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9053A - 창호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창호 - Google Patents

창호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9053A
KR20120089053A KR1020110010169A KR20110010169A KR20120089053A KR 20120089053 A KR20120089053 A KR 20120089053A KR 1020110010169 A KR1020110010169 A KR 1020110010169A KR 20110010169 A KR20110010169 A KR 20110010169A KR 20120089053 A KR20120089053 A KR 20120089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lot
wall
bracket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4740B1 (ko
Inventor
이대범
Original Assignee
알루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루텍 (주) filed Critical 알루텍 (주)
Priority to KR1020110010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740B1/ko
Publication of KR20120089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9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2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air pressure, explosion, or g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폭발에 의한 폭압 또는 돌풍에 저항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창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은, 벽체와 결합되는 벽체 결합부 및 창틀과 결합되는 창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창틀 결합부는 상기 벽체 결합부의 일단으로부터 꺾여져서 연장되며 창틀 결합공을 갖고, 상기 벽체 결합부는 상기 벽체 결합부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을 가지며, 상기 슬롯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는 특정 압력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파손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호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창호{Bracket for window and window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창호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폭발에 의한 폭압 또는 돌풍에 저항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라 함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의미한다.
급격한 기상변화로부터 폭풍이 자주 발생하고, 이로 인한 바람의 강한 압력에 의하여 건물의 창호가 쉽게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폭발물 등의 폭발(예컨대, 폭탄테러 등)로 인하여 창호에 가해지는 압력에 창호가 견디지 못하고 실내로 이탈되면서, 이로 인한 실내에서의 인명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창호가 갖는 환기 및 방음 등의 기능성에 못지 않게 실내의 안전성이 중요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폭창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방폭창이란 급격한 기상 변화 또는 폭발물 등의 폭발 등에 의한 바람의 강한 압력에 저항하는 창호를 가리킨다.
도 1을 참조하면, 창호용 브라켓이 단순히 벽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창호에 강한 압력이 가해지면 브라켓이 이 강한 압력에 의한 에너지의 대부분을 받은 채로 창틀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창틀이 벽체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브라켓을 상당히 두껍게 만들어야 하며,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설사 브라켓이 상당히 두껍다고 하더라도, 바람에 의하여 창호에 가해진 압력이 창틀 또는 브라켓에 그대로 전해지게 되므로, 창호 자체가 내(耐)충격성을 갖게 하는 것은 어려웠다.
이외에도,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0787호를 참고하면, 창호의 외측보다 창호의 내측의 프레임의 개구부가 더 작도록 계단형의 구조를 갖는 창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발명은, 기상변화 또는 폭탄 등의 폭발로 인하여 발생한 강한 바람이 창호에 가해지더라도 창호가 실내로 이탈되는 것은 다소 방지할 수 있겠지만, 창호 자체에 가해지는 바람의 압력을 줄여주지는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소정 강도 이상의 바람이 창호에 가해지게 되면 창틀에 결합된 유리등의 재질로 형성된 창이 깨져버리게 되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롯을 가지는 것으로 인하여 창호가 바람에 의하여 받는 압력을 줄여주는 창호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가 바람에 의하여 받는 압력이 줄어들게 되어 결과적으로 창의 파손을 방지하는 창호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창호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창틀을 벽체에 결합하여, 바람에 의하여 받는 압력이 줄어들고, 창의 파손이 방지되는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은, 벽체와 결합되는 벽체 결합부 및 창틀과 결합되는 창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창틀 결합부는 상기 벽체 결합부의 일단으로부터 꺾여져서 연장되며 창틀 결합공을 갖고, 상기 벽체 결합부는 상기 벽체 결합부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을 가지며, 상기 슬롯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는 특정 압력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파손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브는, 상기 벽체 결합부의 타단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브는, 중앙 부위이 폭이 가장 얇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슬롯에는, 파손되어 휘어진 상기 리브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창호는, 벽체와 결합되는 벽체 결합부 및 창틀과 결합되는 창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창틀 결합부는 상기 벽체 결합부의 일단으로부터 꺾여져서 연장되며 창틀 결합공을 갖고, 상기 벽체 결합부는 상기 벽체 결합부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을 가지며, 상기 슬롯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는 특정 압력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파손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갖는 창호용 브라켓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브는, 상기 벽체 결합부의 타단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브는, 중앙 부위이 폭이 가장 얇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슬롯에는, 파손되어 휘어진 상기 리브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한 바람에 의한 압력이 창호에 가해지더라도 리브가 파손되면서 충격이 흡수되어 창틀 또는 창짝의 직접적인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리브가 휘어지게 될 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거나, 리브의 중앙 부위의 폭이 가장 얇아서 비교적 규칙적인 형상으로 파손되기 때문에, 강한 바람에 의하여 창호가 직접적으로 받는 충격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첫번째 리브가 파손되어 휘어지더라도 수용홈으로 리브가 수용되기 때문에, 창호가 받게 되는 압력을 차순위 리브가 계속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결국 창호가 직접적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폭창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의 리브가 파손되어 휘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을 이용한 창호의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이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에 강한 바람이 가해진 후의 창호용 브라켓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이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에 강한 바람이 가해진 후의 창호용 브라켓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상, 하, 좌, 우, 위, 아래에 대한 기준은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창호용 브라켓(100)의 벽체 결합부(110) 또는 창틀 결합부(120)에 대한 설명에서는, 벽체 또는 창틀(200)과 결합되는 면을 하면, 그 외의 면을 상면으로 설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10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100)은 벽체와 결합되는 벽체 결합부(110) 및 창틀(200)과 결합되는 창틀 결합부(120)를 포함하고 있으며, 벽체 결합부(110) 및 창틀 결합부(120)의 중앙 부위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결합공이 각각 뚫려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100)은, 벽체와 결합되는 벽체 결합부(110) 및 창틀(200)과 결합되는 창틀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창틀 결합부(120)는 상기 벽체 결합부(110)의 일단으로부터 꺾여져서 연장되며 창틀 결합공(121)을 갖는다. 그리고, 벽체 결합부(110)는 상기 벽체 결합부(110)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111)을 가진다.
벽체 결합부(110)와 창틀 결합부(12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강도 확보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10)는, 이러한 창호용 브라켓(100)을 이용하여 벽체에 결합되는 창틀(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10)에서, 창호용 브라켓(100)의 슬롯(111)에는 체결부재(300)가 삽입되고, 이 체결부재(300)로는 통상적으로 볼트가 사용되거나, 볼트 및 너트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체결부재(300)에 의하여 벽체 결합부(110)가 벽체에 결합된다. 그리고, 창호용 브라켓(100)의 창틀 결합공(121)에도 체결부재(300)가 삽입되고, 이 체결부재(300)에 의하여 창틀 결합부(120)가 창틀(200)에 결합된다.
창호용 브라켓(100)의 재질은 알루미늄 합금, 합금강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창호(10) 결합용 브라켓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100)에서, 슬롯의 일측 끝단(111a)과 타측 끝단(111c)을 연결하는 연결부(111c)는, 특정 압력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파손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112)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는 리브(112)가 3개 형성되어 있는데, 리브(112)의 개수는 창호(10)에 가해지는 압력을 어느 정도 흡수할 것인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체결부재(300)가 끼워지게 되는 슬롯의 타측 끝단(111c)을 포함하는 개구부의 길이는 슬롯의 일측 끝단(111a)을 포함하는 개구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나, 각 개구부의 길이는 동일할 수도 있고, 슬롯의 타측 끝단(111c)을 포함하는 개구부보다 슬롯의 일측 끝단(111a)을 포함하는 개구부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슬롯의 타측 끝단(111c)에 체결부재(300)가 끼워지게 되며, 특정 압력 이상의 압력이 창호(10)에 가해지게 되면 1차 리브(112)가 파손되고, 2차 리브(112), 3차 리브(112)가 차례대로 파손되어야 하기 때문에, 리브(112)는 파손되고 휘어지게 되는 방향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해, 리브(112)는 벽체 결합부(110)의 타단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리브(112)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리브(112)가 파손될 때 비교적 규칙적인 형상으로 파손된다. 또한, 리브(112)가 규칙적인 형상으로 파손되면, 비정형적인 형상으로 파손되는 것에 비하여, 미리 설정한 특정 압력 이상의 압력이 창호(10)에 가해졌을 때 바로 리브(112)가 파손되므로, 리브(112)의 파괴 강도를 예측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창호용 브라켓(100)을 규격화, 표준화하는 측면에 있어서 유리하다.
또한, 리브(112)는 중앙 부위의 폭이 가장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112)의 중앙 부위의 폭이 가장 얇으면, 리브(112)가 파손될 때 중앙 부위에 크랙(crack)이 발생하면서 중앙 부위가 끊어지게 된다. 이로인해, 리브(112)가 파손될 때 비교적 규칙적인 형상으로 파손된다. 규칙적인 형상으로 파손되는 것의 장점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슬롯의 일측 끝단(111a) 및 타측 끝단(111c)은 벽체 결합부(110)의 일단과 타단까지 다다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슬롯(111)은 폐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슬롯의 일측 끝단(111a)(도 3을 기준으로 슬롯(111)의 최하단 부위)에 볼트가 위치하는 상태에서도 이 볼트의 볼트 머리가, 창틀 결합공(121)에 결합된 볼트의 볼트 머리와는 접촉하지 않도록 슬롯의 일측 끝단(111a)의 위치를 결정해야 한다. 물론, 볼트를 끼워 넣는 것 대신에, 나사산이 형성된 축에 너트를 끼워 넣는 체결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슬롯의 일측 끝단(111a) 부위에 위치한 너트와 창틀 결합공(121)에 결합되는 너트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슬롯의 일측 끝단(111a)의 위치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100)의 사시도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100)의 리브(112)가 파손되어 휘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100)은 슬롯(111) 및 리브(112)를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제1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슬롯(111)에는, 파손되어 휘어진 상기 리브(112)를 수용하는 수용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의 타측 끝단(111c)을 포함하는 개구부의 좌우 폭은 슬롯(111)에 끼워지는 볼트의 나사부의 지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면 된다. 그러나, 1차 리브(112)가 끊어져서 휘어지게 되면 슬롯(111)의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볼트가 슬롯(111)을 따라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강한 바람에 의하여 창호(10)가 받게 되는 압력을 1차 리브(112), 2차 리브(112) 등이 차례로 끊어지면서 흡수할 수 있도록, 볼트가 슬롯(111)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롯(111)의 각 개구부의 상단의 리브(112)와 맞닿는 부위의 폭을 더 넓게 형성하게 되면, 볼트가 슬롯(111)을 따라 더 잘 이동할 수 있으며, 강한 바람에 의하여 창호(10)가 받게 되는 압력을 창호용 브라켓(100)이 더욱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리브(112)의 중단이 끊어져서 아래 방향(벽체 결합부(110)의 타단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더라도, 휘어진 리브(112)가 수용홈(113)에 수용되어 슬롯(111)의 좌우 폭이 줄어 들지 않거나, 미미하게 줄어들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은 1차 리브(112)가 파손되어 휘어진 상태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2차 리브(112) 또는 다른 리브(112)도 1차 리브(112)와 같은 방식으로 파손되고 휘어져서 수용홈(113)에 수용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100)을 이용한 창호(10)의 단면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100)이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10)에 강한 바람이 가해진 후의 창호용 브라켓(100)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100)이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10)에 강한 바람이 가해진 후의 창호용 브라켓(100)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100)을 이용한 창호(10)의 메커니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100)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브라켓(100)이 적용된 창호(10)의 작동 원리도 도 6 내지 도 8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도 1과 비교했을 때 창호용 브라켓(100)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다시말해, 창틀(200), 창 등의 구성은 종래의 창호(10)와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하다. 도 1은 창호용 브라켓(100)의 벽체 결합부(110)에 결합공이 뚫려 있으나, 도 6은 창호용 브라켓(100)의 벽체 결합부(110)에 슬롯(1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롯의 타측 끝단(111c)(도 6을 기준으로 슬롯(111)의 최상단 부위)에 볼트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a) 및 도 8(a)를 참조하면 슬롯의 타측 끝단(111c)에 볼트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기준으로 했을 때, 아래 방향에서 바람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게 되면 윗방향으로 창호(10)가 밀려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슬롯의 타측 끝단(111c)에 볼트를 끼워 창호용 브라켓(100)을 벽체에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8에서는 볼트의 머리가 둥근 형상을 취하고 있으나, 육각볼트 또는 사각볼트 등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볼트 대신 나사산이 형성된 축에 너트를 끼워 넣을 수도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도 7(b) 및 도 8(b)를 참조하면, 강한 바람에 의하여 창호(10)가 밀려나게 되어, 볼트가 슬롯의 타측 끝단(111c)이 아닌 일측 끝단에 위치한 것을 알 수 있다. 바람의 강도에 따라 창호(10)가 밀려나가더라도 볼트 머리가 일측 끝단까지 다다르지는 않고, 연결부(111c)에 위치하게 될 수도 있다.
종래의 방폭창에서는 강한 바람에 의한 압력이 창호(10)에 가해지더라도 창호(10)가 벽체에 단순히 고정되어 있으므로, 순간적으로 큰 압력을 받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창호(10)에서는, 창호(10)가 바람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에 대응하여 리브(112)를 파손시키면서 슬롯(111)을 따라 밀려나게 되므로, 강한 바람에 의한 압력이 여러 단계로 분산되어 창호(10)에 가해지게 된다.
다시말해, 종래의 방폭창에 비하여 본 발명의 창호(10)는 일순간 받게 되는 에너지가 줄어들게 되어 결과적으로 창호(10)에 가해지는 시간당 충격이 줄어들게 되며, 창호(10) 자체의 직접적인 파손이 더욱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창호 100 : 창호용 브라켓
110 : 벽체 결합부 111 : 슬롯
111a : 슬롯의 일측 끝단 111b : 슬롯의 타측 끝단
111c : 연결부 112 : 리브
113 : 수용홈 120 : 창틀 결합부
121 : 창틀 결합공 200 : 창틀
300 : 체결부재

Claims (8)

  1. 벽체와 결합되는 벽체 결합부 및
    창틀과 결합되는 창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창틀 결합부는 상기 벽체 결합부의 일단으로부터 꺾여져서 연장되며 창틀 결합공을 갖고, 상기 벽체 결합부는 상기 벽체 결합부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을 가지며, 상기 슬롯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는 특정 압력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파손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벽체 결합부의 타단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중앙 부위의 폭이 가장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브라켓.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에는, 파손되어 휘어진 상기 리브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브라켓.
  5. 벽체와 결합되는 벽체 결합부 및
    창틀과 결합되는 창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창틀 결합부는 상기 벽체 결합부의 일단으로부터 꺾여져서 연장되며 창틀 결합공을 갖고, 상기 벽체 결합부는 상기 벽체 결합부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을 가지며, 상기 슬롯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는 특정 압력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파손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벽체 결합부의 타단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중앙 부위의 폭이 가장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에는, 파손되어 휘어진 상기 리브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KR1020110010169A 2011-02-01 2011-02-01 창호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창호 KR101184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169A KR101184740B1 (ko) 2011-02-01 2011-02-01 창호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169A KR101184740B1 (ko) 2011-02-01 2011-02-01 창호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053A true KR20120089053A (ko) 2012-08-09
KR101184740B1 KR101184740B1 (ko) 2012-09-20

Family

ID=4687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169A KR101184740B1 (ko) 2011-02-01 2011-02-01 창호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7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6904A1 (en) 2018-09-24 2020-03-25 VKR Holding A/S A roof window with an improved lock casing
EP4187037A1 (en) 2021-11-26 2023-05-31 VKR Holding A/S Mounting bracket for a roof window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9625B1 (en) * 2016-02-26 2019-03-05 Vkr Holding A/S A mounting bracket for installation of a window in a roof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6904A1 (en) 2018-09-24 2020-03-25 VKR Holding A/S A roof window with an improved lock casing
EP4187037A1 (en) 2021-11-26 2023-05-31 VKR Holding A/S Mounting bracket for a roof wind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4740B1 (ko)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116B1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EP2620580B1 (en) Energy absorbing element for wall openings and methods of use therefor
US20140271034A1 (en) Post installed concealable concrete anchor
KR101184740B1 (ko) 창호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창호
KR101815825B1 (ko) 처짐방지구조를 갖는 앵커볼트 지지부재
US20160053791A1 (en) Attachment element
US20080190064A1 (en) Hurricane panel clip and hook
KR101050768B1 (ko) 방폭 창호
KR20170142852A (ko) 열교차단 기능을 갖는 앵커볼트 지지부재
KR102255116B1 (ko) 커튼월의 내진 결합구조
US20130180188A1 (en) Shutter panel assembly
JP6431876B2 (ja) 外壁パネルを固定するための固定金物
US8952274B2 (en) Sleeve for protecting wire or cable
KR101219717B1 (ko) 창호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창호
KR102089940B1 (ko)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 구조
US10570613B2 (en) Fire protection device for hung back-ventilated facades
KR101208684B1 (ko) 창호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창호
RU203440U1 (ru) Смещаемая вывешенная легкосбрасываемая конструкция
KR20190063665A (ko) 열교차단형 건축외장패널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외장패널 시공방법
CN103352906B (zh) 一种窗户栏安装机构
KR20120137725A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KR101281206B1 (ko) 건물 개구부용 면진(免震)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63631A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2445824B1 (ko) 방화 및 단열 성능을 위해 지지패널 구조를 갖는 커튼월
WO2012153140A1 (en) Improved blast resistant window and method of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