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025B1 - 방초매트 - Google Patents

방초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025B1
KR102344025B1 KR1020210092761A KR20210092761A KR102344025B1 KR 102344025 B1 KR102344025 B1 KR 102344025B1 KR 1020210092761 A KR1020210092761 A KR 1020210092761A KR 20210092761 A KR20210092761 A KR 20210092761A KR 102344025 B1 KR102344025 B1 KR 102344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edge
roadside
fixing ba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용대
원준석
Original Assignee
원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준석 filed Critical 원준석
Priority to KR1020210092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1/00Control of undesirable vegetation on roads or similar surfaces or permanent ways of railways, e.g. devices for scorching weeds or for applying herbicides; Applying liquids, e.g. water, weed-killer bitumen, to permanent 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01F15/0469Covers, e.g. of ground surface around the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방초매트로서, 제1 엣지에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관통로가 형성된 매트; 상기 제1 관통로에 삽입되는 제1 와이어; 상기 제1 엣지를 가압하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바; 및 상기 고정바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바를 상기 도로변에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초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초매트{UNWEEDED MAT}
본 발명은 방초매트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 국도 등의 도로변에는 차량의 도로 이탈에 의한 대형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변의 도로 경계석 부근에 가드레일을 시공하고 있으며, 야간운행시 커브길을 운전자가 미리 인식하고 운전할 수 있도록 가드레일에 반사판, 반사지 등의 교통안전시설물이 부착되어 있다.
봄, 여름 및 가을철에 고속도로나 국도변 등의 도로변에 잡초가 생장하게 되면, 가드레일의 포스트의 반사지가 가려져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다년생 잡초, 약성 잡초들은 강력한 제초제를 뿌리거나 또는 삭초하여 해결하는 방법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주기적으로 도로변의 잡초를 제거하거나 잘라주어야 하므로 그 관리에 많은 노력과 비용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가드레일 주변에 방초매트를 시공하는데, 방초매트를 시공하는 전형적인 방식은 시멘트로 된 도로 경계석에 실리콘으로 방초매트를 접착하는 방식이다.
현재 시중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초매트는 처음에는 견고하게 설치되나 태풍등의 영항으로 지면으로 부터 이격이 발생하고, 결국 지지한 면이 파괴되어 방초커버가 소실되거나 역할을 못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는 방초매트를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는 방초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도로변에 설치되는 방초매트로서, 제1 엣지에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관통로가 형성된 매트; 상기 제1 관통로에 삽입되는 제1 와이어; 상기 제1 엣지를 가압하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바; 및 상기 고정바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바를 상기 도로변에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초매트가 제공된다.
상기 매트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일단에 형성된 제1 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통로는 상기 제1 말단부가 상기 본체부 측으로 폴딩(fold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폴딩된 상기 제1 말단부는 상기 본체부에 박음질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제1 말단부와 상기 본체부를 일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의 하면에 상기 제1 엣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의 상면에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홈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매트의 제2 엣지에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관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로에 삽입되는 제2 와이어; 및 상기 제2 엣지를 가압하도록 상기 도로변에 삽입되는 앵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트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양단에 형성된 제1 말단부와 제2 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통로는 상기 제1 말단부가 상기 본체부 측으로 폴딩(folding)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로는 상기 제2 말단부가 상기 본체부 측으로 폴딩(folding)될 수 있다.
상기 앵커는 상기 제2 엣지를 감싸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로변은 법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엣지는 상기 법면 상에 안착되고, 상기 앵커는 상기 법면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초매트에 따르면, 견고하게 설치되어 소실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가 도로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가 도로변에 설치되기 위한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의 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의 제1 엣지 및 제2 엣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의 제1 말단부와 제2 말단부의 폴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의 고정바와 고정볼트로 제1 엣지를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의 고정바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의 매트의 제1 엣지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의 앵커로 제2 엣지를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의 매트의 제2 엣지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C를 확대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초매트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가 도로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가 도로변에 설치되기 위한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의 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의 제1 엣지(110) 및 제2 엣지(1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의 제1 말단부(120)와 제2 말단부(140)의 폴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방초매트는 도로변(20)에 설치되어 식물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다. 도로변(20)은 도로(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도로변(20)은 도로경계석(11), 평평면, 법면(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로경계석(11)의 외측으로 평평면이 이어지며, 그 외측으로 법면(21)이 형성될 수 있다. 방초매트는 도로변(2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도로변(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로변(20)의 상면에는 가드레일(30)이 설치될 수 있다. 가드레일(30)은 지주(31)와 가드(3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31)는 도로변(20)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는, 매트(100), 제1 와이어(200), 고정바(300), 고정볼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는, 제2 와이어(210), 앵커(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매트(100)는 도로변(20)의 상면을 커버한다. 매트(100)는 도로경계석(11)의 상면, 도로변(20)의 평평면, 도로변(20)의 법면(21) 중 적어도 하나를 커버할 수 있다. 매트(100)는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도로변(20) 상에 연속되게 설치될 수 있다.
매트(100)는 막재, 부직포, 고무 시트, 합성섬유 시트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매트(100)는 난연처리된 폴리에틸렌 섬유에 UV처리하고, 니들 펀칭으로 직조한 후 표면 압축열처리로 제작될 수 있다. 매트(100)는 제설용 염화칼슘에 대한 내화학성이 뛰어나고, 자외선 노출에도 표면색상 등의 변화에 강하며, 단 1회 시공으로 반영구적인 방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매트(100)는 공기와 수분의 자유로운 순환기능이 이루어지도록 우수한 통기성과 투수성을 가져 시공 부분의 생태적 토양을 유지토록 한다.
가드레일(30)의 지주(31)는 매트(100)를 관통하여 도로변(2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31)는 도로변(20)에 깊이 박히게 된다. 지주(31)는 도로변(20)의 평평면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100)에는 지주(31) 삽입을 위한 홀(100H)이 형성될 수 있다. 지주(31)가 매트(100)를 관통한 후 삽입될 수 있도록 도로변(20)에도 홀(20H)이 형성될 수 있다. 매트(100)의 홀(100H)과 도로변(20)의 홀(20H)은 서로 대응되며, 가드레일(30)의 지주(31) 수에 대응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100)에는 양 엣지(제1 엣지(110), 제2 엣지(130))가 형성된다. 제1 엣지(110)와 제2 엣지(130) 각각은 매트(100)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고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엣지(110)와 제2 엣지(130)는 서로 마주본다(서로 반대쪽에 위치한다). 매트(100)는 제1 엣지(110)와 제2 엣지(130) 사이의 면적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엣지(110)는 도로경계석(11) 가까이 위치하고, 제2 엣지(130)는 법면(21)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매트(100)는 도로경계석(11)과 법면(21) 사이의 면적을 커버할 수 있다.
매트(100)의 제1 엣지(110)는 도로경계석(11)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매트(100)의 제2 엣지(130)는 법면(21)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엣지(110)는 도로경계석(11)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엣지(130)는 법면(2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트(100)는 도로변(20) 상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매트(100)는 본체부(101)와 제1 말단부(120)와 제2 말단부(140)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말단부(120)는 도로경계석(11) 측에 위치하고, 제2 말단부(140)는 법면(21)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말단부(120)와 제2 말단부(140)는 매트(100)가 모두 평평하게 펴졌을 때, 가장 끝부분에서 내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엣지(110)에는 제1 관통로(110T)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관통로(110T)는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 관통로(110T)는 마치 터널과 같이 형성되어 내부에 긴 물체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관통로(110T)는 제1 말단부(120)가 본체부(101) 측으로 폴딩(fold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폴딩된 제1 말단부(120)는 본체부(101)에 박음질(또는 접착)될 수 있다.
제2 엣지(130)에는 제2 관통로(130T)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관통로(130T)는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2 관통로(130T)는 제1 관통로(110T)와 평행할 수 있다. 제2 관통로(130T)는 마치 터널과 같이 형성되어 내부에 긴 물체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관통로(130T)는 제2 말단부(140)가 본체부(101) 측으로 폴딩(fold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폴딩된 제2 말단부(140)는 본체부(101)에 박음질(또는 접착)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체부(101)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1 말단부(120)와 제2 말단부(140)가 내측으로 폴딩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말단부(120)와 제2 말단부(140) 각각은 본체부(101)가 박음질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말단부(120)와 제2 말단부(140)의 폴딩에 따라 제1 관통로(110T)와 제2 관통로(130T)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폴딩된 제1 말단부(120)와 본체부(101)를 일괄 관통하는 볼트공(110B)이 마련되고, 폴딩된 제2 말단부(140)의 인접하게 본체부(101)를 관통하는 볼트공(130B)이 마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의 고정바(300)와 고정볼트(400)로 제1 엣지(110)를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의 고정바(30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의 매트(100)의 제1 엣지(110)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B를 확대한 도면이다.
제1 엣지(110) 및/또는 제2 엣지(130)는 도로변(20)에 고정되어 매트(100)가 도로변(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엣지(110)는 도로경계석(11)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엣지(130)는 법면(21)에 고정될 수 있다. 먼저, 제1 엣지(110)의 고정에 대해 살펴본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와이어(200)는 제1 관통로(110T)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와이어(200)는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며,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와이어(200)는 플라스틱,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와이어(200)는 제1 엣지(110)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고정바(300)는 제1 엣지(110)를 가압하기 위하여 제1 엣지(1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바(300)는 제1 엣지(110)를 아래로 가압할 수 있다. 고정바(300)는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바(300)는 플라스틱,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고정바(300)의 하면에는 수용홈(310)이 구비될 수 있다. 수용홈(310)은 제1 엣지(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 엣지(110)의 외곽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홈(310)은 크기가 다른 제1 홈(311)과 제2 홈(31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홈(311)은 외측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제2 홈(312)은 내측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제1 홈(311)은 제1 엣지(110)의 둥근 부분을 수용하고,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제2 홈(312)은 본체부(101)에 결합(박음질 또는 접착)된 제1 말단부(120)를 수용할 수 있다.
고정바(300)의 하면은 평평한 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평평한 면은 도로경계석(11)의 상면이나 매트(100) 본체부(101)를 넓은 면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도 8을 기준으로 우측에 있는 평평한 면은 도로경계석(11)의 상면에 밀착되고, 좌측에 있는 평평한 면은 매트(100) 본체부(101)에 밀착될 수 있다.
고정바(300)의 상면에는 홈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홈부(320)는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부(320)는 고정볼트(40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홈부(320)는 수용홈(310) 중 제2 홈(312)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홈부(320)의 단면은 V자 또는 U자 또는 바닥이 평평한 U자형일 수 있다.
고정바(300)에는 볼트공(300B)이 구비될 수 있다. 볼트공(300B)은 고정바(300) 전체 두께를 관통할 수 있다. 볼트공(300B)은 홈부(320) 바닥을 관통할 수 있다. 볼트공(300B)의 지름은 홈부(320)의 폭 이상일 수 있다. 볼트공(300B)은 수용홈(310) 중 제2 홈(312)과 연통될 수 있다. 즉, 볼트공(300B)은 홈부(320)와 제2 홈(312)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볼트공(300B)은 매트(100)의 제1 말단부(120)와 본체부(101)를 일괄 관통하는 볼트공(110B)과 대응될 수 있다.
볼트공(300B)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볼트공(300B)은 홈부(320)를 따라 일렬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볼트(400)는 고정바(300)에 결합되어 매트(100)와 고정바(300)를 도로변(20)(도로경계석(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볼트(400)는 고정바(300)의 상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고정볼트(400)는 고정바(300) 상면의 홈부(320)로 삽입될 수 있다. 고정볼트(400)는 고정바(300)의 볼트공(300B)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볼트(400)는 수용홈(310)의 제2 홈(312)으로 인출된다. 또한, 고정볼트(400)는 제1 말단부(120)와 본체부(101)를 일괄 관통하는 볼트공(110B)으로 삽입될 수 있다.
고정볼트(400)의 헤드는 고정바(300)의 볼트공(300B)을 통과하지 못하며, 고정볼트(400)의 헤드는 고정바(300) 상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고정볼트(40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볼트(400)는 각각의 볼트공(300B)에 삽입된다. 따라서, 복수의 고정볼트(400)는 홈부(320)를 따라 일렬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400)는 고정바(300)와 매트(100)(본체부(101)와 제1 말단부(120))를 도로경계석(11)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제1 와이어(200)가 제1 관통로(110T)로 삽입되고 고정바(300)가 제1 엣지(110)를 가압하고 고정볼트(400)가 고정바(300) 및 매트(100)를 고정하고 있다.
도 11은 도 1의 B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복수의 고정볼트(400)가 홈부(320)를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2 엣지(130)의 고정에 대해 살펴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의 앵커(500)로 제2 엣지(130)를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초매트의 매트(100)의 제2 엣지(130)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C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와이어(210)는 제2 관통로(130T)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와이어(210)는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며,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와이어(210)는 플라스틱,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와이어(210)는 제2 엣지(130)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앵커(500)는 제2 엣지(130)를 가압할 수 있다. 앵커(500)는 도로변(20)의 법면(21)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앵커(500)는 법면(21)에 대해 수직하게 삽입될 수 있다. 앵커(500)는 제2 엣지(130)를 감싸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앵커(500)는 2번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앵커(500)는 'J'자(또는 '7'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앵커(500)는 'ㄷ'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앵커(500)의 말단은 테이퍼이게 형성되어 뾰족할 수 있다.
앵커(500)의 일단은 타단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앵커(500)의 장단부(일단)는 법면(21)에 깊이 박히고, 단단부(타단)는 얕게 박힐 수 있다. 장단부는 단단부보다 법면(21) 상에서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앵커(500)의 장단부의 말단은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뾰족할 수 있다.
매트(100)의 제2 엣지(130)와 인접한 위치에 볼트공(130B)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공(130B)는 매트(100)의 본체부(101)를 관통할 수 있다.
앵커(500)는 매트(100)의 볼트공(130B)로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앵커(500)의 장단부가 매트(100)의 볼트공(130B)로 삽입되어 법면(21)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앵커(500)의 단단부는 매트(10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법면(21)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앵커(500)의 일단은 매트(100)를 관통하도록 매트(100)의 볼트공(130B)을 통해 법면(21)에 삽입되고, 앵커(500)의 타단은 법면(21)에 바로 삽입될 수 있다. 앵커(500)는 제2 엣지(130)를 가압하고, 앵커(500)가 매트(100)를 가압함에 따라 매트(100)의 가압되는 부위는 얇아지는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앵커(500)는 제2 와이어(210)와 인접하도록 제2 엣지(130)를 가압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의 C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앵커(500)가 법면(21)에 삽입되면 외부에서는 앵커(500)의 일부만 노출된다.
앵커(50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앵커(500)는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일렬로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앵커(5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시공 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로변(20)에 자라고 있는 잡초 등의 식물을 제거하고, 비탈진 법면(21)을 정비하는 노견삭초 및 법면 정비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잡초 등이 제거된 상면은 평탄하게 하며, 법면(21)의 일정 구간에도 방초 매트(100)의 설치를 고려하여 삭초 작업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가드레일(30) 지주(31)의 둘레에 잡초가 완전히 제거되도록 삭초 작업이 이루어진다.
매트(100)를 제공하고, 매트(100)의 제1 말단부(120)와 제2 말단부(140)를 내측으로 폴딩하고 박음질하여 제1 관통로(110T)가 구비된 제1 엣지(110)와 제2 관통로(130T)가 구비된 제2 엣지(130)를 형성한다.
제1 관통로(110T)에 제1 와이어(200)를 삽입하고, 제2 관통로(130T)에 제2 와이어(210)를 삽입한다.
제1 엣지(110) 상에 고정바(300)를 결합시킨다. 제1 엣지(110)는 고정바(300)의 하면에 형성된 수용홈(310)에 수용된다.
고정바(300) 상에 고정볼트(400)를 결합시켜 고정볼트(400)로 고정바(300)와 매트(100)를 도로변(20)(도로경계석(11))에 고정시킨다.
제2 엣지(130)를 감싸도록 앵커(500)를 법면(21)에 삽입시켜 앵커(500)로 제2 엣지(130)를 법면(21)에 고정시킨다. 앵커(500)의 장단부가 법면(21) 상에서 위쪽으로 가도록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 도로
11: 도로경계석
20: 도로변
21: 법면
30: 가드레일
31: 지주
32: 가드
100: 매트
101: 본체부
110: 제1 엣지
120: 제1 말단부
130: 제2 엣지
140: 제2 말단부
200: 제1 와이어
210: 제2 와이어
300: 고정바
400: 고정볼트
500: 앵커

Claims (10)

  1. 도로변에 설치되는 방초매트로서,
    제1 엣지에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관통로가 형성된 매트;
    상기 제1 관통로에 삽입되는 제1 와이어;
    상기 제1 엣지를 가압하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바; 및
    상기 고정바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바를 상기 도로변에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일단에 형성된 제1 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엣지는, 상기 제1 말단부가 상기 본체부 측으로 폴딩(folding)되어 내부에 상기 제1 관통로가 구비되도록 둥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말단부의 일부는 상기 제1 엣지보다 내측에서 상기 본체부 상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바의 하면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제1 엣지가 수용되는 제1 홈; 및
    상기 본체부 상에 결합된 상기 제1 말단부의 상기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 홈보다 낮은 깊이로 형성되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의 상면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에는, 상기 홈부와 상기 제2 홈을 연결하도록 상기 고정바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볼트공에 결합되고,
    상기 매트의 제2 엣지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관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로에 삽입되는 제2 와이어; 및
    상기 제2 엣지를 가압하도록 상기 도로변에 삽입되는 앵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는 상기 제2 엣지의 상부를 감싸도록 두 번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앵커의 일단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도로변을 관통하고, 타단은 상기 도로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초매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폴딩된 상기 제1 말단부의 일부는 상기 본체부에 박음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초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제1 말단부의 일부와 상기 본체부를 일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초매트.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상기 제1 말단부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제2 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엣지는, 상기 제2 말단부가 상기 본체부 측으로 폴딩(folding)되어 내부에 상기 제2 관통로가 구비되도록 둥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초매트.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변은 법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엣지는 상기 법면 상에 안착되고,
    상기 앵커는 상기 법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초매트.

KR1020210092761A 2021-07-15 2021-07-15 방초매트 KR102344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761A KR102344025B1 (ko) 2021-07-15 2021-07-15 방초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761A KR102344025B1 (ko) 2021-07-15 2021-07-15 방초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4025B1 true KR102344025B1 (ko) 2021-12-27

Family

ID=7917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761A KR102344025B1 (ko) 2021-07-15 2021-07-15 방초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0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753A (ko) * 2012-10-09 2014-04-17 주식회사 이산 신설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압형 방초 매트의 시공 방법
KR20160076180A (ko) * 2014-12-22 2016-06-30 (유)이안지오텍 도로경계석 손상이 없는 방초시트 설치 시공방법
KR20180055204A (ko) * 2016-11-16 2018-05-25 주식회사 에코피아 매트 고정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753A (ko) * 2012-10-09 2014-04-17 주식회사 이산 신설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압형 방초 매트의 시공 방법
KR20160076180A (ko) * 2014-12-22 2016-06-30 (유)이안지오텍 도로경계석 손상이 없는 방초시트 설치 시공방법
KR20180055204A (ko) * 2016-11-16 2018-05-25 주식회사 에코피아 매트 고정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7766A (en) Shaped barrier for erosion control and sediment collection
KR100973486B1 (ko) 소형동물 차단재가 구비된 가드레일을 이용한 로드킬방지용 가드펜스
KR100946096B1 (ko) 가이드레일을 이용한 야생동물 보호휀스 및 방초매트 설치구조
KR102193842B1 (ko) 식물의 식생 억제를 위한 다중구조 보행매트
KR101289489B1 (ko) 기존 시설물의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압형 방초 매트의 시공 방법
KR102344025B1 (ko) 방초매트
KR100559123B1 (ko) 방초시트의 시공방법
KR20090117169A (ko) 도로변의 식물성장 억제장치
KR20080048229A (ko) 도로변의 방초시트 설치구조
KR101414549B1 (ko) 신설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압형 방초 매트의 시공 방법
KR101050116B1 (ko) 방초 블록
KR101160293B1 (ko) 도로변의 방초장치
KR101140811B1 (ko) 도로변의 풀 덮개
KR101316692B1 (ko) 생태 보호 구조의 방초매트 기구
KR102112034B1 (ko) 지주고정장치
KR101984658B1 (ko) 방초매트 구조물
KR102587755B1 (ko)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도로변 매트
KR101664408B1 (ko) 철조망울타리용 식물차단 펜스구조물
KR102227006B1 (ko)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
KR102319353B1 (ko) 방초매트의 가압구조
KR100889319B1 (ko) 도로변의 식물성장 억제용 차폐 구조체
KR102534880B1 (ko) 도로변 방초매트
AU2004298882A1 (en) Defensive anti-intrusion vegetal hedg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200047219A (ko) 식물차단장치가 설치된 울타리용 펜스구조물
KR102532762B1 (ko) 교통안전시설물 보호를 위한 잡초방지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