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177B1 -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177B1
KR102346177B1 KR1020200006014A KR20200006014A KR102346177B1 KR 102346177 B1 KR102346177 B1 KR 102346177B1 KR 1020200006014 A KR1020200006014 A KR 1020200006014A KR 20200006014 A KR20200006014 A KR 20200006014A KR 102346177 B1 KR102346177 B1 KR 102346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ginal text
translation
display
paragraph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2518A (ko
Inventor
김영제
이한오
김병수
황지현
백정희
박진아
조은비
김형중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6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177B1/ko
Priority to JP2021004877A priority patent/JP7150071B2/ja
Priority to US17/150,258 priority patent/US11531509B2/en
Publication of KR20210092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42Data-driven translation
    • G06F40/47Machine-assisted translation, e.g. using translation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for rolling or scrol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를 동기화하여 서로 대응되는 내용을 양쪽에서 함께 볼 수 있는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은, 단말 장치의 프로세서가, 제1 디스플레이에 원문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에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상기 원문 또는 상기 번역문이 스크롤링될 때,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표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단말 장치{Automatic scroll control method for synchronizing position of original text and translation, computer program and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를 동기화하여 서로 대응되는 내용을 양쪽에서 함께 볼 수 있는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듀얼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모바일 기기 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2개의 영역으로 가상으로 분할하여 2개의 화면을 사용할 수 있는 폴더블 모바일 기기가 제공되고 있다.
한편, 제1 언어로 된 원문을 제2 언어로 된 번역문으로 번역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웹 브라우저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고 있다. 듀얼 디스플레이 또는 2개의 화면을 갖는 모바일 기기에서 상기한 번역 기능을 갖는 웹 브라우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또는 제1 화면에 원문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또는 제2 화면에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을 표시한다.
하지만, 원문과 번역문의 길이는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양쪽 화면에 표시되는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1 디슬플레이에 표시된 원문을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여 스크롤링하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번역문이 이에 따라 스크롤링되지 않거나, 스크롤링되더라도 원문과 번역문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원문과 번역문의 표시 위치가 상이하여, 사용자가 원문과 대응되는 번역문을 용이하게 볼 수 없거나, 심지어, 제1 디스플레이에는 원문의 특정 문장이 표시되지만 제2 디스플레이에는 대응하는 번역문의 문장이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KR 10-2015-0050947 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를 동기화하여 서로 대응되는 내용을 사용자가 쉽게 볼 수 있는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를 동기화하여 서로 대응되는 내용을 사용자가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를 동기화하여 서로 대응되는 내용을 사용자가 쉽게 볼 수 있는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은, 단말 장치의 프로세서가, 제1 디스플레이에 원문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에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상기 원문 또는 상기 번역문이 스크롤링될 때,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표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에 원문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에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상기 원문 또는 상기 번역문이 스크롤링될 때,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표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하기 위한 스크롤 동기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 장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모듈은, 제1 디스플레이에 원문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에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을 표시하며,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상기 원문 또는 상기 번역문이 스크롤링될 때,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표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단말 장치에 의하면, 자동 스크롤 제어에 의하여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가 동기화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문 또는 번역문을 스크롤링할 때, 스크롤링되지 않는 번역문 또는 원문이 자동으로 스크롤링될 뿐만 아니라, 원문과 번역문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더라도,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가 동기화되도록 각각의 스크롤 속도가 제어되기 때문에, 원문과 대응하는 번역문의 위치가 동기화되어, 사용자는 한 손으로 편하게 원문과 번역문을 스크롤링하면서 비교해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1 디슬플레이에 표시된 원문을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여 스크롤링하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번역문이 원문의 스크롤링에 따라 스크롤링되기 때문에, 원문과 대응하는 번역문이 항상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단순한 플리킹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원문의 특정 문단과 대응하는 번역문의 문단을 소정의 위치에 설정된 기준선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어, 신속하게 원하는 원문의 문단과 대응하는 번역문의 문단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원문의 특정 문장과 대응하는 번역문의 문장을 위치하도록 할 수 있어, 신속하게 원하는 문단의 원문과 번역문을 비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문이 특정 문장이 제1 디스플레이에 노출되어 있는 반면에, 이에 대응하는 번역문의 문장이 제2 디스플레이 노출되고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단순히 원문의 특정 문장을 터치함으로써, 원문의 특정 문장에 대응하는 번역문의 문장을 제2 디스플레이의 대응하는 위치로 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단말 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단말 장치 및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단말 장치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 폴더블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 및 단말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108)을 통해 서버(106)에 접속하여 원하는 웹 사이트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받아 제1 디스플레이(102)에 표시할 수 있고, 웹 브라우저의 번역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웹 사이트의 원문을 다른 언어로 된 웹 사이트로 번역하여 제2 디스플레이(104)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102)에는 제1 언어로 된 원문이 표시되고, 제2 디스플레 이(102)에는 원문에 대응하는 제2 언어로 된 번역문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되는 원문은 원문 웹 사이트일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되는 번역문은 웹 브라우저의 번역 기능에 의한 번역문 웹 사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 장치(100)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 사이트의 컨텐츠를 제공받아 원문과 번역문을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02, 104)에 각각 표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버(106)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것이 아니라, 단말 장치(100) 자체가 가지고 있는 원문과 이를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번역한 번역문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02, 104)에 각각 표시될 수도 있다.
단말 장치(100)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웹 브라우저 상에 웹페이지를 로드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로드된 원문 웹페이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제1 디스플레이(102), 원문 웹 페이지에 대응하는 번역문 웹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104), 사용자의 입력을 인가받는 입력부, 운영체제와 소정의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102)에 원문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104)에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부(212) 및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상기 원문 또는 상기 번역문이 스크롤링될 때,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표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하기 위한 스크롤 동기화부(20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 장치(100)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02, 104)의 소정 위치에 기준선(도 5의 506a, 506b)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선 설정부(200), 원문과 대응하는 번역문의 각 문단의 기준점을 도출하기 위한 기준점 도출부(202), 원문과 대응하는 번역문의 각 문단의 종료점을 도출하기 위한 종료점 도출부(204), 상기 단말 장치(100)가 획득하는 원뭔과 대응하는 번역문의 문단을 저장하기 위한 문단 저장부(210), 제1 디스플레이(102)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터치 및 문자 입력과 같은 다양한 입력을 입력하기 위한 제1 입력부(205), 제2 디스플레이(104)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터치 및 문자 입력과 같은 다양한 입력을 입력하기 위한 제2 입력부(206), 및 제1 디스플레이(102)에 원문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104)에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부(212)를 더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 장치(10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300) 및 상기 프로세서(300)에 메모리 제어부(308)를 통해 연결된 연결된 메모리(30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00)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메모리(302)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302)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02)는 프로세서(300)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저장장치나,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엑세스되는 네트워크 부착형 저장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302)는, 상기 프로세서(300)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데, 상기 하나 이상의 모듈은, 제1 디스플레이(102)에 원문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104)에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을 표시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26) 및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상기 원문 또는 상기 번역문이 스크롤링될 때,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표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스크롤 동기화 모듈(3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302)는,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워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운영체제(312), 기준선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준선 설정 모듈(314), 기준점을 도출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준점 도출 모듈(316), 종료점을 도출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종료점 도출 모듈(318), 문단을 저장하기 위한 문단 저장부(322), 제1 입력부(306a)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 및 문자 입력과 같은 다양한 입력을 입력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1 입력 모듈(323), 및 제2 입력부(306b)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 및 문자 입력과 같은 다양한 입력을 입력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2 입력 모듈(324)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 장치(100)는, 프로세서(300)에 의해 처리되는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제1 디스플레이(304a)와 제2 디스플레이(304b), 사용자의 터치 및 문자 입력과 같은 다양한 입력을 입력하기 위한 제1 입력부(306a)와 제2 입력부(306b), 및 인터페이스부(310)를 더 포함한다.
디스플레이(304a, 304b)는 사용자가 시각을 통하여 웹 브라우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04a, 304b)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랙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등을 이용하여 웹 브라우저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내용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304a, 304b)를 구현할 수 있다.
입력부(306a, 306b)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인가받는 것으로서, 키보드(keyboard), 키패드(keypad), 마우스(mouse), 터치펜(touch pen), 터치 패드(touch pad), 터치 패널(touch panel),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등이 입력부(60)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의한 단말 장치(100)에 있어서, 제1 입력부(306a)는 제1 디스플레이(304a)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이고, 제2 입력부(306b)는 제2 디스플레이(304b)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입력부(306a)와 제2 입력부(306b)는 터치패드, 터치펜,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10)는, 컴퓨터 장치의 입출력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300), 메모리(302)에 연결할 수 있으며, 메모리 제어부(308)는 프로세서(300)나 컴퓨터 장치의 구성요소가 메모리(302)에 접근하는 경우에, 메모리 액세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프로세서(300), 메모리 제어부(308) 및 인터페이스부(310)를 단일 칩 상에 구현하거나, 별개의 칩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하기에,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단계 S420에서,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300)가, 제1 디스플레이(304a)에 원문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304b)에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을 표시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서, 참조번호 102는 터치스크린 패널로 구성된 제1 입력부(306a)와 제1 디스플레이(304a)를 포함하는 제1 터치 디스플레이이고, 참조번호 104는 터치스크린 패널로 구성된 제2 입력부(306b)와 제2 디스플레이(304b)를 포함하는 제2 터치 디스플레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5 내지 도 7에서, 참조번호 102를 제1 디스플레이로 지칭하고, 참조번호 104를 제2 디스플레이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102)에 원문이 표시되고, 제2 디스플레이(104)에 번역문이 표시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다음, 단계 S422에서, 상기 프로세서(300)가,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된 원문이 스크롤링될 때, 상기 제2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된 번역문도 자동으로 스크롤링되도록 하고, 원문이 스크롤링되는 속도와 번역문이 스크롤링되는 속도를 각각 제어하여 제1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되는 원문과 제2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되는 대응하는 번역문의 표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한다. 이에 따라, 원문의 요소(문단, 문장, 이미지 등)와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의 요소(문단, 문장, 이미지 등)가 제1 디스플레이(102) 및 제2 디스플레이(104)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는 쉽게 원문과 번역문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300)가,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된 번역문이 스크롤링될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된 원문도 자동으로 스크롤링되도록 하고, 번역문이 스크롤링되는 속도와 원문이 스크롤링되는 속도를 각각 제어하여 제2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되는 번역문과 제1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되는 대응하는 원문의 표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한다. 이에 따라, 번역문의 요소(문단, 문장, 이미지 등)과 번역문에 대응하는 원문의 요소(문단, 문장, 이미지 등)가 제2 디스플레이(104) 및 제1 디스플레이(102)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는 쉽게 번역문과 원문을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에서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되는 페이지 내의 원문의 요소(문단, 문장, 이미지 등)와 번역문의 요소(문단, 문장, 이미지 등)를 기준으로 기준점을 도출하고, 도출된 기준점에 기반하여 원문과 번역문 각각의 스크롤 속도를 제어한다. 원문의 요소(문단, 문장, 이미지 등)와 번역문의 요소(문단, 문장, 이미지 등)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에서 각각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객체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준점을 이용하여 원문과 번역문의 스크롤 속도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400에서,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300)가, 제1 디스플레이(102)에 원문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104)에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을 표시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102)에 원문이 표시되고, 제2 디스플레이(104)에 번역문이 표시되어 있다.
단계 S402에서, 프로세서(300)가, 원문의 문단들과 대응하는 번역문의 문단들을 문단 저장부(322)에 저장한다.
단계 S404에서, 프로세서(300)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102)의 소정 위치 및 제2 디스플레이(104)의 소정 위치에 각각 기준선(506a, 506b)을 설정한다. 기준선(506a, 506b)은 각각 원문과 번역문의 시작점이 위치할 기준이 되므로, 제1 디스플레이(102)에 설정되는 기준선의 위치와 제2 디스플레이(104)에 설정되는 기준선의 위치는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하여 기준선들(506a, 506b)이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준선(506a, 506b)의 위치는 디스플레이(102, 104)의 상측 위치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준선(506a, 506b)이 설정되는 위치는 사용자가 원문과 번역문의 문단을 보기에 편하기만 하면 디스플레이(102, 104)의 어느 위치도 될 수 있다.
단계 S406에서, 프로세서(300)는, 상기 원문의 문단(510a, 514a)과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의 문단(510b, 514b)의 기준점 및 종료점을 도출한다. 상기 문단(510a, 514a, 510b, 514b)의 기준점은 각 문단이 시작되는 시작점을 포함하고, 종료점은 각 문단이 종료되는 종료점이다.
단계 S408에서, 프로세서(300)는,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상기 원문 또는 상기 번역문이 스크롤링될 때,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표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한다.
즉,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102)에서 드래그 동작 수행 시 제1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된 원문이 스크롤링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이 없었던 제2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된 번역문도 자동으로 스크롤링되는데, 원문의 문단(510a, 514a)과 대응하는 번역문의 문단(510b, 514b)의 종료점이 기준선(506a, 506b)에서 함께 지나가도록 제1 디스플레이(102)의 스크롤 속도와 제2 디스플레이(104)의 스크롤 속도를 각각 제어하여, 원문과 번역문의 표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함으로써 원문의 문단(510a, 514a)과 대응하는 번역문의 문단(510b, 514b)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를 유지하면서 스크롤링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문과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의 문단들(510a과 510b, 514a와 514b)을 동일한 시선을 가지고 쉽게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표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스크롤 속도의 제어 시, 상기 제1 디스플레이(102)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104)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대해서는 사용자에 의한 스크롤 동작이 입력되고, 다른 디스플레이의 스크롤 속도는 자동으로 제어되는 스크롤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표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하는 것은, 상기 원문의 소정 개수의 문단과 대응하는 번역문의 소정 개수의 문단의 최종 종료점이 기준선(506a, 506b)을 동시에 통과하도록 상기 소정 개수의 문단의 최초 기준점 및 최종 종료점에 기반하여 또는 상기 문단의 길이에 기반하여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스크롤 속도를 각각 제어함으로써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표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한다.
한편, 프로세서(300)는, 추가로 원문에 포함된 이미지(508a, 512a)와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에 포함된 이미지(508b, 512b)의 각 기준점 및 종료점을 도출하고, 상기 원문에 포함된 이미지(508a, 512a)와 대응하는 번역문에 포함된 이미지(508a, 512a)의 종료점이 상기 기준선(506a, 506b)을 동시에 통과하도록 상기 기준점 및 종료점에 기반하여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스크롤 속도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표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508a, 512a, 508b, 512b)의 기준점은 이미지의 시작점이다.
단계 S410에서, 프로세서(300)는, 사용자에 의해 원문 또는 번역문의 특정 문단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원문과 번역문의 대응하는 문단의 시작점이 상기 기준선(506a, 506b)에 맞춰지도록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을 자동으로 스크롤링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된 원문의 제1 문단(506a)을 선택한 경우, 상기 원문의 문단(506a)과 이에 대응하는 번역문의 문단(506b)의 시작점이 각각 기준선(506a, 506b)에 맞춰지도록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이 자동으로 스크롤링된다.
도 5a의 상태에서, 만약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된 번역문의 제2 문단(514b)을 선택한다면, 상기 번역문의 제2 문단(514b)과 이에 대응하는 원문의 문단(514a)의 시작점이 각각 기준선(506b, 506a)에 맞춰지도록 상기 번역문이 표시된 제2 화면(503b)과 상기 원문이 표시된 제1 화면(503a)이 자동으로 스크롤링되어, 도 5a의 상태가 도 5b와 같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원문의 특정 문단과 이에 대응하는 번역문의 특정 문단을 기준선(506a, 506b)에 함께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문단의 원문과 번역문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단계 S412에서, 프로세서(300)는, 사용자의 플리킹 동작 감지 시 원문과 번역문의 서로 대응하는 문단의 시작점이 기준선(506a, 506b)에 맞춰지도록 원문과 번역문을 자동으로 스크롤링한다.
도 5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102)에서 플리킹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기준선(506a)에 걸쳐있는 문단(510a) 아래에 있는 원문의 문단(514a)과 이에 대응하는 번역문의 문단(514b)의 시작점이 각각 기준선(506a, 506b)에 맞춰지도록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이 자동으로 스크롤링되어, 도 5a의 상태가 도 5b와 같이 될 것이다.
또한, 도 5a의 상태에서, 만약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104)에서 플리킹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기준선(506b)에 걸쳐있는 문단(510b) 아래에 있는 번역문의 문단(514b)과 이에 대응하는 원문의 문단(514a)의 시작점이 각각 기준선(506b, 506a)에 맞춰지도록 번역문과 원문이 자동으로 스크롤링되어, 도 5a의 상태가 도 5b와 같이 될 것이다.
추가로, 프로세서(300)는, 사용자의 플리킹 동작 감지 시 원문에 포함된 이미지(512a)와 이에 대응하는 번역문에 포함된 이미지(512b)의 시작점이 기준선에 맞춰지도록 원문과 번역문을 자동으로 스크롤링할 수도 있다.
단계 S414에서, 프로세서(300)는, 사용자에 의해 원문 또는 번역문의 특정 문장이 선택되는 경우, 각 문단의 시작점에 기반하여 선택된 문장과 대응하는 문장이 표시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102)의 소정 위치(602)를 터치하여 제1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된 원문의 문장 중 특정 문장(604a)을 선택한 경우, 원문의 선택된 문장(604a)과 이에 대응하는 번역문의 문장(604b)의 위치가 서로 동기화된다.
만약 번역문의 길이가 원문보다 훨씬 길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원문의 문장에 대응하는 번역문의 문장이 제2 디스플레이(104)에 노출되고 있지 않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된 원문(700a)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문장(704a)에 대응하는 번역문의 문장(704b)이 제2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되도록 제2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된 번역문이 화살표(70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스크롤링된다.
만약 원문의 길이가 번역문의 길이보다 훨씬 길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번역문의 문장에 대응하는 원문의 문장이 제1 디스플레이(102)에 노출되고 있지 않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된 번역문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문장에 대응하는 원문의 문장이 제1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되도록 제1 디스플레이(102)에 표시된 원문이 자동으로 스크롤링된다.
한편, 상기 선택된 문장과 대응하는 문장이 표시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하는 것은, 사용자에 의해 원문 또는 번역문의 특정 문장이 선택되는 경우, 구두점, 물음표 또는 느낌표와 같은 문장 부호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된 문장이 각 문단의 시작점에서 몇번째 문장인지를 결정하여, 상기 선택된 문장과 대응하는 문장이 표시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은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단말 장치(100)에 의해 수행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102)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104)가 통합된 하나의 디스플레이(805)로 구성되는 폴더블 단말 장치(8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통합된 하나의 디스플레이(805)가 가상의 선(803)에 의해 제1 화면(802) 및 제2 화면(804)의 2개의 화면으로 분할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102)는 상기 제1 화면(802)에 대응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104)는 상기 제2 화면(804)에 대응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단말 장치 102 : 제1 디스플레이
104 : 제2 디스플레이 106 : 서버
108 : 인터넷 200: 기준선 설정부
202 : 기준점 도출부 204 : 스크롤 동기화부
205 : 제1 입력부 206 : 제2 입력부
208 : 종료점 도출부 210 : 문단 저장부
212 : 디스플레이 제어부 300 : 프로세서
302 : 메모리 304a : 제1 디스플레이
304b : 제2 디스플레이 306a : 제1 입력부
306b : 제2 입력부 308 : 메모리 제어부
310 : 인터페이스부 312 : 운영체제
314 : 기준선 설정 모듈 316 : 기준점 도출 모듈
318 : 종료점 도출 모듈 320 : 스크롤 동기화 모듈
322 : 문단 저장부 323 : 제1 입력 모듈
324 : 제2 입력 모듈
506a, 506b, 806a, 806b : 기준선
802 : 제1 화면 804 : 제2 화면
805 : 디스플레이

Claims (16)

  1. 단말 장치의 프로세서가, 제1 디스플레이에 원문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에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각각 기준선을 설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기준선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기준선은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설정되는 단계;
    상기 원문과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의 각 문단의 기준점 및 종료점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상기 원문 또는 상기 번역문이 스크롤링될 때, 상기 원문의 문단과 대응하는 번역문의 문단의 종료점이 상기 기준선을 동시에 통과하도록 상기 기준점 및 종료점에 기반하여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스크롤 속도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표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표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스크롤 속도의 제어 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대해서는 사용자에 의한 스크롤 동작이 입력되고, 다른 디스플레이의 스크롤 속도는 자동으로 제어되는 스크롤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
  5. 단말 장치의 프로세서가, 제1 디스플레이에 원문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에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각각 기준선을 설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기준선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기준선은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설정되는 단계;
    상기 원문에 포함된 이미지와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에 포함된 이미지의 각 기준점 및 종료점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상기 원문 또는 상기 번역문이 스크롤링될 때, 상기 원문에 포함된 이미지와 대응하는 번역문에 포함된 이미지의 종료점이 상기 기준선을 동시에 통과하도록 상기 기준점 및 종료점에 기반하여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스크롤 속도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표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문단의 기준점은 각 문단의 시작점을 포함하고,
    상기 원문과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의 각 문단의 기준점 및 종료점을 도출하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에 의해 원문 또는 번역문의 특정 문단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원문과 번역문의 대응하는 문단의 시작점이 상기 기준선에 맞춰지도록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을 스크롤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문단의 기준점은 각 문단의 시작점을 포함하고,
    상기 원문과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의 각 문단의 기준점 및 종료점을 도출하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의 플리킹 동작 감지 시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대응하는 문단의 시작점이 상기 기준선에 맞춰지도록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을 스크롤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이미지의 기준점은 각 이미지의 시작점을 포함하고,
    상기 원문에 포함된 이미지와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에 포함된 이미지의 각 기준점 및 종료점을 도출하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의 플리킹 동작 감지 시 상기 원문에 포함된 이미지와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에 포함된 이미지의 시작점이 상기 기준선에 맞춰지도록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을 스크롤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문단의 기준점은 각 문단의 시작점을 포함하고,
    상기 원문과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의 각 문단의 기준점 및 종료점을 도출하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에 의해 원문 또는 번역문의 특정 문장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각 문단의 시작점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된 문장과 대응하는 문장이 표시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문장과 대응하는 문장이 표시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원문 또는 번역문의 특정 문장이 선택되고, 선택된 문장에 대응하는 문장이 디스플레이에 노출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선택된 문장에 대응하는 문장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보이도록 상기 각 문단의 시작점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된 문장과 대응하는 문장이 표시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문장과 대응하는 문장이 표시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원문 또는 번역문의 특정 문장이 선택되는 경우, 문장 부호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된 문장이 각 문단의 시작점에서 몇번째 문장인지를 결정하여, 상기 선택된 문장과 대응하는 문장이 표시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표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원문의 소정 개수의 문단과 대응하는 번역문의 소정 개수의 문단의 최종 종료점이 상기 기준선을 동시에 통과하도록 상기 소정 개수의 문단의 최초 기준점 및 최종 종료점에 기반하여 또는 상기 문단의 길이에 기반하여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스크롤 속도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표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문은 원문 웹 사이트이고, 상기 번역문은 웹 브라우저의 번역 기능에 의한 번역문 웹 사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
  14.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5. 제1 디스플레이에 원문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에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각각 기준선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선 설정부로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기준선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기준선은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설정되는, 기준선 설정부;
    상기 원문과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의 각 문단의 기준점을 도출하기 위한 기준점 도출부;
    상기 원문과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의 각 문단의 종료점을 도출하기 위한 종료점 도출부; 및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상기 원문 또는 상기 번역문이 스크롤링될 때, 상기 원문의 문단과 대응하는 번역문의 문단의 종료점이 상기 기준선을 동시에 통과하도록 상기 기준점 및 종료점에 기반하여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스크롤 속도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표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하기 위한 스크롤 동기화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16.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모듈은,
    제1 디스플레이에 원문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에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을 표시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각각 기준선을 설정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기준선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기준선은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원문과 상기 원문에 대응하는 번역문의 각 문단의 기준점 및 종료점을 도출하고,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상기 원문 또는 상기 번역문이 스크롤링될 때, 상기 원문의 문단과 대응하는 번역문의 문단의 종료점이 상기 기준선을 동시에 통과하도록 상기 기준점 및 종료점에 기반하여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스크롤 속도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의 표시 위치를 서로 동기화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KR1020200006014A 2020-01-16 2020-01-16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단말 장치 KR102346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014A KR102346177B1 (ko) 2020-01-16 2020-01-16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단말 장치
JP2021004877A JP7150071B2 (ja) 2020-01-16 2021-01-15 原文と翻訳文の位置同期化のための自動スクロール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装置
US17/150,258 US11531509B2 (en) 2020-01-16 2021-01-15 Automatic scroll control method for synchronizing positions of original text and translation, computer program and termi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014A KR102346177B1 (ko) 2020-01-16 2020-01-16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단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518A KR20210092518A (ko) 2021-07-26
KR102346177B1 true KR102346177B1 (ko) 2022-01-03

Family

ID=76858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014A KR102346177B1 (ko) 2020-01-16 2020-01-16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31509B2 (ko)
JP (1) JP7150071B2 (ko)
KR (1) KR1023461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86616A1 (en) * 2022-09-12 2024-03-14 Google Llc Reading assistant in a browser environ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6841A (ja) * 2003-06-18 2004-02-12 Fujitsu Ltd 出力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3978A (ja) 1985-03-29 1986-10-04 Toshiba Corp 翻訳表示装置
JPH01103774A (ja) 1987-07-08 1989-04-20 Ricoh Co Ltd 翻訳表示装置
JP2000268037A (ja) 1999-03-17 2000-09-29 Csk Corp 端末及び翻訳サーバ
US20050030279A1 (en) * 2003-08-08 2005-02-10 Liang Fu Multi-functional pointing and control device
JP2005222136A (ja) 2004-02-03 2005-08-18 Seiko Epson Corp 会話型翻訳装置
KR20100091923A (ko) * 2009-02-10 2010-08-19 오의진 다국어 웹페이지 번역 시스템 및 다국어 웹페이지를 번역하여 제공하는 방법
US9009022B2 (en) * 2010-03-30 2015-04-14 Young Hee Yi E-book reader language mapping system and method
US20130282360A1 (en) * 2012-04-20 2013-10-24 James A. Shimot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lating and Locating Services in Multiple Languages
KR20150050947A (ko) 2013-11-01 201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번역방법 및 장치
KR101609184B1 (ko) 2014-05-27 2016-04-06 네이버 주식회사 사전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기록 매체 및 파일 배포 시스템
JP2018120479A (ja) 2017-01-26 2018-08-0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6841A (ja) * 2003-06-18 2004-02-12 Fujitsu Ltd 出力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24013A1 (en) 2021-07-22
JP2021114292A (ja) 2021-08-05
KR20210092518A (ko) 2021-07-26
US11531509B2 (en) 2022-12-20
JP7150071B2 (ja)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2948B2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having at least two touch screens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thereof
US4846694A (en) Computer controlled, overhead projector display
US20200341515A1 (en) Advanced Laptop Hardware and Software Architecture
US59147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a work space for a computer controlled display system using borders and regions
US9477382B2 (en) Multi-page content selection technique
US7908565B2 (en) Voice activated system and method to enable a computer user working in a first graphical application window to display and control on-screen help, internet, and other information content in a second graphical application window
US5038138A (en) Display with enhanced scrolling capabilities
JP2003131777A (ja) ディスプレイ上にシンボルを表示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40173483A1 (en) Drag-based content selection technique for touch screen ui
US9817794B2 (en) Responsive rendering of data sets
KR102346177B1 (ko) 원문과 번역문의 위치 동기화를 위한 자동 스크롤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단말 장치
JPWO2014097730A1 (ja) 装置
US20170371505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ndering a tree structure
JP6033752B2 (ja) ファイル位置のショートカットおよびウィンドウの配置構成
US20160299649A1 (en) Content display device, content display program, and content display method
US10222867B2 (en) Continued presentation of area of focus while content loads
Lee et al. Bringing things closer: Enhancing low-vision interaction experience with office productivity applications
KR102297903B1 (ko)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US201802881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ensure deleting associated data
KR101645341B1 (ko) 멀티 컴퓨터
CN1129855C (zh) 包括至少二个显示器的计算机
US96392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interface elements within a scrolling frame
JP2017138918A (ja) コンテンツ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表示制御装置
KR101887388B1 (ko) 다중 계층 구조의 페이지 생성 및 이동을 위한 시스템
Doan Practical Responsive Web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