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948B1 -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방법 - Google Patents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948B1
KR101732948B1 KR1020160009408A KR20160009408A KR101732948B1 KR 101732948 B1 KR101732948 B1 KR 101732948B1 KR 1020160009408 A KR1020160009408 A KR 1020160009408A KR 20160009408 A KR20160009408 A KR 20160009408A KR 101732948 B1 KR101732948 B1 KR 101732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space
differential pressure
air
ventilation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균
문정환
강호석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9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20Displays or monitors
    • F24F2011/004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연결된 제1 실내공간(11) 및 제2 실내공간(12)을 포함하는 실내공간(10)의 차압 전환장치에 있어서, 외부공간(20)은 상기 제1 실내공간(11)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실내공간(12)에 대한 급기를 수행하는 급기부(100); 상기 제2 실내공간(12)에 대한 환기를 수행하는 환기부(200); 및 중앙공기조화기와 상기 급기부(100) 및 상기 환기부(200) 사이에 게재되는 전환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낮은 비용으로 건물의 각각의 실내공간마다 독립적으로 실내차압을 전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방법{ PRESSURE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병원 등과 같이 공기를 통한 감염이 발생될 수 있는 건축물의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를 통해 전파될 수 있는 오염물질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변적으로 실내공간의 공기압을 설정하여, 실내공간의 성격에 부합되게 실내공간의 공기압을 음압 또는 양압으로 전환토록 하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원 등과 같이 공기를 통한 감염이 발생될 수 있는 건축물의 경우 실내공간의 공기압을 조절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 병원의 경우 인간의 치료를 위한 다수의 실내공간을 포함하는 시설물로서, 환자의 수술, 치료 및 회복을 위해 각 실내공간의 보건환경을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상술된 환자의 수술 등을 위해서 일반건물에서는 고려되지 않았던 공기의 청정도 또는 실별 압력차이와 실내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의 배출과 같은 특수한 장비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러한 특수한 기능의 수행을 위해서 중앙공기조화장치를 중심으로 각 실내공간 마다 실내공간의 성격이 고려되어 설정된 공기압이 설정되어 음압 또는 양압 실내공간의 형성하고 있다.
음압이 형성된 실내공간은 주변 공간에 비해 내부압력이 낮기 때문에 주변의 공기가 음압 실내공간으로 유입되고, 양압이 형성된 실내공간은 주변 공간에 비해 내부압력이 높기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공기가 외부공간으로 유출된다.
따라서, 호흡기 환자와 같이 오염원으로 작용하는 환자가 머무르는 실내공간은 오염확산의 방지를 위해 음압 실내공간으로 하고, 수술실과 같이 지속적인 공기 환기가 요구되는 청정공간은 양압 실내공간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각 실내공간의 성격이 고려된 음압 또는 양압 실내공간은 공기에 의한 감염을 방지하고 치료 환성 조성에 많은 도움이 되지만, 병원의 경우 다수의 실내공간이 존재하고 이러한 실내공간의 용도가 유동적이므로 각각의 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실간의 압력차이를 변경 또는 조절할 수 있는 시설이 요구된다.
다만, 이러한 공기조화 시스템 구축은 그 구축비용과 운영비가 많이 소요되는 경제적인 문제 때문에 적극적인 설비시스템의 투자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비용으로 건물의 각각의 실내공간마다 독립적으로 실내차압을 전환할 수 있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변적이지 않은 중앙공기조화시스템을 갖는 기존의 건물에 대해서도 낮은 비용과 간단한 시공만으로 건물의 각각의 실내공간마다 독립적으로 실내차압을 전환할 수 있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앙공기조화시스템의 풍량 밸런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건물의 각각의 실내공간마다 독립적으로 실내차압을 전환할 수 있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연결된 제1 실내공간(11) 및 제2 실내공간(12)을 포함하는 실내공간(10)의 차압 전환장치에 있어서, 외부공간(20)은 상기 제1 실내공간(11)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실내공간(12)에 대한 급기를 수행하는 급기부(100); 상기 제2 실내공간(12)에 대한 환기를 수행하는 환기부(200); 및 중앙공기조화기와 상기 급기부(100) 및 상기 환기부(200) 사이에 게재되는 전환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실내공간(11)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실내공간(11)에 대한 급기 및 환기를 수행하는 차압조절부(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환부(300)는, 상기 중앙공기조화기와 상기 급기부(100)를 연결하는 급기통로(310); 상기 중앙공기조화기와 상기 환기부(200)를 연결하는 환기통로(320); 및 상기 급기통로(310) 및 상기 환기통로(320)와 상기 차압조절부(400)를 연결하는 차압조절통로(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환부(300)는 상기 차압조절통로(330)를 개폐하는 밸브(3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밸브(340)는, 상기 환기통로(320)와 연결된 상기 차압조절통로(330)를 개폐하는 제1 밸브(341); 및 상기 급기통로(310)와 연결된 상기 차압조절통로(330)를 개폐하는 제2 밸브(3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통로(310)의 일단에는 상기 급기부(100)를 구성하는 제2 실내공간용 급기덕트(110)와 연결되는 급기덕트 연결구(311)가 형성되며, 상기 급기통로(310)의 타단에는 상기 중앙공기조화기와 연결되는 메인 급기덕트 연결구(3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통로(320)의 일단에는 상기 환기부(200)를 구성하는 제2 실내공간용 환기덕트(210)와 연결되는 환기덕트 연결구(321)가 형성되며, 상기 환기통로(320)의 타단에는 상기 중앙공기조화기와 연결되는 메인 환기덕트 연결구(3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통로(330)의 단부에는 상기 차압조절부(400)를 구성하는 제1 실내공간용 조절덕트(410)와 연결되는 조절덕트 연결구(3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340)에 의한 상기 조절통로(330)의 개폐는 상기 전환부(300)의 외부에 구비된 스위치(5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실내공간(12)의 공기압을 음압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342)를 개방하고, 상기 제1 밸브(341)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실내공간(12)의 공기압을 양압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341)를 개방하고, 상기 제2 밸브(342)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를 이용한 실내공간의 공기압 유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내공간(11)과 제2 실내공간(12)의 현재 공기압의 차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600); 및 상기 스위치(500)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700)는 소정의 상기 제1 실내공간(11)과 제2 실내공간(12)의 공기압의 차이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500)의 개폐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공기압 유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낮은 비용으로 건물의 각각의 실내공간마다 독립적으로 실내차압을 전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변적이지 않은 중앙공기조화시스템을 갖는 기존의 건물에 대해서도 낮은 비용과 간단한 시공만으로 건물의 각각의 실내공간마다 독립적으로 실내차압을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앙공기조화시스템의 풍량 밸런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건물의 각각의 실내공간마다 독립적으로 실내차압을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각각의 실내공간을 양압 또는 음압 공간으로의 변경을 가능토록 함으로써, 공간사용의 효율을 높이고 청정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1인실 병실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6인실 병실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가 설치된 1인실 병실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가 설치된 6인실 병실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실내공간의 공기압이 등압, 양압, 차압인 상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환부의 제1 밸브가 개방되고 제2 밸브가 폐쇄된 상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환부의 제1 밸브가 폐쇄되고 제2 밸브가 개방된 상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중앙공기조화기의 풍량 변화 없이 독립적으로 실내공간의 차압을 등압, 양압 또는 음압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의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간 차압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간 차압장치가 설치되는 실내공간(10)은 제1 실내공간(11) 및 제2 실내공간(12)을 포함한다. 즉, 실내공간(10)을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실내공간(10)의 외부인 외부공간(20)은 제1 실내공간(11)과 연결되도록 한다.
병원의 경우라면 제2 실내공간(12)은 용도에 제공되는 수술실 내지 입원실에 해당하며, 제1 실내공간(11)은 수술실 내지 입원실의 전실에 해당하고, 외부공간(20)은 복도공간에 대응될 수 있다(도 1, 도 2).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는 제2 실내공간(12)의 등압, 양압 또는 음압 형성을 목적으로 하며, 제2 실내공간(12)에 대한 급기를 수행하는 급기부(100), 제2 실내공간(12)에 대한 환기를 수행하는 환기부(200), 중앙공기조화기와 급기부(100) 및 환기부(200) 사이에 게재되는 전환부(300) 및 제1 실내공간(11) 상에 형성되며 제1 실내공간(11)에 대한 급기 및 환기를 수행하는 차압조절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도 4, 도 5).
급기부(100)는 중앙공기조화기에서 제공되는 공기가 제2 실내공간(12)으로 제공되도록 하며,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인 제2 실내공간용 급기덕트(110) 및 공기의 토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4, 도 5).
환기부(200)는 제2 실내공간(12) 상의 공기를 중앙공기조화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인 제2 실내공간용 환기덕트(210) 및 공기의 유입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4, 도 5).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중앙공기조화기에는 급기 및 환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급기팬 및 환기팬이 구비될 수 있다.
차압조절부(400)는 제1 실내공간(11)에 대한 급기 및 환기를 수행하며, 이를 위해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인 제1 실내공간용 조절덕트(410) 및 공기의 유출입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환부(300)는 중앙공기조화기가 제공하는 공기 또는 제2 실내공간(12) 상에서 환기부(2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바이패스시켜 제2 실내공간(12)의 등압, 양압, 음압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전환부(300)는 중앙공기조화기와 급기부(100)를 연결하는 급기통로(310), 중앙공기조화기와 환기부(200)를 연결하는 환기통로(320), 급기통로(310) 및 환기통로(320)와 차압조절부(400)를 연결하는 차압조절통로(330)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즉, 제2 실내공간(12)에 구비된 급기부(100) 및 환기부(200)를 전실에 해당하는 제1 실내공간(11)에 구비된 차압조절부(400)와 연결되도록 하여, 전환부(300)를 통과하는 공기를 바이패스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환부(300)는 차압조절통로(330)를 개폐하는 밸브(340)를 더 포함하되, 밸브(340)는 환기통로(320)와 연결된 차압조절통로(330)를 개폐하는 제1 밸브(341) 및 급기통로(310)와 연결된 차압조절통로(330)를 개폐하는 제2 밸브(342)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제1 밸브(341)가 개방되고 제2 밸브(342)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환기통로(320)와 차압조절통로(330)가 연결되고 급기통로(310)와 차압조절통로(330)가 폐쇄되므로, 제1 실내공간 상에 형성된 차압조절부(400)는 중앙공기조화기 상의 환기 구조와 연결되어 제1 실내공간 상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도 7). 반면 급기부(100)를 통한 공기의 유입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이므로 결과적으로 제2 실내공간(12)의 공기량은 증대되고 제1 실내공간(11)의 공기량은 감소되어, 제2 실내공간(12)은 양압 상태로, 제1 실내공간(11)은 음압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도 6b).
이 경우 공기는 제2 실내공간(12) 상의 공기가 제1 실내공간(11)으로 이동되는 흐름을 갖는다. 제2 실내공간(12)에 급기 환기 구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배출 구조만이 형성된 제3 실내공간(13)이 구성되는 경우, 제2 실내공간(12) 상의 공기는 제3 실내공간(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양압상태의 제2 실내공간(12)은 중앙공기조화기를 통한 청정 공기만이 유입되고 제1 실내공간(11) 또는 제3 실내공간(13)과 같은 외부공간로부터 공기의 유입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청정 공기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는 반대로 제2 밸브(342)가 개방되고 제1 밸브(341)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급기통로(310)와 차압조절통로(330)가 연결되고 환기통로(320)와 차압조절통로(330)가 폐쇄되므로, 제1 실내공간(11) 상에 형성된 차압조절부(400)는 중앙공기조화기 상의 급기 구조와 연결되어 급기통로(310) 상의 공기가 일부 바이패스 됨으로써 제1 실내공간(11)으로 유입된다. 반면 환기부(200)를 통한 공기의 배출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이므로 결과적으로 제2 실내공간(12)의 공기량은 감소되고 제1 실내공간(11)의 공기량은 증대되어, 제2 실내공간(12)은 음압 상태로 제1 실내공간(11)은 양압 상태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공기는 제1 실내공간(11) 상의 공기가 제2 실내공간(12)으로 유입되는 흐름을 갖는다.
음압상태의 제2 실내공간(12)은 중앙공기조하기(40)를 통한 공기의 환기만이 수행되고 제1 실내공간(11)으로의 공기의 배출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폐쇄 공기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건물 내부로의 오염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전환부(300)는 별도의 세그먼트로 형성될 수 있어 이미 시공이 완료된 건물의 공기조화 장치에 부착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공의 편의성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환부(300)의 급기통로(310)의 일단에는 급기부(100)를 구성하는 제2 실내공간용 급기덕트(110)와 연결되는 급기덕트 연결구(311)가 형성되며, 급기통로(310)의 타단에는 중앙공기조화기와 연결되는 메인 급기덕트 연결구(312)가 형성될 수 있다(도 3).
또한, 환기통로(320)의 일단에는 환기부(200)를 구성하는 제2 실내공간용 환기덕트(210)와 연결되는 환기덕트 연결구(321)가 형성되며, 환기통로(320)의 타단에는 중앙공기조화기와 연결되는 메인 환기덕트 연결구(322)가 형성될 수 있다(도 3).
또한, 조절통로(330)의 단부에는 차압조절부(400)를 구성하는 제1 실내공간용 조절덕트(410)와 연결되는 조절덕트 연결구(331)가 형성될 수 있다(도 3).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기존 건물의 덕트에 조절부(300)를 조립시공하는 것만으로 독립적인 차압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의 밸브(340)에 의한 조절통로(330)의 개폐는 전환부(300)의 외부에 구비된 스위치(5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외부의 사용자가 용이하게 스위치(500)의 구동만으로 제2 실내공간(12)의 공기환경을 등압, 양압 또는 음압 환경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를 이용하면 실내공간의 공기압을 실내공간의 용도에 맞게 공기압을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를 이용한 실내공간의 공기압 유지 시스템은 제1 실내공간(11)과 제2 실내공간(12)의 현재 공기압의 차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600) 및 스위치(500)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되, 이 경우 제어부(700)는 소정의 제1 실내공간(11)과 제2 실내공간(12)의 공기압의 차이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스위치(500)의 개폐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제1 실내공간(11)과 제2 실내공간(12)의 공기압의 차이를 의미하는 소정의 차압 수치를 입력하면 제어부(700)는 소정의 차압 수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스위치(500)의 개폐를 상술된 방식에 맞도록 조정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제2 실내공간(12)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실내공간(12)의 공기압을 음압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제어부(700)는 제2 밸브(342)를 개방하고, 제1 밸브(341)를 폐쇄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내공간(12)의 공기압을 양압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제어부(700)는 제1 밸브(341)를 개방하고, 제2 밸브(342)를 폐쇄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급기부
200 : 환기부
300 : 전환부
400 : 차압조절부
500 : 스위치
600 : 모니터링부
700 : 제어부

Claims (10)

  1. 서로 연결된 제1 실내공간(11) 및 제2 실내공간(12)을 포함하는 실내공간(10)의 차압 전환장치에 있어서,
    외부공간(20)은 상기 제1 실내공간(11)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실내공간(12)에 대한 급기를 수행하는 급기부(100);
    상기 제2 실내공간(12)에 대한 환기를 수행하는 환기부(200);
    중앙공기조화기와 상기 급기부(100) 및 상기 환기부(200) 사이에 게재되는 전환부(300); 및
    상기 제1 실내공간(11)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실내공간(11)에 대한 급기 및 환기를 수행하는 차압조절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전환부(300)는,
    상기 중앙공기조화기와 상기 급기부(100)를 연결하는 급기통로(310);
    상기 중앙공기조화기와 상기 환기부(200)를 연결하는 환기통로(320); 및
    상기 급기통로(310) 및 상기 환기통로(320)와 상기 차압조절부(400)를 연결하는 차압조절통로(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300)는
    상기 차압조절통로(330)를 개폐하는 밸브(3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밸브(340)는,
    상기 환기통로(320)와 연결된 상기 차압조절통로(330)를 개폐하는 제1 밸브(341); 및
    상기 급기통로(310)와 연결된 상기 차압조절통로(330)를 개폐하는 제2 밸브(3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통로(310)의 일단에는 상기 급기부(100)를 구성하는 제2 실내공간용 급기덕트(110)와 연결되는 급기덕트 연결구(311)가 형성되며, 상기 급기통로(310)의 타단에는 상기 중앙공기조화기와 연결되는 메인 급기덕트 연결구(3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통로(320)의 일단에는 상기 환기부(200)를 구성하는 제2 실내공간용 환기덕트(210)와 연결되는 환기덕트 연결구(321)가 형성되며, 상기 환기통로(320)의 타단에는 상기 중앙공기조화기와 연결되는 메인 환기덕트 연결구(3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압조절통로(330)의 단부에는 상기 차압조절부(400)를 구성하는 제1 실내공간용 조절덕트(410)와 연결되는 조절덕트 연결구(3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340)에 의한 상기 차압조절통로(330)의 개폐는 상기 전환부(300)의 외부에 구비된 스위치(5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8. 제6항의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실내공간(12)의 공기압을 음압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342)를 개방하고, 상기 제1 밸브(341)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 방법.
  9. 제6항의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실내공간(12)의 공기압을 양압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341)를 개방하고, 상기 제2 밸브(342)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 방법.
  10. 제7항의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를 이용한 실내공간의 공기압 유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내공간(11)과 제2 실내공간(12)의 현재 공기압의 차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600); 및
    상기 스위치(500)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700)는 소정의 상기 제1 실내공간(11)과 제2 실내공간(12)의 공기압의 차이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500)의 개폐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의 공기압 유지 시스템.
KR1020160009408A 2016-01-26 2016-01-26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방법 KR101732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408A KR101732948B1 (ko) 2016-01-26 2016-01-26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408A KR101732948B1 (ko) 2016-01-26 2016-01-26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948B1 true KR101732948B1 (ko) 2017-05-08

Family

ID=6016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408A KR101732948B1 (ko) 2016-01-26 2016-01-26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9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855B1 (ko) * 2020-09-03 2022-01-04 금호맥이엔지 주식회사 공조 시스템
CN114293822A (zh) * 2022-01-14 2022-04-08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大空间正压建筑人员出入过渡区结构及自动调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0031A (ja) 2001-08-03 2003-02-21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病 室
JP2003083578A (ja) 2001-09-11 2003-03-19 Hitachi Ltd クリーンルーム
JP2004159730A (ja) 2002-11-11 2004-06-10 Nippon Ika Kikai Seisakusho:Kk 無菌病室
JP2010240282A (ja) * 2009-04-09 2010-10-28 Seiko Epson Corp 気圧制御装置及び気圧制御装置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0031A (ja) 2001-08-03 2003-02-21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病 室
JP2003083578A (ja) 2001-09-11 2003-03-19 Hitachi Ltd クリーンルーム
JP2004159730A (ja) 2002-11-11 2004-06-10 Nippon Ika Kikai Seisakusho:Kk 無菌病室
JP2010240282A (ja) * 2009-04-09 2010-10-28 Seiko Epson Corp 気圧制御装置及び気圧制御装置の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855B1 (ko) * 2020-09-03 2022-01-04 금호맥이엔지 주식회사 공조 시스템
CN114293822A (zh) * 2022-01-14 2022-04-08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大空间正压建筑人员出入过渡区结构及自动调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69544A1 (en) Unit with recovery wheel and economizer and method of control
GB2528642A (en) Apparatus
KR20160008956A (ko) 실압 제어 시스템 및 실압 제어 방법
KR101732948B1 (ko)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간의 차압 전환방법
KR101469425B1 (ko) 전열교환 환기장치
KR20090117043A (ko) 공기조화시스템
JPH07120025A (ja) 空調装置
KR20190012295A (ko) 공간 환기 제어 시스템
JP7515328B2 (ja) 空調制御装置、空調システムおよび空調制御方法
JP2003083578A (ja) クリーンルーム
JPH05264092A (ja) 空気調和装置
JP7491773B2 (ja) 給排気システム及びクリーンルームシステム
JP2019158216A (ja) 厨房換気ユニットおよび厨房換気方法
KR20220120895A (ko) 실내 환기 장치
KR20110070123A (ko) 실내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48339B1 (ko) 실내온도에 따라 비례적으로 풍량을 자동 조절하는 고효율 바닥취출장치
JP2003050031A (ja) 病 室
JPH07250870A (ja) 無菌病室
JP2022050846A (ja) 換気システム
KR102464040B1 (ko) 실내 환기 장치 제어 방법
JPH06109313A (ja) 変風量制御方式を使用した空調制御システム
JPH0692835B2 (ja) 室圧制御システム
JP7061054B2 (ja) クリーンルームシステム
JP4574076B2 (ja) 高度安全施設とその制御方法
JP2004138270A (ja) 室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