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162B1 -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162B1
KR102348162B1 KR1020190155975A KR20190155975A KR102348162B1 KR 102348162 B1 KR102348162 B1 KR 102348162B1 KR 1020190155975 A KR1020190155975 A KR 1020190155975A KR 20190155975 A KR20190155975 A KR 20190155975A KR 102348162 B1 KR102348162 B1 KR 102348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larvae
composition
antibacteri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6568A (ko
Inventor
김현진
구희연
김정은
김성연
이유범
김도익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190155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16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06Inorganic compounds
    • C11D9/18Water-insolubl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11D9/265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glycero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Vir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비누는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을 포함하고 있어 세정시 피부에 무해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항균작용이 우수하여 염증성 피부 질환을 비롯하여 각종 균에 의해 발생되는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는 항균용 비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Composition of anti bacterial containing Zophobas morio oil}
본 발명은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비누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건강과 피부미용에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피부 관리를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이 비누이다.
통상의 비누는 세정력의 기능을 극대화함에 따라 세정과정에서 피부 상피조직에 축척된 피지성분을 필요 이상 제거함으로써, 예컨데 과민성 피부 및 건조한 피부에서는 필수 유분과 습윤 성분을 과도하게 침출시킴으로써 그 만큼 피부가 거칠어지게 되고 건조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누를 사용할 때 피부가 건조해져 땡기거나, 과민성 피부를 가진 사람들의 피부에 대해 자극, 발진 등의 각종 부작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화학 성분으로 제조된 종래 비누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천연성분이 함유된 비누가 최근 개발되고 있다. 그 중 염증성 피부 질환, 즉 피부가 외부로부터 자극이나 여러 병원체에 직접 접촉되거나 체내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아 발병하게 되는 아토피성 피부염, 여드름, 건선 등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항균 기능이 있는 비누가 개발되고 있다.
아메리카왕거저리(Zophobas morio, Z. morio)는 곤충강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대부분 사료용, 식약용, 환경곤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대 5cm까지 자란다. Z. morio는 동물 먹이용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갈색거저리의 애벌레인 밀웜에 비하여 몸 크기가 국내에서 가장 큰 거저리라서 수퍼웜(super worm) 또는 킹웜(king worm)이 라고도 불리어 왔으며, 소형 동물류(절지동물, 조류, 양서파충류, 소형 포유류)의 주요 단백질 보급원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고 최근 말레이시아에서 양식 치어 먹이로서의 연구 등이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갈색거저리 유충 성분을 포함하는 천연 화장품에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2017년에는 갈색거저리 유충을 이용한 천연 미백화장품이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1269호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아메리카왕거저리(Zophobas morio) 유충의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메리카왕거저리(Zophobas morio) 유충의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메리카왕거저리(Zophobas morio) 유충의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비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메리카왕거저리(Zophobas morio) 유충의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아메리카왕거저리(Zophobas morio) 유충의 오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아메리카왕거저리(Zophobas morio)”는 곤충강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에 속하는 곤충이다.
본 발명의 “아메리카왕거지리 유충의 오일”은 상기 아메리카왕거저리의 유충(애벌레)에서 추출한 오일 성분으로, 구체적으로 n-헥산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알에서 부화한지 3개월 또는 4개월된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을 동결건조하고, 25℃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고 농축하여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을 제조하였다. 유충의 개월 수는 오일의 수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 균주에 대한 항균효과를 분석한 결과, 3개월 및 4개월 유충에서 추출한 오일 모두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으며, 3개월 유충에서 추출한 오일이 항균활성이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구체적으로 3개월 유충에서 추출한 오일이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주에 대해 항균 효과를 가진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4개월 유충에서 추출한 오일보다 3개월 유충에서 추출한 오일의 항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는바, 상기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은 알에서 부화한지 2.5개월 내지 3.5개월 후의 유충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알에서 부화한지 3개월 후인 유충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화장품, 피부 세정제, 모발 세정제, 질 세정제, 욕실용 세정제, 구강 세정제, 주방용 세정제, 화장품 보존제, 식품 보존제, 의약품 보존제, 식품첨가제 및 사료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 아메리카왕거저리(Zophobas morio) 유충의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은 아메리카왕거저리(Zophobas morio) 유충의 오일을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아메리카왕거지리 유충의 오일이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는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항균 효과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주에 대해 항균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0 중량%의 아메리카왕거지리 유충의 오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01 내지 50 중량%의 아메리카왕거지리 유충의 오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0.1 내지 5 중량%의 아메리카왕거지리 유충의 오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통상적으로 허용되는 성분들을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액체 세정제,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테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오일,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 아메리카왕거저리(Zophobas morio) 유충의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비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용 비누는 아메리카왕거저리(Zophobas morio) 유충의 오일을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아메리카왕거지리 유충의 오일이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는바, 본 발명의 비누는 항균 효과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주에 대해 항균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의 오일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팜유 또는 야자유 지방산의 나트륨염 36 내지 57 중량%, 소듐라우릴 설페이트 4 내지 8 중량%, 글리세린 25 내지 30 중량%, 수크로스 5 내지 9 중량%, 시어버터 0.5 내지 1 중량%, 동백유 0.5 내지 1중량%, 이산화티타늄 0.1 중량%, 병풀추출물 0.1 내지 0.2 중량% 및 비타민E 0.6 중량% 및 그 외의 기능성 첨가제(표 2 내지 표 4 참조)를 혼합하고 1중량%의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을 혼합하여 비누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1 중량% 첨가시 곤충 특유의 향이 없고 비누 재료의 혼합이 잘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누는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의 오일은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누는 팜유 또는 야자유 지방산의 나트륨염 36 내지 57 중량%, 소듐라우릴 설페이트 4 내지 8 중량%, 글리세린 25 내지 30 중량%, 수크로스 5 내지 9 중량%, 시어버터 0.5 내지 1 중량%, 동백유 0.5 내지 1 중량%, 이산화티타늄 0.1 중량%, 병풀추출물 0.1 내지 0.2 중량% 및 비타민E 0.6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비누는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을 포함하고 있어 세정시 피부에 무해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항균작용이 우수하여 염증성 피부 질환을 비롯하여 각종 균에 의해 발생되는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는 항균용 비누를 제공한다.
도 1은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의 추출 과정이다.
도 2는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의 제조과정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의 추출
아메리카왕거저리는 알에서 부화 후 3개월 유충과 4개월 유충을 이용하였다. 유충은 급냉 후 동결건조하여 사용하였다. 동결건조 유충에 n-헥산 용매를 첨가한 후 25℃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였으며, 이후 추출물을 농축하고,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과 탈지 유충을 분리하였다.
실시예2 :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 회수율 및 항균활성 분석
추출한 오일의 회수율을 분석한 결과 3개월 유충은 30.2%, 4개월 유충은 30.54%로 추출율에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3개월, 4개월 유충 추출 오일의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에 생육 저해환을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개월 유충에서 추출한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이 4개월 유충에서 추출한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보다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의 항균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구체적으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의 생육 저해환 크기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나, 3개월 유충 추출 오일의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항균 활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표 1).
구분 오일 회수율
(%)
생육저해환(mm)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Propionibacterium acnes
3개월 유충 30.2 15.60 13.03 9.84
4개월 유충 30.54 11.17 11.91 9.34
실시예3 :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 첨가 비누의 제조 및 품질특성 평가
표 2 내지 표 4와 같은 조성으로 여드름 트러블(표 2), 미백탄력(표 3), 보습진정(표 4) 용도의 기능성 비누를 제조하였다.
표 2 내지 표 4의 조성 중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을 제외한 재료를 배합하고, 융해시켰다. 이후 40℃에서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을 첨가하고, 틀에 부어 성형하고 응고시켜 각 기능성 비누를 제조하였다(도 2).
구체적으로 각 비누는 팜유, 야자유 지방산의 나트륨염 36 내지 57 중량%, 소듐라우릴 설페이트 4 내지 8 중량%, 글리세린 25 내지 30 중량%, 수크로스 5 내지 9 중량%, 시어버터 0.5 내지 1 중량%, 동백유 0.5 내지 1 중량%, 이산화티타늄 0.1 중량%, 병풀추출물 0.1 내지 0.2 중량%, 비타민E 0.6 중량% 및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 1중량%를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여드름 트러블, 미백탄력, 보습진정 용도에 따라 각기 다른 첨가물(에센셜 오일 등)을 첨가하여 기능성 비누를 제조하였다.
성분 여드름트러블
팜유,야자유 지방산의 나트륨염 36 ~ 57
소듐라우릴설페이트 4 ~ 8
글리세린 25 ~ 30
수크로스 5 ~ 9
증류수 15 ~ 20
시어버터 0.5 ~ 1.0
동백유 0.5 ~ 1.0
이산화티타늄 0.1
병풀추출물 0.1 ~ 0.2
어성초 분말 0.6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 1
비타민 e 0.6
꿀 추출물 0.1
당근추출물 0.1
레몬 에센셜 오일 0.6
메이창 에센셜 오일 0.25
티트리 에센셜 오일 0.25
성분 미백탄력
팜유, 야자유 지방산의 나트륨염 36 ~ 57
소듐라우릴설페이트 4 ~ 8
글리세린 25 ~ 30
수크로스 5 ~ 9
증류수 15 ~ 20
시어버터 0.5 ~ 1.0
동백유 0.5 ~ 1.0
이산화티타늄 0.1
병풀추출물 0.1 ~ 0.2
진주 분말 0.55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 1
비타민 e 0.6
오이 추출물 0.2
감초 추출물 0.2
살구씨 추출물 0.04
레몬 에센셜 오일 0.6
그레이프프룻 에센셜 오일 0.3
수윗오렌지 에센셜 오일 0.45
성분 보습진정
팜유, 야자유 지방산의 나트륨염 36 ~ 57
소듐라우릴설페이트 4 ~ 8
글리세린 25 ~ 30
수크로스 5 ~ 9
증류수 15 ~ 20
시어버터 0.5 ~ 1.0
동백유 0.5 ~ 1.0
이산화티타늄 0.1
병풀추출물 0.1 ~ 0.2
편백분말 0.55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 1
비타민 e 0.6
프로폴리스 추출물 0.1
캐모마일 추출물 0.15
레몬 에센셜 오일 0.4
라벤더 에센셜 오일 0.4
로즈우드 에센셜 오일 0.2
수윗오렌지 에센셜 오일 0.45
비누 제조시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을 1 중량% 첨가시 곤충 특유의 향이 없고 비누 재료의 혼합이 잘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조된 비누의 품질 특성 평가결과, 중량은 113.18 내지 122.96g으로 측정되었으며, 건조중량은 66.50 내지 70.53g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수분 함량은 39.30 내지 42.76%로 측정되었고, pH는 9.61 내지 9.94로 측정되었다.
구분 여드름트러블 미백탄력 보습진정
중량 (g) 116.30±1.88 119.57±3.39 118.24±1.44
건조중량 (g) 67.17±0.67 70.18±0.35 68.20±0.61
수분 (%) 42.09±0.67 39.59±0.29 41.24±0.59
pH 9.87±0.07 9.69±0.08 9.74±0.08

Claims (8)

  1. 아메리카왕거저리(Zophobas morio) 유충의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로서,
    상기 유충은 부화한지 2.5개월 내지 3.5개월 후의 유충이고,
    상기 오일은 n-헥산 추출물이고,
    상기 조성물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 균주에 대해 항균 효과를 갖는 것인, 항균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화장품, 피부 세정제, 모발 세정제, 질 세정제, 욕실용 세정제, 구강 세정제, 주방용 세정제, 화장품 보존제, 식품 보존제, 의약품 보존제, 식품첨가제 및 사료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5. 아메리카왕거저리(Zophobas morio) 유충의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유충은 부화한지 2.5개월 내지 3.5개월 후의 유충이고,
    상기 오일은 n-헥산 추출물이고,
    상기 조성물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 균주에 대해 항균 효과를 갖는 것인, 항균용 조성물.
  6. 아메리카왕거저리(Zophobas morio) 유충의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비누 조성물로서,
    상기 유충은 부화한지 2.5개월 내지 3.5개월 후의 유충이고,
    상기 오일은 n-헥산 추출물이고,
    상기 조성물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 균주에 대해 항균 효과를 갖는 것인, 항균용 비누 조성물.
  7. 제6항에서,
    상기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의 오일은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항균용 비누 조성물.
  8. 제6항에서,
    상기 비누 조성물은 팜유 또는 야자유 지방산의 나트륨염 36 내지 57 중량%, 소듐라우릴 설페이트 4 내지 8 중량%, 글리세린 25 내지 30 중량%, 수크로스 5 내지 9 중량%, 시어버터 0.5 내지 1 중량%, 동백유 0.5 내지 1 중량%, 이산화티타늄 0.1 중량%, 병풀추출물 0.1 내지 0.2 중량% 및 비타민E 0.6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인, 항균용 비누 조성물.
KR1020190155975A 2019-11-28 2019-11-28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348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975A KR102348162B1 (ko) 2019-11-28 2019-11-28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975A KR102348162B1 (ko) 2019-11-28 2019-11-28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568A KR20210066568A (ko) 2021-06-07
KR102348162B1 true KR102348162B1 (ko) 2022-01-07

Family

ID=76374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975A KR102348162B1 (ko) 2019-11-28 2019-11-28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1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992A (ko) 2021-07-27 2023-02-0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230016994A (ko) 2021-07-27 2023-02-0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1635A (ja) 2005-07-29 2007-02-08 Organic Germanium Kk 石鹸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0238A (ko) * 2006-02-06 2008-11-14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미백 피부 외용제
KR100971269B1 (ko) 2008-02-15 2010-07-20 주식회사 유니젠 가공된 후박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GB201403561D0 (en) * 2014-02-28 2014-04-16 Cosmetic Warriors Ltd Composition
KR20190011054A (ko) * 2017-07-24 2019-02-0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 유충 오일을 함유하는 상처 치유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4996B1 (ko) * 2017-08-31 2020-06-05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동애등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1635A (ja) 2005-07-29 2007-02-08 Organic Germanium Kk 石鹸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HIN, C.-S., KIM, D.-Y., & SHIN, W.-S. ,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VOLUME 125, 15 MARCH 2019, PAGES 72-77*
THE 65 TH INTERNATIONAL CONGRESS OF MEAT SCIENCE AND TECHNOLOGY 2019,BOOK OF ABSTRACTS , MONDAY, 05 AUGUST, 2019 , POSTERSESSIONS AND DISCU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568A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7170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4280341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4280340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4176912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102330930B1 (ko) 천연 허브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및 두피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0863B1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0154113A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102348162B1 (ko)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50017087A (ko) 마누카 꿀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가려움증 예방 및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HU195915B (en) Cosmetic preparation of skin regenerating and hydrating effect
DE10025124B4 (de) Kombinationen von Glycerinmonoalkylethern und Aryl-substituierten Alkoholen
KR101781466B1 (ko)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49690B1 (ko) 배초향을 함유하는 피지관리 및 모공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070065926A (ko) 항균 및 소취 효과를 가지는 녹차 추출물 및 브로컬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20028612A (ko) 인진쑥 추출물 및 올리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산화, 미백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33729A (ko) 항균 조성물
DE60132887T2 (de) (-) guaiol, verfahren zur gewinnung und verwendung
KR101967922B1 (ko) 무궁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8531319A (zh) 一种抑菌清洁产品及其制备方法
EP1764085A1 (de) Kosmetisches Mittel enthaltend Arganöl
CN1194662C (zh) 含有印楝活性成分的润肤霜及制备方法
JP3658626B2 (ja) 化粧品および医薬部外品
KR2019002111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피지 분비 억제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20170115791A (ko) 천연성분을 포함하는 무자극성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위생용품
KR101427027B1 (ko) 모과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