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098B1 -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갱폼 해체 방법 - Google Patents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갱폼 해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098B1
KR102348098B1 KR1020200014374A KR20200014374A KR102348098B1 KR 102348098 B1 KR102348098 B1 KR 102348098B1 KR 1020200014374 A KR1020200014374 A KR 1020200014374A KR 20200014374 A KR20200014374 A KR 20200014374A KR 102348098 B1 KR102348098 B1 KR 102348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ng form
vertical
coupled
hole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826A (ko
Inventor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산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67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외측에 마련되는 외부 거푸집의 외측면에 수평으로 결합되며 외부 거푸집의 수직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수평보강재와, 수평보강재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수평보강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수직보강재로 이루어진 갱폼의 수직보강재 사이를 수평으로 통과하여 외부 거푸집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고, 벽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연결너트와, 연결너트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외경을 따라 톱니가 형성된 웜휠을 구비하는 수평축과, 벽체에 매설된 상태로 연결너트의 일단부 내경에 나선결합되는 앵커볼트와, 수평축의 상측에 배치되어 수직보강재에 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된 클램프 및 통공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외경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어 수평축에 직교한 상태로 웜휠에 기어치합되는 웜기어와,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공구가 체결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수직축을 포함하는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에 안전하게 위치한 작업자에 의해 수직축을 회전 조작하여 수직축에 직교한 상태로 기어치합되어 수직축의 하측에 위치한 수평축을 정역회전시켜 갱폼을 벽체에서 해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어 갱폼의 해체 시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갱폼 해체 방법{Gang form deconstruction device for preventing worker falling and de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갱폼의 해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에 작업자가 위치한 상태로 갱폼을 해체할 수 있는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갱폼 해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이 상부 및 하부가 동일 단면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벽체를 시공할 때, 벽체의 외부면을 한정하기 위한 외부 벽체 거푸집과 발판용 케이지를 일체로 하여 제작한 대형 거푸집으로 갱폼이 사용된다.
이러한 갱폼은 평판형의 스틸폼 일면에 1단 또는 2단으로 구성된 발판용 케이지가 부착된 구조로서,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동안 정해진 형상과 치수를 유지시키는 역할과 함께 콘크리트가 굳기 전까지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발판용 케이지에 올라 탄 상태로 갱폼을 설치 및 해체하거나, 미장 및 견출 등과 같은 각종의 후속 작업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갱폼의 발판용 케이지는 다단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각 층마다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사다리와 같은 이동수단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사다리를 통해 상하이동을 하거나 발판으로 수평이동을 하면서 갱폼의 설치 또는 해체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갱폼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에 설치되기 때문에 벽체에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지 못할 경우, 벽체에서 갱폼이 탈락되어 발판용 케이지에 올라 탄 작업자가 추락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항시 내포하고 있다.
특히, 근래의 갱폼은 어느 한 층을 시공 완료한 뒤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그 위층을 시공할 수 있게 설치되는 바, 인양하는 과정에서 갱폼을 외벽에서 해체하고 다시 인양하여 외벽에 설치해야 하는데, 이와 같이 해체와 설치를 반복하는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가 추락할 수 있는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1183호(2010년 07월 20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에 작업자가 위치한 상태에서 안전한 자세로 갱폼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에서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갱폼 해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외측에 마련되는 외부 거푸집의 외측면에 수평으로 결합되며 상기 외부 거푸집의 수직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보강재와, 상기 수평보강재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수평보강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보강재로 이루어진 갱폼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재 사이를 수평으로 통과하여 상기 외부 거푸집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벽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연결너트와, 상기 연결너트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외경을 따라 톱니가 형성된 웜휠을 구비하는 수평축, 상기 벽체에 매설된 상태로 상기 연결너트의 일단부 내경에 나선결합되는 앵커볼트, 상기 수평축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보강재에 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된 클램프 및 상기 통공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외경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축에 직교한 상태로 상기 웜휠에 기어치합되는 웜기어와,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공구가 체결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수직축을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에 위치한 작업자에 의해 상기 수직축이 정역회전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커볼트는, 상기 벽체에 매설된 상태로 상기 연결너트에 나선결합되도록 상기 벽체에 형성된 홈의 내부로 노출되는 나선축 및 상기 나선축의 단부에서 나선축의 측방향으로 절곡진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 거푸집에 형성된 관통홀의 지름 크기는, 상기 웜휠의 지름 크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에 형성된 통공의 지름 크기는, 상기 수직축에 구비된 헤드부의 지름 크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외측에 마련되는 외부 거푸집의 외측면에 수평으로 결합되며 상기 외부 거푸집의 수직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보강재와, 상기 수평보강재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수평보강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보강재로 이루어진 갱폼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재 사이를 수평으로 통과하여 상기 외부 거푸집에 형성된 제1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벽체에 형성된 제2 관통홀에 일단부가 일정 길이만큼 삽입되는 연결너트와, 상기 연결너트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외경을 따라 톱니가 형성된 웜휠을 구비하는 수평축, 상기 제2 관통홀에 일정 길이만큼 삽입되어 상기 연결너트의 일단부 내경에 나선결합되는 나선축과, 상기 벽체의 내측에 마련되는 내부 거푸집과 체결되도록 벽체의 내측으로 노출된 헤드부를 구비하는 앵커볼트, 상기 수평축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보강재에 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된 클램프 및 상기 통공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외경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축에 직교한 상태로 상기 웜휠에 기어치합되는 웜기어와,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공구가 체결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수직축을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에 위치한 작업자에 의해 상기 수직축이 정역회전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커볼트의 헤드부에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거푸집이 서로 연결되어 평면으로 배치될 때, 내부 거푸집 사이에 상기 헤드부가 배치되어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는 연결구에 의해 내부 거푸집이 서로 연결되고, 헤드부와 내부 거푸집이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 거푸집에 형성된 제1 관통홀의 지름 크기는, 상기 웜휠의 지름 크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에 형성된 통공의 지름 크기는, 상기 수직축에 구비된 헤드부의 지름 크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를 이용한 갱폼 해체 방법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에 작업자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축이 상기 클램프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축의 웜휠에 수직축의 웜기어가 기어치합되는 단계, 상기 수직축의 헤드부에 상기 작업자가 소지한 회전공구가 체결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에 의해 상기 수직축이 회전 조작되어 상기 수평축이 상기 앵커볼트에서 이탈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에 안전하게 위치한 작업자에 의해 수직축을 회전 조작하여 수직축에 직교한 상태로 기어치합되어 수직축의 하측에 위치한 수평축을 회전시켜 갱폼을 벽체에서 해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어 갱폼의 해체 시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에서 갱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를 이용한 갱폼 해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에서 갱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는, 수평축(100), 앵커볼트(200), 클램프(300) 및 수직축(400)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C.S)의 벽체(W) 외측에 마련되는 외부 거푸집(F1)의 외측면에 수평으로 결합되며 외부 거푸집(F1)의 수직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보강재(10)와, 수평보강재(10)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수평보강재(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보강재(20)로 이루어진 갱폼(1)을 벽체(W)에서 해체하기 위한 장치이다.
수평축(100)은, 중공의 형태로 내경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된 연결너트(110)와, 외경을 따라 톱니가 형성된 웜휠(120)을 구비한다.
연결너트(110)는, 수직보강재(20) 사이를 수평으로 통과하여 외부 거푸집(F1)에 형성된 관통홀(30)을 관통하면서 벽체(W)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40)에 일단부가 삽입된다. 이때, 연결너트(110)의 타단부에는 볼트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 거푸집(F1)이 벽체(W)에 전체적으로 마련되지 않고, 벽체(W)에 부분 면적에만 외부 거푸집(F1)이 마련된 경우, 외부 거푸집(F1)이 마련되지 않은 위치에서는 연결너트(110)가 수직보강재(20) 사이를 통과하는 상태에서 외부 거푸집(F1)을 거치지 않고 벽체(W)에 형성된 홈(40)에 직접 삽입될 수 있다.
웜휠(120)은, 중공의 형태로 외경을 따라 톱니가 형성되며 연결너트(110)의 타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부연하면, 웜휠(120)의 일측부에는 연결너트(110)에 형성된 볼트홀(H)에 대응하는 동일한 형태의 볼트홀(H)이 형성되어 웜휠(120)의 내측에 연결너트(110)의 타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볼트(B)가 볼트홀(H)들을 차례로 관통하면서 연결너트(110)와 웜휠(120)이 서로 볼트결합될 수 있다.
앵커볼트(200)는, 벽체(W))에 매설된 상태로 설치되는데, 부연하면,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벽체(W)에 매설된다. 그리고, 콘크리트가 굳은 다음 갱폼(1)을 벽체(W)에 설치하기 위해 연결너트(110)의 일단부 내경에 나선결합된다.
앵커볼트(200)는, 외경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된 나선축(210)과 헤드부(220)로 구성된다. 나선축(210)은, 연결너트(110)에 나선결합되도록 벽체(W)에 형성된 홈(40)의 내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헤드부(220)는, 벽체(W)에 매설된 상태에서 나선축(210)의 단부에서 나선축(210)의 측방향으로 절곡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는 벽체(W)에 매설된 상태로 고정설치된 앵커볼트(200)와 수평축(100)의 연결너트(110)가 서로 나선결합되면서 앵커볼트(200)와 수평축(100) 간의 서로 강하게 당기는 힘이 발생하는데, 앵커볼트(200)의 절곡진 헤드부(220)에 의해 앵커볼트(200)가 딸려나가지 않을려는 저항력이 극대화되어 앵커볼트(200)를 벽체 내부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외부 거푸집(F1)에 형성된 관통홀(30)의 지름 크기는, 웜휠(120)의 지름 크기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수직축(400)에 직교한 상태로 수직축(400)에 기어치합되어 수직축(400)의 회전에 연동하여 수평축(100)이 회전되면서 벽체(W)에 매설된 앵커볼트(200)를 향해 전진할 때, 웜휠(120)이 외부 거푸집(F1)의 외측면에 가로 막혀 수평축(100)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클램프(300)는, 수직보강재(20)에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통해 수직보강재(20)의 외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수평축(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업자가 콘크리트 구조물(C.S)의 슬라브(S)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직축(400)을 회전조작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클램프(300)에는 수직축(400)이 관통하는 통공(31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수직축(400)은, 몸체부(410)와 웜기어(420)와 헤드부(4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몸체부(410)는, 수평축(100)에 직교한 상태가 되도록 클램프(300)에 형성된 통공(310)을 수직으로 관통한다. 이때, 몸체부(410)의 하단부에는 볼트홈(h)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웜기어(420)는, 중공의 형태로 외경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어 웜휠(120)에 기어치합되며, 몸체부(410)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부연하면, 웜기어(420)의 상단부에는 몸체부(410)에 형성된 볼트홈(h)에 대응하는 볼트홀(H)이 형성되어 웜기어(420)의 내측에 몸체부(410)의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볼트(B)가 볼트홀(H)을 관통하여 볼트홈(h)에 볼트결합됨으로써 몸체부(410)에 웜기어(42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430)는, 작업자가 콘크리트 구조물(C.S)의 슬라브(S)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직축(400)을 회전조작하기 위해 몸체부(410)의 상단에 형성된다. 이때, 헤드부(430)의 외부 형태는 다각면으로 이루어져 몸체부(410)를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스패너 등과 같은 회전공구가 헤드부(430)를 파지할 수 있다.
한편, 클램프(300)에 형성된 통공(310)의 지름 크기는, 수직축(400)에 구비된 헤드부(430)의 지름 크기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직축(400)의 헤드부(430)에 회전공구를 체결한 상태에서 수직축(400)의 회전 조작시 회전공구가 헤드부(430)에서 분리되거나 수직축(400)의 웜기어(420)와 수평축(100)의 웜휠(120) 간의 기어치합이 해제되어 수직축(400)이 낙하하게 되면, 헤드부(430)의 하측이 클램프(300)의 상측에 걸림으로써 수직축(400)이 클램프(300)의 통공(310)을 통과하여 지면에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C.S)의 슬라브(S)에 안전하게 위치한 작업자에 의해 수직축(400)을 회전 조작하여 수직축(400)에 직교한 상태로 기어치합되어 수직축(400)의 하측에 위치한 수평축(100)을 회전시켜 갱폼(1)을 벽체(W)에서 해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어 갱폼(1)의 해체 시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에서 갱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는, 수평축(100), 앵커볼트(200), 클램프(300) 및 수직축(400)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C.S)의 벽체(W) 외측에 마련되는 외부 거푸집(F1)의 외측면에 수평으로 결합되며 외부 거푸집(F1)의 수직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보강재(10)와, 수평보강재(10)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수평보강재(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보강재(20)로 이루어진 갱폼(1)을 벽체(W)에서 해체하기 위한 장치이다.
수평축(100)은, 중공의 형태로 내경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된 연결너트(110)와, 외경을 따라 톱니가 형성된 웜휠(120)을 구비한다.
연결너트(110)는, 수직보강재(20) 사이를 수평으로 통과하여 외부 거푸집(F1)에 형성된 제1 관통홀(50)을 관통하면서 벽체(W)의 형성된 제2 관통홀(60)에 일단부가 일정 길이만큼 삽입된다. 이때, 연결너트(110)의 타단부에는 볼트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 거푸집(F1)이 벽체(W)에 전체적으로 마련되지 않고, 벽체(W)에 부분 면적에만 외부 거푸집(F1)이 마련된 경우, 외부 거푸집(F1)이 마련되지 않은 위치에서는 연결너트(110)가 수직보강재(20) 사이를 통과하는 상태에서 외부 거푸집(F1)을 거치지 않고 벽체(W)에 형성된 제2 관통홀(60)에 직접 삽입될 수 있다.
웜휠(120)은, 중공의 형태로 외경을 따라 톱니가 형성되며 연결너트(110)의 타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부연하면, 웜휠(120)의 일측부에는 연결너트(110)에 형성된 볼트홀(H)에 대응하는 동일한 형태의 볼트홀(H)이 형성되어 웜휠(120)의 내측에 연결너트(110)의 타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볼트(B)가 볼트홀(H)들을 차례로 관통하면서 연결너트(200)와 웜휠(120)이 서로 볼트결합될 수 있다.
앵커볼트(200)는, 벽체(W)의 내측에서 벽체(W)에 형성된 제2 관통홀(60)에 일정 길이만큼 삽입된다.
여기서, 앵커볼트(200)는, 외경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된 나선축(210)과 헤드부(220)로 구성된다. 나선축(210)은, 연결너트(110)에 나선결합되도록 벽체(W)에 형성된 제2 관통홀(6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헤드부(220)는, 벽체(W)의 내측에 마련되는 내부 거푸집(F2)과 체결되도록 벽체(W)의 내측으로 노출된다.
여기서, 앵커볼트(200)의 헤드부(220)에는 체결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복수의 내부 거푸집(F2)이 벽체(W)의 내측면에서 서로 연결되어 평면으로 배치될 때, 내부 거푸집(F2) 사이에 헤드부(220)가 배치되어 체결홀(221)을 관통하는 연결구(미도시)에 의해 내부 거푸집(F2)이 서로 연결되고, 헤드부(220)와 내부 거푸집(F2)이 서로 체결되는 것이다.
이는 내부 거푸집(F2)에 고정설치된 앵커볼트(200)와 수평축(100)의 연결너트(110)가 서로 나선결합되어 앵커볼트(200)와 수평축(100) 간의 서로 강하게 당기는 힘이 발생하면, 내부 거푸집(F2)과 외부 거푸집(F1)을 동시에 벽체(W)의 내외측면에 각각 견고히 고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외부 거푸집(F1)에 형성된 제1 관통홀(50)의 지름 크기는, 웜휠(120)의 지름 크기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직축(400)에 직교한 상태로 수직축(400)에 기어치합되어 수직축(400)의 회전에 연동하여 수평축(100)이 회전되면서 나선결합되는 앵커볼트(200)를 향해 전진할 때, 웜휠(120)이 외부 거푸집(F1)의 외측면에 가로 막혀 수평축(100)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클램프(300)는, 수직보강재(20)에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통해 수직보강재(20)의 외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수평축(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업자가 콘크리트 구조물(C.S)의 슬라브(S)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직축(400)을 회전조작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클램프(300)에는 수직축(400)이 관통하는 통공(31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수직축(400)은, 몸체부(410)와 웜기어(420)와 헤드부(4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몸체부(410)는, 수평축(100)에 직교한 상태가 되도록 클램프(300)에 형성된 통공(310)을 수직으로 관통한다. 이때, 몸체부(410)의 하단부에는 볼트홈(h)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웜기어(420)는, 중공의 형태로 외경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어 웜휠(120)에 기어치합되며, 몸체부(410)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부연하면, 웜기어(420)의 상단부에는 몸체부(410)에 형성된 볼트홈(h)에 대응하는 볼트홀(H)이 형성되어 웜기어(420)의 내측에 몸체부(410)의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볼트(B)가 볼트홀(H)을 관통하여 볼트홈(h)에 볼트결합됨으로써 몸체부(410)에 웜기어(42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430)는, 작업자가 콘크리트 구조물(C.S)의 슬라브(S)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직축(400)을 회전조작하기 위해 몸체부(410)의 상단에 형성된다. 이때, 헤드부(430)의 외부 형태는 다각면으로 이루어져 몸체부(410)를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스패너 등과 같은 회전공구가 헤드부(430)를 파지할 수 있다.
한편, 클램프(300)에 형성된 통공(310)의 지름 크기는, 수직축(400)에 구비된 헤드부(430)의 지름 크기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직축(400)의 헤드부(430)에 회전공구를 체결한 상태에서 수직축(400)의 회전 조작시 회전공구가 헤드부(430)에서 분리되거나 수직축(400)의 웜기어(420)와 수평축(100)의 웜휠(120) 간의 기어치합이 해제되어 수직축(400)이 낙하하게 되면, 헤드부(430)의 하측이 클램프(300)의 상측에 걸림으로써 수직축(400)이 클램프(300)의 통공(310)을 통과하여 지면에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C.S)의 슬라브(S)에 안전하게 위치한 작업자에 의해 수직축(400)을 회전 조작하여 수직축(400)에 직교한 상태로 기어치합되어 수직축(400)의 하측에 위치한 수평축(100)을 회전시켜 갱폼(1)을 벽체(W)에서 해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어 갱폼(1)의 해체 시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를 이용한 갱폼 해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를 이용한 갱폼 해체 방법으로서, 먼저, 콘크리트 구조물(C.S)의 슬라브(S)에 작업자가 위치한 상태에서 수직축(400)을 클램프(300)에 형성된 통공(310)에 수직으로 관통시켜 수평축(100)의 웜휠(120)에 수직축(400)의 웜기어(420)가 기어치합(단계S100)되도록 한다.
그 다음, 수직축(400)의 헤드부(430)에 작업자가 소지한 회전공구를 체결(단계S200)한다.
그 다음, 작업자가 회전공구를 파지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수직축(400)이 회전 조작되면, 수직축(400)에 치합된 수평축(100)이 회전되면서 앵커볼트(200)에 나선결합된 수평축(100)의 연결너트(110)가 앵커볼트(200)에서 이탈(단계S300)되어 결과적으로 벽체(W)에서 갱폼(1)을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수평보강재 20: 수직보강재
30: 관통홀 40: 홈
50: 제1 관통홀 60: 제2 관통홀
100: 수평축 110: 연결너트
120: 웜휠 200: 앵커볼트
210: 나선축 220, 430: 헤드부
221: 체결홀 300: 클램프
310: 통공 400: 수직축
410: 몸체부 420: 웜기어
C.S: 콘크리트 구조물 F1: 외부 거푸집
F2: 내부 거푸집 S: 슬라브
W: 벽체

Claims (8)

  1.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외측에 마련되는 외부 거푸집의 외측면에 수평으로 결합되며 상기 외부 거푸집의 수직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보강재(10)와, 상기 수평보강재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수평보강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보강재(20)로 이루어진 갱폼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재 사이를 수평으로 통과하여 상기 외부 거푸집에 형성된 관통홀(30)을 관통하고, 상기 벽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40)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연결너트(110)와, 상기 연결너트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외경을 따라 톱니가 형성된 웜휠(120)을 구비하는 수평축(100);
    상기 벽체에 매설된 상태로 상기 연결너트의 일단부 내경에 나선결합되는 앵커볼트(200);
    상기 수평축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보강재에 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통공(310)이 형성된 클램프(300); 및
    상기 갱폼의 해체를 위하여 상기 수평축을 이동시키는 수직축;을 포함하여, 상기 갱폼의 상단부에만 설치되며,
    상기 수직축은 상기 클램프의 통공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몸체부(410)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외경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축에 직교한 상태로 상기 웜휠에 기어치합되는 웜기어(420)와,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공구가 체결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410)는, 상기 수평축(100)에 직교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클램프에 형성된 통공을 수직으로 관통하며,
    상기 웜기어(420)는, 상기 몸체부(410)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중공의 형태로 외경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웜휠(120)에 기어치합되고,
    상기 헤드부(430)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상기 클램프에 형성된 통공(310)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수직축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에 위치한 작업자에 의해 상기 클램프에 형성된 통공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웜기어가 상기 수평축의 웜휠에 치합된 후 회전되어 상기 연결너트가 상기 앵커볼트에서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갱폼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거푸집에 형성된 관통홀의 지름 크기는, 상기 웜휠의 지름 크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
  4.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외측에 마련되는 외부 거푸집의 외측면에 수평으로 결합되며 상기 외부 거푸집의 수직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보강재와, 상기 수평보강재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수평보강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보강재로 이루어진 갱폼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재 사이를 수평으로 통과하여 상기 외부 거푸집에 형성된 제1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벽체에 형성된 제2 관통홀에 일단부가 일정 길이만큼 삽입되는 연결너트와, 상기 연결너트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외경을 따라 톱니가 형성된 웜휠을 구비하는 수평축;
    상기 제2 관통홀에 일정 길이만큼 삽입되어 상기 연결너트의 일단부 내경에 나선결합되는 나선축과, 상기 벽체의 내측에 마련되는 내부 거푸집과 체결되도록 벽체의 내측으로 노출된 헤드부를 구비하는 앵커볼트;
    상기 수평축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보강재에 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된 클램프; 및
    상기 갱폼의 해체를 위하여 상기 수평축을 이동시키는 수직축;을 포함하여, 상기 갱폼의 상단부에만 설치되며,
    상기 수직축은 상기 클램프의 통공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몸체부(410)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외경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축에 직교한 상태로 상기 웜휠에 기어치합되는 웜기어(420)와,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공구가 체결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410)는, 상기 수평축(100)에 직교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클램프에 형성된 통공을 수직으로 관통하며,
    상기 웜기어(420)는, 상기 몸체부(410)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중공의 형태로 외경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웜휠(120)에 기어치합되고,
    상기 헤드부(430)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상기 클램프에 형성된 통공(310)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수직축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에 위치한 작업자에 의해 상기 클램프에 형성된 통공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웜기어가 상기 수평축의 웜휠에 치합된 후 회전되어 상기 연결너트가 상기 앵커볼트에서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갱폼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의 헤드부에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거푸집이 서로 연결되어 평면으로 배치될 때, 내부 거푸집 사이에 상기 헤드부가 배치되어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는 연결구에 의해 내부 거푸집이 서로 연결되고, 헤드부와 내부 거푸집이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거푸집에 형성된 제1 관통홀의 지름 크기는, 상기 웜휠의 지름 크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에 형성된 통공의 지름 크기는, 상기 수직축에 구비된 헤드부의 지름 크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
  8. 제1항 또는 제4항의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를 이용한 갱폼 해체 방법으로서,
    a)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에 작업자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축을 상기 클램프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축의 웜휠에 수직축의 웜기어가 기어치합되도록 연결하는 제1단계;
    b) 상기 수직축의 헤드부에 상기 작업자가 소지한 회전공구를 체결하는 제2단계; 및
    c) 상기 작업자에 의해 상기 수직축이 회전 조작되어 상기 수평축이 상기 앵커볼트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를 이용한 갱폼 해체 방법.
KR1020200014374A 2019-11-29 2020-02-06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갱폼 해체 방법 KR1023480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305 2019-11-29
KR20190156305 2019-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826A KR20210067826A (ko) 2021-06-08
KR102348098B1 true KR102348098B1 (ko) 2022-01-10

Family

ID=76399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374A KR102348098B1 (ko) 2019-11-29 2020-02-06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갱폼 해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0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8620A (zh) * 2021-07-02 2021-09-03 兴化市金建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将爬升模板紧固在混凝土体上的锚固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786B1 (ko) * 2015-03-31 2016-09-08 서갑수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해제용 서포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183B1 (ko) 2009-03-09 2010-07-20 주식회사 거성산업 갱폼용 고정 클램프
KR20110087590A (ko) * 2010-01-26 2011-08-03 (주)세건이엔지 갱폼 낙하 방지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786B1 (ko) * 2015-03-31 2016-09-08 서갑수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해제용 서포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826A (ko)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61309A (zh) 狭窄变形缝内侧模板安装施工方法
KR102348098B1 (ko) 작업자 추락방지용 갱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갱폼 해체 방법
CN207727959U (zh) 建筑施工脚手架用扁铁式刚性连墙件
KR102024302B1 (ko) 외단열 시공구조
CH712025A2 (de) Gewindehülse zur Verankerung von Bauelementen in einem Betonbauwerk, eine Positionier- und Ankerplatte sowie ein Distanzrohr.
CH684648A5 (de) Gewindehülse zur Befestigung von mit einem schraubenförmig ausgebildeten Spannstab versehenen Bauelementen und Verwendung derselben.
KR200451874Y1 (ko) 강관말뚝 추락방지 안전장치
KR20110024153A (ko) 건축용 서포터
WO2017174490A1 (de) Befestigungselement für wanschalungen
DE102017213613B4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nachträglich zu verschließenden Deckendurchbruchs
KR100901261B1 (ko) 상인방 벽돌 조적용 가설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상인방벽돌 조적 방법
KR100505330B1 (ko) 지반 보강용 텐션 네일
DE102011005458B4 (de) Gerüstbefestigungsbausatz und Verwendung desselben
DE1953737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iegesteifen Sicherung eines Schornsteins
CN110939262A (zh) 一种外挂式外脚手架
DE102007034500B4 (de) Spannschraube für den Schalungsbau, sowie Spannschraubenanordnung für den Schalungsbau
DE3835790C1 (ko)
KR100538760B1 (ko) 방수 시트와 철근 고정용 앵커 볼트
DE935454C (de) Bauwerk, Raumeinfassung, UEberbrueckung od. dgl.
DE4344344A1 (de) Kamin mit mehreren, durch Verbindungsanordnungen biegesteif miteinander verbundenen Kaminelementen
EP3246502B1 (de) Verfahren zum schlag- oder drehschlagbohren von löchern sowie gleichzeitigem profilieren von bohrlochwänden in erd-, boden- oder gesteinsmaterial
KR100508664B1 (ko) 인발 제거형 네일장치 및 그 제거방법
DE19523190A1 (de) Haltevorrichtung für ein Baukonsolgerüst und/oder ein Baugeländer und Verankerungsvorrichtung für eine Haltevorrichtung
KR200312897Y1 (ko) 인발 제거형 네일장치
GB2538588A (en) Safety equipment for building ope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