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407B1 - 압축구이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407B1
KR102346407B1 KR1020210033767A KR20210033767A KR102346407B1 KR 102346407 B1 KR102346407 B1 KR 102346407B1 KR 1020210033767 A KR1020210033767 A KR 1020210033767A KR 20210033767 A KR20210033767 A KR 20210033767A KR 102346407 B1 KR102346407 B1 KR 102346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plate
plate
lifting
main body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선
Original Assignee
조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선 filed Critical 조영선
Priority to KR1020210033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4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47J2037/0617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with mean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heating plates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와 승강지지폴대와 고정상판과 승강부와 승강대와 상부열판 및 하부열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열판에 얹혀진 재료에 대한 압축시킴에 따라 압축재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단순한 구성에 의해 제조단가의 하락과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여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일정길이로 세워지는 승강지지폴대와; 상기 승강지지폴대의 상단에 구성되는 고정상판과; 상기 고정상판에 구성되고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지지폴대의 상방에 구성되되 상기 고정상판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승강부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상기 승강지지폴대의 안내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하단에 구성되고 일정온도가 가열된 상태로 상기 승강대와 함께 승강되는 상부열판; 및 상기 본체의 상단에 구성되고 일정온도가 가열됨에 따라 상단에 재료가 올려지면 상기 상부열판과 함께 재료의 압축 및 열에 의해 상기 재료가 압축가공되도록 지지하는 하부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축구이장치{Compression type roa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압축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와 승강지지폴대와 고정상판과 승강부와 승강대와 상부열판 및 하부열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열판에 얹혀진 재료에 대한 압축시킴에 따라 압축재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단순한 구성에 의해 제조단가의 하락과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여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압축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룽지는 밥솥에 밥을 할 때 화기가 닿는 밥솥 바닥면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밥이 눌어붙게 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누룽지는 밥을 할 때 거의 대부분 생기는 것이다.
누룽지는 밥이 눌어붙게 되는 것임에 따라 그 맛이 고소하고, 독특할 뿐만 아니라 영양가도 풍부함으로써 밥과는 별도로 긁어내어 이를 간식대용으로도 많이 먹고 있다.
또한, 이러한 누룽지를 적당량의 물과 배합하여 이를 재차 끓여서 식사대용으로 먹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누룽지는 그 양이 밥솥으로 한번 밥을 할 때 밥솥의 바닥면에 눌어붙는 정도에 불과함으로써, 즉, 한번 밥을 할 때마다 소량의 누룽지가 생기므로 간식대용이나 또는 식사대용으로 먹기에는 너무나 양이 적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누룽지를 재료로 하여 죽을 끓여서 먹는 환자나 또는 입맛이 없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식사대용 식품이기는 하지만 많은 량을 제조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널리 애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의 식품문화에 있어서, 쌀을 주원료로 하는 많은 종류의 과자나 또는 간식식품이 개발되고는 있으나, 오랜 세월동안 우리의 식생활에서 가장 애용되고 있는 누룽지는 생산량이 적어 널리 보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누룽지를 양산하여 간식대용이나 식사대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예도 있으나, 이러한 누룽지는 밥솥에 밥을 눌어붙게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많은 량의 생산을 기대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누룽지 제조과정에서 밥솥으로 많은 량의 밥을 한 다음, 이 밥을 적당량씩 가열되는 철판에 올려놓고 일정시간 동안 눌어붙게 하는 방식이 알려지고 있다.
이와 관련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특허 제10-1182073호의 누룽지 제조장치는, 수평으로 된 컨베이어벨트를 개폐식 가열판이 연속 순환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가열판은 특정 위치에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면서 누룽지를 성형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며, 이물질을 청소하는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 누룽지 제조장치는 취반된 밥을 가열판으로 공급하고, 누룽지 형태로 성형하는 구성을 살펴보면, 취반된 밥은 임시 저장호퍼에서 스크류 컨베이어를 통해 가열판 위에서 낙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취반된 밥은 점성이 아주 작은 물과 같은 액체나 파우더 등과 달리 그 자체로 점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컨베이어의 출구 측에 달라붙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모터의 작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출구 측에서 배출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서로 연이어 이동하는 가열판의 사이에 밥이 떨어져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쉽다.
이 때문에 가열판이 비위생적인 환경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가열판에 안착되는 밥의 형태가 부정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후의 성형기에서 가지는 과정에서 일정한 형상을 형성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가열판 위에 낙하시킨 후 성형하는 성형기를 살펴보면 두 개의 성형기에 구비된 날이 모두 바닥이 평평한 형태로 되어 있는데, 이 경우 점도가 높은 밥을 고르게 펼치기 어려워 균일한 형태의 누룽지를 제조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1차 측 성형기에 눌려지는 밥의 저항이 커져 날을 회전시키는 모터의 부하가 커지게 되어 잦은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취반된 밥의 점도, 밥알의 단단한 정도 등에 따라 눌러 다지는데 필요한 힘이 다른데, 날의 높이 변화가 불가능해 밥의 상태에 따라 균일한 두께의 누룽지를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요즘에는 국민간식으로 압축된 누룽지나 현미누룽지 뿐만 아니라, 반건조오징어 등을 압축 가열한 눌림오징어 등이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누룽지 또는 눌림오징어는 각각의 전용 압축구이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는 한계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912929호 대한민국 특허 제10-1845062호 대한민국 특허 제10-209789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와 승강지지폴대와 고정상판과 승강부와 승강대와 상부열판 및 하부열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열판에 얹혀진 재료에 대한 압축시킴에 따라 압축재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단순한 구성에 의해 제조단가의 하락과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여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압축구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일정길이로 세워지는 승강지지폴대와; 상기 승강지지폴대의 상단에 구성되는 고정상판과; 상기 고정상판에 구성되고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지지폴대의 상방에 구성되되 상기 고정상판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승강부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상기 승강지지폴대의 안내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하단에 구성되고 일정온도가 가열된 상태로 상기 승강대와 함께 승강되는 상부열판; 및 상기 본체의 상단에 구성되고 일정온도가 가열됨에 따라 상단에 재료가 올려지면 상기 상부열판과 함께 재료의 압축 및 열에 의해 상기 재료가 압축가공되도록 지지하는 하부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에는 상기 하부열판이 본체에 대하여 일정길이 출입되어, 상기 하부열판에 재료를 올려놓는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부열판의 출입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홈에는 상기 하부열판의 출입길이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볼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열판에는 상기 볼플런저에 의해 단속될 수 있도록 하는 단속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에는 고정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열판에는 상기 고정단자와 접속 또는 단락상태에 따라 가열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가열이 정지되도록 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부열판은, 일정깊이를 가지는 함몰홈이 형성되는 열판본체와; 상기 열판본체의 함몰홈에 안착되는 열선; 및 상기 함몰홈에 삽입되되 상기 열선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열선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가열상태를 유지하는 열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판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성형홈이 형성된 성형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성형블록은 다수로 이루어져 한 번의 압축공정에 의해 상기 성형홈에 형성된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재료성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압축구이장치에는, 본체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상,하부열판의 계합으로 작업 중에 이물질 침투방지 및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안전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와 승강지지폴대와 고정상판과 승강부와 승강대와 상부열판 및 하부열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열판에 얹혀진 재료에 대한 압축시킴에 따라 압축재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단순한 구성에 의해 제조단가의 하락과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여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압축구이장치의 사시도로서,
1a는 하부열판의 인입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1b는 하부열판의 이출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하부열판의 일례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하부열판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하부열판이 출입된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하부열판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3의 'VI' 확대도.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압축구이장치의 작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하부열판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하부열판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압축구이장치의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제1실시 예의 압축구이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승강지지폴대(20)와, 고정상판(30)과, 승강부(40)와, 승강대(50)와, 상부열판(60), 및 하부열판(7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각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본체(10)에는 내부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도어(11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11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개폐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에는 콤프레셔, 전선, 차단기 등의 각종 설치기구나 물품보관, 재료보관 등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도어(110)에는 임의 개폐가 불가하도록 하는 시건장치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단에는 하부열판(70)을 출입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12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홈(120)은 경우에 따라서 생략 가능한 것으로서, 이 경우, 상기 가이드홈(120)이 생략될 경우 상기 하부열판(70)은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임의 장소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캐스터(130)를 포함한다.
상기 캐스터(130)는 상기 본체(10)의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홈(120)에는 상기 가이드홈(120)을 따라 출입되도록 구성되는 하부열판(70)의 출입상태 구간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볼플런저(140)를 포함한다.
상기 볼플런저(140)는 상기 가이드홈(1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성되어 하부열판(70)의 출입상태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하부열판(70)의 일측과 접촉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고정단자(150)가 구성된다.
상기 고정단자(150)는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하부열판(7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하부열판(70)이 본체(10)에 대하여 출입됨에 따라 상기 고정단자(150)가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부열판(60)의 경우에는 고정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직접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볼플런저(140)와 같이 하부열판(70)의 출입 구간을 단속할 수 있는 구조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외부환경 등에 의해 쉽게 부식됨을 방지하도록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지지폴대(20)는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일정높이로 세워져 상기 승강대(50)의 승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승강지지폴대(20)는 복수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상판(30)은 상기 승강지지폴대(20)의 상단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상판(30)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외부환경에 의해 쉽게 부식됨을 방지하도록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고정상판(30)에는 압축구이장치에 대한 전원공급여부 및 작용상태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제어판(310)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판(310)은 고정상판(30)의 일측에 패널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 회로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판(310)에는 전원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전원스위치와, 작동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제어스위치와, 상,하부 열판에 대한 온도제어스위치, 및 승강대의 승강높이를 제어하는 높이제어스위치 등과 함께, 이들의 스위치에 의해 제어하는 제어값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등이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어판(310)에는 압축구이장치에 대한 원활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판(310)은 고정상판(30)의 일측에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이면 어느 곳이든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40)는 상기 고정상판(30)의 상단에 구성되어, 상기 승강대(50)에 승강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승강부(40)는 실린더(410)와, 상기 실린더(410)의 일단에 구성되어 승강되는 피스톤(420)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410)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승강력을 발생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410)는 유압 또는 공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피스톤(420)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410)에 유압 또는 공압을 제공하는 유압원 예컨대, 컴프레셔 등은 본체(10)의 수용공간에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420)은 상기 실린더(410)의 일단에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410)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승강대(50)는 상기 승강지지폴대(20)의 상단부에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승강대(50)는 상기 고정상판(30)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상판(30)에 구성된 승강부(40)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상기 승강지지폴대(20)에 지지되면서 승강된다.
또한, 상기 승강대(50)에는 상기 승강지지폴대(20)를 따라 승강될 때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승강지지부싱(510)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지지부싱(510)은 상기 승강대(50)의 일측에 고정되고, 내측에 상기 승강지지폴대(20)가 삽입되어, 상기 승강대(50)의 승강을 지지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승강지지부싱(510)은 구리 또는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열판(60)은 상기 승강대(50)의 하단에 구성되어, 상기 승강대(50)와 함께 승강되면서 상기 하부열판(70) 상에 얹혀진 재료를 가압시킴에 따라 재료의 종류에 따라, 예컨대, 누룽지 또는 눌림오징어 등과 같은 재료 상부에 압력 및 열을 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열판(60)은 내부에 열선이 구성되어, 제어판(310)에서 제어되는 온도에 맞춰 일정온도의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열판(60)의 표면에는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재료가 코팅되어, 재료에 대한 가압할 때 원적외선 발산에 의해 재료의 익힘이 더욱 잘 일어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열판(60)의 표면은 평탄한 평면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열판(60)은 후술되는 하부열판(7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 또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열판(60)은 150 ~ 270℃의 열을 발산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열판(60)은 180 ~ 190℃이다.
상기 하부열판(70)은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구성되어, 상기 상부열판(60)과 함께 열을 발산하여 재료의 압축 및 익힘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하부열판(70)은 열판본체(710)와, 열선(720)과, 열판(730), 및 손잡이(74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하부열판(70)의 열판본체(710)와 열선(720) 및 열판(730)의 구조는 상기 상부열판(6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 또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열판본체(710)는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위치됨과 함께 열선(720)을 통해 발산되는 온도에 영향을 받지않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화상 등에 의한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열판본체(710)은 열전도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열판본체(710)는 합성수지 또는 실린콘 등이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열판본체(710)는 전체적으로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외부에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이 일정두께 코팅된다.
또한, 상기 열판본체(710)는 일면에 일정깊이를 가지는 함몰홈(712)이 형성된다.
상기 함몰홈(712)은 일정깊이로 형성됨에 따라 열선(720) 및 열판(730)이 수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열판본체(710)의 일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20)에 구성된 볼플런저(140)에 단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깊이의 단속홈(714)을 포함한다.
상기 단속홈(714)은 상기 열판본체(710)의 측면에 구성되어, 볼플런저(140)에 단속됨으로써, 하부열판(70)의 출입길이를 단속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단속홈(714)은 열판본체(710)의 측면에 전방 및 후방 각각에 구성됨으로써, 상기 하부열판(70)의 출입길이가 단속한다.
또한, 상기 열판본체(710)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10)의 고정단자(150)와 접촉됨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접속단자(716)가 구성된다.
상기 접속단자(716)는 상기 열판본체(710)의 일측에 구성되어, 고정단자(150)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면 전원이 열선(720)으로 공급됨에 따라 열을 발산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접속단자(716)가 고정단자(150)와 접촉되지 않으면 전원의 차단으로 열선(720)에서 열을 발산됨이 정지된다.
한편, 상기 접속단자(716)는 생략가능한 것으로서, 사용목적 또는 사용환경에 따라 열선(720)에 계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연속적인 작업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열선(720)으로 계속적인 전원공급 또는 차단은 제어판(310)에 전원스위치를 구성함으로써,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열판본체(710)에는 함몰홈(712)에 구성되는 열선(720)에서 발산되는 열이 상기 열판본체(710)로 직접 전달됨을 차단시켜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단열재(718)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재(718)는 상기 열선(720)에서 발산되는 열이 열판본체(7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단열기능을 수행하느 재질 또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열판본체(710)는 합성수지로 제작됨에 한정되지 않고, 가볍고, 내구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로 대체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열선(720)은 상기 열판본체(710)의 함몰홈(712)에 구성되어,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열선(720)은 상기 접속단자(716)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열선(72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열선이 열판본체(710)의 함몰홈(712)에 포설되거나, 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형태의 열선을 상기 함몰홈(712) 전체에 포설시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홈(712)에는 상기 열선(720)이 함몰홈(712)의 바닥면에 직접 닿지 않도록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열선(720)에서 발산되는 열이 열판본체(710)로 열전도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편(도시하지 않음)이 구성된다.
상기 받침편은 열선을 지지하도록 구성됨과 함께, 열전도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는 일반적인 기술사상이므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열선(720)은 도 2a와 같은 하나의 열선과 도 2b와 같은 막대형의열선을 병행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열선(720)은 열판본체(710)에 구성된 접속단자(716)에 연결된 구성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목적이나 사용환경 등에 따라 계속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온도의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연속작업이 수행되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열선(720)은 접속단자(716)에 의한 전원공급 또는 제어판(310)의 전원스위치에 의한 전원공급 제어 등을 선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열판(730)은 상기 열판본체(710)의 함몰홈(712)에 삽입되되, 상기 열선(720)의 상방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열선(720)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열판(730)에는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재료가 코팅된다.
이 경우, 상기 열판(730)에 코팅되는 원적외선 재료는 게르마늄, 지르코늄, 맥반석 등이다.
상기 손잡이(740)는 상기 열판본체(710)의 일측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압축구이장치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판(310)에 구성된 스위치를 작동시켜, 압축구이장치의 사용이 가능한 상태를 가지도록 한다.
계속해서, 하부열판(70)의 손잡이(740)를 파지한 상태에서 앞쪽으로 잡아당기면, 본체(10)의 가이드홈(120)을 따라 상기 하부열판(70)이 퇴출된다.
이때, 상기 하부열판(70)의 후방에 구성된 단속홈(714)에 상기 가이드홈(12)에 구성된 볼플런저(140)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부열판(70)의 퇴출길이가 단속된다.
그리고, 본체(10)에 퇴출된 하부열판(70)에 압축하고자 하는 재료를 올려놓고, 상술한 역순으로 상기 하부열판(70)을 밀어넣어 진입시키면, 상기 하부열판(70)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원위치로 복귀된 하부열판(70)의 접속단자(716)가 본체(10)에 구성된 고정단자(150)와 접속됨으로써, 상기 하부열판(70)에서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된다.
물론, 승강대(50)에 구성된 상부열판(60)에서도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되는 상태이다.
이후, 상기 승강부(40)에서 승강력이 발생되면, 상기 승강부(40)의 피스톤(420)에 고정된 승강대(50)가 하강된다.
이때, 상기 승강대(50)의 하단에 상부열판(60)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승강대(50)와 함께 상부열판(60)이 하강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열판(60)이 하강됨에 따라 하부열판(70) 상에 올려진 재료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재료를 상, 하부에서 가열된 상태에서 압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열판(60)(70)의 가압시간은 2 ~ 3분 정도 이루어진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가압시간은 재료의 종류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하부열판(60)(70)의 가압간격은 2 ~ 3mm 정도 이루어진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가압간격은 재료의 종류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하부열판(60)(70)의 가압시간이 완료되면, 하강된 상부열판(60)은 승강부(40)에서 제공되는 상승력에 의해 상승된다.
또한, 상기 상부열판(60)의 상승이 완료되면, 하부열판(70)에 구성된 손잡이(74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에서 하부열판(70)을 퇴출시킨다.
이에 따라, 전방으로 퇴출된 하부열판(70)에는 압축된 재료가 올려진 상태이므로, 작업자는 압축재료를 상기 하부열판(70)에서 취득한 후, 재차 재료를 상기 하부열판(70)에 올려놓고, 상술한 방식으로 계속적으로 재료의 압축작업을 수행한다.
<제2실시 예>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 예의 열판(73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성형블록(7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성형블록(732)은 내측에 일정형상을 가지는 성형홈(734)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성형홈(734)은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재료가 투입된 상태에서 상부열판(60)이 가압시킴에 따라 상기 성형홈(734)의 형상에 맞춰 재료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성형블록(732)은 다양한 향상을 가지는 성형홈(734)을 작업자가 자율 배열함으로써, 한번의 압축공정을 통해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재료성형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제3실시 예>
제1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 예의 압축구이장치는 본체(10)의 일단에 구성되는 안전판(80)을 포함한다.
상기 안전판(80)은 본체(1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어, 하부열판(70)을 이출시켰을 때, 상기 하부열판(70)을 받침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부열판(70)이 하방으로 낙하됨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안전판(80)은 상기 하부열판(70)을 인입시켰을 때, 상기 본체(10)의 일단을 막아주도록 회동시킴에 따라, 작업 중인 상,하부열판(60)(70)으로 이물질 침투 방지와 함께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상기 상, 하부열판(60)(70)에 의해 화상 등의 상해가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전판(80)은 합성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전판(80)은 사용목적 등에 따라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전판(80)에는 본체(10)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첩 등이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압축구이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본체 110: 도어
120: 가이드홈 130: 캐스터
140: 볼플런저 150: 고정단자
20: 승강지지폴대 30: 고정상판
310: 제어판 40: 승강부
410: 실린더 420: 피스톤
50: 승강대 60: 상부열판
70: 하부열판 710: 열판본체
712: 함몰홈 714: 단속홈
716: 접속단자 720: 열선
730: 열판 732: 성형블록
734: 성형홈 740: 손잡이
80: 안전판

Claims (7)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일정길이로 세워지는 승강지지폴대와;
    상기 승강지지폴대의 상단에 구성되는 고정상판과;
    상기 고정상판에 구성되고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지지폴대의 상방에 구성되되 상기 고정상판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승강부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상기 승강지지폴대의 안내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하단에 구성되고 일정온도가 가열된 상태로 상기 승강대와 함께 승강되는 상부열판; 및
    상기 본체의 상단에 구성되고 일정온도가 가열됨에 따라 상단에 재료가 올려지면 상기 상부열판과 함께 재료의 압축 및 열에 의해 상기 재료가 압축가공되도록 지지하는 하부열판;을 포함하되,
    본체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상,하부열판의 계합으로 작업 중에 이물질 침투방지 및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안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하부열판이 본체에 대하여 일정길이 출입되어, 상기 하부열판에 재료를 올려놓는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부열판의 출입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하부열판의 출입길이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볼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열판은 상기 볼플런저에 의해 단속될 수 있도록 하는 단속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구이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고정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열판에는 상기 고정단자와 접속 또는 단락상태에 따라 가열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가열이 정지되도록 하는 접속단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구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열판은,
    일정깊이를 가지는 함몰홈이 형성되는 열판본체와;
    상기 열판본체의 함몰홈에 안착되는 열선; 및
    상기 함몰홈에 삽입되되 상기 열선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열선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가열상태를 유지하는 열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구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판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성형홈이 형성된 성형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성형블록은 다수로 이루어져 한 번의 압축공정에 의해 상기 성형홈에 형성된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재료성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구이장치.
  7. 삭제
KR1020210033767A 2021-03-16 2021-03-16 압축구이장치 KR102346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767A KR102346407B1 (ko) 2021-03-16 2021-03-16 압축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767A KR102346407B1 (ko) 2021-03-16 2021-03-16 압축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407B1 true KR102346407B1 (ko) 2022-01-03

Family

ID=79348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767A KR102346407B1 (ko) 2021-03-16 2021-03-16 압축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40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3286A (ja) * 1997-05-27 1998-12-08 Kometsuto Kato:Kk 両面焼き調理機
US6405639B1 (en) * 1998-03-10 2002-06-18 Youhan Electronics Co., Ltd. Meat roaster
KR101845062B1 (ko) 2018-01-18 2018-04-03 양재원 누룽지 연속 제조 설비용 밥 공급 성형 장치
KR200486247Y1 (ko) * 2017-05-02 2018-05-31 김형재 누룽지 제조장치
KR101912929B1 (ko) 2018-05-08 2018-10-29 이창승 누룽지 생산장치
KR20190098385A (ko) * 2018-02-14 2019-08-22 송필경 누룽지 제조장치
KR102064262B1 (ko) * 2018-09-13 2020-01-09 이병선 누룽지 제조장치
KR102097890B1 (ko) 2019-02-01 2020-04-06 김선애 누룽지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3286A (ja) * 1997-05-27 1998-12-08 Kometsuto Kato:Kk 両面焼き調理機
US6405639B1 (en) * 1998-03-10 2002-06-18 Youhan Electronics Co., Ltd. Meat roaster
KR200486247Y1 (ko) * 2017-05-02 2018-05-31 김형재 누룽지 제조장치
KR101845062B1 (ko) 2018-01-18 2018-04-03 양재원 누룽지 연속 제조 설비용 밥 공급 성형 장치
KR20190098385A (ko) * 2018-02-14 2019-08-22 송필경 누룽지 제조장치
KR101912929B1 (ko) 2018-05-08 2018-10-29 이창승 누룽지 생산장치
KR102064262B1 (ko) * 2018-09-13 2020-01-09 이병선 누룽지 제조장치
KR102097890B1 (ko) 2019-02-01 2020-04-06 김선애 누룽지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1236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oking food on a grill
US5469779A (en) Automatic pizza dough press device with interchangeable molds
US6707014B1 (en) Oven apparatus for efficiently cooking food
CA2363849C (en) Griddle plate with infrared heating element
AU2018412057B2 (en) Combined apparatus for heating, cooking, grilling and defrosting of foods of various kind&#34;
KR102346407B1 (ko) 압축구이장치
US20110177215A1 (en) Cooking apparatus
KR102068606B1 (ko) 음식재료를 가공 및 자동조리구조를 갖는 요리로봇장치
JP7090162B2 (ja) 高圧縮精密位置決め制御調理のための上部プラテン位置ロック機構を備えた両面調理装置
WO200108495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lding food
KR102045266B1 (ko) 누룽지 제조 설비용 취반 정량 공급장치
KR100725163B1 (ko) 자동 토스트 팬
KR20230002085U (ko) 압축 구이 장치
JP2001046242A (ja) 家庭用オーブン、調理方法および調理装置
KR20210131087A (ko)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가열장치
US2223034A (en) Device for heating tablets of resinous molding compositions
CN206324218U (zh) 一种肉泥热压成型设备
KR20220046759A (ko) 누룽지 제조장치
KR102644228B1 (ko) 누룽지 가열장치
KR102318152B1 (ko) 균일 스팀압력을 유지하는 승강식 덮개 방식의 다기능 스팀레인지
KR20210131570A (ko)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성형밥 이송용 픽업장치
KR20210131086A (ko)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공급장치
CN112021960A (zh) 对双面煎制设备的加热程度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双面煎制设备
KR20140017891A (ko) 스코치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