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0942A - 빛 반사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경계석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빛 반사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경계석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0942A
KR20050000942A KR1020030041549A KR20030041549A KR20050000942A KR 20050000942 A KR20050000942 A KR 20050000942A KR 1020030041549 A KR1020030041549 A KR 1020030041549A KR 20030041549 A KR20030041549 A KR 20030041549A KR 20050000942 A KR20050000942 A KR 20050000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undary stone
display member
groove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7353B1 (ko
Inventor
박병욱
Original Assignee
한국후라이애쉬시멘트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후라이애쉬시멘트공업(주) filed Critical 한국후라이애쉬시멘트공업(주)
Priority to KR1020030041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353B1/ko
Publication of KR20050000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3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1Ker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65Residues from coal gas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보도와 차도의 경계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경계석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콘크리트 경계 블록의 배합 비율로 성형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 및 상기 홈에 상기 홈의 형상과 대응하여 장착되고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표시 부재를 포함하는 경계석으로서, 상기 본체와 대응되며, 그 일 부분이 내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금형을 마련하는 공정, 상기 본체용 콘크리트를 배합하는 배합 공정, 상기 돌출부에 상기 표시 부재를 부착하는 부착 공정, 상기 돌출부에 부착된 상기 표시 부재 상에 상기 배합 공정에서 배합된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진동 성형하는 성형 공정 및 상기 성형 공정에서 성형된 상기 본체를 소정의 규격으로 컷팅하고 상기 표시 부재면을 가공하는 가공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금형의 하부에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빛 반사 기능을 구비한 경계석 및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야간 도로상의 운전 중 경계석의 식별을 위한 반사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빛 반사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경계석 및 그 제조 방법{A boundary block having reflection and phosphorescence for light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therof}
본 발명은 빛 반사기능 및 빛을 수광하여 축적하였다가 장시간 발광하는 기능(이하 "축광(蓄光) 기능"이라 한다)을 구비한 경계석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도와 차도 사이에 있어서 운전중 도로 경계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빛 반사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경계석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경계석은 그 재료에 따라 분류되고, 이들은 사각형 단면의 석재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석재경계블록, 시멘트를 양생시킨 콘크리트 경계블록, 플라스틱으로 성형한 플라스틱 경계블록 등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이러한 블록에 있어서는 빛 반사 기능과 축광 기능을 동시에 장치한 것은 없으며, 또한 접착기구나 약품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경계석의 제조과정에서 빛 반사 기능과 축광 기능을 갖는 부재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경계석은 없다.
이러한 도로경계석 중에서 석재경계블록은 강도가 우수하여 내구성은 좋으나 야간 차량주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빛 반사 기능을 갖는 부재를 블록 내부에 장착하기는 매우 어렵다.
일부 볼트 너트나 테이프,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빛 반사 기능만을 장착한 경우는 있었다.
그 예로서는 경계석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빛이 반사되는 반사경을 설치하는 방법, 경계석 또는 경계블록의 표면에 단순히 야광테이프를 부착하는 방법, 경계석 또는 경계블록의 표면에 일정한 형상의 홈을 파고 그 홈에 야광테이프를 부착하는 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야광물질을 도포한 도로경계석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 도로경계석(1)에 있어서, 화살표와 같은 방향표시는 발광물질이 포함된 도료(11)가 도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로경계석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염화칼슘 등의 이물질이 빛 반사 물질에 묻어 빛 반사의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도료의 박리에 의하여 그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경계석(2) 일 측면에 홈(21)을 형성하고 이 홈에 야광물질(22)을 삽입한 후 에폭시수지(23) 등과 같이 투명한 합성수지를 채워 도로경계석의 일 측면에 도포 또는 매립된 야광물질에 의하여 차량의 전조등 불빛이 반사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도 2의 도로경계석은 석재에 홈을 형성함에 있어서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로 경계석은 모두 야광물질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야광물질은 종류에 따라 그 성능이나 내구성에 현저한 차이가 나며, 성능과 내구성이 뛰어난 야광물질은 그 가격이 매우 비싸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성능이나 내구성이 떨어지는 가격이 싼 야광물질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데, 그러한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빛 반사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2000-65760호, 2001-106017호, 2001-10943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2000-65760호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통상의 다공성 콘크리트 배합비율에 의거하여 골재, 시멘트, 물, 혼화재 등을 혼합한 후 이를 형틀에 투입하여 진동시키면서 제1 경계블록으로 가압 성형하는 제1공정, 전기공정에 얻은 제1경계블록의 상단 및 한쪽표면에 세립도의 규사, 콩자갈, 분쇄유리, 옥, 맥반석, 종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혼합한 골재, 시멘트, 물, 안료, 감수제 등이 혼합된 혼합물을 투입하여 일정한 두께와 소정형상의 홈을 갖도록 진동시키면서 제2 경계블록으로 가압 성형하는 제2공정, 전기 공정에서 형성된 제2 경계블록을 형틀에서 끄집어내어 통상의 증기양생 또는 건조양생 방법에 의거하여 1차 양생시킨 후 표면의 홈에 빛을 반사하는 빛 반사물질을 투입하는 제3공정, 전기 공정에서 양생 건조된 중간성형물품인 제2 경계블록의 상단 및 한쪽 표면에 수지에 소량의 진주펄, 안료, 야광, 축광, 형광물질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붓이나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단위 면적당 일정량을 살포하여 수지 층이 형성되도록 양생시키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진 빛 반사를 위한 경계블록의 제조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또, 상기 공보2001-106017호에 있어서는 석재를 가공하여 도로 경계석을 제조하는 단계, 에폭시수지, 희석제, 분산제, 소포제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상기 가공된 도로 경계석의 일 측면에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이 도포된 표면에 일정 크기의 유리구슬을 균일하게 분포시키고, 그 위를 압착하여 도포된 상기 혼합물에 유리구슬이 매립 접착되게 하는 단계, 상기 유리구슬이 매립 접작된 도로 경계석을 고온 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빛 반사 도로 경계석 제조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2000-65760호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표면의 홈에 반사물질을 투입하고 수지 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그 제조 공정수가 증가하여 비용이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 공보2001-106017호에 있어서는 경계석 자체에 에폭시 수지 등을 0.5∼0.6㎜ 도포하고 그 위에 유리 구슬을 분산시켜 압착, 고온 처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게 되어 다대한 중량을 갖는 경계석을 각각의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를 마련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 상기 공보2001-109439호에 있어서는 1차 몰탈 후 축광체를 배치하고 재차 2차 몰탈을 투입하여 다지므로 1차 몰탈 부분과 2차 몰탈이 분리되어 인조석 자체가 훼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단순히 야광도료 또는 반사판만을 사용하므로서, 반사판은 빛을 비추는 동안에만 보이는 단점을 갖고 야광 도료는 야광시간이 짧은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석재로 경계석을 가공하는 경우, 그 비용이 증가되고, 일반골재와 시멘트를 배합하여 만든 경계블록은 얼마 지나지 않아 금이 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표시 부재를 경계석 내에 직접 삽입하여 표시 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경계석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야간에 빛을 오랫동안 발광할 수 있는 즉, 빛을 반사하고 수광이 끝나면 축광된 빛이 발광하여 발광시간을 늘릴 수 있는 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전소 주변에서 폐기 매립되고 있는 바텀 애쉬를 일반 골재의 대체재로서 사용하여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경계석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야광도로 경계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야광도로 경계석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경계석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6은 표시부재의 크기가 본체에 형성되는 홈의 크기보다 크게 되는 관계를금형에 형성된 돌출부의 크기와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01 : 콘크리트용 골재
110 : 홈 120 : 표시 부재
201 : 바텀 애쉬의 골재 300 : 금형
310 : 돌출부 130 : 보호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은 장방 형상의 경계석에 있어서, 통상의 콘크리트 경계석의 배합 비율로 성형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 및 상기 홈 내에 상기 홈의 형상과 대응하여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성형 시 상기 본체와 일체화되는 표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부재는 그 길이 및 폭의 크기가 상기 홈의 크기 이상이고, 상기 본체의 일측면의 크기보다 작으며,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하지 않는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통상의 콘크리트용 골재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화력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바텀 애쉬의 골재를 통상의 콘크리트용의 일반 골재의 대체재로서 사용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화력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바텀 애쉬의 골재와 통상의 콘크리트용의 골재를 혼합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본체의 표면에서 적어도 3㎜의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제조 방법은 통상의 콘크리트 경계 블록의 배합 비율로 성형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 및 상기 홈에 상기 홈의 형상과 대응하여 장착되고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표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부재는 그 길이 및 폭의 크기가 상기 홈의 크기 이상이고, 상기 본체의 일측면의 크기보다 작은 경계석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본체와 대응되며, 그 일 부분이 내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금형을 마련하는 공정, 상기 본체용 콘크리트를 배합하는 배합 공정, 상기 돌출부에 상기 표시 부재를 부착하는 부착 공정, 상기 돌출부에 부착된 상기 표시 부재 상에 상기 배합 공정에서 배합된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진동 성형하는 성형 공정 및 상기 성형 공정에서 성형된 상기 본체를 소정의 규격으로 컷팅하고 상기 표시 부재면을 가공하는 가공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금형의 하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통상의 콘크리트용 골재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화력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바텀 애쉬의 골재를 통상의 콘크리트용의 일반 골재의 대체재로서 사용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화력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바텀 애쉬의 골재와 통상의 콘크리트용의 골재를 혼합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금형의 내부에서 적어도 2㎜의 높이로 돌출 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부재의 일면에는 접착제로서 기능하는 보호막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착 공정에 있어서 상기 표시 부재는 상기 보호막에 의해 상기 돌출부에 부착되며, 상기 보호막은 상기 가공 공정 후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텀 애쉬의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석탄회는 연소로(燃燒盧)내에서 석탄의 유기성 가연 성분이 연소된 후에 남는 잔류 광물질로, 연소로의 하부로 배출되는 바텀 애쉬(바닥재 혹은 저회)와 연소가스와 함께 상부로 배출되는 플라이 애쉬(fly ash, 비회)로 구분된다. 이들 석탄회는 연소설비 내에서 포집되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소결 상태, 밀도, 입자의 크기 등 물성이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플라이 애쉬는 연소과정에서 생성된 석탄회 중에서 미세한 크기의 입자로 연소가스와 함께 연소로를 통과하여 배출되며, 총 석탄회 발생량의 75∼90%를 차지하므로 일반적으로 석탄회라 하면 이 플라이애쉬를 지칭한다. 플라이 애쉬는 발전설비의 향상에 따라 그 품질도 향상되어 그 재활용율이 1998년에는 32.2%, 1999년도에는 42.5%로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90%이상이 콘크리트의 혼화재와 시멘트 원료로 활용되고 있다.
한편, 바텀 애쉬란 연소로 내에서 소결에 의해 입자가 형성된 상태에서 보일러 하부로 낙하하여 고형화된 물질을 분쇄기를 사용하여 25mm이하의 입도로 분쇄시킨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쇄기에 의해 파쇄된 바텀 애쉬는 1∼10mm 정도의 입경 범위를 갖고 있으며 클린커 애쉬(clinker ash) 또는 배드 애쉬(bad ash)라고도 한다. 이 바텀 애쉬는 총 석탄회 발생량의 10∼15%정도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산업 폐기물인 바텀 애쉬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해서는 도 3에 따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사시도이다.
도 3에 있어서, (100)은 빛 반사 기능을 구비한 장방 형상의 경계석으로서, 통상의 콘크리트 경계 블록의 배합 비율로 성형된 본체이다. 이 본체(100)는 규사, 자갈, 맥반석, 종석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혼합한 골재, 시멘트, 물, 안료, 감수제 등을 혼합하여 성형되는 통상의 콘크리트용 골재(101)와 본체(100)의 일 측면에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110)으로 형성된다.
(120)은 홈(110) 내에 홈(110)의 형상과 대응하여 장착되고 본체(100)의 성형시 본체(100)와 일체화된 표시 부재를 나타내고, 이 표시 부재(120)는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하지 않으며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다.
즉, 표시 부재(120)는 태양, 수은등, 형광등, 전조등과 같은 일상 생활에서 사용되는 자연광 및 인조광의 에너지원을 흡수 축적해서 어두운 곳에서 형광 빛을 방출하는 성질을 가진 축광안료, 진주펄, 야광, 형광 등의 물질에 투명 에폭시 수지를 혼합하여 판 형상으로 제작된다.
또한, 홈(110)은 본체(100)의 표면에서 균일하게 직사각형상으로 적어도 2㎜의 깊이로 형성된다. 이는 경계석의 설치 후, 경계석과 주행 중인 차량의 접촉시 표시 부재(12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에 대해 도 4에 따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사시도이다.
실시예 2와 실시예 1과의 다른 점은 실시예 1의 본체(100)의 형성으로서 바텀 애쉬를 사용하는 것이며,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도 4에 있어서, (200)은 실시예 2에 따라 형성된 본체이고, (201)은 화력 발전소에서 발생되어 폐기되는 바텀 애쉬의 골재이다.
즉,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실시예 1의 콘크리트용의 골재(101)의 대체재로서 바텀 애쉬 골재(201)를 사용하는 것이며, 이 바텀 애쉬의 골재(201)에 시멘트, 물, 안료, 감수제 등을 혼합하여 통상의 콘크리트 배합 비율로 본체(200)를 형성하는것이다.
실시예 2에 있어서도 본체(200)의 일 측면에 본체(2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110)이 형성되고, 홈(110) 내에 홈(110)의 형상과 대응하여 장착되고 본체(200)의 성형시 본체(200)와 일체화된 표시 부재(120)가 마련되며, 이 표시 부재(120)도 본체(200)의 외부로 돌출하지 않으며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 있어서는 본체의 형성 시,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통상의 콘크리트용의 골재(101)와 실시예 2에서 사용된 화력 발전소에서 발생되어 폐기되는 바텀 애쉬의 골재(201)를 적당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성형된 것이 실시예 1 및 2와의 상이점이며,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즉, 실시예 3에 있어서는 실시예 1의 콘크리트용의 골재(101)와 실시예 2의 바텀 애쉬 골재(201)를 사용하는 것이며, 이 혼합 골재에 시멘트, 물, 안료, 감수제 등을 혼합하여 통상의 콘크리트 배합 비율로 본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실시예 3에 있어서, 혼합 골재로서 콘크리트용의 골재(101)와 바텀 애쉬 골재(201)의 혼합 비율은 본체의 제조시 사용자가 임의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에 실시예 1 내지 3에서 설명한 경계석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도 5는 대표적으로 도 3에 도시된 경계석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빛 반사 기능을 구비하고 장방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통상의 콘크리트 경계블록의 배합 비율로 성형된 본체(100), 본체(100)의 일 측면에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110) 및 홈(110) 내에 홈(110)의 형상과 대응하여 장착되고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표시 부재(120)를 포함하는 경계석의 제조 방법으로서,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대응되며, 그 일 부분이 내부로 돌출된 돌출부(310)를 구비한 금형(300)을 마련한다. 이 금형(300)에 있어서, 돌출부(310)는 금형(300)의 하부에 마련되고, 그 돌출부의 높이는 홈(110)의 깊이에 대응하도록, 금형(300)의 내부에서 적어도 2㎜의 높이로 돌출 되며, 그 크기는 표시 부재(120)의 크기에 대응시켜 형성된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사용된 통상의 콘크리트용의 골재(101), 또는 화력 발전소에서 발생되어 폐기되는 바텀 애쉬의 골재(201) 또는 통상의 콘크리트용의 골재와 바텀 애쉬의 골재의 혼합 골재를 사용하여 본체용 콘크리트를 배합한다.
다음에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형(300) 내의 돌출부(310) 상에 표시 부재(120)를 부착한다. 이 표시 부재(120)의 일면에는 양면 접착제로서 기능하는 보호막(130)이 부착된다. 즉, 이 보호막(130)의 한 면은 표시 부재에 접착되고 다른 한 면은 돌출부(310)에 접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제로서 기능하는 보호막을 마련하는 이유는 본체의 성형시 진동과정에서 표시 부재의 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금형(300)의 돌출부(310)의 면과 표시 부재의 완전한 밀착을 위한 것이다.
다음에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10)에 부착된 표시 부재(120)상에 배합 공정에서 배합된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진동 성형한다.
그 후, 성형 공정에서 성형된 본체를 소정의 규격으로 컷팅하고 표시 부재(120)가 마련된 면을 가공한다.
다음에, 보호막(130)을 최종의 가공 공정 후 제거하는 것에 의해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경계석이 완성된다.
<실시예 5>
실시예 1 내지 4에 있어서는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110)의 크기와 표시 부재(120)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실시예 5에 있어서는 표시 부재(121)의 길이나 폭의 크기가 본체(100)에 형성되는 홈(110)의 크기보다 약간 커서 표시 부재(121)의 외곽이 콘크리트에 덮여 본체(100)의 내부에 묻히는 경우의 돌출부(310)의 크기와 표시 부재(121)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경우에 표시부재(121)의 외곽이 콘크리트에 묻히게 되므로 표시 부재(121)는 본체(100)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게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홈(110)을 직사각형상으로 형성한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용도에 따라 원형, 정사각형,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홈에 하나의 표시 부재를 마련한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다수개의 홈에 다수개의 표시 부재를 마련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표시 부재의 형상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표시의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표시 부재의 일면에 접착제로서 기능하는 보호막을 부착하여 금형에 마련된 돌출부에 표시 부재를 부착시킨 후에 성형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표시 부재가 돌출부에 안치될 때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수단을 별도로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표시 부재의 일면에 접착제로서 기능하는 보호막(130)을 사용하였지만, 돌출부(310)가 금형(300)의 하부에 마련하고 그 위에 표시부재를 안치시키므로 표시부재에 접착성을 갖지 않는 보호막을 사용하던가 보호막을 사용하지 않아도 그 제조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빛 반사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경계석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야간 도로상의 운전 중 경계석의 식별을 위한 반사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빛 반사 기능을 구비한 경계석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화력 발전소에서 발생되어 폐기되던 바텀 애쉬를 콘크리트의 골재 대체용으로 사용함으로써 골재고갈에 따른 문제점 해결은 물론이고 폐기 매립 처리되고 있는 폐기물을 건설자원으로 활용함으로써 환경보존에도 기여하게 된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Claims (12)

  1. 장방 형상의 경계석에 있어서,
    통상의 콘크리트 경계석의 배합 비율로 성형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 및
    상기 홈 내에 상기 홈의 형상과 대응하여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성형 시 상기 본체와 일체화되는 표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부재는 그 길이 및 폭의 크기가 상기 홈의 크기 이상이고, 상기 본체의 일측면의 크기보다 작으며,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하지 않는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통상의 콘크리트용 골재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화력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바텀 애쉬의 골재를 통상의 콘크리트용의 일반 골재의 대체재로서 사용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화력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바텀 애쉬의 골재와 통상의 콘크리트용의 골재를 혼합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본체의 표면에서 적어도 3㎜의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6. 통상의 콘크리트 경계 블록의 배합 비율로 성형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 및 상기 홈에 상기 홈의 형상과 대응하여 장착되고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표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부재는 그 길이 및 폭의 크기가 상기 홈의 크기 이상이고, 상기 본체의 일측면의 크기보다 작은 경계석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본체와 대응되며, 그 일 부분이 내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금형을 마련하는 공정,
    상기 본체용 콘크리트를 배합하는 배합 공정,
    상기 돌출부에 상기 표시 부재를 부착하는 부착 공정,
    상기 돌출부에 부착된 상기 표시 부재 상에 상기 배합 공정에서 배합된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진동 성형하는 성형 공정 및
    상기 성형 공정에서 성형된 상기 본체를 소정의 규격으로 컷팅하고 상기 표시 부재면을 가공하는 가공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금형의 하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제조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통상의 콘크리트용 골재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제조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화력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바텀 애쉬의 골재를 통상의 콘크리트용의 일반 골재의 대체재로서 사용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제조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화력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바텀 애쉬의 골재와 통상의 콘크리트용의 골재를 혼합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제조 방법.
  10. 제 6항 내지 제 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금형의 내부에서 적어도 2㎜의 높이로 돌출 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제조 방법.
  11. 제 6항 내지 제 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부재의 일면에는 접착제로서 기능하는 보호막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제조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공정에 있어서 상기 표시 부재는 상기 보호막에 의해 상기 돌출부에 부착되며,
    상기 보호막은 상기 가공 공정 후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제조 방법.
KR1020030041549A 2003-06-25 2003-06-25 빛 반사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경계석 및 그 제조 방법 KR100577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549A KR100577353B1 (ko) 2003-06-25 2003-06-25 빛 반사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경계석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549A KR100577353B1 (ko) 2003-06-25 2003-06-25 빛 반사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경계석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942A true KR20050000942A (ko) 2005-01-06
KR100577353B1 KR100577353B1 (ko) 2006-05-10

Family

ID=37216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549A KR100577353B1 (ko) 2003-06-25 2003-06-25 빛 반사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경계석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3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338Y1 (ko) * 2007-10-11 2010-04-05 강종희 야광표시 도로 경계석
KR200448591Y1 (ko) * 2008-02-04 2010-04-27 주식회사 제일에코텍 황토층이 상면으로 결합된 투수용 블록
KR102646410B1 (ko) * 2023-07-27 2024-03-12 (주)홍우비앤티 축전과 발광수단이 구비되는 경계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413B1 (ko) 2008-04-28 2010-01-06 (주)장성산업 축광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KR101081725B1 (ko) * 2008-12-11 2011-11-08 박문석 경계석용 패드
KR101019227B1 (ko) * 2009-09-09 2011-03-04 박태현 다색 자연반사 콘크리트 경계벽돌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338Y1 (ko) * 2007-10-11 2010-04-05 강종희 야광표시 도로 경계석
KR200448591Y1 (ko) * 2008-02-04 2010-04-27 주식회사 제일에코텍 황토층이 상면으로 결합된 투수용 블록
KR102646410B1 (ko) * 2023-07-27 2024-03-12 (주)홍우비앤티 축전과 발광수단이 구비되는 경계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7353B1 (ko)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2578B2 (en) Luminescent paving stone in the form of an artificial stone or natural stone
KR100592781B1 (ko) 바텀애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조성물
EP0905102A1 (en) Noctilucent or fluorescent artificial stone composition
KR100664567B1 (ko) 폐기물을 이용한 재활용 소성 점토벽돌의 제조방법 및 이에의한 재활용 소성 점토벽돌
KR100577353B1 (ko) 빛 반사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경계석 및 그 제조 방법
RU2005101198A (ru) Стеновой материал из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камня
CN109133771A (zh) 一种预制无机人造夜光石板材及其制备方法
CN111663464B (zh) 一种透光混凝土基led主动发光交通标线及其施工方法
KR20090113545A (ko) 축광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KR100978896B1 (ko) 친환경 반사형 콘크리트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920703468A (ko) 발광성 구축재의 제조방법
CN113638285A (zh) 一种基于固弃物的自发光路缘石及其制备方法
CN102268861A (zh) 用建筑垃圾和生活垃圾的炉渣制成的路缘石
KR102484260B1 (ko) Led 폐유리입자, 축광안료 및 광촉매가 무기결합된 기능성 복합골재를 이용한 보행시인성 향상 및 대기정화기능을 가지는 어스 클린 블록
KR101609360B1 (ko) 포장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00078636A (ko) 발광형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1445710B1 (ko) 보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EP0906894B1 (en) Formed artificial stone
CN102296742B (zh) 用建筑垃圾和生活垃圾的炉渣制成的发光混凝土砖
JPH11292597A (ja) 人造石成形体
KR19980033706A (ko) 칼라 보도블럭
GB2200936A (en) Reflective kerbstone
KR20040018759A (ko) 폐블록 및 폐고무칩을 이용한 탄성 블록
KR200333863Y1 (ko) 폐 타이어나 폐 고무재를 이용한 건축,토목시공용 자재
KR20020066459A (ko) 폐자재를 이용한 투수 블록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