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018B1 - 피조리물의 뒤집음과 불향맛 조리가 용이한 조리팬 - Google Patents

피조리물의 뒤집음과 불향맛 조리가 용이한 조리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018B1
KR102347018B1 KR1020210133877A KR20210133877A KR102347018B1 KR 102347018 B1 KR102347018 B1 KR 102347018B1 KR 1020210133877 A KR1020210133877 A KR 1020210133877A KR 20210133877 A KR20210133877 A KR 20210133877A KR 102347018 B1 KR102347018 B1 KR 102347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oking
side wall
front wall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종연
Original Assignee
조종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종연 filed Critical 조종연
Priority to KR1020210133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조리물이 안치되며 조리용 불과 닿는 바닥판(10);
바닥판(10)의 테두리에서 위로 경사지고 상부가 개방되어 팬의 조리 가능한 내부 공간을 제공하며, 높이가 낮은 후방 쪽에서 후방보다 높이가 높은 전방 쪽으로 상부가 이어지며 위로 갈수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만곡져서 피조리물의 스웩 이동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측벽(20);
높이가 낮은 후방 측벽 외측에 고정되는 손잡이(30);
손잡이(30) 반대편 측벽에 후방의 측벽보다 외벽이 깍여 두께가 얇아져서 후방 측벽보다 가열온도가 높아지므로 피조리물의 기름을 기화시켜 조리용 불이 스웩시 옮겨붙도록 하는 전방벽(40); 및
손잡이(30)를 잡고 전방으로 스웩시 피조리물이 뒤집어지도록 전방벽의 내측 상부 위치에 경사진 뒤집음벽(50)을 포함하는 피조리물의 뒤집음과 불향맛 조리가 용이한 조리팬 이다.

Description

피조리물의 뒤집음과 불향맛 조리가 용이한 조리팬{Cooking pan that can flip over objects to be cooked and cook with flame flavor}
본 발명은 피조리물의 뒤집음과 불향맛 조리가 용이한 조리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팬이나 웍(wok)같은 조리기구는 손잡이를 잡고 손목힘을 이용하여 전후 시소운동을 하면서 피조리물을 뒤집어 요리하고, 이는 바닥부에서는 가열 작용을 하고 측벽부에서는 가열을 피하여 내부 수분을 보호하고, 손목힘으로 시소운동으로 뒤집어 다시 가열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요리하면 피 조리물의 수분(필요시 육즙) 함량이 보존되어 맛이 좋아진다.
그런데 일반인이 이러한 숙련된 손목운동을 통하여 뒤집기 하기가 어려워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쉽게 뒤집을 수 있는 구조로 전방에만 만곡진 뒤집음 수단을 이룬 팬이 일본 특개2005-177012호, 특개평1-153156호, 특개평9-46366호로 개발되었으나, 역시 숙련을 요하는 문제점이 여전한다.
이를 위하여 테두리 측벽이 동일하게 만곡지고 웍 처럼 바닥이 깊게 형성된 형태가 일본 특개평9-56603호로 개발되었으나, 이는 바닥이 어느 정도 깊어서 역시 손목힘으로 시소 작용을 하면서 뒤집기는 좋으나, 바닥이 깊어 필요시 젓가락이나 주걱등을 이용하여 뒤집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름이 녹아 흘러나오는 구이의 경우 기름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불향맛이 나는 조리를 위하여는 조리사의 스웩 기술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일반인이 불맛향 조리를 하기가 어려운 실정으로 일반인도 불향맛을 쉽게 내도록 하는 조리팬은 알려진 바 없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를 전방으로 일정 거리를 이동시킨 다음 멈추고, 그러면 관성에 의하여 바닥판에 놓인 피조리물이 전방으로 이동 후 전방벽 내면을 지나 상승하여 경사벽에서 뒤집어지도록 기능토록 하고, 이는 손잡이를 잡고 전방으로 수평 이동 후 정지한 다음, 후방으로 복귀하는 수평 스웩 작용으로도, 피조리물을 쉽게 뒤집을 수 있도록 하는 피조리물의 뒤집음과 불향맛 조리가 용이한 조리팬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팬의 측벽 전방 부분이 얇은 전방벽을 이루고, 전방벽 상부에는 뒤집음벽을 형성하여 전방벽이 얇아 열전도가 높아져 피조리물에 부가한 기름의 기화가 전방벽 부분에서 집중 발생하므로 스웩시 뒤집어지는 피조리물의 기화기름이 조리 화염을 통하여 불이 쉽게 점화하게되고 이는 피조리물에 불향맛을 내도록 기능하므로, 일반인도 쉽게 전후 이동에 의한 수평 스웩으로 피조리물의 뒤집음과 불향맛 조리가 용이한 조리팬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뒤집음벽을 얇게하여도 상단에는 뚜껑 받침용 받침띠를 부가하고, 그 저면에는 보강용 에지띠를 부가하여 팬의 상단 테두리 강도 유지와 뚜껑 지지력을 유지토록 하는 피조리물의 뒤집음과 불향맛 조리가 용이한 조리팬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원발명은 피조리물이 안치되며 조리용 불과 닿는 바닥판;
바닥판의 테두리에서 위로 경사지고 상부가 개방되어 팬의 조리 가능한 내부 공간을 제공하며, 높이가 낮은 후방 쪽에서 후방보다 높이가 높은 전방 쪽으로 상부가 이어지며 위로 갈수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만곡져서 피조리물의 스웩 이동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측벽;
높이가 낮은 후방 측벽 외측에 고정되는 손잡이;
손잡이 반대편 측벽이 후방측 측벽보다 외벽이 깍여 두께가 얇아져서 후방 측벽보다 가열온도가 높아지므로 피조리물의 기름을 기화시켜 조리용 불이 스웩시 옮겨붙도록 하는 전방벽;
손잡이를 잡고 전방으로 스웩시 피조리물이 뒤집어지도록 전방벽의 내측 상부 위치에 경사진 뒤집음벽을 포함하는 피조리물의 뒤집음과 불향맛 조리가 용이한 조리팬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손잡이를 전방으로 일정 거리를 이동시킨 다음 멈추고, 그러면 관성에 의하여 바닥판에 놓인 피조리물이 전방으로 이동 후 전방벽 내면을 지나 상승하여 경사벽에서 뒤집어지도록 기능토록 하고, 이는 손잡이를 잡고 전방으로 수평 이동 후 전진한 다음, 후방으로 복귀하는 수평 스웩 작용으로도, 피조리물을 쉽게 뒤집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조리팬의 측벽 전방 부분이 얇은 전방벽을 이루고, 전방벽 상부에는 뒤집음벽을 형성하여 전방벽이 얇아 열전도가 높아져 피조리물에 부가한 기름의 기화가 전방벽 부분에서 집중 발생하므로 스웩시 뒤집어지는 피조리물의 기화기름이 조리 화염을 통하여 불이 점화하게되고 이는 피조리물에 불향맛을 내도록 기능하므로, 일반인도 쉽게 전후 이동에 의한 수평 스웩으로 피조리물의 뒤집음과 불향맛 조리가 가능한 조리팬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뒤집음벽을 얇게하여도 상단에는 뚜껑 받침용 받침띠를 부가하고, 그 저면에는 보강용 에지띠를 부가하여 팬의 상단 테두리 강도 유지와 뚜껑 지지력을 유지토록 하는 피조리물의 뒤집음과 불향맛 조리가 용이한 조리팬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2는 도 1 의 사시도,
도 3은 도 1 의 수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수직 단면도,
도 6은 도 4 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피조리물이 안치되며 조리용 불과 닿는 바닥판(10);
바닥판(10)의 테두리에서 위로 경사지고 상부가 개방되어 팬의 조리 가능한 내부 공간을 제공하며, 높이가 낮은 후방 쪽에서 후방보다 높이가 높은 전방 쪽으로 상부가 이어지며 위로 갈수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만곡져서 피조리물의 스웩 이동 마찰력을 줄이는 측벽(20);
높이가 낮은 후방 측벽 외측에 고정되는 손잡이(30);
손잡이(30) 반대편 측벽에 후방 측벽 보다 외벽이 깍여 두께가 얇아져서 후방 측벽(20)보다 가열온도가 높아지므로 피조리물의 기름을 기화시켜 조리용 불이 스웩시 옮겨붙도록 하는 전방벽(40);
손잡이(30)를 잡고 전방으로 스웩시 피조리물이 뒤집어지도록 전방벽의 내측 상부 위치에 경사진 뒤집음벽(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뒤집음벽(50)은 두께가 얇은 전방벽(40)의 내측면 상부에 스웩시 피조리물이 뒤집어져 팬 바닥판(10)으로 떨어지도록 위로 갈수록 손잡이 부분을 향하는 경사를 이루어 두꺼워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뒤집음벽(50)의 다른 예로는 두께가 얇은 전방벽(40)의 내측면 상부에 스웩시 피조리물이 뒤집어져 팬 바닥판(10)으로 떨어지도록 위로 갈수록 손잡이 부분을 향하여 경사지게 부가된 경사판(52)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경사판(52)은 세척이 용이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마다 슬릿공(53)을 형성한 것이 좋다.
상기 측벽(20) 및 전방벽(40) 상단 내측은 뚜껑 받침용 받침턱(62)을 이룬 받침띠(60)를 형성하며, 받침띠(60) 외측 하단과 전방벽(40) 상단에는 테두리 보강용 에지띠(42)가 측벽까지 이어진다.
상기 에지띠(42)는 측벽(20)과 전방벽(40)의 수직 경계를 이루는 수직에지띠(42-1)와, 수직에지띠(42-1) 상부에서 전방벽(40)의 중앙 방향으로 받침띠(60) 외측 저면에 만곡 연장된 만곡에지띠(42-2)와, 만곡에지띠(42-2)에서 전방벽 중앙까지 경사진 경사에지띠(42-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측벽(20)과 전방벽(40)의 경계부의 수직에지띠(42-1)는 손잡이 축선과 직교하는 바닥판의 중심을 지나는 바닥판 직경 연장선 부위에 오도록 구성한다.
이를 사용시에는 피조리물을 바닥판(10) 위에 올린 다음, 화력부위에 바닥판(10)을 올려 놓고 점화하여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 익혀지기 시작할 때 쯤 손잡이(50)를 전방으로 이동하다가 멈추면 관성에 의하여 피조리물이 만곡을 이룬 전방벽(40)을 따라 상승하고, 뒤집음벽(50)은 손잡이(30) 부분을 향하도록 위로 만곡되어 있어, 피조리물이 뒤집읍벽(50)을 지나면서는 뒤집어져서 바닥판(10) 중앙 부위로 떨어지게 된다. 이를 다시 반복하면 뒤집으면서 가열하는 조리를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뒤집음벽(50)은 도 1 내지 3의 받침띠(60) 저면과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도 4내지 도 6 과 같이 전방벽(40) 상부와 받침띠(60) 사이에 손잡이를 향하도록 위로 만곡된 띠상의 경사판(52)을 부가하며, 세척의 용이를 위하여 경사판(52)의 일정 길이마다 슬릿공(53)을 이룬 형태로 뒤집음 기능을 구현토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뒤집음 기능 외에 본원발명은 손잡이(30) 부분의 측벽(20) 두께보다 측벽(20) 전방의 전방벽(40) 두께가 얇게하였기로, 열원을 통한 화염이 바닥판(10)에 부가한 기름이나 피조리물에서 구이시 기름이 흘러내릴 때, 바닥판(10)을 통하여 측벽(20)과 전방벽(40)으로 열원의 열(불)이 동시에 전달되지만 두께가 두꺼운 측벽(20) 보다 두께가 얇은 전방벽(40)은 열전달 시간이 단축되므로, 전방벽(40) 부분이 측벽(20) 부분보다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따라서 피조리물에서 발생하거나 조리시 제공하는 기름은 스웩시 전방벽(40)을 지나는 피조리물의 기름이 높은 온도에 의하여 기화되고, 기화된 기름은 스웩시 전방벽(40) 외측의 불에 의하여 쉽게 점화되고, 이렇게 점화된 불은 피조리물에 불맛향을 제공하여 불맛향이 나는 조리를 일반인도 쉽게 구현 가능토록 기능한다.
이러한 기화 작용은 도 1 측면도에서와 같이 피조리물이 바닥판(10)에서 스웩시 전방의 전방벽(40)으로 이동하고, 경사에지띠(42-3)는 만곡에지띠(42-2)에서 뒤집음벽(50) 중앙을 향하도록 경사지고, 이는 뒤집음벽(50) 중앙 부분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상승토록 작용하므로 기화도가 가장 집중 발생토록 기능한다.
스웩시 발생하는 뒤집음벽(50) 중앙 부분의 온도 상승으로 기화 기름에 의하여 집중 발화가 시작되도록 유도하고, 이러한 기화 기름은 바닥판(10)에 놓인 피조리물의 기화 기름이 소진되면 꺼지므로 주변으로의 화재 위험은 없으며, 스웩을 반복하면서 다시 발화를 발생토록 할 수도 있음은 알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두께가 두꺼운 측벽(20)은 상대적으로 열전달 효율이 저하되므로, 피조리물의 온도가 낮아져, 조리시 피조리물을 적당히 익힐지 완전히 익힐지에 따라 해당 측벽(20)부근이나 전방벽(40) 부근으로 이동하여 편리하게 선택하여 조리를 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10;바닥판 20;측벽 30;손잡이 40;전방벽 42;에지띠 50;뒤집음벽 52;경사판 53;슬릿공

Claims (6)

  1. 피조리물이 안치되며 조리용 불과 닿는 바닥판(10);
    바닥판(10)의 테두리에서 위로 경사지고 상부가 개방되어 팬의 조리 가능한 내부 공간을 제공하며, 높이가 낮은 후방 쪽에서 후방보다 높이가 높은 전방 쪽으로 상부가 이어지며 위로 갈수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만곡져서 피조리물의 스웩 이동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측벽(20);
    높이가 낮은 후방 측벽 외측에 고정되는 손잡이(30);
    손잡이(30) 반대편 측벽에 후방의 측벽(20) 보다 외벽이 깍여 두께가 얇아져서 후방의 측벽(20)보다 가열온도가 높아지므로 피조리물의 기름을 기화시켜 조리용 불이 스웩시 기화기름으로 옮겨붙도록 하는 전방벽(40); 및
    손잡이(30)를 잡고 전방으로 스웩시 피조리물이 뒤집어지도록 전방벽의 내측 상부 위치에 경사진 뒤집음벽(50)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20) 및 전방벽(40) 상단에는 내측에 뚜껑 받침용 받침턱(62)을 이룬 받침띠(60)를 형성하며, 받침띠(60) 외측 하단과 전방벽(40) 상단에는 테두리 보강용 에지띠(42)가 측벽까지 이어지며;
    상기 에지띠(42)는 측벽(20)과 전방벽(40)의 수직 경계를 이루는 수직에지띠(42-1)와, 수직에지띠(42-1) 상부에서 전방벽(40)의 중앙 방향으로 받침띠(60) 외측 저면에 만곡 연장된 만곡에지띠(42-2)와, 만곡에지띠(42-2)에서 전방벽 중앙까지 경사진 경사에지띠(42-3)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조리물의 뒤집음과 불향맛 조리가 용이한 조리팬.
  2. 제 1항에 있어서, 뒤집음벽(50)은 두께가 얇은 전방벽(40)의 내측면 상부에 스웩시 피조리물이 뒤집어져 팬 바닥판(10)으로 떨어지도록 위로 갈수록 손잡이 부분을 향하는 경사를 이루도록 두꺼워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조리물의 뒤집음과 불향맛 조리가 용이한 조리팬.
  3. 제 1항에 있어서, 뒤집음벽(50)은 두께가 얇은 전방벽(40)의 내측면 상부에 스웩시 피조리물이 뒤집어져 팬 바닥판(10)으로 떨어지도록 위로 갈수록 손잡이 부분을 향하여 경사지게 부가된 경사판(52)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경사판(52)은 세척이 용이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마다 슬릿공(5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조리물의 뒤집음과 불향맛 조리가 용이한 조리팬.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수직에지띠(42-1)는 손잡이 축선과 직교하며 바닥판(10)의 중심을 지나는 바닥판 직경 연장선 부위의 측벽(20)과 전방벽(40) 경계에 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조리물의 뒤집음과 불향맛 조리가 용이한 조리팬.
KR1020210133877A 2021-10-08 2021-10-08 피조리물의 뒤집음과 불향맛 조리가 용이한 조리팬 KR102347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877A KR102347018B1 (ko) 2021-10-08 2021-10-08 피조리물의 뒤집음과 불향맛 조리가 용이한 조리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877A KR102347018B1 (ko) 2021-10-08 2021-10-08 피조리물의 뒤집음과 불향맛 조리가 용이한 조리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018B1 true KR102347018B1 (ko) 2022-01-03

Family

ID=79348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877A KR102347018B1 (ko) 2021-10-08 2021-10-08 피조리물의 뒤집음과 불향맛 조리가 용이한 조리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0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569A (ko) * 2009-10-30 2011-05-09 박희연 조리용기
KR20170000014U (ko) * 2015-06-23 2017-01-02 킴스쿡 주식회사 프라이팬
KR102269291B1 (ko) * 2021-02-22 2021-06-25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프라이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569A (ko) * 2009-10-30 2011-05-09 박희연 조리용기
KR20170000014U (ko) * 2015-06-23 2017-01-02 킴스쿡 주식회사 프라이팬
KR102269291B1 (ko) * 2021-02-22 2021-06-25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프라이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700436A (ko) 휴대용 결합 요리석쇠
CA2654996C (en) Grill liner
KR102347018B1 (ko) 피조리물의 뒤집음과 불향맛 조리가 용이한 조리팬
US6584692B1 (en) Easy release fork
US4088360A (en) Kitchen utensil
JP2006029622A (ja) 加熱調理用受け皿セット及び加熱調理器
JPH11276355A (ja) 中華鍋
US20030180426A1 (en) Bacon cooker
KR200172159Y1 (ko) 고기구이판
JPH0643613Y2 (ja) 焙焼器
KR200144029Y1 (ko) 숯불구이용 구이판
KR200266752Y1 (ko) 뚜껑이 분리되는 솥뚜껑형 구이판
KR200332181Y1 (ko) 계란말이용 후라이팬
US20220022691A1 (en) Novel grill top cooking device
JP3848613B2 (ja) バスケットを用いたコンベア式連続揚げ物器とそれに用いるバスケット
KR200493026Y1 (ko) 구이판
KR20110047569A (ko) 조리용기
KR102058246B1 (ko) 직화 구이기용 회전 구이틀
KR200287673Y1 (ko) 가스조리기의구이그릴개폐장치
KR0124093Y1 (ko) 가스레인지 그릴구조
JP3683887B2 (ja) 蓋付き搾り乾燥皿付き鍋
KR19990005022U (ko) 전골냄비겸용 조리장치
JP2005337651A (ja) 加熱調理器
KR920006169Y1 (ko) 불고기 조리구
JPH0947366A (ja) 炒め鍋および食材飛び出し防止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