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951B1 -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951B1
KR102031951B1 KR1020180050859A KR20180050859A KR102031951B1 KR 102031951 B1 KR102031951 B1 KR 102031951B1 KR 1020180050859 A KR1020180050859 A KR 1020180050859A KR 20180050859 A KR20180050859 A KR 20180050859A KR 102031951 B1 KR102031951 B1 KR 10203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re protection
door lock
installatio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상우
전형규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0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9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75Insulating, e.g. for limiting heat transfer; Increasing fire-resistance of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6Templates for marking the position of apertures in fittings of wings or frames;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a locks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4Casings of cylinder locks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락의 설치공을 통해 화염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설치공이 타공되어 도어를 사이에 두고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가 서로 연결된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로서, 상기 설치공 내에 일정폭만큼 삽입되어 상기 설치공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을 폐쇄하는 방화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Fire proof assembly for door lock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락의 설치공을 통해 화염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등에 설치되는 도어의 경우에는 방화 성능이 규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도어의 방화 성능은 화재 발생시 불꽃이 인접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한편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은 화재 발생시 내부에서 발생된 화염이 케이블 등의 연결공을 통해 직접적으로 전도되어 화염이 외부로 전도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방화 플레이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락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화 플레이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락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종래의 방화 플레이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락은, 문(90)의 외부측에 설치되며 일부에 전선이 관통되기 위한 관통부가 형성된 불연재질의 제1 방화 플레이트(40)가 결합된 외측본체(10)와, 문(90)의 내부 측에 설치되며 일부에 전선(70)이 인입되기 위한 관통부(80)가 형성된 제2 방화플레이트(60)가 결합된 내측본체(30)가 구비된다.
이때 전선(70)은 절곡된 절곡부(65)를 통과할 수 있으나, 화염은 절곡부(65)를 통하여 하향 이동할 수 없으므로 화염의 진행이 차단되고 이를 통해 내화 성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도 1의 미설명부호는 15 및 35는 손잡이부이고, 12는 연결 포스트를 나타낸다.
그러나, 종래의 방화 플레이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락는 화재 발생시 고온의 열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문이나 방화 플레이트에 전달되면, 금속이 변형을 일으키고 이들 사이의 설치면에 요철(틈)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화재 발생시 고온의 열에 의해 문과 방화 플레이트 사이에 요철(틈)이 발생하면, 그 틈으로 화염이 전달될 수 있어 내화 성능에 대한 신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선행문헌 1> : 공개실용신안 제2010-0005159호(공개일:2010.05.19)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화재발생시 고온의 열에 의해 문과 방화 플레이트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화 성능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설치공이 타공되어 도어를 사이에 두고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가 서로 연결된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로서, 상기 설치공 내에 일정폭만큼 삽입되어 상기 설치공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을 폐쇄하는 방화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방화 플레이트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케이블의 인출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인출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방화 플레이트의 외주면에서 일정길이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편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방화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연결 포스트와 나사체결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에는 상기 도어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부재에는 케이블을 도입을 위한 도입공이 형성되되, 상기 브라켓부재의 상기 도입공과 상기 방화 플레이트의 상기 인출공은 수직선 상에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도어락 방화 구조체의 설치방법으로서, 상기 도어의 설치공에 상기 방화 플레이트를 삽입하고 임시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가 이루어지는 도어락 방화 구조체의 설치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 플레이트가 도어의 설치공의 일부에 삽입설치되는 구조로서 소형화되면서도 설치가 용이하며, 특히 고온에 의해 변형이 가해지더라도 틈이 발생되지 않아 신뢰성이 있는 내화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화 플레이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락의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의 방화 플레이트의 설치 상태를 평면상에서 보여주는 상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의 방화 플레이트의 설치 상태를 측면상에서 보여주는 상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의 방화 플레이트의 설치 상태된 상태를 평면상에서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의 방화 플레이트의 설치 상태된 상태를 측면상에서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의 방화 플레이트의 설치 상태에서 케이블의 인출 상태를 평면상에서 보여주는 상태도,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의 방화 플레이트의 설치 상태에서 케이블의 인출 상태를 측면상에서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는 도어(D)의 상하에 상부 설치공(H1)과 하부 설치공(H2)이 각각 형성된다. 이들 상·하부 설치공(H1,H2)은 제1 및 2 본체부(100,20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때 상부 설치공(H1)에는 방화 캡 부재(A)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방화 캡 부재(A)는 화재 발생시 상부 설치공(H1)을 통해 화염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내화 성능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하부 설치공(H2)은 상부 설치공(H1)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케이블 부재 등이 관통되기 위해 여유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부 설치공(H1)은 통상적으로 32mm 내외의 지름으로 타공되고, 하부 설치공(H2)은 68mm 내외의 지름으로 타공된다.
또한 방화 캡 부재(A)는 도 2a 및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D)의 제1 본체부(100)가 설치된 방향에서 삽입되고, 방화 플레이트(50)는 도어(D)의 제2 본체부(200)가 설치된 방향에서 삽입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부의 방화 캡 부재(A)와 하부의 방화 플레이트(50)는 서로 대칭하게 설치됨으로써 화재 발생시 내외측 방향에 따른 내화성능을 균등하게 보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추가로 참고하면, 제1 본체부(100)와 제2 본체부(200)는 모두 도어(D)에 브라켓부재(예를 들어 도 3의 '220')와 개스킷 부재(300)를 통해 밀착된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는 종래의 도어락 설치에 있어서 통상적인 구성이다. 이때 브라켓부재(220)에는 케이블 부재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공(221)이 형성되고 핸들축과 같은 구동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개스킷 부재(300)의 하부에는 이들 케이블 부재와 구동축 등이 관통하도록 중공영역(310)이 형성된다.
도 4a 및 도 4b를 추가로 참고하면, 방화 플레이트(50)는 하부 설치공(H2)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고 하부 설치공(H2)의 둘레를 덮는 대략 원형판 형태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내화 성능을 갖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화 플레이트(50)는 상부와 하부에 일정길이 연장된 상부 고정편(53)과 하부 고정편(52)이 각각 연장형상된다. 또한 상부 고정편(53)에는 상부 고정공(53h)이 장공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하부 고정편(52)에는 하부 고정공(54h)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고정공(53h)과 하부 고정공(54h)은 도어(D)의 측면에 볼트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부 고정공(53h)이 수직방향의 장공의 형태를 갖는 것은 설치시 방화 플레이트(50)를 일정폭으로 유동시켜 설치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여유공차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방화 플레이트(50)는 케이블 부재의 인출을 위한 인출공(50h)이 형성된다. 이때 인출공(50h)은 케이블 부재의 인출을 위한 최소한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사각공(또는 다각형의 구멍)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방화 플레이트(50)에는 한 쌍의 고정공(52h)이 형성되는데 이 고정공(52h)은 제1 본체부(100)와 제2 본체부(200)의 연결 포스트(110)의 연결을 위한 관통공으로서 제공된다. 또한 방화 플레이트(50)의 하부측에는 관통공(h)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공(h)은 본체부(100 또는 200)의 구동축을 관통하기 위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방화 플레이트(50)에는 하부 설치공(H2)에 일정깊이 삽입되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원형의 단턱부(55a,55b)가 형성된다. 여기서 단턱부(55a,55b)는 하부 설치공(H2)에 삽입되어 방화 플레이트(50)를 임시로 고정시키는 기능과, 화재 발생시 고온의 열이 방화 플레이트(50)에 가해져 변형이 발생되어도 단턱부(55a,55b)가 하부 설치공(H2)에 일정깊이 삽입된 상태로 밀폐되기 때문에 화염이 인접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이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는 도어(D)의 하부 설치공(H2)에 방화 플레이트(50)의 단턱부(55a,55b)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부 고정공(53h)과 하부 고정공(54h)으로 나사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본체부(예를 들어 제1 본체부)의 연결 포스트(110)에 맞춰서 제2 나사(N2)를 체결하는 것으로, 브라켓부재(220), 개스킷 부재(300), 및 방화 플레이트(50)를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 나사(N1)과 제3 나사(N3)도 브라켓부재(220)를 관통하여 방화 플레이트(50)의 상부 고정공(53h)과 하부 고정공(54h)을 관통하여 도어(D)의 벽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부재(220)는 개스킷 부재(300)와 방화 플레이트(50)를 사이에 둔 상태로 도어(D)의 벽에 밀착고정된다.
도 4b와 같이 브라켓부재(220)는 제1 본체부(100)의 연결 포스트(110)와 볼트로 체결된상태를 이루고, 그 사이에 개스킷 부재(300)가 개재되어 도어(D)의 벽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개스킷 부재(300)의 내측면에는 방화 플레이트(50)가 장착되는데, 이때 방화 플레이트(50)는 브라켓부재(220)의 가압력에 의해 도어(D)의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방화 플레이트(50)는 도어(D)의 하부 설치공(H2) 내에 단턱부(55a,55b)가 일정깊이로 삽입된 상태로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시에 방화 플레이트(50)에 고온의 열이 가해져 방화 플레이트(50)의 평면상에 굴곡(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단턱부(55a,55b)가 하부 설치공(H2) 내에 일정 깊이 삽입되어 있어 평면상에 굴곡(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외부의 화염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화 플레이트(50)를 브라켓부재(220)의 전체가 아닌 설치공의 개구의 크게를 덮기 충분한 크기로만 형성하여도 내화성능을 보장할 수 있어, 소형화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설치가 간편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케이블 부재(L)가 브라켓부재(220)의 도입공(221; 도 3)에서 절곡되어 제1 절곡영역(L1)을 형성하고 방화 플레이트(50)의 인출공(50h)을 통과하면서 케이블 부재(L)는 제2 절곡영역(L2)를 형성한 상태로 모티스(M)를 관통한다. 이와 같이 케이블 부재(L)가 복수로 절곡됨으로써 화재 발생시 화염이 이 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50: 방화 플레이트
50h: 인출공
51h: 관통공
52h: 고정공
53h: 상부 고정공
54h: 하부 고정공
100: 제1 본체부
110: 연결 포스트
200: 제2 본체부
220: 브라켓부재
300: 개스킷 부재
310: 중공 영역

Claims (6)

  1. 적어도 하나의 설치공이 타공된 도어를 사이에 두고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가 서로 연결된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로서,
    상기 설치공 내에 일정폭만큼 삽입되어 상기 설치공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을 폐쇄하는 평판형의 방화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에 상기 제1 본체부 또는 상기 제2 본체부를 고정하는 브라켓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화 플레이트는, 상기 설치공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화 플레이트에는 케이블의 인출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부재에는, 상기 케이블을 도입을 위한 도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부재의 상기 도입공과 상기 방화 플레이트의 상기 인출공은, 수직선 상에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며,
    상기 방화 플레이트의 외주면에서 일정길이 연장되는 고정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편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공 형태의 고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연결 포스트를 나사체결하기 위해 고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
  5. 삭제
  6. 제1항에 따른 도어락 방화 구조체의 설치방법으로서,
    상기 도어의 상기 설치공에 상기 방화 플레이트를 삽입하고 임시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방화 구조체의 설치방법,
KR1020180050859A 2018-05-02 2018-05-02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2031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859A KR102031951B1 (ko) 2018-05-02 2018-05-02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859A KR102031951B1 (ko) 2018-05-02 2018-05-02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951B1 true KR102031951B1 (ko) 2019-10-14

Family

ID=68171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859A KR102031951B1 (ko) 2018-05-02 2018-05-02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9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985Y1 (ko) * 2010-06-18 2011-08-09 주식회사 아이레보 디지털 도어락의 방화구조체
KR101827263B1 (ko) * 2017-05-23 2018-02-08 (주)혜강씨큐리티 내화성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985Y1 (ko) * 2010-06-18 2011-08-09 주식회사 아이레보 디지털 도어락의 방화구조체
KR101827263B1 (ko) * 2017-05-23 2018-02-08 (주)혜강씨큐리티 내화성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6768B1 (ko) 조립식 전기 컨트롤박스
KR20110090253A (ko) 방화문의 가스켓 오토씰링 장치
KR102031951B1 (ko) 도어락의 방화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1663733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방범 미세방충망
KR102015853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1877759B1 (ko) 가변형 창호 시스템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102308260B1 (ko) 전선관내 결로발생의 방지 및 기밀유지용 차단캡
KR20070079623A (ko) 발코니용 이중 창틀의 다중차단구조
JP6512870B2 (ja) ドア枠改装構造及び改装ドア
JP2002013739A (ja) ガスコンロの天板とバーナとの間のシール構造
KR102011794B1 (ko) 공동주택용 단열재 고정장치
JP2010070942A (ja) 下枠フラットサッシ
KR101780383B1 (ko) 창호용 프로파일의 단열 브라켓 유닛
NO154356B (no) Lyddempende festeelement.
KR20120089053A (ko) 창호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창호
KR101022962B1 (ko) 보강철물에 의해 날개부를 형성하여 결로와 열손실을 방지하는 구조의 현관문
KR101075035B1 (ko)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
KR200491907Y1 (ko) 가스배관용 방범커버
KR102627043B1 (ko) 도어 유격방지 장치
KR200325016Y1 (ko) 도어 스톱퍼
KR20150003919U (ko) 창호용 철물 브라켓에 사용하는 결로방지부재
KR102381468B1 (ko)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이중 내진 창호
KR102588186B1 (ko)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KR20180004525A (ko) 창호 연결구조의 단열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