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198B1 -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인 포피라334 대량생산을 위한 정제방법 - Google Patents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인 포피라334 대량생산을 위한 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198B1
KR102348198B1 KR1020190161168A KR20190161168A KR102348198B1 KR 102348198 B1 KR102348198 B1 KR 102348198B1 KR 1020190161168 A KR1020190161168 A KR 1020190161168A KR 20190161168 A KR20190161168 A KR 20190161168A KR 102348198 B1 KR102348198 B1 KR 102348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phyra
anode
chamber
purification method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1218A (ko
Inventor
모상현
이정훈
서효현
장성주
삭 이
신동선
오승택
정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Priority to KR1020190161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198B1/ko
Publication of KR20210071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7/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7/28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from natural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7/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7/3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227/40Separation; Pu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07C229/0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amino and one carboxyl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C07C229/1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amino and one carboxyl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the nitrogen atom of the amino group being further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29/1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amino and one carboxyl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the nitrogen atom of the amino group being further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to carbon atoms of carbon skeletons containing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인 포피라334 대량생산을 위한 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포피라334(porphyra334)가 함유된 해조류 추출물 현탁액에 직류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현탁액 내에서 음전하를 띄는 포피라334를 양극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포피라334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정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인 포피라334 대량생산을 위한 정제방법{Purification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Mycosporine-like amino acid porphyra334}
본 발명은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인 포피라334 대량생산을 위한 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포피라334(porphyra334)가 함유된 해조류 추출물 현탁액에 직류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현탁액 내에서 음전하를 띄는 포피라334를 양극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포피라334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정제할 수 있는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인 포피라334 대량생산을 위한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학성분에 대한 이슈 증가로 화장품 구매 시 전성분을 확인하거나 저자극 천연 성분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 시장도 화학물질을 배제한 해양, 식물 유래의 천연소재로 대체되고 있으며, 이를 적용한 화장품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차단 소재 대부분이 화학물질이므로 천연물질로의 대체가 가장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육상식물의 자외선 방어기작인 갈릭산, 카페익산 및 플라보노이드 색소와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퓨린 등 계열의 방향족 화합물 등이 천연유래 자외선 차단제로 연구되고 있고, 그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5-0012443호에 자외선 흡수 기능을 가지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가 개시된 바 있으며, 해양식물이나 해조류 유래의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Mycosporine-like amino acid)가 자외선에 대한 방어기작이 있다고 알려져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9325호에서는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MMA)가 자외선 차단 효능이 있다고 언급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3895호에서는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을 함유한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MMA는 UV 등에 의한 세포 내 손상방지를 위해 생겨나는 해조류의 방어물질로 대표적으로는 포피라(porphyra), 시노린(shinorine) 등이 있으며, 310-360 nm 영역의 UV 흡수능이 높을 뿐 아니라 분자량이 작고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 중 포피라334(porphyra334)의 항염 및 세포이동성 촉진효과가 있으며, 자외선으로 인해 생기는 피분손상과 노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해양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상기 포피라334 정제물질은 아직까지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지 않아 대량생산추출 및 분리정제 고도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5-001244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93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389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의 포피라334를 대량으로 생산/추출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분리/정제할 수 있는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인 포피라334 대량생산을 위한 정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포피라334(porphyra334)가 함유된 해조류 추출물로 현탁액을 제조하고, 상기 현탁액을 양극 및 음극이 포함된 챔버부에 투입하는 단계;
챔버부에 직류전류(DC)를 인가하여 현탁액 내에서 음전하를 띄는 포피라334를 양극으로 이동시켜 챔버부 내에서 포피라334가 포함된 액과 포피라334가 포함되지 않은 액으로 분리하는 단계; 및
양극으로 이동한 포피라334가 포함된 액은 챔버부로부터 필터링부로 유체 이동하고, 상기 포피라334가 포함된 액 내의 부유물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포피라334의 정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인 포피라334 대량생산을 위한 정제방법은, 포피라334(porphyra334)가 함유된 해조류 추출물 현탁액에 직류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현탁액 내에서 음전하를 띄는 포피라334를 양극으로 이동시켜 1차적으로 분리하고, 필터링함으로써 정제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포피라334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피라334 대량생산을 위한 정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피라334 대량생산을 위한 정제 방법의 정제장치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DC 전류를 인가해 분리한 분리액과 비교예 1에서 DC 전류로 분리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액을 HPLC로 성분분석을 수행하여 측정파장 210nm에서 검출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a) 실시예 1, (b) 비교예 1).
도 4는 실시예 1에서 DC 전류를 인가해 분리한 분리액과 비교예 1에서 DC 전류로 분리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액을 HPLC로 성분분석을 수행하여 측정파장 330nm에서 검출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a) 실시예 1, (b) 비교예 1).
도 5는 실시예 1에서 DC 전류를 인가해 분리한 분리액과 비교예 1에서 DC 전류로 분리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액을 각각 HPLC에 주입하여 얻은 해당 피크 분획물의 ESI-Mass spectrum 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a) 실시예 1, (b) 비교예 1).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인 포피라334 대량생산을 위한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Mycosporine-like amino acid)은 UV 등에 의한 세포 내 손상방지를 위해 생겨나는 해조류의 방어물질로 대표적으로 포피라(porphyra), 시노린(shinorine) 등이 있으며, 310-360 nm 영역의 UV 흡수능이 높을 뿐 아니라 분자량이 작고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 중 포피라334(porphyra334)의 항염 및 세포이동성 촉진효과가 있으며, 자외선으로 인해 생기는 피부손상과 노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해양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상기 포피라334 정제물질은 아직까지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지 않아 대량생산추출 및 분리정제 고도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의 포피라334를 대량으로 생산/추출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분리/정제할 수 있는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인 포피라334 대량생산을 위한 정제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포피라334(porphyra334)가 함유된 해조류 추출물로 현탁액을 제조하고, 상기 현탁액을 양극 및 음극이 포함된 챔버부에 투입하는 단계(S100);
챔버부에 직류전류(DC)를 인가하여 현탁액 내에서 음전하를 띄는 포피라334를 양극으로 이동시켜 챔버부 내에서 포피라334가 포함된 액과 포피라334가 포함되지 않은 액으로 분리하는 단계(S200); 및
양극으로 이동한 포피라334가 포함된 액은 챔버부로부터 필터링부로 유체 이동하고, 상기 포피라334가 포함된 액 내의 부유물을 제거하는 단계 (S300); 를 포함하는 포피라334의 정제 방법을 제공한다(도 1, 도 2 참조).
본 발명은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인 포피라334 대량생산을 위한 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평균 200mL/day 내지 1000L/day 정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방법은 정제속도를 높여 정제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포피라334를 정제시킬 수 있어, 포피라334 대량생산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포피라334(porphyra334)가 함유된 해조류 추출물로 현탁액을 제조하고, 상기 현탁액을 양극 및 음극이 포함된 챔버부에 투입하는 단계(S100)를 설명한다.
포피라334(porphyra334)가 함유된 해조류 추출물로 현탁액을 제조한다.
여기서, "해조류 추출물"이라 함은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MAA)를 건조하거나, 건조물을 분말화하거나, 냉수추출불, 열수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다양한 추출법에 의해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추출, 또는 열수 추출일 수 있다.
한편, 해조류 추출물은 물, 유기 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추출한 액은 바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 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유기용매를 사용하며 해조류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해조류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예컨대,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20-50% 에탄올 추출물, 일 구체예로써 50% 에탄올에 섞은 후 3일동안 교반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농축, 또는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추출물의 증류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조류 파우더를 용매에 침지한 후, 약 45 ℃의 온도에서 약 12시간 동안 교반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해조류 추출액을 여과 후 농축 및 건조시켜 파우더화 할 수 있다. 일 예로, 건조 김을 물에 침지한 후 김 추출물 파우더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정제를 위하여 상기 해조류 추출물 파우더에 물을 약 20배수 첨가하여 재용해하여 현탁액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현탁액을 양극 및 음극이 포함된 챔버부에 투입한다.
상기 챔버부는 유체를 투입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관하며, 일 예로는 원통형의 유리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부는 양극 및 음극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양극 및 음극에 직류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및 음극은 통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구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극 및 음극은 챔버의 내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양극으로 이동한 포피라334를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챔버부에 직류전류(DC)를 인가하여 현탁액 내에서 음전하를 띄는 포피라334를 양극으로 이동시켜 챔버부 내에서 포피라334가 포함된 액과 포피라334가 포함되지 않은 액으로 분리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정제하고자 하는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MAA)의 대표물질인 포피라334는 하기 화학식 1을 나타내는 것으로, 수용액 내에서는 음전하(-)를 띈다. 이때, 상기 챔버부에 직류전류를 인가하게 되면, 현탁액 내에서 음전하를 띄는 포피라334는 양극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직류전류는 평균 100 V 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상기 포피라334는 수용액 상에서 음전하를 띄게 되므로, 전류를 흘려주면, 양극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9126107315-pat00001
이때, 챔버부 내에 차단부재를 설치하여 포피라334가 포함된 액과 포피라334가 포함되지 않은 액으로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부재는 챔버부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양극과 음극 사이에 착탈 가능할 수 있으며, 공간을 분리하기 위한 차단판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단판은 부도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양극으로 이동한 포피라334가 포함된 액은 챔버부로부터 필터링부로 유체 이동하고, 상기 포피라334가 포함된 액 내의 부유물을 제거하는 단계 (S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부는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통상의 필터일 수 있으며, 포피라334가 포함된 액 내의 부유물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필터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관하다. 예를 들면, 상기 필터는 공극크기(pore size) 평균 0.2 내지 10μL 의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필터링 단계를 거친 포피라334가 포함된 액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로 포피라334를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상기 정제된 포피라334의 함량 및 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diode array detection(DAD)-SPD M20A 검출기(Quantum Northwest, Seattle, WA, USA)가 있는 high-pressure reverse-phase liquid chromatography (HPLC) (Shimadzu-LC20A, Seattle, WA, USA)를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속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의 고정상으로 사용되는 컬럼(column)은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Octadecylsilanized silica gel(3 ㎛), Acclaim surfactant (4.6 mm i.d. X 150 mm L., 5㎛, Dionex) 또는 Capcellpak C18 (4.6 mm i.d. X 150 mm L., 5㎛, Shiseido)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Octadecylsilanized silica gel 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인 포피라334 대량생산을 위한 정제방법은, 포피라334(porphyra334)가 함유된 해조류 추출물 현탁액에 직류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현탁액 내에서 음전하를 띄는 포피라334를 양극으로 이동시켜 1차적으로 분리하고, 필터링함으로써 정제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포피라334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정제방법으로 생산되는 포피라334는 종래기술 대비 약 4배 가량 농축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HPLC로 포피라334를 1 cycle 정제시 종래의 4 cycle 실시하던 것과 동일한 효과를 실시예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제조예 1. 김 추출물 파우더 제조
건조 김 1kg을 칭량한 후 물 40배수를 첨가하여 교반한다. 그리고, 45℃ 에서 12시간 교반하며 추출한다.
추출액을 여과 후 농축 및 건조시켜 파우더화 한다.
<실시예>
직류전류(DC)를 통한 포피라334(porphyra 334) 분리
정제를 위해 건조된 김 추출물 파우더에 물 20배수를 첨가하여 재용해한다. 그리고, 상기 추출 현탁액을 직류전류가 흐르도록 제작한 챔버에 투여한다.
그리고, 100V의 직류전류(DC)를 인가하여 포피라334를 분리한다. 구체적으로, 포피라334는 수용액 상에서 음전하(-)를 띄게 되므로, 수용액 상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직류전류는 약 30분 가량 인가하고, 챔버 내의 +전극과 -전극 사이에 차단판을 설치하여 양쪽을 분리한다.
<비교예>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 추출물 파우더에 물 20배수를 첨가하여 재용해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포피라334의 HPLC 성분 분석 - 1
실시예 1에서 DC 전류를 인가해 분리한 분리액과 비교예 1에서 DC 전류로 분리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액을 아래의 분석 조건을 통해 HPLC 분석을 실시하고, 모든 피크의 면적을 구한 다음 주피크의 면적비로 순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구 분 분석조건
HPLC 기기 종류 Waters 1525 Pump
Column 5㎛의 octadecylsilanized silica gel
용매 조건 - 용매 A: Water (0.1 % TFA (Trifluoro acetic acid) 함유)- 용매 B: Acetonitrile (0.1 % TFA (Trifluoro acetic acid) 함유)
측정파장 210 nm (UV 램프)
유속 1 mL/min
실시예 1 에서 DC 전류를 인가해 분리한 분리액과 비교예 1에서 DC 전류로 분리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액의 성분 분석 결과, 도 3과 표 2와 같은 HPLC 분석 피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eak name RT Area % Area Height
실시예 1 Porphyra334_210nm 11.692 9118826 54.15 446297
비교예 1 Porphyra334_210nm 12.047 2106210 12.61 108062
도 3과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을 통해 정제한 포피라334의 피크면적은 9118826 이고, 전체 피크면적대비 54.15% 로 측정되었다. 반면, 비교예 1을 통해 정제한 포피라334는 피크면적이 2106210 이고, 이는 전체 피크면적대비 12.61%로 측정되었다.
이는 DC를 인가하여 분리한 포피라334가 포함된 액에서의 포피라334 피크면적이 상대적으로 약 4.3배 가량 증가함을 나타낸다.
실험예 2. 포피라334의 HPLC 성분 분석 - 2
측정파장을 330 nm 으로 한 것을 제외하곤,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 에서 DC 전류를 인가해 분리한 분리액과 비교예 1에서 DC 전류로 분리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액을 HPLC 로 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4와 표 3에 나타내었다.
Peak name RT Area % Area Height
실시예 1 Porphyra334_330nm 11.707 72211044 98.02 2607874
비교예 1 Porphyra334_330nm 12.030 19505155 79.81 995204
도 4와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을 통해 정제한 포피라334의 피크면적은 72211044 이고, 전체 피크면적대비 98.02% 로 측정되었다. 반면, 비교예 1을 통해 정제한 포피라334는 피크면적이 19505155 이고, 이는 전체 피크면적대비 79.81%로 측정되었다.
이는 DC를 인가하여 분리한 포피라334가 포함된 액에서의 포피라334 피크면적이 상대적으로 약 3.7배 가량 증가함을 나타낸다.
실험예 3. 포피라334의 ESI-Mass spectrum 분자량 측정
실시예 1에서 DC 전류를 인가해 분리한 분리액을 HPLC로 분석하였을 때 해당 피크가 포피라334가 맞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분리액과 비교예 1의 추출액을 각각 HPLC에 주입해 해당 피크 부분을 분획한 후 질량분석(ESI-Mass spectrum)을 positive mode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 DC 전류를 인가해 분리한 분리액과 비교예 1에서 DC 전류로 분리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액을 각각 HPLC에 주입하여 얻은 해당 피크 분획물의 ESI-Mass spectrum 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a) 실시예 1, (b) 비교예 1).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포피라334 모두 [M+H]+ 347 의 분자량 피크가 확인되어 해당 피크는 포피라334 임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1. (1) 포피라334(porphyra334)가 함유된 건조된 해조류에 해조류 무게의 40배수의 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상기 추출물을 파우더화하고 파우더 무게의 20배수의 물에 재용해하여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현탁액을 양극 및 음극이 포함된 챔버부에 투입하는 단계;
    (3) 챔버부에 직류전류(DC) 100 V를 인가하여 현탁액 내에서 음전하를 띄는 포피라334를 양극으로 이동시켜 챔버부 내에서 포피라334가 포함된 액과 포피라334가 포함되지 않은 액으로 분리하는 단계; 및
    (4) 양극으로 이동한 포피라334가 포함된 액은 챔버부로부터 필터링부로 유체 이동하고, 상기 포피라334가 포함된 액 내의 부유물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포피라334의 대량 정제 방법으로서,
    상기 (3)단계 이후 (4)단계 이전에, 상기 챔버부 내에 양극과 음극 사이에 착탈 가능하도록 차단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피라334의 정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필터링 단계를 거친 포피라334가 포함된 액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로 포피라334를 정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포피라334의 정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상기 정제된 포피라334의 함량 및 성분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피라334의 정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정제되는 포피라334가 함유된 해조류 추출물 현탁액의 용량은, 평균 200mL/day 내지 1000L/day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피라334 정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포피라334(porphyra334)가 함유된 해조류는, 남조류(Cyanophyta), 크립토조류(Cryptophyta), 황금색조류(Chrysophyta), 유글레나조류(Euglenophyta), 규조류(Bacillariophyta), 갈조류(Phaeophyta), 홍조류(Rholophyta), 녹조류(Chlorophyta) 및 차축조류(Charophyt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피라334 정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챔버부는, 양극 및 음극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양극 및 음극에 직류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피라334 정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양극과 음극은 챔버의 내주면을 둘러싸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피라334 정제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해조류에 해조류 무게의 40배수의 물을 첨가하고, 45℃에서 12시간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피라334의 정제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에 직류전류(DC)를 30분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피라 334의 정제방법.
KR1020190161168A 2019-12-06 2019-12-06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인 포피라334 대량생산을 위한 정제방법 KR102348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168A KR102348198B1 (ko) 2019-12-06 2019-12-06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인 포피라334 대량생산을 위한 정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168A KR102348198B1 (ko) 2019-12-06 2019-12-06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인 포피라334 대량생산을 위한 정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218A KR20210071218A (ko) 2021-06-16
KR102348198B1 true KR102348198B1 (ko) 2022-01-10

Family

ID=76602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168A KR102348198B1 (ko) 2019-12-06 2019-12-06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인 포피라334 대량생산을 위한 정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1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1286A (ja) * 2000-04-14 2003-10-21 グラディポア・リミテッド マイクロ分子の分離
KR100969325B1 (ko) * 2010-02-08 2010-07-0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조류로부터 비독성 자외선 차단용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비독성 자외선 차단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219B1 (ko) 1993-10-29 1998-07-15 김광호 미니 디스크의 시간환산방법
KR101833895B1 (ko) * 2016-01-29 2018-03-05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을 함유한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1286A (ja) * 2000-04-14 2003-10-21 グラディポア・リミテッド マイクロ分子の分離
KR100969325B1 (ko) * 2010-02-08 2010-07-0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조류로부터 비독성 자외선 차단용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비독성 자외선 차단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218A (ko)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730420T2 (de) Antitumorsubstanz extrahiert aus grifola frondosa
Grain Isolation of oxytocic peptides from Oldenlandia affinis by solvent extraction of tetraphenylborate complexes and chromatography on sephadex LH-20
KR102026407B1 (ko) 갈색거저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RU2007120616A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охудения, содержащая экстракт биомассы водорослей, neochloris oleoabundans
El‐Ghorab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Egyptian Eucalyptus camaldulensisvar. brevirostrisleaf extracts
CN103833692A (zh) 一种从海藻中提取高纯度岩藻黄素的方法
KR102026783B1 (ko) 피부 미백용 인삼잎 발효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8198B1 (ko)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인 포피라334 대량생산을 위한 정제방법
KR102018533B1 (ko) 황근 추출물, 황근 추출물의 분획물 및 황근 추출물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안티폴루션용 조성물
KR101805872B1 (ko) 엽록소가 제거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1568818A (zh) 一种含有水解藻提取物的抗蓝光冻干面膜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76710B1 (ko) 개나리 꽃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6780B1 (ko) 피부 미백용 흑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7162B1 (ko) 미역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N112494375B (zh) 一种马尾松树皮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04352697A (ja) チロシナーゼ発現抑制剤
TW201347755A (zh) 雲芝萃取物,分離生物活性化合物之方法及其用途
KR100363112B1 (ko) 감태로부터 분리된 신규 물질, 이의 추출 및 정제방법, 및항산화제로 사용하는 용도
KR102031289B1 (ko)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6774145B1 (en) Material separated from Ecklonia cava, method for extracting and purifying the same, and use thereof as antioxidants
RU240182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розмариновой кислоты
KR20200016101A (ko) 에틸 락테이트를 이용한 천연물질 추출물의 제조방법
RU2658705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го продукта из черноморских водорослей рода Cystoseira (варианты)
KR102389374B1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개선 또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54944B1 (ko) 클로로필 제거를 통해 유효성분 함량이 증가된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되는 항산화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