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891B1 -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891B1
KR102346891B1 KR1020200107956A KR20200107956A KR102346891B1 KR 102346891 B1 KR102346891 B1 KR 102346891B1 KR 1020200107956 A KR1020200107956 A KR 1020200107956A KR 20200107956 A KR20200107956 A KR 20200107956A KR 102346891 B1 KR102346891 B1 KR 102346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ost
rolling process
cold roll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일
김상주
김황석
박주일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7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4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3/00Safet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eaker blocks; Devices for freeing jammed rolls for handling cobbles; Overload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압연 공정 이후에, 코일 폭의 수축량 값과 설계값을 서로 비교하여 코일의 공정 진행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하는 단계 이후에, 적합 판정을 받은 상기 코일을 후공정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 및 장치{Determination method for cold rolling process moving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 및 냉연 공정 진행 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압연 공정 이후에 코일의 후공정 라인 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 및 냉연 공정 진행 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 공장은 압연 후 목적에 따라 도금 공정 혹은 소둔 공정을 거친다. 이후 각 공정별로 칼라 공정이나 전기도금 공정을 통해 최종 제품화 된다. 특히, 도금 공정은 수요가 높아 공장 내에 증설하여 제품을 생산한다. 예를 들어, 압연 공정 1개당 도금 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 라인을 3개 정도로 배치한다.
냉연 공장에서의 치수 품질 중 폭 제어는, 직접적인 제어 설비가 없어서 제품의 재질과 통판성을 고려하여 조업 조건에 의해 결정한다. 따라서, 냉연 공장은 폭 수축 테이블을 두께와 폭 별로 관리하고 있다. 제품의 생산성을 고려해서 압연 전에 각 공정별로 수축량을 계산하여 제조하며, 편측을 트리밍하여 후공정으로 이송시킨다. 주문량 및 재고 상황에 따라 압연한 F/H(Full Hard Coil)를 계획 공정이 아닌 다른 공정으로 작업 편성자가 수동으로 전환해왔다.
그러나, 공정 전환간 코일 폭 수축량 값이 같다면 문제가 없으나, 각 공정들은 길이, 속도, 장력 등 공정조건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코일 폭의 불량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업 실적을 바탕으로 작성된 폭 수축 테이블을 활용하여 제조된 코일 폭의 수축량 값과 설계값을 서로 비교하여 불량률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은 압연 공정 이후에, 코일 폭의 수축량 값과 설계값을 서로 비교하여 코일의 공정 진행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하는 단계 이후에, 적합 판정을 받은 상기 코일을 후공정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진행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코일 폭의 수축량 값이 상기 설계값 대비 2mm 이상 벗어날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람이 발생된 상기 코일은 더미 라인(dummy line)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일을 후공정으로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코일의 폭 값에 따라 상기 후공정 라인을 결정하여 상기 코일을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냉연 공전 진행 판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냉연 공전 진행 판정 장치는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을 수행하는 냉연 공정 진행 판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압연 공정 이후에 진행되는 코일의 후공정 진행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 제어부, 후공정 이송 제어부, 알람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제어부는, 압연 공정 이후에, 코일 폭의 수축량 값과 설계값을 서로 비교하여 코일의 공정 진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정 전환 가부를 자동으로 판별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정정 처리량과 불량률이 감소되어, 회수율 증대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한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 및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연 공정 진행 판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냉연 공정 흐름을 보여주는 개략도 및 코일 폭 불량 발생 사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연 공정 진행 판정 장치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은 별도의 기준 없이, 압연 공정 이후에 후공정 전환을 위한 코일 폭을 검색하고, 이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판별하여 후공정 라인을 선택하여 공정을 진행하였다. 여기서, 상기 후공정은 예를 들어, 용융아연도금설비(CGL; continuous galvanizing line)에서 진행되는 도금공정을 의미한다. 이 경우, 코일 폭의 수축량 값이 일정할 때에는 큰 문제가 없이 후공정이 진행되었으나, 코일 폭의 수축량 값이 큰 차이를 갖게 되면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 예로서, 냉연 공정 흐름에 따른 코일 폭 불량 발생 사례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압연 공정 이후에 도금 공정으로 전환할 경우, 3개의 라인 도금 공정 라인 중 어느 한 곳으로 코일을 이송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코일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선별하였다. 도 4의 (b)에 도시된 도금 폭 수축량 결과를 살펴보면, 1 도금 공정 라인과 2 도금 공정 라인은 도금 폭 수축량이 큰 편차 없이 공정이 진행되었으나, 3 도금 공정 라인의 경우, 도금 폭 수축량 편차가 매우 커 불량률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계획 공정과 전환 공정간 수축량 편차를 고려하여 자동으로 후공정 라인을 선택해줌으로써, 불량률을 현저하게 감소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을 설명한다. 압연 공정 이후에, 코일 폭의 수축량 값과 설계값을 서로 비교하여 코일의 공정 진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판별하는 단계 이후에, 적합 판정을 받은 상기 코일을 후공정으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압연 공정 이후의 F/H에 대해 공정 전환이 가능한지 판단하고 확정하는 방법으로서, 먼저, 압연 공정 이후에 후공정으로 진행되는 코일을 검색할 수 있다.
코일을 검색한 이후에 상기 코일이 이송될 전환 공정 라인을 선택한다. 이때 정해진 계획 공정에서의 설계값과 상기 코일 폭의 수축량 값을 서로 비교하여 후공정 진행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서, 상기 값들의 비교는 코일 폭의 수축량 값과 설계값의 편차를 가지고 판별한다. 상기 편차가 2mm를 이하일 경우, 선택된 계획 공정으로 해당 코일을 이송하여 후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코일 폭의 수축량 값이 상기 설계값 대비 2mm 이상 벗어나면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알람이 발생된 코일 정보를 코일 폭 체크 담당자에게 전달하고, 폭 담당자는 상기 코일을 더미 라인(dummy line)으로 이송시켜 폐기 처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코일 폭 체크 담당자는 알람이 발생된 코일 정보를 직접 확인하고, 그 편차가 다른 후공정에서 진행해도 문제가 없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문제가 되는 코일을 다른 공정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연 공정 진행 판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은 냉연 공정 진행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상기 냉연 공정 진행 장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며, 제어부(100)는 데이터 제어부(110), 후공정 이송 제어부(120) 및 알람 제어부(13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연 공정 진행 판정 장치는 압연 공정 이후에 코일 폭의 수축량 값을 설계값과 비교하여 진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압연 공정 이후에 코일의 폭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미도시)로부터 코일 폭 수축량 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일 폭 수축량 값은 압연 공정을 수행하기 전/후의 코일 폭의 변화량 값을 의미한다. 측정부는 코일의 폭을 측정하기 위해 Laser 센서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코일 폭 수축량 값은 데이터 제어부(110)에서 처리되며, 데이터 제어부(110)는 코일 폭의 수축량 값과 설계값을 서로 비교하여 코일의 공정 진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제어부(110)는 상기 코일 폭의 수축량 값 대신, 압연 공정 이후의 코일 폭 값과 설계값을 서로 비교하여 판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정 진행 여부를 판정하기에 앞서, 편차의 기준이 종전과 상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편차에 따라 코일의 이송 경로를 후공정 이송 제어부(120)로 신호를 전달하거나, 알람 제어부(130)로 신호를 전달하여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연 공정 이후에, 도금 공정으로 코일을 선별할 경우, 코일 폭의 수축량 값과 설계값의 편차가 2mm 이하라면, 후공정 이송 제어부(120)로 신호를 전달하여 후공정 라인 중 어느 하나로 코일을 이송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편차가 2mm 초과라면, 알람 제어부(130)로 신호를 전달하여 코일 폭 체크 담당자에게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연 공정 진행 판정 장치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알람 제어부(130)에서 GUI 화면으로 알람을 발생시키는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GUI 화면은 공정 라인별로 제어하기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화면 상에서 공정 실행 여부와 편차를 벗어난 코일의 개수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알람을 소리로도 발생시켜 작업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가 압연 공정 이후에 코일의 폭 수축량 값과 설계값을 서로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이내가 되는 코일들을 후공정으로 이송시킴으로써, 고객사에서 요구하는 허용 기준을 충족하는 제품의 생산량을 증가시켜 수율 확보가 가능하며, 폭 부족재 및 폭 초과재의 처리에 따른 비용적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어부
110: 데이터 제어부
120: 후공정 이송 제어부
130: 알람 제어부

Claims (5)

  1. 후공정인 도금공정으로 코일을 이송하기 위한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으로서,
    압연 공정 이후에, 코일 폭의 수축량 값과 설계값을 서로 비교하여 코일의 후공정 진행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하는 단계 이후에, 적합 판정을 받은 상기 코일을 후공정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후공정 진행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코일 폭의 수축량 값이 상기 설계값 대비 2mm 초과일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알람이 발생된 상기 코일은 더미 라인(dummy line)으로 이송되어 폐기처분 되고,
    상기 코일을 후공정으로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코일의 폭 값에 따라 상기 후공정 라인을 결정하여 상기 코일을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후공정은 도금공정을 포함하는,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따른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을 수행하는 냉연 공정 진행 판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압연 공정 이후에 진행되는 코일의 후공정 진행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 제어부, 후공정 이송 제어부, 알람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제어부는,
    압연 공정 이후에, 코일 폭의 수축량 값과 설계값을 서로 비교하여 코일의 후공정 진행 여부를 판별하며,
    상기 코일의 후공정 진행 여부를 판별하는 것은, 상기 코일 폭의 수축량 값이 상기 설계값 대비 2mm 초과일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알람이 발생된 상기 코일은 더미 라인(dummy line)으로 이송되어 폐기처분 되고,
    상기 코일 폭의 수축량 값과 상기 설계값의 편차가 2mm 이하라면, 상기 후공정 이송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후공정 라인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코일을 이송하며,
    상기 후공정은 도금공정을 포함하는,
    냉연 공정 진행 판정 장치.
KR1020200107956A 2020-08-26 2020-08-26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 및 장치 KR102346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956A KR102346891B1 (ko) 2020-08-26 2020-08-26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956A KR102346891B1 (ko) 2020-08-26 2020-08-26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891B1 true KR102346891B1 (ko) 2022-01-04

Family

ID=79342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956A KR102346891B1 (ko) 2020-08-26 2020-08-26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8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958A (ko) * 1999-12-08 2001-07-02 이구택 씨씨디 촬상장치를 이용한 조압연공정의 소재 상향 휨온라인 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KR20040059206A (ko) * 2002-12-28 2004-07-05 주식회사 포스코 미니밀 연주 및 연속압연설비에서의 슬래브 폭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958A (ko) * 1999-12-08 2001-07-02 이구택 씨씨디 촬상장치를 이용한 조압연공정의 소재 상향 휨온라인 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KR20040059206A (ko) * 2002-12-28 2004-07-05 주식회사 포스코 미니밀 연주 및 연속압연설비에서의 슬래브 폭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7253B2 (ja) 熱延金属帯の品質判定結果記録用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製造・品質実績管理および通過工程指示・管理用ビジコンシステムと、それらを用いた後工程での熱延金属帯の品質不良部切除方法
CN112570466B (zh) 解决高表面薄规格带钢输送辊道划伤的控制方法
US6721620B2 (en) Multivariable flatness control system
CN106694572B (zh) 基于轧辊磨损检测的在线轧制工艺调整系统及方法
JP2012183553A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CN112474797A (zh) 一种2mm耐腐蚀热轧卷板轧制工艺
KR102346891B1 (ko) 냉연 공정 진행 판정 방법 및 장치
CN202006222U (zh) 线状二次压入氧化铁皮的在线控制装置
CN107695107B (zh) 一种双机架粗轧机设定数据的跟踪管理方法
JP5322261B2 (ja) 熱間圧延における近赤外線カメラを用いた熱延金属帯の全幅撮影方法、全幅撮影結果記録方法
CN111715702B (zh) 一种粗轧轧制过程中的带钢翘头平整方法
JP6897609B2 (ja) 熱間圧延装置及び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5430864B2 (ja) 熱間圧延における近赤外線カメラを用いた熱延金属帯の全幅撮影方法、全幅撮影結果記録方法
JP5176596B2 (ja) 熱間圧延における近赤外線カメラを用いた熱延金属帯の品質判定方法、熱延金属帯の製造方法
JP4713349B2 (ja) 直径の異なる複数の条鋼の製造方法
JP6658457B2 (ja) 厚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圧延のパススケジュール設定方法
JPH07148656A (ja) 熱間圧延材の表面傷除去方法
KR20040006696A (ko) 열연공정에서 사용되는 압연롤의 표면연삭제어방법
WO2012111151A1 (ja) 圧延制御装置および圧延制御方法
KR100957915B1 (ko) 스트립 표면 결함 제거 방법 및 시스템
CN110665974B (zh) 用于轧线精轧工作辊因材备辊的实施方法
KR101237080B1 (ko) 소재의 열간압연 방법
JP2009279637A (ja) 熱間圧延ラインでの通板残材の製品化方法
US20230056053A1 (en) Modular rolling train, particularly hot rolling train, preferably in conjunction with an upstream casting facility
KR102090549B1 (ko) 후물재의 헤드부 온도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