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447B1 - 회전 및 수평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골프신발 - Google Patents

회전 및 수평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골프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447B1
KR102344447B1 KR1020200113236A KR20200113236A KR102344447B1 KR 102344447 B1 KR102344447 B1 KR 102344447B1 KR 1020200113236 A KR1020200113236 A KR 1020200113236A KR 20200113236 A KR20200113236 A KR 20200113236A KR 102344447 B1 KR102344447 B1 KR 102344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stud
outsole
triangular sta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은
이재익
Original Assignee
데상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상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데상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3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01Golf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4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hee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1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to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2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골프신발은, 사용자 발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어퍼, 및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전방부와 힐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측면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내측부, 중앙부, 및 외측부로 이루어지는 아웃솔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솔은, 상기 전방부 중 상기 외측부와 상기 중앙부 사이에 설정되는 제1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제1삼각스타형 스터드, 상기 전방부 중 상기 내측부와 상기 제1영역 사이에 설정되는 제2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제2삼각스타형 스터드, 및 상기 힐부에 설치된 복수의 방사형 스터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 및 수평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골프신발 {Golf footwear prevented rotary and horizontal slippage}
본 개시는 골프신발(golf footwea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운딩하는 골퍼가 경사지 또는 잔디로 이루어진 페어웨이(fairway) 또는 러프(rough)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설계된 아웃솔(outsole)을 갖는 골프신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골프신발의 아웃솔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금속 혹은 플라스틱 재료의 스파이크(spike) 또는 클리트(cleat)가 내장된 것이 일반적이다. 금속 스파이크는 잔디에서 문제가 없으나 아스팔트 혹은 일반 도로에서 도로에 상처를 내거나 소음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스파이크 혹은 클리트는 금속 스파이크가 가지는 일반 도로에서의 사용상 문제점이 없으나 골프장의 페어웨이 혹은 러프에서 미끄러지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아웃솔에 플라스틱 스터드(stud)를 다양한 형태로 설치하여 골퍼의 회전마찰력 및 수평마찰력을 향상시켜 페어웨이 혹은 러프에서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골프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안정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과학적인 스터드를 구비하여, 골프장의 페어웨이 및 러프에서는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골프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안정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과학적인 스터드를 구비하여, 일반 도로에서 소음 또는 스터드가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는 골프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신발은, 사용자 발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어퍼, 및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전방부와 힐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측면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내측부, 중앙부, 및 외측부로 이루어지는 아웃솔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솔은, 상기 전방부 중 상기 외측부와 상기 중앙부 사이에 설정되는 제1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제1삼각스타형 스터드, 상기 전방부 중 상기 내측부와 상기 제1영역 사이에 설정되는 제2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제2삼각스타형 스터드, 및 상기 힐부에 설치된 복수의 방사형 스터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영역에 설치되는 상기 제1삼각스타형 스터드는 대칭 삼각스타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사이에는 제1분할선이 설치되고, 상기 제2영역에는 제2분할선이 설치되며,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2분할선에 의하여 선단영역과 중앙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의 상기 중앙영역에 설치되는 상기 제2삼각스타형 스터드는 비대칭 삼각스타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웃솔은 상기 제2영역의 상기 선단영역에 설치되고 역V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역V자형 스터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사형 스터드는, 중앙의 함몰 구멍을 형성하는 제1원형 스터드, 및 상기 제1원형 스터드의 외측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원형 스터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원형 스터드와 상기 제2원형 스터드 사이에 위치하여 방사형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어퍼는 텅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어퍼의 일측에 연결되는 장력솔 및 상기 장력솔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어퍼에 설치되는 장력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신발은, 사용자 발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어퍼, 및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전방부와 힐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측면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내측부, 중앙부, 및 외측부로 이루어지는 아웃솔을 포함하고, 상기 힐부는, 중앙의 제1원형 스터드, 상기 제1원형 스터드의 외측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원형 스터드, 및 상기 제1원형 스터드와 상기 제2원형 스터드 사이에 위치하는 방사형 스터드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부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사이에는 제1분할선이 설치되고, 상기 제2영역에는 제2분할선이 설치되며,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2분할선에 의하여 선단영역과 중앙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에 설치되는 상기 제1삼각스타형 스터드는 대칭 삼각스타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영역의 상기 중앙영역에 설치되는 상기 제2삼각스타형 스터드는 비대칭 삼각스타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웃솔은 상기 제2영역의 상기 선단영역에 설치되는 역V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역V자형 스터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는 텅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어퍼의 일측에 연결되는 장력솔 및 상기 장력솔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어퍼에 설치되는 장력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의 골프신발은 좌, 우측신발을 대칭으로 제작하며, 아웃솔의 제1영역에 복수의 제1삼각스타형 스터드, 제2영역에 복수의 제2삼각스타형 스터드, 및 힐부에 복수의 방사형 스터드를 구비함으로써, 골프스윙에서 회전 미끄러짐 및 수평 미끄러짐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는 미끄러짐이 일어나는 골프스윙 타이밍과 아웃솔의 각 영역을 파악하여, 아웃솔의 해당 부위를 집중적으로 보강하는 스터드를 구비하므로 회전 미끄러짐 및 수평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골프신발은 골프장의 페어에이 및 러프의 경사지에서 미끄러짐 방지를 현저히 개선하여 안정된 스윙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신발에서 아웃솔의 평면 투영도로서, 개략적인 구역을 도시한다.
도 3은 골프신발을 신은 골퍼의 도면으로, (a)는 백스윙 탑 및 (b)는 다운스윙 시점에 왼발과 오른발에 미치는 압력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압력 변화에 따른 힘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좌측신발이 받는 힘의 방향에 대한 상태도이고, (b)는 우측신발이 받는 힘의 방향에 대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신발에서 아웃솔의 평면 투영도로서, (a)는 좌측신발에서 힐부의 내전 미끄러짐 방지에 대한 상태도이고, (b)는 우측신발에서 전방부의 외전 미끄러짐 방지와 전방부 내측의 수평 미끄러짐 방지에 대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신발의 오른발 아웃솔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 단면도로서, (a)는 도 6의 a-a'선, (b)는 도 6의 b-b'선, (c)는 도 6의 c-c'선, (d)는 도 6의 d-d'선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부분 단면도로서, (e)는 도 6의 e-e'선, (f)는 도 6의 f-f'선, (g)는 도 6의 g-g'선, 및 (h)는 도 6의 h-h'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골프는 드라이버 및 아이언으로 구성되는 골프채로 정지한 골프공을 정확하게 가격하여, 티박스로부터 정해진 거리의 그린으로 이송시킨 후, 퍼터를 이용하여 공을 홀에 넣으면 하나의 홀에 대한 경기가 끝나는 스포츠이다. 이와 같은 골프 스포츠에 있어서, 예를 들어, 골퍼가 신은 골프신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골프신발(golf footwear)은 어퍼(upper)(1), 미드솔(midsole)(2) 및 아웃솔(outsole)(3)을 포함한다. 어퍼(1), 미드솔(2) 및 아웃솔(3)은 신발의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결합되어 신발을 형성하게 된다.
어퍼(1)는 사용자 발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의 상측을 형성하고, 미드솔(2)은 어퍼(1)에 결합되어 쿠션 및 완충역할을 하여 발을 지탱하면서 발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의 하측을 형성한다. 아웃솔(3)은 미드솔(2)의 하측에 결합되어 지면에 직접 닿는 부분을 형성한다.
어퍼(1)는 장력솔(4) 및 장력조절장치(5)를 더 포함한다. 장력솔(4)은 텅(6)을 덮을 수 있도록 어퍼(1)의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에서는 장력조절장치(5)에 연결된다. 장력솔(4)은 복수로 형성되고, 하측솔(41)로 텅(6)을 덮고, 상측솔(42)로 하측솔(41)을 덮으면서 텅(6)을 덮는다.
장력조절장치(5)는 어퍼(1)에 장착된 회전형 휠(51) 및 와이어(52)를 포함하여 신발의 착용을 빠르게 하고, 장력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와이어(52)는 하측솔(41)과 상측솔(42)에 구비되는 고리(43, 44)와 어퍼(1)에 구비되는 고리(45) 및 회전형 휠(51)에 걸리어 회전형 휠(51)을 조작함으로써 장력이 조절된다.
도 1에서 골프신발이 놓여진 평면(xy평면)에서 볼 때, 길이방향(longitudinal direction)이 x축 방향으로 설정되고, 측면방향(transverse direction)이 y축 방향으로 설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신발에서 아웃솔의 평면 투영도로서, 개략적인 구역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아웃솔(3)은 길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전방부(forefoot region)(31), 힐부(heel region)(32)를 포함하며, 측면방향(y축 방향)을 따라 내측부(medial portion)(33), 중앙부(midfoot region(34), 및 외측부(lateral portion)(35)를 포함한다.
개략적으로 구분하면, 측면방향선(TL)을 기준으로 하여 전방부(forefoot region)(31)는 측면방향선(TL)의 전방(도면 상에서 위쪽)에 위치하고, 힐부(heel region)(32)는 측면방향선(TL)의 후방(도면 상에서 아래쪽)에 위치한다. 즉 전방부(31)와 힐부(32)는 면적을 가지는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길이방향선(LL)을 기준으로 하여, 내측부(medial portion)(33)는 길이방향선(LL)의 내측에 위치하고, 중앙부(midfoot region(34)는 길이방향선(LL)에 위치하며, 외측부(lateral portion)(35)는 길이방향선(LL)의 외측에 위치한다. 내측부(33), 중앙부(34) 및 외측부(35)는 윤곽선을 의미한다.
골프신발은 아웃솔(3)과 지면의 마찰계수를 늘려서 지면에서 아웃솔(3)의 접지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즉 접지력은 골퍼가 신은 골프신발의 아웃솔(3)이 지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아웃솔(3)은 각 영역별로 필요한 마찰계수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골프는 골퍼가 몸의 회전을 이용하여 골프채로 골프공을 가격하여 원하는 거리로 보내는 운동이다. 이때 골프신발과 지면 사이에는 회전마찰력계수 및 선형마찰력계수가 발생한다. 골프신발의 아웃솔(3)에서 어떤 영역에는 최대 회전마찰력이 발생하고, 어떤 다른 영역에는 최대 선형마찰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영역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3은 골프신발을 신은 골퍼의 도면으로, (a)는 백스윙 탑 및 (b)는 다운스윙 시점에 왼발과 오른발에 미치는 압력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골프신발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아웃솔(3)의 형태를 설계하기 위하여, 약 20명의 아마추어 및 프로 선수로 구성된 선수를 선발하여 신발 아웃솔(3)의 각 지점에 센서를 부착하여 각 스윙에 따른 압력 분포를 측정하였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스윙 탑(a)에서 왼발의 하측에 압력 센서(미도시)를 부착하고 압력 분포를 측정한 결과, 왼발의 힐부(32)에 많은 압력 분포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왼발의 힐부(32)는 골퍼의 몸통 회전과 맞물려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로부터 왼발의 힐부(32)에는 회전 미끄러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운스윙 시에는, 다운스윙 초기와 다운스윙 후기로 나누어 압력 분포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운스윙 시작 시점(다운스윙 초기)에 골프신발의 압력 측정값으로부터, 다운스윙 시작 시점에서는 우측신발 전방부(31)의 중심부(34)와 외측부(35) 사이 영역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력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국, 우측신발의 전방부(31)의 중심부(34)와 외측부(35) 사이 영역에서 회전 미끄러짐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다운스윙 후기는 본격적인 다운스윙이 이루어지는 구간이므로 골퍼의 체중 및 골프채의 헤드 무게가 본격적으로 전달되어 가속도가 붙는 구간으로써, 이때에는 지면에 대해 수평면 상에서 측면방향선(TL)에 평행한 선(TL1)과 이루는 42도~56도 각도(θ)의 화살표와 같은 미끄러지는 힘(HF)을 받는 것을 실험으로서 확인하였다(도 4 참조).
이상과 같은 실험으로부터, 백스윙 탑(a)에서는 왼발의 힐부(32)에 내전 회전력(RF1)이 발생하고, 다운스윙시에는, 오른발의 전방부(31)에서 외전 회전력(RF2)이 발생하고, 우측신발의 전방부(31)의 중심부(34)와 외측부(35) 사이 영역에서 수평 미끄러지는 힘(HF)이 발생하며, 이때 수평 미끄러지는 힘(HF)의 방향은 골프신발의 수평방향에 대해 약 45도 정도의 경사진 뒤측 힘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압력 변화에 따른 힘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좌측신발이 받는 힘의 방향에 대한 상태도이고, (b)는 우측신발이 받는 힘의 방향에 대한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을 참조한 실험에서 골프신발의 아웃솔(3) 각 지점에 센서(미도시)를 부착하여 각 스윙에 따른 압력 분포를 측정한 데이터로부터 도출하였다. 도 4의 사각형들은 각 센서로부터 압력 데이터를 측정하는 각 지점을 도시한다.
골프신발은 좌측신발 및 우측신발을 대칭으로 제작하는 것이 기본이다. 백스윙 탑(도 3의 (a))에서는 좌측신발의 힐부(32)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 즉 왼발에 내전 회전력(RF1)이 발생한다(도 4의 (a)).
다운스윙 초기(도 3의 (b))에는 우측신발의 전방부(31)의 중심부(34)와 외측부(35) 사이 영역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 즉 우측신발에 외전 회전력(RF2)이 발생한다. 본격적인 다운스윙 시에는 우측신발의 전방부(31)에 광범위하게 수평 미끄러지는 힘(HF)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평 미끄러지는 힘(HF)은 측면방향(y축 방향)에서 설정되는 각도(θ), 즉 우측 후방으로 약 45도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부터 가장 바람직한 골프신발의 아웃솔(3) 구조를 설계하여,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안정적인 골프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신발에서 아웃솔의 평면 투영도로서, (a)는 좌측신발에서 힐부의 내전 미끄러짐 방지에 대한 상태도이고, (b)는 우측신발에서 전방부의 외전 미끄러짐 방지와 전방부 내측의 수평 미끄러짐 방지에 대한 상태도이다. 평면 투영도는 골프신발의 바닥면의 구조를 평면 상측에서 바라본 상태로 투영하여 작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골프신발은 좌측신발 및 우측신발의 회전 미끄러짐 및 수평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웃솔(3)에 스터드들(S1, S2, S3)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아웃솔(3)은 회전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제1삼각스타형 스터드(S1), 수평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제2삼각스타형 스터드(S2) 및 회전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방사형 스터드(S3)를 포함하며, 역V자형 스터드(S4)를 더 포함한다.
편의상, 우측신발(도 5의 (b))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삼각스타형 스터드(S1)는 전방부(31) 중 외측부(35)와 중앙부(34) 사이에 설정되는 제1영역(A1)에 복수로 설치된다. 제2삼각스타형 스터드(S2)는 전방부(31) 중 내측부(33)와 제1영역(A1) 사이에 설정되는 제2영역(A2)에 복수로 설치된다. 방사형 스터드(S3)는 힐부(32)에 복수로 설치된다.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사이에는 제1분할선(DL1)이 설치된다. 즉 전방부(31)는 제1분할선(DL1)에 의하여, 외측부(35) 측의 제1영역(A1)과 내측부(33) 측의 제2영역(A2)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제2영역(A2)에는 제2분할선(DL2)이 설치된다. 즉 제2영역(A2)은 제2분할선(DL2)에 의하여 선단영역(A21)과 중앙영역(A22)으로 구획된다.
우측신발(도 5의 (b))에서, 전방부(31)의 중앙부(34)와 외측부(35)사이의 제1영역(A1)에서 제1삼각스타형 스터드(S1)가 전방부(31)에서 외전 회전력(RF2)에 의한 회전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분할선(DL1)은 중앙부(34)와 외측부(35)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선으로 이루어진다. 제1분할선(DL1)은 수평 미끄러지는 힘(HF)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제1분할선(DL1)은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11분할선(DL11) 및 제12분할선(DL12)을 포함한다. 제11분할선(DL11)은 측면방향의 2/3정도 길이로 형성된 후,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는 제12분할선(DL12)에 연결된다.
제11분할선(DL11) 및 제12분할선(DL12)을 포함하는 제1분할선(DL1)은 아웃솔(3)의 바닥에 형성된 홈으로써, 골프장의 페어웨이 또는 러프에서 잔디 또는 모래에 접촉 및 결합되어 회전 또는 수평 미끄러짐에 저항으로 작용하여 회전 또는 수평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전방부(31)의 중앙부(34)와 외측부(35)사이의 제1영역(A1)에서, 제1삼각스타형 스터드(S1)는 잔디 또는 모래에 접촉 및 결합되어 우측신발의 회전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제1삼각스타형 스터드(S1)는 대칭 삼각스타형으로 이루어지므로 회전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제1삼각스타형 스터드(S1)는 수평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제1영역(A1)에서 제1분할선(DL1) 및 제1삼각스타형 스터드(S1)에 의하여 회전 및 수평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
우측신발(도 5의 (b))에서 전방부(31)의 내측부(33)와 제1영역(A1) 사이의 제2영역(A2)에서 제2삼각스타형 스터드(S2)가 수평 미끄러지는 힘(HF)에 의한 수평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제2분할선(DL2)은 제2영역(A2)을 선단영역(A21)과 중앙영역(A22)으로 분할한다. 제2분할선(DL2)은 둔각으로 굴절하여 연결되는 제21분할선(DL21) 및 제22분할선(DL22)을 포함한다.
제22분할선(DL22)은 제11분할선(DL11)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내측부(33)에서 시작하여 중앙부(34)에 이르고 중앙부(34)에서 둔각으로 굴절되어 제21분할선(DL21)에 연결된다.
제21분할선(DL21) 및 제22분할선(DL22)을 포함하는 제2분할선(DL2)은 아웃솔(3)의 바닥에 형성된 홈으로써, 골프장의 페어웨이 또는 러프에서 잔디 또는 모래에 접촉 및 결합되어 회전 또는 수평 미끄러짐에 저항으로 작용하여 회전 또는 수평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역V자형 스터드(S4)는 제2영역(A2)의 선단영역(A21)에 설치되고 역V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역V자형 스터드(S4)와 함께 제22분할선(DL22)이 제21분할선(DL21)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선단영역(A21)에서 내측부(33)가 외측부(35)보다 더 길게 형성되므로 수평 미끄러지는 힘(HF)에 더 크게 저항하여 수평 미끄러짐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역V자형 스터드는 긴 부분과 짧은 부분을 포함하는 비대칭 역V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미도시). 역V자형 스터드의 긴 부분은 제2분할선(DL2)의 제22분할선(DL22)과 대략적으로 평행하며, 제22분할선(DL22)과 함께 수평 미끄러지는 힘(HF)에 저항하여 수평 미끄러짐을 더 방지할 수 있다.
전방부(31)에서 내측부(33)의 중앙영역(A22)은 측면방향(y축 방향) 우측으로 틀어진 "V"형상을 이루며(내측부에서 외측부를 향할 때), 복수의 제2삼각스타형 스터드(S2)를 구비한다.
제2삼각스타형 스터드(S2)는 긴 부분(S21)과 짧은 부분(S22)을 포함하는 비대칭 삼각스타형으로 이루어진다. 제2삼각스타형 스터드(S2)의 긴 부분(S21)은 제1분할선(DL1)의 제11분할선(DL11)과 대략적으로 평행하며, 제11분할선(DL11) 및 제22분할선(DL22)과 함께 수평 미끄러지는 힘(HF)에 저항하여 수평 미끄러짐을 더 방지할 수 있다.
좌측신발(도 5의 (a))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힐부(32)에 대한 회전 미끄러짐 방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사형 스터드(S3)는 힐부(32)에 복수로 설치된다. 방사형 스터드(S3)는 중앙의 함몰 구멍(H1)을 형성하는 제1원형 스터드(S31), 및 제1원형 스터드(S31)의 외측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원형 스터드(S32)를 포함한다.
방사형 스터드(S3)는 제1원형 스터드(S31)와 제2원형 스터드(S32) 사이에 위치하여 제1원형 스터드(S31)와 제2원형 스터드(S32)를 방사형으로 서로 연결한다. 방사형 스터드(S3)는 힐부(32)의 내전 회전력(RF1)에 효과적으로 저항하여 회전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힐부(32)에서 복수의 방사형 스터드(S3), 제1원형 스터드(S31) 및 제2원형 스터드(S32) 사이에는 함몰 구멍(H2)이 형성되므로 골프장의 페어웨이 또는 러프의 잔디가 함몰 구멍들(H1, H2)과 결합되므로 골프신발을 신고 스윙하는 경우, 회전 미끄러짐 또는 수평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안정적인 스윙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골프신발은 전방부(31)의 제1영역(A1)에 제1삼각스타형 스터드(S1)를 구비하고, 제2영역(A2)의 선단영역(A21)과 중앙영역(A22)에 제2삼각스타형 스터드(S2)와 역V자형 스터드(S4)와 제2삼각스타형 스터드(S2)를 각각 구비하며, 힐부(32)에 방사형 스터드(S3)를 구비하므로 수평 미끄러짐 및 회전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아웃솔(3)의 각 부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신발의 오른발 아웃솔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부분 단면도로서, (a)는 도 6의 a-a'선, (b)는 도 6의 b-b'선, (c)는 도 6의 c-c'선, (d)는 도 6의 d-d'선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의 (a)를 참조하면, 역V자형 스터드(S4)는 지면과 닿는 평면(도면에서 상면)에서 전방으로 완만한 경사와 후방으로 가파른 경사의 단면을 이루어, 수평 미끄러지는 힘(HF)에 저항한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제1삼각스타형 스터드(S1)는 대칭으로 형성되고 단부에서 동일한 경사의 단면을 이루어 외전 회전력(RF2)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며, 중앙에 함몰홈(G1)을 구비하여, 잔디 및 모래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외전 회전력(RF2)에 더 저항한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제1영역(A1)의 제1분할선(DL1) 측에 제1분할선(DL1)의 V자형상과 닮은 제1영역(A1)의 윤곽(AL1, AL2)이 구비된다. 윤곽(AL1, AL2)은 낮고 작은 사각단면과 높고 큰 삼각단면으로 각각 형성되어 외전 회전력(RF2)과 수평 미끄러지는 힘(HF)에 저항하면서, 서로의 사이에 잔디 및 모래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외전 회전력(RF2)과 수평 미끄러지는 힘(HF)에 더 저항한다.
도 7의 (d)를 참조하면, 제2분할선(DL2) 측에 제2분할선(DL2)과 닮은 둔각의 선단영역(A21)과 중앙영역(A22)의 윤곽(AL3, AL4)이 구비된다. 윤곽(AL3, AL4)은 낮으면서 큰 사각단면과 작은 사각단면으로 각각 형성되어 수평 미끄러지는 힘(HF)에 저항하면서, 서로의 사이에 잔디 및 모래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수평 미끄러지는 힘(HF)에 더 저항한다.
도 8은 도 6의 부분 단면도로서, (e)는 도 6의 e-e'선, (f)는 도 6의 f-f'선, (g)는 도 6의 g-g'선, 및 (h)는 도 6의 h-h'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8의 (e)를 참조하면, 제2삼각스타형 스터드(S2)는 비대칭으로 형성되지만 2개의 짧은 부분(S22)은 서로 대칭을 이루며, 지면과 닿는 평면(도면에서 상면)을 이루어, 긴 부분(S21)으로 수평 미끄러지는 힘(HF)에 저항한다.
도 8의 (f)를 참조하면, 아웃솔(3)은 전방부(31)와 힐부(32) 사이에 제3분할선(DL3)을 구비한다. 제3분할선(DL3)은 제12분할선(DL12)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제3분할선(DL3), 제12분할선(DL12) 및 제11분할선(DL11)은 선을 따라 중앙에 깊고 긴 함몰홈(G2)을 구비하여, 잔디 및 모래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킨다. 깊고 긴 함몰홈(G2)은 내, 외전 회전력(RF1, RF2) 및 수평 미끄러지는 힘(HF)에 더 저항한다.
도 8의 (g)를 참조하면, 제2원형 스터드(S32)는 지면과 닿는 평면(도면에서 상면)에서 외곽으로 가파른 직선 경사와 중심으로 완만한 곡선 경사의 단면을 이루어, 잔디 및 모래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내전 회전력(RF1)에 더 저항한다. 도 8의 (h)를 참조하면, 방사형 스터드(S3)는 지면과 닿는 측에 얕은 홈(G3)을 형성하고, 외곽으로 완만한 직선 경사와 중심으로 완만한 곡선 경사의 단면을 이루어, 잔디 및 모래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내전 회전력(RF1)에 더 저항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어퍼(upper) 2: 미드솔(midsole)
3: 아웃솔(outsole) 4: 장력솔
5: 장력조절장치 6: 텅
31: 전방부(forefoot region) 32: 힐부(heel region)
33: 내측부(medial portion) 34: 중앙부(midfoot region
35: 외측부(lateral portion) 41: 하측솔
42: 상측솔 43, 44, 45: 고리
51: 회전형 휠 52: 와이어
A1: 제1영역 A2: 제2영역
A21: 선단영역 A22: 중앙영역
AL1, AL2, AL3, AL4: 윤곽 DL1: 제1분할선
DL2: 제2분할선 DL11: 제11분할선
DL12: 제12분할선 DL21: 제21분할선
DL22: 제22분할선 DL3: 제3분할선
G1, G2: 함몰홈 G3: 얕은 홈
H1, H2: 함몰 구멍 HF: 수평 미끄러지는 힘
LL: 길이방향선 RF1: 내전 회전력
RF2: 외전 회전력 S1: 제1삼각스타형 스터드
S2: 제2삼각스타형 스터드 S3: 방사형 스터드
S4: 역V자형 스터드 S31: 제1원형 스터드
S32: 제2원형 스터드 TL: 측면방향선
TL1: 평행한 선 θ: 각도

Claims (13)

  1. 골프신발에 있어서,
    사용자 발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어퍼; 및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전방부와 힐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측면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내측부, 중앙부, 및 외측부로 이루어지는 아웃솔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솔은,
    상기 전방부 중 상기 외측부와 상기 중앙부 사이에 설정되는 제1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제1삼각스타형 스터드;
    상기 전방부 중 상기 내측부와 상기 제1영역 사이에 설정되는 제2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제2삼각스타형 스터드; 및
    상기 힐부에 설치된 복수의 방사형 스터드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영역에 설치되는 상기 제2삼각스타형 스터드는 비대칭 삼각스타형으로 이루어지는, 골프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설치되는 상기 제1삼각스타형 스터드는 대칭 삼각스타형으로 이루어지는, 골프신발.
  3. 골프신발에 있어서,
    사용자 발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어퍼; 및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전방부와 힐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측면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내측부, 중앙부, 및 외측부로 이루어지는 아웃솔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솔은,
    상기 전방부 중 상기 외측부와 상기 중앙부 사이에 설정되는 제1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제1삼각스타형 스터드;
    상기 전방부 중 상기 내측부와 상기 제1영역 사이에 설정되는 제2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제2삼각스타형 스터드; 및
    상기 힐부에 설치된 복수의 방사형 스터드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사이에는 제1분할선이 설치되고,
    상기 제2영역에는 제2분할선이 설치되며,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2분할선에 의하여 선단영역과 중앙영역으로 분할되는, 골프신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의 상기 중앙영역에 설치되는 상기 제2삼각스타형 스터드는 비대칭 삼각스타형으로 이루어지는, 골프신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상기 제2영역의 상기 선단영역에 설치되고 역V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역V자형 스터드를 더 포함하는, 골프신발.
  6. 골프신발에 있어서,
    사용자 발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어퍼; 및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전방부와 힐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측면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내측부, 중앙부, 및 외측부로 이루어지는 아웃솔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솔은,
    상기 전방부 중 상기 외측부와 상기 중앙부 사이에 설정되는 제1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제1삼각스타형 스터드;
    상기 전방부 중 상기 내측부와 상기 제1영역 사이에 설정되는 제2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제2삼각스타형 스터드; 및
    상기 힐부에 설치된 복수의 방사형 스터드
    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형 스터드는
    중앙의 함몰 구멍을 형성하는 제1원형 스터드, 및
    상기 제1원형 스터드의 외측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원형 스터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원형 스터드와 상기 제2원형 스터드 사이에 위치하여 방사형으로 서로 연결하는, 골프신발.
  7. 골프신발에 있어서,
    사용자 발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어퍼; 및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전방부와 힐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측면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내측부, 중앙부, 및 외측부로 이루어지는 아웃솔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솔은,
    상기 전방부 중 상기 외측부와 상기 중앙부 사이에 설정되는 제1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제1삼각스타형 스터드;
    상기 전방부 중 상기 내측부와 상기 제1영역 사이에 설정되는 제2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제2삼각스타형 스터드; 및
    상기 힐부에 설치된 복수의 방사형 스터드
    를 포함하며,
    상기 어퍼는
    텅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어퍼의 일측에 연결되는 장력솔 및
    상기 장력솔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어퍼에 설치되는 장력조절장치
    를 더 포함하는, 골프신발.
  8. 골프신발에 있어서,
    사용자 발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어퍼; 및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전방부와 힐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측면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내측부, 중앙부, 및 외측부로 이루어지는 아웃솔을 포함하고,
    상기 힐부는,
    중앙의 제1원형 스터드,
    상기 제1원형 스터드의 외측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원형 스터드, 및
    상기 제1원형 스터드와 상기 제2원형 스터드 사이에 위치하는 방사형 스터드
    를 포함하는, 골프신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는
    상기 외측부와 상기 중앙부 사이에 설정되는 제1영역과 상기 내측부와 상기 제1영역 사이에 설정되는 제2영역 사이에는 제1분할선이 설치되고,
    상기 제2영역에는 제2분할선이 설치되며,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2분할선에 의하여 선단영역과 중앙영역으로 분할되는, 골프신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 설치되는 제1삼각스타형 스터드는 대칭 삼각스타형으로 이루어지는, 골프신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의 상기 중앙영역에 설치되는 제2삼각스타형 스터드는 비대칭 삼각스타형으로 이루어지는, 골프신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상기 제2영역의 상기 선단영역에 설치되는 역V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역V자형 스터드를 더 포함하는, 골프신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는
    텅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어퍼의 일측에 연결되는 장력솔 및
    상기 장력솔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어퍼에 설치되는 장력조절장치
    를 더 포함하는, 골프신발.
KR1020200113236A 2020-09-04 2020-09-04 회전 및 수평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골프신발 KR102344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236A KR102344447B1 (ko) 2020-09-04 2020-09-04 회전 및 수평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골프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236A KR102344447B1 (ko) 2020-09-04 2020-09-04 회전 및 수평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골프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4447B1 true KR102344447B1 (ko) 2021-12-27

Family

ID=7917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236A KR102344447B1 (ko) 2020-09-04 2020-09-04 회전 및 수평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골프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4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46Y1 (ko) * 2014-04-02 2015-02-02 성호동 골프화
KR20190068650A (ko) * 2014-07-11 2019-06-18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특성이 제어된 팽창 구조체를 갖는 신발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46Y1 (ko) * 2014-04-02 2015-02-02 성호동 골프화
KR20190068650A (ko) * 2014-07-11 2019-06-18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특성이 제어된 팽창 구조체를 갖는 신발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2821B2 (en) Golf shoe
US4866861A (en) Supports for golf shoes to restrain rollout during a golf backswing and to resist excessive weight transfer during a golf downswing
JP5620944B2 (ja) ゴルフシューズアウトソール
US4527345A (en) Soles for sport shoes
US5943794A (en) Golf shoes with aligned traction members
US6289611B1 (en) Golf shoe outsole with bio-mechanically positioned wear bars
JP4481454B2 (ja) ゴルフ靴
JP4370750B2 (ja)
JP2001523499A (ja) スポーツ用履き物
US10477913B2 (en) Outward rotating golf shoes
EP0247039B1 (en) Athlectic shoe with improved pivot cleating
JP7217689B2 (ja) 全表面型トラクション領域を伴うアウトソールを具備するゴルフ靴
JP4485029B2 (ja) ゴルフ靴
KR102344447B1 (ko) 회전 및 수평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골프신발
US20040040181A1 (en) Golf shoe
KR100736711B1 (ko) 골프화
JP4439691B2 (ja) ゴルフ靴底の突出部の配置方法及びゴルフ靴
KR100533707B1 (ko) 골프화의 밑창
KR20230092412A (ko) 골프화용 아웃솔
JP3096947U (ja) ゴルフ靴
JP2005081141A (ja) ゴルフ靴
KR200494597Y1 (ko) 골프화
JP2018102533A (ja) 靴底裏面構造
KR200320718Y1 (ko) 골프화
JP5166216B2 (ja) ゴルフ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