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974B1 - 학원 홍보물 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학원 홍보물 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974B1
KR102349974B1 KR1020210029822A KR20210029822A KR102349974B1 KR 102349974 B1 KR102349974 B1 KR 102349974B1 KR 1020210029822 A KR1020210029822 A KR 1020210029822A KR 20210029822 A KR20210029822 A KR 20210029822A KR 102349974 B1 KR102349974 B1 KR 102349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er
lecture
academy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호재
Original Assignee
유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호재 filed Critical 유호재
Priority to KR1020210029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9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for generating compari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 및 복수의 이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의 학원 정보 제공 방법은, 복수의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학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이용자의 단말기 중 제1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학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복수의 학원에 대한 정보를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제1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학원 중 제1 학원에서 제공하는 수업에 대한 수강 신청을 위한 수강 신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제1 이용자에 대한 수강 현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제1 이용자에 대한 수강 현황 정보를 제1 이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강 현황 정보는 출결 현황, 학업 성적, 학업 성적 분석에 따른 추천 수업 및 진로 상담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학원 홍보물 제공 서비스 제공방법{A Method of providing the school promotional material provision service}
본 발명은 학원 홍보물 제공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날이 갈수록 높아짐에 따라 학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학원에 대한 수강정보 및 수강후기는 학부모 또는 수강생들의 지역 오프라인 커뮤니티에서 주로 공유되므로 정보 접근성이 여전히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특히, 대형 학원은 자체 온라인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으나, 중소 규모 학원의 경우 자체 온라인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가지고 있더라도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가 대다수이므로 수강생 간의 정보격차가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다.
또한, 중소 규모 학원은 지역사회에 오프라인으로 종이 전단지를 배포하는 방법 외에는 학원 정보를 알릴 수 있는 방안이 마땅치 않으며, 종이 전단지를 배포하더라도 보관성이 높지 않아 홍보 효과를 얻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또한, 중소규모 학원의 경우 학부모 또는 수강생이 학원을 직접 방문하여 오프라인으로 수강신청 해야 한다는 문제를 안고 있으며, 학부모 또는 수강생이 여러 개의 학원에서 수강하기를 원하는 경우 일일이 전부 다 방문해서 수강신청을 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하나의 학원에서 여러가지 과목을 동시에 수강하면 학원 정책에 따라 학원비 할인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가 있으나, 여러 개의 학원에서 여러 과목을 동시 수강하는 경우에는 할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42656호(2020.04.24)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학부모와 수험생이 학원의 수강정보 및 수강후기를 손쉽게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학부모와 수험생이 학원의 수강신청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소규모 학원의 홍보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기 다른 학원에 수강 신청을 하더라도, 하나의 패키지 상품으로 할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복수의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 및 복수의 이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의 학원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학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이용자의 단말기 중 제1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학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학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학원 중 제1 학원에서 제공하는 수업에 대한 수강 신청을 위한 수강 신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이용자에 대한 수강 현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1 이용자에 대한 수강 현황 정보를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강 현황 정보는 출결 현황, 학업 성적, 학업 성적 분석에 따른 추천 수업 및 진로 상담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는 상기 제1 이용자가 선호하는 강의와 관련된 우선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수신된 복수의 학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학원 중 상기 제1 이용자가 선호할 것으로 추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학원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학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우선 정보 간의 연관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연관도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학원을 배열하는 단계, 상기 연관도의 크기에 따라 배열된 복수의 학원 중 기 설정된 순위까지의 학원을 상기 제1 이용자가 선호할 것으로 추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학원으로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학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우선 정보는 과목, 지역, 거리 및 수강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학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복수의 학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학원에 대한 학원 홍보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복수의 학원 홍보물을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학원에 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학원의 위치, 규모, 사진, 수강료, 강사진 및 복수의 학원에서 진행되는 강의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학원 홍보물은, 온라인 전단지, 동영상 및 학업 성취 리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강 신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학원 중 상기 제1 학원이 선택되면, 상기 제1 학원에 대해 수강 신청을 할 수 있는 수강 신청 UI를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수강 신청 UI를 통해 입력된 상기 수강 신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의 상기 제1 학원에 대한 수강 신청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가 지불한 수강료 중 기 정의된 비율의 금액을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 및 복수의 이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의 학원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학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이용자 단말기 중 제1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학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학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학원 중 제1 학원에서 제공하는 서로 다른 과목에 대한 연계 수강 신청을 위한 수강 신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에 상기 연계 수강 신청을 위한 수강 신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강 신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학원이 제공하는 제1과목에 대한 제1 강의 및 제2 과목에 대한 제2 강의에 대한 연계 수강 신청을 위한 수강 신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강 신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강의 및 상기 제2강의에 대한 연계 수강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강의 및 상기 제2강의에 대한 연계 수강 신청을 위한 수강 신청 정보를 상기 제1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학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1 강의 및 상기 제2 강의에 대한 연계 수강 신청이 승인되면,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상기 제1강의 및 상기 제2강의가 포함된 연계 패키지 리스트를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용자의 강의 일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학원이 제공하는 강의 중 상기 제1 이용자가 추가적으로 수강할 수 있는 강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강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학원이 제공하는 제1과목에 대한 제1강의 및 상기 복수의 학원 중 제2 학원이 제공하는 제2 과목에 대한 제3강의에 대한 연계 수강 신청을 위한 수강 신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에 상기 제1 강의에 대한 수강 신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에 상기 제3강의에 대한 수강 신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제2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강 신청 요청에 대응하여 승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강의 및 상기 제3 강의가 포함된 연계 패키지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원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복수의 학원 각각이 제공하는 복수의 과목의 강의를 개별적으로 수강 신청하는 개별 수강 신청 및 연계해서 수강 신청하는 연계 수강 신청 간의 비교 정보를 상기 복수의 이용자의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비교 정보에 기초하여 연계 강의를 추천하는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이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정보는, 수강료 차이, 수강생의 과목별 학업 성취도 차이 및 수강생의 출석률 차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학부모와 수험생이 학원의 수강정보 및 수강후기를 손쉽게 조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학부모와 수험생이 학원의 수강신청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소규모 학원의 홍보 효과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기 다른 학원에 수강 신청을 하더라도, 하나의 패키지 상품으로 할인 서비스를 제공받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원 정보 제공 방법의 제어 플로우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원 정보 제공 방법에 따라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우선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자에게 학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플로우에서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화면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계 강의 수강 신청하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홍보물을 등록하는 방식의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예 다른, 도 9의 플로우에서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서버(S), 복수의 이용자의 단말기(A) 및 복수의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B)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S)는 복수의 이용자의 단말기(A) 및 복수의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B)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란 학원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수혜자인 학생 또는 학부모가 될 수 있으며, 학원 관리자는 이용자에게 강의를 제공하는 학원을 관리하는 주체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서버(S)는 서버(S)와 통신 연결된 별도의 단말기를 통해 서버(S) 관리자에 의해 관리 또는 제어될 수 있다.
도 1에는 이용자 단말기(A) 및 학원 관리자 단말기(B)가 하나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복수 개일 수 있다.
여기서, 각 단말기(A,B) 및 서버(S)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단말기(A,B) 및 서버(S)는 유,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를 포함하는 일체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각 단말기(A,B) 및 서버(S)는 인터넷에 통해 각기 통신 연결될 수 있는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각 단말기(A,B) 및 서버(S)는 넓게는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보드와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장치, 모니터 및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장치, 모뎀이나 LAN 등과 같은 송수신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나 그래픽 카드와 같은 처리장치 및 이들을 운용하거나 제어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탑재한 저장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로, 각 단말기(A,B) 및 서버(S)는 개인 통신 단말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단말기, 개인 디지털 셀룰러 단말기(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폰(Smart Phone), 텔레매틱스(Telematics),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기 및/또는 휴대 인터넷 단말,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Notebook), 서버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서버(S)의 개별 구성들을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서버(S)는 통신부(81), 메모리(82) 및 프로세서(83)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S)에는 통상의 기술자의 관점에서 각종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81)는 네트워크를 통해 각 단말기(A,B)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81)는 다양한 종류의 무선 통신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82)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83)는 메모리(8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버(S)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83)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S)는 학원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구현하기 위한 전용 시스템 및 유무선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가상 파일 기반의 웹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원 정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복수의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는 서버(S)에 각자 학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복수의 학원 중 제1학원의 관리자 단말기(B)가 학원에 대한 정보를 서버(S)에 전송할 수 있다(S1). 학원에 대한 정보는 학원의 위치, 학원에서 제공하는 강의에 대한 정보(예로, 수강료, 강사진, 과목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이용자 단말기 중 제1 이용자 단말기(A)가 학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서버(S)에 전송할 수 있다(S2). 서버(S)는 복수의 학원에 대한 정보를 제1 이용자 단말기(A)에 제공할 수 있다(S3).
제1 이용자 단말기(A)는 복수의 학원 중 제1 학원을 선택할 수 있다(S4). 그리고, 제1 이용자 단말기(A)는 제1 학원에서 제공하는 수업에 대한 수강 신청 정보를 서버(S)에 전송할 수 있다(S5). 수강 신청 정보에는 수강을 신청하는 학생 또는 학부모의 이름, 전화 번호, 재학중인 학교, 나이 및 문의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용자로부터 복수의 학원 중 제1 학원이 선택되면, 서버(S)는 제1 학원에 대해 수강 신청을 할 수 있는 수강 신청 UI를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S)는 제1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수강 신청 UI를 통해 입력된 수강 신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이용자 단말기의 제1 학원에 대한 수강 신청이 완료되면, 서버(S)는 제1 이용자 단말기가 지불한 수강료 중 기 정의된 비율의 금액을 취득할 수 있다.
이 후, 서버(S)는 제1 이용자 단말기(A)로부터 수신된 수강 신청 정보를 제1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B)에 전송할 수 있다(S6).
이후, 제1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B)는 서버(S)에 제1 이용자의 수강 현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7). 서버(S)는 수강 현황 정보를 제1 이용자 단말기(A)에 전송할 수 있다(S8). 한편, 제1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B)는 수강 현황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주기적으로 서버(S)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S)는 제1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B)로부터 수신되는 수강 현황 정보를 제1 이용자 단말기(A)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수강 현황 정보는 출결 현황, 학업 성적, 학업 성적 분석에 따른 추천 수업, 학업 성취 리포트 및 진로 상담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제1 이용자 단말기(A)는 수강 후기를 서버(S)에 업로드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원 정보 제공 방법에 따라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 단말기에는 복수의 학원 중 선호하는 학원을 검색하기 위한 UI 화면(11)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는 UI 화면(11) 상에 선호하는 지역(111) 또는 과목(112)을 입력하여 복수의 학원 중 선호하는 학원을 검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는 UI 화면(12) 상에 선호하는 학원/지역명(121)을 입력하여 선호하는 학원을 검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용자는 UI 화면(12) 상에서 이용자의 현 위치와 가까운 지하철 역(122)을 선택하고, 선택된 지하철 역(122)의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학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는 UI 화면(13) 상에 다양한 우선 정보(예로, 관심 과목, 학원 수강료 범위, 이용자의 나이, 이용자의 현 위치를 기준으로 학원의 위치, 학원의 특징 정보)를 입력하여 선호하는 학원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는 UI 화면(13) 중 관심 과목(131), 학원 수강료 범위(132), 이용자의 나이(133), 이용자의 현 위치를 기준으로 학원의 위치(134), 학원의 특징 정보(135)를 입력하여 선호하는 학원을 검색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서버(S)가 이용자로부터 입력된 우선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선호하는 학원을 검색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서버(S)는 우선 정보가 포함된 학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1). 즉, T1은 도 3의 S2 단계에서 제1 이용자 단말기(A)가 요청 신호와 우선 정보를 함께 전송한 경우를 설명하는 것이다. 우선 정보는 예로, 이용자의 나이, 과목, 지역, 거리 및 수강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S)는 복수의 학원에 대한 정보와 우선 정보 간의 연관도를 산출할 수 있다(T2). 즉, 서버(S)는 복수의 학원에 대한 정보와 제1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우선 정보 간의 관련된 정도를 산출함으로써, 복수의 학원에 대한 정보와 우선 정보 간의 연관도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용자의 자택 위치를 기준으로 제1 학원이 제2 학원보다 거리적으로 가까운 경우, 제1 학원에 대응되는 연관도는 제2 학원에 대응되는 연관도보다 높은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서버(S)는 산출된 연관도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학원을 배열할 수 있다(T3). 그리고, 서버(S)는 연관도의 크기에 따라 배열된 복수의 학원 중 기 설정된 순위까지의 학원을 제1 이용자가 선호할 것으로 추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학원으로 식별할 수 있다(T4). 그리고, 서버(S)는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적어도 하나의 학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용자는 보다 본인의 니즈에 맞는 학원에 대한 정보를 우선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플로우에서 이용자 단말기가 제공받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용자는 입력한 우선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학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UI(14)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서버(S)는 복수의 학원 중 제1 이용자로부터 입력된 우선 정보의 유형 별로 연관도가 높은 학원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선 정보(142) 유형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서버(S)는 복수의 학원 중 선택된 유형의 연관도가 높은 학원에 대한 정보(141)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용자는 수강한 강의에 대한 수강 후기를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용자는 다른 이용자가 수강한 강의에 대한 수강 후기(15)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용자는 제공받은 복수의 학원 중 적어도 하나의 학원을 선택하고, 선택된 학원이 수집된 즐겨 찾기 UI(16)를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즐겨 찾기 UI에는 제1 이용자가 선택한 학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용자는 수강 신청 UI (17)상에 수강 신청 정보(예로, 나이, 전화번호, 나이 등)(171)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수강 신청 UI(17)는 수강 신청 정보를 선택한 학원에 전송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172)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용자는 강의 평가 UI (18)상에 강의 평가 점수(181)를 입력할 수 있다. 강의 평가 점수(181) 목록에는 수업 이해도, 시설 만족도, 강사 만족도, 상담 만족도, 교통 접근성 및 주변 추천 의향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수강 신청 UI(17)에는 강의 평가 코멘트를 입력할 수 있는 UI(182)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수강 신청UI(17)에는 강의 평가 점수 및 강의 평가 코멘트를 이에 대응되는 학원에 전송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183)가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도 7은 연계 강의 수강 신청하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제1 이용자는 제1 학원이 제공하는 강의 중 제1 과목에 대한 제1 강의를 선택할 수 있다(P1). 서버(S)는 제1 학원이 제공하는 복수의 과목의 강의를 개별적으로 수강 신청하는 개별 수강 신청 및 연계해서 수강 신청하는 연계 수강 신청 간의 비교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P2).
개별 수강 신청과 연계 수강 신청 간의 비교정보는, 예로, 개별 수강 신청했을 때와 연계 수강 신청했을 때의 수강료 차이, 수강생의 과목별 학업 성취도 차이 및 수강생의 출석률 차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버(S)는 제1 강의를 개별적으로 수강 신청했을 때와 제1 강의를 다른 강의와 연계해서 수강 신청했을 때의 차이 즉, 비교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서버(S)는 비교 정보를 제1 이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P3). 그리고, 서버(S)는 비교 정보에 기초하여 연계 강의를 추천하는 메시지를 제1 이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P4). 예를 들어, 비교 정보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제1 강의를 수강 신청하는 것보다 제1 강의와 다른 강의를 연계하여 수강 신청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식별되는 경우(예로, 수강료가 저렴하거나, 학업 성취도가 높거나, 출석률이 높다고 식별되는 경우), 서버(S)는 제1 강의와 다른 강의를 연계하여 수강 신청하는 것을 추천한다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버(S)는, 비교 정보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수강하는 것보다 연계하여 하나의 패키지로 수강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식별되면, 연계하여 하나의 패키지로 수강 신청하는 것을 추천하는 메시지 및 비교 정보를 제1 이용자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이용자는 제공받은 비교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강의와 다른 강의를 연계하여 연계 수강 신청할 수 있다(P5).
즉, 본 개시의 서버(S)는 복수의 학원 각각이 제공하는 복수의 과목의 강의를 개별적으로 수강 신청하는 개별 수강 신청 및 연계해서 수강 신청하는 연계 수강 신청 간의 비교 정보를 복수의 이용자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로, 서버(S)는 제1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학원이 제공하는 제1과목에 대한 제1강의 및 복수의 학원 중 제2 학원이 제공하는 제2 과목에 대한 제3강의에 대한 연계 수강 신청을 위한 수강 신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서버(S)는 제1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서로 다른 학원에서 제공하는 강의에 대해 연계 수강 신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S)는 제1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에 제1 강의에 대한 수강 신청 정보를 전송하고, 제2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에 제3강의에 대한 수강 신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S)는, 제1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 및 제2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강 신청 요청에 대응하여 승인 요청이 수신되면, 제1 강의 및 제3 강의가 포함된 연계 패키지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연계 패키지 리스트에 대한 정보는 강의를 연계로 들었을 때 장점(예를 들어, 강의료의 할인 비율)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계 강의 수강 신청하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제1 이용자의 단말기는 제1 학원에서 제공하는 제1 과목의 제1 강의를 선택할 수 있다(K1). 제1 이용자의 단말기는 제1 학원에서 제공하는 제2 과목의 제2 강의를 선택할 수 있다(K2).
서버(S) 제1 강의와 제2 강의의 연계 수강이 가능한지 여부를 조회할 수 있다(K3). 예로, 서버(S)는 제1 강의 및 제2 강의를 연계해서 수강하더라도 강의 시간이 충돌하지 않는지 여부 등을 조회할 수 있다.
제1 강의와 제2 강의의 연계 수강이 가능한 것으로 조회되면, 서버(S)는 제1 용자 단말기에 연계 수강이 가능하다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K7).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제1 강의 및 제2 강의에 대한 연계 수강 신청이 승인되면, 서버(S)는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제1강의 및 제2강의가 포함된 연계 패키지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연계 패키지 리스트에 대한 정보는 제1 강의 및 제2 강의를 연계에서 수강할 경우의 장점(예를 들어, 강의료 할인 비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1 강의와 제2 강의의 연계 수강이 가능하지 않는 것으로 조회되면, 서버(S)는 연계가 가능한 강의에 대한 정보를 제1 이용자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K5). 제1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연계가 가능한 강의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서버(S)는 선택된 연계가 가능한 강의를 연계 패키지 강의로 등록할 수 있다(K6).
서버(S)는 강의를 개별적으로 수강할 때와 연계해서 들었을 때의 비교 정보를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K8). 제1 이용자 단말기는 연계 수강 신청할 수 있다(K9).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홍보물을 등록하는 방식의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복수의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 중 제1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B)는 서버(S)에 학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Q1). 서버(S)는 수신된 제1 학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학원에 대한 홍보물을 생성할 수 있다(Q2).
복수의 학원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학원의 위치, 규모, 사진, 수강료, 강사진 및 진행된 강의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학원에서 진행된 강의와 관련된 정보는 학원에서 진행된 강의에 대한 강의 코멘트 및 진행된 강의를 수강한 학생의 학업 성취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학원 홍보물은, 온라인 전단지, 동영상 및 학업 성취 리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S)에는 학원 홍보물을 생성하기 위한 기 정의된 템플릿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서버(S)는 수신된 제1 학원에 대한 정보를 기 정의된 템플릿에 매칭하여 자동으로 제1 학원에 대한 홍보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기 정의된 템플릿은 서버(S)의 관리자에 의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기 정의된 템플릿에는 기 정의된 사이즈의 문서 중 제1 영역에는 학원에 대한 정보 중 제1 유형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2 영역에는 학원에 대한 정보 중 제2 유형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S)는 제1 학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학원을 찾아가기 위한 약도를 기 정의된 사이즈의 문서 중 제1 영역에 생성시켜 표시하고, 제1 학원의 강사진에 대한 정보를 기 정의된 사이즈의 문서 중 제2 영역에 생성시켜 표시함으로써 제1 학원에 대한 홍보물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버(S)는 제1 학원에서 진행되는 강의와 관련된 학업 성취도에 대한 정보를 기 정의된 사이즈의 문서 중 제3 영역에 생성시켜 표시함으로써 제1 학원에 대한 홍보물을 생성할 수 있다. 학업 성취도에 대한 정보는 추후 생성될 수 있는 학업 성취도 항목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부분은 Q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이용자 단말기(A)는 학원의 홍보물에 대한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Q3). 서버(S)는 서버(S)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학원에 대한 홍보물 및 복수의 학원으로부터 수신된 홍보물을 제1 이용자 단말기(A)에 제공할 수 있다(Q4). 제1 이용자 단말기(A)는 복수의 홍보물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홍보물을 저장할 수 있다(Q5).
제1 이용자 단말기(A)는 복수의 홍보물 중 하나에 대응되는 학원에 대해 수강 신청할 수 있다(Q6). Q7 및 Q8은 도 3의 S6 및 S7 각각과 동일한 단계인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서버(S)는 제1 학원의 단말기(B)로부터 수신된 수강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기 업로드된 제1 학원에 대한 홍보물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Q9). 제1 학원의 단말기(B)가 주기적으로 수강 현황 정보를 서버(S)에 전송할 경우, 서버(S)는 주기적으로 기업로드된 제1 학원의 홍보물을 수강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S)는 제1 학원의 홍보물 중 수강 현황 정보를 입력되는 부분에 수신된 수강 현황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이용자는 서버(S)에 의해 수강 현황 정보가 업데이트된 제1 학원의 홍보물을 조회할 수 있다.
서버(S)는 제1 이용자 단말기(A)에 제1 학원의 단말기(B)로부터 수신된 수강 현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Q10). 제1 이용자 단말기(A)는 제1 학원에서 수강하였던 수업에 대한 수강 후기 정보를 서버(S)에 입력할 수 있다(Q11).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단말기가 제공받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용자의 단말기는 홍보물을 쉽게 검색하기 위한 UI(21)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이용자의 단말기는 선호하는 지역/과목(211)을 입력하거나 관심있는 과목(212)를 입력하여 선호하는 학원에 대한 홍보물을 서버(S)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용자의 단말기는 홍보물을 쉽게 검색하기 위한 UI(22)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이용자의 단말기는 선호하는 지역/과목(221)을 입력하여 선호하는 학원에 대한 홍보물을 서버(S)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이용자의 단말기는 복수의 지역(222)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특정 지역에 위치한 학원의 홍보물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용자 단말기 검색 결과에 따른 복수의 학원에 대한 홍보물(S23)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용자 단말기는 복수의 학원에 대한 홍보물 중 선택된 홍보물을 열람할 수 있는 즐겨 찾기 UI(24)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청구된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되거나 균등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효과라도, 본 발명은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이 다른 효과를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간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따라 종래기술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용자 단말기 A 학원 관리자 단말기 B
서버 S

Claims (1)

  1. 복수의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 및 복수의 이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학원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학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이용자의 단말기 중 제1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학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학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학원 중 제1 학원에서 제공하는 수업에 대한 수강 신청을 위한 수강 신청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이용자에 대한 수강 현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제1 이용자에 대한 수강 현황 정보를 상기 제1 이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강 현황 정보는
    출결 현황, 학업 성적, 학업 성적 분석에 따른 추천 수업 및 진로 상담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학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복수의 학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학원에 대한 학원 홍보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상기 생성된 복수의 학원 홍보물을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학원에 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학원의 위치, 규모, 사진, 수강, 강사진 및 상기 복수의 학원에서 진행된 강의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학원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학원 중 제1 학원에서 제공하는 서로 다른 과목에 대한 연계 수강 신청을 위한 수강 신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에 상기 연계 수강 신청을 위한 수강 신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계 수강 신청을 위한 수강 신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학원이 제공하는 제1 과목에 대한 제1 강의 및 제2 과목에 대한 제2 강의의 연계 수강 신청을 위한 수강 신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연계 수강 신청을 위한 수강 신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강의 및 상기 제2 강의에 대한 연계 수강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강의 및 상기 제2 강의에 대한 연계 수강 신청을 위한 수강 신청 정보를 상기 제1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1 강의 및 상기 제2 강의에 대한 연계 수강 신청이 승인되면,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상기 제1 강의 및 상기 제2 강의가 포함된 연계 패키지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용자의 강의 일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학원이 제공하는 강의 중 상기 제1 이용자가 추가적으로 수강할 수 있는 강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강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계 수강 신청을 위한 상기 수강 신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학원 각각이 제공하는 복수의 과목의 강의를 개별적으로 수강 신청하는 개별 수강 신청 및 연계해서 수강 신청하는 연계 수강 신청 간의 비교 정보와, 상기 비교 정보에 기초하여 연계 강의를 추천하는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이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 정보는,
    수강료 차이, 수강생의 과목별 학업 성취도 차이 및 수강생의 출석률 차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학원 홍보물은,
    온라인 전단지 및 학업 성취 리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학업 성취 리포트는 ,
    상기 복수의 학원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한 수강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학원 중 상기 제1 학원에 대한 학원 홍보물 중 상기 온라인 전단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는, 기 저장된 템플릿 중 제1 영역에 상기 제1 학원에 대한 정보 중 제1 유형의 정보를 포함시키고 제2 영역에 상기 제1 학원에 대한 정보 중 제2 유형의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제1 학원에 대한 온라인 전단지를 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생성된 복수의 학원 홍보물을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가 상기 서버에 상기 복수의 학원의 홍보물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학원으로부터 수신된 홍보물 및 상기 서버에 의해 생성된 홍보물을 상기 제1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210029822A 2020-12-21 2021-03-08 학원 홍보물 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KR102349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822A KR102349974B1 (ko) 2020-12-21 2021-03-08 학원 홍보물 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172A KR102299232B1 (ko) 2020-12-21 2020-12-21 학원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10029822A KR102349974B1 (ko) 2020-12-21 2021-03-08 학원 홍보물 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172A Division KR102299232B1 (ko) 2020-12-21 2020-12-21 학원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974B1 true KR102349974B1 (ko) 2022-01-10

Family

ID=777826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172A KR102299232B1 (ko) 2020-12-21 2020-12-21 학원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10029822A KR102349974B1 (ko) 2020-12-21 2021-03-08 학원 홍보물 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172A KR102299232B1 (ko) 2020-12-21 2020-12-21 학원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992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2950A (ko) 2022-03-10 2023-09-19 상유미 학습자 성향과 학습 목표을 기반으로 한 교육업체 추천 서비스 및 그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097B1 (ko) * 2007-03-27 2008-06-10 에이치에스베어링 주식회사 새로운 시대의 교육자 평가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104007A (ko) * 2012-03-12 2013-09-25 윤덕기 학원관리시스템과 연계한 학생관찰시스템과 일정 관리를 통한 학습 관리 방법
KR20160063473A (ko) * 2014-11-26 2016-06-07 이재근 서비스 중계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맹점 등록 방법
KR20180110802A (ko) * 2017-03-30 2018-10-11 이동욱 학원비 할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88374A (ko) * 2018-01-02 2019-07-26 주식회사 나우위고 일정 연계 기반의 학원 사회 관계망 형성 방법 및 장치
KR20200042656A (ko) 2018-10-16 2020-04-24 배찬호 단계별 강사평가에 의한 강사추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776A (ko) * 2004-01-02 2005-07-08 주식회사 에듀메카 네트워크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 신청 서비스 방법
KR100778005B1 (ko) * 2006-03-07 2007-11-2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 단말을 통한 코스 코디네이터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097B1 (ko) * 2007-03-27 2008-06-10 에이치에스베어링 주식회사 새로운 시대의 교육자 평가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104007A (ko) * 2012-03-12 2013-09-25 윤덕기 학원관리시스템과 연계한 학생관찰시스템과 일정 관리를 통한 학습 관리 방법
KR20160063473A (ko) * 2014-11-26 2016-06-07 이재근 서비스 중계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맹점 등록 방법
KR20180110802A (ko) * 2017-03-30 2018-10-11 이동욱 학원비 할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88374A (ko) * 2018-01-02 2019-07-26 주식회사 나우위고 일정 연계 기반의 학원 사회 관계망 형성 방법 및 장치
KR20200042656A (ko) 2018-10-16 2020-04-24 배찬호 단계별 강사평가에 의한 강사추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232B1 (ko) 202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3606B2 (en) Automatic determination of user alignments and recommendations for electronic resources
JP2019028647A (ja) 研修情報提供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5800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identifying and presenting matching user profiles to a user
US20170053299A1 (en) System and methods for effectively taking surveys using mobile devices
US20130179440A1 (en) Identifying individual intentions and determining responses to individual intentions
US20140342340A1 (en) Content creation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CN104504597A (zh) 学习平台的知识商城管理系统及方法
US20170346823A1 (en) Network of trusted users
JP201912514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0332161B2 (en) Retrieving reviews based on user profile information
JP701259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576468B1 (ko) 방과후학교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방과후학교 관리방법
KR102349974B1 (ko) 학원 홍보물 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KR102520397B1 (ko) 메신저 기반의 맞춤형 여행 서비스 제공 플랫폼 장치
US20210029217A1 (en) Communication support device, communication support method, and program
KR102011255B1 (ko) 수업 매칭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수업 매칭 방법
KR102071133B1 (ko) 커뮤니티 기반의 운동예약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KR101409396B1 (ko) 실시간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2249676A1 (ja) プログラム、方法、情報処理装置
KR20220089631A (ko) 학원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KR20150123013A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장치
KR20220108534A (ko) 분야별 전문가 상담 매칭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 및 이를 서비스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2211084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Public Library Association 2020 Public library technology survey: summary report
KR102572443B1 (ko) 학생과 교육업체를 연결하는 플랫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