 접촉 지지하는 내측면에 마찰부가 형성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양단에 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를 가지는 한 쌍의 관 클램핑부재;
    상기 한 쌍의 관 클램핑부재의 서로 접하는 결합부를 결합하는 체결볼트와 체결너트;
    상기 한 쌍의 관 클램핑부재의 어느 하나의 결합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1결합판부와, 상기 제1결합판부의 상기 가압부에 접하는 부분에서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상기 연결대유닛에 연결되는 제2결합판부를 가지는 연결대 연결브라켓; 및
    상기 관 클램핑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관을 접촉 지지하도록 상기 관 클램핑부재에 결합되고, 내측면에는 마찰부가 돌출 형성된 고무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대유닛은,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연결대 몸체와, 상기 연결대 몸체의 일단에서 압착되어 가공된 제1압착결합부와, 상기 연결대 몸체의 타단에서 압착되어 가공된 제2압착결합부를 가지는 연결대;
    상기 제1압착결합부와 상기 연결대 연결브라켓을 결합하는 제1체결부;
    상기 벽 고정브라켓과 상기 제2압착결합부를 결합하는 제2체결부;
    상기 제1 및 제2압착결합부 각각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 압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 압착판은 상기 제1 및 제2압착결합부를 관 형태에서 압착하여 가공할 때, 내부 관을 끼워넣어 함께 압착 결합하여 상기 제1 및 제2압착결합부의 내부에 압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는 상기 관 클램핑부재의 내측면을 접촉 지지하는 내측 지지부와, 상기 관 클램핑부재의 외측을 접촉 지지하는 외측 지지부 및 상기 내측 지지부와 외측 지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관 클램핑부재의 테두리를 접촉하여 감싸는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내측 지지부의 상기 관에 접하는 내측면에는 마찰돌기가 복수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측 지지부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관 클램핑부재의 가압부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홀에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상기 고무패드가 상기 관 클램핑부재에 대해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로 상기 관을 밀착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고정장치.
  4. 삭제
KR1020180044515A 2018-04-17 2018-04-17 관 연결 고정장치 KR101898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515A KR101898209B1 (ko) 2018-04-17 2018-04-17 관 연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515A KR101898209B1 (ko) 2018-04-17 2018-04-17 관 연결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209B1 true KR101898209B1 (ko) 2018-09-12

Family

ID=6359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515A KR101898209B1 (ko) 2018-04-17 2018-04-17 관 연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20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899B1 (ko) * 2019-07-11 2020-02-20 국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지하주차장 소화배관 밴드
US20200316740A1 (en) * 2019-04-05 2020-10-08 Fanuc Corporation Holder and machine tool
KR20210001448A (ko) 2019-06-28 2021-01-06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소방내진 버팀대
CN112709885A (zh) * 2021-01-06 2021-04-27 西南石油大学 一种基于螺纹的带压油管补漏装置
KR102253778B1 (ko) * 2020-03-03 2021-05-18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고주파 및 저주파 저감 클램프
CN113846780A (zh) * 2021-10-15 2021-12-28 安徽福瑞尔铝业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组合搭接组件的建筑幕墙及其搭接工艺
KR102398730B1 (ko) * 2021-10-26 2022-05-17 (주)양수금속 저층고용 종/횡방향 겸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CN112709885B (zh) * 2021-01-06 2024-05-17 西南石油大学 一种基于螺纹的带压油管补漏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953Y1 (ko) * 2004-01-20 2004-04-01 박순복 배관지지장치
KR200389191Y1 (ko) 2005-04-04 2005-07-08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CN104315255A (zh) * 2014-09-30 2015-01-28 深圳优力可科技有限公司 一种抗震连接基件和抗震连接支架组合结构
KR101685879B1 (ko) * 2016-06-03 2016-12-13 김기영 관부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953Y1 (ko) * 2004-01-20 2004-04-01 박순복 배관지지장치
KR200389191Y1 (ko) 2005-04-04 2005-07-08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CN104315255A (zh) * 2014-09-30 2015-01-28 深圳优力可科技有限公司 一种抗震连接基件和抗震连接支架组合结构
KR101685879B1 (ko) * 2016-06-03 2016-12-13 김기영 관부재 고정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16740A1 (en) * 2019-04-05 2020-10-08 Fanuc Corporation Holder and machine tool
KR20210001448A (ko) 2019-06-28 2021-01-06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소방내진 버팀대
KR102079899B1 (ko) * 2019-07-11 2020-02-20 국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지하주차장 소화배관 밴드
KR102253778B1 (ko) * 2020-03-03 2021-05-18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고주파 및 저주파 저감 클램프
CN112709885A (zh) * 2021-01-06 2021-04-27 西南石油大学 一种基于螺纹的带压油管补漏装置
CN112709885B (zh) * 2021-01-06 2024-05-17 西南石油大学 一种基于螺纹的带压油管补漏装置
CN113846780A (zh) * 2021-10-15 2021-12-28 安徽福瑞尔铝业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组合搭接组件的建筑幕墙及其搭接工艺
KR102398730B1 (ko) * 2021-10-26 2022-05-17 (주)양수금속 저층고용 종/횡방향 겸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209B1 (ko) 관 연결 고정장치
CN110520662B (zh) 水平配管4方向支撑装置
JP4241827B2 (ja) フランジを用いた管継手装置
KR101685879B1 (ko) 관부재 고정장치
KR101822333B1 (ko) 방진 및 소음발생 방지용 지지구조물
KR101872080B1 (ko)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KR100574745B1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101923630B1 (ko) 유볼트 타입 내진용 입상관 버팀대
KR20130044906A (ko) 배관용 클램프 및 브래킷 장치
JP6021248B2 (ja) ハンガー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吊り天井の下地構造
KR100966884B1 (ko) 휨기능이 향상된 환봉지지연결구
KR200392716Y1 (ko) 스프링클러 리듀서 장착장치
JP6067992B2 (ja) 天井構造
JP2001304335A (ja) 防振台
KR101898620B1 (ko) 물탱크의 내진 클램핑장치
JP4049433B2 (ja) 配管ダクト
KR101304495B1 (ko)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나사 잠금 방식 파이프 연결장치
CN210829649U (zh) 压缩机的减振组件和空调器
KR20200046929A (ko) 협소한 공간에 설치 가능한 배관용 흔들림 방지버팀대
JP7330445B2 (ja) 配管支持具
CN215670123U (zh) 用于h型钢梁的装配式抱箍装置
JP7454845B2 (ja) 天井取付金具
JP2002089889A (ja) 圧縮機用防振ゴム
KR200245679Y1 (ko) 건축배관 지지장치
KR102060885B1 (ko) 조립식 핸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