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586B1 - 자동차유리 보호필름 - Google Patents

자동차유리 보호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586B1
KR102346586B1 KR1020200040545A KR20200040545A KR102346586B1 KR 102346586 B1 KR102346586 B1 KR 102346586B1 KR 1020200040545 A KR1020200040545 A KR 1020200040545A KR 20200040545 A KR20200040545 A KR 20200040545A KR 102346586 B1 KR102346586 B1 KR 102346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urethane
thickness
protective film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3151A (ko
Inventor
손희동
이승택
조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케이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케이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케이씨에스
Priority to KR1020200040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586B1/ko
Publication of KR20210123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on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은 보호층; 상기 보호층의 일면에 적층된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하면에 코팅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의 하면에 적층되는 이형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으로 형성된 지지층; 상기 지지층의 상면에 위치하며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층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제1 폴리우레탄층; 및 상기 지지층의 하면에 위치하며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폴리우레탄층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제2 폴리우레탄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유리 보호필름{PROTECTION FILM FOR VEHICLE GLASSES}
본 발명은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앞뒤의 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윈드 쉴드(WIND SHIELD) 및 리어 글래스(REAR GLASS), 좌우의 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프런트 도어 및 리어 도어 글래스(FRT & RR DOOR GLASS)의 윈도우 글라스가 설치되어 있다.
눈부심 방지, 자외선 및/또는 열의 차단, 차량의 유리 파손시 유리조각의 비산에 의한 부상 방지, 또는, 프라이버시 보호 및 차체의 미관의 향상의 목적으로,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에 다양한 기능 및 용도의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이 시공되고 있다.
종래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유리 보호필름(100)은 외부 스크레치 방지용 외부 보호층(110), 외부 보호층(110)의 하면에 배치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 기재층(120), 기재층(120)의 하면에 배치된 점착층(130) 및 점착층(130)의 하면에 배치되어 이물질이 붙는 것을 방지하는 이형 필름(140)을 포함한다. 기재층(120)은 PET 소재의 투명 필름을 특정 공정을 통해 원하는 색상 또는 기능을 가지도록 처리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이 시공에 있어서는, 작업 대상 글라스와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이 완전히 밀착되어 접착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기재층(120)을 형성하는 PET 소재는 복원성이 우수하여 평편하지 않은 작업 대상 글라스에 밀착하여 부착되지 않았다. 그에 따라, 작업 대상 글라스에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을 부착한 후 평편하지 않은 라운딩(Rounding) 부분은 히트건(Heat Gun)을 사용하여 열성형한다. 히트건을 이용하여 열성형 하지 않으면, 라운딩 부위에 들뜸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에 시공될 때 열성형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온도변화, 자외선 및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박리현상을 방지하는 차량유리용 보호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은 보호층; 상기 보호층의 일면에 적층된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하면에 코팅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의 하면에 적층되는 이형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으로 형성된 지지층; 상기 지지층의 상면에 위치하며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층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제1 폴리우레탄층; 및 상기 지지층의 하면에 위치하며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폴리우레탄층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제2 폴리우레탄층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층은 연신율이 30% 이하이고 투과율이 9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지지층은 상기 기재층의 총 두께의 10~2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폴리우레탄층은 상기 기재층의 총 두께의 25~35%의 두께를 가지며, 연신율이 9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폴리우레탄층은 상기 기재층의 총 두께의 50~60%의 두께를 가지며, 연신율이 15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총 두께가 100㎛ 이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상기 기재층의 하면에 10 내지 30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지지층의 일면 상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용액(solution)을 적층하여 상기 제2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단계;PET 라이너(PET liner)로 이루어진 상기 이형 필름 상에 점착제를 적층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점착층에 상기 제2 폴리우레탄층을 접착시키는 단계; 상기 지지층의 타면 상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용액(solution)을 적층하여 상기 제1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폴리우레탄층 상에 기능성 물질을 코팅하여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폴리우레탄계 용액을 상기 지지층 상에 50 ㎛ 내지 75 ㎛의 두께로 코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기 이형 필름 상에 상기 점착제를 25 ㎛ 내지 35 ㎛의 두께로 코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1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폴리우레탄계 용액을 상기 지지층의 타면 상에 25 ㎛ 내지 50 ㎛의 두께로 코팅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에 시공될 때 열성형할 필요 없는 차량유리용 보호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연신율이 향상되어 자동차 윈도우의 라운딩면에서도 부착성이 좋은 차량유리용 보호필름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온도변화, 자외선 및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박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의 굴곡진 면에 부착된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유리 보호필름(200)은 보호층(210), 제1 폴리우레탄(PU)층(220), 지지층(230), 제2 폴리우레탄(PU)층(240), 점착층(250), 및 이형 필름(260)을 포함한다.
보호층(210)은 제1 PU층(220) 상에 소정의 물질을 코팅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물질은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물질도 가능하다. 예컨대, 소정의 물질은 열차단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나노 세라믹 등의 참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210)은 기본적으로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보호층(210)은 UV차단 기능을 가지며, 그 하부층의 황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층(210)은 외부의 먼지나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층(210)은 바깥 환경의 먼지나 이물 등에 대해 잘 달라붙지 않게 하는 방오 기능을 갖는다.
또한, 보호층(210)은 발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발수 기능은 자동차가 우천 주행시 보호층(120)의 표면 상에 맺힌 물방울이 잘 굴러 떨어질수 있도록 한다. 그에 따라, 자동자의 운전자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제1 PU층(220), 지지층(230) 및 제2 PU층(240)은 기재층(300)을 형성한다.
도 3은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의 굴곡진 면에 부착된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자동차유리 보호필름(200)은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에 부착되기 위해 점착층(250)을 보호하고 있는 이형 필름(260)이 제거되고, 점착층(250)이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에 접착된다. 점착층(250)의 접착력에 의해 자동차유리 보호필름(200)이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의 라운딩면(2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점착층(25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지지층(23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제1 PU층(220) 및 제2 PU층(240)이 각각 위치하고 있다.
제1 PU층(220)은 기재층(300)의 상층에 해당하며, 폴리우레탄(Polyurethane)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PU층(220)은 지지층(230) 상에 형성되며 기재층(300)의 최하부층인 제2 PU층(240)와 함께 지지층(230)을 고정시켜 복원성을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폴리우레탄은 PET보다 연질이므로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이 자동차 윈도우의 라운딩 부위에 부착시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PU층(220)은 연신율이 90% 이상이고 투과율이 90% 이상일 수 있다. 제1 PU층(220)의 두께는 기재층(300)의 총 두께의 25~35%의 두께를 갖는다. 또한, 제1 PU층(220)은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다. 제1 PU층(220)은 지지층(23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연신율은 시편이 끊어지지 않고 늘어나는 비율을 나타내며, %의 단위를 갖는다.
지지층(23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신율 30% 이하이고 투과율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층(230)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예컨대, 23 ㎛ 이상일 경우, 복원성이 강해져서 자동차유리 보호필름(200)이 부착되는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의 라운딩면으로의 부착성이 저하된다. 자동차유리 보호필름(200)의 라운딩면은 평편하지 않고 약간 굴곡져 있다. 따라서, 자동차유리 보호필름(200)이 부착되는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의 라운딩면(20)에 부착된 경우, 자동차유리 보호필름(200)은 복원성이 강하면 원래의 상태 즉, 평평한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 자동차유리 보호필름(200)은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에 완전히 부착되지 않고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에서 PET층이 차지하는 총 두께가 25 ㎛ 내지 48 ㎛ 으로 두꺼워서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의 라운딩면에 부착된 경우 성형성 및 부착성이 저하되었다.
따라서, 지지층(230)은 자동차유리 보호필름(200)은 복원성이 증가하지 않도록 제1 PU층(220) 및 제2 PU층(24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즉, 지지층(230)은 자동차유리 보호필름(200)은 복원성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제1 PU층(220) 및 제2 PU층(240)을 지지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지지층(230)은 상기 기재층의 총 두께의 10~2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지지층(230)은 12 내지 23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지지층(230)은  12 내지 23 ㎛의 두께를 가진 박막 PET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험적으로, 지지층(230)은 12 내지 23 ㎛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의 라운딩면에 부착된 경우 성형성 및 부착성이 향상되었다.
이와 같이, 지지층(230)은 두께는 얇지만, 상층부와 하층부 즉, 제1 PU층(220) 및 제2 PU층(24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해주며, 제1 PU층(220) 및 제2 PU층(240)을 고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층(230)은 연신율이 30% 이하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층(230)은 연신율이 낮기 때문에 전체 기재층(300)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2 PU층(240)은 자동차유리 보호필름(200)이 부착되는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에 부착되었 때,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Glass)에 가장 가까운 층이며, 전체 자동차유리 보호필름(200)의 연신을 용이하게 해서 자동차 윈도우 클라스의 라운딩면에 부착성을 올려줄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에 가까운 제2 PU층(240)이 제2 PU층(240)보다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로부터 먼 제1 PU층(220)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PU층(240)은 제1 PU층(220)의 두께의 2배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PU층(240)은 두께 비중(제1 PU층, 지지층(230) 및 제2 PU층(240)중 50~60%)이 가장 높으며, 연신율 150%이상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PU층(240)의 두께는 기재층(300)의 총 두께의 50~60%의 두께를 갖는다.
제2 PU층(240)은 두껍고 연신이 많이 되어서, 지지층(230) 및 제1 PU층(220)의 연신의 부하를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요약하면, 제1 PU층(220)은 연신율이 90% 이상이고, 제1 PU층(220)의 두께는 기재층(300)의 총 두께의 25~35%의 두께를 갖는다. 또한, 제2 PU층(240)은 연신율이 150% 이상이고, 제2 PU층(240)의 두께는 기재층(300)의 총 두께의 50~60%의 두께를 갖는다. 또한, 지지층(230)이 제1 PU층(220) 및 제2 PU층(23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폴리우레탄층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연신율이 증가하며, 폴리우레탄층의 두께와 연신율의 관계를 표 1에 예시하였다.
폴리우레탄(PU)층의 두께 연신율(%)
20 ㎛ 90%
50 ㎛ 150% 이상
또한, 제2 PU층(240)은 투과율은 90% 이상일 수 있다. 제2 PU층(240)은 지지층(230)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2 PU층(240)은 지지층(230)을 고정시켜 지지층(230)의 복원성을 감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기재층(300)은 하층부의 제2 PU층(240), 중층부의 지지층(230) 및 상층부의 제1 PU층(220)을 포함한다. 기재층(300)은 충격방지의 효과를 위해 3개층의 총 두께가 100 ㎛ 이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재층(300)은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탄 혼합물로 이루어진 제1 PU층(220) 및 제2 PU(240)으로만 기재층(300)을 형성하면 너무 소프트해서 자동차유리 보호필름(200)의 취급성(시공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박막의 지지층(230)을 제1 PU층(220)과 제2 PU층(240)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에 따라, 제1 PU층(220)과 제2 PU층(240)은 공통적으로 중층의 지지층(230)을 고정시켜 복원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PU층(240)은 두께를 두껍게 해서 자동차유리 보호필름(200) 제품 전체의 연신을 용이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PU층(240)도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다.
이 경우, 하층 두께 즉, 제2 PU층(240)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연신율이 떨어진다. 중층인 지지층(230)은 연신율이 낮기 때문에 지지층(230)의 복원성으로 인해 제2 PU층(240)의 두께가 얇으면,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에 시공시 들뜸 현상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하층의 제2 PU층(240)의 두께는 기재층(300)의 총 두께의 50~60%의 두께를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재층(300)의 총 두께가 100 ㎛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재층(300)은 연신율이 작은 지지층을 2개의 폴리우레탄층들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다시 말해, 지지층(230)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 폴리우레탄층들이 PET로 형성된 지지층(230)의 복원성을 억제하여,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이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에 시공 즉, 부착시,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이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로부터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자동차유리 보호필름(200)의 기개층(300)의 일면, 예컨대, 하면에는 점착층(250)이 형성되어 있다. 점착층(250)은 기재층(300)의 하면에 10 내지 30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점착층(250)은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데, 차량유리 보호필름에 점착성능을 부여하여 차량용 보호필름이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에 점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아크릴공중합체 100 중량부, 경화제 2.5 내지 3.5 중량부 및 용제 30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용제는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층(250)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자동차 윈도우 클라스의 굴곡이나 요철이 발생한 부위에 대해 점착성능을 발휘하기가 곤란하여 들뜸이나 박리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250)의 두께가 30 ㎛를 초과하게 되면 자동차 윈도우 클라스의 굴곡이나 요철이 발생한 부위에 대한 점착성능은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평활도가 낮아져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없고, 자동차유리 보호필름(200)을 자동차 윈도우 클라스에서 제거하는 과정에서 잔사가 발생할 수 있다.
점착층(250)은 자동차유리 보호필름(200)이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에 부착될 수 있는 접착력을 제공한다. 점착층(250)은 이형 필름(260)에 의해 보호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형 필름(260)은 두께 25 내지 36 ㎛의 PET 라이너(PET lin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자동차유리 보호필름(200)의 이형 필름(260)을 제거하고 자동차유리 보호필름(200)을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에 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자동차유리 보호필름(200)을 제조하기 위해, 단계 S412에서 PET 필름(230)으로 이루어진 지지층(230)의 일면 상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용액(solution)을 두께 50 내지 75 ㎛로 적층 또는 코팅하여 제2 PU층(240)을 형성한다.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용액(solution)은 폴리우레탄 40 내지 50% 중량, 레벨링제(leveling agent) 0.1 내지 3% 중량 및 용제(solvent) 50% 내지 70% 중량의 조성비를 갖는다. 레벨링제는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의 표면 평활도를 향상하기 위한 첨가제이다. 폴리우레탄계 용액을 지지층(230)에 코팅시 평활도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레벨링제는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의 시인성 향상을 위해 반드시 첨가되어야 한다.
레벨링제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중량의 조성비를 갖는다. 용제는 폴리우레탄을 용해할 수 있는 액체를 의미한다. 즉, 물에 녹지 않는 폴리우레탄을 녹여 균일한 용액을 만들 수 있다. 레벨링제는 실리콘계, 아크릴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용제는 예컨대,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MEK) 또는 톨루엔(Toluene) 등 유기용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414에서 이형 필름(260)인 두께 25 내지 36 ㎛의 PET 라이너(PET liner) 상에 점착제를 두께 25 내지 36 ㎛로 적층 또는 코팅하여 점착층(250)을 형성한다. 그리고 단계 420에서 이형 필름(260) 상에 형성된 점착층(250)에 지지층(230)의 일면 상에 코팅된 제2 PU층(240)을 접착시킨다.
이어서, 단계 430에서, 지지층(230)의 타면 상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용액(solution)을 두께 25 내지 50 ㎛로 적층 또는 코팅하여 제1 PU층(220)을 형성한다.
이 경우, 제1 PU층(220)을 형성하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용액(solution)과 제2 PU층(240)을 형성하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용액(solution)은 다른 물질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이어서, 단계 440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PU층(220) 상에 기능성 물질을 코팅하여 보호층(210)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PU층(220) 상에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진 필름을 접착시켜 보호층(210)을 형성할 수 있다.
기능성 물질은 스크래치 방지, UV 차단 또는 오염 차단이 가능한 물질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물질을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 보호층 220: 제1 PU층
230: 지지층 240: 제2 PU층
250: 점착층 260: 이형 필름

Claims (11)

  1. 보호층;
    상기 보호층의 일면에 적층된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하면에 코팅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의 하면에 적층되는 이형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으로 형성된 지지층;
    상기 지지층의 상면에 위치하며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층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제1 폴리우레탄층; 및
    상기 지지층의 하면에 위치하며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폴리우레탄층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제2 폴리우레탄층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층은 연신율이 30% 이하이고 투과율이 90% 이상이며,
    상기 제1 폴리우레탄층은 25 ㎛ 내지 50 ㎛의 두께를 가지며 연신율이 90% 이상이며,
    상기 제2 폴리우레탄층은 50 ㎛ 내지 75 ㎛의 두께를 가지며, 연신율이 150% 이상이며,
    상기 기재층은 총 두께가 100 ㎛ 이상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유리 보호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상기 기재층의 총 두께의 10~2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유리 보호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우레탄층은 상기 기재층의 총 두께의 25~35%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유리 보호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우레탄층은 상기 기재층의 총 두께의 50~6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유리 보호필름.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기재층의 하면에 10 내지 30 ㎛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유리 보호필름.
  8. 청구항 1의 자동차유리 보호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지지층의 일면 상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용액(solution)을 적층하여 상기 제2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단계;
    PET 라이너(PET liner)로 이루어진 상기 이형 필름 상에 점착제를 적층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점착층에 상기 제2 폴리우레탄층을 접착시키는 단계;
    상기 지지층의 타면 상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용액(solution)을 적층하여 상기 제1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폴리우레탄층 상에 기능성 물질을 코팅하여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폴리우레탄계 용액을 상기 지지층 상에 50 ㎛ 내지 75 ㎛의 두께로 코팅하는 단계이며,
    상기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기 이형 필름 상에 상기 점착제를 25 ㎛ 내지 35 ㎛의 두께로 코팅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1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폴리우레탄계 용액을 상기 지지층의 타면 상에 25 ㎛ 내지 50 ㎛의 두께로 코팅하는 단계이며,
    상기 지지층은 연신율이 30% 이하이고 투과율이 90% 이상이며,
    상기 제1 폴리우레탄층은 연신율이 90% 이상이며,
    상기 제2 폴리우레탄층은 연신율이 150% 이상인 자동차유리 보호필름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상기 기재층의 총 두께의 10~2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유리 보호필름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우레탄층은 상기 기재층의 총 두께의 25~35%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유리 보호필름 제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우레탄층은 상기 기재층의 총 두께의 50~6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유리 보호필름 제조 방법.
KR1020200040545A 2020-04-02 2020-04-02 자동차유리 보호필름 KR102346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545A KR102346586B1 (ko) 2020-04-02 2020-04-02 자동차유리 보호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545A KR102346586B1 (ko) 2020-04-02 2020-04-02 자동차유리 보호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151A KR20210123151A (ko) 2021-10-13
KR102346586B1 true KR102346586B1 (ko) 2022-01-05

Family

ID=7811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545A KR102346586B1 (ko) 2020-04-02 2020-04-02 자동차유리 보호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5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4118B (zh) * 2022-02-26 2023-04-28 浙江世窗光学薄膜制造有限公司 一种聚氨酯多层膜及其制备方法
CN114479707B (zh) * 2022-02-26 2023-03-14 浙江世窗光学薄膜制造有限公司 一种聚氨酯多层膜及其制备方法
CN115092534B (zh) * 2022-06-14 2024-04-09 武汉武耀安全玻璃股份有限公司 Pet、pu和fg在汽车玻璃包装间隔材料上的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8586A (ja) * 2013-05-08 2014-11-20 日東電工株式会社 ガラス保護用粘着シート
KR101803268B1 (ko) 2017-06-12 2017-12-28 주식회사 씨엠에스 스크래치 자가복원 기능을 가진 모바일 기기용 자가복원 보호필름
JP2019031255A (ja) 2017-08-09 2019-02-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フロントガラス用保護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355B1 (ko) * 2016-09-28 2023-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품
KR102097799B1 (ko) * 2016-12-14 2020-04-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표시장치의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8586A (ja) * 2013-05-08 2014-11-20 日東電工株式会社 ガラス保護用粘着シート
KR101803268B1 (ko) 2017-06-12 2017-12-28 주식회사 씨엠에스 스크래치 자가복원 기능을 가진 모바일 기기용 자가복원 보호필름
JP2019031255A (ja) 2017-08-09 2019-02-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フロントガラス用保護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151A (ko) 202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6586B1 (ko) 자동차유리 보호필름
US8172300B2 (en) Protective laminates
KR101961585B1 (ko) 열-복사-반사 코팅 및 그에 부착된 체결 또는 밀봉 요소를 갖는 판유리
EP2617589B1 (en) Transparent laminated structure having peel-away film layers for use on aircraft windscreens
KR101504481B1 (ko) 윈도우 필름
CN108136881B (zh) 采用光电元件的天窗
WO2016035527A1 (ja) 車両用ガラス物品
CN1931942A (zh) 改良制品
JPS6016344B2 (ja) 透明板ガラス構造体及びその製造法
WO2017188728A2 (ko) 페인트 보호 필름
KR20160060114A (ko) 중합체 판유리 및 유리 판유리로 구성된 복합 판유리
US20220072831A1 (en) Car glass protection film having self-restoration performance
KR20180014942A (ko)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보호 필름 및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보호 필름 조립체
KR102238910B1 (ko) 적층판 및 표면보호판
JP2020012082A (ja) ウィンドウフィルム
KR102251137B1 (ko) 자동차 앞 유리 바깥 면 부착용 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
EP3075584A1 (en) Automotive plastic panel
KR20130038217A (ko) 윈도우에 부착하기 위한 라미네이트 필름
JP2019077781A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積層体、光学透明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積層シート
US8322775B1 (en) Transparent laminated structure having peel-away film layers for use on aircraft windscreens
KR101675563B1 (ko) 보호필름
KR102129290B1 (ko) 자동차유리 보호필름 및 그 처리방법
EP3120998A1 (en) Multilayer stack of polymer films
CN215799281U (zh) 用于车窗的玻璃保护膜
KR100856139B1 (ko) 선바이저용 거울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