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603B1 - 습식원단을 이용한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습식원단을 이용한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603B1
KR102346603B1 KR1020200108886A KR20200108886A KR102346603B1 KR 102346603 B1 KR102346603 B1 KR 102346603B1 KR 1020200108886 A KR1020200108886 A KR 1020200108886A KR 20200108886 A KR20200108886 A KR 20200108886A KR 102346603 B1 KR102346603 B1 KR 102346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abric
line
forming lin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성
Original Assignee
안승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성 filed Critical 안승성
Priority to KR1020200108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2/00Multi-step production lines for mak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 A41D2300/52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6Deoderising or perfu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공 및 수분이 함유된 습식원단을 이용하여 마스크를 성형하여 이물질이나 바이러스의 필터링은 물론, 착용자의 호흡의 용이성과 피부트러블 등과 같은 증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습식원단을 이용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습식원단을 재단한 상기 재단원단을 이용하되 한 쌍의 상기 재단원단 끝단이 서로 이어지게 접합부를 형성하며, 양측에는 착용공이 천공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 전면에서 후면까지 이어지게 형성되되 착용부위의 밀착을 용이하게 상기 접합부와 이어지도록 형성된 라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라인부는 각각 열압착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몸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1형성라인, 상기 제2형성라인과 '+'자 형상으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제2형성라인 및 상기 제2형성라인 양측에 각각 형성되되 상단이 상기 제2형성라인 상단과 이어지며 하단은 상기 제1형성라인 하단과 이어지게 형성되는 제3형성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습식원단을 이용한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Mask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ing the moisture containing cloth}
본 발명은 기공 및 수분이 함유된 습식원단을 이용하여 마스크를 성형하여 이물질이나 바이러스의 필터링은 물론, 착용자의 호흡의 용이성과 피부트러블 등과 같은 증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습식원단을 이용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호흡기인 안면에 구비하여 호흡기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마스크의 필터작용으로 먼지나 바이러스의 호흡기 유입을 차단하여 보다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한국과 일본 지역에서는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오는 시기에 중국으로부터 날아오는 황사와 중국 공업단지에서 날아오는 미세먼지로 인한 스모그로 인해 대기는 극도로 오염되고 있으며, 대기오염은 해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어 호흡기 계통의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 증가와 어린이들의 각종 알레르기성 증상 등의 안전사고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어 현대사회에서의 마스크는 필수 생활물품으로 취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마스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부분 건식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되고 있으나, 이러한 건식공정을 통하여 제작된 마스크는 그 소재 자체의 항균 효과가 부여되지 않아 잦은 호흡으로 인한 습기 등으로 인하여 착용자의 피부트러블 유발은 물론, 그 품질성에 따라 보풀 등이 일어나 자주 교체해야 하며, 착용자의 얼굴표면과 밀착성이 용이하지 않아 호흡시에 이물질의 필터링이 불완전하고, 소취기능이 없어 재사용을 위한 세탁을 실행시에 변색이나 탈색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956253호(공고일:2019.03.12.) 국내등록특허 제10-1772716호(공고일:2017.08.29.) 국내공개특허 제10-2014-61336호(공개일:2014.05.21.)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항균성, 친물성 및 탄력성을 갖는 습식소재를 이용하여 필터링이 우수한 마스크를 제조함으로써, 착용자의 밀착성이 용이하며, 착용자의 호흡에 간섭을 주지않으면서도 해당 습식소재 자체의 소취효과로 인하여 잦은 세탁에도 변색이나 탈색이 방지될 수 있는 습식성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습식원단을 이용한 마스크는 습식원단을 재단한 상기 재단원단을 이용하되 한 쌍의 상기 재단원단 끝단이 서로 이어지게 접합부를 형성하며, 양측에는 착용공이 천공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 전면에서 후면까지 이어지게 형성되되 착용부위의 밀착을 용이하게 상기 접합부와 이어지도록 형성된 라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라인부는 각각 열압착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몸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1형성라인, 상기 제2형성라인과 '+'자 형상으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제2형성라인 및 상기 제2형성라인 양측에 각각 형성되되 상단이 상기 제2형성라인 상단과 이어지며 하단은 상기 제1형성라인 하단과 이어지게 형성되는 제3형성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 상부나 하부에는 상기 라인부가 연장 형성된 연장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은 1)항균성 습식원단을 일정크기로 재단하는 단계와, 2)재단이 이루어진 상기 습식원단을 검사하는 단계와, 3)검사가 이루어진 상기 습식원단을 절단하여 다수의 재단원단을 획득하는 단계 및 4)한 쌍의 상기 재단원단을 순차적으로 열압착하여 접합부와 라인부가 형성된 마스크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2)단계에서는 상기 습식원단의 두께검사 및 검사수단에 의한 이물질검사를 실행하되 상기 습식원단의 두께는 1.4t ~ 1.7t 이며, 상기 라인부는 제1형성라인, 제2형성라인 및 제3형성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4)단계에서는 상기 재단원단을 펼친 상태로 열압착에 의해 상기 접합부, 상기 제2형성라인 및 상기 제3형성라인을 먼저 형성한 이후에 다시, 상기 재단원단을 반으로 접은 상태로 열압착하여 상기 제1형성라인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되게 친환경 항균제가 구비된 습식원단를 재단한 한 쌍의 재단원단으로 착용자의 얼굴피부와 접촉하는 몸체를 이루고 있어 그 수분성에 의해 부드러운 감촉을 유발할 수 있으며, 항균성을 통해 피부트러블 등의 유발을 방지함과 동시에 호흡에 의한 수분이 상기 몸체 내부에 포집되어도 곰팡이나 악취를 유발하는 미생물의 생식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되게 탄력성 습식원단의 사용으로 착용감이 향상되되 잦은 세탁에도 변색이나 탈색되는 현상이 방지되며, 몸체 전면이 돔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게 하는 라인부의 형성으로 인하여 착용자의 호흡에 용이한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습식성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원단을 이용한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면.
도 3은 도 2에 대한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대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원단을 이용한 마스크에 대한 연장돌출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원단을 이용한 마스크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원단을 이용한 마스크 제조방법에 대한 습식원단의 절단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원단을 이용한 마스크 제조방법에 대한 검사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대한 습식원단의 이물질 검사를 나타낸 작용관계도.
도 11 및 도 12는 도 8에 대한 습식원단 이물질 검사의 다른 실시예.
도 13은 도 8에 대한 브라켓에 설치된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도 8에 대한 재단원단의 획득을 나타낸 도면.
도 16 및 도 17은 도 8에 대한 라인부의 형성을 나타낸 도면.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아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습식원단을 이용한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하기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습식원단을 이용한 마스크(이하, 간략하게 '마스크'라 한다)와 습식원단을 이용한 마스크 제조방법(이하, 간략하게 '제조방법'이라 한다)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는 크게, 착용자의 얼굴에 착용되는 몸체(100) 및 상기 몸체(10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인부(2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몸체(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후술하는 라인부(200)를 통해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얼굴 형상을 따라 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몸체(100)는 한 쌍의 재단원단(110)이 서로 겹쳐지되 각각의 상기 재단원단(110) 끝단을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열선 등을 이용한 열에 의해 서로 이어지도록 접착한 접합부(111)에 의해 그 전체적인 외형 유지가 결정되며, 양측에는 착용자의 귀(Ear)에 걸어 착용될 수 있는 착용공(113)이 소정지름을 갖도록 천공형성된다.
한 쌍의 재단원단(110)이 서로 겹쳐진 형태를 갖는 몸체(100)의 두께는 2.8t 내지 3.4t 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가장 이상적인 상기 몸체(100)의 두께는 3.2t 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호흡의 용이성은 물론, 침 등의 분비물이 외부로 비산방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착용공(113)의 테두리부분에는 탄력에 의해 늘어나거나 좁혀짐이 가능한 탄성부재(115)가 더 구비되어 본 발명인 마스크(1)의 착용감이 더욱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몸체(100)의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착용자의 얼굴 형상이나 용도 등에 따라 연장돌출부(117)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돌출부(117)는 습식원단(10)을 형성하기 위한 습식원단(10)을 절단시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돌출부(117)는 기본적으로 착용자의 콧등과 턱선을 기본적으로 덮을 수 있게 몸체(1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몸체(100)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연장돌출부(117)는 생략되어 해당 착용자의 턱선이 일자 형상인 경우에 상기 몸체(100)가 얼굴에 더욱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후술하는 제1 내지 제3형성라인(210,220,230)을 포함하는 라인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장돌출부(117)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게 접합부(111)와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습식원단(10)은 필름형 PET 수지 상에 폴리우레탄 수지 배합액이 코팅되되 코팅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배합액이 응고조를 통해 응고시켜 폴리우레탄 폼 시트로 형성시킨 후, 상기 폴리우레탄 폼 시트에 함유된 수용성 염혼합물을 수제 용수에 녹여 다수의 기공을 형성시킨 원단을 의미하며, 해당 원단에 백금과 실버 등의 나노 입자로 이루러진 친환경 혼합제를 도포 또는 함침하여 항균 기능을 활성화시킨 원단을 의미한다.
이러한 습식원단(10)은 예컨대 필름형 기재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기재 위에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배합액을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는 단계 이후에, 기재상에 코팅된 폴리우레탄 수지 배합액을 응고조를 통과시키면서 응고시켜 폴리우레탄 폼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거쳐, 폴리우레탄 폼 시트를 수세조를 통과시키면서 폴리우레탄 폼 시트에 함유된 수용성 염 혼합물을 수세 용수에 녹여 제거함으로써 폴리우레탄 폼 시트에 미세 기공을 형성하고, 동시에 폴리우레탄 폼 시트에 함유된 유기 용제를 수세조의 용수로써 제거하는 수세 단계의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그 이후에, 상기 수세된 폴리우레탄 폼 시트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거쳐 건조된 폴리우레탄 폼 시트를 일정한 두께로 슬라이싱(slicing)하는 슬라이싱 단계를 실행하며, 슬라이싱된 폴리우레탄 폼시트의 표면이나 그 내부에 함침될 수 있게 액상으로 이루어진 친환경 도포제를 도포 또는 함침시키는 공정단계들을 통하여 획득하게 된다.
하여, 이러한 친물성, 탄력성 및 항균기능을 갖는 습식원단(10)을 절단한 재단원단(110)을 본 발명인 마스크(1)의 몸체(100)로 사용하고 있어 항균 기능은 물론, 수분성을 가지고 있어 기존의 마스크원단보다 소재의 감촉이 부드럽고 착용 이후에 착용자의 피부트러블 유발이 방지되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인부(200)는 상술한 접합부(111)와 함께 몸체(100)의 형상유지는 물론, 착용자의 얼굴 윤곽에 따라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 제1형성라인(210), 제2형성라인(220) 및 제3형성라인(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있으며, 하기에는 제1 내지 제3형성라인(210,230,230)이 상기 몸체(100)에 모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라인부(200)는 후술하는 제조방법(2)의 공정을 통해 재단원단(110)에 상기 라인부(200)의 형성모양을 따라 열선 등으로 열을 가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점에 유의한다.
예컨대 제1형성라인(2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0) 양측을 기준으로 임의의 중앙부(C)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를 위해 상기 제1형성라인(210)은 상기 몸체(100)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착용공(113)이 서로 겹쳐지게 접혀진 상태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형성라인(210) 상부와 하부는 몸체(100)의 접합부(111)와 이어지게 형성되되 연장돌출부(117)의 형성에 따라 상기 연장돌출부(117)를 지나 상기 접합부(111)와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형성라인(22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몸체(100)에 형성된 제1형성라인(210)과 '+'자 형태로 가로지르는(Cross)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본 발명인 마스크(1)를 착용한 이후에 상기 제1 및 제3형성라인(210,230)과 함께 착용자의 호흡이 용이하도록 몸체(100) 전면이 돔(Dome)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형성라인(220)의 양단은 몸체(100) 상단에 형성된 접합부(111)와 서로 이어지게 형성하여 돔 형상을 갖는 몸체(100)의 형상유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형성라인(23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형성라인(210)을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대칭될 수 있게 몸체(100)에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제3형성라인(230)은 그 각각의 하단이 상기 제1형성라인(210) 하단 및 접합부(111)와 이어지되 그 각각의 상단은 제2형성라인(220) 양단 및 상기 접합부(111)와 이어지게 형성되어 착용자가 착용 이후에 상술한 상기 돔 형상으로 전면이 돌출된 상기 몸체(10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라인부(200)는 몸체(100)의 전면은 물론, 후면까지 이어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한 쌍의 재단원단(110)이 서로 겹쳐져 외피와 내피의 구성을 갖도록 접합부(111)에 의해 접착된 몸체(100)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마스크(1)를 착용자가 착용하여 호흡을 실행시에 해당 내피를 이루는 상기 재단원단(110)이 들숨과 날숨에 의해 입과 코 등의 얼굴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는 종래와는 차별되게 친환경 항균제가 구비된 습식원단(10)를 재단한 한 쌍의 재단원단(110)으로 착용자의 얼굴피부와 접촉하는 몸체(100)를 이루고 있어 그 수분성에 의해 부드러운 감촉을 유발할 수 있으며, 항균성을 통해 피부트러블 등의 유발을 방지함과 동시에 호흡에 의한 수분이 상기 몸체(100) 내부에 포집되어도 곰팡이나 악취를 유발하는 미생물의 생식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되게 몸체(100) 전면이 돔 형상으로 돌출된 라인부(200)의 형성으로 인하여 착용자의 호흡에 용이한 효과를 갖게 된다.
한편, 하기에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효과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의 제조방법(2)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2)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1)습식원단을 재단하는 단계(S100), 2)습식원단을 검사하는 단계(S200), 3)재단원단을 획득하는 단계() 및 4)마스크를 성형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1)단계(S100)는 재단원단(110)을 획득하기 위해 습식원단(10)을 일정 크기로 절단 및 상기 습식원단(10)을 1차 검사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검사테이블(미도시) 상면에 펼쳐질 수 있게 두루마리 형태로 제공되는 습식원단(10)을 롤러(미도시)상에서 권출시킨다.
작업자는 검사테이블에 펼쳐진 습식원단(10)을 육안(돋보기 등의 사용 포함)으로 상기 습식원단(10)의 파손 여부나 파악되는 이물질의 존재 여부 등을 확인하는 1차 검사를 실시하며, 해당 1차 검사가 실행된 이후에, 소정의 넓이 즉, 후술하는 3)단계(S300)에서 실행되고자 하는 다수의 재단원단(110)이 획득될 수 있게 일정크기로 재단(절단)한다.
이때, 검사테이블 표면에는 눈금이 표시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해당 눈금을 이용하여 원하는 크기로 습식원단(10)을 가위나 칼 등의 절단기구를 통해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단계(S200)는 상술한 1)단계(S100)에서 1차 검사하여 재단된 습식원단(10)의 두께나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는 이물질을 2차로 검사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일정크기로 절단이 이루어진 습식원단(10)을 개별적으로 지그(400)에 안착시켜 컨베이어(300) 등을 통해 검사수단(500)에 공급하여 상기 습식원단(10)의 2차 검사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지그(400)에 주름없이 펼쳐지게 안착한 상기 습식원단(10)은 고정핀(410) 등에 의해 상기 지그(4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안착된다.
습식원단(10)의 두께는 버니어 캘리퍼스(Vernier Calipers) 등과 같은 두께측정기를 통해 절단이 이루어진 다수의 상기 습식원단(1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그 선택된 상기 습식원단(10)의 두께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해당 두께의 측정이 이루어진 상기 습식원단(10)은 컨베이어(300)를 통해 이동가능하게 지그(400)에 안착되어 검사수단(500)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습식원단(10)의 두께는 1.4t 내지 1.7t의 수치가 가장 이상적이며, 그 이유는 후술하는 4)단계(S400)를 통해 한 쌍의 재단원단(110)을 서로 접합하여 본 발명인 마스크(1)로 사용시,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의 제거는 물론, 기침이나 재체기 등에 의한 분비물의 비상효과를 억제하는데 용이하면서도 착용자의 호흡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최상의 두께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검사수단(500)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300)는 물론, 습식원단(10)이 안착된 지그(400)가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510), 상기 본체(510)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습식원단(10)을 근접 촬영하여 모니터(미도시) 등을 통해 육안으로 식별가능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촬영부재(520), 상기 본체(510)에 구비되되 상기 촬영부재(520)의 승강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부재(530) 및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촬영부재(520)는 상부가 승강부재(530)와 회전 및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브라켓(521) 및 상기 브라켓(521) 하부에 다수 구비되는 카메라(523)를 포함한다.
브라켓(521)은 바람직하게는 본체(510) 내부에서 회전시에 용이하도록 소정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상부 중심부는 승강실린더(533)에서 연장된 승강로드(531) 하부와 고정 결합하여 상기 승강실린더(533)에 의해 승강하는 구조를 갖는다.
카메라(523)는 브라켓(521) 하부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 배치되되 제어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승강부재(530)에 의해 상기 브라켓(521)이 하강한 상태에서 근접촬영된 습식원단(10)의 촬영정보를 모니터로 전송하여 작업자에 의해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도 13 참조)
이때, 카메라(523)에 의한 습식원단(10)의 촬영은 본체(510) 내부로 진입하는 지그(400)의 진입거리 및 브라켓(521)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535)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습식원단(10)의 표면을 무작위로 촬영하여 이물질에 의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510)의 개구부를 통해 지그(400)가 상기 본체(510) 내부로 유입되기 이전에, 제어부(600)는 상기 지그(400)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구비된 위치센서(420)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위치센서(420)가 감지센서(511)에 의해 감지되어 컨베이어(300)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하여, 상기 지그(400)가 상기 본체(510) 내부로 완전히 유입되어 카메라(523)에 의해 습식원단(10)을 촬영하도록 하거나 상기 지그(400)가 상기 본체(510) 외부로 일부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523)를 통해 상기 습식원단(10)을 촬영하여 상기 습식원단(10) 전체면적 대비 골고루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가 이루어진 마스크(1)의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브라켓(531)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535)의 회전각도는 제어부(600)에 의해 무설정 각도로 회전하여 검사하고자 하는 습식원단(10) 표면을 다수의 카메라(523)가 불특정부분을 촬영하여 불량률 감소에 일조하게 되며, 이를 위해 상기 회전모터(535)는 상기 브라켓(531)과 결합한 승강로드(531)와 함께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갖되 상기 승강로드(531)에 구비된 기어와 서로 치(齒) 결합하여 상기 승강로드(53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브라켓(531)이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
물론, 제어부(600)는 필요에 따라 지그(400)가 본체(510) 내부로 완전히 유입된 상태의 실시예와 상기 지그(400)가 상기 본체(510) 외부로 일부 노출된 상태의 실시예 모두를 촬영하여 검사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나, 마스크(1)의 대량생산에 필요한 공정시간의 단축을 위해서 상기 제어부(600)는 어느 하나의 실시예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검사수단(500)에 의해 2차 검사가 이루어진 습식원단(10)은 컨베이어(300)를 통해 본체(510) 외부로 이동하여 3)단계(S300)의 진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3)단계(S300)는 1차 및 2차 검사가 이루어진 다수가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 습식원단(10)을 함께 절단 후, 다수의 재단원단(110)을 획득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를 위해,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2 이상 적층구조를 갖는 다수의 습식원단(10)은 절단기(미도시) 내부에 일체로 공급되어 해당 절단기의 커팅에 의해 다수의 재단원단(110)을 적층의 형태로 획득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절단기의 커팅에 의해 획득된 재단원단(110)은 후가공으로 펀칭기(미도시) 등의 펀칭을 통해 착용공(113)이 천공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4)단계(S400)는 본 발명에서의 마스크(1) 형상을 획득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를 위해,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3)단계(S300)에서 획득한 한 쌍의 재단원단(110)이 서로 겹쳐지게 외피와 내피를 구성하도록 구비하여 펼쳐진 상태로 열압착기에 구비된 열선의 압착에 의해 서로 접하는 상기 재단원단(110) 끝단이 접합되게 접합부(111)를 형성시켜 한 쌍의 상기 재단원단(110)이 서로 이어지도록 성형한다.
이때, 프레스기는 한 쌍의 재단원단(110)의 접합부(111)를 형성과 동시에 제2형성라인(220)과 제3형성라인(230)이 열선에 의해 함께 형성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접합부(111), 제2형성라인(220) 및 제3형성라인(230)이 형성된 이후의 한 쌍의 재단원단(110)은 제1형성라인(210)의 형성을 위해 상기 재단원단(110)을 반으로 접은 상태의 형상으로 열압착기(또는 다른 열압착기 사용도 가능)로 압착하여 상기 제1형성라인(210)이 그 접혀진 상기 재단원단(110)에 열압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재단원단(110)에 라인부(200)의 형성이 마감되어 사용가능한 마스크(1)의 성형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한다.(도 3 참조)
물론, 필요에 따라 4)단계(S400)에서는 열압착기로 접합부(111)와 라인부(200)를 형성하는 공정중에 각각의 착용공(113) 둘레면에 직조물 형태를 갖는 탄성부재(115)를 미리 구비시켜 열압착하여 상기 탄성부재(115)가 상기 착용공(113)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4)단계(S400) 이후에는 성형한 마스크(1)를 세척 및 건조하는 소취공정이 더 추가될 수 있으며, 해당 소취공정 이후에 상기 마스크(1)를 개별 또는 다수가 겹쳐지도록 포장하여 상품출고 가능하도록 하는 마감공정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을 자명한 사실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습식원단을 이용한 마스크
2: 본 발명에 따른 습식원단을 이용한 마스크 제조방법
10: 습식원단
100: 몸체
110: 재단원단 111: 접합부
113: 착용공 115: 탄성부재
117: 연장돌출부
200: 라인부
210: 제1형성라인 220: 제2형성라인
230: 제3형성라인
300: 컨베이어
400: 지그
410: 고정핀 420: 위치센서
500: 검사수단
510: 본체 511: 감지센서
520: 촬영부재 521: 브라켓
523: 카메라 530: 승강부재
531: 승강로드 533: 승강실린더
535: 회전모터
600: 제어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1)항균성 습식원단(10)을 일정크기로 재단하는 단계;
    2)재단이 이루어진 상기 습식원단(10)을 검사하는 단계;
    3)검사가 이루어진 상기 습식원단(10)을 절단하여 다수의 재단원단(110)을 획득하는 단계; 및
    4)한 쌍의 상기 재단원단(110)을 순차적으로 열압착하여 접합부(111)와 라인부(200)가 형성된 마스크(1)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2)단계에서는 상기 습식원단(10)의 두께검사 및 검사수단(500)에 의한 이물질검사를 실행하되 상기 습식원단(10)의 두께는 1.4t ~ 1.7t 이며,
    상기 라인부(200)는 제1형성라인(210), 제2형성라인(220) 및 제3형성라인(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4)단계에서는,
    상기 재단원단(110)을 펼친 상태로 열압착에 의해 상기 접합부(111), 상기 제2형성라인(220) 및 상기 제3형성라인(230)을 먼저 형성한 이후에 다시, 상기 재단원단(110)을 반으로 접은 상태로 열압착하여 상기 제1형성라인(21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형성라인(210, 220, 230) 각각의 양단은,
    연장돌출부(117)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게 상기 접합부(111)와 이어지며, 상기 제1 내지 제3형성라인(210, 220, 230)은, 착용자가 상기 마스크(1) 착용시 상기 마스크(1) 전면이 돔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원단을 이용한 마스크 제조방법.

  4. 삭제
KR1020200108886A 2020-08-27 2020-08-27 습식원단을 이용한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6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886A KR102346603B1 (ko) 2020-08-27 2020-08-27 습식원단을 이용한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886A KR102346603B1 (ko) 2020-08-27 2020-08-27 습식원단을 이용한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603B1 true KR102346603B1 (ko) 2021-12-31

Family

ID=79177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886A KR102346603B1 (ko) 2020-08-27 2020-08-27 습식원단을 이용한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6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302B1 (ko) * 2022-12-12 2023-07-28 주식회사 태봄 강화된 품질 검수를 통한 의류 물류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1336A (ko) 2014-04-09 2014-05-21 황철민 필터 주머니가 달린 습식 필터 미세먼지용 마스크
KR101772716B1 (ko) 2009-09-30 2017-08-29 가부시키가이샤 엔비씨 메슈테크 마스크
KR101956253B1 (ko) 2017-09-04 2019-03-12 이문준 습식용 마스크
JP2019206773A (ja) * 2018-05-29 2019-12-05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マスク
KR102145265B1 (ko) * 2020-03-24 2020-08-18 안승성 기능성 패션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161011B1 (ko) * 2020-03-20 2020-09-29 용원주 재사용이 가능한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716B1 (ko) 2009-09-30 2017-08-29 가부시키가이샤 엔비씨 메슈테크 마스크
KR20140061336A (ko) 2014-04-09 2014-05-21 황철민 필터 주머니가 달린 습식 필터 미세먼지용 마스크
KR101956253B1 (ko) 2017-09-04 2019-03-12 이문준 습식용 마스크
JP2019206773A (ja) * 2018-05-29 2019-12-05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マスク
KR102161011B1 (ko) * 2020-03-20 2020-09-29 용원주 재사용이 가능한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145265B1 (ko) * 2020-03-24 2020-08-18 안승성 기능성 패션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302B1 (ko) * 2022-12-12 2023-07-28 주식회사 태봄 강화된 품질 검수를 통한 의류 물류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2808B2 (ja) 変化する特性の領域を有する吸収性物品用の再使用可能な外側カバー
RU2446845C1 (ru) Фильтрующая лицевая респираторная маска с основой, содержащей структуру из параллельных линий сварных швов
JP5242741B2 (ja) 有孔のトップシート、および有孔による液体捕捉
KR102346603B1 (ko) 습식원단을 이용한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JP7142632B2 (ja) マスク
RU2474445C2 (ru) Фильтрующая лицевая респираторная маска с формообразующим слоем из пенистого материала
JP5497067B2 (ja) 吸収性物品用の再利用可能な外側カバー
CN201752459U (zh) 一次性尿布
US20130226122A1 (en) Reusable Outer Cover for an Absorbent Article Having Zones of Varying Properties
JP2017522461A (ja) コントラスト層を含むレスピレータ
JP2003527892A (ja) メルトブロウン不織布バックシートを含む使い捨て衣類
SE439247B (sv) Andningsmask for engangsbruk
JP2009508621A (ja) キャリパー回復力を有する有孔の液体捕捉層
WO2012091907A1 (en) Respirator having valve with an ablated flap
JP2000073210A (ja) 手袋用インサ―ト及び手袋
KR20190054493A (ko) 마스크 및 마스크 제작 방법
KR101336188B1 (ko) 마스크
KR102342511B1 (ko) 투명창이 구비된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JP6967834B2 (ja) 着色識別領域を有する放射性物質除去用マスク
BR112020024578A2 (pt) laminado elástico com elásticos em rolo e camada formada em não tecido
US20210307422A1 (en) Protective respirators and a method of making a protective respirator
JP2000509109A (ja) 吸収性物品のモノフィラメント補強結合システム及びこれの製造方法
KR20170142808A (ko) 마스크
WO2024019131A1 (ja) マスク
JPS6034606A (ja) 通気性防塵作業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