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717A -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 - Google Patents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717A
KR20220096717A KR1020200189407A KR20200189407A KR20220096717A KR 20220096717 A KR20220096717 A KR 20220096717A KR 1020200189407 A KR1020200189407 A KR 1020200189407A KR 20200189407 A KR20200189407 A KR 20200189407A KR 20220096717 A KR20220096717 A KR 20220096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indoor air
outdoor air
heat recovery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3224B1 (ko
Inventor
김정환
김규현
임태규
홍승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펠
Priority to KR1020200189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224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열회수 환기장치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열회수 환기장치의 일면에 접하는 저면과, 상기 저면의 양측에 형성된 양측면을 포함하는 환기캡 본체; 상기 양측면 중 적어도 한면에 형성된 실내공기 캡토출구; 상기 양측면 중 다른 한면에 형성된 실외공기 캡흡입구; 상기 열회수 환기장치의 실내공기 토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저면에 관통되어 형성된 실내공기 캡흡입구; 상기 열회수 환기장치의 실외공기 흡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저면에 관통되어 형성된 실외공기 캡토출구; 상기 실내공기 캡흡입구와, 상기 실내공기 캡토출구를 연통하도록 상기 환기캡 본체 내에 형성된 실내공기 연통유로; 및 상기 실외공기 캡토출구와, 상기 실외공기 캡흡입구를 연통하도록 상기 환기캡 본체 내에 형성된 실외공기 연통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이 개시된다. 따라서, 별도의 배관설치가 필요없는 열회수 환기장치에 최적화된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Ventilation cap used in heat recovery ventilator}
본 발명은 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회수 환기장치에 부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사무실 또는 백화점, 대형마트 등 건물의 오염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부의 새로운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열회수 환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즉, 통상의 전열교환기는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킴에 있어, 갑작스런 냉기 및 열기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실외공기를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먼저 열교환 시켜주는 장치이다. 따라서, 전열교환기는 실내에서 발생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을 배기를 통하여 배출하고, 필터링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방법으로 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이에, 일반적인 전열교환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공조된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때는 전열교환기 내에 설치된 배기팬이 작동하고, 이때의 정압으로 전열 교환기 소자를 통과하면서 실내에서 실외로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열회수 환기장치는, 내부에 전열교환기가 설치가 되어야 하며, 전열교환기를 관통하여,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송풍팬이 구비되어야 한다. 그 결과, 일정정도 이상의 크기가 불기피하다. 따라서, 종래의 열회수 환기장치는, 크기의 문제로 천정에 설치되거나, 타워형으로 설치되는 등의 제한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1인가구의 증가로, 소형 평수의 주거형태가 일반화되고 있어, 종래의 열회수 환기장치는, 좁은 면적의 소형 평수에 설치하기에는 공간을 너무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실외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의 위치가 서로 어느 정도 이격되어 설치되어야,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실내공기가 흡입구로 재 순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흡입구와 배출구를 통해서 흐르는 공기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별도로 배관을 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많은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시공비를 증대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지하는 공간이 적은 열회수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별도의 배관설치가 필요없는 열회수 환기장치에 최적화된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열회수 환기장치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열회수 환기장치의 일면에 접하는 저면과, 상기 저면의 양측에 형성된 양측면을 포함하는 환기캡 본체; 상기 양측면 중 적어도 한면에 형성된 실내공기 캡토출구; 상기 양측면 중 다른 한면에 형성된 실외공기 캡흡입구; 상기 열회수 환기장치의 실내공기 토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저면에 관통되어 형성된 실내공기 캡흡입구; 상기 열회수 환기장치의 실외공기 흡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저면에 관통되어 형성된 실외공기 캡토출구; 상기 실내공기 캡흡입구와, 상기 실내공기 캡토출구를 연통하도록 상기 환기캡 본체 내에 형성된 실내공기 연통유로; 및 상기 실외공기 캡토출구와, 상기 실외공기 캡흡입구를 연통하도록 상기 환기캡 본체 내에 형성된 실외공기 연통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외공기 캡토출구와 상기 실내공기 캡흡입구는, 상기 열회수 환기장치에 장착된 것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내공기 캡토출구는, 상하로 서로 분리된 상측 실내공기 캡토출구 및 하측 실내공기 캡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공기 연통유로는 상측 실내공기 캡토출구와 연통된 상측 실내공기 연통유로와, 상기 상측 실내공기 연통유로와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측 실내공기 캡토출구와 연통된 하측 실내공기 연통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공기 캡흡입구를 상기 상측 실내공기 연통유로 및 상기 하측 실내공기 연통유로에 선택적으로 연통하도록 하는 캡 실내공기 분기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외공기 캡흡입구는, 상하로 서로 분리된 상측 실외공기 캡흡입구 및 하측 실외공기 캡흡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실외공기 연통유로는, 상측 실외공기 캡흡입구와 연통된 상측 실외공기 연통유로와, 상기 상측 실외공기 연통유로와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측 실외공기 캡흡입구와 연통된 하측 실외공기 연통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실외공기 캡토출구를 상기 상측 실외공기 연통유로 및 상기 하측 실외공기 연통유로에 선택적으로 연통하도록 하는 캡 실외공기 분기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 실내공기 연통유로와, 상기 상측 실외공기 연통유로가 동시에 서로 마주보는 면에 면접하도록 형성된 제 1 격벽; 및 상기 상측 실내공기 연통유로와, 상기 하측 실외공기 연통유로가 동시에 서로 마주보는 면에 면접하도록 형성된 제 2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열회수 환기장치는 별도의 배관없이, 창틀에 장착되어 작동될 수 있으며, 다양한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배관설치가 필요없는 열회수 환기장치에 최적화된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열회수 환기장치의 일부 파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환기캡이 설치된 부위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환기캡이 열회수 환기장치에서 분리된 상태의 후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환기캡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4의 상부 케이스의 후면사시도
도 7은 도 4의 중간 분리판의 사시도
도 8은 도 1의 하부판 케이스와 중간 분리판의 정면 분해사시도
도 9은 도 8의 절단선 IX-IX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하부케이스에서 댐퍼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여름철 도 1의 환기캡의 작동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겨울철 도 1의 환기캡의 작동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열회수 환기장치의 운전모드별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3은 환기모드의 작동도
도 14는 공기청정모드 작동도
도 15는 바이패스 모드 작동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열회수 환기장치의 일부 파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환기캡이 설치된 부위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열회수 환기장치(10)는, 창틀(1)에 카트리지 형태로 끼워져서 고정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열회수 환기장치(10)는 도 2를 기준으로 높이가 높으며, 좌우 폭이 두께보다 큰 형태로 형성된 환기장치 케이스(9)를 포함한다.
환기장치 케이스(9)는 도 2를 기준으로 좌측이 실내(2)에 노출되며, 우측이 실외(3)에 노출된다.
환기장치 케이스(9)는 실내공기 토출유로(4)와, 실외공기 공급유로(5)가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실내공기 토출유로(4)와 실외공기 공급유로(5)가 교차하는 지점에 전열소자(13)가 설치된다. 좌측 하단에는 실내공기 토출유로(4)와 연통되는 실내공기 흡입구(11a)가 형성되며, 좌측 상단에는 실외공기 공급유로(5)와 연통되는 실외공기 토출구(12a)가 형성된다. 우측 하단에는 실외공기 공급유로(5)와 연통되는 실외공기 흡입구(12)가 형성되며, 우측 상단에는 실내공기 토출유로(4)와 연통되는 실내공기 토출구(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실외공기 토출구(12a)와 실내공기 흡입구(11a) 사이의 간격이, 실외공기 흡입구(12)와 실내공기 토출구(11) 사이의 간격 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좌우에 형성된 토출구 및 흡입구의 간격이 비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이는 좁은 공간에 전열소자를 포함하는 환기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구조이다.
도 2를 기준으로 중앙에 전열소자(13)가 마름모 형태로 배치가 되며, 전열소자(13)의 우측 꼭지점 상측에 실내공기 토출구(11)가 형성되며, 하측에 실외공기 흡입구(12)가 형성된다. 실내공기 토출구(11)와 실외공기 흡입구(12)가 형성된 일면(측면)에 환기캡(100)이 결합된다. 환기캡(100)은 실외측으로 노출된다.
실내공기 토출구(11)와 전열소자(13) 사이를 연결하는 실내공기 토출유로(4) 상에 실내공기 토출팬(19)이 설치된다. 전열소자(13)의 실외공기가 열교환된 후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공기 공급유로(5) 상에는 실외공기 공급팬(14)이 설치된다. 또한, 전열소자(13)와 실외공기 공급팬(14) 사이에는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에 함유된 유해균을 살균하는 살균장치(17)가 설치될 수 있다. 살균장치(17)는 UV 램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실내공기 흡입구(11a)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실내공기 토출유로(4)를 개폐하는 실내공기 토출유로 개폐 댐퍼(15)와, 전열소자(13)와 실외공기 공급팬(14) 사이의 실외공기 공급유로(5)와 실내(2)를 직접 연통하는 것을 개폐할 수 있는 공청 댐퍼(16)와, 전열소자(13)와 실외공기 공급팬(14) 사이의 실외공기 공급유로(5)와 전열소자(13)와 실내공기 토출팬(19) 사이의 실내공기 토출유로(4) 사이를 연통하는 것을 개폐할 수 있는 바이패스 댐퍼(18)를 더 포함한다.
도 4는 도 1의 환기캡이 열회수 환기장치에서 분리된 상태의 후면 사시도이다. , 도 5는 도 3의 환기캡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4의 상부 케이스의 후면사시도, 도 7은 도 4의 중간 분리판(130)의 사시도, 도 8은 도 1의 하부판 케이스와 중간 분리판의 정면 분해사시도, 도 9은 도 8의 절단선 IX-IX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하부케이스에서 댐퍼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캡(100)은, 열회수 환기장치(10)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열회수 환기장치(10)의 일면에 접하는 저면(111)과, 상기 저면(111)의 양측에 형성된 양측면을 포함하는 환기캡 본체(110, 120, 130)와, 상기 양측면 중 적어도 한면에 형성된 실내공기 캡토출구(123, 124)와, 상기 양측면 중 다른 한면에 형성된 실외공기 캡흡입구(121, 122)와, 상기 열회수 환기장치의 실내공기 토출구(11)와 연통되도록 상기 저면(111)에 관통되어 형성된 실내공기 캡흡입구(113)와, 상기 열회수 환기장치의 실외공기 흡입구(12)와 연통되도록 상기 저면(111)에 관통되어 형성된 실외공기 캡토출구(112)와, 상기 실내공기 캡흡입구(113)와, 상기 실내공기 캡토출구(123, 124)를 연통하도록 상기 환기캡 본체(110, 120, 130) 내에 형성된 실내공기 연통유로(140)과, 상기 실외공기 캡토출구와, 상기 실외공기 캡흡입구를 연통하도록 상기 환기캡 본체 내에 형성된 실외공기 연통유로(150)를 포함한다.
환기캡 본체(110, 120, 130)은 하부 케이스(110)와, 중간 분리판(130)과, 상부 케이스(120)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120)는, 일측에 실내공기 캡토출구(123, 124)가 형성되며, 타측에 실외공기 캡흡입구(121, 122)가 형성된다. 상기 실내공기 캡토출구(123, 124)는, 상하로 서로 분리된 상측 실내공기 캡토출구(123) 및 하측 실내공기 캡토출구(124)를 포함한다. 즉, 상부 케이스(120)의 내측에 가로질러 형성된 상하 분리막(125)에 의해 상측 및 하측 실내공기 캡토출구(123, 124)가 서로 분리된다. 상기 실외공기 캡흡입구(121, 122)는, 상하로 서로 분리된 상측 실외공기 캡흡입구(121) 및 하측 실외공기 캡흡입구(122)를 포함한다. 즉, 상하 분리막(125)에 의해, 상측 및 하측 실외공기 캡흡입구(121, 122)가 서로 분리된다. 이외에도, 상측 실내공기 캡토출구(123)와 상측 실외공기 캡흡입구(121)의 공간을 분리하는 상측 실내외 분리막(126)과, 하측 실내공기 캡토출구(124)와 하측 실외공기 캡흡입구(122)의 공간을 분리하는 하측 실내외 분리막(127)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상하 분리막(125)과, 상측 실내외 분리막(126), 하측 실내용 분리막(127)으로 인해서, 상측 실내공기방(128a), 하측 실내공기방(128c), 상측 실외공기방(128b), 하측 실외공기방(128c)가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각각, 상측 실내공기 캡토출구(123), 하측 실내공기 캡토출구(124), 상측 실외공기 캡흡입구(121), 하측 실외공기 캡흡입구(122)와 연통된다.
중간 분리판(123)에는 전술한, 상하 분리막(125)과, 상측 실내외 분리막(126)과, 하측 실내외 분리막(127)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연통공(131, 132, 133, 134)이 형성된다.
하부 케이스(110)는 저면(111)과 상면(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114)에 중간 분리판(130)이 결합된다. 저면(111)에는 전술한, 실내공기 캡흡입구(113)와, 실외공기 캡토출구(112)가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실외공기 캡토출구(112)와 상기 실내공기 캡흡입구(113)는, 열회수 환기장치에 장착된 것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4)에는 상측 실내공기방(128a), 하측 실내공기방(128c), 상측 실외공기방(128b), 하측 실외공기방(128d)과 각각 연통되는 상측 실내연통공(116a), 하측 실내연통공(116c), 상측 실외연통공(116b), 하측 실외연통공(116d)이 형성된다.
또한, 도 10 및 도 9로부터 확인할 수 있듯이, 하부 케이스(110)의 두께방향 중간부에 실내공기 캡흡입구(113)와 연통되는 별도의 실내 전환공(117a)과, 실외공기 캡토출구(112)와 연통되는 실외 전환공(117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서, 전술한 실내공기 연통유로(140)와, 실외공기 연통유로(150)가 각각 형성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공기 연통유로(140)는 상측 실내공기 캡토출구(123)와 연통된 상측 실내공기 연통유로(141)와, 상기 상측 실내공기 연통유로(141)와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측 실내공기 캡토출구(124)와 연통된 하측 실내공기 연통유로(142)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공기 연통유로(150)는, 상측 실외공기 캡흡입구(121)와 연통된 상측 실외공기 연통유로(151)와, 상기 상측 실외공기 연통유로와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측 실외공기 캡흡입구와 연통된 하측 실외공기 연통유로(152)를 포함한다.
즉, 상측 실내공기 연통유로(141)는 실내공기 캡흡입구(113)와, 상측 실내연통공(116a)을 통해서 상측 실내공기 캡토출구(123)를 연결하는 유로이며, 하측 실내공기 연통유로(142)는, 실내공기 캡흡입구(113)와, 실내 전환공(117a), 하측 실내연통공(116c)를 통해서 하측 실내공기 캡토출구(124)를 연결하는 유로이다.
또한, 상측 실외공기 연통유로(151)은, 실외공기 캡토출구(112)와, 실외 전환공(117b)와, 상측 실외연통공(116b)를 통해서 상측 실외공기 캡흡입구(121)를 연결하는 유로이며, 하측 실외공기 연통유로(152)는, 실외공기 캡토출구(112)와, 하측 실외연통공(116d)을 통해서 하측 실외공기 캡흡입구(122)를 연결하는 유로이다.
한편, 상기 실내공기 캡흡입구(113)를 상기 상측 실내공기 연통유로(141) 및 상기 하측 실내공기 연통유로(142)에 선택적으로 연통하도록 하는 캡 실내공기 분기 댐퍼(160)를 더 포함한다. 즉, 캡 실내공기 분기 댐퍼(160)는 실내공기 캡흡입구(113)를 상측 실내연통공(116a) 및 실내 전환공(117a)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캡 실내공기 분기 댐퍼(160)는 실내공기 캡흡입구(113)를 밀폐하는 위치까지 포함하여 3-way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공기 캡토출구(112)를 상기 상측 실외공기 연통유로(151) 및 상기 하측 실외공기 연통유로(152)에 선택적으로 연통하도록 하는 캡 실외공기 분기 댐퍼(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캡 실외공기 분기 댐퍼(170)는 실외공기 캡토출구(112)를 하측 실외연통공(116d) 또는 실외 전환공(117b)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로 한다. 추가적으로 캡 실외공기 분기 댐퍼(170)는 실외공기 캡토출구(112)를 밀폐하는 위치까지 포함하여 3-way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실내공기 연통유로(142)와, 상기 상측 실외공기 연통유로(151)가 동시에 서로 마주보는 면에 면접하도록 형성된 제 1 격벽(11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서, 상기 2개의 유로에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가 흐르는 경우, 부수적인 열교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환기캡은, 실외공기를 흡입하는 캡흡입구(121, 122)를 캡 실외공기 분기 댐퍼(170)를 작동하여, 상측 및 하측 실외공기 캡흡입구(121, 122)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실내공기를 토출하는 실내공기 캡토출구(123, 124)도 상측 하측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되는 외기와 토출되는 실내공기가 서로 대각방향으로 흐르도록 하여 토출되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외기로 재 흡입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름철에는 도 11과 같이, 하측 실태공기 캡토출구(124)를 통해서 차가운 실내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며, 뜨거운 실외공기가, 상측 실외공기 캡흡입구(121)를 통해서 흡입되도록 하여, 차가운 실내공기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측 실외공기 캡흡입구(121)를 통해서 재흡입되는 것이 더욱 어렵다.
그리고, 겨울철에는 도 12와 같이, 따뜻한 실내공기가 상측으로 배출되고, 차가외 실외공기가 하측에서 흡입되어, 따뜻한 실내공기가 하측의 실외공기 캡흡입구(122)를 통해서 흡입되는 가능성을 더욱더 낮출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열회수 환기장치의 운전모드별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3은 환기모드의 작동도, 도 14는 공기청정모드, 도 15는 바이패스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환기모드로 작동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공기 공급팬(14)과 실내공기 토출팬(19)은 모두 작동하며, 공청 댐퍼(16)와 바이패스 댐퍼(18)는 폐쇄하며, 나머지 댐퍼들은 모두 개방하여 작동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경우,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전열소자(13)를 통해서 열교환한 후, 실외공기는 실내로 공급되고, 실내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공기청청모드로 작동되는 경우, 도 14와 같이, 공청 댐퍼(16)는 개방하고, 나머지 댐퍼는 모두 폐쇄한 상태에서 실외공기 공급팬(14)을 작동하게 된다. 그 결과, 실내공기가, 그대로 재 순환하게 되며, 살균장치(17)가 실내에 포함된 유해균을 살균할 수 있다.
바이패스모드로 작동되는 경우, 도 15와 같이, 공청 댐퍼(16)와 바이패스 댐퍼(18)를 개방한 후, 나머지 댐퍼는 모두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 실태공기 토출팬(19)을 작동하는 경우, 실내공기가 그대로 실외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열회수 환기장치는 별도의 배관없이, 창틀에 장착되어 작동될 수 있으며, 다양한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4: 실내공기 토출유로 5: 실외공기 공급유로
10: 열회수 환기장치 11a: 실내공기 흡입구
11: 실내공기 토출구 12a: 실외공기 토출구
12: 실외공기 흡입구 100: 환기캡
111: 저면 112: 실외공기 캡토출구
113: 실내공기 캡흡입구 121: 상측 실외공기 캡흡입구
122: 하측 실외공기 캡흡입구 123: 상측 실내공기 캡토출구
124: 하측 실내공기 캡토출구 140: 실내공기 연통유로
141: 상측 실내공기 연통유로 142: 하측 실내공기 연통유로
150: 실외공기 연통유로 151: 상측 실외공기 연통유로
152: 하측 실외공기 연통유로 160: 캡 실내공기 분기 댐퍼
170: 캡 실외공기 분기 댐퍼

Claims (5)

  1. 열회수 환기장치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열회수 환기장치의 일면에 접하는 저면과, 상기 저면의 양측에 형성된 양측면을 포함하는 환기캡 본체;
    상기 양측면 중 적어도 한면에 형성된 실내공기 캡토출구;
    상기 양측면 중 다른 한면에 형성된 실외공기 캡흡입구;
    상기 열회수 환기장치의 실내공기 토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저면에 관통되어 형성된 실내공기 캡흡입구;
    상기 열회수 환기장치의 실외공기 흡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저면에 관통되어 형성된 실외공기 캡토출구;
    상기 실내공기 캡흡입구와, 상기 실내공기 캡토출구를 연통하도록 상기 환기캡 본체 내에 형성된 실내공기 연통유로; 및
    상기 실외공기 캡토출구와, 상기 실외공기 캡흡입구를 연통하도록 상기 환기캡 본체 내에 형성된 실외공기 연통유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기 캡토출구와 상기 실내공기 캡흡입구는,
    상기 열회수 환기장치에 장착된 것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 캡토출구는, 상하로 서로 분리된 상측 실내공기 캡토출구 및 하측 실내공기 캡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공기 연통유로는 상측 실내공기 캡토출구와 연통된 상측 실내공기 연통유로와, 상기 상측 실내공기 연통유로와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측 실내공기 캡토출구와 연통된 하측 실내공기 연통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공기 캡흡입구를 상기 상측 실내공기 연통유로 및 상기 하측 실내공기 연통유로에 선택적으로 연통하도록 하는 캡 실내공기 분기 댐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기 캡흡입구는, 상하로 서로 분리된 상측 실외공기 캡흡입구 및 하측 실외공기 캡흡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실외공기 연통유로는, 상측 실외공기 캡흡입구와 연통된 상측 실외공기 연통유로와, 상기 상측 실외공기 연통유로와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측 실외공기 캡흡입구와 연통된 하측 실외공기 연통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실외공기 캡토출구를 상기 상측 실외공기 연통유로 및 상기 하측 실외공기 연통유로에 선택적으로 연통하도록 하는 캡 실외공기 분기 댐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실내공기 연통유로와, 상기 상측 실외공기 연통유로가 동시에 서로 마주보는 면에 면접하도록 형성된 제 1 격벽; 및
    상기 상측 실내공기 연통유로와, 상기 하측 실외공기 연통유로가 동시에 서로 마주보는 면에 면접하도록 형성된 제 2 격벽;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
KR1020200189407A 2020-12-31 2020-12-31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 KR102563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407A KR102563224B1 (ko) 2020-12-31 2020-12-31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407A KR102563224B1 (ko) 2020-12-31 2020-12-31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717A true KR20220096717A (ko) 2022-07-07
KR102563224B1 KR102563224B1 (ko) 2023-08-03

Family

ID=82397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407A KR102563224B1 (ko) 2020-12-31 2020-12-31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2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094B1 (ko) * 2005-06-20 2006-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KR20090006100U (ko) * 2007-12-17 2009-06-22 주식회사 이피아 환기장치용 통풍연결구조
KR20190030418A (ko) 2017-09-14 2019-03-22 주식회사 힘펠 전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094B1 (ko) * 2005-06-20 2006-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KR20090006100U (ko) * 2007-12-17 2009-06-22 주식회사 이피아 환기장치용 통풍연결구조
KR20190030418A (ko) 2017-09-14 2019-03-22 주식회사 힘펠 전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224B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875B1 (ko) 실내외 공기를 혼합하여 열교환 환기하는 열교환 환기장치
KR101956591B1 (ko) 열회수기능을 가진 환기형 공기정화 시스템
KR100617085B1 (ko) 초박형 환기장치
KR101348786B1 (ko) 냉난방장치
KR100628088B1 (ko) 박형 환기장치
KR100519310B1 (ko) 급배기 직결형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KR102009812B1 (ko) 환기장치
KR102175153B1 (ko) 환기겸용 실내공기정화시스템
KR102052348B1 (ko) 환기장치
WO2019184506A1 (zh) 室外接管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20110044623A (ko) 창틀형 수직 전열교환 환기장치
KR20070044092A (ko) 외기흡입장치가 구비된 코너 스탠드형 에어컨
KR102089784B1 (ko) 열회수 공기순환용 환기유니트의 댐퍼구조체
KR20050010363A (ko)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
KR102563224B1 (ko)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
KR20080083940A (ko) 전열교환 환기시스템
CN211876227U (zh) 一种外置窗式室内新风净化器
CN212673450U (zh) 一种分离型外置窗式新风净化器
CN111306670B (zh) 分离型外置窗式新风净化器
KR102105026B1 (ko)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KR20170035824A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KR100748138B1 (ko) 모듈형 공기조화시스템
KR102225598B1 (ko) 대용량 필터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KR100506405B1 (ko) 이중 덕트에 의한 열회수 방식을 이용한 환기 장치
KR102057687B1 (ko) 듀얼타입 열교환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