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971B1 -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971B1
KR102350971B1 KR1020180015141A KR20180015141A KR102350971B1 KR 102350971 B1 KR102350971 B1 KR 102350971B1 KR 1020180015141 A KR1020180015141 A KR 1020180015141A KR 20180015141 A KR20180015141 A KR 20180015141A KR 102350971 B1 KR102350971 B1 KR 102350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plate
temperature
temperature value
operation mode
batter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5756A (ko
Inventor
남진무
고요한
최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15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971B1/ko
Priority to EP19751325.2A priority patent/EP3671944A4/en
Priority to US16/619,816 priority patent/US11289753B2/en
Priority to PCT/KR2019/000050 priority patent/WO2019156352A1/ko
Priority to CN201980003622.0A priority patent/CN110915060B/zh
Priority to JP2019571207A priority patent/JP6927476B2/ja
Publication of KR20190095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01M10/63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eversible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e.g. NTC, PTC or bimetal devices; characterised by control of the internal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ells, e.g. by sw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9Fluids undergoing a liquid-gas phase change or transition, e.g. evaporation or conden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9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heat storage or buffering, e.g. heat capacity or liquid-solid phase changes or tran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조절 장치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외측 표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냉각 플레이트;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상기 외측 표면에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제1 축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1 온도값을 기초로,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1 위치로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이송부에게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2 위치로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이송부에게 출력한다.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로 이동 시,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미리 정해진 최대 면적으로 상기 외측 표면에 접촉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시,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상기 최대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상기 외측 표면에 접하거나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상기 외측 표면으로부터 분리된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배터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배터리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배터리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배터리는 니켈 계열의 배터리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배터리 모듈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배터리 셀 및 케이스를 포함한다. 특히, 전기 자동차에 탑재되는 고전압 배터리 모듈은 충방전 시에 많이 열이 발생하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구조가 큰 관심사가 되고 있다.
종래기술 중 하나인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케이스 및 히트 싱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의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된 상태에서, 히트 싱크가 케이스의 하면에 직접 접촉된다. 배터리의 열이 케이스와 히트 싱크를 통해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배터리의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히트 싱크와 같은 열 전달 구조물이 케이스에 항상 일정한 면적만큼 접촉되도록 제공되면, 경우에 따라서는 오히려 배터리의 효율적인 사용을 방해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는 적정 온도 범위에서 충방전 효율이 높아지는데, 히트 싱트로 인해 배터리의 온도가 적정 온도 범위까지 상승하는 데에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다른 예로, 히트 싱크의 지나치게 온도가 높은 경우, 히트 싱크로부터의 열이 배터리로 전달되어 배터리가 과열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7792호(공개일자: 2017년 9월 2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 모듈의 사용 환경에 따라 배터리 모듈을 선택적으로 열 전달 구조물에 접촉시킴으로써,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외측 표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냉각 플레이트;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상기 외측 표면에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제1 축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1 온도값을 기초로,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1 위치로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이송부에게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2 위치로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이송부에게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로 이동 시,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미리 정해진 최대 면적으로 상기 외측 표면에 접촉된다.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시,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상기 최대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상기 외측 표면에 접하거나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상기 외측 표면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상변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표면은,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1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상기 외측 표면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2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로 이동 시, 상기 복수의 제2 돌기들은, 상기 복수의 제1 돌기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1 돌기들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2 온도값을 더 기초로, 상기 제1 동작 모드 및 상기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값이 상기 제2 온도값보다 크고, 상기 제1 온도값과 상기 제2 온도값 간의 차이가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i)상기 제1 온도값이 상기 제2 온도값 이하인 경우 또는 (ii) 상기 제1 온도값이 상기 제2 온도값보다 크고, 상기 제1 온도값과 상기 제2 온도값 간의 차이가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온도값 및 상기 제2 온도값을 기초로, 이송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이송 거리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간의 간격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상기 제1 축과는 다른 제2 축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은, 상기 온도 조절 장치; 및 상기 온도 조절 장치에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냉각 플레이트, 제1 이송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온도 조절 장치를 이용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1 온도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온도값을 기초로,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제1 축을 따라 제1 위치로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이송부에게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상기 제1 축을 따라 제2 위치로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이송부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로 이동 시,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미리 정해진 최대 면적으로 상기 외측 표면에 접촉된다.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시,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상기 최대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상기 외측 표면에 접하거나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상기 외측 표면으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배터리 모듈의 사용 환경에 따라 배터리 모듈을 선택적으로 열 전달 구조물에 접촉시킴으로써,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A방향에서 바라본 배터리 모듈과 냉각 플레이트가 서로 접촉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8은 도 1 및 도 2와 관련된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1 및 도 2와 관련된 다른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3 및 도 4와 관련된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5 및 도 6과 관련된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를 나머지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그러한 용어들에 의해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제어 유닛>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시스템(1)은, 배터리 모듈(10) 및 온도 조절 장치(20)를 포함한다. 배터리 모듈(10)은, 케이스(11) 및 케이스(11)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13)을 포함한다.
온도 조절 장치(20)는, 배터리 모듈(10)을 선택적으로 냉각시킴으로써, 배터리 모듈(10)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배터리 모듈(10)은, 예컨대 전기 자동차의 차체에 볼트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온도 조절 장치(20)는, 냉각 플레이트(100), 제1 이송부(21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온도 조절 장치(20)는, 선택적으로 제1 온도 센서(21) 및 제2 온도 센서(22)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 플레이트(100)는, 배터리 모듈(10)의 케이스(11)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외측 표면(12)은, 냉각 플레이트(100)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케이스(11)의 일부분을 지칭한다. 냉각 플레이트(100)는, 케이스(110) 및 열 전달 물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열 전달 물질(120)은, 케이스(110) 내에 충진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상변화 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과 같이 일정 수준 이상의 열 전도율을 가져 외측 표면으로부터의 열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일 수 있다.
제1 이송부(210)는, 냉각 플레이트(100)에 결합되고, 제어부(300)로부터의 명령에 응답하여 냉각 플레이트(100)를 x-축을 따라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x-축은, 예컨대 지면에 수직한 축일 수 있다.
제1 이송부(210)는, 제1 액츄에이터(211), 제1 기어(212) 및 제2 기어(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츄에이터(211)는, 예컨대 스텝 모터일 수 있고, 제1 기어(212)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기어(212)는, 제2 기어(213)에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제2 기어(213)는, 제1 기어(212)의 회전 운동을 x-축 상에서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제1 기어(212)는 피니언 기어이고 제2 기어(213)는 랙 기어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어(213)의 일측은 냉각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바, 제1 기어(212)의 회전량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냉각 플레이트(100)와 외측 표면 간의 거리가 x-축을 따라 소정 범위 내에서 변화할 수 있다. 제1 이송부(210)는, 냉각 플레이트(100)를 x-축을 따라서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y-축에 따른 냉각 플레이트(100)의 이동은 제한된다. y-축은, 예컨대 지면에 평행한 축일 수 있다.
제어부(30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00)에는 메모리가 내장될 수 있다. 메모리에는, 후술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 이송부(210)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선택적으로, 제어부(300)는, 제1 온도 센서(21) 및 제2 온도 센서(22) 중 적어도 하나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온도 센서(21)는, 배터리 모듈(10)의 케이스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어, 배터리 모듈(10)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1 온도 신호(T1)를 제어부(300)에게 전송한다. 제2 온도 센서(22)는, 냉각 플레이트(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어, 냉각 플레이트(100)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2 온도 신호(T2)를 제어부(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 온도 신호(T1)를 기초로 제1 온도값을 결정하고, 제2 온도 신호(T2)를 기초로 제2 온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소정 시간마다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될 때마다, 제1 온도값 및 제2 온도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동작 모드는 냉각 플레이트(100)를 외측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모드이고, 제2 동작 모드는 냉각 플레이트(100)를 외측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모드이다.
제어부(300)는, 제1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냉각 플레이트(100)를 x-축을 따라 제1 위치로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1 제어 신호(S1)를 제1 이송부(210)에게 출력한다. 냉각 플레이트(100)가 제1 위치로 이동 시, 냉각 플레이트(100)의 소정 지점 P의 xy 좌표는 (x1, y1)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플레이트(100)가 제1 위치로 이동 시, 냉각 플레이트(100)는 미리 정해진 최대 면적으로 외측 표면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냉각 플레이트(100)와 외측 표면 간의 접촉 부분을 통해, 배터리 모듈(10)로부터 냉각 플레이트(100)로의 열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제어부(300)는, 제2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냉각 플레이트(100)를 x-축을 따라 제2 위치로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2 제어 신호(S2)를 제1 이송부(210)에게 출력한다. 냉각 플레이트(100)가 제2 위치로 이동 시, 냉각 플레이트(100)의 소정 지점 P의 좌표는 (x2, y1)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플레이트(100)가 제2 위치로 이동 시, 냉각 플레이트(100)와 외측 표면은 비접촉(즉, 분리)된다. 즉, 냉각 플레이트(100)는 제2 위치에서 외측 표면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따라, 냉각 플레이트(100)와 외측 표면 간의 직접적인 열 교환이 차단된 상태가 된다. 이때, 냉각 플레이트(100)와 외측 표면 간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2 동작 모드가 선택됨과 동시에 또는 그 다음에, 제2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위치는 냉각 플레이트(100)가 외측 표면에 접촉되는 미리 정해진 고정된 위치인 반면, 제2 위치는 제1 온도값 및 제2 온도값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위치이다. 제어부(300)는, 제1 온도값 및 제2 온도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제1 이송 거리(ΔX1)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ΔX1는 x2-x1 또는 x1-x2와 동일하다. 즉, 제1 이송 거리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간의 간격을 나타낸다. 제어부(300)는, 제1 위치로부터 x-축을 따라 제1 이송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을 상기 제2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2 제어 신호(S2)는, 냉각 플레이트(100)가 제1 위치로부터 x-축을 따라 제1 이송 거리만큼 외측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냉각 플레이트(100)를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1)을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온도 조절 장치(20)는, 냉각 플레이트(100), 제2 이송부(22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온도 조절 장치(20)는, 선택적으로 제1 온도 센서(21) 및 제2 온도 센서(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와 비교할 때, 제1 이송부(210)가 제2 이송부(220)로 대체된다는 점에서만 상이하므로, 공통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이송부(220)는, 냉각 플레이트(100)에 결합되고, 냉각 플레이트(100)를 y-축을 따라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y-축은 x-축과 소정 각도(예, 직각)를 이룬다.
제2 이송부(220)는, 제2 액츄에이터(221), 제3 기어(222) 및 제4 기어(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액츄에이터(221)는, 예컨대 스텝 모터일 수 있고, 제3 기어(222)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제3 기어(222)는, 제4 기어(223)에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제4 기어(223)는, 제3 기어(222)의 회전 운동을 y-축 상에서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제3 기어(222)는 피니언 기어이고 제4 기어(223)는 랙 기어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기어(223)는 냉각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바, 냉각 플레이트(100)와 외측 표면 간의 접촉 면적은 제3 기어(222)의 회전량에 따라 소정 범위 내에서 변화할 수 있다. 제2 이송부(220)는, 냉각 플레이트(100)를 y-축을 따라서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x-축에 따른 냉각 플레이트(100)의 이동은 제한된다.
제어부(300)는, 제2 이송부(220)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어부(300)는, 소정 시간마다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될 때마다, 제1 온도값 및 제2 온도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3 동작 모드 및 제4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3 동작 모드는 냉각 플레이트(100)를 외측 표면에 최대로 접촉시키기 위한 모드이고, 제4 동작 모드는 냉각 플레이트(100)와 외측 표면 간의 접촉 면적을 제3 동작 모드에서의 접촉 면적보다 감소시키기 위한 모드이다.
제어부(300)는, 제3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냉각 플레이트(100)를 y-축을 따라 제3 위치로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3 제어 신호(S3)를 제2 이송부(220)에게 출력한다. 예컨대, 제3 위치는, 전술한 제1 위치와 동일할 수 있다. 냉각 플레이트(100)가 제3 위치로 이동 시, 냉각 플레이트(100)의 소정 지점 P의 xy 좌표는 (x1, y1)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플레이트(100)가 제3 위치로 이동 시, 냉각 플레이트(100)와 외측 표면 간의 접촉 면적이 최대가 된다. 이에 따라, 냉각 플레이트(100)와 외측 표면 간의 접촉 부분을 통해, 배터리 모듈(10)로부터 냉각 플레이트(100)로의 열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제어부(300)는, 제4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냉각 플레이트(100)를 y-축을 따라 제4 위치로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4 제어 신호(S4)를 제2 이송부(220)에게 출력한다. 냉각 플레이트(100)가 제4 위치로 이동 시, 냉각 플레이트(100)의 소정 지점 P의 좌표는 (x1, y2)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플레이트(100)가 제4 위치로 이동 시, 냉각 플레이트(100)와 외측 표면 간의 접촉 면적이 줄어든다. 이에 따라, 제4 동작 모드에서는, 제3 동작 모드에서보다 외측 표면로부터 냉각 플레이트(100)로의 열 전달이 약화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4 동작 모드가 선택됨과 동시에 또는 그 다음에, 제4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위치는 냉각 플레이트(100)가 외측 표면에 최대로 접촉되는 미리 정해진 고정된 위치인 반면, 제4 위치는 제1 온도값 및 제2 온도값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위치이다. 제어부(300)는, 제1 온도값 및 제2 온도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제2 이송 거리(ΔY1)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ΔY1는 y2-y1 또는 y1-y2와 동일하다.
제어부(300)는, 제3 위치로부터 y-축을 따라 제2 이송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을 제4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4 제어 신호(S4)는, 냉각 플레이트(100)가 제3 위치로부터 y-축을 따라 제2 이송 거리만큼 외측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냉각 플레이트(100)를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1)을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온도 조절 장치(20)는, 냉각 플레이트(100), 제3 이송부(230), 제4 이송부(24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온도 조절 장치(20)는, 선택적으로 제1 온도 센서(21) 및 제2 온도 센서(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와 비교할 때, 제1 이송부(210)가 제3 이송부(230)로 대체되고, 제2 이송부(220)가 제4 이송부(240)로 대체된다는 점에서만 상이하므로, 공통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이송부(230)는, 냉각 플레이트(100)에 결합되고, 냉각 플레이트(100)를 x-축을 따라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제3 이송부(230)는, 제3 액츄에이터(231) 및 제1 피스톤(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액츄에이터(231)는, 예컨대 유압 실린더일 수 있고, 제1 피스톤(232)을 x축을 따라 소정 범위 내에서 왕복 직선 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스톤(232)의 일측은 냉각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바, 냉각 플레이트(100)와 외측 표면 간의 x-축 거리가 소정 범위 내에서 변화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1 및 도 2의 제1 이송부(210)는 제3 이송부(230)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제4 이송부(240)는, 제3 이송부(230)를 통해 냉각 플레이트(100)에 결합되고, 냉각 플레이트(100)를 y-축을 따라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제4 이송부(240)는, 제4 액츄에이터(241) 및 제2 피스톤(2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액츄에이터(241)는, 예컨대 유압 실린더일 수 있고, 제2 피스톤(242)을 y-축을 따라 소정 범위 내에서 왕복 직선 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참고적으로, 도 3 및 도 4의 제2 이송부(220)는 제4 이송부(240)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제어부(300)는, 제3 이송부(230) 및 제4 이송부(240)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어부(300)는, 소정 시간마다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될 때마다, 제1 온도값 및 제2 온도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5 동작 모드 및 제6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5 동작 모드는 제3 동작 모드와 동일하게 냉각 플레이트(100)를 외측 표면에 최대로 접촉시키기 위한 모드이고, 제6 동작 모드는 제2 동작 모드와 같이 냉각 플레이트(100)를 외측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냉각 플레이트(100)와 외측 표면 간의 접촉 면적을 제5 동작 모드에서의 접촉 면적보다 감소시키기 위한 모드이다.
제어부(300)는, 제5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냉각 플레이트(100)를 x-축과 y-축을 따라 제5 위치로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5 제어 신호(S5)를 제3 이송부(230) 및 제4 이송부(240)에게 출력한다. 예컨대, 제5 위치는, 전술한 제1 위치와 동일할 수 있다. 냉각 플레이트(100)가 제5 위치로 이동 시, 냉각 플레이트(100)의 소정 지점 P의 xy 좌표는 (x1, y1)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플레이트(100)가 제5 위치로 이동 시, 냉각 플레이트(100)와 외측 표면 간의 접촉 면적이 최대가 된다.
제어부(300)는, 제6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냉각 플레이트(100)를 x-축과 y-축을 따라 제6 위치로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6 제어 신호(S6)를 제2 이송부(220)에게 출력한다. 냉각 플레이트(100)가 제6 위치로 이동 시, 냉각 플레이트(100)의 소정 지점 P의 좌표는 (x3, y3)일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6 동작 모드가 선택됨과 동시에 또는 그 다음에, 제6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5 위치는 냉각 플레이트(100)가 외측 표면에 최대로 접촉되는 미리 정해진 고정된 위치인 반면, 제6 위치는 제1 온도값 및 제2 온도값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위치이다. 제어부(300)는, 제1 온도값 및 제2 온도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제3 이송 거리(ΔX2)와 제4 이송 거리(ΔY2)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ΔX2는 x3-x1 또는 x1-x3와 동일하고, ΔY2는 y3-y1 또는 y1-y3와 동일하다. 제어부(300)는, 제5 위치로부터 x-축을 따라 제3 이송 거리만큼 이격되고 y-축을 따라 제4 이송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을 제6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위치, 제3 위치 및 제5 위치는 서로 동일할 수 있으며, '기준 위치'라고 칭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A방향에서 바라본 배터리 모듈(10)과 냉각 플레이트(100)가 서로 접촉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7을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10)의 외측 표면은 복수의 제1 돌기들(D1)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제1 돌기(D1)는, 외측 표면으로부터 냉각 플레이트(100)를 향하여 소정의 형상과 크기로 돌출된다. 각 제1 돌기(D1)는, y-축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곧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외측 표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냉각 플레이트(100)는 복수의 제2 돌기들(D2)을 포함한다. 각 제2 돌기(D2)는, 냉각 플레이트(100)의 외측 표면에 대향하는 일면으로부터 외측 표면을 향하여 소정의 형상과 크기로 돌출된다. 각 제2 돌기(D2)는, y-축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곧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돌기들(D1)과 복수의 제2 돌기들(D2)은 외측 표면과 냉각 플레이트(100) 간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한 것이다.
냉각 플레이트(100)가 기준 위치로 이동 시, 각 제2 돌기(D2)는 복수의 제1 돌기들(D1) 중 인접한 두 제1 돌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1 돌기들(D1)과 복수의 제2 돌기들(D2)이 서로 접촉된다.
도 8는 도 1 및 도 2와 관련된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800에서, 제어부(300)는, 제1 온도 센서(21)로부터의 제1 온도 신호(T1)를 기초로, 배터리 모듈(10)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1 온도값을 결정한다.
단계 S810에서, 제어부(300)는, 제1 온도값이 미리 정해진 제1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810의 결과가 "YES"인 경우, 단계 S820이 진행된다. 단계 S810의 결과가 "NO"인 경우, 단계 S840이 진행된다.
단계 S820에서, 제어부(300)는, 제1 동작 모드를 선택한다.
단계 S830에서, 제어부(300)는, 냉각 플레이트(100)를 x-축을 따라 제1 위치로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1 제어 신호(S1)를 제1 이송부(210)에게 출력한다. 제1 이송부(210)의 제1 액츄에이터(211)는, 제1 제어 신호(S1)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냉각 플레이트(100)가 제1 위치로 이동 시, 냉각 플레이트(100)는 미리 정해진 최대 면적으로 외측 표면에 접촉된다.
단계 S840에서, 제어부(300)는, 제2 동작 모드를 선택한다.
단계 S850에서, 제어부(300)는, 냉각 플레이트(100)를 x-축을 따라 제2 위치로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2 제어 신호(S2)를 제1 이송부(210)에게 출력한다. 제1 이송부(210)의 제1 액츄에이터(211)는, 제2 제어 신호(S2)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냉각 플레이트(100)가 제2 위치로 이동 시, 냉각 플레이트(100)는 외측 표면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9는 도 1 및 도 2와 관련된 다른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900에서, 제어부(300)는, 제1 온도 센서(21)로부터의 제1 온도 신호(T1)를 기초로, 배터리 모듈(10)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1 온도값을 결정한다.
단계 S905에서, 제어부(300)는, 제2 온도 센서(22)로부터의 제2 온도 신호(T2)를 기초로, 냉각 플레이트(100)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2 온도값을 결정한다.
단계 S910에서, 제어부(300)는, 제1 온도값이 제2 온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910의 결과가 "YES"인 경우, 단계 S920가 진행된다. 단계 S910의 결과가 "NO"인 경우, 단계 S940이 진행된다.
단계 S920에서, 제어부(300)는, 제1 동작 모드를 선택한다.
단계 S930에서, 제어부(300)는, 냉각 플레이트(100)를 x-축을 따라 제1 위치로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1 제어 신호(S1)를 제1 이송부(210)에게 출력한다. 제1 이송부(210)의 제1 액츄에이터(211)는, 제1 제어 신호(S1)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냉각 플레이트(100)가 제1 위치로 이동 시, 냉각 플레이트(100)는 미리 정해진 최대 면적으로 외측 표면에 접촉된다.
단계 S940에서, 제어부(300)는, 제2 동작 모드를 선택한다.
단계 S950에서, 제어부(300)는, 냉각 플레이트(100)를 x-축을 따라 제2 위치로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2 제어 신호(S2)를 제1 이송부(210)에게 출력한다. 제1 이송부(210)의 제1 액츄에이터(211)는, 제2 제어 신호(S2)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냉각 플레이트(100)가 제2 위치로 이동 시, 냉각 플레이트(100)는 외측 표면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10은 도 3 및 도 4와 관련된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S1000에서, 제어부(300)는, 제1 온도 센서(21)로부터의 제1 온도 신호(T1)를 기초로, 배터리 모듈(10)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1 온도값을 결정한다.
단계 S1005에서, 제어부(300)는, 제2 온도 센서(22)로부터의 제2 온도 신호(T2)를 기초로, 냉각 플레이트(100)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2 온도값을 결정한다.
단계 S1010에서, 제어부(300)는, 제1 온도값이 제2 온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010의 결과가 "YES"인 경우, 단계 S1015가 진행된다. 단계 S1010의 결과가 "NO"인 경우, 단계 S1040이 진행된다.
단계 S1015에서, 제어부(300)는, 제1 온도값과 제2 온도값 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제2 임계값보다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015의 결과가 "YES"인 경우, 단계 S1020가 진행된다. 단계 S1015의 결과가 "NO"인 경우, 단계 S1040이 진행된다.
단계 S1020에서, 제어부(300)는, 제3 동작 모드를 선택한다.
단계 S1030에서, 제어부(300)는, 냉각 플레이트(100)를 y-축을 따라 제3 위치로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3 제어 신호(S3)를 제2 이송부(220)에게 출력한다. 제2 이송부(220)의 제2 액츄에이터(221)는, 제3 제어 신호(S3)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냉각 플레이트(100)가 제3 위치로 이동 시, 냉각 플레이트(100)는 미리 정해진 최대 면적으로 외측 표면에 접촉된다.
단계 S1040에서, 제어부(300)는, 제4 동작 모드를 선택한다.
단계 S1050에서, 제어부(300)는, 냉각 플레이트(100)를 y-축을 따라 제4 위치로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4 제어 신호(S4)를 제2 이송부(220)에게 출력한다. 이때, 제3 위치와 제4 위치 간의 간격은, 제1 온도값과 제2 온도값 간의 차이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이송부(220)의 제2 액츄에이터(221)는, 제4 제어 신호(S4)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냉각 플레이트(100)가 제4 위치로 이동 시, 냉각 플레이트(100)는 상기 최대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외측 표면에 접촉된다.
도 11은 도 5 및 도 6와 관련된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S1100에서, 제어부(300)는, 제1 온도 센서(21)로부터의 제1 온도 신호(T1)를 기초로, 배터리 모듈(10)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1 온도값을 결정한다.
단계 S1105에서, 제어부(300)는, 제2 온도 센서(22)로부터의 제2 온도 신호(T2)를 기초로, 냉각 플레이트(100)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2 온도값을 결정한다.
단계 S1110에서, 제어부(300)는, 제1 온도값이 제2 온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110의 결과가 "YES"인 경우, 단계 S1115가 진행된다. 단계 S1110의 결과가 "NO"인 경우, 단계 S1140이 진행된다.
단계 S1115에서, 제어부(300)는, 제1 온도값과 제2 온도값 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제3 임계값보다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3 임계값은, 제2 임계값과 동일할 수 있다. 단계 S1115의 결과가 "YES"인 경우, 단계 S1120가 진행된다. 단계 S1115의 결과가 "NO"인 경우, 단계 S1140이 진행된다.
단계 S1120에서, 제어부(300)는, 제5 동작 모드를 선택한다.
단계 S1130에서, 제어부(300)는, 냉각 플레이트(100)를 x-축 및 y-축을 따라 제5 위치로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5 제어 신호(S5)를 제3 이송부(230) 및 제4 이송부(240)에게 출력한다. 제3 이송부(230)의 제3 액츄에이터(231)와 제4 이송부(240)의 제4 액츄에이터(241) 각각은, 제5 제어 신호(S5)에 응답하여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냉각 플레이트(100)가 제5 위치로 이동 시, 냉각 플레이트(100)는 미리 정해진 최대 면적으로 외측 표면에 접촉된다.
단계 S1140에서, 제어부(300)는, 제6 동작 모드를 선택한다.
단계 S1150에서, 제어부(300)는, 냉각 플레이트(100)를 y-축을 따라 제6 위치로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6 제어 신호(S6)를 제3 이송부(230) 및 제4 이송부(240)에게 출력한다. 제3 이송부(230)의 제3 액츄에이터(231)와 제4 이송부(240)의 제4 액츄에이터(241) 각각은, 제6 제어 신호(S6)에 응답하여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냉각 플레이트(100)가 제6 위치로 이동 시, 냉각 플레이트(100)는 상기 최대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외측 표면에 접촉되거나, 외측 표면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0: 배터리 모듈
12: 외측 표면
20: 온도 조절 장치
21: 제1 온도 센서
22: 제2 온도 센서
100: 냉각 플레이트
210: 제1 이송부
220: 제2 이송부
230: 제3 이송부
240: 제4 이송부
300: 제어부

Claims (11)

  1.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의 외측 표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냉각 플레이트;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상기 외측 표면에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제1 축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1 온도값 및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2 온도값을 기초로,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미리 정해진 최대 면적으로 상기 외측 표면에 접촉되는 제1 위치로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이송부에게 출력하고,
    상기 제2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온도값 및 상기 제2 온도값을 기초로 이송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상기 외측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이송 거리만큼 이격되는 제2 위치로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이송부에게 출력하는, 온도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온도 조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표면은,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1 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상기 외측 표면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2 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로 이동 시, 상기 복수의 제2 돌기들은, 상기 복수의 제1 돌기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1 돌기들에 접촉되는, 온도 조절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값이 상기 제2 온도값보다 크고, 상기 제1 온도값과 상기 제2 온도값 간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온도 조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i)상기 제1 온도값이 상기 제2 온도값 이하인 경우 또는 (ii) 상기 제1 온도값이 상기 제2 온도값보다 크고, 상기 제1 온도값과 상기 제2 온도값 간의 차이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온도 조절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상기 제1 축과는 다른 제2 축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이송부;
    를 더 포함하는, 온도 조절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온도 조절 장치; 및
    상기 온도 조절 장치에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을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11. 냉각 플레이트,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제1 축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이송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온도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1 온도값 및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2 온도값을 기초로,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미리 정해진 최대 면적으로 상기 배터리 모듈의 외측 표면에 접촉되는 제1 위치로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이송부에게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온도값 및 상기 제2 온도값을 기초로 이송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상기 외측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이송 거리만큼 이격되는 제2 위치로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이송부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도 조절 방법.
KR1020180015141A 2018-02-07 2018-02-07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50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141A KR102350971B1 (ko) 2018-02-07 2018-02-07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19751325.2A EP3671944A4 (en) 2018-02-07 2019-01-02 BATTERY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METHOD
US16/619,816 US11289753B2 (en) 2018-02-07 2019-01-02 Apparatus and method for battery temperature control
PCT/KR2019/000050 WO2019156352A1 (ko) 2018-02-07 2019-01-02 배터리의 온도를 조절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201980003622.0A CN110915060B (zh) 2018-02-07 2019-01-02 用于电池温度控制的设备和方法
JP2019571207A JP6927476B2 (ja) 2018-02-07 2019-01-02 バッテリーの温度を調節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141A KR102350971B1 (ko) 2018-02-07 2018-02-07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756A KR20190095756A (ko) 2019-08-16
KR102350971B1 true KR102350971B1 (ko) 2022-01-12

Family

ID=6754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141A KR102350971B1 (ko) 2018-02-07 2018-02-07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89753B2 (ko)
EP (1) EP3671944A4 (ko)
JP (1) JP6927476B2 (ko)
KR (1) KR102350971B1 (ko)
CN (1) CN110915060B (ko)
WO (1) WO20191563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49873A (zh) * 2021-04-28 2022-10-28 恒大新能源技术(深圳)有限公司 汇流排、电池模组及动力电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7357A (ja) * 2006-08-09 2008-02-21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車両のバッテリ温度調整装置
WO2014156991A1 (ja) * 2013-03-29 2014-10-02 日本碍子株式会社 熱スイッチ、温度調整構造、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9882A (ja) * 1996-01-22 1997-07-31 Topcon Corp 温度制御装置
JP3726743B2 (ja) * 2001-11-26 2005-12-14 日本電気株式会社 熱抵抗制御装置
KR100806582B1 (ko) * 2006-07-07 200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료 전지의 선택적 스택 단열장치
JP2008135191A (ja) 2006-10-23 2008-06-12 Toyota Motor Corp 冷却装置及び車両
JP2008204762A (ja) 2007-02-20 2008-09-04 Toyota Motor Corp 電源装置
JP4648351B2 (ja) 2007-03-30 2011-03-0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伝熱シートおよび放熱構造体
KR101021114B1 (ko) * 2008-11-14 2011-03-14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차량 구동용 배터리 냉각장치
KR101057556B1 (ko) * 2010-02-03 2011-08-1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JP2012248299A (ja) 2011-05-25 2012-12-13 Sanyo Electric Co Ltd バッテリモジュール、バッテリシステム、電動車両、移動体、電力貯蔵装置および電源装置
JP5648583B2 (ja) * 2011-05-26 2015-01-07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及び電気自動車
JP2013037919A (ja) * 2011-08-09 2013-02-21 Aisin Seiki Co Ltd バッテリ温度調整装置
DE102014100420A1 (de) * 2014-01-15 2015-07-30 Hans Kunstwadl Passive Temperaturregelung von Akkus durch zweiphasen Wärmetransport und -speicherung
FR3037000B1 (fr) 2015-06-02 2021-09-24 Saint Gobain Isover Membrane multicouche
KR102172515B1 (ko) 2016-03-16 2020-10-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7357A (ja) * 2006-08-09 2008-02-21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車両のバッテリ温度調整装置
WO2014156991A1 (ja) * 2013-03-29 2014-10-02 日本碍子株式会社 熱スイッチ、温度調整構造、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71944A4 (en) 2021-01-06
CN110915060A (zh) 2020-03-24
US20200136211A1 (en) 2020-04-30
JP2020524883A (ja) 2020-08-20
CN110915060B (zh) 2023-04-18
JP6927476B2 (ja) 2021-09-01
KR20190095756A (ko) 2019-08-16
US11289753B2 (en) 2022-03-29
EP3671944A1 (en) 2020-06-24
WO2019156352A1 (ko) 2019-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9156B2 (en) Battery module structural integration
CN110178263B (zh) 具有改进的温度控制性能的电池组
CN107408650B (zh) 用于二次电池的单体盖和包括该单体盖的电池模块
JP6456508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KR101950031B1 (ko)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진 쿨링 핀들의 배열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102625202B1 (ko) 배터리 모듈
JP7102020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JP6462003B2 (ja) 安全性及び作動寿命が向上し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KR102112716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110061160B (zh) 电池模块
KR101496523B1 (ko) 배터리 셀의 방열판
US20140360207A1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of battery for electric vehicle
KR102350971B1 (ko)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589016B2 (ja) 電池モジュール
JP7137014B2 (ja) 電気化学エネルギ蓄積セル
KR20160147565A (ko) 배터리 셀 냉각장치
KR101795703B1 (ko)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220081027A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2115511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09438B1 (ko) 배터리 모듈
KR102591062B1 (ko) 배터리 열화 밸런싱 장치 및 방법
KR101860065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2009117086A (ja) 温度調節機構
JP6787725B2 (ja) 車両用電池パック
JP2005078837A (ja) パック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