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367B1 - 주조품용 탈사장치 - Google Patents

주조품용 탈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367B1
KR102345367B1 KR1020200110212A KR20200110212A KR102345367B1 KR 102345367 B1 KR102345367 B1 KR 102345367B1 KR 1020200110212 A KR1020200110212 A KR 1020200110212A KR 20200110212 A KR20200110212 A KR 20200110212A KR 102345367 B1 KR102345367 B1 KR 102345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tation
support frame
rotat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기
Original Assignee
세원기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원기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원기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0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9/00Removing castings from moulds, not restricted to casting processes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Removing cores; Handling ingots
    • B22D29/02Vibratory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haking out fl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1/00Cutting-off surplus material, e.g. gates; Cleaning and working on castings
    • B22D31/002Cleaning, working on cas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에 회전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비하는 본체, 회전프레임에 연결 설치하며, 회전프레임이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부, 회전프레임에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탈사대상품을 고정하는 고정클램프를 장착 구비하는 받침프레임, 받침프레임에 설치하며, 받침프레임이 회전프레임 상에서 전후 및 좌우방향 왕복 이동하는 움직임이 발생하도록 받침프레임에 진동을 발생시켜 받침프레임에 고정 배치된 탈사대상품에서 주물사가 이탈되게 하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는 주조품용 탈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조품용 탈사장치{Removing Apparatus for molding sand of casting goods}
본 발명은 주조품에 부착된 주물사를 주조품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통해 제거할 수 있게 하는 주조품용 탈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각종 부품, 예를 들면 실린더헤드, 실린더블록, 매니홀드 등은 알루미늄 및 철을 주조가공하여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주조공정에 의해 얻어지는 주조품은 주물사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주조 후 주물사를 제품으로부터 떨어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주물사를 제품에서 떨어내고자 할 경우, 주조품을 작업대에 고정하고, 주조품을 해머로 타격하는 탈사장치를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탈사장치는 주조품의 표면을 해머가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도록 타격함으로 인해, 주조품의 변형이나 크랙과 같은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해머를 이용한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면서 주물사를 탈사한 후에도 잔사 또는 다른 이물질이 남아 있음으로 인해 다음 공정 작업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주조품의 탈사장치에 대한 관련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0664호(2012.12.04)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주조품에서 주물사, 잔사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때, 주조품의 변형이나 크랙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주조품용 탈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측에 회전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비하는 본체, 상기 회전프레임에 연결 설치하며, 회전프레임이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부, 상기 회전프레임에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탈사대상품을 고정하는 고정클램프를 장착 구비하는 받침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에 설치하며, 받침프레임이 회전프레임 상에서 전후 및 좌우방향 왕복 이동하는 움직임이 발생하도록 받침프레임에 진동을 발생시켜 받침프레임에 고정 배치된 탈사대상품에서 주물사가 이탈되게 하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는 주조품용 탈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하방향으로 삽입홈부가 관통 형성된 개방된 링 구조를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이격상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한 쌍의 회전판, 상기 한 쌍의 회전판 사이를 연결 지지하는 복수의 연결지지바, 상기 한 쌍의 회전판 양측에 각각 설치하며, 회전판을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회전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프레임은 탈사대상품에서 이탈되는 주물사가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낙하홈부가 관통 형성된 판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본체에는 탈사대상물으로부터 낙하되는 주물사를 포집하는 포집호퍼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결합 설치하는 회전모터,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연결 설치하며, 회전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감속기, 상기 감속기와 회전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하며, 감속기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회전프레임으로 전달하는 회전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프레임의 양측에는 탄성력을 가지는 한 쌍의 운동전환부재를 상호 마주보도록 결합 구비하며, 상기 받침프레임의 양측은 운동전환부재에 연결되어, 진동발생부에서 발생된 진동을 통해 회전프레임에서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직선 왕복이동하고, 상기 진동발생부는, 바이브레이터 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전환부재는, 상기 회전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마주보도록 한 쌍을 결합 설치하며, 탄성력을 가지면서 연질로 이루어진 지지축부, 상기 한 쌍의 지지축부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받침프레임과 연결하며, 탄성력을 가지면서 경질로 이루어진 연결판부, 상기 연결판부의 양단을 지지축부와 연결 결합되게 하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클램프는 받침프레임에 상호 이격상태로 마주보도록 적어도 한 쌍을 결합 구비하며, 상기 고정클램프는, 상기 받침프레임에 결합 설치하는 고정실린더, 상기 고정실린더의 실린더 로드 단부에 결합하며, 고정실린더의 동작에 따른 실린더 로드의 길이변화에 따라 탈사대상품에 접촉상태로 가압 고정 또는 탈사대상물을 고정상태에서 해제되게 하는 고정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설치하며, 상기 받침프레임에 탈사대상물을 고정하기 전에는 회전프레임을 고정되게 하고, 회전구동부 및 진동발생부의 작동시에는 회전프레임의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회전프레임이 회전 및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게 하는 위치고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프레임의 일측에는 위치고정홈이 형성된 위치고정판을 연결 구비하며, 상기 위치고정부는, 실린더 로드의 길이변화에 따라 실린더 로드 단부가 위치고정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유압실린더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조품용 탈사장치는, 탈사대상물을 받침프레임에 고정되게 배치한 후, 진동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받침프레임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받침프레임은 진동을 통해 본체의 회전프레임 상에서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탈사대상물에 부착된 주물사를 이탈되게 한다. 더불어, 회전구동부는 회전프레임을 회전시켜 탈사대상물의 배치 각도를 변경되게 하면서 회전프레임 상에서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바, 탈사대상물의 물리적인 타격없이도 주물사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품용 탈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품용 탈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나타낸 A 부분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품용 탈사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품용 탈사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낸 A 부분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1의 나타낸 A 부분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주조품용 탈사장치는, 본체(100), 회전구동부(200), 받침프레임(300), 진동발생부(4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탈사대상물(10)에 대한 주물사 이탈 작업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본체(100)는 주물사 이탈 작업을 수행하는 장소의 지면 상에 배치되도록 이후 설명될 회전구동부(200)와 받침프레임(300) 및 진동발생부(400)를 지지한다. 여기서, 본체(100)는 하단을 지면 상에 면접촉되게 배치하는 지지다리부(100a)와, 지지다리부(100a)의 상단에 결합 설치하는 박스부(10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박스부(100b)는 내측에 공간부가 마련된 육면체 형상의 통 구조를 가지며, 상판측에는 탈사대상품(10)에서 이탈되는 주물사를 하방으로 배출되게 할 수 있도록 포집구(101)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박스부(100b)의 내측에는 포집구(101)를 통해 낙하하는 주물사를 포집할 수 있게 하는 포집호퍼(102)를 결합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다리부(101)의 하단에는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나 고무로 이루어진 진동흡수패드(100c)를 결합하여, 박스부(100b)에서 지지다리(100a)를 통해 지면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상기 박스부(100b)의 상판측에는 이후 설명될 회전프레임(110)을 박스부(100b)의 상방에 배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 지지하는 회전지지대(103)를 결합 구비한다. 이때, 회전지지대(103)는 포집구(101)를 중심으로 양측에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한 쌍을 박스부(100b)의 상판측에 결합한다. 여기서, 회전지지대(103)에는 회전프레임(11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 지지하도록 로터리조인트(103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박스부(100b)의 상판측에는 한 쌍의 회전지지대(103)의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모터지지대(104)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지지대(104)는 이후 설명될 회전구동부(200)의 회전모터(210)를 박스부(100b)의 상방에 배치되도록 연결 지지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는 회전구동부(200)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프레임(110)을 연결 구비한다. 즉, 회전프레임(110)은 이후 설명될 받침프레임(300)에 고정 배치되는 탈사대상품(10)에서 주물사의 이탈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각도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본체(100)의 회전지지대(10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러한, 회전프레임(110)은 회전판(111), 연결지지바(112), 회전연결축(11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111)은 상하방향으로 삽입홈부(111a)가 관통 형성된 개방된 링 구조를 가지는 판 부재이다. 이러한, 회전판(111)은 본체(100)의 박스부(100)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격상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을 구비한다. 여기서, 삽입홈부(111a)는 받침프레임(300)으로의 탈사대상품(10) 삽입 설치를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탈사대상품(10)에서 이탈되는 주물사가 포집구(101)로 낙하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연결지지바(112)는 한 쌍의 회전판(111) 사이를 연결하는 바 부재이다. 즉, 연결지지바(112)의 상단은 상측에 위치하는 회전판(111)에 고정 결합하고, 연결지지바(112)의 하단은 하측에 위치하는 회전판(111)에 고정 결합한다. 이러한, 연결지지바(112)는 한 쌍의 회전판(111)을 안정적으로 연결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판(111)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연결축(113)은 회전판(111)을 본체(100)의 회전지지대(10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 부분이다. 이러한, 회전연결축(113)은 연결지지바(112)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회전판(111) 양측에 각각 마주보도록 한 쌍을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회전연결축(113)의 단부는 회전지지대(10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프레임(11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지지대(103)에 마주보는 회전판(111)의 측부에는 위치고정판(114)을 결합 구비한다. 여기서, 위치고정판(114)에는 이후 설명될 위치고정부(130)의 동작시, 로드 단부를 삽입되게 하는 위치고정홈(114a)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프레임(110)의 좌우 양측에는 이후 설명될 받침프레임(300)을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면서 회전프레임(110)에 수평상태로 탄성 지지하는 보조가이드(11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가이드(115)는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합성수지나 고무재질로 형성된 판체로, 보조가이드(115)의 양측은 각각 회전프레임(110) 및 받침프레임(300)의 마주보는 좌우 양측 사이를 연결하도록 회전프레임(110) 및 받침프레임(300)에 고정되게 결합한다.
더불어, 상기 본체(10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지지대(104)의 일측에 설치되어, 받침프레임(300)의 고정클램프(320)에 탈사대상물(10)을 고정하기 전에 회전프레임(110)을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게 하고, 회전구동부(200) 및 진동발생부(400)의 작동시에는 회전프레임(110)의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회전프레임(110)이 회전 및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게 하는 위치고정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고정부(130)는 유압실린더를 선택 적용할 수 있으며, 로드의 길이변화에 따라 로드 단부가 위치고정판(114)의 위치고정홈(130)에 삽입되면서 회전프레임(110)을 고정상태로 유지되게 하거나, 로드 단부가 위치고정홈(130)에서 이탈되면서 회전프레임(110)을 회전 및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이같이, 위치고정부(130)가 회전프레임(110)을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게 할 경우, 별도의 로봇암이나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으로 탈사대상물(10)을 받침프레임(300)에 공급시, 고정클램프(320)에 의한 고정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상기 회전프레임(110)의 좌우 양측에는 한 쌍의 운동전환부재(120)를 마주보게 결합 구비하여, 받침프레임(300)을 이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한다. 이러한, 운동전환부재(120)는 받침프레임(300)을 회전프레임(110) 상에 이동 가능하게 탄성 지지함으로써, 진동발생부(400)에서 진동이 발생할 경우, 발생된 진동에 의해 받침프레임(300)이 회전프레임(110) 상에서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운동전환부재(120)는 지지축부(121), 연결판부(122), 연결브라켓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축부(121)는 연결판부(122)를 회전프레임(110)의 회전판(111)에 연결되게 하는 원형 기둥형상을 가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지지축부(121)는 회전프레임(110)의 좌우 양측에 마주보도록 한 쌍을 배치하며, 지지축부(121)는 한 쌍의 회전판(111)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지지축부(121)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회전판(111)에 결합 설치한다. 여기서, 지지축부(121)는 탄성력을 가지면서 연질로 이루어진 고무나 우레탄으로 형성되어, 진동발생부(400)에서 진동발생시 받침프레임(300)이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판부(122)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상기 연결판부(122)는 한 쌍의 지지축부(121)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받침프레임(300)과 연결되는 사각판형상을 가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연결판부(122)는 진동발생부(400)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통해 받침프레임(300)이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면서 경질로 이루어진 스프링강이나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부(123)는 연결판부(122)의 좌우 양측 테두리 부분을 지지축부(121)에 연결 결합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연결브라켓부(123)는 연결판부(122)의 양단을 한 쌍의 지지축부(121)에 각각 연결 결합되게 할 수 있도록 한 쌍을 구비한다. 여기서, 연결브라켓부(123)는 지지축부(121) 외측에 삽입되도록 개방된 고리 형태의 축삽입부(123a)와, 축삽입부(123a)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면서 연결판부(122)에 볼트와 너트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체결부(12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200)는 본체(1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배치된 회전프레임(110)의 회전판(111)을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켜 전달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회전구동부(200)는 회전프레임(110)의 회전연결축(113)과 연결되도록 본체(100) 상에 설치한다. 여기서, 회전구동부(200)는 회전모터(210), 감속기(220), 회전연결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모터(210)는 회전판(111)을 회전시키도록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이다. 이러한, 회전모터(210)는 본체(100)의 모터지지대(104)에 고정되게 결합 설치한다.
상기 감속기(220)는 회전모터(210)에서 발생되는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감속기(220)는 본체(100)의 모터지지대(104)에 결합 설치하며, 감속기(220)의 입력축 부분은 회전모터(210)의 구동축 부분과 연결되게 한다.
상기 회전연결부재(230)에는 감속기(220)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회전프레임(110)의 회전연결축(113)으로 전달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회전연결부재(230)는 감속기(220)의 출력축 부분과 회전프레임(110)의 회전연결축(113) 사이를 연결한다. 즉, 회전연결부재(230)의 일측은 감속기(220)의 출력축에 연결하고, 회전연결부재(230)의 타측은 회전프레임(110)의 회전연결축(113)에 연결한다. 여기서, 회전연결부재(230)는 커플링 부재를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받침프레임(300)은 탈사대상물을 고정하며, 회전프레임(110)에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받침프레임(300)은 탈사대상품에서 이탈되는 주물사가 하방으로 낙하되게 함과 더불어 이후 설명될 고정클램프(320)에 의해 고정되는 탈사대상품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낙하홈부(310)가 관통 형성된 판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받침프레임(300)의 양측은 회전프레임(110)의 양측에 설치된 운동전환부재(120)의 연결판부(122)에 결합됨으로써, 운동전환부재(120)의 연결판부(122)와 지지축부(121)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프레임(110) 상에서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프레임(300)의 상측에는 탈사대상물(10)을 가압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고정클램프(320)를 장착 구비한다. 여기서, 고정클램프(320)는 받침프레임(300)에 상호 이격상태로 마주보도록 적어도 한 쌍을 결합 구비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낙하홈부(310)를 중심으로 양측에 마주보도록 적어도 한 쌍을 받침프레임(300)에 구비한다. 여기서, 고정클램프(320)는 고정실린더(321), 고정바(32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실린더(321)는 탈사대상물(10)을 가압상태로 고정되게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실린더이다. 이러한, 고정실린더(321)는 받침프레임(300)의 상측에 고정되게 결합 설치한다. 이때, 고정실린더(321)는 받침프레임(300) 상에 상하 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각각 복수개를 설치하여, 탈사대상물(10)이 회전각도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고정을 가능하게 하면서 탈사대상물(10)을 설치 및 이탈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고정대(322)는 고정실린더(321)의 동작에 따른 실린더 로드의 길이변화에 따라 탈사대상물(10)에 접촉되면서 가압력을 전달하면서 고정되게 하거나, 탈사대상물(10)과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면서 탈사대상물(10)을 고정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게 하는 프레임이다. 이러한, 고정대(322)는 고정실린더(321)의 실린더 로드 단부에 고정되게 결합 설치한다. 여기서, 고정대(322)는 'ㄱ'자형의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는 블럭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탈사대상물에 안정적으로 밀착되게 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진동발생부(400)는 받침프레임(300)의 전후 및 좌우방향 이동을 통해 받침프레임(300)에 고정 배치된 탈사대상품(10)에서 주물사가 이탈될 수 있도록 받침프레임(300)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즉, 진동발생부(400)는 받침프레임(300)에서 진동을 발생되게 하고, 발생된 진동은 받침프레임(300)을 회전프레임(110) 상에서 운동전환부재(120)에 의해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진동발생부(400)는 받침프레임(300)의 일측에 고정되게 적어도 하나를 결합 설치한다. 여기서, 진동발생부(400)는 바이브레이터 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진동을 발생시키는 이외의 진동발생수단을 선택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의 주조품용 탈사장치의 탈사대상물에 대한 탈사동작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받침프레임(300) 상에 탈사대상물(10)을 고정되게 배치한다.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위치고정부(130)를 작동시켜 위치고정부(130)의 실린더 로드 단부가 회전프레임(130)의 위치고정판(114)에 형성된 위치고정홈(114a)에 삽입 배치되게 하여, 회전프레임(130)을 고정 배치되게 한다. 이후, 로봇암이나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탈사대상물(10)이 받침프레임(300)의 고정클램프(32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고정클램프(320)의 고정실린더(321)가 동작하면서 고정대(322)를 탈사대상물(10)에 접촉상태로 가압 고정되게 한다.
이같이, 상기 받침프레임(300)에 배치된 탈사대상물(10)을 고정클램프(320)의 가압력을 통한 클램핑 고정한 후에는, 다시 위치고정부(130)가 작동하면서 위치고정부(130)의 실린더 로드 단부가 회전프레임(130)의 위치고정판(114)에 형성된 위치고정홈(114a)에서 이탈되면서 회전프레임(130)을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게 한다.
이후, 상기 진동발생부(400)가 작동하면서 진동이 발생하면, 발생된 진동이 받침프레임(300)으로 전달되고, 받침프레임(300)은 본체(100)의 회전프레임(111) 상에서 운동전환부재(120)의 탄성력을 통해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이같이, 상기 받침프레임(300)이 회전프레임(111) 상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탈사대상물(10)에 부착되어 있던 주물사의 이탈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부(200)의 회전모터(210)의 작동을 통해 회전프레임(110)을 회전되게 하면서, 받침프레임(300) 상에 고정 배치된 탈사대상물(10)의 배치 각도를 변경되게 할 수 있는 바, 진동발생부(400)에 의한 진동을 통해 탈사대상물(10)에서의 주물사 제거시, 주물사가 부착된 위치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이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품용 탈사장치는, 탈사대상물(10)을 받침프레임(300)에 고정되게 배치한 후, 진동발생부(4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받침프레임(30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받침프레임(300)은 진동을 통해 본체(100)의 회전프레임(110) 상에서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탈사대상물(10)에 부착된 주물사를 이탈되게 한다. 더불어, 회전구동부(200)는 회전프레임(110)을 회전시켜 탈사대상물(10)의 배치 각도를 변경되게 하면서 회전프레임(110) 상에서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바, 탈사대상물(10)의 물리적인 타격없이도 주물사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01: 포집구
102: 포집호퍼 103: 회전지지대
104: 모터지지대 110: 회전프레임
111: 회전판 112: 연결지지바
113: 회전연결축 120: 운동전환부재
121: 지지축부 122: 연결판부
123: 연결브라켓부 130: 위치고정부
200: 회전구동부 210: 회전모터
220: 감속기 230: 회전연결부재
300: 받침프레임 310: 낙하홈부
320: 고정클램프 321: 고정실린더
321: 고정대 400: 진동발생부

Claims (8)

  1. 상측에 회전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회전프레임에 연결 설치하며, 회전프레임이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회전프레임에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탈사대상품을 고정하는 고정클램프를 장착 구비하는 받침프레임; 및
    상기 받침프레임에 설치하며, 받침프레임이 회전프레임 상에서 전후 및 좌우방향 왕복 이동하는 움직임이 발생하도록 받침프레임에 진동을 발생시켜 받침프레임에 고정 배치된 탈사대상품에서 주물사가 이탈되게 하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하방향으로 삽입홈부가 관통 형성된 개방된 링 구조를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이격상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한 쌍의 회전판과,
    상기 한 쌍의 회전판 사이를 연결 지지하는 복수의 연결지지바와,
    상기 한 쌍의 회전판 양측에 각각 설치하며, 회전판을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회전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프레임은 탈사대상품에서 이탈되는 주물사가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낙하홈부가 관통 형성된 판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본체에는 탈사대상물으로부터 낙하되는 주물사를 포집하는 포집호퍼를 구비하는 주조품용 탈사장치.
  2. 상측에 회전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회전프레임에 연결 설치하며, 회전프레임이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회전프레임에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탈사대상품을 고정하는 고정클램프를 장착 구비하는 받침프레임; 및
    상기 받침프레임에 설치하며, 받침프레임이 회전프레임 상에서 전후 및 좌우방향 왕복 이동하는 움직임이 발생하도록 받침프레임에 진동을 발생시켜 받침프레임에 고정 배치된 탈사대상품에서 주물사가 이탈되게 하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프레임의 양측에는 탄성력을 가지는 한 쌍의 운동전환부재를 상호 마주보도록 결합 구비하며,
    상기 받침프레임의 양측은 운동전환부재에 연결되어, 진동발생부에서 발생된 진동을 통해 회전프레임에서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직선 왕복이동하고,
    상기 진동발생부는, 바이브레이터 모터인 주조품용 탈사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결합 설치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연결 설치하며, 회전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와 회전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하며, 감속기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회전프레임으로 전달하는 회전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주조품용 탈사장치.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운동전환부재는,
    상기 회전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마주보도록 한 쌍을 결합 설치하며, 탄성력을 가지면서 연질로 이루어진 지지축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축부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받침프레임과 연결하며, 탄성력을 가지면서 경질로 이루어진 연결판부 및,
    상기 연결판부의 양단을 지지축부와 연결 결합되게 하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부를 포함하는 주조품용 탈사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램프는 받침프레임에 상호 이격상태로 마주보도록 적어도 한 쌍을 결합 구비하며,
    상기 고정클램프는,
    상기 받침프레임에 결합 설치하는 고정실린더와,
    상기 고정실린더의 실린더 로드 단부에 결합하며, 고정실린더의 동작에 따른 실린더 로드의 길이변화에 따라 탈사대상품에 접촉상태로 가압 고정 또는 탈사대상물을 고정상태에서 해제되게 하는 고정대를 포함하는 주조품용 탈사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하며, 상기 받침프레임에 탈사대상물을 고정하기 전에는 회전프레임을 고정되게 하고, 회전구동부 및 진동발생부의 작동시에는 회전프레임의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회전프레임이 회전 및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게 하는 위치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주조품용 탈사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의 일측에는 위치고정홈이 형성된 위치고정판을 연결 구비하며,
    상기 위치고정부는, 실린더 로드의 길이변화에 따라 실린더 로드 단부가 위치고정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유압실린더 인 주조품용 탈사장치.
KR1020200110212A 2020-08-31 2020-08-31 주조품용 탈사장치 KR102345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212A KR102345367B1 (ko) 2020-08-31 2020-08-31 주조품용 탈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212A KR102345367B1 (ko) 2020-08-31 2020-08-31 주조품용 탈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367B1 true KR102345367B1 (ko) 2021-12-31

Family

ID=7917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212A KR102345367B1 (ko) 2020-08-31 2020-08-31 주조품용 탈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3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3348A (zh) * 2022-02-17 2022-05-10 江阴友联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工字轮清砂装置及清砂方法
CN117139602A (zh) * 2023-09-06 2023-12-01 苏州梓荣精密机械设备有限公司 铸造模具脱模辅助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957U (ja) * 1993-03-16 1994-10-04 日立金属株式会社 鋳物の中子砂除去装置
JPH10156516A (ja) * 1996-11-29 1998-06-16 Yamaha Motor Co Ltd 鋳物の砂落し方法及び同装置
JP6006910B1 (ja) * 2016-05-13 2016-10-12 株式会社滋賀山下 振動砂落と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957U (ja) * 1993-03-16 1994-10-04 日立金属株式会社 鋳物の中子砂除去装置
JPH10156516A (ja) * 1996-11-29 1998-06-16 Yamaha Motor Co Ltd 鋳物の砂落し方法及び同装置
JP6006910B1 (ja) * 2016-05-13 2016-10-12 株式会社滋賀山下 振動砂落とし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3348A (zh) * 2022-02-17 2022-05-10 江阴友联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工字轮清砂装置及清砂方法
CN114453348B (zh) * 2022-02-17 2023-07-14 江阴友联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工字轮清砂装置及清砂方法
CN117139602A (zh) * 2023-09-06 2023-12-01 苏州梓荣精密机械设备有限公司 铸造模具脱模辅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5367B1 (ko) 주조품용 탈사장치
JP4553493B2 (ja) パンチプレス
CN1820903A (zh) 手持式工具机
CN110216301B (zh) 一种复频数控超声加工方法及辅助装置和加工钻床
JP2007253188A (ja) 振動砂落とし装置
KR20230046814A (ko) 주조물 탈사 자동화 장치
JP4844888B2 (ja) 鋳造品の砂落とし用治具部材
US4486238A (en) Method and apparatus of cleaning the faces of plastic forming metal molds
US4476786A (en) Ballast tamping machine
CN204414243U (zh) 一种倾角可调式多片锯锯床
CN116021396A (zh) 一种数控机床用直线导轨的打磨加工设备
KR101359648B1 (ko) 용접부 가공 장치
EP0314933B1 (en) Continuous ballast-tamping machine with independent tamping heads for railway lines
JPH0610303A (ja) レール締結ボルトの締付機械
CN210682366U (zh) 一种用于翻转吹气除尘装置的搬运结构
CN219944590U (zh) 一种汽车后副车架用震动落砂机
CN209831998U (zh) 一种砂浆振动台
JP2012050990A (ja) 振動砂落とし装置
CN1307012C (zh) 垂直圆周运动振动台
KR200482953Y1 (ko) 흡입식 이물질 제거장치
CN213729283U (zh) 一种击砂头位置可调的击砂装置
CN218656772U (zh) 一种发动机缸盖落砂加振机
JP4362397B2 (ja) 成形品取出機の緩衝装置
JP3072394B2 (ja) ランナー部打撃装置
CN117399604B (zh) 一种具有除砂尘结构的铸造落砂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