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268B1 - 스크래치 자가복원 기능을 가진 모바일 기기용 자가복원 보호필름 - Google Patents

스크래치 자가복원 기능을 가진 모바일 기기용 자가복원 보호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268B1
KR101803268B1 KR1020170073231A KR20170073231A KR101803268B1 KR 101803268 B1 KR101803268 B1 KR 101803268B1 KR 1020170073231 A KR1020170073231 A KR 1020170073231A KR 20170073231 A KR20170073231 A KR 20170073231A KR 101803268 B1 KR101803268 B1 KR 101803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self
weight
restoring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에스
Priority to KR1020170073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 C09D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62Self-repairing, self-hea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래치 자가복원 기능을 가진 모바일 기기용 자가복원 보호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4면 모서리와 측면 엣지 굴곡면을 가진 글라스 부착을 위해 포밍작업을 하지 않지만 하드코팅을 대신하여 자가복원 코팅층이 코팅작업으로 만들어지고 자가복원 코팅층의 하드코팅이 되기 때문에 스크래치 방지 효과를 가지는 자가복원 기능을 가진 모바일 기기용 자가복원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래치 자가복원 기능을 가진 모바일 기기용 자가복원 보호필름{protecting film for self healing)}
본 발명은 스크래치 자가복원 기능을 가진 모바일 기기용 자가복원 보호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4면 모서리와 측면 엣지 굴곡면을 가진 글라스 부착을 위해 포밍작업을 하지 않지만 하드코팅을 대신하여 자가복원 코팅층이 코팅작업으로 만들어지고 자가복원 코팅층의 하드코팅이 되기 때문에 스크래치 방지 효과를 가지는 자가복원 기능을 가진 모바일 기기용 자가복원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기기 부품은 고급화의 일환으로 블랙 하이그로시 사양이 다수 적용되고 있는데, 하이그로시 적용시에 발생되는 스크래치는 상품성을 저감시켜 소비자 불만을 증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 부품에 발생되는 스크래치는 소비자에 의해 발생되는 생활 스크래치가 대부분인데 모바일 기기 부품의 고급화를 달성하기 위해 스크래치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것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종래에는 도막의 경도를 높여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하거나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0-29389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나노 크기의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를 이용하여 경도를 높이는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으나, 스크래치 방지에는 한계가 있으며, 발생된 스크래치는 사라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333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아크릴, 지방족 폴리에스터 등을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우레탄 분자구조의 탄성을 이용하여 스크래치 자가복원 성능을 구현하고자 하였으나 물성이 떨어져 부품의 물성을 만족시키지 못하며, 건조속도가 저하되어 산업용으로 이용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글라스 보호필름은 하드코팅이 있으나 들뜸 복원력이 없기 때문에 스크래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글라스 보호필름은 4면 모서리와 측면 엣지 굴곡면을 가진 글라스 부착을 위해 포밍작업을하지 않기 때문에 스크래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4면 모서리와 측면 엣지 굴곡면을 가진 글라스 부착을 위해 포밍작업을 하지 않지만 하드코팅을 대신하여 자가복원 코팅층이 코팅작업으로 만들어지고 자가복원 코팅층의 하드코팅이 되기 때문에 스크래치 방지 효과를 가지는 자가복원 기능을 가진 모바일 기기용 자가복원 보호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자가복원필름층(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PI(폴리이소프렌), TPU(열가소성 플라스틱 우레탄), PO(폴리올레핀) 및 CPP(Crystal Polypropylene: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재에 아크릴 접착제 또는 실리콘 접착제가 사용된 박리제거용 상부보호필름층(10); 스크래치 자가복원 기능을 가진 자가복원필름층(20); 자가복원필름층(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I(폴리이소프렌), TPU(열가소성 플라스틱 우레탄), PO(폴리올레핀), CPP(Crystal Polypropylene: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및 PP(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제1 하부지지필름층(30); 제1 하부지지필름층(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CPP, PET, TPU, PO, PP 및 PE(폴리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제2 하부지지필름층(40); 제2 하부지지필름층(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점착제층(50); 및 실리콘점착제층(5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박리제거용 이형필름층(6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래치 자가복원 기능을 가진 모바일 기기용 자가복원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가복원가능을 가진 모바일 전자기기용 보호필름은 4면 모서리와 측면 엣지 굴곡면을 가진 글라스 부착을 위해 포밍작업을 하지 않지만 하드코팅을 대신하여 자가복원(Self Healing) 코팅층이 코팅작업으로 만들어지고 자가복원코팅층의 하드코팅(Hardness coating)이 되기 때문에 스크래치 방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자가복원가능을 가진 모바일 전자기기 보호필름은 레인보우 현상이 없으며, 투과율과 헤이즈 기능도 손상없이 유지되는 화학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어 레인보우 현상이 없으며, 투과율과 헤이즈 기능도 손상없이 유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가복원 보호필름을 나타낸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가복원필름층(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PI(폴리이소프렌), TPU(열가소성 플라스틱 우레탄), PO(폴리올레핀) 및 CPP(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재에 아크릴 접착제 또는 실리콘 접착제가 사용된 박리제거용 상부보호필름층(10); 스크래치 자가복원 기능을 가진 자가복원필름층(20); 자가복원필름층(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I(폴리이소프렌), TPU(열가소성 플라스틱 우레탄), PO(폴리올레핀), CPP(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및 PP(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제1 하부지지필름층(30); 제1 하부지지필름층(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CPP, PET, TPU, PO, PP 및 PE(폴리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제2 하부지지필름층(40); 제2 하부지지필름층(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점착제층(50); 및 실리콘점착제층(5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박리제거용 이형필름층(6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래치 자가복원 기능을 가진 모바일 기기용 자가복원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보호필름층(10)은 두께가 25 내지 125㎛이며, 자가복원필름층(20)은 10 내지 100㎛이고, 제1 하부지지필름층(30)은 3.3 내지 100㎛이며, 제2 하부지지필름층(40)은 40 내지 80㎛이고, 실리콘점착제층(50)은 10 내지 100㎛이며, 이형필름층(60)은 25 내지 12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가복원필름층은 전체 도료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분지화 폴리에스터 수지 30 ~ 40 중량%; 아크릴 폴리올 수지 30 ~ 40 중량%; 반응촉매제 0.2 ~ 0.5 중량%; 반응지연제 0.99 ~ 9.0 중량%; 및 경화제 20 ~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응촉매제는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응지연제는 디케톤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케톤 화합물은 2,4-펜탄다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경화제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라이머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알로파네이트 트라이머가 중량비 1 : 1~3 으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보호필름층(10)은 광안정제 0.5 ~ 2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안정제는 Tinuvin 400 및 Tinuvin 292가 중량비 2~3 : 1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분지화 폴리에스터 수지, 아크릴 폴리올 수지, 경화제, 광안정제 및 반응촉매제 등을 포함하는 스크래치 자가복원 코팅층 조성물로서 도막에 발생된 스크래치 등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가 복원되는 기능이 있다.
페인트나 에나멜 등이 포함되는 도료(Paint and varnish , 塗料)는 고체 물질의 표면에 칠하게 되면, 고체막을 만들고 고체의 표면을 보호하고 아름답게 하는 유동성 물질의 총칭으로 수지, 안료, 경화제 및 분산제 등의 혼합물이다. 폴리우레탄(Polyurethane)층은 사용목적에 따라 알키드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변성 아크릴 폴리올 및 아크릴 폴리올 등으로 분류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지화 폴리에스터 수지 및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수산기(Hydroxy group, -OH)는 경화제에 포함되어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Isocyanate, -NCO)와 반응하여 우레탄결합(-NHCOO-)을 형성하며 도막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폴리우레탄이다.
폴리우레탄은 경화 후 분자간 화학 결합에 의해 3차원 망상구조를 형성하여 도막의 유연성이 증가하므로 외부 힘에 의한 스크래치 등으로 상기 폴리우레탄이 변형되어도 원래 상태로 회복하는 성질이 강하며 열가소성 탄성체에 비해 변형이나 열에 대한 내구성도 우수하고 도막의 외관 및 도장 작업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폴리에스터 수지는 다가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의 산 무수물과 같은 산 성분과, 다가 알코올의 축합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폴리에스터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으로는 일반적으로 다염기산 성분을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모노카복실산이 사용된다. 상기 다염기산 성분에는 방향족 다이카복실산, 지방족 다이카복실산 또는 지환식 다이카복실산 등이 있다.
방향족 다이카복실산에는 테레프탈산, 아이소프탈산, 프탈산, 무수 프탈산, 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 또는 바이페닐다이카복실산 등이 있다. 지방족 다이카복실산에는 옥살산, 말론산, 석신산, 무수석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크산 또는 도데케인2산, 및 수첨 다이머산 등의 포화 지방족 다이카복실산과 퓨마르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이타콘산, 무수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무수 시트라콘산 또는 다이머산 등의 불포화 지방족 다이카복실산 등이 있다.
지환식 다이카복실산에는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 1,3-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 1,2-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 2,5-노보넨다이카복실산, 무수 2,5-노보넨다이카복실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또는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등이 있다.
폴리에스터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으로는 일반적으로 다가 알코올 성분을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모노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다가 알코올 성분에는 지방족 글라이콜, 지환식 글라이콜 또는 에터 결합 함유 글라이콜 등이 있다.
지방족 글라이콜에는 에틸렌글라이콜, 1,2-프로페인다이올, 1,3-프로페인다이올, 1,4-뷰테인다이올, 2-메틸-1,3-프로페인다이올, 1,5-펜탄다이올, 네오펜틸글라이콜, 1,6-헥세인다이올, 3-메틸-1,5-펜탄다이올, 1,9-노난다이올 또는 2-에틸-2-뷰틸프로페인다이올 등이 있다. 지환식 글라이콜에는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 등이 있다.
에스터 결합 함유 글라이콜에는 다이에틸렌글라이콜,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2,2-비스[4-(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페인과 같은 비스페놀류(비스페놀A)의 에틸렌옥사이드부가체, 비스[4-(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설폰과 같은 비스페놀류(비스페놀S)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체,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폴
리프로필렌글라이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라이콜 등이 있다.
2 작용기의 알코올 화합물만을 사용하여서는 분지화된 폴리에스터 수지 합성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3 작용기 이상의 글리세린, 트라이메틸올에테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및 펜타에리트리톨 등의 분지화 단량체의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야 한다.
분지화 단량체의 다른 예로는 다작용성 산 또는 글리콜 등이 있는데, 예를 들어 트라이멜리트산, 트라이멜리트산 무수물, 파이로멜리트산 이무수물, 트라이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또는 3-하이드록시글루타르산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분지화 단량체는 트라이멜리트산 무수물, 파이로멜리트산 무수물, 글리세롤, 솔비톨, 1,2,6-헥산트라이올,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틸올에탄, 및 트라이메스산에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한다.
분지화 폴리에스터 수지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후 우레탄 구조를 형성하여 스크래치 발생 시 탄성으로 복원할 수 있는 자가복원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분지화 폴리에스터 수지는 전체 도료 조성물 중량 대비 30 ~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중량%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은 4000~7000이며, 수산기 함량이 4~6%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지화 폴리에스터 수지가 3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도료 조성물의 물성은 향상되지만 스크래치 복원 성능이 구현되기 어려우며, 4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도막의 끈적임 발생으로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반응성이 떨어져 일반적인 건조조건에서는 충분한 우레탄 가교결합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아크릴 폴리올(Acryl polyol) 수지는 수산기(-OH)를 가진 아크릴 모노머(Monomer), 스틸렌 모노머 등을 공중합시킨 폴리머이다. 일반적으로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라디칼 중합개시제의 존재 하에 각종 중합성 모노머와 수산기를 함유한 아크릴 모노머를 용액 중합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아크릴 폴리올 수지가 포함된 도료 조성물의 물성은 아크릴 모노머의 종류, 조성비, 분자량 및 수산기가 등에 영향을 받으며, 속건성, 내후성, 내약품성 및 기계적 물성 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분지화 폴리에스터 수지의 부족한 물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며 적절한 배합으로 내장부품에 적용가능한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전체 도료 조성물 중량 대비 30 ~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3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끈적임이 증가하여 경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4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스크래치 복원성능이 떨어지며 충격 및 굴곡성에 의해 도막 깨짐(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Mw)이 6,000∼15,000 범위이며, 산가 3∼10mg/KOH, 수산기 함량 1∼5%, 유리전이온도 40∼5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도막의 끈적임을 최소화하는데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고형분 함량이 40 중량%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아크릴 폴리올 수지에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와 같은 비닐형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들을 열분해 개시제 하에서 라디칼 용액중합하여 제조된 생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경화제는 도료 조성물의 경화를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무황변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라이머(HDI trimer) 및 경화속도 향상을 목적으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알로파네이트 트라이머(HDI allophanate trimer, 바람직하게 4~4.5의 NCO 관능기를 가짐)를 중량비 1 : 1~3 혼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제는 전체 도료 조성물 중량 대비 20 ~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8중량%인데, 2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도료의 경화가 일어나지 않아 도막의 물성 확보가 어려우며, 3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가사 시간이 짧아져 작업을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광안정제는 장시간 빛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도막의 노화나 변색 등을 방지하며, 자외선 차단, 빛에너지 흡수 및 전환, 자유 라디칼 제거기능 등의 역할을 하는 데, 자외선 흡수계(UV absorbers) 및 입체 장애 효과를 지닌 유기아민계 화합물인 UV HALS(UV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를 적절히 혼합해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자외선 흡수계 광안정제에는 벤조페논계, 옥사아닐리드계, 벤조트리아졸계 또는 트리아진계 등이 사용가능하며, 상기 UV HALS계 광안정제로는 4-벤조일옥시-2,2,6,6-테트라메틸비페리딘 또는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하이드록시벤조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Tinuvin 400 및 Tinuvin 292 가 2~3 : 1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안정제는 전체 도료 조성물 중량 대비 0.5 ~ 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도막이 쉽게 황변되고 광택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2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도료 저장성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내장재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에 도장 후 건조시에 소재의 변형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저온경화(80℃ 이하에서)가 이루어지는데, 보통 아크릴우레탄 2액형 반응을 이용하고 있으며 생산성 향상을 위해 건조시간도 30분 정도 소요된다.
반응촉매제는 위와 같은 조건에서 충분한 우레탄 가교결합을 시키기 위해 [0055] 수지 중에 포함된 수산기(OH기)와 경화제 중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기(NCO기)의 반응속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반응촉매제는 전체 도료 조성물 중량 대비 0.2 ~ 0.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2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반응속도 향상을 크게 기대할 수 없고, 0.5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도장의 외관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자가복원 도료에 사용되는 분지화 폴리에스터 수지는 수산기의 함량이 높고 아크릴 수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반응속도가 느리므로 반응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과량의 반응촉매제가 필요하지만(0.2~0.5 중량%), 이로 인하여 가사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반응지연제를 0.99 ~ 9.0 중량%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반응지연제로는 디케톤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디케톤 화합물은 한 분자 내에 케톤성 카르보닐기가 두 개 있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두 케톤기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1,2-(또는 α-), 1,3-(또는 β-) 및 1,4-디케톤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되며, 부탄 다이온 및 헥산 다이온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디케톤 화합물로 2,4-펜탄다이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지연제는 전체 도료 조성물 중량 대비 0.99 ~ 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99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이 요구하는 가사시간을 확보하기 어렵고, 9.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반응이 크게 지연되어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상부보호필름층 20: 자가복원필름층
30: 제1 하부지지필름층 40: 제2 하부지지필름층

Claims (3)

  1. 자가복원필름층(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PI(폴리이소프렌), TPU(열가소성 플라스틱 우레탄), PO(폴리올레핀) 및 CPP(crystal polypropylene: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재에 아크릴 접착제 또는 실리콘 접착제가 사용된 박리제거용 상부보호필름층(10);
    스크래치 자가복원 기능을 가진 자가복원필름층(20);
    자가복원필름층(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I(폴리이소프렌), TPU(열가소성 플라스틱 우레탄), PO(폴리올레핀), CPP(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및 PP(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제1 하부지지필름층(30);
    제1 하부지지필름층(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CPP, PET, TPU, PO, PP 및 PE(폴리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제2 하부지지필름층(40);
    제2 하부지지필름층(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점착제층(50); 및
    실리콘점착제층(5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박리제거용 이형필름층(6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보호필름층(10)은 두께가 25 내지 125㎛이며, 자가복원필름층(20)은 10 내지 100㎛이고, 제1 하부지지필름층(30)은 3.3 내지 100㎛이며, 제2 하부지지필름층(40)은 40 내지 80㎛이고, 실리콘점착제층(50)은 10 내지 100㎛이며, 이형필름층(60)은 25 내지 125㎛인 것이며,
    상기 자가복원필름층은 전체 도료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분지화 폴리에스터 수지 30 ~ 40 중량%; 아크릴 폴리올 수지 30 ~ 40 중량%; 반응촉매제 0.2 ~ 0.5 중량%; 반응지연제 0.99 ~ 9.0 중량%; 및 경화제 20 ~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래치 자가복원 기능을 가진 모바일 기기용 자가복원 보호필름.




  2. 삭제
  3. 삭제
KR1020170073231A 2017-06-12 2017-06-12 스크래치 자가복원 기능을 가진 모바일 기기용 자가복원 보호필름 KR101803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231A KR101803268B1 (ko) 2017-06-12 2017-06-12 스크래치 자가복원 기능을 가진 모바일 기기용 자가복원 보호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231A KR101803268B1 (ko) 2017-06-12 2017-06-12 스크래치 자가복원 기능을 가진 모바일 기기용 자가복원 보호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268B1 true KR101803268B1 (ko) 2017-12-28

Family

ID=60939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231A KR101803268B1 (ko) 2017-06-12 2017-06-12 스크래치 자가복원 기능을 가진 모바일 기기용 자가복원 보호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26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928B1 (ko) * 2018-12-24 2019-10-02 주식회사 에스티이케이 자가복원성능을 갖는 차량유리용 보호필름
KR20190118267A (ko) * 2018-04-10 2019-10-18 이창석 자가복원성을 갖는 자동차 도장용 보호필름
CN111063260A (zh) * 2019-12-27 2020-04-2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弯折方法
KR20200090443A (ko) 2019-01-21 2020-07-29 율촌화학 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용 보호필름
KR20210022989A (ko) * 2019-08-21 2021-03-04 조한음 차량 전면 유리 파손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
KR20210123151A (ko) *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에스케이씨에스 자동차유리 보호필름
US11447664B2 (en) * 2020-12-21 2022-09-20 Stek Co., Ltd. Color wrapping film for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796B1 (ko) * 2015-10-27 2016-03-02 주식회사 진양엠티에스 자가복원 기능을 갖는 양면테이프
JP2016179597A (ja) * 2015-03-24 2016-10-13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付き自己修復性積層体およびそれがラミネートされた樹脂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9597A (ja) * 2015-03-24 2016-10-13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付き自己修復性積層体およびそれがラミネートされた樹脂板の製造方法
KR101598796B1 (ko) * 2015-10-27 2016-03-02 주식회사 진양엠티에스 자가복원 기능을 갖는 양면테이프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267A (ko) * 2018-04-10 2019-10-18 이창석 자가복원성을 갖는 자동차 도장용 보호필름
KR102116376B1 (ko) * 2018-04-10 2020-05-29 이창석 자가복원성을 갖는 자동차 도장용 보호필름
KR101994928B1 (ko) * 2018-12-24 2019-10-02 주식회사 에스티이케이 자가복원성능을 갖는 차량유리용 보호필름
WO2020138750A1 (ko) * 2018-12-24 2020-07-02 주식회사 에스티이케이 자가복원성능을 갖는 차량유리용 보호필름
KR20200090443A (ko) 2019-01-21 2020-07-29 율촌화학 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용 보호필름
KR20210022989A (ko) * 2019-08-21 2021-03-04 조한음 차량 전면 유리 파손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295019B1 (ko) * 2019-08-21 2021-08-30 조한음 차량 전면 유리 파손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
CN111063260A (zh) * 2019-12-27 2020-04-2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弯折方法
KR20210123151A (ko) *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에스케이씨에스 자동차유리 보호필름
KR102346586B1 (ko) 2020-04-02 2022-01-05 주식회사 에스케이씨에스 자동차유리 보호필름
US11447664B2 (en) * 2020-12-21 2022-09-20 Stek Co., Ltd. Color wrapping film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268B1 (ko) 스크래치 자가복원 기능을 가진 모바일 기기용 자가복원 보호필름
KR100972473B1 (ko) 자외선 흡수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 및 자외선 흡수층을포함하는 라미네이트
KR101488316B1 (ko) 스크래치 자가복원 도료 조성물
KR101462579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40138175A (ko) 태양 전지 백 시이트용 접착제
US20180362785A1 (en)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
KR20140014097A (ko) 옥외용 우레탄 접착제
KR102418410B1 (ko)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TW201241127A (en) Adhesive composition, laminated body, and solar battery module
WO2017056141A1 (ja) 耐擦傷性と柔軟性を有する架橋塗膜、及び樹脂組成物
KR102369667B1 (ko) 시트
KR20220011167A (ko)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필름 형성용 조성물, 필름, 필름 적층체,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접착성 수지 경화물, 도료용 조성물 및 도료 경화물
KR20130141556A (ko) 옥외용 우레탄 접착제
JP2019156962A (ja) 膜形成用樹脂組成物、積層フィルムおよび当該積層フィルムが貼り付けられた物品
US9834702B2 (en) Jet-black multilayer coating film and forming method thereof
WO2015015553A1 (ja) 有機ガラス積層用フィルム
KR101329338B1 (ko) 투명도료용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명도료 조성물
JP7061531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自己修復性材料
KR20140115828A (ko) 스크래치 자가복원 도료 조성물
JP7391462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1207183A (ja) 積層体
JP2016033175A (ja) 耐擦傷性と柔軟性を有する架橋塗膜、及び樹脂組成物
JP7369558B2 (ja) 3次元成型品加飾用積層フィルム
JP7156784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
TWI495654B (zh) 丙烯酸改性之胺基甲酸酯脲樹脂組成物及使用其而得之成型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