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468B1 - 사운드 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운드 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468B1
KR102343468B1 KR1020170106534A KR20170106534A KR102343468B1 KR 102343468 B1 KR102343468 B1 KR 102343468B1 KR 1020170106534 A KR1020170106534 A KR 1020170106534A KR 20170106534 A KR20170106534 A KR 20170106534A KR 102343468 B1 KR102343468 B1 KR 102343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nd output
housing
output unit
rea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602A (ko
Inventor
정동현
고상철
박동규
이상문
천병근
박해광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6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468B1/ko
Priority to EP18184821.9A priority patent/EP3448058B1/en
Priority to PCT/KR2018/009052 priority patent/WO2019039776A1/en
Priority to US16/102,150 priority patent/US11051103B2/en
Priority to CN201810929817.5A priority patent/CN109429027B/zh
Publication of KR20190021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30Combinations of transducers with horns, e.g. with mechanical matching means, i.e. front-loaded ho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10K11/22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for conducting sound through hollow pipes, e.g. speaking tu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Abstract

게시된 실시예는, 사운드 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사운드 출력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면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사운드 생성부 및 일 말단에서 타 말단까지 단면적이 동일하거나 또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 말단에는 상기 사운드 생성부가 설치되고, 외면에는 복수의 방사공이 적어도 하나의 열로 마련된 가이드 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운드 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SOUND OUTPUTT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사운드 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운드 출력 장치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사운드 출력 장치는, 음파의 생성을 위하여 스피커 장치나 이어폰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 장치는 스피커 장치 등에 마련된 진동판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진동시키고, 진동판의 진동에 대응하는 파장이 공기 내에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음파를 생성하게 된다.
사운드 출력 장치는, 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텔레비전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종으로 사용자에게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디지털 텔레비전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일례로 방송 송출 장치)로부터 수신한 멀티 미디어 데이터 및/또는 내장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전기적 형태로 저장된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시각적 정보 및 청각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텔레비전은 가정이나 사업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근자에 디지털 텔레비전은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져 가는 추세이며, 또한 화면이 오목하게 휘어 곡면 형상을 갖는 경우도 많다.
높은 실감 및 넓은 음장감을 구현할 수 있는 사운드 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운드 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사운드 출력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면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사운드 생성부 및 일 말단에서 타 말단까지 단면적이 동일하거나 또는 점전적으로 변화하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 말단에는 상기 사운드 생성부가 설치되고, 외면에는 복수의 방사공이 적어도 하나의 열로 마련된 가이드 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사공은, 상기 일 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 상기 일 면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 또는 상기 일 면의 법선 방향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의 열로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 면의 상단 부분, 중단 부분 및 하단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가이드 관의 상기 타 말단이 상기 일 면의 측단 경계 및 상단 경계 중 어느 하나에 접하거나 또는 인접하여 상기 일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가이드 관이 상기 일 면의 상부 경계 또는 상기 일 면의 측부 경계와 평행하게 상기 일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운드 출력 장치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가 삽입 및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의 일 면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형성된 제1 삽입홈을 포함하는 제1 수용부, 상기 사운드 출력부가 삽입 및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의 일 면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 대해 수평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기울어져 형성되는 제2 삽입홈을 포함하는 제2 수용부 및 상기 사운드 출력부가 삽입 및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의 일 면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형성된 제3 삽입홈을 포함하는 제3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제1 삽입홈이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향하거나, 상기 하우징의 측단을 향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2 삽입홈이 상기 일 면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 상기 일 면의 법선 방향 또는 상기 일 면의 접선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운드 출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신호로 이루어진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 각각에 분배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한 업 믹싱 및 다운 믹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운드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의 사운드 생성부 및 상기 다른 사운드 출력부 각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신호로 이루어진 오디오 신호를 분배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 장치는, 상기 일 면에 대향하는 타 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 또는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리기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사공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 방향을 향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향하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을 향하거나, 상기 하우징의 측면 방향을 향하거나, 상기 하우징의 하단 방향을 향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 방향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향하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 사이에 마련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신호로 이루어진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에 분배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는, 하우징의 일 면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로부터 사운드가 방사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사운드 생성부 및 일 말단에서 타 말단까지 단면적이 동일하거나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 말단에는 상기 사운드 생성부가 설치되고, 외면에는 복수의 방사공이 적어도 하나의 열로 마련된 가이드 관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한 업 믹싱 및 다운 믹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해 미리 정의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운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 면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외장 하우징, 상기 외장 하우징의 일 면에 대향하는 타 면 및 상기 외장 하우징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사운드 생성부 및 일 말단에서 타 말단까지 단면적이 동일하거나 또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 말단에는 상기 사운드 생성부가 설치되고, 외면에는 복수의 방사공이 적어도 하나의 열로 마련된 가이드 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사운드 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높은 실감 및 넓은 음장감을 갖도록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사운드 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크기가 작거나 얇은 두께를 갖기 때문에 통상적인 스피커를 설치할 수 없거나 스피커의 설치 개수에 제약이 있는 장치도 고실감 음장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사운드 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반사된 사운드가 적절하게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지향성을 갖는 사운드를 실내 공간의 다양한 반사체로 방사할 수 있게 된다.
슬립 디스플레이 장치나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그 구조나 디자인 상 주 스피커 장치가 사운드의 출력 방향이 하단 방향을 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단에 설치되는데, 상술한 사운드 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이와 같은 경우에서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높은 실감 및 넓은 음장감의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사운드 출력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운드 출력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운드 출력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운드 출력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구역의 일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B 구역의 일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운드 출력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운드 출력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운드 출력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운드 출력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운드 출력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운드 출력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7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운드 출력부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8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생성부 및 스로트 관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1 사운드 출력부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제1 사운드 출력부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배면도다.
도 17은 제1 사운드 출력부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제1 수용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사운드 반사부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설치된 경우에서의 방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이다.
도 20은 사운드 반사부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에서의 방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사운드 반사부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설치된 경우에서의 방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사운드 반사부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설치된 경우에서의 방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3 도면이다.
도 23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실내에 설치된 경우에서의 사운드의 방사 방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a 내지 도 24c는 실내의 일 위치에서 수신되는 사운드의 세기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d는 실내의 일 위치에서의 시간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제2 수용부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a는 제2 수용부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의 일례를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
도 26b는 제2 수용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7a 및 도 27b는 제1 수용부에 설치된 제1 사운드 출력부와 제2 수용부에 설치된 제1 사운드 출력부의 사운드의 반사 특성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제1 사운드 출력부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배면도다.
도 29는 제3 수용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0은 제4 수용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1은 사운드 반사부가 제2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설치된 경우에서의 방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제1 사운드 출력부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3 실시예에 대한 배면도다.
도 33은 제5 수용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4는 사운드 반사부가 제3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 경우에서의 방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제1 사운드 출력부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4 실시예에 대한 배면도다.
도 36은 사운드 반사부가 제4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 경우에서의 방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은 제1 사운드 출력부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5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8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6 실시예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설치된 제1 사운드 출력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도 40은 제2 사운드 출력부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참조 부호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부'가 부가된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부'가 하나의 부품으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가 복수의 부품들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분과 다른 부분에 따라서 물리적 연결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 이외의 또 다른 부분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또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1 이나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부분을 다른 부분으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한 기재가 없는 이상 이들이 순차적인 표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사운드 출력 장치 및 사운드 출력 장치에 설치된 제1 사운드 출력부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사운드 출력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사운드 출력 장치(10)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운드를 출력하는 제1 사운드 출력부(1)와, 제1 사운드 출력부(1)가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운드는 파동의 형태로 전달 가능한 음성, 음악, 효과음 또는 기타 다양한 사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 장치(10)는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운드 출력 장치(10)는, 디지털 텔레비전 장치, 라디오 장치, 오디오 장치, 축음기, 음성 인식 스피커 장치, 스피커가 설치된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스피커가 설치된 모니터 장치,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셀룰러 폰, 스마트 폰, 태블릿 피씨, 휴대용 게임기, 내비게이션 장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차량용 오디오 장치, 실내 또는 실외 광고판, 스피커가 설치된 가전 기기 또는 이들 외에 사운드의 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각종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운드 출력부(1)는, 사용자는 공기의 진동에 따라 전달되는 사운드를 청취할 수 있도록 음파를 외부로 방사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 장치(10)는,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의 제1 사운드 출력부(10-1)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제1 사운드 출력부(10-1, 10-2, …, 10-N, N은 1 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제1 사운드 출력부(10-1, 10-2, …, 10-N)는, 프로세서(30)의 제어에 따라서 각각 서로 상이한 사운드를 방출할 수도 있고, 또는 모두 동일한 사운드를 방출할 수도 있다.
제1 사운드 출력부(10-1, 10-2, …, 10-N)의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선 후술하도록 한다.
프로세서(30)는, 제1 사운드 출력부(1) 또는 제1 사운드 출력부(1)의 동작에 필요한 다른 부품들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사운드 출력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om, Micro Processor),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및/또는 각종 연산 처리 및 제어 신호의 생성이 가능한 다른 전자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0)는 저장부(41), 무선 통신부(43), 유선 통신부(45) 및 입력 인터페이스(47)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도선이나 회로 등을 통하여 음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음원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는, 예를 들어, 2채널 오디오 데이터, 3채널 오디오 데이터, 4채널 오디오 데이터 또는 5채널 오디오 데이터 등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오디오 데이터는, 우퍼에 의해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2.1 채널 또는 5.1 채널 등일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채널 오디오 데이터는, 하이트(height) 효과를 위한 상향 스피커 채널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5.1.2 채널이나 7.1.4 채널일 수도 있다. 이외에도 음원 데이터는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정의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세서(30)는, 음원 데이터가 전달되면, 전달된 음원 데이터의 채널에 제1 사운드 출력부(1) 및/또는 제2 사운드 출력부(3)가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필요에 따라서 채널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 데이터가 사운드의 출력 장치, 즉 제1 사운드 출력부(1) 및/또는 제2 사운드 출력부(3)의 전체 개수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30)는 업 믹싱을 수행하여 음원 데이터의 채널을 더 증가시켜 제1 사운드 출력부(1) 및/또는 제2 사운드 출력부(3) 각각으로부터 적절한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 가능하도록 사운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예를 들어, 음원 데이터가 제1 사운드 출력부(1) 및/또는 제2 사운드 출력부(3)의 전체 개수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30)는 다운 믹싱을 수행하여 음원 데이터의 채널이 제1 사운드 출력부(1) 및/또는 제2 사운드 출력부(3)의 전체 개수에 대응하도록 감소시킬 수도 있다. 만약 음원 데이터가 사운드의 출력 장치, 즉 제1 사운드 출력부(1) 및/또는 제2 사운드 출력부(3)의 전체 개수와 동일한 경우라면 프로세서(30)는 별도의 업 믹싱 및 다운 믹싱 처리를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세서(30)는 채널 매핑 이후에 또는 채널 매핑 없이 추가적인 사운드 처리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는, 제1 사운드 출력부(1) 및/또는 제2 사운드 출력부(3)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알고리즘을 음원 데이터에 적용하여 사운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프로세서(30)는, 복수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을 지연시키거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에 보강음을 부가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를 증폭하는 등의 사운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프로세서(30)의 사운드 처리는 자연스러운 사운드 출력 및 높은 실감을 갖는 사운드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자연스러운 사운드 출력을 위한 처리 및 높은 실감을 갖는 사운드 출력을 위한 처리는, 미리 정의된 설정이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선택적인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30)는, 미리 정의된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 또는 앱으로 지칭 가능함)을 구동시켜 상술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30)는, 음원 데이터를 그대로 또는 채널 매핑되거나 및/또는 추가적인 처리가 수행된 음원 데이터를 제1 사운드 출력부(1)로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음원 데이터(들)의 전송은 도선이나 회로 등을 통하여 구현 가능하다.
이외에도 프로세서(30)는 사용자의 조작이나 설정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사운드 출력 장치(10)는,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사운드 출력부(1)와 별도로 마련되고 제1 사운드 출력부(1)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사운드를 출력하는 제2 사운드 출력부(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운드 출력 장치(10)는, 저장부(41), 무선 통신부(43), 유선 통신부(45) 및 입력 인터페이스(47)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사운드 출력부(3), 저장부(41), 무선 통신부(43), 유선 통신부(45) 및 입력 인터페이스(47) 중 적어도 하나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생략 가능하다.
제2 사운드 출력부(3)는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하여 정보를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사운드 출력 장치(10)는 필요에 따라 하나의 제2 사운드 출력부(3)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제2 사운드 출력부(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사운드 출력부(3)는, 실시예에 따라서, 사운드 출력 장치(10)에 내장되어 설치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운드 출력 장치(10)와 독립적으로 통신 가능하게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제2 사운드 출력부(3)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41), 무선 통신부(43), 유선 통신부(45) 및/또는 입력 인터페이스(47)는,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동작하여 프로세서(30)에 음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저장부(41)는 음원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프로세서(30)의 호출에 따라서 음원 데이터를 프로세서(3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1)는, 프로세서(30)의 연산, 처리 또는 제어 동작 등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전자적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41)는 프로세서(3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나, 애플리케이션이나, 필터나, 알고리즘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이를 프로세서(3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통신부(43) 또는 유선 통신부(45)를 통해 접속 가능한 전자 소프트웨어 유통망을 통하여 획득된 것일 수도 있다.
저장부(41)는, 예를 들어, 주기억장치 및 보조기억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기억장치는 롬(ROM) 및/또는 램(RAM)과 같은 반도체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롬은, 예를 들어, 통상적인 롬, 이프롬(EPROM), 이이프롬(EEPROM) 및/또는 마스크롬(MASK-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램은 예를 들어, 디램(DRAM) 및/또는 에스램(S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기억장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SD(Secure Digital) 카드,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c Drive), 자기 드럼, 컴팩트 디스크(CD), 디브이디(DVD) 또는 레이저 디스크 등과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자기 테이프, 광자기 디스크 및/또는 플로피 디스크 등과 같이 데이터를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3)는, 외부의 다른 단말 장치 및 서버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며, 다른 단말 장치나 서버 장치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원 데이터를 프로세서(3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의 단말 장치는, 스마트폰, 셀룰러 폰, 태블릿 피씨,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기타 통신 가능한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3)는 전자기파를 외부로 송신하거나 또는 외부에서 전달된 전자기파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통신 칩 및 기판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3)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의 단말 장치 및 서버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단말 장치 및 서버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캔(CAN) 통신, 와이 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와이맥스(Wi-MAX), 초광대역 통신(UWB, ultra-wide band),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엔에프씨(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기술로는, 3GPP, 3GPP2 또는 와이맥스 계열 등과 같이 이동 통신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동 통신 표준 기술로는, 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부(45)는 외부의 다른 단말 장치 및 서버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유선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며, 다른 단말 장치나 서버 장치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원 데이터를 프로세서(3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통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또는 이더넷 케이블 등의 케이블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입력 인터페이스(47)는, 사운드 출력 장치(10)와 별도로 마련된 다른 장치, 예를 들어 외부 저장 장치와 연결 가능하게 마련되며, 다른 장치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원 데이터를 프로세서(30)로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47)는,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단자(17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나 썬더볼트 단자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페이스용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제1 사운드 출력부(1)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운드 출력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운드 출력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운드 출력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구역의 일례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의 B 구역의 일례에 대한 확대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운드 출력부(1)는 도 24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사운드 생성부(11)과,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운드 생성부(11)측에서 전달된 사운드가 외부로 방사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관(12)과, 사운드 생성부(11)과 가이드 관(12) 사이에 배치되어 일단에 사운드 생성부(11)이 설치되고 타단이 가이드 관(12)의 일단과 연결되는 스로트 관(13)과, 개방된 가이드 관(12)의 타단을 덮는 캡(1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생성부(1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신호를 전달받아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11a)과, 전자석(11a)에 의해 진동하며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다이어프램(11b)을 포함한다.
스로트 관(13)은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스로트 관(13)의 내부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스로트 관(13)은 사운드 생성부(11)에서 발생한 사운드를 가이드 관(12)으로 안내하되, 급격한 압력 변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관(1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가이드 관(12)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마련되어 사운드가 외부로 방사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방사공(12a)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방사공(12a)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가이드 관(12)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방사공(12a)들은 원형 홀, 타원형 홀, 다각형 홀(예를 들어, 사각형이나 오각형 또는 그 이상의 다각형을 포함 가능하다) 또는 이외 설계자가 고려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공(12a)들은 사운드 생성부(11) 측에 위치한 가이드 관(12)의 일단 측에서 그 반대측에 위치한 타단 측으로 진행하며 증가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가이드 관(12)의 타단측에 위치한 방사공(12a)을 통해서 보다 많은 양의 사운드가 방사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 관(12)의 길이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사운드의 지향성이 보다 증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복수의 방사공(12a)들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관(12)의 하나의 측면에 하나의 열로 배치될 수도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방사공(12a)들이 가이드 관(12)의 하나의 측면에 복수의 열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방사공(12a)들이 가이드 관(12)의 복수의 측면에 하나 또는 복수의 열로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중공으로 형성된 가이드 관(12)은 그 내부가 대략 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서 그 내부는 원형이나 삼각형 등과 같은 다른 단면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중공으로 형성된 가이드 관(12)은 방사공(12a)들이 형성된 면이 사운드가 방사되는 방사면(12b)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관(12)의 방사면(12b)에 방사공(12a)들이 일렬로 마련되도록 하면, 스로트 관(13)를 통해 전달된 사운드는 가이드 관(1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방사공(12a)들 각각을 통해 사운드의 일부가 외부로 방사된다.
사운드는 공기를 매질로 하는 압력 변화에 의해 전파되는 음파이므로, 가이드 관(12)에 일렬로 마련된 방사공(12a)들을 통해 시차를 가지고 방사된 사운드들은 서로 소멸 간섭 및 보강 간섭을 하게 되며, 이와 같이 사운드들이 서로 간섭하는 과정에서 가이드 관(12)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1 사운드 출력부(1)는 상술한 방사공(12a)들이 마련된 가이드 관(12)의 구조로 인해 지향성 스피커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관(12)의 내부는 사운드 생성부(11)측에 위치한 일단에서 그 반대측에 위치한 타단으로 진행하며 동일하거나 또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것은, 단면적인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 또는 단면적인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이는 단면적이 감소와 증가를 반복하는 것도 포함 가능하다.
가이드 관(12)에 전달된 사운드는 가이드 관(1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방사공(12a)들을 통해 차례로 방사된다. 따라서, 만약 가이드 관(12)의 내부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하면, 가이드 관(12)을 통과하는 과정에는 음압이 점진적으로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가이드 관(12)의 타단측에 인접한 방사공(12a)에서도 다른 방사공(12a)들과 동일한 수준의 사운드가 방사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 관(12)의 내부의 단면적이 가이드 관(12)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진행하며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하면, 가이드 관(12)을 통과하는 사운드의 대부분은 방사공(12a)들을 통해 외부로 방사되므로, 사운드 생성부(11)에서 발생한 사운드가 보다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사된다. 또한, 이와 같이 방사공(12a)을 통해 외부로 방사되는 사운드가 많아질수록 가이드 관(12)의 타단측에 위치한 캡(14)에 전달되는 사운드는 감소하게 된다. 즉, 가이드 관(12) 내부의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함으로써 캡(14)에 도달한 사운드가 사운드 생성부(11)측으로 다시 반사될 경우 발생하는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방사면(12b)은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관(12)의 길이 방향과 예각을 이루도록 연장될 수 있다. 방사공(12a)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방사면(12b)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사운드는 방사면(12b)에 의해 안내되어 방사된다.
제1 사운드 출력부(1)의 방사면(12B)이 가이드 관(12)의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θ)을 가질 수 있다. 사운드는 방사면(12b)에 의해 안내되어 방사되므로, 가이드 관(12)의 길이 방향과 방사면(12b)이 이루는 각도(θ)에 따라서 제1 사운드 출력부(1)의 지향성이 변화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관(12)의 길이 방향과 방사면(12b)이 이루는 각도(θ)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제1 사운드 출력부(1)의 지향성은 이에 거의 대응하여 증가한다.
캡(14)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된 가이드 관(12)의 타단에 설치되어 가이드 관(12)의 타단을 폐쇄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가이드 관(12)의 타단과 대향되는 캡(14)의 내면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상하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서로 만나 대략 V자 형상을 홈(14a)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캡(14)에 도달한 사운드는 캡(14)의 내면에 의해 반사되면서 소멸 간섭하게 되고, 가이드 관(12)의 타단에 도달한 사운드가 다시 사운드 생성부(11)측으로 반사될 경우 발생하는 노이즈가 보다 감소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 가이드 관(12)의 타단과 대향되는 캡(14)의 내면에는 스폰지 등과 같은 흡음재(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운드 출력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운드 출력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운드 출력부의 사시도이다.
제1 사운드 출력부의 제2 실시예(10-1)에 의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관(12-1)에 방사공(12a-1)들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경우, 제1 사운드 출력부(10-1)에서 발생한 사운드의 지향성은 제 1 실시예에 개시된 제1 사운드 출력부(1)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공(12a-1) 사이의 간격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사운드 출력부의 제3 실시예(10-2)에 의하면,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반대로 방사공(12a-2)들의 크기가 가이드 관(12-2)의 일단측에서 타단측으로 진행하며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방사공(12a-2)의 크기가 타단측에 가까워질수록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되는 경우, 제1 사운드 출력부(10-2)에서 발생한 사운드의 지향성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방사공들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지향성 스피커에서 발생한 사운드의 지향성 정도를 설계자가 선택하여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운드 출력부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운드 출력부의 단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방사공(12a)들 중 일부는 다른 일부와 서로 상이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도 가능하며, 복수의 방사공(12a) 모두가 서로 상이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사운드 출력부의 제4 실시예(10-3)에 의하면, 복수의 방사공(12a)들 사이의 간격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생성부(11) 주변의 일단측에서 타단측으로 진행하며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운드 생성부(11) 주변에 형성된 방사공(12a) 사이의 간격은 캡(14) 주변에 형성된 방사공(12a)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방사공(12a)의 크기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고, 또는 대략 동일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간격이 감소되는 경우, 가이드 관(12)의 일단측 보다 가이드 관(12-4)의 타단측에 보다 많은 수의 방사공(12a)들이 마련되므로, 가이드 관(12)의 타단측으로 통해서 보다 많은 양의 사운드가 방사되며, 그에 따라 가이드 관(12)의 길이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사운드의 지향성이 보다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운드 출력부의 제5 실시예(10-4)에 의하면, 복수의 방사공(12a)들 사이의 간격은, 사운드 생성부(11) 주변의 일단측에서 타단측으로 진행하며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운드 생성부(11) 주변에 형성된 방사공(12a) 사이의 간격은 캡(14) 주변에 형성된 방사공(12a) 사이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복수의 방사공(12a)의 크기는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간격이 증가하도록 설치된 경우 제1 사운드 출력부의 지향성이 상대적으로 감소되게 된다.
따라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공(12a)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만으로도 제1 사운드 출력부(1)에서 발생한 사운드의 지향성 정도를 설계자가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운드 출력부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제7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운드 출력부의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제1 사운드 출력부의 제6 실시예(10-5)에 의하면, 같이 가이드 관(12-5)에 마련된 방사면(12b-5)이 가이드 관(1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도 4에 도시된 가이드 관(12)의 길이 방향과 방사면(12b)이 이루는 각도(θ)가 0이므로 제1 출력부(10-5)의 지향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 7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운드 출력부(10-6)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관(12-6)에 마련된 방사면(12b-6)이 가이드 관(12)의 길이 방향과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θ')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제1 사운드 출력부(10-6)의 지향성을 상대적으로 적절하게 감소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운드 생성부(11)에서 발생한 가이드 관(12)의 길이 방향과 방사면(12b)이 이루는 각도(θ)를 조절함으로써 제1 사운드 출력부(1)에서 발생한 사운드의 지향성 정도를 설계자가 선택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제8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생성부 및 스로트 관의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스로트 관(13-8)의 내부 중 사운드 생성부(11)과 인접한 일부 구간에는, 이웃한 양측 구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스로트부(13A)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에 적용된 제1 사운드 출력부(1)는 가이드관(12)에 마련된 방사공(12a)들의 크기, 방사공(12a)들 사이의 간격 및 방사면(12b)의 각도(θ)를 조절함으로써, 제1 사운드 출력부(1)에서 전파되는 사운드의 지향성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15 내지 38b를 참조하여, 제1 사운드 출력부(101)가 설치된 사운드 출력 장치의 일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사운드 출력 장치(1)는 오직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사운드 출력부(10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이외에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설계 가능한 다른 장치(들)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5는 제1 사운드 출력부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16은 제1 사운드 출력부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배면도다. 도 17은 제1 사운드 출력부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통상적으로 설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바닥면에 접하는 부분을 하 방항으로 정의하고 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을 상 방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91)이 설치된 방향을 전 방향으로, 전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을 후 방향으로 정의한다. 아울러, 상 방향, 하 방향, 후 방향 및 전 방향 각각에 직교하는 방향 중 어느 하나를 우 방향, 우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을 좌 방향으로 정의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설계자에 따라서 방향은 임의로 정의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상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 장치, 모니터 장치, 랩톱 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 피씨, 휴대용 게임기, 내비게이션 장치 또는 실내외 광고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91)과 디스플레이 패널(191)을 고정하면서 내측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동작에 관련된 각종 부품을 내장 가능한 하우징(19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91)은, 화상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91)은, 예를 들어, 액정을 이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단독으로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91)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 라이트 유닛(미도시, BLU, Back Light Unit)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백 라이트 유닛은 하우징(190)에 내장되어 마련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패널(191)은 실시예에 따라 리기드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고,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다.
하우징(190)은, 전방에 디스플레이 패널(191)이 노출되어 설치되고,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190h)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운드 출력부(101; 101-1, 101-2)가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하우징(190)은, 예를 들어, 내측에 디스플레이 패널(191)이 노출되도록 마련된 전방 프레임과 내측에 각종 부품이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 후방 프레임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 하우징(190)는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이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서, 하우징(19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지지하기 위한 스탠드(199)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스탠드(199)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면이나 후면(190h) 등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스탠드(199)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벽면에 장착되도록 마련된 경우에는, 생략 가능하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100e)에는 벽면 장착에 필요한 부품이 더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하우징(190)의 후면(190h)의 일 위치에는 제1 사운드 출력부(101)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사운드 출력부(101-1)는 사운드 생성부(111), 가이드 관(112), 스로트 관(113) 및 캡(114)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90)의 후면(190h)은, 예를 들어, 상단부(H1), 중단부(H2) 및 후단부(H3)로 가상적 또는 실제적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제1 사운드 출력부(101)는 상단부(H1), 중단부(H2) 및 후단부(H3)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상단부(H1)는 하우징(190)의 후면(190h)의 상단 경계(e-3)로부터 하단 경계(e-4) 방향으로 전체 길이(H)의 삼분의 일 지점과 상단 경계(e-3) 사이의 구역(H1)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중단부(H2)는 상단 경계(e-3)로부터 하단 경계(e-4) 방향으로 전체 길이(H)의 삼분의 일 지점과 상단 경계(e-3)로부터 하단 경계(e-4) 방향으로 전체 길이(H)의 삼분의 이 지점 사이의 구역(H2)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후단부(H3)는 상단 경계(e-3)로부터 하단 경계(e-4) 방향으로 전체 길이(H)의 삼분의 이 지점과 하단 경계(e-4) 사이의 구역(H3)을 포함하도록 정의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의는 설계자에 따라 임의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제1 사운드 출력부(101)의 설치 위치 및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사운드 출력부(3-1, 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운드 출력부(3-1, 3-2)는 통상적인 스피커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의 제2 사운드 출력부(3-1, 3-2)를 포함할 수도 있고,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2 사운드 출력부(3-1, 3-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셋 이상의 제2 사운드 출력부(3-1, 3-2)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사운드 출력부(3-1, 3-2)는, 하우징(19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사운드 출력부(3-1, 3-2)는 하우징(190)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우징(190)에 마련된 통공(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도 있고, 또는 하우징(190)의 외면에 직접 설치되어 외부로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사운드 출력부(3-1, 3-2)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90)의 하단(H3)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2 사운드 출력부(3-1, 3-2)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사운드 출력부(3-1, 3-2)는 하우징(190)의 좌측 경계 및/또는 우측 경계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좌측 경계 및/또는 우측 경계와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운드 출력부(3-1, 3-2)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하우징(190)의 후면(190h)에 설치되되,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190h)의 상단부(H1)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상단부(H1)의 상부 말단, 즉 상단 경계(e-3)에 접하거나 인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상단부(H1)의 하부 말단에 접하거나 인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상단부(H1)의 중단이나 그 중단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각각의 사운드 생성부(111)가 중심선(c)을 향하고, 캡(114)이 좌측 또는 우측 경계(e-1, e-2)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중심선(c)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우징(190)의 후면(190h)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선분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상측 경계(e-3)와 평행하거나 또는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후면(190h)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상측 경계(e-3)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후면(190h)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일 말단, 즉 캡(114)이 장착된 말단이 좌측 또는 우측 경계(e-1, e-2)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의 타 말단, 즉 사운드 생성부(111)가 장착된 말단은 중심선(c)이 접하거나, 인접하거나 또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일정 거리는 예를 들어,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의 길이의 대략 절반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각각의 사운드 생성부(111)가 좌측 또는 우측 경계(e-1, e-2) 방향을 향하고, 캡(114)이 중심선(c)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어느 하나의 제1 사운드 출력부(101-1)는 사운드 생성부(111)가 좌측 또는 우측 경계(e-1, e-2) 방향을 향하고, 캡(114)이 중심선(c)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제1 사운드 출력부(101-2)는 사운드 생성부가 중심선(c) 방향을 향하고, 캡이 좌측 또는 우측 경계(e-1, e-2)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와 반대로 각각의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후면(190h)에 마련된 제1 수용부(140-1, 140-2)에 장착되어 하우징(190)의 후면(190h)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의 제1 수용부(140-1, 140-2)가 하우징(190)의 후면(190h)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제1 수용부(140-1, 140-2)가 하우징(190)의 후면(190h)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수용부(140-1, 140-2)의 개수는 설치될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의 개수에 대응하여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도 18은 제1 수용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선분 AB를 따라 절개한 제1 사운드 출력부(101-1)가 장착된 제1 수용부(140-1)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수용부(140-1)는 후 방향으로 돌출되어 후면(190h)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수용부(140-1)는 후면(190h)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수용부(140-1)는, 제1 사운드 출력부(101-1)가 설치된 구조에 대응하여 일 말단은 중심선(c) 방향을 향하고 타 말단은 좌측 또는 우측 경계(e-1, e-2)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용부(140-1)는 좌측 또는 우측 경계(e-1, e-2)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는 지점에서부터 중심선(c)이 접하거나, 인접하거나 또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까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부(140-1)는 상측 경계(e-3)와 평행하게,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또는 상측 경계(e-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후면(190h)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수용부(140-1)는 제1 사운드 출력부(101-1)의 형태에 대응하여 관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제1 수용부(140-1)의 내측에는 제1 사운드 출력부(101-1)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 즉 제1 삽입홈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수용부(140-1)는, 후면(190h)에 부착되는 제1 격벽(140a)과, 제1 격벽(140a)의 말단에서 절곡되어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격벽(140b)과, 제2 격벽(140b)의 일 말단에서 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3 격벽(140c)을 포함한다. 제1 격벽(140a)과 제2 격벽(140b)과 제3 격벽(140c)에 의해서, 이들 사이에는 제1 사운드 출력부(101-1)가 안착되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제1 격벽(140a)은 생략 가능하다. 이 경우, 하우징(190)의 후면(190h)이 제1 격벽(140a)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부(140-1)의 상 방향에는 제1 사운드 출력부(101-1)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가 상 방향으로 방사되기 위한 개부(141)가 형성된다. 개부(141)는 제1 격벽(140a)과 제3 격벽(140c) 사이에 마련되어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제3 격벽(140c)의 말단에는 하우징(190)의 후면(190h)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4 격벽(140d)이 더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개부(141)는 제1 격벽(140a)과 제4 격벽(140d)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격벽 내지 제4 격벽(140a 내지 140d)은 일체형으로 구현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각각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개부(141)는 방사공(112a)이 가이드 관(112)의 외면을 따라 형성된 것에 대응하여 제1 수용부(140-1)의 상 방향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사운드 출력부(101-1)는 제1 사운드 출력부(101-1)의 가이드 관(112)의 외면에 형성된 방사공(112a)이 개부(141)에 대응하도록 제1 수용부(140-1) 내에 삽입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방사공(112a)이 개부(141)를 통해 상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1 사운드 출력부(101-1)는 제1 수용부(140-1)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제1 수용부(140-1)의 제1 수용홈이 상 방향을 향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1 수용부(140-1)는 제1 수용홈이 상술한 바와 반대로 하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수용부(140-1)는 제1 수용홈이 후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수용부(140-1)는 대략 90도로 기울어져서 후면(190h)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9는 사운드 반사부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설치된 경우에서의 방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이고, 도 20은 사운드 반사부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에서의 방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사운드 반사부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설치된 경우에서의 방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에서 상대적으로 진한 부분은 사운드가 주로 또는 강하게 전달되는 부분(즉 우세한 부분)이고, 상대적으로 옅은 부분은 사운드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전달되는 부분(즉 열세한 부분)을 의미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운드 출력부(101)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면, 예를 들어 후면(190h)에 설치되면, 제1 사운드 출력부(101)에서 외부로 방사된 사운드 중 일부의 사운드(s11, s21)는 직접 후면 방향으로 방사되나, 다른 일부의 사운드,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190h) 방향으로 방사되는 사운드(s21, s2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190h)에서 반사된 후 후면 방향을 향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전면 방향으로 향하던 사운드(s21, s22)들은 다른 일부의 사운드(s11, s21)와 같이 후면 방향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사운드 출력부(101)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190h)에 설치되면, 제1 사운드 출력부(101)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190h)에 설치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배치된 경우에 비해서 지향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운드 출력부(101)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 제1 사운드 출력부(101) 주변에는 어떠한 반사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특정 방향(즉, 도 20의 우측 상단이나 우측 하단 방향) 외의 다른 구역에도 사운드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방사되어 분포하게 된다. 반대로 제1 사운드 출력부(101)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190h)에 설치되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운드 출력부(101)에서 출력된 사운드는 후면(190h)에서의 반사에 따라 우측 상단이나 우측 하단으로 상대적으로 더 집중하게 되고 특정 방향(즉, 도 20의 우측 상단이나 우측 하단 방향) 외의 다른 구역에는 상대적으로 더 적은 사운드가 방사되어 분포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1 사운드 출력부(101)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면, 예를 들어 후면(190h)에 설치된 경우, 제1 사운드 출력부(101)의 지향성을 더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도 22a 및 도 22b는 사운드 반사부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설치된 경우에서의 방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3 도면 및 제4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가 방사공(112a)이 상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후면(190h)의 상단부(H1)의 경계(e-1, e-2) 주변에 형성된 제1 수용부(140-1, 140-2)에 설치되면,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에서 방출된 사운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양측 상단 모서리 주변에 상 방향, 측 방향 및 후 방향을 포함하는 범위(z1) 내에서 퍼지게 된다. 이 경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의 사운드 방사 패턴이 특정한 방향(우측 상 방향 및 좌측 하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상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f1)의 사운드가 방사되고 측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f2)의 사운드가 방사된다.
도 23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실내에 설치된 경우에서의 사운드의 방사 방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4a 내지 도 24c는 실내의 일 위치에서 수신되는 사운드의 세기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d는 실내의 일 위치에서의 시간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a 내지 도 24c의 x축은 시간을 의미하고 y축은 파동의 세기를 의미한다. 도 24d의 x축은 주파수를 의미하고, y축은 시간을 의미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특정한 실내 공간(R)에 배치되고,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가 사운드를 방출하는 경우라면,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에서 방출된 사운드(S31, S321, S322, S331, S332)는, 천정(R1), 측벽(R2) 및 후벽(R3) 중 적어도 하나로도 전달될 수 있다. 천정(R1)에 전달된 사운드(S31)는 천정(R1)에 반사되어 일 위치(P, 일례로 시청자의 위치)로 전달되고, 측벽(R2), 즉 우측 벽(R21) 및 좌측 벽(R22)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된 사운드(S321, S322)는 우측 벽(R21) 및 좌측 벽(R22) 중 적어도 하나에 반사되어 일 위치(P)로 전달되며, 후벽(R3)에 전달된 사운드(S331, S332)는 후벽(R3)에 반사되어 일 위치(P)로 전달될 수 있다. 물론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에서 방출된 사운드 중 일부는 특정한 위치(P)로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2 사운드 출력부(3-1, 3-2)가 사운드를 출력하면, 제2 사운드 출력부(3-1, 3-2)의 사운드 출력에 따라서 일 위치(P)에는, 직접 또는 반사에 따른 사운드가 전달된다. 이 경우, 일 위치(P)에는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제1 직접음(DS1), 제1 반사음(RS11), 제2 반사음(RS12) 및 제3 반사음(RS13)이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접음(DS1)은 직접 전달되는 사운드를 의미하고, 제1 반사음 내지 제3 반사음(RS11 내지 RS13)은 각각 주변의 반사체에 의해 반사된 사운드를 의미한다. 주변의 반사체는, 예를 들어, 후벽(R3), 측벽(R2) 및/또는 천정(R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예를 들어 실내 공간)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가 사운드를 출력하면,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의 사운드 출력에 따라서 일 위치(P)에는, 직접 또는 반사에 따른 사운드가 전달된다. 여기서, 일 위치(P)에는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제2 직접음(DS2), 제4 반사음(RS21), 제5 반사음(RS22) 및 제6 반사음(RS23)이 전달될 수 있다. 제2 직접음(DS2)은 직접 전달되는 사운드이고, 제4 반사음 내지 제6 반사음(RS21 내지 RS23)은 각각 주변의 반사체, 일례로 후벽(R3), 측벽(R2) 및/또는 천정(R3) 등에 의해 반사된 사운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높은 지향성을 가지므로,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에 의해 방사된 사운드의 반사 특성은 향상된다. 이에 따라 제4 반사음 내지 제6 반사음(RS21 내지 RS23) 중 적어도 하나는, 실내 구조에 따라서 제1 반사음 내지 제3 반사음(RS11 내지 RS13)보다 상대적으로 더 강화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에서 방출된 사운드 중 직접 시청자의 위치(P)로 전달되는 사운드(DS2)는 제2 사운드 출력부(3-1, 3-2)에서 출력된 사운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 및 제2 사운드 출력부(3-1, 3-2)에서 출력된 사운드는, 도 24c 및 도 2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합되어 일 위치(P)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위치(P)에는 순차적으로 제1 직접음(DS1) 및 제2 직접음(DS2)이 조합된 제1 조합 사운드(CDS)와, 제1 반사음(RS11) 및 제4 반사음(RS21)이 조합된 제2 조합 사운드(CDS1)와, 제2 반사음(DS1) 및 제5 반사음(DS2)이 조합된 제3 조합 사운드(CDS2)와, 제3 반사음(DS1) 및 제6 반사음(DS2)이 조합된 제4 조합 사운드(CDS3)가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조합 사운드(CDS1)는, 후벽(R3)에서 반사된 사운드의 조합일 수 있으며, 도 2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의 음파와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제3 조합 사운드(CDS2)는 천정(R1)에서 반사된 사운드의 조합에 기인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조합 사운드(CDS1)의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의 음파들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제3 조합 사운드(CDS2)는, 다른 조합 사운드(CDS, CDS1, CDS3)보다 그 사운드의 전달 경로가 상대적으로 더 길기 때문에, 장시간의 시간 지연이 존재한 후 일 지점(P)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4 조합 사운드(CDS3)는 측벽(R2)에서 반사된 사운드의 조합일 수 있으며, 제3 조합 사운드(CDS2)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의 음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조합 사운드(CDS3)는 중간 수준의 주파수 대역의 음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사운드 출력부(3-1, 3-2)만이 사운드를 출력하는 경우(도 23a)보다 상대적으로 더 강화된 반사음(CDS2, CDS3)이 더욱 다양한 주파수로 더욱 다양한 시간 동안 일 위치(P)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보다 강화된 사운드(CDS2, CDS3)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면, 사용자는 보다 넓은 음장감을 느낄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더욱 생생하고 실감나도록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실감 효과(immersive effect)가 강조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보다 강화된 사운드(CDS2, CDS3)가 다양한 위치(R1, R2, R3)에서 반사되어 전달되므로 서라운드(surround)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되ㄴ다.
도 25는 제2 수용부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6a는 제2 수용부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의 일례를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 도 26b는 제2 수용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7a 및 도 27b는 제1 수용부에 설치된 제1 사운드 출력부와 제2 수용부에 설치된 제1 사운드 출력부의 사운드의 반사 특성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a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후면(190h)에 마련된 제2 수용부(143-1, 143-2)에 장착되어 하우징(190)의 후면(190h)에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제2 수용부(143-1, 143-2)가 하우징(190)의 후면(190h)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제2 수용부(143-1, 143-2)가 하우징(190)의 후면(190h)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수용부(143-1, 143-2)의 개수는 설치될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의 개수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5,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2 수용부(143-1, 143-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190h)에 내측 방향(예를 들어, 전 방향, 하 방향 및 전 방향과 하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수용부(143-1, 143-2)는,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가 설치된 구조에 대응하여 일 말단은 중심선(c) 방향을 향하고 타 말단은 좌측 또는 우측 경계(e-1, e-2)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용부(143-1, 143-2)는, 상측 경계(e-3)와 평행하게 설치되거나,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상측 경계(e-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될 수도 있다.
제2 수용부(143-1, 143-2)는, 제1 사운드 출력부(101-1)의 형태에 대응하여 일 말단에서 타 말단까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제2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6b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190h)의 일부(190d)는 제2 수용부(143-1, 143-2)의 제5 격벽(143a)과 연결된다. 이 경우, 후면(190h)의 일부(190d)와 제5 격벽(143a) 사이에는 절곡 지점(190e)이 존재할 수 있다. 제5 격벽(143a)은 일 말단은 후면(190h)의 일부(190d)와 연결되고 타 말단은 절곡되어 제6 격벽(143b)에 연결된다. 제5 격벽(143a)은 다른 격벽(143b, 143c)에 대해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한다. 이 경우, 제5 격벽(143a)는,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용부(143-1, 143-2)의 개부(144)가 후면(190h)에 대해 소정의 각도(θ)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후면(190h)에 대해 기울어져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제2 수용부(143-1, 143-2)의 개부(144)가 후면(190h)과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즉, 소정의 각도(θ)가 0 또는 이에 근사한 값이 되도록) 후면(190h)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6 격벽(143b)은 후 방향 또는 하측 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 말단은 제5 격벽(143a)과 연결되고 타 말단은 외측에 위치한 제7 격벽(143c)에 연결된다. 제7 격벽(143c)은 일부는 상 방향 또는 상측 후 방향을 향하고, 다른 일부는 하 방향 또는 하측 전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마련된다. 제7 격벽(143c)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개부(144)가 후면(190h)에 대해 소정의 각도(θ)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후면(190h)에 대해 기울어져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개부(144)가 후면(190h)과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후면(190h)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5 격벽(143a)과, 제6 격벽(143b)과, 제7 격벽(143c)의 일부에 의해 내측에는 제2 삽입홈으로 이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제7 격벽(143c)의 일부의 말단과 후면(190h)의 일부(190d) 사이 또는 제7 격벽(143c)의 일부의 말단과 제5 격벽(143a) 사이에는 개부(144)가 마련된다. 개부(144)는 방사공(112a)이 가이드 관(112)의 외면을 따라 형성된 것에 대응하여 제2 수용부(143-1, 143-2)의 상 방향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7 격벽(143c)의 다른 일부는 후면(190h)의 다른 일부(190g)와 연결된다. 이 경우, 제7 격벽(143c)의 다른 일부의 말단과 후면(190h)의 다른 일부(190g) 사이에는 절곡 지점(미도시)이 존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수용부(143-1, 143-2)는 후면(190h)에 대해 기울어져 형성되면,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이에 대응하여 후면(190h)에 대해 소정의 각도(θ)로 기울어져 제2 수용부(143-1, 143-2)에 장착된다. 이 경우,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의 방사공(112a)은 개부(144)를 통해 외부로 노출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므로, 방사공(112a)는 후면(190h)에 대해 소정의 각도(θ)로 기울어진 방향을 향하게 되고, 사운드의 방사 방향 역시 후면(190h)에 대해 기울어지게 된다.
제2 수용부(143-1, 143-2)는 후면(190h)과 평행하게 형성되면,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이에 대응하여 후면(190h)의 법선과 직교하여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후면(190h)에 대한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의 사운드 출력 방향 사이의 각도는 0 또는 이에 근사한 값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방사공(112a)은 대략 상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수용부(143-1, 143-2)가 상술한 구조를 갖는 경우, 제2 수용부(143-1, 143-2)에 장착된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에서 출력된 사운드는, 제1 수용부(140-1, 140-2)에 장착된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에 비해 상대적으로 천정(R1)에 더 강하게 반사되어 전방을 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140-1, 140-2)에 장착된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에서 방출된 사운드(S41 내지 S4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반사되거나 또는 반사되지 않고 상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일부의 사운드(S43)는 천정(R1)에서 반사되어 후벽(R3) 방향으로 진행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천정(R1)으로부터 전달되는 반사음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어 충분한 반사음이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반면에 도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용부(143-1, 143-2)에 장착된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에서 방출된 사운드(S44 및 S45)는 상 방향이나 상측 후 방향을 향하여 전달된다. 이 경우, 일부의 사운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반사될 수도 있으나, 제1 수용부(140-1, 140-2)에 설치된 경우보다는 더 적게 반사된다. 상측 후 방향으로 전달된 사운드(S45)는는 일부의 사운드(s43)는 후벽(R3) 및 천정(R1)에서 순차적으로 반사되어 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반사음(S44 및 S45)이 천정(R2)으로부터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사운드 출력부(101-1, 101-2)가 제2 수용부(143-1, 143-2)에 장착된 경우, 하이트 효과가 더 강조될 수 있게 된다.
하이트 효과는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가 후면(190h)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θ)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가 0도 내지 45도 사이인 경우에는 하이트 효과가 강조될 수 있으마, 각도가 45도 이상인 경우에는 천정(R1)에서 반사되는 반사음이 감소하여 하이트 효과가 상대적으로 축소될 수 있다.
도 28은 제1 사운드 출력부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배면도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하우징(190)의 후면(190h)에 설치되되,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190h)의 중단부(H2)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중단부(H2)의 상부 말단에 접하거나 인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고, 중단부(H2)의 하부 말단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중단부(H2)의 중단이나 그 주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각각의 사운드 생성부(111)가 중심선(c)을 향하고, 캡(114)이 좌측 또는 우측 경계(e-1, e-2)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상측 경계(e-3)와 평행하거나 또는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후면(190h)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측 경계(e-3)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후면(190h)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캡(114)이 장착된 말단이 좌측 또는 우측 경계(e-1, e-2)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및/또는 사운드 생성부(111)가 장착된 말단은 중심선(c)이 접하거나, 인접하거나 또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각각의 사운드 생성부(111)가 좌측 또는 우측 경계(e-1, e-2) 방향을 향하고, 캡(114)이 중심선(c)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제1 사운드 출력부(101-1)는 캡(114)이 중심선(c)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제1 사운드 출력부(101-2)는 캡이 좌측 또는 우측 경계(e-1, e-2)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대체적으로 상 방향, 후 방향, 측 방향 및 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90)의 후면(190h)에는 제3 수용부(150-1, 150-2) 및/또는 제4 수용부(153-1, 15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제3 수용부(150-1, 150-2) 및/또는 제4 수용부(153-1, 153-2)에 장착되어 하우징(190)의 후면(190h)에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하우징(190)의 후면(190h)에는 하나의 제3 수용부(150-1, 150-2)가 설치될 수도 있고, 복수의 제3 수용부(150-1, 150-2)가 설치될 수도 있고, 하나의 제4 수용부(153-1, 153-2)가 설치될 수도 있고, 및/또는 복수의 제4 수용부(153-1, 153-2)가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3 수용부(150-1, 150-2) 및/또는 제4 수용부(153-1, 153-2)의 개수는 설치될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의 개수에 대응하여 하우징(190)의 후면(190h)에 마련 가능하다.
제3 수용부(150-1, 150-2) 및/또는 제4 수용부(153-1, 153-2) 각각은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의 구조에 대응하여 좌측 또는 우측 경계(e-1, e-2) 방향에서 중심선(c) 방향으로 중공의 관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수용부(150-1, 150-2) 및/또는 제4 수용부(153-1, 153-2) 각각의 길이는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의 길이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따라서, 제3 수용부(150-1, 150-2) 및/또는 제4 수용부(153-1, 153-2)는 좌측 또는 우측 경계(e-1, e-2)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는 지점에서부터 중심선(c)이 접하거나, 인접하거나 또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까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수용부(150-1, 150-2) 및/또는 제4 수용부(153-1, 153-2)는 상측 경계(e-3)와 평행하게,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또는 상측 경계(e-3)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후면(190h)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3 수용부(150-1, 150-2) 및/또는 제4 수용부(153-1, 153-2)는, 후면(190h)의 중단(H2)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수용부(150-1, 150-2) 및/또는 제4 수용부(153-1, 153-2)는 중단(H2)의 상단, 하단, 중심 또는 이들의 주변 등 중단(H2)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9는 제3 수용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3 수용부(150-1, 150-2)는 하우징(190)의 후면(190h)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3 수용부(150-1, 150-2)는 하우징(190)의 후면(190h)의 내측으로 삽입 형성되어 제1 사운드 출력부(101-1)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수용부(150-1, 150-2)는 하우징(190)의 후면(190h)의 상단(190h-1)의 말단에 형성된 상부 말단부(150a)와, 하우징(190)의 후면(190h)의 하단(190h-2)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 말단부(15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말단부(150a)와 하부 말단부(150b)는 내측에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가 장착되는 제3 삽입홈을 형성한다. 상부 말단부(150a)와 하부 말단부(150b)는 하우징(190)의 후면(190h)과 대체적으로 직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수용부(150-1, 150-2)는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50c, 150d)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50c, 150d)는,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의 상 방향 및 하 방향에서 각각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에 장착 및 고정되고, 또한 하우징(190)의 후면(190h)의 상단(190h-1) 및 후단(190h-2)에 각각 고정되어,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가 하우징(190)의 후면(190h)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제3 수용부(150-1, 150-2)에 장착된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의 사운드가 후방으로 방출되는 경우 저주파의 사운드는 후방을 향하여 지면과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전달되므로 하이트 효과는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서라운드 효과는 강조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고주파의 사운드는 측방을 향하여 전달되므로, 측벽(R2)에 반사되어 일 지점(P)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서라운드 효과가 획득 가능하게 된다.
도 30은 제4 수용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1은 사운드 반사부가 제2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설치된 경우에서의 방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4 수용부(153-1, 153-2)는, 상술한 제2 수용부(143-1, 143-2)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190h)에 내측 방향(예를 들어, 전 방향, 하 방향 및 전 방향과 하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4 수용부(153-1, 153-2)는, 제1 사운드 출력부(101-1)의 형태에 대응하여 일 말단에서 타 말단까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제4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수용부(153-1, 153-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190h)의 일부(190i)와 연결되고 타 말단에는 절곡된 부분이 형성되고 타 격벽(153b, 153c)에 대해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한 제8 격벽(153a)과, 일 말단은 제8 격벽(153a)의 절곡된 부분과 연결되고 타 말단에는 절곡된 부분이 형성된 제9 격벽(153b)과, 제9 격벽(153b)의 절곡된 부분에 연결되고 외측에 위치한 제10 격벽(153c)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후면(190h)의 일부(190i)와 제8 격벽(153a) 사이에는 절곡 지점(190j)이 존재할 수 있다. 제8 격벽(153a), 제9 격벽(153b) 및 제10 격벽(153c)은, 제4 수용부(153-1, 153-2)의 개부(154)가 후면(190h)에 대해 소정의 각도(θ)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후면(190h)에 대해 적절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제10 격벽(153c)은 일부는 상 방향 또는 상측 후 방향을 향하고, 다른 일부는 하 방향 또는 하측 전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10 격벽(153c)의 다른 일부는 후면(190h)의 다른 일부(190l)와 연결될 수 있다. 제10 격벽(153c)의 다른 일부와 후면(190h)의 다른 일부(190l) 사이에는 절곡 부분(190k)이 존재할 수도 있다.
제10 격벽(153c)의 일부와 제8 격벽(153a)과, 제9 격벽(153b)에 의해 내측에는 제4 삽입홈이 형성되고, 제10 격벽(153c)의 일부의 말단과 후면(190h)의 일부(190d) 사이 또는 제10 격벽(153c)의 일부의 말단과 제12 격벽(153a) 사이에는 개부(154)가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부(154)는 방사공(112a)이 가이드 관(112)의 외면을 따라 형성된 것에 대응하여 제4 수용부(153-1, 153-2)의 상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4 수용부(153-1, 153-2)는 후면(190h)에 대해 소정의 각도(θ)로 기울어져 형성되므로,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 역시 기울어져 장착된다. 이 경우, 방사공(112a)은 개부(15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므로,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에 의한 사운드의 방사 방향 역시 후면(190h)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제4 수용부(153-1, 153-2)에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가 장착된 경우, 측 방향으로는 고주파(f3)의 사운드가 방사되고 상 방향으로는 저주파(f4)의 사운드가 방사된다. 또한 사운드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측면 방향(일례로 측벽 방향)이 우세한 범위(z2)로 방사된다. 이에 따라서 제1 수용부(140-1, 140-2)나 제2 수용부(143-1, 143-2)가 마련된 경우보다 하이트 효과는 상대적으로 감소하나 측면 방향에서의 서라운드 효과는 강화될 수 있게 된다.
도 32는 제1 사운드 출력부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3 실시예에 대한 배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하우징(190)의 후면(190h)에 설치되되,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190h)의 하단부(H3)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하단부(H2)의 상부 말단에 접하거나 인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하단부(H2)의 하부 말단, 즉 하부 경계(e-4)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하단부(H2)의 중단이나 그 주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대체적으로 상 방향, 후 방향, 측 방향 및 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제2 사운드 출력부(3-1, 3-2)와 동일하게 하 방향으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각각의 사운드 생성부(111)가 중심선(c)을 향하고, 캡(114)이 좌측 또는 우측 경계(e-1, e-2)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상측 경계(e-3)와 평행하거나 또는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후면(190h)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측 경계(e-3)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후면(190h)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캡(114)이 장착된 말단이 좌측 또는 우측 경계(e-1, e-2)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고, 및/또는 사운드 생성부(111)가 장착된 말단은 중심선(c)이 접하거나, 인접하거나 또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각각의 사운드 생성부(111)가 좌측 또는 우측 경계(e-1, e-2) 방향을 향하고, 캡(114)이 중심선(c)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제1 사운드 출력부(101-1)는 캡(114)이 중심선(c)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제1 사운드 출력부(101-2)는 캡이 좌측 또는 우측 경계(e-1, e-2)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3은 제5 수용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4는 사운드 반사부가 제3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 경우에서의 방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하우징(190)의 후면(190h)에는 제5 수용부(160-1, 160-2)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5 수용부(160-1, 160-2)는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하우징(190)의 후면(190h)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5 수용부(160-1, 160-2)가 설치될 수도 있다. 제5 수용부(160-1, 160-2)의 개수는 설치될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의 개수에 대응하여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5 수용부(160-1, 160-2)는 일 말단이 후면(190H)의 하부 말단에 근접한 일 위치에 직교하여 접하고 타 말단에는 절곡 부분이 존재하는 제11 격벽(160a)과, 제11 격벽(160a)의 절곡 부분에 접하고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2 격벽(16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격벽(160a)과 제12 격벽(160b)과 후면(190H)의 하부 말단의 주변은 제5 수용 홈을 형성한다. 제12 격벽(160b)과 후면(190H)의 하부 말단 사이에는 개부(161)가 하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부(154)는 방사공(112a)이 가이드 관(112)의 외면을 따라 형성된 것에 대응하여 제5 수용부(160-1, 160-2)의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5 수용부(160-1, 160-2)의 개부(154)가 형성된 방향에 대응하여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방사공(112a)이 하 방향을 향하도록 제5 수용부(160-1, 160-2)의 제5 수용홈에 장착된다.
따라서,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수용부(160-1, 160-2)에 장착된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대체적으로 하 방향으로 사운드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사운드는 양측 하단 모서리 주변에 하 방향, 측 방향 및 후 방향을 포함하는 범위(z3)로 방사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주파(f5)의 사운드는 측면 방향을 향하고, 저주파(f6)의 사운드는 하 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에서 방사된 사운드가 하 방향을 향하는 경우 앰비언트(ambient) 사운드가 더 강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하이트 효과는 상대적으로 약하게 된다.
도 35는 제1 사운드 출력부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4 실시예에 대한 배면도고, 도 36은 사운드 반사부가 제4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 경우에서의 방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100h)의 양 말단 경계(e-1, e-2)에 접하거나 또는 인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후면(100h)의 양 말단 경계(e-1, e-2)와 평행하거나 대체적으로 평행하거나 또는 일정하게 기울어지도록 후면(100h)의 양 말단 경계(e-1, e-2)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예를 들어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르도록 설치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상단부(H1), 중단부(H2) 및 후단부(H3)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상단부(H1), 중단부(H2) 및 후단부(H3) 중 적어도 둘에 걸쳐서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중심선(c)이나 그 주변 또는 이외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캡(114)이 장착된 말단이 상측 경계(e-3)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도록 후면(100h)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캡(114)이 장착된 말단이 하측 경계(e-3)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도록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를 수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100h)의 양 말단 경계(e-1, e-2) 또는 그 주변에는 양 말단 경계(e-1, e-2)를 따라서 제6 수용부(170-1, 170-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제6 수용부(170-1, 170-2)는 예를 들어 제1 수용부(140-1, 140-2), 제2 수용부(143-1, 143-2), 제3 수용부(150-1, 150-2), 제4 수용부(153-1, 153-2) 및/또는 제5 수용부(160-1, 160-2)를 상하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만약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는 캡(114)이 장착된 말단이 상측 경계(e-3)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100h)에 설치된 경우,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는 대체적으로 좌측 상 방향 또는 우측 상 방향을 포함하는 범위(z4)로 방사된다. 이 경우 고주파(f7)의 사운드는 대략 상 방향으로 전달되고 저주파(f8)의 사운드는 대략 측 방향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서,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가 사운드를 출력하면, 사용자는 하이트 효과가 상대적으로 약하지 않으면서도 서라운드 효과가 상대적으로 강한 사운드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도 37은 제1 사운드 출력부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5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190)은 좌측면(190a), 우측면(190b) 및 상단면(190c)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운드 출력부(201-1, 201-2)는 이들 좌측면(190a), 우측면(190b) 및 상단면(190c)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운드 출력부(201-1, 201-2)는 상단면(190c)에 상부 방향을 향하여 방사공(112a)이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운드 출력부(201-1, 201-2)가 안정적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상단면(190c)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6 수용부(180-1, 18-2)가 마련될 수 있다. 제6 수용부(180-1, 18-2)의 개수는 장착될 제1 사운드 출력부(201-1, 201-2)의 개수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제6 수용부(180-1, 18-2)는, 예를 들어, 제1 사운드 출력부(201-1, 201-2)의 크기 및 형상에 맞추어 형성된 함몰 구역(즉, 제6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운드 출력부(201-1, 201-2)는 제6 수용홈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운드 출력부(201-1, 201-2)가 설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한 반사 없이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운드 출력부(201-1, 201-2)에서 출력된 사운드가 천정(R1), 측벽(R2) 및 후벽(R3)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실감 효과, 하이트 효과 및/또는 서라운드 효과를 갖는 사운드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운드 출력부(201-1, 201-2)는 방사공(112a)이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을 향하도록 우측면(190b) 또는 좌측면(190a)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이 이들 측면(190a, 190b)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앰비언트 효과의 강조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운드 출력부(201-1, 201-2)는 하단면(미도시)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38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6 실시예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설치된 제1 사운드 출력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곡면으로 제작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곡면 형상의 하우징(290)에 장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곡면 형상의 하우징(290)의 후면(290h)에도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운드 출력부(201-1, 201-2)가 장착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운드 출력부(201-1, 201-2)의 안정적인 장착을 위해 곡면 형상의 하우징(290)의 후면(290h)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7 수용부(210-1, 210-2)가 설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7 수용부(210-1, 210-2)는 제1 수용부(140-1, 140-2), 제2 수용부(143-1, 143-2), 제3 수용부(150-1, 150-2), 제4 수용부(153-1, 153-2), 제5 수용부(160-1, 160-2) 및 제6 수용부(180-1, 180-2) 중 적어도 하나를 채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수용부(140-1, 140-2), 제2 수용부(143-1, 143-2), 제3 수용부(150-1, 150-2), 제4 수용부(153-1, 153-2), 제5 수용부(160-1, 160-2) 및 제6 수용부(180-1, 180-2) 중 적어도 하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도 적용 가능하다.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운드 출력부(201-1, 201-2)가 장착된 경우에도, 상술한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동일하게 또는 이와 유사하게 실감 효과나, 하이트 효과나, 서라운드 효과나 또는 앰비언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39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의 제어 흐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9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는 제1 사운드 출력부(101)와, 프로세서(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2 사운드 출력부(3)와, 저장부(80)와, 무선 통신부(82)와, 유선 통신부(84)와, 입력 인터페이스(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운드 출력부(3)와, 저장부(80)와, 무선 통신부(82)와, 유선 통신부(84)와, 입력 인터페이스(86)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 가능하다.
제1 사운드 출력부(101)와, 프로세서(90)와, 제2 사운드 출력부(3)와, 저장부(80)와, 무선 통신부(82)와, 유선 통신부(84)와, 입력 인터페이스(86)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어 구현 가능하다.
프로세서(90)는 제1 사운드 출력부(101), 제2 사운드 출력부(3), 저장부(80), 무선 통신부(82), 유선 통신부(84) 및 입력 인터페이스(86)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하우징(190)에 내장된 반도체 칩 등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제1 사운드 출력부(101)와, 프로세서(90)와, 제2 사운드 출력부(3)와, 저장부(80)와, 무선 통신부(82)와, 유선 통신부(84)와, 입력 인터페이스(86)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선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에서의 구체적인 제어 흐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프로세서(90)는 저장부(80), 무선 통신부(82), 유선 통신부(84) 및 입력 인터페이스(86)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81, 83, 85, 87)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81, 83, 85, 87)은 프로세서(90)의 채널 처리부(91)로 전달될 수 있다.
채널 처리부(91)는 전달 받은 음원(81, 83, 85, 87)의 채널의 개수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0)는 음원(81, 83, 85, 87)의 주 채널의 개수가 몇 개인지 우퍼가 필요한지, 상향 스피커가 필요한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처리부(91)는 전달 받은 음원(81, 83, 85, 87)의 채널의 개수가, 사운드 출력 장치, 즉 제1 사운드 출력부(101)의 개수 및 제2 사운드 출력부(3)의 개수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업 믹싱 또는 다운 믹싱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전달 받은 음원(81, 83, 85, 87)의 채널의 개수가, 사운드 출력 장치, 즉 제1 사운드 출력부(101)의 개수 및 제2 사운드 출력부(3)의 개수보다 작은 경우, 채널 처리부(91)는 전달 받은 음원(81, 83, 85, 87)의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를 복제하거나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복수 개로 분리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전달 받은 음원(81, 83, 85, 87)의 채널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업 믹싱).
반대로 전달 받은 음원(81, 83, 85, 87)의 채널의 개수가, 사운드 출력 장치, 즉 제1 사운드 출력부(101)의 개수 및 제2 사운드 출력부(3)의 개수보다 큰 경우, 채널 처리부(91)는 적어도 두 개의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를 병합하여 합성하거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를 삭제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전달 받은 음원(81, 83, 85, 87)의 채널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다운 믹싱).
만약 전달 받은 음원(81, 83, 85, 87)의 채널의 개수가, 사운드 출력 장치, 즉 제1 사운드 출력부(101)의 개수 및 제2 사운드 출력부(3)의 개수와 동일한 경우, 채널 처리부(91)는 별도의 업 믹싱이나 다운 믹싱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순차적으로 채널 처리부(91)는, 채널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채널 처리부(91)는 각각의 채널을 사운드 출력 장치, 즉 제1 사운드 출력부(101) 및 제2 사운드 출력부(3)에 분배하여 제1 사운드 출력부(101) 및 제2 사운드 출력부(3)가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1 사운드 출력부(101) 및 제2 사운드 출력부(3)가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는 1 사운드 출력부(101) 및 제2 사운드 출력부(3)에 분배된 채널에 대응한다. 이 경우, 채널 처리부(91)는 별도로 제공된 메타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각의 채널을 사운드 출력 장치(101, 3)에 분배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1 사운드 출력부(101-1, 101-2, …, 101-N) 각각이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와 제2 사운드 출력부(3-1, 3-2, … 3-N) 각각이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가 결정된다.
음향 처리부(93)는 사운드 출력 장치, 즉 제1 사운드 출력부(101) 및 제2 사운드 출력부(3)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감 효과 및 음장 감 향상을 위한 신호 처리 알고리즘을 전달 받은 음원(81, 83, 85, 87)에 적용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알고리즘은, 음원(81, 83, 85, 87)에 포함된 각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보강 신호의 적용, 각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시간의 선별적 지연 또는 각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의 증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신호 처리 알고리즘은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등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필터 알고리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처리부(93)는 또한 실내 공간(R)의 반사 특성이나 제1 사운드 출력부(101)의 지향성을 더 고려하여 신호 처리 알고리즘을 전달 받은 음원(81, 83, 85, 87)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음향 처리부(93)의 처리 동작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로부터 더욱 실감나는 사운드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음향 처리부(93)는 전달 받은 음원(81, 83, 85, 87)에 신호 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자연스러운 실감 효과의 사운드가 제1 사운드 출력부(101) 및 제2 사운드 출력부(3)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채널 처리부(91) 및 음향 처리부(93)는 물리적으로 분리 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논리적으로 분리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물리적으로 분리 가능한 경우, 상술한 채널 처리부(91) 및 음향 처리부(93)는 각각 별도의 회로나 반도체 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채널 처리부(91) 및 음향 처리부(93)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 가능하다.
프로세서(90)는 채널 처리부(91) 및 음향 처리부(93)의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제1 사운드 출력부(101; 101-1, 101-2, …, 101-N) 및 제2 사운드 출력부(3, 3-1, 3-2, … 3-N) 중 적어도 하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사운드 출력부(101; 101-1, 101-2, …, 101-N)의 사운드 생성부(111-1, 111-2, …, 111-3)는 전달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파는 방사공(112a)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에 따라 제1 사운드 출력부(101; 101-1, 101-2, …, 101-N)는 소정 채널의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제1 사운드 출력부(1)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설계자의 임의적 선택에 따라서 제1 사운드 출력부(1)는 더욱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는, 다른 사운드 출력 장치, 일례로 스마트 폰이나, 랩톱 컴퓨터나, 오디오 장치 등에도 동일하게 또는 일부 변형을 거쳐 적용 가능하다.
이하 도 40을 참조하여 사운드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0은 제2 사운드 출력부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먼저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음원이 획득된다(300). 음원의 획득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저장부, 무선 통신부, 유선 통신부 및 입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음원을 전달 받아 획득할 수 있다.
순차적으로 음원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의 채널의 개수와, 사운드를 출력 가능한 장치, 즉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운드 출력부의 개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운드 출력부의 개수가 상호 비교될 수 있다(301, 303).
만약 오디오 신호의 채널의 개수가 사운드를 출력 가능한 장치의 개수보다 크다면(301의 예), 다운 믹싱이 수행된다(302). 이에 따라 오디오 채널의 개수가 감소된다.
만약 오디오 신호의 채널의 개수가 사운드를 출력 가능한 장치의 개수보다 작다면(301의 아니오, 303의 예), 업 믹싱이 수행된다(304). 이에 따라 오디오 채널의 개수가 증가하게 된다.
만약 오디오 신호의 채널의 개수가 사운드를 출력 가능한 장치의 개수와 동일하다면(301의 아니오, 303의 아니오), 다운 믹싱 및 업 믹싱의 수행은 생략된다.
이어서 사용자의 조작이나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기 정의된 신호 처리 알고리즘의 적용 여부가 결정된다(310). 신호 처리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각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보강 신호의 적용 알고리즘, 각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시간의 선별적 지연 알고리즘, 각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의 증폭 알고리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필터 알고리즘 등을 포함 가능하다.
만약 신호 처리 알고리즘의 적용이 요구되는 경우라면(310의 예), 각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 중 신호 처리 알고리즘의 적용이 필요한 오디오 데이터에 신호 처리 알고리즘이 적용된다(311).
만약 신호 처리 알고리즘의 적용이 불필요한 경우라면(310의 아니오), 신호 처리 알고리즘의 적용 과정은 생략된다.
순차적으로 처리 결과에 따른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가, 사운드를 출력 가능한 장치, 즉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운드 출력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운드 출력부 각각에 전달될 수 있다(320).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운드 출력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운드 출력부 중 일부에는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운드를 출력 가능한 장치, 즉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운드 출력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운드 출력부는 신호의 전달에 응하여 사운드를 출력한다(321).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감 효과, 하이트 효과, 서라운드 효과 및 앰비언트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갖는 사운드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동일하게 또는 일부 변형을 거쳐, 제1 사운드 출력부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중 적어도 하나는,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기계어 코드나 고급 언어 코드를 이용하여 설계 및 제작된 것일 수 있다. 프로그램은 상술한 사운드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것일 수도 있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각종 함수나 정의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사운드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테이프, 컴팩트 디스크나 디브이디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기록 매체 및 롬, 램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반도체 저장 장치 등 컴퓨터 등의 호출에 따라 실행되는 특정 프로그램을 저장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사운드 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사운드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사운드 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사운드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오직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상술한 실시예를 기초로 수정 및 변형하여 구현 가능한 다양한 장치나 방법 역시 상술한 사운드 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사운드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 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또는 치환되더라도 상술한 사운드 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사운드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다.

Claims (2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삽입 및 장착되는 삽입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를 방출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사운드 생성부; 및
    일 말단에서 타 말단까지 단면적이 동일하거나 또는 점전적으로 변화하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 말단에는 상기 사운드 생성부가 설치되고, 외면에는 복수의 방사공이 적어도 하나의 열로 마련된 가이드 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방사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사공은, 상기 후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 상기 후면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 또는 상기 후면의 법선 방향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의 열로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의 상단 부분, 중단 부분 및 하단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가이드 관의 상기 타 말단이 상기 후면의 측단 경계 및 상단 경계 중 어느 하나에 접하거나 또는 인접하여 상기 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가이드 관이 상기 후면의 상부 경계 또는 상기 후면의 측부 경계와 평행하게 상기 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출력부가 삽입 및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의 후면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형성된 제1 삽입홈을 포함하는 제1 수용부;
    상기 사운드 출력부가 삽입 및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의 후면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대해 수평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기울어져 형성되는 제2 삽입홈을 포함하는 제2 수용부; 및
    상기 사운드 출력부가 삽입 및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의 후면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형성된 제3 삽입홈을 포함하는 제3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제1 삽입홈이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향하거나, 상기 하우징의 측단을 향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2 삽입홈이 상기 후면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 상기 후면의 법선 방향 또는 상기 후면의 접선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신호로 이루어진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 각각에 분배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한 업 믹싱 및 다운 믹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운드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의 사운드 생성부 및 상기 다른 사운드 출력부 각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신호로 이루어진 오디오 신호를 분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리기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사공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 방향을 향하거나, 상기 하우징의 후 방향을 향하거나, 상기 하우징의 측면 방향을 향하거나, 상기 하우징의 하단 방향을 향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 방향 및 상기 하우징의 후 방향 사이에 마련된 방향을 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신호로 이루어진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에 분배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는, 하우징의 후면에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로부터 사운드가 방사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사운드 생성부; 및
    일 말단에서 타 말단까지 단면적이 동일하거나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 말단에는 상기 사운드 생성부가 설치되고, 외면에는 복수의 방사공이 적어도 하나의 열로 마련된 가이드 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삽입 및 장착되는 삽입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를 방출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방사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한 업 믹싱 및 다운 믹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해 미리 정의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운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0. 삭제
KR1020170106534A 2017-08-23 2017-08-23 사운드 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43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534A KR102343468B1 (ko) 2017-08-23 2017-08-23 사운드 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18184821.9A EP3448058B1 (en) 2017-08-23 2018-07-20 Sound out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8/009052 WO2019039776A1 (en) 2017-08-23 2018-08-08 SOUND OUT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6/102,150 US11051103B2 (en) 2017-08-23 2018-08-13 Sound out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810929817.5A CN109429027B (zh) 2017-08-23 2018-08-15 声音输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534A KR102343468B1 (ko) 2017-08-23 2017-08-23 사운드 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602A KR20190021602A (ko) 2019-03-06
KR102343468B1 true KR102343468B1 (ko) 2021-12-28

Family

ID=63168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534A KR102343468B1 (ko) 2017-08-23 2017-08-23 사운드 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51103B2 (ko)
EP (1) EP3448058B1 (ko)
KR (1) KR102343468B1 (ko)
CN (1) CN109429027B (ko)
WO (1) WO20190397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275B1 (ko) 2018-11-15 2023-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210054682A (ko) 2019-11-06 2021-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우드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KR20210086124A (ko) * 2019-12-31 2021-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방법
EP4118839A4 (en) * 2020-03-10 2024-02-28 Sonos Inc CONVERTER ARRANGEMENT FOR AUDIO DEVICE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7070A1 (en) * 2008-05-02 2012-09-20 Ickler Christopher B Passive Directional Acoustic Radiating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9651A (en) 1950-09-05 1957-04-23 Fred B Daniels Acoustic device
US4369857A (en) * 1981-01-22 1983-01-25 The Kind Horn Company Loudspeaker and horn combination
DE3843050C2 (de) 1987-12-25 1998-01-15 Yamaha Corp Elektrischer Akustikwandler
JPH0573068A (ja) 1991-06-26 1993-03-26 Misawa Homes Co Ltd スピーカー装置
JP3514857B2 (ja) 1995-02-06 2004-03-31 株式会社東芝 テレビジョンセットのスピーカシステム
US5552569A (en) * 1995-03-08 1996-09-03 Sapkowski; Mechislao Exponential multi-ported acoustic enclosure
CN2651883Y (zh) * 2003-10-15 2004-10-27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具有管状喇叭的平面显示器
US20070223744A1 (en) 2006-03-23 2007-09-27 Epson Imaging Devices Corporation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9296153A (ja) * 2008-06-03 2009-12-17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指向性スピーカ
KR100980844B1 (ko) * 2008-10-22 2010-09-10 한솔엘씨디 주식회사 양면 라이팅 디스플레이 장치용 구동유닛
JP5340791B2 (ja) 2009-04-09 2013-11-13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狭指向性マイクロホン
KR101612791B1 (ko) * 2010-02-04 2016-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모듈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101490725B1 (ko) 2010-03-23 2015-02-06 돌비 레버러토리즈 라이쎈싱 코오포레이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오디오-비디오 시스템, 음향 재생을 위한 방법 및 로컬라이즈된 지각적 오디오를 위한 음향 재생 시스템
JP5554640B2 (ja) 2010-06-11 2014-07-23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狭指向性マイクロホン
JP2012004983A (ja) * 2010-06-18 2012-01-05 Toshiba Corp 電子機器
EP2604045B1 (en) * 2010-08-12 2015-07-08 Bose Corporation Active and passive directional acoustic radiating
US9360943B2 (en) 2010-12-27 2016-06-0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feedback for gestures thereof
JP5630872B2 (ja) 2011-04-15 2014-11-26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狭指向性マイクロホン
US9226091B2 (en) 2012-09-18 2015-12-29 Polk Audio, Inc. Acoustic surround immers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50382103A1 (en) 2013-04-01 2015-12-31 Colorado Energy Research Technologies, LLC Phi-Based Enclosure for Speaker Systems
TWI479409B (zh) * 2013-04-29 2015-04-01 Wistron Corp 具有可多方向調整之揚聲器的電子裝置
US10705788B2 (en) 2013-07-09 2020-07-07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US10241740B2 (en) 2015-01-27 2019-03-26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Sound reflections for portable assemblies
KR102349453B1 (ko) 2015-07-24 2022-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60990B1 (ko) * 2016-12-09 2023-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지향성 스피커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7070A1 (en) * 2008-05-02 2012-09-20 Ickler Christopher B Passive Directional Acoustic Radia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8058A1 (en) 2019-02-27
CN109429027A (zh) 2019-03-05
US11051103B2 (en) 2021-06-29
EP3448058B1 (en) 2020-10-14
CN109429027B (zh) 2021-04-30
US20190069089A1 (en) 2019-02-28
KR20190021602A (ko) 2019-03-06
WO2019039776A1 (en)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468B1 (ko) 사운드 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7872748B (zh) 音频驱动器和供电单元架构
KR102418168B1 (ko)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9049518B2 (en) Orientation-responsive acoustic array control
KR102560990B1 (ko) 지향성 스피커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US8934647B2 (en) Orientation-responsive acoustic driver selection
KR102138486B1 (ko) 오디오 장치
US100389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through speaker
CN108141662A (zh) 条形音箱
JP2011010224A (ja) 超指向性スピーカ
CN108370482B (zh) 用于呈现沉浸式音频内容的双定向扬声器
KR20170035882A (ko) 웨어러블 블루투스 스피커
KR20210023188A (ko) 다채널 스피커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118056B1 (ko) 엘이디 전기스탠드
US10939196B2 (en) Loudspeake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7959906B (zh) 音效增强方法及音效增强系统
KR20200084514A (ko) 전자장치
US11601739B2 (en) Light speaker structure with ring handle
CN215815114U (zh) 显示装置
KR101001665B1 (ko) 전방 스피커 어레이를 통한 음장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EP36146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through speaker
KR102226365B1 (ko)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발광장치
KR20220102051A (ko) 소리가 전파되는 관로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77530A (ko)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근접 배치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5493517A (zh) 音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