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855B1 - 공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855B1
KR102346855B1 KR1020200112047A KR20200112047A KR102346855B1 KR 102346855 B1 KR102346855 B1 KR 102346855B1 KR 1020200112047 A KR1020200112047 A KR 1020200112047A KR 20200112047 A KR20200112047 A KR 20200112047A KR 102346855 B1 KR102346855 B1 KR 102346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hamber
exhaust
opening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재천
Original Assignee
금호맥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맥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맥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2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5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underpressure in a room, keeping contamination in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일반 공조로부터 음압 격리 공조로의 전환이 쉽고 간단한 공조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공조시스템은, 천장칸막이(1)와 바닥칸막이(2) 사이에 제1 실(A)과, 상기 제1 실(A) 좌측의 제2 실(B)과, 상기 제1 실(A) 우측의 제3 실(C)을 갖되, 상기 제1 실(A)과 상기 제2 실(B)은 제1 도어(3A)를 갖는 제1 측벽 칸막이(3)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제1 실(A)과 상기 제3 실(C)은 제2 도어(4A)를 갖는 제2 측벽 칸막이(4)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천장칸막이(1) 상측의 천장공간(D)은 외곽 공간(E)을 통해 상기 바닥칸막이(2) 하측의 바닥공간(F)과 연결되고, 상기 바닥칸막이(2) 하측의 바닥공간(F)과 통해 있고 건물 외측과 직접 통해 있는 제4 실(G)이 더 구비되는 실내 공간; 배기휀(111)이 구비된 배기부와 급기휀(121)이 구비된 급기부가 일체로 통합된 통합공조기(100); 상기 제1 실(A)에 배치되고 상기 천장공간(D)에 설치된 배기덕트(10)를 통해 상기 통합공조기(100)의 배기부와 접속되는 제1 배기포트(200); 상기 제2 실(B)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덕트(10)를 통해 상기 통합공조기(100)의 배기부와 접속되는 제2 배기포트(300); 상기 제1 실(A)과 통해 있도록 상기 바닥칸막이(2)에 형성되고 제1 커버(21A)에 의해 개폐되는 제1 개구부(20A); 상기 제1 실(A)과 통해 있도록 상기 바닥칸막이(2)에 형성되고 제2 커버(21B)에 의해 개폐되는 제2 개구부(20B); 상기 제4 실(G)과 통해 있도록 상기 바닥칸막이(2)에 형성되고 제3 커버(21C)에 의해 개폐되는 제3 개구부(20C); 상기 제1 개구부(20A)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개구부(20A)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바닥공간(F)의 외기를 상기 제1 실(A) 내로 공급하는 제1 휀터미널 유닛(400A); 상기 제2 개구부(20B)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개구부(20B)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바닥공간(F)의 외기를 상기 제1 실(A) 내로 공급하는 제2 휀터미널 유닛(400B); 및 상기 제3 개구부(20C)에 배치되어, 상기 제3 개구부(20C)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바닥공간(F)의 외기를 상기 제4 실(G) 내로 공급하는 제3 휀터미널 유닛(400C)을 포함하며, 일반 냉난방 공조시, 상기 급기휀(121)의 구동에 의해 일정 송풍량으로 상기 바닥공간(F)으로 공급된 외기 전체가 상기 제1 휀터미널 유닛(400A)과 상기 제2 휀터미널 유닛(400B)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부(20A)와 상기 제2 개구부(20B)를 통해 상기 제1 실(A)에 공급되는 한편, 상기 제1 실(A)의 공기는 상기 배기휀(11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배기포트(200)와 상기 배기덕트(10)과 상기 통합공조기(100)의 배기부를 거쳐 외부로 배기되며, 음압 격리 공조시, 상기 제2 개구부(20B)가 상기 제2 커버(21B)에 의해 닫힌 채로, 상기 통합공조기(100)에 의해 일정 송풍량으로 상기 바닥공간(F)으로 공급된 외기 중 일부만이 상기 제1 휀터미널 유닛(400A)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부(20A)를 통해 상기 제1 실(A)에 공급되고, 나머지 외기는 상기 제3 휀터미널 유닛(400C)에 의해 상기 제3 개구부(20C)를 통해 상기 제4 실(G) 내로 흐르는 한편, 상기 제1 실(A)의 공기 및 상기 제2 실(B)의 공기는 상기 배기휀(11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배기포트(200)와 상기 제2 배기포트(300)를 통해 상기 배기덕트(10)로 들어가 상기 통합공조기(100)의 배기부를 거쳐 외부로 배기된다.

Description

공조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일반 공조로부터 음압 격리 공조로의 전환이 쉽고 간단한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대부분의 빌딩들이 천장 취출 공조 시스템을 채택해 왔다. 천장 취출 공조 시스템은 천장의 공기덕트를 통해 시원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천장 취출 공조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천장에서 나오는 시원한 공기가 1.8m 높이 이하의 사람 거주역, 더 나아가서는, 사람이 앉아 있는 1.2m 내지 1.5m 이하 위치까지 도달하려면, 위쪽의 더운 공기를 먼저 식히고 아래로 내려와야 되므로, 냉방효율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겨울철 실내난방이 중요하게 고려되었고 실 칸막이와 가구 배치의 변경이 적었던 과거에는 천장 취출 공조 시스템이 적합하였지만, 인체 부하와 컴퓨터 등의 기기 부하에 대한 냉방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고 실 칸막이와 가구 배치의 변경이 많은 현재에 있어서는, 기존 천장 취출공조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공조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배경하에서 새롭게 제안된 공조 시스템이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이다.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은 실내 바닥측, 더 구체적으로는, 악세스 플로어(access floor) 하부 측을 통해 시원한 공조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이러한 바닥 취출 공조 시스템은 시원한 공기가 사람이 앉아 있는 위치와 가까운 바닥 측에서 공급되므로 거주역에 대한 냉방 효율이 높고, 실 칸막이나 가구 배치 변경시, 악세스 플로어 하부 측 바닥공기취출유닛의 위치 변경만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최근 들어 코로나 바이러스 급격한 확산에 따라, 음압 격리 병실에 대한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일부 병원에 음압 격리 병실을 채택하여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폭발적인 감염병 확산이 발생한 경우, 일부 병원에만 존재하는 음압 격리 병실들만으로는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이 2019년에 발생하여 2020년에 유래한 코로나 19 바이러스 확산 사태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음압 격리 병실이 없거나 부족한 병원, 호텔, 학교, 사무실 등 대형 건물의 일부 공간을 음압 격리 병실로 활용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이때, 칸막이들을 새롭게 설치 또는 변경하거나 또는 건물 내부 설게 당시 건물 내부 일부 공간을 음압 격리 병실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실내 공간을 구획하는 것은 크게 어렵지 않지만, 일반 공조를 음압 격리 공조로 전환하는 것은 여러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대한민국 질병관리본부에 의한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운영과 관리 지침에 따르면, 급기는 전외기 방식이 요구되고, 환기횟수는 최소 6회 이상, 12회 이상이 권장되며, 배기와 급기는 헤파필터를 거쳐야 하며, 화장실과 음압 격리 병실 사이 그리고 음압 격리 병실과 전실 사이의 실간 차압은 각각 -2.5 Pa 이상이 유지되어야 하는 등의 조건이 있다. 또한, 음압 격리 병실의 이용에 제한되지 않고, 학교, 회사, 관공서 내 일부 공간에 감염 확진자들이 발생한 경우, 주변으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공간을 음압 격리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바닥 취출 공조를 기본으로 하여, 특정 실(room)의 공조를 일반 공조에서 음압 격리 공조로 쉽게 전환시킬수 있도록 구성된, 공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공조시스템은, 천장칸막이(1)와 바닥칸막이(2) 사이에 제1 실(A)과, 상기 제1 실(A) 좌측의 제2 실(B)과, 상기 제1 실(A) 우측의 제3 실(C)을 갖되, 상기 제1 실(A)과 상기 제2 실(B)은 제1 도어(3A)를 갖는 제1 측벽 칸막이(3)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제1 실(A)과 상기 제3 실(C)은 제2 도어(4A)를 갖는 제2 측벽 칸막이(4)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천장칸막이(1) 상측의 천장공간(D)은 외곽 공간(E)을 통해 상기 바닥칸막이(2) 하측의 바닥공간(F)과 연결되고, 상기 바닥칸막이(2) 하측의 바닥공간(F)과 통해 있고 건물 외측과 직접 통해 있는 제4 실(G)이 더 구비되는 실내 공간; 배기휀(111)이 구비된 배기부와 급기휀(121)이 구비된 급기부가 일체로 통합된 통합공조기(100); 상기 제1 실(A)에 배치되고 상기 천장공간(D)에 설치된 배기덕트(10)를 통해 상기 통합공조기(100)의 배기부와 접속되는 제1 배기포트(200); 상기 제2 실(B)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덕트(10)를 통해 상기 통합공조기(100)의 배기부와 접속되는 제2 배기포트(300); 상기 제1 실(A)과 통해 있도록 상기 바닥칸막이(2)에 형성되고 제1 커버(21A)에 의해 개폐되는 제1 개구부(20A); 상기 제1 실(A)과 통해 있도록 상기 바닥칸막이(2)에 형성되고 제2 커버(21B)에 의해 개폐되는 제2 개구부(20B); 상기 제4 실(G)과 통해 있도록 상기 바닥칸막이(2)에 형성되고 제3 커버(21C)에 의해 개폐되는 제3 개구부(20C); 상기 제1 개구부(20A)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개구부(20A)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바닥공간(F)의 외기를 상기 제1 실(A) 내로 공급하는 제1 휀터미널 유닛(400A); 상기 제2 개구부(20B)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개구부(20B)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바닥공간(F)의 외기를 상기 제1 실(A) 내로 공급하는 제2 휀터미널 유닛(400B); 및 상기 제3 개구부(20C)에 배치되어, 상기 제3 개구부(20C)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바닥공간(F)의 외기를 상기 제4 실(G) 내로 공급하는 제3 휀터미널 유닛(400C)을 포함하며, 일반 냉난방 공조시, 상기 급기휀(121)의 구동에 의해 일정 송풍량으로 상기 바닥공간(F)으로 공급된 외기 전체가 상기 제1 휀터미널 유닛(400A)과 상기 제2 휀터미널 유닛(400B)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부(20A)와 상기 제2 개구부(20B)를 통해 상기 제1 실(A)에 공급되는 한편, 상기 제1 실(A)의 공기는 상기 배기휀(11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배기포트(200)와 상기 배기덕트(10)와 상기 통합공조기(100)의 배기부를 거쳐 외부로 배기되며, 음압 격리 공조시, 상기 제2 개구부(20B)가 상기 제1 커버(21B)에 의해 닫힌 채로, 상기 통합공조기(100)에 의해 일정 송풍량으로 상기 바닥공간(F)으로 공급된 외기 중 일부만이 상기 제1 휀터미널 유닛(400A)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부(20A)를 통해 상기 제1 실(A)에 공급되고, 나머지 외기는 상기 제3 휀터미널 유닛(400C)에 의해 상기 제3 개구부(20C)를 통해 상기 제4 실(G) 내로 흐르는 한편, 상기 제1 실(A)의 공기 및 상기 제2 실(B)의 공기는 상기 배기휀(11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배기포트(200)와 상기 제2 배기포트(300)를 통해 상기 배기덕트(10)로 들어가 상기 통합공조기(100)의 배기부를 거쳐 외부로 배기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합공조기(100)는 상기 배기부를 통과하는 배기와 상기 급기부를 통과하는 외기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외기의 온도를 실내 온도에 수렴시키는 전열교환부(101)와, 외기 내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급기부 내에 구비된 제1 헤파필터(122)와, 배기 내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배기부 내에 구비된 제2 헤파필터(112)와, 겨울철 또는 여름철에 차가운 외기의 온도를 높여주거나 뜨거운 온도를 식혀주기 위해 상기 급기부 내에 마련된 냉/온수 코일부(123)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배기포트(200)는 신축, 회전, 비틀림이 가능한 유연성 관(210)에 의해 상기 배기덕트(10)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실(A)의 실내벽에는 상기 유연성 관(210)에 의해 여러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상기 제1 배기포트(200)를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부(7)들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휀터미널 유닛(400A), 상기 제2 휀터미널 유닛(400B) 및 상기 제3 휀터미널 유닛(400C) 중 적어도 구름부(431)를 구비한 베이스(430)와, 상기 베이스(430)에 구비된 승강 수단(432)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는 휀터미널 유닛 본체(450)를 포함하며, 상기 휀터미널 유닛 본체(450)는 측면 개방부와 상부 개방부를 갖는 하우징(451)과, 상기 하우징(45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 개방부를 통해 상기 바닥공간(F)에서 흡입한 공기를 상기 상부 개방부를 통해 상기 제1 실(A) 또는 상기 제4 실(G)로 공급하는 휀(452)을 포함하며, 상기 휀터미널 유닛 본체(450)의 상승에 의해, 상기 하우징(451)의 상부 개방부는 상기 바닥칸막이(2)의 저면과 같은 레벨에 위치하며, 상기 구름부(431)와 접하는 바닥면에는 상기 구름부(431)에 구비된 충전 단자들(D1, D2)과 접촉하는 전력공급단자들(C1, C2)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시스템은, 바닥 취출 공조를 기본으로 하여, 특정 실(room)의 공조를 일반 공조에서 음압 격리 공조로 쉽게 전환시킬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 및 장점은 이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 될 것이다.
도 1은 일반 냉난방 공조시의 공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음압 격리 공조시의 공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3은 휀터미널 유닛을 이동식으로 구성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에 관한 설명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제시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들 및 설명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일반 냉난방 공조시의 공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음압 격리 공조시의 공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은, 천장칸막이(1)와 바닥칸막이(2) 사이에 제1 실(A)과, 상기 제1 실(A) 좌측의 제2 실(B)과, 상기 제1 실(A) 우측의 제3 실(C)을 갖는 실내 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실(A)과 상기 제2 실(B)은 제1 도어(3A)를 갖는 제1 측벽 칸막이(3)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제1 실(A)과 상기 제3 실(C)은 제2 도어(4A)를 갖는 제2 측벽 칸막이(4)에 의해 분리된다.
상기 천장칸막이(1) 상측의 천장공간(D)은 외곽 공간(E)을 통해 상기 바닥칸막이(2) 하측의 바닥공간(F)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실내 공간은 상기 바닥칸막이(2) 하측의 바닥공간(F)과 통해 있고 건물 외측과 직접 통해 있는 별도의 제4 실(G)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실(A), 상기 제2 실(B), 상기 제3 실(C) 및 상기 제4 실(G)은 건물이 완성되기 전에 미리 마련될 수도 있으며, 대안적으로, 건물 완성 후, 상기 천장칸막이(1)와 상기 바닥칸막이(2)만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감염병 확산과 같은 특별한 상황이 닥친 경우, 전술한 것과 같은 측벽 칸막이들(3, 4, 5)을 추가로 설치하여 마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은, 배기휀(111)이 구비된 배기부와 급기휀(121)이 구비된 급기부가 일체로 통합된 통합공조기(100)와, 상기 제1 실(A)에 배치되고 상기 천장칸막이(1) 상측의 천장공간(D)에 설치된 배기덕트(10)를 통해 상기 통합공조기(100)의 배기부와 접속되는 제1 배기포트(200)와, 상기 제2 실(B)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덕트(10)를 통해 상기 통합공조기(100)의 배기부와 접속되는 제2 배기포트(300)와. 상기 제1 실(A)과 통해 있도록 상기 바닥칸막이(2)에 형성되고 제1 커버(21A)에 의해 개폐되는 그릴형의 제1 개구부(20A)와, 상기 제1 실(A)과 통해 있도록 상기 바닥칸막이(2)에 형성되고 제2 커버(21B)에 의해 개폐되는 그릴형의 제2 개구부(20B)와, 상기 제4 실(G)과 통해 있도록 상기 바닥칸막이(2)에 형성되고 제3 커버(21C)에 의해 개폐되는 그릴형의 제3 개구부(20C)와, 상기 제1 개구부(20A)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개구부(20A)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바닥공간(F)의 외기를 상기 제1 실(A) 내로 공급하는 제1 휀터미널 유닛(400A)과, 상기 제2 개구부(20B)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개구부(20B)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바닥공간(F)의 외기를 상기 제1 실(A) 내로 공급하는 제2 휀터미널 유닛(400B)과, 상기 제3 개구부(20C)에 설치되어, 상기 제3 개구부(20C)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바닥공간(F)의 외기를 상기 제4 실(G) 내로 공급하는 제3 휀터미널 유닛(400C)을 포함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공조 시스템은, 통합공조기(100)의 배기휀 및 급기휀 등의 구동, 제1, 제2, 제3 개구부(20A, 20B, 20C)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1, 제2, 제3 커버(21A, 21B, 21C)의 구동, 그리고, 제1, 제2 및 제3 휀터미널 유닛(400A, 400B, 400C)의 구동(더 구체적으로는, 제1, 제2, 제3 휀터미널 유닛의 휀 구동)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조시스템은 상기 제1 실(A)에 배치된 환기포트(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환기포트는(500)는 상기 천장칸막이(1) 상측의 천장공간(D)에 설치된 환기덕트(50)와 연결되며, 상기 환기덕트(50)는 상기 통합공조기(100)의 급기부에 합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환기덕트(500)에는 환기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환기량을 조절하는 밸브 또는 댐퍼(5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통합공조기(100)의 급 기부 또는 그 부근에는 환기와 급기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바닥공간(F)으로 보내도록 환기 또는 급기를 차단하거나, 또는, 환기와 급기(즉, 외기)의 혼합량을 조절하는 환기 조절 밸브(520)가 설치될 수 있다. 환기는 일반 공조시에만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음압 격리 공조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통합공조기(100)는 상기 배기부를 통과하는 배기와 상기 급기부를 통과하는 외기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외기의 온도를 실내 온도에 수렴시키는 전열교환부(10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합공조기(100)는 건물 외측에서 유입되는 외기 내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급기부 내에 구비된 제1 헤파필터(122)와, 건물 실내에서 건물 외측으로 배출되는 배기 내 오염물질(병원균 등)을 제거하도록 배기부 내에 구비된 제2 헤피필터(1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합공조기(100)는 겨울철 또는 여름철에 차가운 외기의 온도를 높여주거나 뜨거운 온도를 식혀주기 위해 상기 급기부 내에 마련된 냉/온수 코일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통합공조기(100) 내에는 습기 조절부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A)에는 상기 제1 실(A)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제1 실(B)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면,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제공된 온도 정보 및/또는 상기 습도 센서로부터 제공된 습도 정보에 따라, 상기 전열교환부(101)의 이용에 더하여, 상기 냉/온수 코일부(123) 및/또는 습도 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이에 의해, 상기 제1 실(A) 내로 공급되는 외기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반 냉난방 공조에서는, 제1 실(A), 제2 실(B) 및 제3 실(C) 사이에 큰 압력 차이가 존재하지 않으며, 압력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음압 격리 공조에 있어서는, 제2 실(B)의 압력이 가장 낮고, 제1 실(A)의 압력이 그 다음으로 낮고, 제3 실(C)의 압력은 복도 측 압력과 거의 같은 압력으로 가장 낮게 유지되어 낮아야 한다. 이 경우, 제1 실(A)은 감염병 환자가 주로 생활하는 공간, 예컨대, 음압 격리 병실이 되며, 제2 실(B)은 감염병 환자가 이용하는 화장실이 되며, 제3 실(C)은 복도 측 또는 로비 측 등과 같이 비격리 공간과 통해 있는 전실이 된다.
일반 냉난방 공조에서는 통합공조기(100)에 의해 일정 송풍량으로 공급되는 외기 전체가 제1 휀터미널 유닛(400A) 및 제2 휀터미널 유닛(400B)에 의해 제1 실(A)에 공급되고, 같은 송풍량으로 제1 실(A)의 실내 공기가 제1 배기포트(200)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이때, 제2 배기포트(200)를 통해 상기 제2 실(A)의 공기도 외부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4 실(G) 직하의 제3 휀터미널 유닛(400C)은 가동되지 않으며, 그에 대응되는 제3 개구부(20C)는 제3 커버(21C)에 의해 닫혀 있다.
반면, 음압 격리 공조에서는, 일반 냉난방 공조에서 통합공조기(100)에 의해 일정 송풍량으로 공급되는 외기 전체 중 일부만이 상기 제1 휀터미널 유닛(400A)에 의해 상기 제1 실(A)에 공급되고 나머지 외기는 상기 제3 휀터미널 유닛(400C)에 의해 상기 제4 실(G)로 흐른다. 상기 제2 휀터미널 유닛(400B)은 작동하지 않으며, 상기 제2 개구부(20B)는 상기 제2 커버(21B)에 의해 닫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 실(A)에는 음압 격리 공조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제4 실(G)에서는 일반 냉난방 공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실(G)은 상기 제1 실(A) 및 상기 제2 실(B)에 대하여 확실한 기밀이 이루어진다는 것에 유의한다.
한편, 상기 제1 배기포트(200)는 예컨대 주름관과 같이 신축, 회전, 비틀림이 가능한 주름관과 같은 유연성 관(210)에 의해 상기 배기덕트(10)와 연결된다. 상기 유연성 관(210)에 의해, 상기 제1 배기포트(200)는 상기 제1 실(A) 내 한 곳이 아닌 여러 곳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1 실(A)의 내부, 특히, 상기 제1 실(A)의 실내벽에는 다양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상기 제1 배기포트(200)를 그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는 다수의 고정부(7)들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7)는 상기 제1 배기포트(200)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안착부에 안착된 제1 배기포트(200)를 안착부에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음압 격리 공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실(A) 내에서도 감염병 환자가 주로 있는 침대 주변으로 제1 배기포트(200)를 가까이 인접시켜, 그 침대 주변의 압력을 상대적으로 더 낮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개구부(20A)를 개폐하는 제1 커버(21A), 상기 제2 개구부(20B)를 개폐하는 제2 커버(21B) 및 상기 제3 개구부(20C)를 개폐하는 제3 커버(21C)는 슬라이딩식 커버일 수 있다.
이제 일반 냉난방 공조시와 음압 격리 공조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공조시스템이 일반 냉난방 공조를 수행할 때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A)과 제2 실(B)과 제3 실(C)의 압력이 거의 같게 유지된다. 제2 실(C)은 복도 측과 인접한 곳으로서, 복도 측과 거의 같은 압력을 갖는다. 통합공조기(100)는 급기부에 구비된 급기휀(121)의 작동에 의해 외기(OA)를 흡입하여 그 흡입된 외기를 외곽 공간(E)을 통해 바닥공간(F) 내로 공급하며, 상기 제1 실(A)의 직하에 배치된 제1 휀터미널 유닛(400A) 및 제2 휀터미널 유닛(400B)은 자체 휀 구동에 의해 바닥공간(F)으로 공급된 외기를 개방된 제1 개구부(20A)와 개방된 제2 개구부(20B)를 통해 상기 제1 실(A) 내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바닥공간(F) 내에서 상기 제4 실(G) 직하에 배치된 제3 휀터미널 유닛(400C)은 가동되지 않으며, 상기 제3 휀터미널 유닛(400)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3 개구부(20C)는 닫혀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실(A)의 오염된 공기와 상기 제2 실(B)의 오염된 공기는 상기 통합공조기(100)의 배기부에 구비된 배기휀(111)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실(A)에 배치된 제1 배기포트(200) 및 상기 제2 실(B)에 배치된 제2 배기포트(300)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배기덕트(10) 및 상기 통합공조기(100)의 배기부를 거쳐 외부로 배기된다. 이와 같은 일반 냉난방 공조에서는 제1 실(A)로 공급되는 외기의 송풍량과 제1 실(A)에서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의 송풍량이 거의 같고, 제1 실과 제2 실 사이의 압력차이와 제1과 제3 실 사이의 압력 차이도 거의 없다, 그리고, 통합공조기(100) 내에서 외기와 배기 각각은 제1 헤파필터(122) 및 제2 헤파필터(112)에 의해 정화된 후 실내로 공급되거나 외부로 배기된다. 그리고, 통합공조기(100) 내 전열교환부(101)에 의해 외기와 배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실내로 공급되는 외기의 온도가 실내 온도와 가까워질 수 있게 된다. 냉/온수 코일부(123)는 전열교환부(101)만으로 실내 온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동절기 또는 하절기에 주로 작동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는 공조시스템이 음압 격리 공조를 수행할 때를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실(B)의 압력이 가장 낮고, 제1 실(A)의 압력이 그 다음으로 낮고, 제3 실(C)의 압력이 가장 높게 유지된다. 이와 같은 압력 차이에 의해, 제1 실(A)의 균 또는 바이러스가 포함된 공기가 상기 제3 실(C) 또는 상기 제3 실(C)과 연결되어 있는 비격리 공간으로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음압 격리 공조시, 통합공조기(100)는 급기부에 구비된 급기휀(121)의 작동에 의해 외기(OA)를 흡입하여 그 흡입된 외기를 외곽 공간(E)을 통해 바닥공간(F)으로 공급하며, 제1 실(A)의 직하에 배치된 휀터미널 유닛들 중 제1 휀터미널 유닛(400A)만이 작동하여 자체 휀 구동에 의해 바닥공간(F)으로 공급된 외기 중 일부 외기만을 개방된 제1 개구부(20A)를 통해 제1 실(A) 내로 공급하며, 제4 실(G) 직하에 배치된 휀터미널 유닛(400C)이 자체 휀 구동에 의해 바닥공간(F)으로 공급된 외기 중 나머지 외기를 개방된 제3 개구부(20C)를 통해 제4 실(G)에 공급한다. 이때, 상기 바닥공간(F) 내에서 제1 실(G) 직하에 배치된 휀터미널 유닛 중 제2 휀터미널 유닛(400B)은 가동되지 않으며, 상기 제2 휀터미널 유닛(400B)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2 개구부(20B)는 닫혀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실(A)의 오염된 공기와 상기 제2 실(B)의 오염된 공기는 상기 통합공조기(100)의 배기부에 구비된 배기휀(111)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실(A)에 배치된 제1 배기포트(200) 및 상기 제2 실(B)에 배치된 제2 배기포트(300)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배기덕트(10) 및 상기 통합공조기(100)의 배기부를 거쳐 외부로 배기된다. 따라서, 제1 실(A) 및 제2 실(B)에서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의 양은 줄지 않고, 제1 실(A)에 공급되는 외기의 양이 거의 반 줄게 되므로, 상기 제1 실(A)의 압력은 음압 격리 상태가 된다. 또한, 전술한 전외기 방식의 일반 냉난방 공조와 비교할 때, 제1 실(A)로 공급되는 외기의 양은 줄지만, 실내 공간으로 공급되는 외기의 양은 그대로이며, 따라서, 외기와 배기 사이의 절연교환에 의한 온도 증감은, 일반 냉낭방 공조시와 음압 격리 공조시가 같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공간(F)에 설치되는 휀터미널 유닛의 개수를 줄이기 위해, 휀터미널 유닛을 이동식으로 구성하는 실시가 가능하다. 도 3은 휀터미널 유닛을 이동식으로 구성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휀터미널 유닛(400)은 바퀴 또는 캐스터휠과 같은 구름부(431)를 구비한 베이스(430)와, 상기 베이스(430)에 구비된 예컨대, 공압실린더와 같은, 승강수단(432)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는 휀터미널 유닛 본체(450)를 포함한다. 상기 휀터미널 유닛 본체(450)는 측면 개방부와 상부 개방부를 갖는 하우징(451)과, 상기 하우징(451)의 내측에 설치되어, 측면 개방부를 통해 바닥공간(F)에서 흡입한 공기를 상부 개방부 및 바닥칸막이(2)의 개구부(20)를 통해 제1 실 또는 제4 실(A 또는 G )로 공급하는 휀(452)을 포함한다. 상기 휀터미널 유닛 본체(450)의 상승에 의해, 상기 하우징(451)의 상부 개방부는 상기 바닥칸막이(2)의 저면과 같은 레벨에서 상기 개구부(20)와 기밀적으로 통해 있게 된다. 상기 구름부(431)의 구동 제어와 상기 승강수단(432)의 구동은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구름부(431)와 접하는 바닥면에는 구름부(431)에 구비된 충전단자들(D1, D2)과 접촉하는 전력공급단자들(C1, C2)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상기 휀터미널 유닛은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다. 도 3은 휀터미널 유닛이 다른 개구부를 찾아 이동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해 이동중인 휀터미널 유닛을 가상선으로 나타내었다.
1.........................천장칸막이
2.........................바닥칸막이
3.........................제1 측벽칸막이
4.........................제2 측벽칸막이
100.......................통합공조기
111.......................배기휀
121.......................급기휀
200, 300, 400.............배기포트
400, 400A, 400B, 400C.... 휀터미널 유닛

Claims (4)

  1. 천장칸막이(1)와 바닥칸막이(2) 사이에 제1 실(A)과, 상기 제1 실(A) 좌측의 제2 실(B)과, 상기 제1 실(A) 우측의 제3 실(C)을 갖되, 상기 제1 실(A)과 상기 제2 실(B)은 제1 도어(3A)를 갖는 제1 측벽 칸막이(3)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제1 실(A)과 상기 제3 실(C)은 제2 도어(4A)를 갖는 제2 측벽 칸막이(4)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천장칸막이(1) 상측의 천장공간(D)은 외곽 공간(E)을 통해 상기 바닥칸막이(2) 하측의 바닥공간(F)과 연결되고, 상기 바닥칸막이(2) 하측의 바닥공간(F)과 통해 있고 건물 외측과 직접 통해 있는 제4 실(G)이 더 구비되는 실내 공간;
    배기휀(111)이 구비된 배기부와 급기휀(121)이 구비된 급기부가 일체로 통합된 통합공조기(100);
    상기 제1 실(A)에 배치되고 상기 천장공간(D)에 설치된 배기덕트(10)를 통해 상기 통합공조기(100)의 배기부와 접속되는 제1 배기포트(200);
    상기 제2 실(B)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덕트(10)를 통해 상기 통합공조기(100)의 배기부와 접속되는 제2 배기포트(300);
    상기 제1 실(A)과 통해 있도록 상기 바닥칸막이(2)에 형성되고 제1 커버(21A)에 의해 개폐되는 제1 개구부(20A);
    상기 제1 실(A)과 통해 있도록 상기 바닥칸막이(2)에 형성되고 제2 커버(21B)에 의해 개폐되는 제2 개구부(20B);
    상기 제4 실(G)과 통해 있도록 상기 바닥칸막이(2)에 형성되고 제3 커버(21C)에 의해 개폐되는 제3 개구부(20C);
    상기 제1 개구부(20A)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개구부(20A)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바닥공간(F)의 외기를 상기 제1 실(A) 내로 공급하는 제1 휀터미널 유닛(400A);
    상기 제2 개구부(20B)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개구부(20B)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바닥공간(F)의 외기를 상기 제1 실(A) 내로 공급하는 제2 휀터미널 유닛(400B); 및
    상기 제3 개구부(20C)에 배치되어, 상기 제3 개구부(20C)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바닥공간(F)의 외기를 상기 제4 실(G) 내로 공급하는 제3 휀터미널 유닛(400C)을 포함하며,
    일반 냉난방 공조시, 상기 급기휀(121)의 구동에 의해 일정 송풍량으로 상기 바닥공간(F)으로 공급된 외기 전체가 상기 제1 휀터미널 유닛(400A)과 상기 제2 휀터미널 유닛(400B)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부(20A)와 상기 제2 개구부(20B)를 통해 상기 제1 실(A)에 공급되는 한편, 상기 제1 실(A)의 공기는 상기 배기휀(11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배기포트(200)와 상기 배기덕트(10)과 상기 통합공조기(100)의 배기부를 거쳐 외부로 배기되며,
    음압 격리 공조시, 상기 제2 개구부(20B)가 상기 제2 커버(21B)에 의해 닫힌 채로, 상기 통합공조기(100)에 의해 일정 송풍량으로 상기 바닥공간(F)으로 공급된 외기 중 일부만이 상기 제1 휀터미널 유닛(400A)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부(20A)를 통해 상기 제1 실(A)에 공급되고, 나머지 외기는 상기 제3 휀터미널 유닛(400C)에 의해 상기 제3 개구부(20C)를 통해 상기 제4 실(G) 내로 흐르는 한편, 상기 제1 실(A)의 공기 및 상기 제2 실(B)의 공기는 상기 배기휀(11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배기포트(200)와 상기 제2 배기포트(300)를 통해 상기 배기덕트(10)로 들어가 상기 통합공조기(100)의 배기부를 거쳐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공조기(100)는 상기 배기부를 통과하는 배기와 상기 급기부를 통과하는 외기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외기의 온도를 실내 온도에 수렴시키는 전열교환부(101)와, 외기 내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급기부 내에 구비된 제1 헤파필터(122)와, 배기 내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배기부 내에 구비된 제2 헤피필터(112)와, 겨울철 또는 여름철에 차가운 외기의 온도를 높여주거나 뜨거운 온도를 식혀주기 위해 상기 급기부 내에 마련된 냉/온수 코일부(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포트(200)는 신축, 회전, 비틀림이 가능한 유연성 관(210)에 의해 상기 배기덕트(10)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실(A)의 실내벽에는 상기 유연성 관(210)에 의해 여러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상기 제1 배기포트(200)를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부(7)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시스템.
  4. 삭제
KR1020200112047A 2020-09-03 2020-09-03 공조 시스템 KR102346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047A KR102346855B1 (ko) 2020-09-03 2020-09-03 공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047A KR102346855B1 (ko) 2020-09-03 2020-09-03 공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855B1 true KR102346855B1 (ko) 2022-01-04

Family

ID=7934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047A KR102346855B1 (ko) 2020-09-03 2020-09-03 공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8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072B1 (ko) * 2023-04-25 2024-04-26 (주)엘케이토탈공조 바닥 공조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8766A (ja) * 1994-01-24 1995-08-11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アンダーフロア空調システム
JPH07269916A (ja) * 1994-03-29 1995-10-20 Matsushita Seiko Co Ltd 床下空調対応送風機
JP2000111093A (ja) * 1998-10-08 2000-04-18 Hitachi Plant Kensetsu Service Kk 隔離室空調装置
KR20160097897A (ko) * 2015-02-10 2016-08-18 한현관 이동식 송풍 장치
JP2016176628A (ja) * 2015-03-19 2016-10-06 ビッグローブ株式会社 空調用床吹出口および空調システム
KR101732948B1 (ko) * 2016-01-26 2017-05-08 삼성물산 주식회사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방법
JP2020054791A (ja) * 2018-10-02 2020-04-09 株式会社セオコーポレーション 感染症病室および給排気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8766A (ja) * 1994-01-24 1995-08-11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アンダーフロア空調システム
JPH07269916A (ja) * 1994-03-29 1995-10-20 Matsushita Seiko Co Ltd 床下空調対応送風機
JP2000111093A (ja) * 1998-10-08 2000-04-18 Hitachi Plant Kensetsu Service Kk 隔離室空調装置
KR20160097897A (ko) * 2015-02-10 2016-08-18 한현관 이동식 송풍 장치
JP2016176628A (ja) * 2015-03-19 2016-10-06 ビッグローブ株式会社 空調用床吹出口および空調システム
KR101732948B1 (ko) * 2016-01-26 2017-05-08 삼성물산 주식회사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방법
JP2020054791A (ja) * 2018-10-02 2020-04-09 株式会社セオコーポレーション 感染症病室および給排気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072B1 (ko) * 2023-04-25 2024-04-26 (주)엘케이토탈공조 바닥 공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9306B1 (ko) 환기일체형 공조시스템
KR101280661B1 (ko) 하이브리드 공조 방식을 갖는 실내기, 그리고 이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JP6940896B1 (ja) 換気空調システム
KR20040106805A (ko) 급배기 직결형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KR102009812B1 (ko) 환기장치
KR102346855B1 (ko) 공조 시스템
JP7103761B2 (ja) 空調システム
KR102305958B1 (ko) 친환경 냉난방 환기일체형 천정형 공조 유니트
JP4391209B2 (ja) 換気システム
JP5743220B2 (ja) 空気浄化式高層集合建屋
KR102495191B1 (ko)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주거용 실내환경 복합제어장치
JP2020148386A (ja) 加圧型熱交換換気式建屋
KR102510764B1 (ko) 룸환경 제어장치
KR102282099B1 (ko) 바이패스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JP6114564B2 (ja) 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CN211876227U (zh) 一种外置窗式室内新风净化器
JPH05180464A (ja) 空調システム
JP3394061B2 (ja) 空調用室内ユニット装置
JP3871859B2 (ja) セントラル換気式建物
Kurnitski et al. Mechanical and Mixed-Mode Ventilation in City Centre Buildings
JPH046336A (ja) 換気装置
JP2024003489A (ja) 換気システム
KR20220096717A (ko)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
JP3831601B2 (ja) セントラル空調装置およびセントラル空調式建物
JP3408547B2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