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956B1 - 친환경 탄성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탄성 바닥 - Google Patents

친환경 탄성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탄성 바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956B1
KR102344956B1 KR1020210058188A KR20210058188A KR102344956B1 KR 102344956 B1 KR102344956 B1 KR 102344956B1 KR 1020210058188 A KR1020210058188 A KR 1020210058188A KR 20210058188 A KR20210058188 A KR 20210058188A KR 102344956 B1 KR102344956 B1 KR 102344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
elastic
layer
oi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원규
남경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팀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58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956B1/ko
Priority to KR1020210187454A priority patent/KR102375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9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탄성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탄성 바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니스 코트와 같은 경기장 바닥을 위한 탄성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경기용 탄성 바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친환경 탄성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탄성 바닥{Eco-friendly elastic packaging and elastic flo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친환경 탄성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탄성 바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니스 코트와 같은 경기장 바닥을 위한 탄성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경기용 탄성 바닥에 관한 것이다.
테니스 코트와 같이 정밀한 특성이 요구되는 경기장은 일반적인 체육 시설용 탄성 바닥과 달리, 탄성 바닥면을 시공한 후, 탄성 특성 개선을 위해서 탄성 바닥면 위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후, 추가로 리서페이서층과 탑 코팅층을 차례로 형성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탄성 바닥면은 롤형태의 탄성 시트를 바닥면에 부착하거나, 탄성칩과 바인더를 혼합한 후 이를 포설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684468호에서는 탄성 시트의 제조시에 표면에 우레아층을 형성한 탄성-우레아 복합시트를 사용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707099호에서는 대입경 고무입자를 포함하는 아크릴라텍스를 코팅하여 하부 탄성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소입경 고무입자를 포함하는 아크릴라텍스를 코팅하여 상부 탄성층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탄성 바닥면을 구성하는 방식이 개시된다.
하지만, 이러한 탄성 바닥면은 기층에서 유입되는 수분과 온도변화로 인한 열팽창 등에 여전히 취약하고, 시공 후에도 지속적인 하자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체와 액체로 이루어진 겔을 이용해서 탄성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부층을 형성하는 방안이 제시된다. 실리콘 겔, 아크릴 겔, 블록 코폴리머 엘라스토머 겔과 같이 인장, 압축, 전단 및 인열 강도가 우수한 겔을 이용하여, 큰 응력을 받은 후에도 영구 변형을 나타내지 않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겔에 포함된 액상 성분이 누출 및/또는 증발하면서 환경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WO 2018/122346 및 WO 2018/122347호에서는 폴리우레탄 메트릭스와 식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탄성겔을 개시한다. 이 방식은 식물성 오일이 폴리우레탄 메트릭스를 이루는 이소시아네이트에 반응하면서 결합됨으로써, 식물성 오일 성분의 누출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식물성 오일의 결합으로 인해 매트릭스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식물성 성분이 식물성 오일에 국한되는 문제가 있다.
본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일 누출 문제가 개선된 새로운 탄성 포장용 탄성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오일 누출 문제가 개선된 새로운 탄성 포장용 탄성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일 누출 문제와 오일의 결합으로 인한 물성 저하가 개선된 탄성 포장용 탄성겔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일 누출 문제와 오일의 결합으로 인한 물성 저하가 개선된 탄성 포장용 탄성겔을 이용한 운동 경기용 코트 바닥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폴리머 매트릭스; 및
상기 폴리우레탄 폴리머 메트릭스 내부에 충진된 오일로 이루어진 탄성겔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폴리머 메트릭스가 폴리머 폴리올 및 바이오 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오일의 적어도 일부는 폴리우레탄 메트릭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매트릭스를 이루는 폴리머 폴리올은 고분자 입자들이 고형분으로 폴리올 액상에 안정하게 분산된 폴리올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입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불포화 단량체, 예를 들어,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로서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폴리머 폴리올은 베이스 폴리올 중에 불포화 단량체들을 라디칼 중합하는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불포화 단량체는 스티렌, 메틸 스티렌, 에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타 아크릴로니트릴,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그리고 아크릴레이트 등이며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의 조합이 선호되고, 단량체의 첨가량은 폴리머 폴리올 제품 기준 무게로 20 - 60% 정도이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조합이 사용될 경우 무게 비로 0/100 - 80/20의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머 폴리올의 제조 공정은 금호석유화학에 허여된 대한민국특허 제839061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전체로 참고문헌으로 통합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폴리올의 베이스를 이루는 폴리올은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은 폴리에테르폴리올은 폴리올에 에틸렌옥사이드나 프로필린 옥사이드와 같은 알킬렌 옥사이드를 부가하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솔비톨에 프로필렌 산화물을 부가해서 얻어지거나 슈크로오스에 프로필렌 산화물과 에틸렌 산화물을 부가해서 얻어지는 에테르 폴리올 사용할 수 있으며, 분자량은 1,000-10,000 g/mol, 바람직하게는 2,000-8,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0-6,000 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좋다.이러한 폴리에테를 폴리올은 폴리올 제조업체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호석유화학의 PPG-482 그레이드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다가산과 다가 알코올의 반응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다가산의 종류로는 아디픽산, 숙신산, 옥살산, 말로닉산, 트리메틸 아디픽산, 테레프탈산, 무수프탈산, 무수이소프탈산 등이 사용가능하며, 난연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테레프탈산, 무수프탈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의 종류로는 일반적으로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그리고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이가알콜이 사용된다. 그 외에도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2,2,4-트리메틸-1,6-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이가알콜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무수프탈산에 디에틸렌글리콜이나 프로필렌글리콜을 부가하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구입해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애경화학의 AK-3001 그레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폴리올은 폴리우레탄 폴리머 메트릭스를 형성하는 전체 폴리올에 대해서 1~50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4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3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20 중량%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폴리올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적으면 폴리머 폴리올의 특성이 발현되지 않게 되며, 상기 폴리머 폴리올의 함량이 상기 범위 보다 많은 경우, 강도의 증가로 인해 겔층의 탄성이 저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매트릭스를 이루는 바이오 폴리올은 친환경 바닥재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폴리올은 식물 유래 폴리올이며, 천연 폴리올이나 개질된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팜 오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팜오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올은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도네시아 마스키마사에서 제조된 말단 그룹 분석법으로 측정된 OH-V가 315-330인 제품이며, 말단 그룹 분석법으로 측정한 분자량이 약 280 ~ 7000에 상응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폴리올은 폴리우레탄 폴리머 메트릭스를 형성하는 전체 폴리올에 대해서 1~50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30 중량%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매트릭스를 이루는 폴리올은 폴리머 폴리올과 바이오 폴리올을 제외한 일반적인 폴리올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폴리우레탄 매트릭스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통상의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은 폴리에테르폴리올은 폴리올에 에틸렌옥사이드나 프로필린 옥사이드와 같은 알킬렌 옥사이드를 부가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구입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50~98%의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95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0~90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폴리올과 반응해서 폴리우레탄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는 통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지방족계 및/또는 방향족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메틸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비스 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메틸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나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4,4',4-트리페닐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 2,4,6-톨릴렌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관능기수가 2가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5 ~ 3.0을 사용할 수 이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평균 관능기수가 2.5가 이하이면 매트릭스에 담지되는 오일과의 반응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평균 관능기수가 3.0 이상이면 점도가 매우 증가하여 유동성이 떨어져, 바닥면에 도포가 쉽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평균 NCO%가 15 ~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2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평균 NCO%가 15% 이하이면 유동성이 저하하고, 30% 이상이면 저온치수 안정성이 떨어져 폴리우레탄 매트릭스로 사용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매트릭스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의 반응비율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당량비가 1:1.0 내지 1:3.0의 범위에서 반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가교제, 촉매, 난연제나 기타 첨가제류, 일 예로 핵제나 계면활성제와 함께 혼합되어 원액을 구성하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배합되어 PU 매트릭스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유용한 촉매는 주석, 티타늄, 비스무트 에스테르 또는 아민 유형 촉매와 같은 유기 금속 유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PU 메트릭스에 충진된 상태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폴리올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공유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반응성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오일은 오일의 60 중량%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중량%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오일은 광유, 나프텐유 등과 같은 탄화수소유나 옥수수유, 대두유, 카놀라유 등과 같은 식물성 오일 및 에스테르화와 같은 개질된 식물성 오일. 산화 또는 에폭시화 식물성 오일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오일은 바닥재의 친환경성 측면을 고려하여 반응성 식물성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중합체 매트릭스에 공유 결합된 반응성 식물성 오일은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지방산 사슬에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일 수 있다.
공유 결합은 폴리우레탄 폴리머 매트릭스를 형성하는데 사용된 폴리우레탄 반응 혼합물에서 식물성 오일의 지방산 사슬의 작용기와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을 기반으로 한다. 공유 결합은 지방산 사슬을 폴리머 매트릭스와 연결한다. 식물성 오일의 일부는 작용기가 없는 식물성 기름이나 첨가제로 구성될 수있다.
반응성 식물성 오일은 관능기, 예를 들어 -OH 또는 NH2기를 포함한다. 적어도 일부 식물성 오일 분자의 지방산 사슬의 작용기는 반응 혼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식물성 오일 또는 이의 일부를 폴리우레탄 매트릭스에 공유 결합한다. 이로 인해 적어도 일부 또는 심지어 거의 모든 식물성 오일 분자가 PU 폴리머 매트릭스에 공유 결합되어 오일이 겔을 떠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응성 식물성 오일은 식물성 기름은 하나 이상의 트리글리세리드로 구성되거나 이를 포함하거나 또는 주성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글리세라이드는 트리스테아레이트, 트리팔미테이트, 트리올레에이트, 트리리놀레이트, 트리리시놀레이트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트리글리세리드는 글리세롤과 세 가지 지방산에서 파생된 에스테르이며, 바람직하게는, 트리글리세라이드는 불포화 트리글리세리드, 예를 들어 리놀레산으로부터 유도된 불포화 또는 다중 불포화 트리글리세리드일 수 있다. 불포화 트리글리세리드를 사용하면 이들 트리글리세라이드는 더 낮은 융점을 갖고 저온에서 액체 일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에 유리하다.
반응성 식물성 오일은 세 가지 지방산이 일반적으로 다르며 많은 종류의 트리글리세리드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트리글리세리드에서 지방산의 사슬 길이는 다양하지만 대부분은 16, 18 또는 20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지방산 사슬에 16-2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거나 그로 구성된다.
또한, 반응성 식물성 오일은 상이한 트리글리세리드의 복합 혼합물, 특히 포화 및 불포화 트리글리세리드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예를 들어, 식물성 오일의 50 %는 불포화 식물성 오일(들)로 구성될 수 있고 식물성 기름의 50 %는 포화 식물성 오일(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트리글리세리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이 광범위한 온도에서 녹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비교적 일정한 탄성을 갖는 포장 구조물을 제공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성 식물성 오일의 50 중량 % 이상은 불포화 트리글리세리드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방산 사슬의 대부분이 불포화된 식물성 기름이 반응성 식물성 오일로 사용된다. "불포화"지방산 및 하나 이상의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트리글리 세라이드는 본원에서 "불포화 트리글리세리드"또는 "불포화 식물유"로 지칭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전형적으로 52 %의 다중 불포화 지방산과 18 %의 단일 불포화 지방산을 갖는 면실유가 가소제로 사용될 수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식물성 기름으로 콩기름을 사용한다. 대두유는 약 84 %의 불포화 기능화 오일과 약 16 %의 포화 비기능화 오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대두유 기반 반응성 식물성 오일의 최소 16 %는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지 않고 고정되지 않는다. 대두유를 사용하는 것은 지방산 사슬에 작용기를 추가하기 위한 추가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오일을 PU 중합체 지지체에 공유적으로 결합 할 수 있는 작용기를 이미 포함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대두유, 아마인유 또는 피마자유와 같은 식물성 기름은 더 높은 수준의 불포화를 달성하기 위해 화학적으로 전환된다. 불포화 전환 생성물은 선택적으로 작용 화된다. 즉,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실 또는 아미노 그룹이 오일의 지방산 사슬에 첨가된다. 변환되고 선택적으로 기능화된 식물성 기름은 반응성 식물성 오일로 사용된다.
폴리올 및/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 식물성 오일은 미국 특허 US 2013/0011621호, WO 2018/122346 및 WO 2018/122347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문헌은 여기서 참고문헌으로 완전히 통합되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폴리우레탄 폴리머 매트릭스; 및
상기 폴리우레탄 폴리머 메트릭스 내부에 충진된 오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폴리우레탄 폴리머 메트릭스는 폴리머 폴리올 및 바이오 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오일의 적어도 일부는 폴리우레탄 메트릭스에 결합된 탄성겔층과,
상기 탄성 겔층의 상면에 부착된 상부층으로 이루어진 바닥용 층상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층상 구조는 경기장 바닥용 층상바닥 포장구조이며, 탄성 겔층과 상부층 사이에 장벽 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장벽층은 오일이 상부 방향으로 겔 층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장벽 층을 사용하면 포장 구조물의 기대 수명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유리할 수 있다. 장벽 층은 매트릭스에 공유 결합되지 않은 오일이 탄성 겔 층을 떠나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 겔 층이 부서지기 쉽고 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겔층의 충격 흡수 특성은 겨울의 극한 저온, 직사광선 및 여름의 고온과 같은 극한 조건에서도 수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벽 층은 합성수지층이다. 장벽 층은 40 중량% 이상의 수성 아크릴을 포함한다. 장벽 층에서 물이 증발하면 아크릴 분율이 장벽 층의 80 중량 %를 초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합성 수지"는 영구적으로 경화될 수 있는 점성액체이다. 일부는 유기 화합물의 에스테르화 또는 비누 처리로 제조된다. 일부는 "수지"라는 용어가 반응물이나 생성물 또는 둘 다에 느슨하게 적용되는 열경화성 플라스틱이다. 예를 들어, 액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종종 합성 수지로 사용되며, 중합되고 "고착"되기 전에 액체 상태이며, 세팅 후 생성된 PMMA는 "경화 수지"이며 종종 아크릴 유리 또는 "아크릴"층으로 이름이 변경된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합성 수지는 에폭시 수지, PU 수지 또는 폴리 에스테르 수지이다.
실시 예에 따르면, 장벽 층은 탄성 겔 층에 대한 상부 층의 접착을 촉진하도록 구성된 상용화제를 포함한다.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장벽 층을 사용하는 것은 상용화제가 탄성 겔 층 및 상부층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층은 친수성일 수 있고 탄성 겔 층은 일반적으로 소수성이다. 소수성 물질과 친수성 물질 모두에 강하게 접착할 수 있는 상용화제를 사용함으로써 탄성 겔층과 상부층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포장 층 구조의 기대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 상용화제는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와 PU 사이의 접착을 촉진하는 에틸렌 글리콜 일 수있다. 에틸렌 글리콜은 장벽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 %의 양으로 장벽 층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층은 안료 및 모래를 포함하는 아크릴 에멀젼이다. 예를 들어, 상부 층은 아크릴라텍스층, 스티렌-부타디엔층 또는 아크릴 라텍스 및 카복실화 스티렌-부타디엔의 조합에 기초한 층일 수있다. 상부 층은 표면 거칠기와 그립을 향상시키지만 표면에 대한 접착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 모래와 같은 충전재료를 상당 부분, 일 예로 중량의 40 % 이상 또는 심지어 60 %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프라이머 층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탄성 겔 층의 지반층에 대한 접착을 촉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프라이머 층은 기본적으로 가소제 및 상용화 제가 없는 폴리우레탄 층이며, 탄성 겔 층이 PU 매트릭스를 포함하므로 상용화제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라이머층 PU는 비발포 PU가 되도록 선택된다. 프라이머 층은 PU 기반 겔 층의 지면에 대한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라이머 층을 사용하면 프라이머가 기본 재료의 균열을 밀봉하고 채울 수 있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층상 구조는 바닥 포장 구조이며, 테니스 코트, 농구 코트, 운동장, 핸드볼 코트, 축구장 등을 위한 표면처리 시스템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바닥 포장 구조물은 옥외 포장 구조물로 사용되는 반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실내 포장 구조물로 사용된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포장 구조물은 공원, 학교 및 개인 주택의 포장 구조물로 사용된다. 유리한 효과에서, PU젤은 뛰어난 자체 레벨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비교적 높은 질량(공기 충전 PU 폼에 비해)으로 인해 PU- 오일젤용 반응 혼합물이 기본 재료의 미세 균열을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균열을 메워 서 바닥의 요철을 매끄럽고 평평하게 한다. 공기가 채워진 PU 폼은 종종 너무 가벼워서 작은 균열을 통과하고 고르지 않은 지면의 패치를 매끄럽게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닥 포장 구조물이 실시되는 기반층은 콘크리트, 아스팔트, 모래, 돌, 목재 또는 점토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이다.
일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부 층은 0.1 mm-2 m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0.2 mm-1.0 mm의 두께, 더 바람직하게는 0.4 mm-0.5 mm의 두께를 갖는다.
장벽 층은 5㎛-300㎛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20 ㎛-200㎛의 두께, 더 바람직하게는 50㎛-100㎛의 두께를 갖는다. 이것은 이 층 두께가 탄성 겔 내의 오일이 증발하는 것을 성공적으로 방지하고 상부 층 방향으로 표면 구조를 떠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있다.
또한, 탄성 겔 층은 1 mm - 4 m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1.5 mm-3.5mm의 두께, 더 바람직하게는 약 2mm의 두께를 갖는다. 이 층 두께는 테니스 코트와 같은 많은 유형의 운동장에 필요한 충격 흡수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라이머 층은 5 ㎛ - 500 ㎛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50 ㎛-300 ㎛의 두께, 더 바람직하게는 100 ㎛-150 ㎛의 두께를 갖지며, 탄성 겔 층은 1mm 이상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1.5 mm 이상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매트릭스와 오일을 포함하는 탄성 바닥층은 충분한 탄성과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1~10 mm의 두께로 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친환경성이 우수한 새로운 탄성 포장이 제시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친환경 탄성 포장은 겔을 이루는 매트릭스와 오일에 식물성 성분을 사용하면서도 물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었으며, 표면층을 변경하면 구장의 종류에 관계 없이 친환경 경기장을 조성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 혼합 폴리올의 제조
하기와 같은 a) 폴리머 폴리올과 b) 바이오 폴리올과 c) 일반 폴리올을 10: 30: 60 의 중량비로 혼합한 폴리올 혼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식물성 오일을 반응시켜 바닥재를 시공하였다.
a) 폴리머 폴리올의 제조
폴리머 폴리올 제조용 안정제를 제조한 후, 베이스 폴리올에서 스티렌 모노머(SM)과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AN)을 중합하여 폴리머 폴리올을 제조하였다.
먼저, 폴리머 폴리올 제조용 안정제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50L 고압 반응기에 폴리올A(솔비톨 개시제에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에틸렌 옥사이드를 반응시킨 폴리올. OH.가: 29, 평균 분자량: 9,100(GPC), 점도: 1,500cps/25℃) 19.32kg과 KOH 3.5g을 넣고 질소 분위기에서 교반 하에 110℃까지 승온시킨다. 온도를 유지하면서 10Torr 조건에서 감압 탈수(수분함량 0.05% 이하) 시킨다. 수분함량과 KOH%를 측정한다. 온도를 80℃로 낮추고 무수말레인산 210g을 투입한다. 반응기에 질소를 치환시키고 산소함량(ppm)을 측정한다. 질소치환을 반복하여 산소 함량을 50 - 60ppm에 맞춘다. 온도를 110℃로 승온시킨후, 온도를 유지하면서 에틸렌옥사이드 470g을 투입한다.
EO 투입완료 후, 질소를 충진시켜 압력을 4.8KG 까지 올린다. 시간에 따른 A.V(산가)와 점도를 측정하여 산가는 0.5이하 그리고 원하는 점도에서 반응을 중지시키고, 10Torr 조건에서 미반응 EO를 제거한다. 결과물의 점도는 7,200cps/25℃, 산가는 0.03, 평균 분자량 16,200 로 확인되었다.
다음, 제조된 폴리머 폴리올을 이용해서 다음과 같이 폴리머 폴리올을 제조하였다. 3리터 반응기에 콘덴서와 교반기를 갖추고 베이스 폴리올(글리세린 개시제에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에틸렌 옥사이드를 반응시킨 폴리올 B. OH가: 56, 분자량: 3,000, 점도: 410 cps/25℃) 180g과 에틸벤젠 180g을 넣은 후, 질소 분위기 하에서 120℃까지 승온시킨다. 교반 하에 115~125℃ 사이를 유지하면서 미리 준비해둔 단량체 혼합물 <베이스 폴리올 B. 846g, SM 360g, AN 360g, AIBN 10.8g, 제조된 안정제 72g>을 2시간에 걸쳐 연속 투입한다. 투입이 끝난 후 30분 동안 숙성을 시킨다. 온도를 125℃로 올리고 5mmHg의 진공에서 3시간 동안 탈기하여 미 반응 단량체와 EB를 제거한다. 고형분 함량: 40%, 점도: 5,900cps/25℃의 폴리머 폴리올을 제조하였다.
b) 바이오 폴리올
팜오일을 이용해서 인도네시아 마스키마사에서 제조된 바이오 폴리올을 사용하였다. OH-V가 315-330인 제품으로서, 말단 그룹 분석법으로 측정된 분자량이 약280~7000에 상응한다.
c) 일반 폴리올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을 기반으로 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사용하였으며, 평균 분자량은 6,000(nom.)이며, 말단 캡핑된 폴리프로필렌 에테르 트리올이 사용되었다.
2. 시공
콘크리트 바닥층에 프라이머 층을 먼저 형성한다. 프라이머 층은 약 65 중량%의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약 25 중량%의 용매 나프타(콜타르 또는 석유로부터 얻은 경질 방향족 탄화수소의 혼합물) 및 약 10 중량%의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PGMEA, 1 -methoxy-2-propanol acetate)를 이용하여 형성하였다.
프라이머 층의 상부에 상기 제조된 혼합폴리올 45 중량부와 이소시아네이트(액체 MDI eq.wt.181(공칭)) 5 중량부와 캐스터 오일 15 중량부와, 칼슘카보네이트 5 중량부와 오가노틴 0.4 중량부를 혼합 및 포설하여 8 mm 두께의 탄성 겔층을 형성하였다.
탄성 겔층의 상부 표면에는 아크릴 라텍스 용액(TS: 60 %) 66 중량%, 물 22 %, 에틸렌 글리콜 (상용화제) 1 중량% 및 추가 첨가제(살균제 등) 11 중량%로 이루어진 장벽용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장벽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장벽층의 상부에는 아크릴 라텍스 용액(TS: 60 중량%) 22 중량%와, 물 21 중량%와, 초크 34 중량%와, 증점제(검류)와 다른 첨가제 4 중량%로 이루어진 상부층을 형성한다. 상부층을 형성한 후 양생하여 탄성 바닥층을 완공하였다.

Claims (14)

  1. 폴리우레탄 폴리머 매트릭스; 및
    상기 폴리우레탄 폴리머 매트릭스 내부에 충진된 반응성 오일을 포함하는 탄성겔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폴리머 매트릭스는 폴리머 폴리올 1~20 중량%, 바이오 폴리올 1~30 중량% 및 일반 폴리올 50~98 중량%로 이루어진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서 형성되며,
    여기서, 상기 폴리머 폴리올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입자가 폴리에테르 폴리올에 분산된 것으로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입자 20 ~ 60중량%와, 폴리에테르 폴리올 40 ~ 80 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이오 폴리올은 팜오일을 이용해서 제조되는 폴리올이며,
    상기 일반 폴리올은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이며,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관능기 수가 2.5~3.0이며,
    상기 반응성 오일의 적어도 일부는 폴리우레탄 매트릭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폴리올은 고분자 입자들이 고형분으로 안정제를 포함하는 폴리올 액상에 안정하게 분산된 폴리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겔.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오일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공유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반응성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오일은 -OH기 또는 -NH2기를 가지는 식물성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겔.
  11. 제1항, 제2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탄성겔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바닥.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바닥은
    지반층; 상기 지반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탄성겔층; 및 상기 탄성겔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바닥.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바닥은 지반층과 탄성겔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하고, 탄성겔층과 상부층 사이에 장벽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바닥.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바닥은 테니스코트용 탄성 바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바닥.
KR1020210058188A 2021-05-04 2021-05-04 친환경 탄성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탄성 바닥 KR102344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188A KR102344956B1 (ko) 2021-05-04 2021-05-04 친환경 탄성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탄성 바닥
KR1020210187454A KR102375234B1 (ko) 2021-05-04 2021-12-24 친환경 경기장 바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188A KR102344956B1 (ko) 2021-05-04 2021-05-04 친환경 탄성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탄성 바닥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454A Division KR102375234B1 (ko) 2021-05-04 2021-12-24 친환경 경기장 바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4956B1 true KR102344956B1 (ko) 2021-12-31

Family

ID=791775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188A KR102344956B1 (ko) 2021-05-04 2021-05-04 친환경 탄성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탄성 바닥
KR1020210187454A KR102375234B1 (ko) 2021-05-04 2021-12-24 친환경 경기장 바닥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454A KR102375234B1 (ko) 2021-05-04 2021-12-24 친환경 경기장 바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449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4364A (ja) * 2007-02-28 2008-09-18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ポリウレタン組成物の製造方法
KR20100052928A (ko) * 2008-11-11 2010-05-20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불꽃 라미네이션 특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폴리올
WO2018122346A1 (en) * 2016-12-28 2018-07-05 Advanced Polymer Technology Corp. Floor pavement structure with gel layer
JP2019001868A (ja) * 2017-06-13 2019-0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内装用部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4364A (ja) * 2007-02-28 2008-09-18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ポリウレタン組成物の製造方法
KR20100052928A (ko) * 2008-11-11 2010-05-20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불꽃 라미네이션 특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폴리올
WO2018122346A1 (en) * 2016-12-28 2018-07-05 Advanced Polymer Technology Corp. Floor pavement structure with gel layer
JP2019001868A (ja) * 2017-06-13 2019-0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内装用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234B1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0563B2 (ja) 繊維含有成形品を接着するための2成分系ポリウレタン接着剤
JP5719495B2 (ja) 2液ウレタン系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床材用接着剤及び補修剤並びに床材の施工方法及び補修方法
JP5063973B2 (ja) 一液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樹脂系接着剤
US10865284B2 (en) Floor pavement structure with gel layer
CN104263310A (zh) 一种单组份湿固化聚氨酯胶粘剂及其制备方法
TWI705081B (zh) 用於製作塑膠跑道的聚氨酯接著劑及其預浸體
JP5959718B2 (ja) 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防水材および複合弾性材
EA023159B1 (ru) Двухкомпонентные полиуретановые композиции и покрытия на водной основе
WO2017087436A1 (en) Surface covering having an improved wear layer
KR20090121687A (ko) 코르크 칩 혼합용 폴리우레탄 바인더, 그를 이용한 코르크혼합 조성물 및 탄성 바닥재
KR101191307B1 (ko) 폴리우레탄 바인더, 이를 포함하는 고무칩 혼합 조성물 및 탄성 바닥재
KR102344956B1 (ko) 친환경 탄성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탄성 바닥
JP2022043979A (ja) 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弾性舗装材、型枠材、防水材、床材および複合弾性材
KR101905417B1 (ko) 고점도 접착제 및 신재 무연신 pet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JP5439789B2 (ja) 湿気硬化性組成物
KR20230097248A (ko) 친환경 식물성 젤을 포함하는 친환경 경기장 바닥재 및 그 시공 방법
KR20180129230A (ko) 비노출용 방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90120832A (ko)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
JP2003064349A (ja) ポリウレタン系塗膜防水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塗膜防水工法
JP5917009B2 (ja) 床材
JP2006152220A (ja) 二液型ポリウレタン系塗膜材
JP4959374B2 (ja) 硬化性組成物
JPH08104861A (ja) 一液無溶剤反応型ウレタン系接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床構造
JP2012097173A (ja) 耐傷性に優れるコーティング樹脂組成物
JP2009155502A (ja) 2液型ウレタンプライマー組成物、土木建築物の施工方法及び土木建築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