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929B1 - 방화 도어 - Google Patents

방화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929B1
KR102346929B1 KR1020170096946A KR20170096946A KR102346929B1 KR 102346929 B1 KR102346929 B1 KR 102346929B1 KR 1020170096946 A KR1020170096946 A KR 1020170096946A KR 20170096946 A KR20170096946 A KR 20170096946A KR 102346929 B1 KR102346929 B1 KR 102346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aped member
shaped
thickness direction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6282A (ko
Inventor
유키히사 마쓰오
고지 야스다
요시히로 호사카
나오키 가와베
노부오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80016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2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 E06B3/827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of metal without an internal frame, e.g. with exterior panels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9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 E06B2003/7051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of layered construction involving different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 E06B2003/7074Metal frames
    • E06B2003/7078Metal frames with fire retardant measures in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방화 도어는, 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부재와, 제1 판형 부재와 중간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단열재와, 제2 판형 부재와 중간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단열재와, 제1 단열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제1 판형 부재와 중간 부재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와, 제2 단열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제2 판형 부재와 중간 부재를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제1 연결 부재는, 제2 판형 부재 및 제2 연결 부재의 양쪽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제2 연결 부재는, 제1 판형 부재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가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방화 도어{FIRE DOOR}
본 발명은, 방화 도어에 관한 것이다.
방화 도어는,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설비 등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방화 도어에 의해 개구부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통한 연소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제2009-137675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승강체의 승강 이동 경로가 건물의 복수의 층에 걸쳐 형성되는 설비에 있어서, 상기 승강 이동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바닥부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방화 도어를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화 도어를 설치함으로써, 어느 층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서의 다른 층으로의 연소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9-137675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는 방화 도어의 단열 성능[차열(遮熱) 성능]에 대한 언급은 없다. 차열 성능이 낮은 경우, 화염에 노출되는 측(방화 도어에서의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 측. 이하, 「화재측」이라고 함)으로부터 배면측(이하, 「비화재측」이라고 함)으로의 전열(傳熱)이 크고, 가연물이 인화·발화하여 비화재 측에서 연소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방화 도어는, 차염(遮炎) 성능이나 차연(遮煙) 성능 외에, 차열 성능도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최근 차열 성능을 적절히 확보할 수 있는 방화 도어의 실현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에 관한 방화 도어는,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1 판형 부재와, 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 판형 부재에 대하여 판두께 방향에서 볼 때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판형 부재와, 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 판형 부재와 상기 제2 판형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부재와, 상기 제1 판형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단열재와, 상기 제2 판형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단열재와, 상기 제1 단열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판형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제2 단열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판형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를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제2 판형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양쪽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판형 부재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판형 부재와 상기 제2 판형 부재가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1 판형 부재가 제1 연결 부재에 의해 중간 부재에 연결되는 동시에, 제2 판형 부재가 제2 연결 부재에 의해 중간 부재에 연결되므로,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를 직접 연결하는 직접 연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를,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부재를 통하여 연결할 수 있다. 즉, 직접 연결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직접 연결 부재가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와의 사이의 열교(熱橋; thermal bridge)로 되고,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와의 사이의 열저항값이 저하되어 방화 도어의 차열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지만,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이와 같은 직접 연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그에 더하여,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연결 부재가 제2 판형 부재 및 제2 연결 부재의 양쪽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동시에, 제2 연결 부재가 제1 판형 부재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가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이로써,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와의 접촉에 의한 열전도를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를 접속하는 열저항값이 낮은 전열 경로가 제1 연결 부재나 제2 연결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와의 사이의 열저항값을, 제1 단열재나 제2 단열재의 열저항값에 따른 비교적 높은 값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와의 사이의 열저항값을 높게 확보하면서,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를 연결할 수 있고, 그 결과, 차열 성능을 적절히 확보할 수 있는 방화 도어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방화 도어의 단면도(斷面圖)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방화 도어의 일부의 단면도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방화 도어의 일부의 평면도
도 4는 그 외의 실시형태에 관한 방화 도어의 일부의 단면도
도 5는 그 외의 실시형태에 관한 중간 판형 부재의 일부의 평면도
도 6은 그 외의 실시형태에 관한 방화 도어의 일부의 단면도
도 7은 그 외의 실시형태에 관한 방화 도어의 일부의 단면도
도 8은 그 외의 실시형태에 관한 방화 도어의 일부의 단면도
도 9는 그 외의 실시형태에 관한 방화 도어의 일부의 단면도
방화 도어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화 도어(1)는,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1 판형 부재(10)와, 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제1 판형 부재(10)에 대하여 판두께 방향 Z에서 볼 때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판형 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판형 부재(10)와 제2 판형 부재(20)는, 판두께 방향 Z에서 볼 때(즉, 평면에서 볼 때)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판형 부재(10)와 제2 판형 부재(20)는, 판두께 방향 Z에서 볼 때 완전히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판두께 방향 Z은, 전체적으로 판형으로 형성되는 방화 도어(1)의 두께 방향[판면(板面)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방화 도어(1)가, 전체적으로 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나, 권취 등에 의해 휨변형 가능한 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등에는, 각 위치에 있어서 판두께 방향 Z을 개별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화 도어(1)는, 전체적으로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화 도어(1)는, 휨변형 가능한 유연성은 구비하고 있지 않다. 제1 판형 부재(10)나 제2 판형 부재(20)로서, 내화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형성된 판재를 사용할 수 있다. 내화성을 가지는 재료로서, 스테인레스, 철,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를 예시할 수 있다.
방화 도어(1)는, 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제1 판형 부재(10)와 제2 판형 부재(20)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부재(30)와, 제1 판형 부재(10)와 중간 부재(30)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단열재(51)와, 제2 판형 부재(20)와 중간 부재(30)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단열재(5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판형 부재(10), 제2 판형 부재(20), 및 중간 부재(30)의 각각이,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판형 부재(10), 제2 판형 부재(20), 및 중간 부재(3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단열재(51)는, 제1 판형 부재(10)와 중간 부재(3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평판형의 단열층에 설치되고, 제2 단열재(52)는, 제2 판형 부재(20)와 중간 부재(3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평판형의 단열층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판형 부재(10), 제2 판형 부재(20), 및 중간 부재(30)의 각각의 판두께 방향이, 방화 도어(1)의 전체로서의 판두께 방향 Z에 일치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부재(30)는, 판두께 방향 Z로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2개의 중간 판형 부재(40)[제1 중간 판형 부재(41) 및 제2 중간 판형 부재(42)]과, 이들 2개의 중간 판형 부재(40)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단열재(54)를 구비하고 있다(도 2 참조).
제1 단열재(51)나 제2 단열재(52)로서, 판형(여기서는 평판형)으로 성형된 단열재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단열재(51)나 제2 단열재(52)로서, 열전도율이 낮은 (열저항값이 높은) 단열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정지 공기보다 낮은 열전도율을 가지는 단열재를 사용할 수 있다. 정지 공기보다 낮은 열전도율을 가지는 단열재로서, 입자 직경이 5㎚∼30㎚의 초미분(超微粉)[예를 들면, 흄드(fumed) 실리카의 분체(粉體)]를 주원료로 하고, 100㎚ 이하의 미세한 공간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포아(micropore) 구조를 가지는 미세 다공성 단열재를 예시할 수 있다.
방화 도어(1)는, 제1 단열재(51)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제1 판형 부재(10)와 중간 부재(30)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61)와, 제2 단열재(52)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제2 판형 부재(20)와 중간 부재(30)를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62)를 구비하고 있다. 즉, 제1 판형 부재(10)와 제2 판형 부재(20)는, 중간 부재(30)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판형 부재(10)와 제2 판형 부재(20)를 직접 연결하는 연결 부재(이하, 「직접 연결 부재」라고 함)를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직접 연결 부재가 제1 판형 부재(10)와 제2 판형 부재(20)와의 사이의 열교로 될 우려가 있지만, 중간 부재(30)를 통하여 제1 판형 부재(10)와 제2 판형 부재(20)가 서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와 같은 직접 연결 부재를 불필요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화 도어(1)는, 복수의 제1 연결 부재(61)와 복수의 제2 연결 부재(6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연결 부재(61)나 제2 연결 부재(62)로서,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연결 부재나, 세라믹 재료에 의해 형성된 연결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연결 부재(61)는, 수나사이며, 제1 판형 부재(10)를 판두께 방향 Z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 삽통공(揷通孔)(12)보다 대경(大徑)의 헤드부와, 중간 부재(30)에 형성된 제1 체결공(91)에 체결되는 축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체결공(91)은, 후술하는 제1 중간 판형 부재(41)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열재(51)에는, 제1 연결 부재(61)의 축부(軸部)가 삽통(揷通)되는 삽통공이, 제1 단열재(51)를 판두께 방향 Z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1 연결 부재(61)는, 제1 삽통공(12) 및 제1 단열재(51)에 형성된 상기 삽통공에 대하여 중간 부재(30)와는 반대측으로부터 판두께 방향 Z로 삽통된 상태에서, 제1 체결공(91)에 체결되어 있다. 즉, 제1 판형 부재(10)와 중간 부재(30)는, 제1 단열재(51)를 사이에 협지한 상태로, 제1 연결 부재(61)와 제1 체결공(91)과의 체결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로써, 제1 판형 부재(10)는, 중간 부재(30)와의 판두께 방향 Z의 간격[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중간 판형 부재(42)와의 판두께 방향 Z의 간격]이 제1 단열재(51)의 판두께(판두께 방향 Z의 폭)에 따른 제1 간격[제1 단열재(51)의 판두께 이상의 간격]으로 되도록, 중간 부재(30)에 대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제2 단열재(52)에서의 제1 체결공(91)과 판두께 방향 Z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제1 체결공(91)과는 반대측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연결 부재(61)의 축부의 선단부(나사선)[front end(screw end)]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어 있다. 제1 단열재(51)의 기계적 강도가 제1 판형 부재(10)와 중간 부재(30)와의 간격을 유지하는 데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4에 나타낸 예와 같이, 제1 판형 부재(10)와 중간 부재(30)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제1 스페이서(71)를 사용함으로써, 제1 판형 부재(10)와 중간 부재(30)와의 간격을 제1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연결 부재(62)는, 수나사이며, 제2 판형 부재(20)를 판두께 방향 Z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 삽통공(22)보다 대경의 헤드부와, 중간 부재(30)에 형성된 제2 체결공(92)에 체결되는 축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체결공(92)은, 후술하는 제2 중간 판형 부재(42)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단열재(52)에는, 제2 연결 부재(62)의 축부가 삽통되는 삽통공이, 제2 단열재(52)를 판두께 방향 Z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2 연결 부재(62)는, 제2 삽통공(22) 및 제2 단열재(52)에 형성된 상기 삽통공에 대하여 중간 부재(30)와는 반대측으로부터 판두께 방향 Z로 삽통된 상태에서, 제2 체결공(92)에 체결되어 있다. 즉, 제2 판형 부재(20)와 중간 부재(30)는, 제2 단열재(52)를 사이에 협지한 상태로, 제2 연결 부재(62)와 제2 체결공(92)과의 체결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로써, 제2 판형 부재(20)는, 중간 부재(30)와의 판두께 방향 Z의 간격[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중간 판형 부재(41)와의 판두께 방향 Z의 간격]이 제2 단열재(52)의 판두께(판두께 방향 Z의 폭)에 따른 제2 간격[제2 단열재(52)의 판두께 이상의 간격]으로 되도록, 중간 부재(30)에 대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제1 단열재(51)에서의 제2 체결공(92)과 판두께 방향 Z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제2 체결공(92)과는 반대측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연결 부재(62)의 축부의 선단부(나사선)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어 있다. 제2 단열재(52)의 기계적 강도가 제2 판형 부재(20)와 중간 부재(30)와의 간격을 유지하는 데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4에 나타낸 예와 같이, 제2 판형 부재(20)와 중간 부재(30)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제2 스페이서(72)]를 사용함으로써, 제2 판형 부재(20)와 중간 부재(30)와의 간격을 제2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부재(30)는, 판형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부재로서, 판두께 방향 Z로 서로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중간 판형 부재(40)와, 판두께 방향 Z로 인접하는 2개의 중간 판형 부재(40)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단열재(54)를 구비하고 있다. 즉, 중간 부재(30)에서의 판두께 방향 Z의 양 단부의 각각에 중간 판형 부재(40)가 배치되고, 판두께 방향 Z로 인접하는 2개의 중간 판형 부재(40)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층의 각각에, 중간 단열재(54)가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판형 부재(40)의 각각은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중간 판형 부재(4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중간 판형 부재(40)로서,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철,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판재를 사용할 수 있다. 중간 판형 부재(40)로서, 제1 판형 부재(10)나 제2 판형 부재(20)와 같은 재료에 의해 형성된 판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중간 단열재(54)로서, 판형(여기서는 평판형)에 성형된 단열재를 사용할 수 있다. 중간 단열재(54)로서, 열전도율이 낮은(열저항값이 높은) 단열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제1 단열재(51)나 제2 단열재(52)와 동일한 재료 및 구조의 단열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부재(30)는, 2개의 중간 판형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연결 부재(61)는, 어느 하나의 중간 판형 부재(40)인 제1 중간 판형 부재(41)와 제1 판형 부재(10)를 연결하고, 제2 연결 부재(62)는, 제1 중간 판형 부재(41)와는 다른 1개의 중간 판형 부재(40)인 제2 중간 판형 부재(42)와 제2 판형 부재(20)를 연결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중간 판형 부재(42)는, 판두께 방향 Z에서의 제1 판형 부재(10)와 제1 중간 판형 부재(41)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중간 판형 부재(41)에는, 제2 연결 부재(62)의 축부가 삽통되는 제2 중간 삽통공(95)이 제1 중간 판형 부재(41)를 판두께 방향 Z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2 중간 판형 부재(42)에는, 제1 연결 부재(61)의 축부가 삽통되는 제1 중간 삽통공(94)이 제2 중간 판형 부재(42)를 판두께 방향 Z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 단열재(54)에는, 제1 연결 부재(61)의 축부가 삽통되는 삽통공 및 제2 연결 부재(62)의 축부가 삽통되는 삽통공의 양쪽이, 중간 단열재(54)를 판두께 방향 Z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중간 판형 부재(42)가 판두께 방향 Z에서의 제1 판형 부재(10)와 제1 중간 판형 부재(41)와의 사이에 배치되므로, 제1 판형 부재(10)와 제1 중간 판형 부재(41)가 연결되는 동시에 제2 판형 부재(20)와 제2 중간 판형 부재(42)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중간 판형 부재(41)와 제2 중간 판형 부재(42)와의 판두께 방향 Z의 간격은, 중간 단열재(54)의 판두께(판두께 방향 Z의 폭)에 따른 제3 간격[중간 단열재(54)의 판두께 이상의 간격]으로 된다. 중간 단열재(54)의 기계적 강도가 제1 중간 판형 부재(41)와 제2 중간 판형 부재(42)와의 간격을 유지하는 데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4에 나타낸 예와 같이, 제1 중간 판형 부재(41)와 제2 중간 판형 부재(42)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제3 스페이서(73)]를 사용함으로써, 제1 중간 판형 부재(41)와 제2 중간 판형 부재(42)와의 간격을 제3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방화 도어(1)의 차열 성능을 적절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1 판형 부재(10)와 제2 판형 부재(20)를 접속하는 열저항값이 낮은 전열 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 점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61)는, 제2 판형 부재(20) 및 제2 연결 부재(62)의 양쪽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제2 연결 부재(62)는, 제1 판형 부재(10)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제1 판형 부재(10)와 제2 판형 부재(20)가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제1 판형 부재(10)와 제2 판형 부재(20)와의 접촉에 의한 열전도를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제1 판형 부재(10)와 제2 판형 부재(20)를 접속하는 열저항값이 낮은 전열 경로가 제1 연결 부재(61)나 제2 연결 부재(62)에 의해 형성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판형 부재(10)와 제2 판형 부재(20)와의 사이의 열저항값을, 제1 단열재(51)나 제2 단열재(52)의 열저항값에 따른 비교적 높은 값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61)와 제2 연결 부재(62)를 판두께 방향 Z에서 볼 때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함으로써, 제1 연결 부재(61)와 제2 연결 부재(62)와의 간격을 적절히 확보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복수의 제1 연결 부재(61)가 판두께 방향 Z에서 볼 때 정방 격자형으로 배치되고, 판두께 방향 Z에서 볼 때 격자(格子) 중심(정사각형의 중심)에 상당하는 위치에 제2 연결 부재(62)가 배치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복수의 제1 연결 부재(61)가 판두께 방향 Z에서 볼 때 삼각 격자형으로 배치되고, 판두께 방향 Z에서 볼 때 격자 중심(삼각형의 중심)에 상당하는 위치에 제2 연결 부재(62)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적어도 일부의 제1 연결 부재(61)나 제2 연결 부재(62)가, 판두께 방향 Z에서 볼 때 불규칙하게 배치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부재(30)를, 제1 판형 부재(10) 및 제2 판형 부재(20)의 양쪽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함으로써도, 제1 판형 부재(10)와 제2 판형 부재(20)와의 사이의 열저항값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즉, 제1 판형 부재(10)와 제2 판형 부재(20)를 접속하는 열저항값이 낮은 전열 경로가 중간 부재(30)를 경유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회피함으로써, 제1 판형 부재(10)와 제2 판형 부재(20)와의 사이의 열저항값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방화 도어(1)와 같이, 중간 부재(30)에 단열재[중간 단열재(54)]가 구비되는 경우, 중간 부재(30)를 제1 판형 부재(10) 및 제2 판형 부재(20)의 양쪽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한다는 경우의 "중간 부재(30)"는, 중간 부재(30)에서의 단열재를 제외하고 부분, 또는 중간 부재(30)의 전체로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부재(30)의 전체가, 제1 판형 부재(10) 및 제2 판형 부재(20)의 양쪽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판형 부재(10)의 외주부에는, 판두께 방향 Z에서의 제2 판형 부재(20) 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연장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판형 부재(20)의 외주부에는, 판두께 방향 Z에서의 제1 판형 부재(10) 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연장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판형 부재(10)의 외주부에 있어서 판두께 방향 Z에서의 제2 판형 부재(20) 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연장부(11)와, 제2 판형 부재(20)의 외주부에 있어서 판두께 방향 Z에서의 제1 판형 부재(10) 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연장부(21)와의, 양쪽의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판형 부재(10)와 제2 판형 부재(20)가 간극을 두고 배치되도록, 제1 연장부(11)와 제2 연장부(21)는, 간극(G)을 두고 판두께 방향 Z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간극(G)의 판두께 방향 Z의 위치는, 제1 중간 판형 부재(41)와 제2 중간 판형 부재(42)와의 사이의 판두께 방향 Z의 영역 내의 위치이다. 제1 단열재(51), 제2 단열재(52), 및 중간 부재(30)는, 제1 연장부(11) 및 제2 연장부(21)보다 내측[판두께 방향 Z와 직교하는 면을 따라 방화 도어(1)의 중심부를 향하는 측]에 배치된다. 즉, 제1 단열재(51), 제2 단열재(52), 및 중간 부재(30)는, 제1 판형 부재(10)의 평판 부분 및 제2 판형 부재(20)의 평판 부분에 의해 판두께 방향 Z의 양측을 구획하는 동시에, 제1 판형 부재(10)의 제1 연장부(11) 및 제2 판형 부재(20)의 제2 연장부(21)에 의해 외주(外周)(평면에서 볼 때의 외주)를 구획하는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중간 판형 부재(41) 및 제2 중간 판형 부재(42)의 각각이, 제1 판형 부재(10) 및 제2 판형 부재(20)의 양쪽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중간 판형 부재(41)는, 제1 중간 판형 부재(41)의 외주부의 전역(全域)에 있어서, 판두께 방향 Z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부[여기서는, 제2 연장부(21)]와 간극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제1 판형 부재(10) 및 제2 판형 부재(20)의 양쪽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중간 판형 부재(42)는, 제2 중간 판형 부재(42)의 외주부의 전역에 있어서, 판두께 방향 Z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부[여기서는, 제1 연장부(11)]와 간극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제1 판형 부재(10) 및 제2 판형 부재(20)의 양쪽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중간 판형 부재(42)와 제1 연결 부재(61)가 접촉되지 않도록, 제1 연결 부재(61)의 축부가 삽통되는 제1 중간 삽통공(94)이 제1 연결 부재(61)의 축부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1 중간 판형 부재(41)와 제2 연결 부재(62)가 접촉되지 않도록, 제2 연결 부재(62)의 축부가 삽통되는 제2 중간 삽통공(95)이 제2 연결 부재(62)의 축부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1 판형 부재(10) 및 제1 연결 부재(61)와, 제2 판형 부재(20) 및 제2 연결 부재(62)와의 사이의 열저항값을 높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 판형 부재(10)와 제2 판형 부재(20)를 접속하는 열저항값이 낮은 전열 경로가 중간 부재(30)를 경유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단열재(51), 제2 단열재(52), 및 중간 단열재(54)도, 제1 중간 판형 부재(41)나 제2 중간 판형 부재(42)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외주부의 전역에 있어서, 판두께 방향 Z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 연장부(11)이나 제2 연장부(21)와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단열재(51), 제2 단열재(52), 및 중간 부재(30)의 각각의 외주부와, 연장부[제1 연장부(11) 및 제2 연장부(21)]와의 사이에, 제3 단열재(53)가 배치되어 있다. 제3 단열재(53)의 판두께 방향 Z의 폭은, 제1 판형 부재(10)와 제2 판형 부재(20)와의 판두께 방향 Z의 간격에 따른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3 단열재(53)는, 판두께 방향 Z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외측[방화 도어(1)의 중심부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제1 연장부(11)와 제2 연장부(21)와의사이의 간극(G)에 삽입되는 돌출부(55)를 가지고 있다. 이 돌출부(55)에 의해, 제1 판형 부재(10)[제1 연장부(11)]와 제2 판형 부재(20)[제2 연장부(21)]와의 접촉을 더욱 확실하게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3 단열재(53)로서, 열전도율이 낮은(열저항값이 높은) 단열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제1 단열재(51)나 제2 단열재(52)와 동일한 재료 및 구조의 단열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화 도어(1)는, 예를 들면, 건물이나 설비 등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방화 도어(1)에 의해 개구부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를 통한 연소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방화 도어(1)는, 개방 문, 미닫이, 접는 문 등의 온갖 형태의 도어의 도어체로서 사용할 수 있고, 복수의 도어체로 구성되는 도어의 도어체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방화 도어(1)는, 수평 방향으로 개구되는 개구부나 연직(沿直) 방향으로 개구되는 개구부 등의 어떤 방향으로 개구되는 개구부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화 도어(1)를, 연직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바닥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수평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도어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방화 도어의 그 외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각각의 실시형태에서 개시되는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되는 구성과 조합시켜 적용할 수도 있다.
(1)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판형 부재(10)와 중간 부재(30)와의 판두께 방향 Z의 간격이 제1 단열재(51)에 의해 유지되고, 제2 판형 부재(20)와 중간 부재(30)와의 판두께 방향 Z의 간격이 제2 단열재(52)에 의해 유지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도 4에 일례를 나타낸 바와 같이, 방화 도어(1)가, 제1 판형 부재(10)와 중간 부재(30)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페이서(71)와, 제2 판형 부재(20)와 중간 부재(30)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스페이서(72)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단열재(51)의 기계적 강도에 의지하지 않고, 제1 판형 부재(10)와 중간 부재(30)와의 판두께 방향 Z의 간격을 제1 스페이서(71)에 의해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제2 단열재(52)의 기계적 강도에 의지하지 않고, 제2 판형 부재(20)와 중간 부재(30)와의 판두께 방향 Z의 간격을 제2 스페이서(72)에 의해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판두께 방향 Z로 인접하는 2개의 중간 판형 부재(40)의 판두께 방향 Z의 간격이 중간 단열재(54)에 의해 유지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도 4에 일례를 나타낸 바와 같이, 방화 도어(1)가, 판두께 방향 Z로 인접하는 2개의 중간 판형 부재(4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스페이서(73)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중간 단열재(54)의 기계적 강도에 의지하지 않고, 판두께 방향 Z로 인접하는 2개의 중간 판형 부재(40)의 판두께 방향 Z의 간격을 제3 스페이서(73)에 의해 유지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71), 제2 스페이서(72), 및 제3 스페이서(73)로서,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스페이서나, 세라믹 재료에 의해 형성된 스페이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1 스페이서(71), 제2 스페이서(72), 및 제3 스페이서(73)의 각각이, 판두께 방향 Z로 연장되는 통형(筒形)(여기서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스페이서(71)의 내주면(內周面)[제1 내주면(71a)]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을 제1 연결 부재(61)가 관통하고, 제2 스페이서(72)의 내주면[제2 내주면(72a)]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을 제2 연결 부재(62)가 관통하고 있다. 또한, 제3 스페이서(73)의 내주면[제3 내주면(73a)]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을 제1 연결 부재(61) 또는 제2 연결 부재(62)가 관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단열재(51)에 형성된 제1 연결 부재(61)의 축부를 삽통하기 위한 삽통공에 제1 스페이서(71)가 끼워맞추어지고, 중간 단열재(54)에 형성된 제1 연결 부재(61)의 축부를 삽통하기 위한 삽통공에 제3 스페이서(73)가 끼워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이들 제1 스페이서(71) 및 제3 스페이서(73)를 관통하도록, 제1 연결 부재(61)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스페이서(71)의 외주면(外周面)은, 제1 삽통공(12) 및 제1 중간 삽통공(94)(도 2 참조)보다 대경으로 형성되고, 제1 연결 부재(61)가 관통하는 제3 스페이서(73)의 외주면은, 제1 중간 삽통공(94)보다 대경[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1 스페이서(71)와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1 스페이서(71)의 내주면이, 제1 삽통공(12) 및 제1 중간 삽통공(94)과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1 스페이서(71)의 내주면이, 제1 삽통공(12) 및 제1 중간 삽통공(94)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1 연결 부재(61)가 관통하는 제3 스페이서(73)의 내주면이, 제1 중간 삽통공(94)과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1 연결 부재(61)가 관통하는 제3 스페이서(73)의 내주면이, 제1 중간 삽통공(94)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2 단열재(52)에 형성된 제2 연결 부재(62)의 축부를 삽통하기 위한 삽통공에 제2 스페이서(72)가 끼워맞추어지고, 중간 단열재(54)에 형성된 제2 연결 부재(62)의 축부를 삽통하기 위한 삽통공에 제3 스페이서(73)가 끼워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이들 제2 스페이서(72) 및 제3 스페이서(73)를 관통하도록, 제2 연결 부재(62)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스페이서(72)의 외주면은, 제2 삽통공(22) 및 제2 중간 삽통공(95)(도 2 참조)보다 대경으로 형성되고, 제2 연결 부재(62)가 관통하는 제3 스페이서(73)의 외주면은, 제2 중간 삽통공(95)보다 대경[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2 스페이서(72)와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2 스페이서(72)의 내주면이, 제2 삽통공(22) 및 제2 중간 삽통공(95)과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2 스페이서(72)의 내주면이, 제2 삽통공(22) 및 제2 중간 삽통공(95)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2 연결 부재(62)가 관통하는 제3 스페이서(73)의 내주면이, 제2 중간 삽통공(95)과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2 연결 부재(62)가 관통하는 제3 스페이서(73)의 내주면이, 제2 중간 삽통공(95)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제1 내주면(71a)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은, 제1 단열재(51)가 존재하지 않는 중공(中空) 공간으로 되고, 제2 내주면(72a)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은, 제2 단열재(52)가 존재하지 않는 중공 공간으로 되고, 제3 내주면(73a)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은, 중간 단열재(54)가 존재하지 않는 중공 공간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방화 도어(1)의 조립 시에서의 제1 연결 부재(61)와 제1 단열재(51) 및 중간 단열재(54)와의 접촉을 회피하는 것이나, 방화 도어(1)의 조립 시에서의 제2 연결 부재(62)와 제2 단열재(52) 및 중간 단열재(54)와의 접촉을 회피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제1 스페이서(71), 제2 스페이서(72), 및 제3 스페이서(73)의 각각이, 판두께 방향 Z로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 스페이서(71), 제2 스페이서(72), 및 제3 스페이서(7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각통형(角筒形)이나, 주위 방향으로 연속되지 않는 불연속부를 가지는 통형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스페이서(71), 제2 스페이서(72), 및 제3 스페이서(7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예를 들면, 판두께 방향 Z에서 볼 때 L자형의 형상 등, 통형 이외의 판두께 방향 Z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제1 스페이서(71), 제2 스페이서(72), 및 제3 스페이서(73)의 각각에, 어느 하나의 연결 부재가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 스페이서(71), 제2 스페이서(72), 및 제3 스페이서(7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어느 연결 부재도 관통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방화 도어(1)가, 어느 연결 부재도 관통하지 않는 스페이서[제1 스페이서(71), 제2 스페이서(72), 또는 제3 스페이서(73)]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2)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중간 판형 부재(41)를 판두께 방향 Z로 관통하도록, 제1 체결공(91) 및 제2 중간 삽통공(95)이 형성되고, 제2 중간 판형 부재(42)를 판두께 방향 Z로 관통하도록, 제2 체결공(92) 및 제1 중간 삽통공(94)이 형성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리고, 제1 체결공(91) 및 제1 중간 삽통공(94)은, 제1 연결 부재(61)가 판두께 방향 Z로 관통하는 관통공이며, 제2 체결공(92) 및 제2 중간 삽통공(95)은, 제2 연결 부재(62)가 판두께 방향 Z로 관통하는 관통공이다. 즉, 제1 연결 부재(61), 제2 연결 부재(62), 또는 2개의 중간 판형 부재(40)를 연결하는 제3 연결 부재(63)(도 6 참조)가 판두께 방향 Z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제1 관통공(81)이라고 하면, 이들 제1 체결공(91), 제2 체결공(92), 제1 중간 삽통공(94), 및 제2 중간 삽통공(95)은, 모두, 제1 관통공(81)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중간 판형 부재(41) 및 제2 중간 판형 부재(42)의 각각이, 제1 관통공(81)과, 제1 관통공(81)과는 다른 제2 관통공(82)[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제2 관통공(82)]을 포함하는, 복수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 중간 판형 부재(41)을 도 5에 예시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1 중간 판형 부재(41) 및 제2 중간 판형 부재(42)를 사용함으로써, 제1 중간 판형 부재(41) 및 제2 중간 판형 부재(42)의 양쪽에 대하여, 판면을 따른 방향의 열의 이동에 대한 열저항값을, 제2 관통공(82)이 형성되는 분만큼 높일 수 있다.
(3)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2 중간 판형 부재(42)가, 판두께 방향 Z에서의 제1 판형 부재(10)와 제1 중간 판형 부재(41)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도 6에 일례를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중간 판형 부재(41)가, 판두께 방향 Z에서의 제1 판형 부재(10)와 제2 중간 판형 부재(42)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중간 판형 부재(40)를 연결하는 제3 연결 부재(63)를 사용함으로써, 제1 판형 부재(10)와 제2 판형 부재(20)를 중간 부재(30)를 통하여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3 연결 부재(63)는 수나사이며, 제1 중간 판형 부재(41)를 판두께 방향 Z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3 중간 삽통공(96)보다 대경의 헤드부와, 제2 중간 판형 부재(42)에 형성된 제3 체결공(93)에 체결되는 축부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단열재(54)에는, 제3 연결 부재(63)의 축부가 삽통되는 삽통공이, 중간 단열재(54)를 판두께 방향 Z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3 연결 부재(63)는, 제3 중간 삽통공(96) 및 중간 단열재(54)에 형성된 상기 삽통공에 대하여 제2 단열재(52)와는 반대측[제2 판형 부재(20)과는 반대측]으로부터 판두께 방향 Z로 삽통된 상태에서, 제3 체결공(93)에 체결되어 있다. 제3 중간 삽통공(96) 및 제3 체결공(93)은, 전술한 제1 관통공(81)이다. 제3 연결 부재(63)로서,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연결 부재나, 세라믹 재료에 의해 형성된 연결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예와 같이 제1 중간 판형 부재(41)가 판두께 방향 Z에서의 제1 판형 부재(10)와 제2 중간 판형 부재(42)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에 있어서, 방화 도어(1)가 전술한 제1 스페이서(71), 제2 스페이서(72), 및 제3 스페이서(73)(도 4 참조)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 제3 스페이서(73)의 내주면인 제3 내주면(73a)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을, 제3 연결 부재(63)가 관통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4)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부재(30)가, 제1 판형 부재(10) 및 제2 판형 부재(20)의 양쪽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 부재(30)가, 상기 중간 부재(30)의 외주부에 있어서, 제1 연장부(11) 및 제2 연장부(21) 중 적어도 한쪽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예와 같이, 중간 부재(30)가 구비하는 제1 중간 판형 부재(41)의 외주부가 제2 연장부(21)에 고정되고, 중간 부재(30)가 구비하는 제2 중간 판형 부재(42)의 외주부가 제1 연장부(11)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1 중간 판형 부재(41)와 제2 연장부(21)와의 고정 방법이나, 제2 중간 판형 부재(42)와 제1 연장부(11)와의 고정 방법은,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한 고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중간 단열재(54)에, 제1 연장부(11)와 제2 연장부(21)와의 사이의 간극(G)에 삽입되는 돌출부(55)가 설치되어 있다.
(5)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부재(30)가 2개의 중간 판형 부재(40)를 구비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 부재(30)가 3개 이상의 중간 판형 부재(40)를 구비하는 구성이나, 중간 부재(30)가 1개의 중간 판형 부재(40)만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후자의 구성에서는, 중간 부재(30)가 1개의 중간 판형 부재(40)에 의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일례를 도 8에 나타낸다. 이 경우, 1개의 중간 판형 부재(40)에, 제1 체결공(91) 및 제2 체결공(92)의 양쪽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예와 같이 중간 부재(30)가 1개의 중간 판형 부재(40)만을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방화 도어(1)가 전술한 제1 스페이서(71) 및 제2 스페이서(72)(도 4 참조)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6)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판형 부재(10)에서의 제1 연결 부재(61)의 축부가 판두께 방향 Z로 관통하는 부분에, 상기 축부보다 대경의 제1 삽통공(12)이 형성되는 동시에, 제2 판형 부재(20)에서의 제2 연결 부재(62)의 축부가 판두께 방향 Z로 관통하는 부분에, 상기 축부보다 대경의 제2 삽통공(22)이 형성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판형 부재(10)에서의 제1 연결 부재(61)의 축부가 판두께 방향 Z로 관통하는 부분이나, 제2 판형 부재(20)에서의 제2 연결 부재(62)의 축부가 판두께 방향 Z로 관통하는 부분에, 연결 부재의 축부가 체결(나사결합)되는 체결공(암나사공)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일례를 도 9에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1 판형 부재(10)에서의 제1 연결 부재(61)의 축부가 판두께 방향 Z로 관통하는 부분에, 제1 연결 부재(61)의 축부가 체결되는 제6 체결공(13)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2 판형 부재(20)에서의 제2 연결 부재(62)의 축부가 판두께 방향 Z로 관통하는 부분에, 제2 연결 부재(62)의 축부가 체결되는 제7 체결공(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연결 부재(61)가, 어느 하나의 중간 판형 부재(40)와 제1 판형 부재(10)를 연결하고, 제2 연결 부재(62)가, 어느 하나의 중간 판형 부재(40)와 제2 판형 부재(20)를 연결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연결 부재(61)가 복수 개의 중간 판형 부재(40)와 제1 판형 부재(10)를 연결하고, 제2 연결 부재(62)가 복수 개의 중간 판형 부재(40)와 제2 판형 부재(2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예와 같이, 중간 부재(30)가 2개의 중간 판형 부재(40)를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제1 연결 부재(61)가, 상기 2개의 중간 판형 부재(40)와 제1 판형 부재(10)를 연결하고, 제2 연결 부재(62)가, 상기 2개의 중간 판형 부재(40)와 제2 판형 부재(2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예에서는, 2개의 중간 판형 부재(40)의 각각에서의 제1 연결 부재(61)의 축부가 판두께 방향 Z로 관통하는 부분에, 제1 연결 부재(61)의 축부가 체결되는 제4 체결공(97)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2개의 중간 판형 부재(40)의 각각에서의 제2 연결 부재(62)의 축부가 판두께 방향 Z로 관통하는 부분에, 제2 연결 부재(62)의 축부가 체결되는 제5 체결공(9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61)의 축부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1개의 중간 판형 부재(40)뿐아니라 제1 판형 부재(10)나 다른 중간 판형 부재(40)에도 형성함으로써, 제1 판형 부재(10)와 중간 부재(30)를 제1 연결 부재(61)에 의해 더 한층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 부재(62)의 축부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1개의 중간 판형 부재(40)뿐아니라 제2 판형 부재(20)나 다른 중간 판형 부재(40)에도 형성함으로써, 제2 판형 부재(20)와 중간 부재(30)를 제2 연결 부재(62)에 의해 더 한층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중간 부재(30)를 통한 제1 판형 부재(10)와 제2 판형 부재(20)와의 연결을 한층 견고한 것으로 하여, 방화 도어(1)의 전체로서의 기계적 강도를 적절히 확보할 수 있다.
(7)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제1 연결 부재(61)나 제2 연결 부재(62)의 구성은 일례이며, 제1 연결 부재(61)나 제2 연결 부재(62)의 구성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연결 부재(63)의 구성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결 부재(61)가, 제1 단열재(51)에 대하여 판두께 방향 Z의 서로 반대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수나사와 암나사[내주면에 홈이 형성된 단차(step)가 형성된 원통형 부재 등]를 구비하고, 상기 수나사와 암나사가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제1 판형 부재(10)와 중간 부재(30)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연결 부재(61) 등의 연결 부재가, 탭핑(tapping) 가공[또는 버링(burring) 가공 및 탭핑 가공] 등에 의해 중간 판형 부재(40)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는 구성 대신에, 연결 부재가, 중간 판형 부재(40)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 너트에 체결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8)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판형 부재(10)의 외주부에 있어서 판두께 방향 Z에서의 제2 판형 부재(20) 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연장부(11)와, 제2 판형 부재(20)의 외주부에 있어서 판두께 방향 Z에서의 제1 판형 부재(10) 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연장부(21)와의, 양쪽의 연장부가 형성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연장부(11) 및 제2 연장부(21) 중 한쪽만의 연장부가 형성되는 구성이나, 제1 연장부(11) 및 제2 연장부(21)의 모두가 형성되지 않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판형 부재(10)와는 다른 부재로서 제1 연장부(11)에 상당하는 부재가, 제1 판형 부재(10)에 고정되는 구성이나, 제2 판형 부재(20)와는 다른 부재로서 제2 연장부(21)에 상당하는 부재가, 제2 판형 부재(20)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9)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연결 부재(61)와 제2 연결 부재(62)가 판두께 방향 Z에서 볼 때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 연결 부재(61)와 제2 연결 부재(62)가 판두께 방향 Z에서 볼 때 서로 중복되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결 부재(61)의 헤드부와 제2 연결 부재(62)의 헤드부가 판두께 방향 Z에서 볼 때 서로 중복되는 동시에, 제1 연결 부재(61)의 축부와 제2 연결 부재(62)의 축부이 판두께 방향 Z에서 볼 때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10)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단열재(51), 제2 단열재(52), 및 중간 단열재(54)로서, 판형으로 성형된 단열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판형으로 성형된 단열재 대신에, 겔상이나 분체상(粉體狀) 등의 적어도 어느 정도의 유동성(流動性)을 가지는 단열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11)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는, 본 개시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각종 개변(改變; modify)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개요]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방화 도어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화 도어는,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1 판형 부재와, 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 판형 부재에 대하여 판두께 방향에서 볼 때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판형 부재와, 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 판형 부재와 상기 제2 판형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부재와, 상기 제1 판형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단열재와, 상기 제2 판형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단열재와, 상기 제1 단열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판형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제2 단열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판형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를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제2 판형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양쪽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판형 부재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판형 부재와 상기 제2 판형 부재가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1 판형 부재가 제1 연결 부재에 의해 중간 부재에 연결되는 동시에, 제2 판형 부재가 제2 연결 부재에 의해 중간 부재에 연결되므로,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를 직접 연결하는 직접 연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를,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부재를 통하여 연결할 수 있다. 즉, 직접 연결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직접 연결 부재가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와의 사이의 열교로 되고,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와의 사이의 열저항값이 저하되어 방화 도어의 차열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지만,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이와 같은 직접 연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그에 더하여,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연결 부재가 제2 판형 부재 및 제2 연결 부재의 양쪽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동시에, 제2 연결 부재가 제1 판형 부재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가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이로써,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와의 접촉에 의한 열전도를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를 접속하는 열저항값이 낮은 전열 경로가 제1 연결 부재나 제2 연결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와의 사이의 열저항값을, 제1 단열재나 제2 단열재의 열저항값에 따른 비교적 높은 값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와의 사이의 열저항값을 높게 확보하면서,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를 연결할 수 있고, 그 결과, 차열 성능을 적절히 확보할 수 있는 방화 도어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판형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페이서와, 상기 제2 판형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페이서 및 상기 제2 스페이서의 각각은,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페이서의 내주면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을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관통되고, 상기 제2 스페이서의 내주면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을 상기 제2 연결 부재가 관통되고, 상기 중간 부재가, 상기 제1 판형 부재 및 상기 제2 판형 부재의 양쪽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단열재의 기계적 강도에 의지하지 않고, 제1 판형 부재와 중간 부재와의 판두께 방향의 간격을 제1 스페이서에 의해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1 단열재를 협지하여 배치되는 제1 판형 부재와 중간 부재를, 제1 연결 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제2 단열재의 기계적 강도에 의지하지 않고, 제2 판형 부재와 중간 부재와의 판두께 방향의 간격을 제2 스페이서에 의해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2 단열재를 협지하여 배치되는 제2 판형 부재와 중간 부재를, 제2 연결 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방화 도어의 전체로서의 기계적 강도를 적절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중간 부재가 제1 판형 부재 및 제2 판형 부재의 양쪽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므로,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를 접속하는 열저항값이 낮은 전열 경로가 중간 부재를 경유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회피하기 쉽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연결 부재가 제1 스페이서의 내주면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제2 연결 부재가 제2 스페이서의 내주면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스페이서의 내주면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 내에 제1 단열재가 존재하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방화 도어의 조립 시에서의 제1 연결 부재와 제1 단열재와의 접촉을 회피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마찬가지로, 제2 스페이서의 내주면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 내에 제2 단열재가 존재하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방화 도어의 조립 시에서의 제2 연결 부재와 제2 단열재와의 접촉을 회피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면, 방화 도어의 조립 시에 연결 부재(제1 연결 부재 또는 제2 연결 부재)와 단열재(제1 단열재 또는 제2 단열재)가 단열재의 파편이 발생할 정도로 접촉된 경우에는, 상기 파편이 방화 도어의 조립의 지장으로 될 수 있지만,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방화 도어의 조립 시에서의 연결 부재와 단열재와의 접촉을 회피하는 것이 용이해지므로, 단열재의 파편이 조립 시에 쉽게 발생하지 않는 방화 도어를 실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판형 부재의 외주부에 있어서 상기 판두께 방향에서의 상기 제2 판형 부재 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판형 부재의 외주부에 있어서 상기 판두께 방향에서의 상기 제1 판형 부재 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연장부 중의, 적어도 한쪽의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 부재가, 외주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중 적어도 한쪽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판형 부재 및 제2 판형 부재의 양쪽이 연결되는 중간 부재의 외주부가, 제1 판형 부재(제1 연장부) 및 제2 판형 부재(제2 연장부) 중 적어도 한쪽에 고정된다. 따라서, 중간 부재를 통한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와의 연결을 견고한 것으로서, 방화 도어의 전체로서의 기계적 강도를 적절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각각의 구성의 방화 도어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판형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부재로서,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서로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중간 판형 부재와,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중간 판형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단열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어느 하나의 상기 중간 판형 부재인 제1 중간 판형 부재와 상기 제1 판형 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중간 판형 부재와는 다른 1개의 상기 중간 판형 부재인 제2 중간 판형 부재와 상기 제2 판형 부재를 연결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판형 부재가 제1 연결 부재를 통하여 연결되는 제1 중간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가 제2 연결 부재를 통하여 연결되는 제2 중간 판형 부재가, 서로 다른 중간 판형 부재로 되는 동시에, 이들 제1 중간 판형 부재와 제2 중간 판형 부재와의 사이에, 중간 단열재 및 다른 중간 판형 부재 중 적어도 중간 단열재가 배치된다. 따라서, 제1 판형 부재 및 제2 판형 부재의 양쪽이 동일한 중간 판형 부재에 연결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1 판형 부재 및 제1 연결 부재와, 제2 판형 부재 및 제2 연결 부재와의 사이의 열저항값을 높게 확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여기서, 상기 제2 중간 판형 부재는, 상기 판두께 방향에서의 상기 제1 판형 부재와 상기 제1 중간 판형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판형 부재를 제1 연결 부재에 의해 제1 중간 판형 부재에 연결함으로써, 제1 판형 부재 및 제1 중간 판형 부재에 대한 판두께 방향에서의 제2 중간 판형 부재의 상대(相對)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1 중간 판형 부재와 제2 중간 판형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를 중간 부재를 통하여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져, 그만큼 방화 도어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중간 판형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페이서는,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스페이서의 내주면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을 상기 제1 연결 부재, 상기 제2 연결 부재, 또는 2개의 상기 중간 판형 부재를 연결하는 제3 연결 부재가 관통되고, 상기 제1 중간 판형 부재 및 상기 제2 중간 판형 부재의 각각이, 상기 제1 판형 부재 및 상기 제2 판형 부재의 양쪽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중간 단열재의 기계적 강도에 의지하지 않고, 판두께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중간 판형 부재의 간격을 제3 스페이서에 의해 유지할 수 있으므로, 중간 부재의 전체로서의 기계적 강도를 적절히 확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중간 판형 부재 및 제2 중간 판형 부재의 각각이, 제1 판형 부재 및 제2 판형 부재의 양쪽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므로,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를 접속하는 열저항값이 낮은 전열 경로가 제1 중간 판형 부재나 제2 중간 판형 부재를 경유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회피하기 쉽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연결 부재(제1 연결 부재, 제2 연결 부재, 또는 제3 연결 부재)가, 제3 스페이서의 내주면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므로, 제3 스페이서의 내주면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 내에 중간 단열재가 존재하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방화 도어의 조립 시에서의 연결 부재와 중간 단열재와의 접촉을 회피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면, 방화 도어의 조립 시에 연결 부재와 중간 단열재가 중간 단열재의 파편이 발생할 정도로 접촉된 경우에는, 상기 파편이 방화 도어의 조립의 지장으로 될 수 있지만,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방화 도어의 조립 시에서의 연결 부재와 중간 단열재와의 접촉을 회피하는 것이 용이해지므로, 중간 단열재의 파편이 조립 시에 쉽게 발생하지 않는 방화 도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중간 판형 부재 및 상기 제2 중간 판형 부재의 각각이, 상기 제1 연결 부재, 상기 제2 연결 부재, 또는 2개의 상기 중간 판형 부재를 연결하는 제3 연결 부재가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공과, 상기 제1 관통공과는 다른 제2 관통공을 포함하는, 복수의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중간 판형 부재 및 제2 중간 판형 부재의 양쪽에 대하여, 판면을 따른 방향의 열의 이동에 대한 열저항값을, 제2 관통공이 형성되는 분만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를 접속하는 열저항값이 낮은 전열 경로가 제1 중간 판형 부재나 제2 중간 판형 부재를 경유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회피하기 쉽게 된다.
상기한 각각의 구성의 방화 도어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제2 연결 부재가, 상기 판두께 방향에서 볼 때,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와의 이격 거리를 적절히 확보하여, 제1 판형 부재와 제2 판형 부재를 접속하는 열저항값이 낮은 전열 경로가 제1 연결 부재 및 제2 연결 부재를 경유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회피하기 쉽게 된다.
1 : 방화 도어
10 : 제1 판형 부재
11 : 제1 연장부
20 : 제2 판형 부재
21 : 제2 연장부
30 : 중간 부재
40 : 중간 판형 부재
41 : 제1 중간 판형 부재
42 : 제2 중간 판형 부재
51 : 제1 단열재
52 : 제2 단열재
54 : 중간 단열재
61 : 제1 연결 부재
62 : 제2 연결 부재
63 : 제3 연결 부재
71 : 제1 스페이서
71a : 제1 내주면(내주면)
72 : 제2 스페이서
72a : 제2 내주면(내주면)
73 : 제3 스페이서
73a : 제3 내주면(내주면)
81 : 제1 관통공
82 : 제2 관통공
Z : 판두께 방향

Claims (8)

  1.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1 판형 부재;
    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 판형 부재에 대하여 판두께 방향에서 볼 때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판형 부재;
    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 판형 부재와 상기 제2 판형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부재;
    상기 제1 판형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단열재;
    상기 제2 판형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단열재;
    상기 제1 단열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판형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단열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판형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를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제2 판형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양쪽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판형 부재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판형 부재와 상기 제2 판형 부재가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중간 부재는, 판형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부재로서,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서로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중간 판형 부재와,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중간 판형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단열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어느 하나의 상기 중간 판형 부재인 제1 중간 판형 부재와 상기 제1 판형 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중간 판형 부재와는 다른 1개의 상기 중간 판형 부재인 제2 중간 판형 부재와 상기 제2 판형 부재를 연결하고 있는,
    방화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형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페이서와, 상기 제2 판형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페이서 및 상기 제2 스페이서의 각각은,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筒形)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페이서의 내주면(內周面)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을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관통하고,
    상기 제2 스페이서의 내주면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을 상기 제2 연결 부재가 관통하고,
    상기 중간 부재가, 상기 제1 판형 부재 및 상기 제2 판형 부재의 양쪽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방화 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형 부재의 외주부에 있어서 상기 판두께 방향에서의 상기 제2 판형 부재 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판형 부재의 외주부에 있어서 상기 판두께 방향에서의 상기 제1 판형 부재 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연장부 중의, 적어도 한쪽의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 부재가,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중 적어도 한쪽에 고정되어 있는, 방화 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간 판형 부재는, 상기 판두께 방향에서의 상기 제1 판형 부재와 상기 제1 중간 판형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방화 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중간 판형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페이서는,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스페이서의 내주면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을 상기 제1 연결 부재, 상기 제2 연결 부재, 또는 2개의 상기 중간 판형 부재를 연결하는 제3 연결 부재가 관통하고,
    상기 제1 중간 판형 부재 및 상기 제2 중간 판형 부재의 각각이, 상기 제1 판형 부재 및 상기 제2 판형 부재의 양쪽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방화 도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 판형 부재 및 상기 제2 중간 판형 부재의 각각이, 상기 제1 연결 부재, 상기 제2 연결 부재, 또는 2개의 상기 중간 판형 부재를 연결하는 제3 연결 부재가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공과, 상기 제1 관통공과는 다른 제2 관통공을 포함하는, 복수의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는, 방화 도어.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제2 연결 부재가, 상기 판두께 방향에서 볼 때,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방화 도어.
  8. 삭제
KR1020170096946A 2016-08-05 2017-07-31 방화 도어 KR102346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54594A JP6796968B2 (ja) 2016-08-05 2016-08-05 防火扉
JPJP-P-2016-154594 2016-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282A KR20180016282A (ko) 2018-02-14
KR102346929B1 true KR102346929B1 (ko) 2022-01-03

Family

ID=61069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946A KR102346929B1 (ko) 2016-08-05 2017-07-31 방화 도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32767B2 (ko)
JP (1) JP6796968B2 (ko)
KR (1) KR102346929B1 (ko)
TW (1) TWI7192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3746B1 (en) * 2018-01-16 2019-04-30 William F. O'Keeffe Fire rated door
US11203894B1 (en) * 2021-04-12 2021-12-21 Nan Ya Plastics Corporation Door panel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84656U (en) * 2001-04-02 2002-04-21 Je-An Tsai Fire-proof door structure
US7185468B2 (en) * 2002-10-31 2007-03-06 Jeld-Wen, Inc. Multi-layered fire doo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040163571A1 (en) * 2003-01-30 2004-08-26 Dorset Firedoor Systems, Inc. Fire door core assembly
TW590154U (en) * 2003-04-21 2004-06-01 Liang Li Wei Middle board used in fireproof door
US7275352B2 (en) * 2005-05-06 2007-10-02 Artistic Doors & Windows Inc. Fire retardant panel door and door frame having intumescent materials therein with a 90 minute fire rating
KR20090030047A (ko) * 2007-09-19 2009-03-24 조희문 방화도어용 패널
JP5093586B2 (ja) 2007-12-04 2012-12-12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設備
FI20096405A (fi) * 2009-12-29 2011-06-30 Jaatimet Oy Teräsrakenteinen ovi
FR2960902B1 (fr) * 2010-06-08 2015-04-24 Baumert Technologies Bloc-porte coupe feu a un ou deux vantaux pivotant(s)
KR20140007342A (ko) * 2010-10-27 2014-01-17 바우메르트 유밀 방화문
CN102220829A (zh) * 2011-06-09 2011-10-19 支亮 一种防火门
US9341017B2 (en) * 2011-11-23 2016-05-17 Chad A. Collison Fire resistant door system
US9243444B2 (en) * 2012-06-29 2016-01-26 The Intellectual Gorilla Gmbh Fire rated door
US8739498B2 (en) * 2012-08-14 2014-06-03 Assa Abloy Door Group, Llc Fire door
US8573357B1 (en) * 2012-12-07 2013-11-05 Eggers Industries, Inc. Acoustical door
TWM483313U (zh) * 2013-11-11 2014-08-01 Bo-Hao Liao 防火門
TWM480584U (zh) * 2014-01-07 2014-06-21 Ming-Xian Jiang 防火門內襯組成結構
TWM504861U (zh) * 2015-01-14 2015-07-11 Da-Huang He 防火氣密閘門結構
CN204566836U (zh) * 2015-04-02 2015-08-19 李学军 具有防火隔离功能的免漆门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38157A1 (en) 2018-02-08
TW201809442A (zh) 2018-03-16
KR20180016282A (ko) 2018-02-14
US9932767B2 (en) 2018-04-03
TWI719235B (zh) 2021-02-21
JP6796968B2 (ja) 2020-12-09
JP2018021420A (ja) 2018-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6929B1 (ko) 방화 도어
KR101790917B1 (ko) 반장치용 케이스
JP6073765B2 (ja) 面材の保持構造及び建具
KR101967956B1 (ko) 차열프레임 및, 이를 활용한 프레임구조체
KR101925486B1 (ko) 차열성 및 기밀성이 향상된 복합성능 방화문
JP2015063800A (ja) 連窓
KR20180115085A (ko) 차열성 및 기밀성이 향상된 복합성능 방화문
JP5914438B2 (ja) 耐火ユニット
KR102193077B1 (ko) 관통 슬리브유닛
JP2008510943A (ja) 隔壁の設置構造用の火災保護構造
JP2012087454A (ja) サッシ
KR200391703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JP6246524B2 (ja) 形鋼梁貫通部の耐火被覆構造
JP6576229B2 (ja) 建具
KR200387941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200380428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JP2009185523A (ja) 断熱パネルの床固定構造
KR101223850B1 (ko) 방화유리 프레임 구조체
KR20200002551A (ko) 방화문
KR102371730B1 (ko) 개선된 방화문 조립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문
KR102031951B1 (ko)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2140649B1 (ko)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
WO2015060388A1 (ja) 鉄骨梁の耐火被覆構造および耐火被覆用貫通スリーブ材
KR200347411Y1 (ko) 단열 문틀
JP6237061B2 (ja) 目地部下地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