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957B1 - 인조블록 - Google Patents

인조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957B1
KR102346957B1 KR1020210084636A KR20210084636A KR102346957B1 KR 102346957 B1 KR102346957 B1 KR 102346957B1 KR 1020210084636 A KR1020210084636 A KR 1020210084636A KR 20210084636 A KR20210084636 A KR 20210084636A KR 102346957 B1 KR102346957 B1 KR 102346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artificial
mortar
nth
concea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영
Original Assignee
최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영 filed Critical 최기영
Priority to KR1020210084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made from two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47Zeol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 E04F11/17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80Optical properties, e.g. transparency or reflexibility
    • C04B2111/807Luminescent or fluoresc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노출패턴부(61a) 내지 제n노출패턴부(61n)가 제1은폐브릿지(62a) 내지 제n은폐브릿지(62n)에 의해 상호 연결되면서 서로간의 간격 및 위치를 견고하고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모르타르의 투입 및 초음파 진동시 어떠한 흔들림 없이 제위치를 확보토록 함으로써, 예를 들어 제1노출패턴부(61a)로서 달의 모양을, 제2노출패턴부(61b)로서 산의 모양을, 제n노출패턴부(61n)로서 남대문의 모양을 블록바디(50)의 표면으로 표출시키고자 할 때 제1은폐브릿지(62a) 내지 제n은폐브릿지(62n)에 의해 상호간의 간격 및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케 할 수 있어 블록바디(50)의 표면으로 다양한 형태로 된 이종바디(60)의 패턴을 연출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은 물론이거니와 정밀성까지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인조블록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인조블록{ARTIFICIAL BLOCK}
본 발명은 인조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은폐브릿지 내지 제n은폐브릿지로서 제1노출패턴부 내지 제n노출패턴부를 상호 연결시키면서 서로간의 간격 및 위치를 견고하고도 정확하게 유지케 하여 모르타르의 투입 및 초음파 진동시 어떠한 흔들림 없이 제위치를 확보토록 한 인조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조블록은 인도와 화단을 구분하거나 인도와 도로를 구분짓는 경계석에서부터, 콘크리트 계단에 씌워지는 계단석, 그리고 벽을 쌓거나 옹벽에 축조되는 벽돌 또는 옹벽블록, 인도를 만들어주는 보도블록, 나아가 건축물의 내장, 외장 또는 바닥을 마감하는 인조대리석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이러한 인조블록은 모르타르의 성형 및 양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축광안료는 주로 주간 또는 등기구에 의한 빛에너지를 축광한 후 어둠 속에서 빛을 발산하는데, 최근에는 이러한 축광안료를 함유한 인조대리석의 기술이 특허출원되어 공지된 바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25514호)에 따른 인조대리석을 실내 조명에서 촬영한 사진이고,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인조대리석을 암실에서 촬영한 사진이며, 도 1c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인조대리석을 축광성 수지 조성물 함량에 따라 촬영한 사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인조대리석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석 질감을 가지면서 부분적인 축광 효과를 갖도록 제안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인조대리석은 비축광성 모재 및 축광성 무정형 무늬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인조대리석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밝은 곳에서는 전체적으로 기존 자연석의 외관 및 질감을 가지면서, 도 1b와 같이 조명이 어두워지면 축광성 무정형 무늬 부분의 축광안료로 인하여 부분적인 축광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비축광성 모재는 인조대리석이 자연석에 가까운 외관과 질감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요소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카 함유 화합물 및 유기안료, 무기안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비축광성 모재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7∼10중량%, 실리카 함유 화합물 90∼93중량%를 포함하는 비축광성 모재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안료, 무기안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 0.1∼1중량부를 포함한다.
한편, 축광성 무정형 무늬 부분은 인조대리석에 부분적인 축광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카 함유 화합물 및 축광안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축광성 무정형 무늬 부분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7∼10 중량%, 실리카 함유 화합물 85∼91중량%, 및 축광안료 2∼5중량%를 포함한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인조대리석은 비축광성 모재에 축광성 무정형 무늬 부분의 함량 조절로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인 축광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할 경우 빛에너지를 축광한 후 어둠 속에서 빛을 발산하는 축광성 무정형 무늬 부분이 인조대리석에 불규칙하게 분포될 뿐 특정 문자나 도형을 표식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고, 특히 고가의 축광안료가 인조대리석의 전체에 분포(인조대리석의 표면뿐만 아닌 외부로 표출되지 않는 속까지 분포)되므로 인하여 오히려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생산성을 고려하여 고가의 축광안료를 적은 분량으로 투입시킬 경우 상대적으로 빛의 발산이 뚜렷하지 못하는 단점까지 초래하게 된다.
도 2는 선행기술문헌 2(본원 출원인이 특허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247175호)에 따른 인조블록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3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인조블록에 적용된 축광바디(20)를 주간에 촬영한 사진이고, 도 3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인조블록에 적용된 축광바디(20)를 야간에 촬영한 사진이다.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인조블록은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르타르(R)의 양생으로 경화되면서 표면을 구비한 블록바디(10)를 포함하고, 나아가 모르타르(R) 속에 안치되면서 모르타르(R)와 함께 양생됨과 동시에 블록바디(10)에 일체화되어 표면으로 노출되는 축광바디(20)를 포함한다.
이와는 달리, 블록바디(10)에 홈을 뚫어 축광바디(20)를 삽입 고정하는 것으로도 생각해볼 수 있으나, 이러할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축광바디(20)가 블록바디(10)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초래되어 수명을 보장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공정의 추가로 생산성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을 노출하게 된다.
도 4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인조블록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인조블록 제조방법에 적용된 몰드(M)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5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인조블록 제조방법에 적용된 몰드(M)의 바닥(Ma)에 축광바디(20)를 면 접촉 안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5c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인조블록 제조방법에 적용된 몰드(M) 속에 모르타르(R)를 채운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5d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인조블록 제조방법에 의해 마련된 인조블록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인조블록 제조방법은 도 4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Ma)을 지닌 몰드(M)를 마련하는 스텝(S10)과, 몰드(M)의 바닥(Ma)에 축광바디(20)를 면 접촉 안치시키는 스텝(S20)과, 몰드(M) 속으로 모르타르(R)를 채우는 스텝(S30)과, 몰드(M) 속의 모르타르(R)를 축광바디(20)와 더불어 양생시켜 표면으로 축광바디(20)를 노출시키는 블록바디(10)를 완성하는 스텝(S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S10 스텝에서 몰드(M)는 예를 들어 정방형의 대리석을 만들고자 할 경우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방형의 바닥(Ma)을 지니도록 제작하고, 상기 S20 스텝에서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축광바디(20)를 몰드(M)의 바닥(Ma)에 면 접촉 안착시켜 자리를 잡도록 한 후, 상기 S30 스텝에서 물, 규사, 슬러그(석회석), 시멘트 및 돌가루 등과 같은 모르타르원료의 배합으로 이루어진 모르타르(R)를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몰드(M) 속으로 정량 공급하여 채우고, 다시 상기 S40 스텝과 같이 몰드(M) 속의 모르타르(R)를 축광바디(20)와 더불어 55∼65℃의 양생실, 즉 후술하는 양생부(400)에서 10∼15시간 동안 양생시켜 도 5d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면으로 축광바디(20)를 노출시키는 블록바디(10)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d의 축광바디(20)를 노출시킨 블록바디(10)로 완성된 선행기술문헌 2의 인조블록은 몰드(M)로부터 블록바디(10)를 탈형시킨 후 뒤집어 놓은 상태이고, 블록바디(10)의 표면에 예를 들어 점자돌기를 부여하고자 할 경우 몰드(M)의 바닥(Ma)에 요철홈을 형성시키므로써 가능하며[축광바디(20) 자체를 점자돌기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같이 몰드(M)의 형상 및 모르타르원료에 따라 경계석, 계단석, 벽돌, 옹벽블록, 보도블록, 점자블록 또는 인조대리석 등과 같이 다양한 인조블록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조블록에는 야간에 집약 발광하는 하나의 부품으로서 선행기술문헌 2의 특징이 되는 축광바디(20)가 모르타르(R)의 양생에 의해 함께 경화되어 블록바디(10)와의 견고한 일체로서 사용 중 전혀 분리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인조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에서 바라본 구조도이다.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인조블록 제조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르타르원료를 공급하는 공급부(100)와, 공급부(100)에 의해 공급된 모르타르원료를 교반하여 모르타르(R)를 마련하는 혼합부(200)와, 혼합부(200)로부터 정량 공급된 모르타르(R)를 수용하는 성형부(300)와, 성형부(300)에 채워진 모르타르(R)를 양생 및 경화시켜 표면을 지닌 블록바디(10)를 완성하는 양생부(400)를 포함하여 지지하는 선반(S)을 구비한다.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모르타르원료는 습식모르타르 또는 건식모르타르에 따라 물의 함유 여부가 결정되고, 나아가 경계석, 계단석, 벽돌, 옹벽블록, 보도블록, 점자블록 또는 인조대리석 등과 같은 인조블록의 종류에 따라 조성물을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와 같이 인조대리석일 경우 물, 규사, 슬러그(석회석), 시멘트 및 돌가루를 공급부(100)에서 공급하면 혼합부(200)에서 이들 모르타르원료를 혼합하여 모르타르(R)를 마련하고, 다시 혼합부(200)에서 모르타르(R)를 정량 공급할 경우 성형부(300)에서 수용하여 경계석, 계단석, 벽돌, 옹벽블록, 보도블록, 점자블록 또는 인조대리석 등과 같은 블록바디(10)로 성형하고, 이후 양생부(400)에서 양생하여 인조블록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은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인조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성형부(300)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부(300)는 선반(S) 위에 세팅되어 혼합부(200)로부터 정량 공급된 모르타르(R)를 수용하는 바닥(Ma)을 지닌 몰드(M)와, 선반(S) 위에 마련되어 혼합부(200)로부터 모르타르(R)가 정량 공급될 때까지 바닥(Ma)에 면 접촉 안치된 축광바디(20)를 위치 고정시킨 후 이격되는 고정부(30)를 포함한다.
축광바디(20)는 몰드(M)의 바닥(Ma)에 면 접촉 안치된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뒤이은 성형 및 양생 과정에 의해 완성된 블록바디(10)를 뒤집으면서 탈형할 때 블록바디(10)의 표면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되는데, 혼합부(200)로부터 모르타르(R)가 정량 공급될 경우 그 무게 및 낙하되는 힘에 의하여 자리를 이탈하여 블록바디(10)의 정확한 위치의 표면에 축광바디(20)가 노출되지 못하거나 바닥(Ma) 및 축광바디(20) 사이의 틈새로 모르타르(R)가 채워져 아예 축광바디(20)가 노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선행기술문헌 2에서는 혼합부(200)로부터 모르타르(R)가 정량 공급될 때까지 바닥(Ma)에 면 접촉 안치된 축광바디(20)를 위치 고정시킨 후 이격되는 고정부(30)를 선반(S) 위에 마련하여 블록바디(10)의 희망하는 위치의 표면에 축광바디(20)가 정확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30)는 혼합부(200)로부터 모르타르(R)가 정량 공급될 때까지 바닥(Ma)에 면 접촉 안치된 축광바디(20)를 위치 고정시키는 에어실린더(31)와, 선반(S) 위에 고정되어 에어실린더(31)를 원호운동시키는 원호동작부(32)를 포함한다.
혼합부(200)로부터 정량 공급된 모르타르(R)가 채워질 때 선반(S) 위에 고정된 원호동작부(32)의 원호운동에 연동되는 에어실린더(31)로서 몰드(M)의 바닥(Ma)에 면 접촉 안치된 축광바디(20)를 정확하게 위치 고정시킨 후 혼합부(200)로부터 모르타르(R)가 정량 공급을 완료할 경우 다시 에어실린더(31)의 이격 및 원호동작부(32)의 원호운동에 의한 복원을 반복토록 하여 인조블록의 대량생산을 가능케 한다.
이때, 원호동작부(32)는 정역 원호회전되는 스텝모터로서 정밀 동작을 보장토록 한다.
한편, 에어실린더(31)는 축광바디(20)를 파지하여 몰드(M)의 바닥(Ma)에 면 접촉 안치시킨 후 해제되는 집게(31a)와, 혼합부(200)로부터 모르타르(R)가 정량 공급될 때까지 바닥(Ma)에 면 접촉 안치된 축광바디(20)를 가압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피스톤(31b)을 포함한다.
에어실린더(31)의 집게(31a)를 통해 축광바디(20)를 파지하여 몰드(M)의 바닥(Ma)에 면 접촉 안치시킨 후 해제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피스톤(31b)을 통해 혼합부(200)로부터 모르타르(R)가 정량 공급될 때까지 바닥(Ma)에 면 접촉 안치된 축광바디(20)를 가압하여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몰드(M)의 바닥(Ma)으로의 축광바디(20)의 면 접촉 안치를 더욱 신속 정확하게 실현시켜 생산성을 보장토록 한다.
본원 출원인은 선행기술문헌 1 그리고 본원 출원인이 특허받은 선행기술문헌 2를 더욱 진보 개량시켜 본 발명에 따른 인조블록를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2551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2360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24717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은폐브릿지 내지 제n은폐브릿지로서 제1노출패턴부 내지 제n노출패턴부를 상호 연결시키면서 서로간의 간격 및 위치를 견고하고도 정확하게 유지케 하여 모르타르의 투입 및 초음파 진동시 어떠한 흔들림 없이 제위치를 확보토록 하여, 예를 들어 제1노출패턴부로서 달의 모양을, 제2노출패턴부로서 산의 모양을, 제n노출패턴부로서 남대문의 모양을 블록바디의 표면으로 표출시키고자 할 때 제1은폐브릿지 내지 제n은폐브릿지에 의해 상호간의 간격 및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토록 하여, 블록바디의 표면으로 다양한 형태의 이종바디의 패턴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인조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성 및 정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인조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조블록이 경계석, 계단석 또는 인조대리석 등으로 사용될 때 외부의 충격에 의해 양생 및 경화된 모르타르가 닳거나 깎여지는 현상을 경계단면으로 보완 및 보호케 하여 그 수명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인조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르타르로 하여금 제1은폐브릿지 내지 제n은폐브릿지를 사이에 두고 위아래에서 고정홀을 중심으로 샌드위치 고정시시키는 구조로 잡아줄 수 있도록 하여 블록바디으로부터 이종바디의 분리현상을 더욱 철저하게 방지케 한 인조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르타르의 양생으로 경화되어 표면을 구비한 블록바디와, 상기 모르타르 속에 안치되면서 상기 모르타르와 함께 양생되어 상기 블록바디에 일체화됨과 동시에 상기 블록바디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이종바디를 포함하는 인조블록에 있어서,
상기 이종바디는
상기 블록바디의 표면으로 독립 노출되는 제1노출패턴부 내지 제n노출패턴부와,
상기 제1노출패턴부 내지 제n노출패턴부를 가교시키면서 상기 블록바디 속으로 은폐되는 제1은폐브릿지 내지 제n은폐브릿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은폐브릿지 내지 제n은폐브릿지로서 제1노출패턴부 내지 제n노출패턴부를 상호 연결시키면서 서로간의 간격 및 위치를 견고하고도 정확하게 유지케 하여 모르타르의 투입 및 초음파 진동시 어떠한 흔들림 없이 제위치를 확보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제1노출패턴부로서 달의 모양을, 제2노출패턴부로서 산의 모양을, 제n노출패턴부로서 남대문의 모양을 블록바디의 표면으로 표출시키고자 할 때 제1은폐브릿지 내지 제n은폐브릿지에 의해 상호간의 간격 및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토록 하여 블록바디의 표면으로 다양한 형태의 이종바디의 패턴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생산성은 물론이거니와 정밀성까지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인조블록이 경계석, 계단석 또는 인조대리석 등으로 사용될 때 외부의 충격에 의해 양생 및 경화된 모르타르가 닳거나 깎여지는 현상을 경계단면으로 보완 및 보호케 하여 그 수명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모르타르로 하여금 제1은폐브릿지 내지 제n은폐브릿지를 사이에 두고 위아래에서 고정홀을 중심으로 샌드위치 고정시시키는 구조로 잡아줄 수 있도록 하여 블록바디으로부터 이종바디의 분리현상을 더욱 철저하게 방지케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인조대리석을 실내 조명에서 촬영한 사진.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인조대리석을 암실에서 촬영한 사진.
도 1c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인조대리석을 축광성 수지 조성물 함량에 따라 촬영한 사진.
도 2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인조블록을 나타내는 사진.
도 3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인조블록에 적용된 축광바디를 주간에 촬영한 사진.
도 3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인조블록에 적용된 축광바디를 야간에 촬영한 사진.
도 4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인조블록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인조블록 제조방법에 적용된 몰드를 나타내는 사진.
도 5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인조블록 제조방법에 적용된 몰드의 바닥에 축광바디를 면 접촉 안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5c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인조블록 제조방법에 적용된 몰드 속에 모르타르를 채운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5d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인조블록 제조방법에 의해 마련된 인조블록을 나타내는 사진.
도 6은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인조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에서 바라본 구조도.
도 7은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인조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성형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블록의 표면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블록에 적용된 이종바디의 표면을 촬영한 사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블록에 적용된 이종바디의 이면을 촬영한 사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선행기술문헌 2를 적용한 인조블록을 표면에서 촬영한 사진.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선행기술문헌 2를 적용한 인조블록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인조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블록의 표면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블록에 적용된 이종바디(60)의 표면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블록에 적용된 이종바디(60)의 이면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블록은 모르타르의 양생으로 경화되어 표면을 구비한 블록바디(50)와, 모르타르 속에 안치되면서 모르타르와 함께 양생되어 블록바디(50)에 일체화됨과 동시에 블록바디(50)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이종바디(60)를 포함한다.
블록바디(50)는 경계석, 계단석, 벽돌, 옹벽블록, 보도블록, 점자블록 또는 인조대리석 등과 같이 다양하게 있을 수 있고, 이러한 블록바디(50)의 종류에 따라 모르타르원료 역시 건식모르타르 또는 습식모르타르 등 다양하게 나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조대리석일 경우 시멘트(51) 및 제올라이트(52)를 6:4의 비율(시멘트(51)를 6의 비율로 하여 강도를 유지케 하면서 제올라이트(52)를 4의 비율로 하여 내장재로 활용될 때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토록 함)로 혼합한 습식모르타르를 적용하여 초음파진동을 통한 기포 제거로서 인조블록을 마련케 한다.
제올라이트(52)는 미세 다공성 알루미늄 규산염 광물로서 양이온 교환 특성에 의한 토질 및 수질을 개량하며, 촉매 특성에 의한 우수한 계면 활성으로 청결함을 유지케 하여, 내장재로 활용될 경우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토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선행기술문헌 2를 적용한 인조블록을 표면에서 촬영한 사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선행기술문헌 2를 적용한 인조블록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2의 도 5a 내지 도 7 그리고 위 도 11a를 참조할 때, 이종바디(60)가 블록바디(50)에 단일로 내장되어 일체화될 경우, 즉 몰드(M)의 바닥(Ma)에 단일의 이종바디(60)를 면 접촉 안치시켜 양생 및 경화시킬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의 에어실린더(31), 집게(31a) 및 피스톤(31b)으로서 모르타르의 투입 및 초음파 진동시 이종바디(60)의 위치변화 없이 정확하게 잡아주면서 인조블록을 완성시킬 수 있지만,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이종바디(60)를 블록바디(50)에 각각 독립적으로 내장시켜 일체화시킬 경우 도 7의 에어실린더(31), 집게(31a) 및 피스톤(31b)의 설비를 다수 개로 준비하고 동작시켜야만 하여(동작이 복잡하고, 설비의 설계 또한 극히 어려움) 현실적이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실현가능하더라도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발생하게 된다[다른 한편으로 에어실린더(31), 집게(31a) 및 피스톤(31b)과 같은 설비의 동원 없이 다수 개의 이종바디(60)를 몰드(M)의 바닥(Ma)에 무작위로 위치시킨 후 모르타르의 투입 및 초음파 진동 그리고 양생 등으로 인조블록을 제작할 수도 있겠지만, 이러할 경우 이종바디(60)로 구현코자 하는 각종 패턴, 폰트, 캐릭터 및 로고 등을 정확하게 구현치 못하는 한계를 낳게 된다(이종바디(60)가 제위치를 잡지 못하는 현상 발생)].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조블록에 적용된 이종바디(6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바디(50)의 표면으로 독립 노출되는 제1노출패턴부(61a) 내지 제n노출패턴부(61n)와, 제1노출패턴부(61a) 내지 제n노출패턴부(61n)를 가교시키면서 블록바디(50) 속으로 은폐되는 제1은폐브릿지(62a) 내지 제n은폐브릿지(62n)를 핵심구성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제1노출패턴부(61a) 내지 제n노출패턴부(61n)는 블록바디(50)로부터 노출되는 각종 패턴, 폰트, 캐릭터 및 로고일 수 있고, 이러한 제1노출패턴부(61a) 내지 제n노출패턴부(61n)는 제1은폐브릿지(62a) 내지 제n은폐브릿지(62n)에 의해 상호 연결되면서 서로간의 간격 및 위치를 견고하고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모르타르의 투입 및 초음파 진동시 어떠한 흔들림 없이 제위치를 확보토록 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노출패턴부(61a)로서 달의 모양을, 제2노출패턴부(61b)로서 산의 모양을, 제n노출패턴부(61n)로서 남대문의 모양을 블록바디(50)의 표면으로 표출시키고자 할 때 도 9a 내지 도 10의 제1은폐브릿지(62a) 내지 제n은폐브릿지(62n)에 의해 상호간의 간격 및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케 할 수 있어 도 7의 에어실린더(31), 집게(31a) 및 피스톤(31b)과 같은 단일의 설비로서도(심지어는 이러한 설비조차 없이) 블록바디(50)의 표면으로 다양한 형태로 된 이종바디(60)의 패턴을 연출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은 물론이거니와 정밀성까지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노출패턴부(61a) 내지 제n노출패턴부(61n)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은폐브릿지(62a) 내지 제n은폐브릿지(62n)와 만나는 경계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경계단면(T)을 가지도록 하여 제1은폐브릿지(62a) 내지 제n은폐브릿지(62n)에 채워지는 모르타르의 경계를 명확하게 하여 인조블록이 경계석, 계단석 또는 인조대리석 등으로 사용될 때 외부의 충격에 의해 양생 및 경화된 모르타르가 닳거나 깎여지는 현상을 경계단면(T)으로 보완 및 보호케 하여 그 수명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은폐브릿지(62a) 내지 제n은폐브릿지(62n)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르타르가 채워져 양생에 의해 경화되면서 이종바디(60)를 블록바디(50)에 일체 고정시키는 고정홀(H)을 더 구비하여 도 10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 후 경화된 측단면의 모습에서 양생 및 경화된 모르타르로 하여금 제1은폐브릿지(62a) 내지 제n은폐브릿지(62n)를 사이에 두고 위아래에서 고정홀(H)을 중심으로 샌드위치 고정시시키는 구조로 잡아줄 수 있도록 하여 블록바디(50)으로부터 이종바디(60)의 분리현상을 더욱 철저하게 방지케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이종바디(60)는 빛에너지를 축광한 후 어둠 속에서 빛을 발산하는 축광바디(60a)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축광바디(60a)는 선행기술문헌 1에 소개된 바와 같이 인조대리석의 비축광성 모재에 함량 조절로 함유되는 축광성 무정형 무늬 부분으로 전체에 걸쳐서 불규칙하게 분포되는 것이 아닌, 예를 들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카 함유 화합물 및 축광안료와 더불어 실리콘 경화제를 혼합시켜 마련된 도형 또는 글자체와 같은 경화된 덩어리로서 주간에 빛에너지를 축광한 후 어둠 속에서 빛을 발산하는, 즉 야간에 발광하는 하나의 부품으로 선행기술문헌 2와 같이 모르타르 속에 안치되면서 모르타르와 함께 경화됨과 동시에 블록바디(50)에 일체화되어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빛의 집약 발산은 물론이거니와 블록바디(50)와의 견고한 일체로서 사용 중 전혀 분리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수명 보장).
이때, 축광바디(60a)를 도형이나 글자체 형상으로 제작할 경우,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인조블록을 계단석으로 활용할 때 축광바디(60a)를 각종 회사의 로고와 같은 도형으로 제작하여 야간에 홍보효과를 구현토록 할 수 있고, 벽돌이나 옹벽블록으로 활용한다면 지역명이나 안내문자와 같은 글자체로 표식하여 야간 식별력을 보장토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경계석, 계단석, 벽돌, 옹벽블록, 보도블록 또는 인조대리석 등과 같은 인조블록 관련 산업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50 : 블록바디 51 : 시멘트
52 : 제올라이트 60 : 이종바디
60a : 축광바디 61a : 제1노출패턴부
61b : 제2노출패턴부 61n : 제n노출패턴부
T : 경계단면 62a : 제1은폐브릿지
62n : 제n은폐브릿지 H : 고정홀

Claims (6)

  1. 모르타르의 양생으로 경화되어 표면을 구비한 유형의 블록바디(50)와, 상기 모르타르 속에 안치되면서 상기 모르타르와 함께 양생되어 상기 블록바디(50)에 일체화됨과 동시에 상기 블록바디(50)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유형의 이종바디(60)를 포함하는 인조블록에 있어서,
    상기 이종바디(60)는
    상기 블록바디(50)의 표면으로 독립 노출되는 제1노출패턴부(61a) 내지 제n노출패턴부(61n)와,
    상기 제1노출패턴부(61a) 내지 제n노출패턴부(61n)를 가교시키면서 상기 블록바디(50) 속으로 은폐되는 제1은폐브릿지(62a) 내지 제n은폐브릿지(62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출패턴부(61a) 내지 제n노출패턴부(61n)는 상기 이종바디(60)의 표면을 향하여 양각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은폐브릿지(62a) 내지 제n은폐브릿지(62n)는 상기 이종바디(60)의 이면을 향하여 음각으로 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출패턴부(61a) 내지 제n노출패턴부(61n)는 상기 제1은폐브릿지(62a) 내지 제n은폐브릿지(62n)와 만나는 경계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경계단면(T)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은폐브릿지(62a) 내지 제n은폐브릿지(62n)는 상기 모르타르가 채워져 양생에 의해 경화되면서 상기 이종바디(60)를 상기 블록바디(50)에 일체 고정시키는 고정홀(H)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블록.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바디(60)는 빛에너지를 축광한 후 어둠 속에서 빛을 발산하는 축광바디(6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블록.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르타르는 시멘트(51) 및 제올라이트(52)를 6:4의 비율로 혼합한 습식모르타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블록.
KR1020210084636A 2021-06-29 2021-06-29 인조블록 KR102346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636A KR102346957B1 (ko) 2021-06-29 2021-06-29 인조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636A KR102346957B1 (ko) 2021-06-29 2021-06-29 인조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957B1 true KR102346957B1 (ko) 2022-01-03

Family

ID=79348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636A KR102346957B1 (ko) 2021-06-29 2021-06-29 인조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9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966B1 (ko) * 2022-09-14 2024-02-01 최기영 인조블록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9213A (ja) * 1998-12-28 2000-07-18 Abekogyosho Co Ltd コンクリ―トブロック護岸構造体
KR200361666Y1 (ko) * 2004-06-10 2004-09-14 (주)그린테크 복수개로 분리된 한 조의 호박돌 형상을 갖는 다기능식생블럭
KR101425514B1 (ko) 2011-12-29 2014-08-04 제일모직주식회사 자연석 질감 및 부분 축광성을 갖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KR101523605B1 (ko) 2011-12-29 2015-05-29 제일모직주식회사 축광성 인조대리석
KR101686222B1 (ko) * 2016-08-11 2016-12-13 (주) 에코제이피 문자 표시용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문자 보도블록
KR101944344B1 (ko) * 2018-11-19 2019-01-31 휘성개발(주) 장식패널 일체형 옹벽 단위블록
KR102247175B1 (ko) 2020-09-23 2021-04-30 최기영 인조블록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9213A (ja) * 1998-12-28 2000-07-18 Abekogyosho Co Ltd コンクリ―トブロック護岸構造体
KR200361666Y1 (ko) * 2004-06-10 2004-09-14 (주)그린테크 복수개로 분리된 한 조의 호박돌 형상을 갖는 다기능식생블럭
KR101425514B1 (ko) 2011-12-29 2014-08-04 제일모직주식회사 자연석 질감 및 부분 축광성을 갖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KR101523605B1 (ko) 2011-12-29 2015-05-29 제일모직주식회사 축광성 인조대리석
KR101686222B1 (ko) * 2016-08-11 2016-12-13 (주) 에코제이피 문자 표시용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문자 보도블록
KR101944344B1 (ko) * 2018-11-19 2019-01-31 휘성개발(주) 장식패널 일체형 옹벽 단위블록
KR102247175B1 (ko) 2020-09-23 2021-04-30 최기영 인조블록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966B1 (ko) * 2022-09-14 2024-02-01 최기영 인조블록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7175B1 (ko) 인조블록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제조장치
US5211895A (en) Molding process for forming a concrete paving block
ES2423321T3 (es)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ón de productos de losas de cemento que tienen propiedades antimicrobianas
KR102346957B1 (ko) 인조블록
US6500543B2 (en) Artificial stone molded product
KR101152929B1 (ko) 발광형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0405063Y1 (ko) 고정핀이 설치된 천연석 질감의 인공 성형 스톤 타일
KR102326569B1 (ko) 축광 디자인 콘크리트 유니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30966B1 (ko) 인조블록 제조방법
US2008023671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Luminescent Tile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RU244694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имитирующих природный камень
KR102011338B1 (ko) 콘크리트 사인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00741U (ko) 계단석
EP0906894A1 (en) Formed artificial stone
US313221A (en) Composite tiling
US8920067B2 (en) Concrete decorative inlay process
JPH11292597A (ja) 人造石成形体
KR101873185B1 (ko) 축광을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45703B1 (ko) 야광 장식 타일
KR20110091088A (ko) 투수형 현무암 인조 판석과 그 제조방법
ES2334337T3 (es) Tableros revestidos de particulas de madera aglomeradas con cemento.
KR20050000942A (ko) 빛 반사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경계석 및 그 제조 방법
AU730042B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mmemorative structures
AU2023100056A4 (en) Building Element (2)
KR101729936B1 (ko) 자갈형태의 입체감을 부여하는 우레탄 금형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갈형태의 측면을 갖는 테이블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