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078B1 - 촬영기를 이용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촬영기를 이용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078B1
KR102347078B1 KR1020170115902A KR20170115902A KR102347078B1 KR 102347078 B1 KR102347078 B1 KR 102347078B1 KR 1020170115902 A KR1020170115902 A KR 1020170115902A KR 20170115902 A KR20170115902 A KR 20170115902A KR 102347078 B1 KR102347078 B1 KR 102347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vehicle
region
image frame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8950A (ko
Inventor
이성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5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07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8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기를 이용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전방 카메라 또는 후방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 프레임의 휘도에 따라서 램프의 단선 여부를 고장 진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촬영기를 이용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Diagnosys method for the fault of lamp of a car using a camera}
본 발명은 촬영기를 이용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전방 카메라 또는 후방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 프레임의 휘도에 따라서 램프의 단선 여부를 고장 진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전조등, 미등, 방향 지시등 등의 램프들이 설치되어 주야간 운행시의 자동차의 가시성을 확보하고 차선 변경이나 방향 전환의 표시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중요 기능을 제공하는 램프가 고장이 발생될 경우, 종래에는 램프의 단선(open)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를 센서를 통하여 감지하고 이를 SJB(Smart Junction Box)(퓨즈 및 릴레이 통합 박스)나 IBU(Integrated Body Unit, 통합바디 제어기)를 통하여 자동차의 ECU(전자제어유닛)에 전송하여 단선 여부를 판단하여, 램프 고장시 자동차의 클러스터에 관련 경고등이나 경고 팝업등을 표시하게 된다. 방향 지시등의 경우, 클러스터 상에서 방향 표시등의 구동 주기를 빠르게 점멸시켜 운전자에게 경고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램프 단선 진단 방법은 램프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와 센서에 따른 부가회로가 실장되므로 제조원가가 별도로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램프 단선 진단 방법은 램프의 수명저하로 인한 저휘도 발광의경우나 램프 내부의 발광 가스 누출 등으로 인한 램프의 성능 저하는 감지가 가능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자동차에 전방 카메라 또는 후방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램프의 단선 여부를 고장 진단할 수 있는 촬영기를 이용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촬영기를 이용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은, 자동차에 전방 카메라 또는 후방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 프레임의 휘도에 따라서 램프의 단선 여부를 고장 진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촬영기를 이용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은, 자동차에 전방 카메라 또는 후방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램프의 단선 여부를 고장 진단함으로써 종래 램프의 수명저하로 인한 저휘도 발광 또는 램프 내부의 발광 가스 누출 등으로 인한 램프의 성능 저하를 감지할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램프의 단선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전류감지회로나 센서 회로를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를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램프의 고장 여부나 성능 저하 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단선 감지보다 더 정확하고 우수한 단선 감지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종래 램프의 단선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감지회로나 센서 회로의 실장이 불필요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매우 진보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램프 고장 진단 시스템의 블럭다이어그램,
도 2 는 본 발명의 램프 고장 진단 시스템이 설치된 자동차의 광원 출사기의 출사광을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의 플로우챠트,
도 4 는 본 발명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의 영상 프레임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의 분할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의 관심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의 데이터 스캔 라인의 명암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 은 본 발명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의 경고 표시의 일례,
도 9 및 도 10 는 본 발명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의 램프의 광원의 휘도 출력능을 나타내는 기하학적 그래프(Geometric data)의 일례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촬영기를 이용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의 블럭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은 자동차의 전방 또는 후방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다기능 카메라(Multi Function Camera, MFC)와 같은 촬영기(10)를 이용하여 램프 단선 여부를 고장 진단한다.
이를 위하여,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은, 자동차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전방 또는 후방을 촬영하는 촬영기(10); 상기 촬영기(10)가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영상신호입력부(20); 상기 영상신호입력부(20)로부터 영상 프레임 전달받아 영상의 휘도 분석을 통하여 자동차 램프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진단부(30); 상기 고장 진단부(30)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램프의 고장 여부를 자동차의 클러스터(50)에 표시하는 경고 현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자동차의 램프의 출사광의 영역 및 촬영기의 감지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촬영기(10)의 감지영역은 자동차(C)에 설치되어 전방을 촬영하는 촬영기(10)의 전방촬영기 감지영역(A1)과 후방을 촬영하는 촬영기(10)의 후방촬영기 감지영역(A2)이 존재한다.
또한, 자동차의 전조등 출사광이 미치는 영역(B1)과 자동차 후방의 미등 출사광이 미치는 영역(B2)이 존재한다.
또한, 자동차의 전방 방향지시등 출사광이 미치는 영역(D1)과 후방 방향지시등 출사광이 미치는 영역(D2)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램프 고장 진단 시스템의 촬영기(10)의 전방촬영기 감지영역(A1)과 후방촬영기 감지영역(A2)은 적어도 상기 전조등 출사광 영역(B1), 미등 출사광 영역(B2)을 촬영할 수 있을 정도의 감지 영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촬영기(10)는 통상의 디지털 방식의 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은 본 발명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의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은, 자동차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전방 또는 후방을 촬영하는 촬영기가 생성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영상 프레임 생성 수순 및 상기 영상 프레임을 전달받아 영상의 휘도 분석을 통하여 자동차 램프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진단 수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순을 가지는 본 발명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은, 자동차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전방 또는 후방을 촬영하는 촬영기(10); 상기 촬영기(10)가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영상신호입력부(20); 상기 영상신호입력부(20)로부터 영상 프레임 전달받아 영상의 휘도 분석을 통하여 자동차 램프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진단부(30); 상기 고장 진단부(30)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램프의 고장 여부를 자동차의 클러스터(50)에 표시하는 경고 현시부(40)로 이루어진 램프 고장 진단 시스템에서 구현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의 영상 프레임 생성 수순은, 촬영기(10)가 촬영한 자동차 전방 또는 후방의 램프의 출사광 영역의 영상신호가 영상신호입력부(20)로 입력되어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영상 프레임(frame)으로 변환되고(S10), 변환된 영상 프레임들은 고장 진단부(30)로 전달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의 고장 진단 수순은, 후술할 S20 단계 내지 S100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하에서 이들 각 단계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고장 진단부(30)는 입력된 영상 프레임별로 명암비를 측정한다(S20).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영상 프레임별로 명암비는 영상 프레임의 최대 휘도를 최소 휘도로 나누어주는 '심플 콘트라스트(Simple Contrast)' 방법에 따라서 하기의 수학식 1 을 사용하여 영상 프레임별 명암비를 측정한다.
(수학식 1)
C/R(명암비) = Ymax / Ymin
* Ymax: 최대 휘도 (백색 휘도)
Ymin: 최소 휘도 (흑색 휘도)
예를 들어, 전조등의 출력에 의하여 촬영기(1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프레임의 백색 휘도가 100.0 cd/m2 이고 흑색 휘도가 1.0 cd/m2 이라면, 해당 영상 프레임의 명암비(C/R)는 100.0/1.0 = 100 으로 산출된다. 산출된 영상 프레임별 명암비는 촬영기(10)의 영상프레임 이미지의 감지 분해능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휘도(Luminance)는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빛의 밝기를 나타내며 휘도는 대상이 되는 면광원, 반사면, 투과면으로부터 관측방향에 수직인 면에 투사된 면적당 광도로 정의되는 값이며, 단위는 cd/m2 (nit)이다.
또한, 조도(Illuminance)는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고 있는 물체의 밝기이며, 단위면적당 도달하는 빛의 양으로 정의되는 값이며, 단위는 럭스(lux 또는 lx) 이다.
도 4 는 촬영기(10)에 의하여 입력된 영상 프레임의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 명암 단계)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심플 콘트라스트 방법에 따라서 해당 영상 프레임의 Ymax 의 백색 휘도(즉, 최대 휘도)와 Ymin 의 흑색 휘도(즉, 최소 휘도)를 구하여 명암비(C/R)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S2 단계에서 해당 영상 프레임별로 명암비가 산출되면, 해당 영상 프레임의 대비감도를 측정한다(S30).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영상 프레임의 대비감도의 측정은, 최대 휘도와 최소 휘도의 차이를 최소 휘도로 나누어주는 '웨버 콘트라스트'(Weber Constrast) 방법에 따라서 하기의 수학식 2 을 사용하여 영상 프레임의 대비감도를 측정한다. 대비감도란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빛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는 시각적 능력을 의미한다.
(수학식 2)
WC(대비감도) = (Ymax - Ymin) / Ymin
* Ymax: 최대 휘도(백색 휘도)
Ymin: 최소 휘도(흑색 휘도)
해당 영상 프레임의 대비감도를 측정함으로써, 휘도가 상이한 각 영역들이 구분된다.
도 5 의 본 발명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의 영상 프레임의 분할 영역을 나타내는 일례의 도면과 같이, 상술한 대비감도의 측정에 의하여 자동차의 좌우 전조등의 휘도차에 의한 기준선들이 설정되게 된다.
즉, 제 2 분할선(L2)에 의하여 자동차의 좌측 전조등의 광이 미치는 영역과 우측 전조등의 광이 미치는 영역이 분할되며, 좌측 전조등의 광이 미치는 영역의 좌측 가장자리를 제 1 분할선(L1)으로 설정하고 우측 전조등의 광이 미치는 영역의 우측 가장자리를 제 3 분할선(L3)으로 설정하여 제 1 분할선(L1)으로부터 제 2 분할선(L2) 사이의 섹션(section) 및 제 2 분할선(L2)으로부터 제 3 분할선(L3) 사이의 섹션으로 해당 영상 프레임의 분할 섹션들을 선정하게 된다. 분할된 섹션들의 영역내에 후술할 관심 영역(S1,S2)이 설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고장 진단부(30)는 상기 대비감도가 측정된 영상 프레임이 유의미한 영상 프레임인지를 판단한다(S40).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n 개 이상의 영상 프레임의 각각의 휘도들의 차이가 허용 오차 이내이면 유의미한 영상 프레임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영상 프레임의 유의미성을 판단함으로써 운전자가 잠시 전조등과 같은 램프의 소등시의 영상 프레임 등을 램프 고장 진단에 있어서 무의미한 영상 프레임으로 처리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고장 진단부(30)는 해당 영상 프레임의 가용영역(reference distance) 내에 존재하는 명암비 최대 영역(Contrast Ration Max)을 선정한다(S50).
본 발명 실시예는 상기 영상 프레임의 가용영역을 3000mm±100 mm 내지 6000 mm±200mm 로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가용영역 내에서 명암비가 최대인 영역을 선정함으로써 후술할 관심 영역(S1,S2)의 선정시 보다 신속한 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명암비 최대 영역을 선정하기 위하여 촬영기(10)의 이미지 셀(cell)의 사양별 교정값(calibration value)를 적용하여 휘도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장 진단부(30)는 해당 영상 프레임의 고배율 매크로 영역(High magnification macro zone)과 저배율 매크로 영역(Low magnification macro zone)을 설정한다(S60). 이러한 고배율 매크로 영역과 저배율 매크로 영역의 설정은 후술할 관심 영역(S1,S2)의 선정시 빠른 신호 처리를 위한 데이터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고장 진단부(30)는 해당 영상 프레임에서 측정된 대비 감도에 따라서 설정된 분할 섹션내에서 휘도값을 추출할 영역인 관심 영역을 적어도 1 개 이상 선정하고, 선정된 관심 영역내에 존재하는 휘도값을 추출한다(S70).
도 6 은 본 발명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의 관심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 에 도시된 제 1 분할선(L1)으로부터 제 2 분할선(L2) 사이의 섹션(section) 및 제 2 분할선(L2)으로부터 제 3 분할선(L3) 사이의 섹션내에서 휘도값을 추출할 2 개의 제 1 관심영역(S1)과 제 2 관심영역(S2)이 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선정된 각 관심영역(S1,S2)의 영역내에서 휘도값이 추출될 지점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캔 라인(Data Scan Line, DSL)이 설정되고, 데이터 스캔 라인(DSL)을 따라서 제 1 관심영역(S1)과 제 2 관심영역(S2)의 휘도값을 추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고장 진단부(30)는 추출된 제 1 관심영역(S1)과 제 2 관심영역(S2)의 휘도값을 이용하여 제 1 관심영역(S1)과 제 2 관심영역(S2)의 피크-투-피크 비(Peak-to-Peak Contrast)를 산출한다(S80).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 1 관심영역(S1)과 제 2 관심영역(S2)의 피크-투-피크 비의 산출은, 하기의 수학식 3 으로 정의되는 '미켈슨 콘트라스트'(Michelson Contrast) 방법에 따라서 산출한다.
상기의 미켈슨 콘트라스트 방법은 최대 휘도와 최소 휘도의 차이를 최대 휘도와 최소 휘도의 합으로 나누어 주는 방법이다.
(수학식 3)
Peak-to-Peak contrast(피크-투-피크 비) = (Ymax - Ymin) / (Ymax + Ymin)
* Ymax: 최대 휘도(백색 휘도)
Ymin: 최소 휘도(흑색 휘도)
이어서, 고장 진단부(30)는 산출된 제 1 관심영역(S1)과 제 2 관심영역(S2)의 피크-투-피크 비(Peak-to-Peak Contrast)값과 고장 진단부(30)에 기설정된 기준값을 만족키는지를 판단하여(S90), 램프의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기준값은 고장 진단부(30)에 룩업테이블(LUT)의 형태로 정의되어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의 데이터 스캔 라인의 각 관심영역별로 휘도값과 기준값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6 에 표시된 제 1 관심영역(S1)의 피크-투-피크 비가 기설정된 기준값인 경고기준값(R) 미만인 경우 램프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기능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판단하나, 제 2 관심영역(S2)의 피크-투-피크 비는 경고기준값(R)을 초과하고 있으므로 고장 진단부(30)는 제 2 관심영역(S2)의 광원인 좌측 전방 전조등이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 1 관심영역(S1)이나 제 2 관심영역(S2)의 발광원의 램프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되면, 고장 진단부(30)는 해당 램프가 고장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경고 현시부(40)로 전달하고, 경고 현시부(40)는 자동차의 클러스터(50)에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C)의 전조등(FR)이 고장났음을 알려주는 경고 표시를 클러스터(50)의 윈도우(60)에 표시하여 줌으로써 램프의 고장 여부나 기능 저하 여부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본 발명의 고장 진단부(30)는 램프의 휘도 출력능을 기하학적 데이터(Geometric data)로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즉, 램프의 휘도 출력능을 클러스터(50)의 윈도우(60)에 기하학적 데이터로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줄 수 있는데, 도 9 는 램프의 정상 상태임을 나타내는 기하학적 데이터이고, 도 10 은 광원의 성능 열화 또는 단선에 따라서 현재 램프가 비정상 상태임을 나타내는 기하학적 데이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은 위와 같이 램프의 휘도 출력능을 기하학적 데이터로 표시함으로써 램프의 성능을 직관적이며 비쥬얼하게 운전자 또는 정비자에게 제공하여 줄 수 있으며, 휘도의 분별 편차를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기하학적 데이터에 램프 고장을 경고하는 영역인 컷-오프 평면(Cut-Off Plane)을 할당하여 줄 수도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촬영기
20; 영상신호 입력부
30; 고장 진단부
40; 경고 현시부
50; 클러스터
60; 클러스터 윈도우
C; 자동차
A1; 전방 촬영기 감지영역
A2; 후방 촬영기 감지영역
B1; 전조등 출사광
B2; 미등 출사광
D1; 전방 방향지시등 출사광
D2; 후방 방향지시등 출사광
DSL; 데이터 스캔 라인
S1; 제 1 관심영역
S2; 제 2 관심영역
L1; 제 1 분할선
L2; 제 2 분할선
L3; 제 3 분할선

Claims (12)

  1.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에 있어서,
    자동차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전방 또는 후방을 촬영하는 촬영기가 생성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영상 프레임 생성 수순; 및
    상기 영상 프레임을 전달받아 영상의 휘도 분석을 통하여 자동차 램프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진단 수순; 을 포함하고,
    상기 고장 진단 수순은,
    고장 진단부(30)가 해당 영상 프레임의 대비감도를 측정하는 단계(S30);
    상기 고장 진단부(30)가 관심 영역내에 존재하는 휘도값을 추출하는 단계(S70);
    상기 고장 진단부(30)가 추출된 관심 영역의 휘도값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의 피크-투-피크 비를 산출하는 단계(S80);
    상기 고장 진단부(30)가 산출된 관심 영역의 피크-투-피크 비 값과 기설정된 기준값을 만족키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상기 관심 영역의 발광원인 램프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90);를 가지며,
    상기 고장 진단부(30)가 해당 영상 프레임의 고배율 매크로 영역(High magnification macro zone)과 저배율 매크로 영역(Low magnification macro zone)을 설정하는 단계(S6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프레임 생성 수순은,
    자동차에 설치된 촬영기(10)가 촬영한 자동차 전방 또는 후방의 램프의 출사광 영역의 영상신호가 영상신호입력부(20)로 입력되어 영상 프레임으로 변환되고(S10), 고장 진단부(30)로 전달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 내에 존재하는 휘도값을 추출하는 단계(S70)에서,
    상기 관심 영역은, 해당 영상 프레임에서 측정된 대비 감도에 따라서 설정된 분할 섹션내에서 휘도값을 추출할 영역이며,
    상기 관심 영역은 적어도 1 개 이상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9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관심 영역의 램프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고장 진단부(30)가 경고 현시부(40)를 통하여 램프의 고장을 나타내는 경고를 표시하는 단계(S1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 수순은,
    고장 진단부(30)가 입력된 영상 프레임별로 명암비를 측정하는 단계(S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 수순은,
    상기 고장 진단부(30)가 상기 대비감도가 측정된 영상 프레임이 유의미한 영상 프레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의미한 영상 프레임의 판단은,
    상기 고장 진단부(30)가 기설정된 n 개 이상의 영상 프레임의 각각의 휘도들의 차이가 허용 오차 이내이면 유의미한 영상 프레임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 수순은,
    상기 고장 진단부(30)가 해당 영상 프레임의 가용영역(reference distance) 내에 존재하는 명암비 최대 영역(Contrast Ration Max)을 선정하는 단계(S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
  9. 삭제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S70 단계의 선정된 관심 영역내에 존재하는 휘도값을 추출하는 단계(S70)는,
    선정된 관심영역의 영역내에서 휘도값이 추출될 지점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캔 라인(Data Scan Line, DSL)이 설정되고, 데이터 스캔 라인(DSL)을 따라서 관심영역의 휘도값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부(30)는 램프의 휘도 출력능을 기하학적 데이터(Geometric data)로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
  12.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10 항, 제 11 항중 어느 한항의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의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KR1020170115902A 2017-09-11 2017-09-11 촬영기를 이용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 KR102347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902A KR102347078B1 (ko) 2017-09-11 2017-09-11 촬영기를 이용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902A KR102347078B1 (ko) 2017-09-11 2017-09-11 촬영기를 이용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950A KR20190028950A (ko) 2019-03-20
KR102347078B1 true KR102347078B1 (ko) 2022-01-05

Family

ID=66036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902A KR102347078B1 (ko) 2017-09-11 2017-09-11 촬영기를 이용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0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0019B (zh) * 2020-09-22 2024-02-09 上海罗曼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建筑夜景照明灯光故障检测方法
KR102474723B1 (ko) * 2020-12-31 2022-12-0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방향지시등 고장 판정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6382A (ja) 1999-12-08 2001-06-22 Matsushita Electronics Industry Corp 光源ユニットの良否判定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源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8310662B2 (en) 2008-07-03 2012-11-13 Adc Automotive Distance Control Systems Gmbh Method for detecting misalignment of a vehicle headlight using a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653B1 (ko) * 2013-10-23 2020-08-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램프 고장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12468A (ko) * 2014-07-24 2016-02-0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KR102430499B1 (ko) * 2015-09-22 2022-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조명의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6382A (ja) 1999-12-08 2001-06-22 Matsushita Electronics Industry Corp 光源ユニットの良否判定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源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8310662B2 (en) 2008-07-03 2012-11-13 Adc Automotive Distance Control Systems Gmbh Method for detecting misalignment of a vehicle headlight using a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950A (ko)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1208B1 (en) Device for monitoring the proper functioning of a transmission path, particularly of a camera
WO2017026454A1 (ja) 車載表示システム、制御装置、表示装置
US9264626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sing pulsing light sources
KR102347078B1 (ko) 촬영기를 이용하는 자동차의 램프 고장 진단 방법
KR20190123720A (ko) 차량용 신호등 위상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079004A (ko) 차량용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28210A (ko) 차량 주변 환경 인식 시스템
JP4463388B2 (ja) 視認状況測定装置
KR101784629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의 램프 고장진단방법
EP2839991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driving assisting method
JP2006082653A (ja) ランプ点灯状態検出装置
KR101439987B1 (ko) 자동차 헤드라이트 조사각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819110B (zh) 用于监视车辆摄像机系统的设备和方法
JP2708713B2 (ja) 視程計測装置
JP2012134875A (ja) 内視鏡装置
JP7262043B2 (ja) 異常検出システム、移動体、異常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13452A (ja) 画像処理装置
JP2020191531A (ja) 表示制御装置、カメラ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WO2018130596A1 (en) Method for operating a camera in dependency on a current state of an environmental region of the camera, camera, and motor vehicle
US20240107174A1 (en) Imaging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JP7470540B2 (ja) 内部機器の異常判定装置、異常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30812A (ko) 후방 램프 고장 판단 장치 및 방법
JP2018182540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カメラ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20240073538A1 (en) Image capture with varied illuminations
US20240048851A1 (en) Control apparatus,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