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464B1 -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 - Google Patents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464B1
KR102345464B1 KR1020210014870A KR20210014870A KR102345464B1 KR 102345464 B1 KR102345464 B1 KR 102345464B1 KR 1020210014870 A KR1020210014870 A KR 1020210014870A KR 20210014870 A KR20210014870 A KR 20210014870A KR 102345464 B1 KR102345464 B1 KR 102345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x
hinge
hinge part
door leaf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태
Original Assignee
이지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태 filed Critical 이지태
Priority to KR1020210014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by swinging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44Tailboards or sideboards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함으로부터 문짝을 회동시키는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에 고정되는 암경첩부; 일측은 상기 암경첩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부가 구비되며, 타측은 상기 문짝에 형성된 T형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삽입돌기가 구비된 수경첩부; 및 상기 암경첩부와 수경첩부를 연결하는 연결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CARGO GATE WITH MOVABLE HINGE}
본 발명은 화물차량의 화물 적재함에 설치되는 문짝이 상기 적재함으로부터 회동되도록 하는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문짝의 장축 길이방향(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T형홈이 형성되고, T형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경첩부에 의해 상기 문짝을 차량의 적재함에 연결시키는 경첩의 설치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차량마다 서로 다른 다양한 적재함 길이에 맞추어 문짝의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한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량의 적재함 문짝(이하 문짝이라함)은 적재함 바닥프레임과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서 화물을 싣거나 내릴 때 문짝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화물차량 경첩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85-0004059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0677호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금속판으로 된 두 브라켓을 적재함과 문짝 각각에 용접이나 볼트조립을 통해 고정시킨 후, 각 브라켓에 형성된 힌지홀에 연결봉을 관통시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두 브라켓을 연결한 연결봉의 측단에 형성된 관통홀에 분할핀을 끼워 고정함으로써, 연결봉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두 브라켓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화물차량 경첩은 두 브라켓 모두 적재함과 문짝 각각에 용접이나 볼트조립을 통해 결합되기 때문에 경첩의 위치가 달라지는 경우, 문짝의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화물차량의 문짝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문짝에 구비된 하나의 브라켓 위치와 화물차량 적재함에 고정된 다른 하나의 브라켓 위치가 서로 다른 경우, 문짝의 설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브라켓의 위치를 이동시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용접된 브라켓의 이동은 매우 어려우며, 볼트조립에 의해 결합된 브라켓은 이동시켜 새로운 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화물차량 적재함이나 문짝에 볼트조립을 위한 천공 작업을 별도로 진행하여야 함으로써, 작업이 복잡해지고, 난이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화물차량 경첩은 두 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봉의 측단에 분할핀을 끼워 고정하는 구조로, 상기 분할핀이 탈락되는 경우, 연결봉 또한 경첩으로부터 분리되어 경접치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85-0004059호(1985.07.13.)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0677호(2001.12.3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문짝의 장축 길이방향(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T형홈이 형성되고, T형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경첩부에 의해 상기 문짝을 차량의 적재함에 연결시키는 경첩의 설치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차량마다 서로 다른 다양한 적재함 길이에 맞추어 문짝의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한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연결봉이 관통하는 수경첩부의 관통공 내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요철부가 형성됨으로써, 억지끼움에 의해 연결봉을 물어잡게 되어 경첩으로부터 연결봉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수경첩부의 회동부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구비됨에 따라, 화물차량 적재함에 고정된 암경첩부로부터 수경첩부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돌기가 적재함에 걸림되어 회동되는 정도를 제한함으로써, 문짝이 적재함과 강하게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적재함과 문짝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는 적재함으로부터 문짝을 회동시키는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 있어서, 적재함에 고정되는 암경첩부; 일측은 암경첩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부가 구비되며, 타측은 문짝에 형성된 T형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삽입돌기가 구비된 수경첩부; 및 암경첩부와 수경첩부를 연결하는 연결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문짝의 장축 길이방향(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T형홈이 형성되고, T형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경첩부에 의해 상기 문짝을 차량의 적재함에 연결시키는 경첩의 설치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차량마다 서로 다른 다양한 적재함 길이에 맞추어 문짝의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한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봉이 관통하는 수경첩부의 관통공 내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요철부가 형성됨으로써, 억지끼움에 의해 연결봉을 물어잡게 되어 경첩으로부터 연결봉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경첩부의 회동부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구비됨에 따라, 화물차량 적재함에 고정된 암경첩부로부터 수경첩부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돌기가 적재함에 걸림되어 회동되는 정도를 제한함으로써, 문짝이 적재함과 강하게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적재함과 문짝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암경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암경첩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수경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수경첩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수경첩부의 회동이 제한되는 예를 나타낸 정면측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수경첩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수경첩부에 연결봉이 결합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문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수경첩부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수경첩부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문짝에 수경첩부와 T형 막대가 결합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엔드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회동제한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회동제한부에 의해 수경첩부의 회동이 제한되는 예를 나타낸 정면측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는 문짝(400)의 장축 길이방향(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T형홈(410)이 형성되고, T형홈(4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경첩부(200)에 의해 상기 문짝(400)을 차량의 적재함(10)에 연결시키는 경첩의 설치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차량마다 서로 다른 다양한 적재함 길이에 맞추어 문짝(400)의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한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는 적재함(10)에 결합되는 수경첩부(200)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노후된 문짝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며, 차량의 적재함(10)에 결합되는 암경첩부(100)와 문짝에 결합되는 수경첩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봉(3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시간 운행에도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암경첩부(100), 수경첩부(200), 연결봉(300) 및 문짝(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암경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암경첩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암경첩부(100)는 차량의 적재함(10)에 결합되며, 후술되는 수경첩부(200)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결합부(110), 연장부(120) 및 연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암경첩부(100)는 차량의 적재함(10) 측면에 용접 또는 볼트조립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강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110)는 암경첩부(100)가 차량의 적재함(10)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10)는 적재함(10) 측면에 용접 또는 볼트조립에 의해 고정되거나 용접과 볼트조립이 함께 이루어져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 형태의 결합부(110)의 측면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통해 적재함(10)과 볼트조립을 하거나 또는 적재함(10) 측면에 결합부(110)를 인접시킨 후 용접을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12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결합부(110)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술되는 연결부(130)가 결합부(11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연장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10)의 정면측과 배면측 각각에 형성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후술되는 수경첩부(200)가 한 쌍의 연장부(120) 사이에 위치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연장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10)의 측면으로부터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외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연장부(120)는 후술되는 연결부(130)가 결합부(110)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연결부(130)에 후술되는 수경첩부(200)가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과정에서 암경첩부(100)로부터 수경첩부(200)가 회동가능한 범위를 확보하여 원활하게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한 쌍의 연장부(120) 각각의 끝단에 구비되며, 정면측과 배면측을 관통하는 연결홀(131)이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130)는 연결홀(131)에 후술되는 연결봉(300)이 끼워짐으로써, 암경첩부(100)로부터 수경첩부(200)가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수경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수경첩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수경첩부(200)는 일측이 암경첩부(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은 문짝(400)이 결합되어 적재함(10)으로부터 문짝(400)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회동부(210) 및 삽입돌기(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동부(210)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측에 구비되어 암경첩부(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정면측과 배면측을 관통하는 관통공(211)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부(210)는 후술되는 연결봉(300)이 암경첩부(100)의 연결부(130)에 형성된 연결홀(131)과 수경첩부(200)의 회동부(210)에 형성된 관통공(211)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연결봉(300)을 축으로 하여 수경첩부(200)는 암경첩부(100)로부터 회동되도록 한다.
삽입돌기(220)는 타측에 구비되어 문짝(400)에 결합된다.
이러한 삽입돌기(220)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T'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술되는 문짝(400)에 형성된 T형홈(4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된다.
즉 문짝(400)에 형성된 T형홈(410)은 상기 문짝(400)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상기 T형홈(410)에 끼워져 이탈되지 않는 삽입돌기(220)는 T형홈(4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한다.
이에, 문짝(400)에 결합되는 수경첩부(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차량마다 서로 다른 다양한 적재함 길이에 맞추어 문짝(400)의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수경첩부의 회동이 제한되는 예를 나타낸 정면측 단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수경첩부(200)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회동부(210)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돌기(230)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돌기(230)는 암경첩부(100)로부터 수경첩부(200)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적재함(10)에 접촉되어 수경첩부(20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암경첩부(100)로부터 수경첩부(200)가 차량 외측으로 회동되어 적재함(10)의 문짝(400)을 개방시키는 과정에서 걸림돌기(230)는 적재함(10)의 측면 또는 결합부(110)의 하측면에 걸림됨에 따라, 수경첩부(200)가 회동되는 범위가 제한된다.
이에, 문짝(400)이 적재함(10)과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훼손되지 않도록 하고, 적재함(10)과 문짝(400) 사이에 공간을 두어 사용자의 손과 같은 신체 일부가 적재함(10)과 문짝(400) 사이에 끼이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수경첩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수경첩부에 연결봉이 결합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수경첩부(200)에 형성된 관통공(211)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내주면에 중심측을 향하도록 돌출된 요철부(212)가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철부(212)는 관통공(211)의 내주면에 상기 관통공(211)의 중심측을 향하도록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톱니 모양이 반복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관통공(211)의 정면측과 배면측으로 장축 방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 개의 요철부(212)는 후술되는 연결봉(300)이 관통공(21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봉(30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맞물리도록 한다.
이에, 연결봉(300)은 다수 개의 요철부(212)와 맞물리게 됨에 따라, 관통공(211)에 연결봉(300)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연결봉(30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수경첩부(200)의 회동부(210)에 형성된 관통공(211)과 연결봉(300)의 직경은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관통공(211)의 내주면에 돌출된 형태의 요철부(212)가 상기 관통공(211)으로 끼워진 연결봉(300)의 외주면을 보다 강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수경첩부(200)와 연결봉(300)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봉(300)은 암경첩부(100)와 수경첩부(200)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세하게는, 암경첩부(100)의 연결부(130)에 형성된 연결홀(131)과 수경첩부(200)의 회동부(210)에 형성된 관통공(211)에 끼워짐으로써, 연결봉(300)을 축으로 하여 수경첩부(200)가 암경첩부(100)로부터 회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봉(300)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연결홀(131)과 관통공(211)에 끼워진 후, 별도의 분할핀(split pin)이 결합되어 연결봉(3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문짝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수경첩부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문짝에 수경첩부와 T형 막대가 결합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문짝(400)은 차량의 적재함(10) 측면 또는 배면에 구비되어 벽체 기능을 하며, 경첩에 의해 회동됨에 따라, 상기 적재함(10)을 개방시키는 것으로, T형홈(410), T형 막대(420) 및 엔드커버(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문짝(40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측에 수경첩부(200)가 결합되어 적재함(10)에 고정 결합된 암경첩부(100)로부터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T형홈(410)은 문짝(4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문짝(400)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수경첩부(200)의 삽입돌기(220)가 끼워져 상기 T형홈(410)을 따라 장축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T형홈(410)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돌기(220)에 대응되는 형태인 'T'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T형홈(410)은 문짝(400)의 정면측 또는 배면측 또는 정면측과 배면측 모두에 연통된 형태로 이루어져 수경첩부(200)가 상기 문짝(400)의 정면측 또는 배면측으로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형 막대(420)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T형홈(410)의 정면측 또는 배면측으로 끼워져 T형홈(410)으로부터 수경첩부(200)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T형 막대(42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T형홈(410)에 대응되는 형태인 'T'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금속, 비철금속, 목재 등 절단이 용이하며,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T형 막대(4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형홈(410)으로 삽입된 수경첩부(200)가 상기 T형홈(4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 후, T형홈(410)으로 끼워져 수경첩부(200)의 삽입돌기(220) 정면측이나 배면측에 접촉되어 삽입돌기(220), 즉, T형홈(410)으로부터 수경첩부(20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한다.
이에, T형홈(4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경첩부(200)에 의해 경첩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차량의 다양한 적재함(10) 길이에 관계없이 문짝(400)의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T형 막대(420)에 의해 수경첩부(200)가 슬라이드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적재함(10)에 문짝(400)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T형 막대(420)는 문짝(400)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양 끝단에 각각 끼워져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문짝(400)의 장축 길이방향으로 수경첩부(200)가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 구비되는 경우, 문짝(400)의 정면측과 배면측 양 끝단에 각각 구비된 수경첩부(200) 외측으로 T형 막대(42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문짝(400)의 정면측으로 개구된 T형홈(410)에 끼워진 T형 막대(420)는 문짝(400)의 정면측에 구비된 하나의 수경첩부(200)의 정면측에 접촉되고, 문짝(400)의 배면측으로 개구된 T형홈(410)에 끼워진 T형 막대(420)는 문짝(400)의 배면측에 구비된 다른 하나의 수경첩부(200)의 배면측에 접촉됨으로써, 문짝(400)에 결합된 수경첩부(200)는 더이상 슬라이드 이동되지 않고 고정되어, 결과적으로, 적재함(10)으로부터 문짝(400)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400)의 정면측과 배면측 양 끝단에 결합된 T형 막대(42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후술되는 도 14에 도시된 엔드커버(4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문짝(400)의 정면측과 배면측 끝단에 각각 끼워진 T형 막대(420)에 의해 문짝(400)에 끼워진 수경첩부(200)는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고, 엔트커버(430)가 T형홈(410)의 정면측과 배면측을 차단하여 T형홈(410)에 끼워진 T형 막대(4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문짝(400)의 장축 길이방향으로 수경첩부(200)가 다수 개 구비되는 경우, T형 막대(420)는 정면측과 배면측 끝단 이외에 다수 개의 수경첩부(200) 사이사이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수경첩부(200) 사이사이에 T형 막대(420)가 구비되어 문짝(400)의 장축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경첩부(20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엔드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문짝(400)은 정면측과 배면측 중 선택된 하나의 외주면에 엔드커버(430)가 구비될 수 있다.
엔드커버(430)는 문짝(400)에 형성된 T형홈(410)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T형홈(410)으로 삽입된 수경첩부(200) 및 T형 막대(420)가 문짝(4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엔드커버(43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ㄷ'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개구된 공간으로 문짝(400)의 정면 또는 배면 일부분이 끼워지도록 한 후 고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엔드커버(430)의 고정은 볼트조립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회동제한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서 회동제한부에 의해 수경첩부의 회동이 제한되는 예를 나타낸 정면측 단면도이다.
한편, 첨부된 도 8은 회동부(210)의 외주면에 걸림돌기(230)가 돌출된 형태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걸림돌기(230)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회동제한부(500)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회동제한부(500)는 걸림돌기(23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으로, 회동부(210)의 정면측이나 배면측에 결속되며, 수경첩부(200)와의 회동이 공유되어 함께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제1결속돌기(213), 통공(510), 제2결속돌기(520) 및 회동제한돌기(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회동제한부(500)는 암경첩부(100)로부터 수경첩부(200)가 회동되는 범위를 제한하되, 수경첩부(200)가 회동되는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수경첩부(200)의 회동부(210)와 맞물려 회동이 공유되도록 하되, 회동제한돌기(530)가 돌출되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회동제한돌기(530)가 적재함(10)에 걸림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적재함(10)으로부터 문짝(400)이 회동되는 제한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결속돌기(213)는 회동부(210)의 정면측과 배면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제2결속돌기(52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결속돌기(213)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2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되, 사구 개의 제1결속돌기(213)가 서로 이격된 형태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제2결속돌기(52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통공(510)은 회동제한부(500)의 정면측과 배면측을 관통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연결봉(300)이 관통되도록 한다.
즉 연결봉(300)은 암경첩부(100)의 연결홀(131)과 수경첩부(200)의 관통공(211) 및 회동제한부(500)의 통공(510)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통공(510)의 직경은 관통공(211)의 직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관통공(2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철부(212)가 통공(510)의 내주면에도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관통공(211)과 통공(510) 각각에 형성된 요철부(212)가 연결봉(300)의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제2결속돌기(520)는 회동제한부(500)의 정면측과 배면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결속돌기(213)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결속돌기(213)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에, 제1결속돌기(213)와 제2결속돌기(520)가 맞물리게되면, 수경첩부(200)와 회동제한부(500)는 회동이 공유되어 연결봉(300)을 축으로 함께 회동된다.
회동제한돌기(530)는 회동제한부(500)의 외주면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암경첩부(100)로부터 회동부(210)와 상기 회동부(210)에 맞물린 회동제한부(500)가 함께 회동되는 과정에서 적재함(10)에 접촉되어 수경첩부(20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회동제한돌기(530)가 돌출되는 방향을 조절하여 수경첩부(200)의 제1결속돌기(213)와 회동제한부(500)의 제2결속돌기(520)가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회동제한돌기(530)가 적재함(10)에 접촉되는 각도를 조절함에 따라, 적재함(10)으로부터 문짝(400)이 회동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동시에, 회동되는 범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문짝(400)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적재함(10)에 닫혀있는 상태에서 회동제한돌기(530)가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문짝(400)을 회동시켜 적재함(10)을 개방시키는 과정에서 회동제한돌기(530)도 함께 회동되어 적재함(10)에 접촉되어 걸림된다.
이때, 문짝(400)은 회동제한돌기(530)가 적재함(10)에 걸림됨에 따라, 더이상 회동되지 않고 임시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됨으로써, 문짝(400)이 회동되는 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는 문짝(400)의 장축 길이방향(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T형홈(410)이 형성되고, T형홈(4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경첩부(200)에 의해 상기 문짝(400)을 차량의 적재함(10)에 연결시키는 경첩의 설치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차량마다 서로 다른 다양한 적재함(10) 길이에 맞추어 문짝(400)의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연결봉(300)이 관통하는 수경첩부(200)의 관통공(211) 내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요철부(212)가 형성됨으로써, 억지끼움에 의해 연결봉(300)을 물어잡게 되어 경첩으로부터 연결봉(3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경첩부(200)의 회동부(210)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30)가 구비됨에 따라, 화물차량 적재함(10)에 고정된 암경첩부(100)로부터 수경첩부(200)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돌기(230)가 적재함(10)에 걸림되어 회동되는 정도를 제한함으로써, 문짝(400)이 적재함(10)과 강하게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적재함(10)과 문짝(400)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적재함
100 : 암경첩부 110 : 결합부
120 : 연장부 130 : 연결부
131 : 연결홀
200 : 수경첩부 210 : 회동부
211 : 관통공 212 : 요철부
213 : 제1결속돌기 220 : 삽입돌기
230 : 걸림돌기
300 : 연결봉
400 : 문짝 410 : T형홈
420 : T형 막대 430 : 엔드커버
500 : 회동제한부 510 : 통공
520 : 제2결속돌기 530 : 회동제한돌기

Claims (7)

  1. 적재함(10)으로부터 문짝(400)을 회동시키는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에 고정되는 암경첩부(100);
    일측은 상기 암경첩부(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부(210)가 구비되며, 타측은 상기 문짝(400)에 형성된 T형홈(4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삽입돌기(220)가 구비된 수경첩부(200); 및
    상기 암경첩부(100)와 수경첩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봉(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암경첩부(100)는
    상기 적재함(10)에 용접 또는 볼트조립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부(110);
    상기 결합부(110)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연장부(120);
    상기 연장부(120)의 끝단에 구비되며, 정면측과 배면측을 관통하는 연결홀(131)이 형성된 연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경첩부(200)는
    일측에 구비된 회동부(210)에 정면측과 배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공(211);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봉(300)은
    상기 연결부(130)의 연결홀(131)과 회동부(210)의 관통공(211)에 끼워져 암경첩부(100)로부터 수경첩부(200)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관통공(211)은
    내주면에 중심측을 향하도록 돌출된 요철부(212)가 다수 개 형성되되,
    상기 요철부(212)는
    톱니 모양이 반복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공(211)의 정면측과 배면측으로 장축 방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경첩부(200)의 회동부(210)에 형성된 관통공(211)과 연결봉(300)의 직경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문짝(400)은
    상기 T형홈(4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T형 막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T형 막대(420)는
    상기 삽입돌기(220)의 정면측이나 배면측에 접촉되어 상기 T형홈(410)으로부터 삽입돌기(2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문짝(400)은
    정면측과 배면측에 결합되는 엔드커버(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엔드커버(430)는
    상기 T형홈(410)의 정면측과 배면측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경첩부(200)는
    상기 회동부(210) 외주면에 돌출된 형태의 걸림돌기(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걸림돌기(230)는
    상기 암경첩부(100)로부터 수경첩부(200)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적재함(10)에 접촉되어 수경첩부(20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210)의 정면측이나 배면측에 결속되며, 상기 연결봉(300)이 관통되는 통공(510)이 형성된 회동제한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동부(210)는
    정면측과 배면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제1결속돌기(2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동제한부(500)는
    상기 제1결속돌기(213)에 맞물리며, 정면측과 배면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제2결속돌기(520); 및
    외주면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경첩부(100)로부터 회동부(210)와 상기 회동부(210)에 맞물린 회동제한부(500)가 함께 회동되는 과정에서 적재함(10)에 접촉되어 수경첩부(20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회동제한돌기(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
KR1020210014870A 2021-02-02 2021-02-02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 KR102345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870A KR102345464B1 (ko) 2021-02-02 2021-02-02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870A KR102345464B1 (ko) 2021-02-02 2021-02-02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464B1 true KR102345464B1 (ko) 2021-12-31

Family

ID=79177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870A KR102345464B1 (ko) 2021-02-02 2021-02-02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4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598A (ko) * 1996-10-17 1998-07-15 박병재 화물자동차 게이트의 이동식 힌지
KR200260677Y1 (ko) 2001-10-10 2002-01-16 김봉재 도어용 경첩
US20120240354A1 (en) * 2009-12-02 2012-09-27 Hingeworx, Llc Hinge-Integrated Adjustable Door Stop
KR20160028023A (ko) * 2014-09-02 2016-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게이트의 장착구조
KR20200126156A (ko) * 2019-04-29 2020-11-06 변성중 차량 도어용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598A (ko) * 1996-10-17 1998-07-15 박병재 화물자동차 게이트의 이동식 힌지
KR200260677Y1 (ko) 2001-10-10 2002-01-16 김봉재 도어용 경첩
US20120240354A1 (en) * 2009-12-02 2012-09-27 Hingeworx, Llc Hinge-Integrated Adjustable Door Stop
KR20160028023A (ko) * 2014-09-02 2016-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게이트의 장착구조
KR20200126156A (ko) * 2019-04-29 2020-11-06 변성중 차량 도어용 힌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7331A (en) Door lift-off hinge
EP2855246B1 (de) Heckspoiler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EP2855244B1 (de) Heckspoiler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US20070296226A1 (en) Swing Gate Latch System
DE102009016275B3 (de) Heckklappenscharnier für Kraftfahrzeug mit zwei Schwenkachsen
US9267314B2 (en) Locking assembly for a side-swing tailgate
DE202018106610U1 (de) Fahrzeugtürbaugruppen
KR102345464B1 (ko) 이동식 경첩이 구비된 화물차량용 적재함 게이트
US4324429A (en) Quick detachable hinging cover for pickup truck beds
EP1408181A2 (en) Latch assembly and striker
US5450891A (en) Window shade mountable on both ends in similar brackets
US5004062A (en) Vehicle nose pivotal hinge assembly
US5297841A (en) Cargo door assembly
US5011215A (en) Escape door system
US10407959B2 (en) Vehicles, latches and latch assemblies with retaining brackets
US20030168865A1 (en) Two stage latch for heavy duty engine cover
EP1473424A1 (en) A locking system for a door or window
US5413369A (en) Latch mechanism for tractor hitches, farm gates or the like
KR20150022096A (ko) 차량의 적재함 도어 잠금장치
KR102005557B1 (ko) 종방향 또는 횡방향 개폐가 가능한 화물차량의 적재함 도어
EP3647166A1 (en) Trailer with double hinge tailgate
KR101786705B1 (ko) 차량의 대향 개폐형 도어구조
KR100427766B1 (ko) 트윈스윙 방식의 테일게이트 도어힌지 구조
DE102009014423B4 (de) Befestigungseinrichtung
KR20070025702A (ko) 트럭의 적재함 게이트 힌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